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홍현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이 진로준비기에 있는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고 이를 교육 현장에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한 훈련은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둘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한 훈련은 고등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에 소재한 H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 중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2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2명씩 배치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은 6주에 걸쳐 60분 내외의 시간으로 총 10회의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처치가 끝난 후 동일한 검사도구로 두 집단에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별로 프로그램 진행 전과 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평균과 표준편차 및 진로준비행동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처리하여 사후검사에 대한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의 학생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어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의 학생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진로준비행동 중 진로탐색활동, 정보수집활동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어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진로준비단계에 있는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트라우마의 치유와 자기 정체성 회복 : 토니 모리슨의 『빌러비드』와 『자비』를 중심으로

        홍현선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People may have lots of experiences due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in living and suffer trauma that lingers in their mind. If the trauma fails to be cured and lingers, it can have profound effects on lifestyle as well as on attitude toward living. As a Novel prize winner for literature, Toni Morrison represents Afro-American literature; it is the miseries caused by the slavery system and the process of the victims’ injuries and recovery that are clear in her literature. Toni Morrison had published A Mercy 21 years after the publication of Beloved; lots of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between the two works. The former deals with the slavery system before and after the Civil War, while the latter is set in the 1690s before the American independence from the United Kingdom; the former deals with the problems of the slavery system in the American society, while the latter deals with more diverse conflicts caused by people of different races and classes. Despite these differences, what are clearly common between them are the evil influences of the slavery system and the distress of its victims, particular women, who make an extreme and distressful choice based on desperate motherly love so as not to hand over their distress to the generation of their daughters. What is more clearly common is the process of healing. Beloved suggests healing through narrative therapy and reconstruction of memories, while A Mercy suggests healing through narrative therapy and writing therapy. The main characters in these works reveal their injuries of the past, which they have buried within their heart, through narrative therapy and writing therapy. The method of healing in Beloved is narrative therapy though which the memories of the past are reconstructed and the injured characters finally get rid of the injuries. It is speaking that allowed Sethe to get out of the memories of the past. The first one whom she talk to is a slave named Paul D, who worked with her in the same farm and liked her; the second is her daughter Beloved, whom she murdered and whose spirit is visible. Sethe gets ready to get out of the past through the talks with Paul D, while the talks with Beloved lead to explanation for herself in the past and ultimately to self-forgiveness. As a result, her alive daughter Denver, who has failed to understand her mother although they have lived together for more than a decade, makes up with her through talks; because of Denver, Sethe also makes peace with the Afro-American community that has isolated her. In A Mercy, what is crucial is healing of the main character Florence, while others cure their injuries. Florence tries her best to be loved due to the trauma of having been abandoned by her mother but has an uncontrollable feeling and becomes violent the moment her trauma is aroused. It is through the process of writing a long story for her mother and the blacksmith Florence loved that she overcomes her trauma. She uses a nail to write her story she wants to tell them on the walls of the new house built by her deceased master, and shows herself, who has become firm and strong unlike before. The firm and strong one does not beg for love but is independent. The two works are not based on the theme of trauma but on healing by overcoming it since they describe black women, who cannot but be victims of the slavery system, and their motherly affection, and represent how the main characters overcome their injuries through narrative therapy and writing therapy. This study aimed to see how it is expressed.

      • 의료사고의 피해구제 제도에 관한 연구

        홍현선 단국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류의 기원이래 사람은 본능적으로 생존을 위해 몸을 보호하고 지키는데 온갖 수단과 방법을 사용해 왔다. 그것이 지나칠 경우 싸움과 전쟁으로 표출된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큰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현상임에 틀림없다. 건강한 육체는 삶의 목표를 향하여 정진할 수 있는 기본적이 조건이 된다. 그것은 바로 국가의 건강한 발전을 약속 하는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의학 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의료사고에 대한 피해배상은 시장 기능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바로 경제적 보상으로 합의를 하게 되지만, 온전한 합의는 되지 못한 것이다. 즉 감정적인 부분이나, 가해자에 대한 믿음까지 해결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결과로 나타난 의료사고를 인정하기는 정말 어려운 일이다. 더구나 과오판정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가해자와 피해자 양측 모두에게 충분한 만족을 주지 못한다. 이러한 모순으로 의료 사고를 이해와 체념으로 여기는 분쟁화 되지 않은 많은 피해자들이 아픔으로 간직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사고 피해자 모두에게 피해보상의 길을 열어주는 제도가 무과실 보상주의라 하겠다. 이제 건강권을 주장하는 국민에게 국가가 어느 정도 의료 사고에 대한 책임을 분담하여 올바른 방향을 잡아줌으로써, 의료인은 안정된 진료를 할 수 있고, 의료 사고 피해자는 적정한 피해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existence of a human being in the world, man has by nature attempted all the possible means and methods to protect himself and to keep his life. The attempt has sometimes involved conflict and war when it is excessively pursued. It must be normal phenomena that people are nervously concerned with their health. Healthy body is a prerequisite for the people to devote themselves to their life's goal. And i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guarantee the sustained development of a nation. It is known that the level of development in medical techonology in Korea has been quite high, but the indemnity for damage done by medical accident is, in fact, formed by only market mechanism and market function. Although each part of a medical dispute agrees on the level of compensation based on an economic principle, the agreement does not make any perfect solution. that is, the agreement covers or suffices neither the emotional part of the victim, nor the distrust toward the injurer. It is difficult for this reason to evaluate medical accident with impartiality. Furthermore, those evaluation of deciding any worngdoings involved in medical accident cannot provide any satisfaction neither to plaintiff nor to defender. For this dilema, many victims do not want to be involved in medical dispute, but to stay with apprehension and renunciation, so that they heavily suffer from medical accident. Under this situation, the compensation system for nonaccident needs to be introduced to compensate all the victims of medical accident. In the compensation system for nonaccident, therefore, the goverment has to take a partial responsibility for medical accident in directing the people's demand for the right for health, so that the medical doctors can keep their work of treatment in more safe environment, and that all the victims of medical accident can be adequitely compensated.

      • 팀버레이크 워텐베이커의『메리 트레버스의 우아함』과 『조국을 위하여』에 나타난 제 3의 공간 연구

        홍현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nalyzes the language and the cognitive ideas of a new world in Timberlake Wertenbaker's works by Julia Kristeva's theory of 'the third space'. Wertenbaker reflects many cultures which are the basis of her experiences in her works and her foreign travels make that characters gain the awakening and the knowledge through various experiences such as men's world, the play. So, Wertenbaker's characters make progress toward their cognitive ideas of a new world. It is persuasive that the features of Wertenbaker's dramas are made more clear by Julia Kristeva's theory. Kristeva insists that the third space removes the distance between two rival entities, such as man/woman and ruling class/not ruling class. The new feminism's approach is against the mass struggle. Also, that looks for and develops own identity personally by a motherhood, the personal experiences. So, Kristeva is opposed to borders and the dichotomy between opposites. This is the similarities that Wertenbaker intends to join between the sexes and classes instead of a narrow-minded and one sided discourse. Kristeva's cognitive ideas of a new world would make the Wertenbaker's meaning clearer. It is that Wertenbaker wants to show and Kristeva insists on the experience of the third space and personal development on behalf of difference of sexes and classes. So this thesis analysis Wertenbaker's The Grace of Mary Traverse and Our Country's Good. The two works present in full the aspect of man's power, the change of language by experiencing new cultures through travels, performances and various characters who move the cognitive third space through a travel, play from the perspective of Kristeva's theory. In The Grace of Mary Traverse, the third space is realized by Mary, the heroine. She is English's woman in 18th century and restricted by patriarchy. Mary leaves father who force the grace woman at that time, his home and then experiences the power of man's world-sexual pleasure, gambling and politics. As a result, she gets the cognitive third space, such as awakening through Sophie, simple and sincere view about the world. In Our Country's Good, the third space is brought out the convicts' change. They are exiled from England that is their homeland and transport to Australia. Governer, Phillip who is captain of convicts' transport ship suggests that convicts perform Farquhr's play. The convicts don't experience the play that is a high-class culture. So, convicts experience new culture first time and make convicts/performers community through play rehearsal. Also, their language can communicate with officers and then they gain the third space in knowledge of the telling their opinion. This thesis can see that the characters change their perception, language and obtain the knowledge and awaken through experience of cognitive ideas of a new world. That is Wertenbaker who experiences many cultures thinks that language is very important by showing characters' identity. And the third space that don't fix the boundary between sexes and classes and the different things are a symphony offer Wertenbaker's characters to change of view about the world, the establishment of their identity and hope. 이 논문은 현재 영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극작가 팀버레이크 워텐베이커(Timberlake Wertenbaker)의 작품들 속에서 나타나는 언어의 문제와 등장인물들이 새로운 경험을 통하여 도달하게 되는 인식적인 새로운 세계의 모습을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 페미니즘 이론을 통해 분석한다. 워텐베이커는 여러 나라에서 직접 체험한 여러 문화를 작품 안에 투영시켰고, 자신이 했던 새로운 세계의 탐험은 그녀의 극에서 등장인물들이 새로운 장소 또는 문화 등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깨달음과 지식을 얻어 인식적인 제 3의 공간으로 나아가는 변화를 보여준다. 이러한 워텐베이커 극의 특징은 프랑스의 이론가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이론으로 볼 때 더욱 분명해진다. 크리스테바는 남과 여, 계급간의 차이와 대립을 없애고 이 둘이 어우러지는 제 3의 공간을 주장한다. 이 새로운 페미니즘적 접근은 집단적인 투쟁을 거부하고 모성과 개인적인 체험에 의해 자신의 주체성을 개인적인 차원에서 탐색하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크리스테바는 대립되는 것에 경계를 긋고 이분법적으로 나뉘는 것에 반대한다. 이는 워텐베이커가 여러 문화를 접하고 편협한 이론을 벗어나 조화를 이루며 공존하는 것에 상응한다. 또한 워텐베이커 극 안에서 나타나는 언어의 문제와 의도적인 열린 결말은 크리스테바가 주장했던 제 3의 공간을 반영할 때 그녀의 의도는 더욱 분명해진다. 성과 계급 등의 차이와 대립이 아닌 새로운 세계의 경험과 개인적 발전의 문제, 즉 워텐베이커가 나타내고자 했고 크리스테바가 주장한 이 제 3의 공간을 연구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워텐베이커의 『메리 트레버스의 우아함』(The Grace of Mary Traverse)과 『조국을 위하여』(Our Country`s Good) 이 두 작품을 다룬다. 두 작품은 크리스테바의 이론으로 볼 때 등장인물들의 언어로 나타나는 권력의 모습과 언어 사용의 변화, 새로운 경험으로 인해 변하는 인식적인 제 3의 공간으로 나아가는 인물들을 충분히 내포하고 있다. 『메리 트레버스의 우아함』에서 제 3의 공간은 주인공 메리 트레버스라는 여성 인물을 통해 실현된다. 그녀는 18세기의 영국 여성으로 가부장제에 속박되어 있는 여성이다. 자신에게 당시의 여성상만을 강조하는 아버지의 곁을 떠나 남성들의 세계로 대변되는 성, 도박장, 정치 영역에서 나타나는 남성 권력의 새로운 세계를 탐험하지만 결국에는 자신의 경험과 소피라는 인물을 통한 깨달음, 세상을 소박하고 진실되게 보는 시각이라는 인식적인 제 3의 공간을 얻는다. 『조국을 위하여』에서 제 3의 공간은 죄수들의 변화를 통해 보여진다. 그들은 조국인 영국에서 추방되어 식민지인 호주로 수송되는데 그 배안에서 필립 총독의 제안으로 연극을 공연하게 된다. 연극이란 죄수들이 경험해보지 못한 상류층의 문화로서 죄수들은 그 새로운 문화를 경험하면서 죄수/배우 공동체를 만들고 그들의 언어는 간수들에게 자신의 생각과 입장을 이야기 할 수 있는 지식을 얻어 인식적인 제 3의 공간으로 진입한다. 이 논문에서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면서 깨달음과 지식을 얻고 변화하는 등장인물들의 모습이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통해 인식이 변화되고 제 3의 공간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즉 다양한 문화를 경험한 워텐베이커에게 있어 언어는 인물들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것이며, 경계를 나누지 않고 차이가 어우러지는 제 3의 공간이 워텐베이커의 주인공들에게 세상에 대한 변화된 시각과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희망을 가진 인물로 이끄는 것이다.

      • 시뮬레이션기반 수지 재접합술 환자 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홍현선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Patients with truncated finger are psychologically unstable, because finger is usually truncated due to sudden accident. As they are further anxious of treatment result or the possibility of success of finger replantation, the competence of nurse caring for finger replantation patients is very important for positive outcomes of pati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training program for nursing care with finger replantation patients on the knowledg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e. Method: This study is a wait-list control group with crossover study. Based on the priority of training requirement level examined with three doctors of hand & extremities surgery, seven nurses of S Hospital located in Seoul, we developed simulation-based training program for nursing care with finger replantation patients that utilize standardized patients for final 5 hours & 30 minutes. The measuring tools, namely, study tools, knowledge(10 questions), clinical competency(20 questions) and self-efficacy(10 questions) were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and the final tool was developed as an expert verified the feasibility of contents. Knowledge and self-efficacy was evaluated with self-reporting questions & clinical competency was evaluated by two graders. The study subject are twenty general nurses working in ward of hand & extremities surgery of S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twenty nurses were randomly divided to two groups, Group A and Group B, ten nurses each. Both groups were crossover before participating in simulation training and training was carried on with interval for 1 month. Then, knowledge, self-efficacy & clinical competency was measured in 3 times.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utilizing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2.0 (IBM Corp., Armonk, NY). The comparison of pretest and posttest difference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y of Group A & Group B was analyzed by utilizing Mann-Whitney U, nonparametric statistics. The comparison of pretest and posttest difference of knowledge,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y of Group A participating in simulation training was analyzed by utiliz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 Comparing the prior mark before participating in simulation training,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U = 42.50, p = .579) and self-efficacy (U = 42.00, p = .579) between Group A and B, except clinical competency (U = 17.00, p = .011).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efore & after training in Time 1, Group A(simulation-based training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mark (U = 19.00, p = .019), self-efficacy (U = 0.00, p < .001) and clinical competency (U = 0.00, p < .001) compared to Group B (Wait-list control group). In Time 2, the knowledge (U = 5.00, p < .001), self-efficacy (U = 0.00, p < .001), clinical competency (U = 0.00, p < .001) of Group B (simulation-based training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urther, Group A (simulation training group)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nowledge measured before & after 1 month (Z = -1.027, p = .305), self-efficacy (Z = -.140, p = .889) & clinical competency (Z = -.952, p = .341).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simulation training by developing simulation-based training program for nursing care with finger replantation patients and applying it to clinical nurses. Simulation-based training program for nursing care with finger replantation patients is helpful for improvement and retention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es. By extensively applying developed training program, they as nurses of hand & extremities surgery can improve knowledge, attitude and clinical competence of caring for finger replantation patients. 목적 : 수지절단 환자는 갑작스런 사고에 의한 경우가 많아 심리적으로 불안정하며, 치료 결과나 재접합술 성공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되어 긍정적인 환자 성과를 위해서는 수지 재접합술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역량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기반 수지 재접합술 환자 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지식,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 본 연구는 교차설계(a wait-list control group with crossover) 연구이다. 서울시 소재 S병원 수부외과 전문의 3인, 간호사 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교육 요구도의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최종 5시간 30분의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기반 수지 재접합술 환자 간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도구인 지식(10문항), 임상수행능력(20문항)과 자기효능감(10문항) 측정도구는 문헌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개발하고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 도구를 개발하였다. 지식과 자기효능감은 자가보고식 문항으로 평가하였고, 임상수행능력은 2명의 채점자가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S병원 수부외과 병동에 근무하고 병원 직무교육에 참여한 일반 간호사 총 20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간호사 20명을 Group A와 Group B의 두 그룹으로 각 10명씩 무작위 할당하였다. 두 그룹을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하기 전과 1달 간격으로 Crossover하여 교육을 실시한 후 총 3회 지식,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2.0 (IBM Corp., Armonk, NY)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Group A와 Group B의 지식,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의 전후 차이 비교는 비모수 통계인 Mann-Whitney U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Group A의 지식,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과의 전후 차이 비교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하기 전의 사전 점수 비교 결과 Group A군과 B군간에 임상수행능력(U = 17.00, p = .011)을 제외하고 지식(U = 42.50, p = .579)과 자기효능감(U = 42.00, p = .579)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ime 1에서 두 그룹간 전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 Group A(시뮬레이션기반 교육군)는 Group B(Wait-list control group)에 비해 지식 점수(U = 19.00, p = .019), 자기효능감(U = 0.00, p < .001)과 임상수행능력(U = 0.00, p < .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ime 2에서 Group B(시뮬레이션기반 교육군)의 지식(U = 5.00, p < .001), 자기효능감(U = 0.00, p < .001), 임상수행능력(U = 0.00, p < .001)은 Group A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Group A(시뮬레이션 교육군)는 1달 전과 후에 측정한 지식(Z= -1.027, p = .305), 자기효능감(Z= -.140, p = .889), 임상수행능력(Z= -.952, p = .34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수지 재접합술 환자 간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임상 간호사들에게 적용해 봄으로써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기반 수지 재접합술 환자 간호 교육은 간호사의 지식,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의 향상과 유지(retention)에 도움이 된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적용을 통해 수부외과 간호사로서 수지 재접합술 환자 간호에 대한 지식, 태도, 술기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다.

      • 현대 남성복의 디테일 개발에 관한 연구 : 남성 케릭터 케주얼을 중심으로

        홍현선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1992년 이후로 젊은 남성 층에게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캐릭터 캐주얼에 나타나는 디자인 요소 중에서 사용된 디테일의 유행을 파악하여, 현재 가장 즐겨 사용되는 아이템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지향적인 남성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남성복의 디테일은 여성의 것과 다르게 크게 유행을 변화시키는 것은 아니지만, 근래에 이르러 세부장식의 효과가 잦은 기교와 다양한 색상과 함께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캐릭터 캐주얼 의상에서 디테일 선호도에 관하여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것과 최근 10년 동안 세계 남성의류 컬렉션에 발표된 의상을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디테일을 이용한 디자인을 제시하여 국내 남성복 업계에 다소나마 보탬이 되고자 함에 있다. 우리 나라 남성 캐릭터 캐주얼은 1980년대 후반부터 꾸준한 증가추세에 있던 것이 1995년을 전후로 시장이 매우 급격한 성장의 시기를 맞고 있다. 국내 업체에 의한 우리 나라 남성들의 체형에 어울리는 독창적인 디자인의 개발이 이루어지는 실정이기는 하나 수입의류에 비하여 여전히 제한적인 부분이 있다고 하겠다. 연구 방법은 문헌고찰과 실증적 자료분석 두 가지를 병행하고 이를 토대로 의상을 제작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하여 현대 남성복이 정형화 된 남성복 스타일 전체를 재조명 하였다. 캐릭터 캐주얼의 개념을 정리하고 파리와 이태리에서 열린 최근 남성복 컬렉션에서 발표된 의상들 가운데에서 디테일 위주의 디자인을 추려내어 디테일의 종류별로 표현방법을 정리하였다. 실증적 연구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캐릭터 캐주얼에 대한 선호도와 캐릭터 캐주얼 디테일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의상 다섯 벌을 제작하였다. 우리는 바야흐로 국제화와 지구촌 개방화의 시대를 맞아 세계 곳곳의 정보를 동시에 접하게 되는 시점에 와있다. 이러한 정보의 물결로 인해 어쩌면 업계보다도 일반인들이 더 앞서 트랜드를 접할 수 있는 상황에서 특히 젊은 남성들은 보다 새롭고 보다 신선한 것을 요구하게 되므로, 이에 적합한 맞는 적극적인 디자인 개발노력이 따라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analysize and propose a new fashion trend which makes use of the detail appeared in young people's character casual wear since 1992. And with that result, we selected currently preferred items and designed new prospective man's suits. The detail of man's wear is different with that of woman's, so it is not likely to change vogue in large. But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effect of detail which is recently remarkable together with the growth of technical skill and many kinds of colo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 of public questionnaire which was asked to young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about the detail preference in men's character casual and the analysis of fashion design which was presented during last 10 years, we proposed new concept's design and hope it will be a small amount of help to fashion industry. Since the latter of 1980's, the demand for man's character casual wears have been steadily increased. Before and after 1995, its market is matured rapidly. The original design suitable for our country's man's figure was developed by domestic company, but is still behind imported clothes in many fields. In this paper, the method of study is focused on the parallel implementation of both bibliography reference and substantial data analysis. First, in bibliography reference, we reconsidered prototyped style of man's wears. We arranged the concept of business wear and town wear and examined the difference of suits and jackets. Finally we found that in these days this suit's boundary is destroyed and casual wear is accepted and selected widely. And we arranged design methods according to kinds of detail design announced in recent man's wear collection of Paris and Italy. Second for the purpose of substantial data analysis, we examined the preference degree of character casual and its detail decoration for young students. The SPSS/PC+ software program was used for the process of statistical data. On the basis of this result and fashion trend of '97/'98 S.S, we made 5 suits of clothes. We are faced with the time of internationalism and open-door policy, and confronted simultaneously with other country's all kinds of information. Because of this informational society, they are easily likely to taste new fashion trend before fashion industry circles and demand new and fresh design. Therefore we have to make an positive effort in developing new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