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재교육대상자 선발과정에서의 탈락경험과 수학영재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현선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23

        영재교육의 지속적인 양적 확대로 많은 영재교육기관이 생겨났고, 영재교육대상자로 선발되는 학생도 많아졌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탈락을 경험하는 학생 또한 많아졌다. 일반적으로 영재학생들은 보통 학생들보다 스트레스에 약하며, 완벽주의 성향이 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해 민감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윤여홍, 2000). 이러한 정서적 특성으로 인하여 영재학생들은 영재교육기관의 선발절차를 거치면서 극도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영재교육기관의 선발결과와 영재학생들의 수학적 태도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2010학년도 서울시 A 교육지원청 수학영재교육원 학생 58명을 대상으로 2011학년도 학생 선발 최종 발표를 마친 후, 대상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학적 태도 검사지는 1992년도 한국교육평가원에서 개발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학생 중 선발과정에서 탈락을 경험한 학생과 성공을 경험한 학생군 사이에는 지능의 차이가 없다. 둘째, 선발과정에서 탈락을 경함한 학생과 성공을 경험한 학생군 사이에 지도교사의 종합평정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셋째, 선발과정에서 탈락을 경험한 학생군이 성공을 경험한 학생군 보다 수학적 태도 검사의 하위항목인 수학자아개념과 수학학습 습관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수학적 태도의 하위항목 중 수학교과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수학교과태도의 하위항목인 수학교과흥미에서는 탈락을 경험한 학생군이 성공을 경험한 학생군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영재교육기관의 선발 절차에서 성공을 경험한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 간의 수학적 태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선발과정에서 성공을 경험한 학생과 탈락을 경험한 학생간에는 지능과 종합적 평정결과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재교육기관의 선발도구가 타당성과 신뢰도를 고루 갖추었다 할지라도 선발에 성공한 학생만을 영재학생이라고 할 수는 없다. 선발 시험에서 소외된 영재학생들은 이 경우 자신감을 상실하게 되고 마음의 상처를 받을 수 있다. 심리적․정서적인 특성은 지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므로 영재의 심리적 특성이 뒷받침될 때 그 잠재능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기 때문에(최은혜․이지연, 2010)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 중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서술 내용 분석 : 유럽세계의 성립 '게르만 족의 이동' 단원을 중심으로

        현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23

        A text book had been center in history education until now. Teachers had communicated to student the historic truth in a text book that was written by scholars, and students had received contents in a text book as universal 'Historic truth'. Recently it has begun to criticize many problems aspect of operation, time of history class composition, and weight of history education in the 7th Course of Education, so Scholars' studies have been progressed to improve these problems. But, first of all,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contents of the world history textbook is reflected studies of academic world faithfully before examined the institution problems and improvement. Nevertheless, textbook research has focused in textbook's composition and analysis of education system, so it has been negligent in contents system of textbook and description content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lay the analysis of description contents i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s world history textbook focus of the chapter of <Formation of European World> 'The Germanic migration' whether studies of academic world has been reflected well. Before analyzed a textbook, above all, it is analyzed differentia comparison in representative two general observation books. By the result, the difference of description contents in two General observation books is refle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xt book publishing companies. Secondly, this research introduces recent studies laying stress on fields that are not reflected properly in general observation books and textbooks. If examine these contents briefly, it has been changing to see a point of view 'Late Antiquity' from negative to affirmative. But, in a text book explanation about 'Late Antiquity' is insufficient and is stressed only negative viewpoint also. And despite the peoples which become modern European's ancestor is got born, explanation about birth of the these peoples is difficult to find in general observation books as well as the textbooks. German people and Rome people had effected each other, and preserved harmonious relation already before 'the Germanic migration' on half of the 4th century. There were violent invasions, but generally they moved peacefully. Being assimilated in the Rome world, Germans have changed the Rome world. Also, German world could be re-created to receive effect of Rome civilization and it has developed medieval society. Explanation about peaceful relation between Roman and German before migration has gone well comparatively, but it is the problem that is explaining to overemphasize destruction and violence in 'the Germanic migration'. Thirdly, I described alternative description about 'The Germanic migration' unit of a text book in the direction to supplement these problems and reflect well studies of academic world.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flect all these studies faithfully inside confined contents of a text book. Therefore, teachers need a book that data have arranged well to utilize in class. But, it is not easy to find this kind of book that data is included. I hope that this research can act role as this data book for teachers, and also it will serve as a momentum that the content in the world history textbook is analyzed in more various viewpoint forward. To do, it may be important to form smooth conversation between specialists of academic world and teachers in school forward. 이제까지 역사교육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교사들은 전문가인 학자들에 의해 씌어진 교과서를 기본 교재로 하여 학생들에게 역사적 사실을 전달하고, 학생들은 교과서에 실린 내용들을 보편타당한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여왔다. 최근 7차 교육과정에서 역사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의 측면에 있어서 문제점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세계사 교과서는 검정 교과서로, 학교교육에서 세계사 과목은 선택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세계사 과목의 특성상 그 내용의 방대함에도 불구하고 수업 단위 시수가 절대 부족하므로 현실적으로 교과서를 넘어선 교육을 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제도상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을 살펴보기 이전에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은, 과연 현행의 세계사 교과서가 그 서술 내용에 있어 학계의 연구 성과를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일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교과서 연구는 교과서 구성 및 교육제도 상의 분석에 치중하여, 교과 내용 체계 구성 및 서술 내용에는 소홀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유럽 세계의 성립> '게르만 족의 이동' 단원을 중심으로 이러한 관점에서 학계의 연구 성과가 잘 반영되어 있는지 그 서술 내용을 분석해보았다. 교과서 분석을 하기 전에 먼저, 대표적인 두 개론서를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두 개론서에서 보여 지는 서술 내용에 있어서의 차이점은 교과서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출판사별로 조금씩 다르게 서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개론서들과 교과서들에서 연구 성과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학계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고대 말 시대를 고대와 중세 시대의 단절로 보는 부정적인 관점에서 역사적 연속성을 강조하여 새로운 움직임이 시작된 시대로 평가하는 긍정적인 관점이 점점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고대 말에 대한 설명도 부족하고 또 부정적인 관점만 부각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시기에 근대 유럽인의 조상이 되는 민족들이 탄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민족의 탄생에 대한 설명은 교과서뿐만 아니라 개론서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4세기 후반 '게르만 족의 이동' 이전부터 이미 게르만 인과 로마 인들은 서로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해왔다. 폭력적인 침입들도 있었지만 대개는 평화적으로 이동이 이루어져 로마 세계에 동화되어 가면서 로마 세계를 변모시켰고, 또한 로마 문명의 영향을 받아 재창조된 게르만 세계 역시 중세 세계를 발전시켜 나갔다고 할 수 있다. 이동전의 게르만 인과 로마 인의 평화로운 관계에 대한 설명은 비교적 잘 되어 있으나 게르만 족의 이동에 있어서 파괴와 폭력만을 지나치게 부각시켜 설명하고 있는 문제점을 보여준다. 세 번째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계의 연구 성과를 잘 반영하는 방향으로 교과서의 '게르만 족의 이동' 소단원에 대한 대안 서술을 해보았다. 그러나 교과서의 한정된 내용 안에 이러한 연구 성과를 모두 충실하게 잘 반영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교사들이 수업에 활용하고 참고할 수 있는 학계의 연구 성과들이 잘 정리된 자료집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자료집을 찾기는 쉽지 않다. 이 연구가 교사들에게 이러한 자료집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현 세계사 교과서의 내용에 있어서 새로운 대안서술 중 하나를 제안함으로써 앞으로 더욱 다양한 관점에서 교과서 내용 분석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그러기 위해서는 앞으로 학계의 전문가들과 학습 현장에 있는 교사들 간에 원활한 소통을 형성하여 학계와 학습 현장이 밀접한 관계를 이루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전통 彩色畵의 顔料 및 材料 연구

        현선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1823

        To prosper Korean painting holding a stable position today, we have to create and develop a contemporary sense of aesthetic that may match with tradition with new vision and idea. For this, it is suggestive both the tradition of Korean art and the influence of foreign art should be harmonious keeping balance. It is required, therefore, to understand the current through which Korean traditional colored picture has been developed in the Korean history of art and have a more correct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and knowledge on pigment and objet, most basic in painting. Korean art has developed forming a unique sense of aesthetic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peoples and securing its own features of picture. Judging from the historic materials from Goguryo frescos in tombs to Buddhistic paintings in Goryo Dynesty to portraits, ornament paintings and folk drawings, the scope of colored picture in Korean art must have been wide. Although the division between India ink painting and colored painting was derived from the division merely in expressive method and objet, modern colored picture is taken more lighter than India ink painting, since there has been poorer understanding, utilizing or studying on the objet. To give a good education on Korean art, we need to a program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n pigment and objet, and Korean traditional colored paintings. Fundamental elements in all of art, the pigment and objet may be concerned to the artist to choose, and be a direct and exterior motif which can define the typical formation of art in an era. It might be said that the study on objet of colored painting could be an important way to solve problems afterwards. Present study, first of all, tried to understand the epochal trends on Korean colored painting. and then, its concept, pigment and objet. Based on the study, it would be helpful to establish a modern sense of aesthetic and make use of the new recognition as an educational aids to create freer works and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colored paintings. 현대에 한국화가 확고한 자리를 정립하고 발전해 나가려면, 새로운 시각과 사고로 전통과 융합할 수 있는 시대적 미의식을 창출하고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 미술의 전통과 외래미술의 영향력이 균형을 유지하면서 조화를 이루어야만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전통과 창작의 문제를 우리나라 미술의 역사를 통해 한국전통채색화가 발전되어온 흐름을 이해하고, 회화를 구성하는 가장 근본적인 안료와 재료에 대한 중요성과 지식에서 좀 더 정확한 인식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I 개념설명 비교분석

        현선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23

        우리나라 교육방식은 강의식 수업이 지배적이다. 강의식 수업의 주된 목적은 학생들을 이해시키는 것이며(허경조, 2010) 다량의 지식을 습득해야 하는 고등학교에선 필수적이다. 현대 4차 산업혁명으로 지식의 습득보다 더 강조되고 있는 것은 지식의 습득이 아닌 문제해결이나 인성 등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영역을 더 강조하고 있으며(지현아, 2017) 우리나라도 이에 맞추어 각 과목에 핵심역량을 함향하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교육부, 2015b). 강의식 수업은 교사 주도의 수업 방식으로 학생들의 주체적인 참여가 어려워서 다양한 방식의 수업방법들이 고안되었지만(곽순영, 2012), 지식의 경제적인 전달을 위하여 강의식 수업을 배제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전보다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핵심 개념 위주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부는 암기 위주의 수업 방식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으로 핵심 개념을 이해하도록 권고하고 있다(교육부 2015a). 이것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검·인정 교과서 4종을 대상으로 각 교과서 핵심 개념들의 설명 방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각 교과서의 핵심 개념을 비유와 예시의 형태로 어떻게 표현했는지 알아보고, 2015 개정 과학과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기술하고 있는지 유의미한 구조와 탐구자료의 차원에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The teaching method in Korea is dominated by lecture-style classes. The main purpose of lecture-style instruction is to get students to understand(Kyung-Jo Huh, 2010) and It is essential in high school where a large amount of knowledge is required to be acquired. What is being emphasized more tha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n the modern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not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but rather the areas that machines cannot replace, such as problem solving and personality(Ji Hyun-Ah, 2017). In line with this, Korea also organized the curriculum to instill core competencies in each subject(Ministry of Education, 2015b). The lecture-style class is a teacher-led class method,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so various teaching methods have been devised(Kwak Soon-Young, 2012) but For economical transfer of knowledge, lecture-style classes cannot be excluded. If so,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core concepts should be taught than before. In addi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recommends that students understand key concepts in a learner-centered class instead of a memorization-oriented class(Ministry of Education, 2015b). As a basic study for this purpose,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explanation method of each textbook's core concepts targeting 4 types of an authorized textbook. I will examine how the core concepts of each textbook are expressed in the form of analogies and examples, and analyze whether they are described in terms of meaningful structure and inquiry data to cultivat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ourse.

      • 日本語 文末表現에 關한 硏究 : 「もの(だ)」·「こと(だ)」·「の(だ)」를 중심으로

        현선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1823

        日本語において形式名詞が文末に位置される場合、助動詞「だ」と結び付いて話し手の主觀的な態度を表現するモダリティ的意味を表す。從って、文末に位置する形式名詞の使い分けはその言葉の單純な意味把握だけだは無意味であり、文中においてどのような意味を持ち、どのうような役割を果たすのかが重要な根據になる。本稿ではそれら形式名詞の中で使用頻度數が多いにも狗わらず。韓國語においては「것(이다)/geos(ida)」のみに飜譯されており、その區分が困難な「もの(だ)」、「こと(だ)」、「の(だ)」についての考察を試みた。特に、日本語と韓國語で飜譯されている作品の用例の對照分析を通じて明確な相違点を理解し、正しい使用に一助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る。 考察においては「もの(だ)」、「こと(だ)」、「の(だ)」が助動詞化されていない場合の機能的意味と助動詞化されている場合のモダリティ的意味とに分けて試みた。その結果、以下のような結果が得られた。 「もの(だ)」、「こと(だ)」、「の(だ)」の機能的意味は代用機能と名詞化機能で代表されている。韓國語では主に代用機能の場合には、「것(이다)/geos(ida)」で飜譯されている反面、名詞化機能のにおいては省略」されても情報量には變化がないことから省略されることが多い。 「もの(だ)」、「こと(だ)」、「の(だ)」は文末助動詞化されてモダリティ的意味を表わす。 「もの(だ)」、「こと(だ)」、「の(だ)」がモダリティ的意味を表わしている場合には文脈によって樣樣なニュアンスで表われるため、これらを單純にひと言の韓國語で對應させることはできない。 「もの(だ)」、「こと(だ)」、「の(だ)」は類似點もあるが、明らかなモダリティ的意味の差を指っている。各各のモダリティ的意味の區分を容易にするために、「もの(だ)」、「こと(だ)」、「の(だ)」の形式名詞としての意味の類似性に□られず、そのモダリティ的意味にそぐう使用ガできるよう、繼續して體系的な文法化を目指す硏究を行なうことを今後の課題にした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