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 친화적 물류활동의 실태에 관한 연구

        허효선 상지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후변화 협약인 교토 의정서가 체결되어 이산화탄소 등 배출가스의 국가별 배출물 총량제가 실시되는 등 환경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물류분야는 자원절약, 재활용, 친환경 대체재, 폐기 및 배출물의 제로화 등으로 수송․배송, 보관을 포함하는 물류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은 거시적 측면에 물류공동화, 연료품질의 기준강화, 저공해성 물류설비 및 수송수단, 에너지 효율의 극대화를 위한 수송수단 개발 등 환경친화적 접근방식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업은 지속 가능한 사회를 이루기 위하여 환경친화적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과 포장 폐기물과 관련된 환경 친화적 물류활동의 실태를 조사하여 개선방향을 연구하고자 198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76개 항목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해 기업들이 추진해야할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의 최적 추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반품물류 활성화를 위한 노력, 자원절약과 재활용을 위한 리버스 물류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기업의 적극적인 노력과 동시에 정부차원의 모달 시프트 추진환경이 요구된다. 셋째, 타사와의 공동 수․배송, 계획의 적극적인 변경을 통하여 물동량에 적합한 차종의 선택, 수송거리를 최적화하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폐기물 감축을 위해서는 포장의 슬림화, 경량화 및 환경부하 감소 소재의 개발 대한 노력이 필요하고 폐기물의 효율적 이동을 위한 용구개발과 정보시스템 구축이 요구되며 재활용 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재활용물품 운송단위의 표준화, 파레트 ·컨테이너 등 일관운송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우리나라 폐기물정책에서 볼 수 있듯이 재활용 량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포장재 재활용·가전 재활용·사용완료 자동차 재자원화·사용완료 사무자동화기기의 재활용물류 시스템구축을 통하여 해결책을 찾아야한다. 즉, 환경 친화적인 물류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재활용물류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As Kyoto Protocol, a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as signed, the environmental tasks such as international regulations of total amounts of emission gases including carbon dioxide has been appearing as major issues. Logistics responding to environmental problems are affecting logistics function including transportation, delivery, storage by resources conservation, recycling, environmental friendly substitute, disposal and elimination of emissions. The environmental friendly logistics activities should be built by environmental friendly approaching method such as logistics hollowing, reinforcement of fuel quality standard, development of low-pollution logistics facility, transportation modes and transit modes for maximized energy efficiency, etc.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make structure for producing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s and services to accomplish sustainable socie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friendly logistics activity status related to carbon dioxide emission and packaging wastes. Also to find out improvement directions, it surveyed 76 items to 198 target companies. As the result, the optimal promotion plan of environmental friendly logistics activities for companies' carbon dioxide emission reduction are as follows: First, efforts for activation of return logistics and reverse logistics system for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is necessary. Second, companies' active efforts and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s modal shift promotion background are required. Third, by co-transportation․delivery with other companies and active change of plans, companies should step up efforts to select car models suitable for traffic volume and to optimize transportation distance. To reduce wastes, efforts for slimming and reducing packaging and for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load materials reduction are essential, and tool development and information system for effective movement of wastes are required, and recycling volume is expected to increase, so to manage these effectively, the standardization of recycling goods transit unit and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freight tools such as pallet and containers are assumed necessary. As seen in the wastes policy of Korea, with gradual increase of recycling volume, we should find solutions by system establishment of package recycling·home appliance recycling·used car recycling·used office automation equipment. That is, for environmental friendly logistics system establishments, it is assumed that the recycling logistics system should be built.

      • 업무용 커튼월 건축물의 일사유입 조절방법에 따른 냉방부하의 변화

        허효선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tain wall buildings, in terms of material property, build up an amount of solar energy through the window glazing whereas the indoor condition of the building is usually controlled by mechanical systems. Curtain wall office buildings generally have high cooling loads due to solar radiation entering into a space and internal heat gains from lights, appliances and occupants but domestic energy policy has been focused on enhancing insulation standard. This regulation is only secure the energy saving in heating dominated buil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ware of these limitations and raise the necessity of reducing the cooling load by incident radiation control. This study verified the cogency of problem recognizition and figured out the factors of cooling load calculation by investgating properties of curtain wall buildings, window glazing as well as energy consumptions of office buildings. It also calculated reduction of cooling load according to the method of incident radiation control by simulating an actual building as designed. As a simulation method, Energyplus, a dynamic energy performance analysis engine, was used in this study. The operating period was set from May to September to anaylse the cooling load in summer.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was analysed from two prospects; to analyse comprehensive cooling loads according to the method of incident radiation control and to analyse detailed factors of energy performance of glazing system which directly affects cooling loads. The results ard summerized as follows; 1. Cooling loads variation for VLT(Vislble Light Transmittance) decreased by lower VLT. Therefore, the cooling efficiency could be improved by reducing VLT of the commercial curtain wall building. 2. Cooling loads variation for LSG(Light to Solar Gain) decreased by higher LSG. Each case has slightly different VLT, but thes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ighting loads. The amount of solar heat gain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lower in SHGC. 3. The reduction of cooling loads due to lower SHGC has the greatest effect among the method of incident radiation control which defined in this study because it adjusted both VLT and solar transmittance which are included in short-wave radiation. In other words, the reduction of cooling loads depends on the way of control the incident radiation. Cooling loads caused by solar energy could be effectively reduced by adjusting VLT and solar transmittance of window glazing to control the incident radi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energy efficiency without considering the comfort of the occupant. Therefore, in further research, evaluation of daylight performance according to VLT of glazing is carefully examined to optimize the energy efficiency while securing occupant's visual environments. 커튼월 건축은 재실환경의 조절이 대부분 기계식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에 대한 효과적인 기준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현재 국내에 시행되고 있는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 제도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지역별 열관류율 기준을 마련하고 있고 해를 거듭하여 그 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사 유입량과 내부 발열량이 높은 업무용 커튼월 건축물의 외피성능을 열관류율로만 규제하고 있는 국내 에너지 정책에 대한 한계점을 인식하고 좀 더 실효성 있는 기준 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열관류율 기준의 강화로 인한 부작용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새로운 에너지 절감요소로써 가시광선 투과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 커튼월 구조를 가지는 업무용 건축물의 여름철 냉방부하 저감 방안을 제안하기에 앞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여 커튼월 건축물과 유리, 그리고 업무용 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냉방부하 산정 시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파악하고 문제인식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제 설계된 업무용 커튼월 건축물을 선정하고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여 유리성능에 따른 여름철 냉방부하 절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은 동적 에너지 해석 엔진인 Energyplus를 활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운전기간은 여름철 냉방부하를 분석하기 위해 5월~9월로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변수에 따른 건물 전체의 냉방부하와 냉방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일사취득, 내부발열)을 세분하여 선정된 변수가 냉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외피 설계 시 유리성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냉방부하량은 가시광선 투과율이 낮을수록 저감되며, 가시광선 투과율 37%에서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57%에서 37%로 줄어들 때 냉방부하량이 201,945kWh 감소하는 반면 일사취득량은 328,172kWh 감소하여 가시광선 투과율의 변화는 태양열 취득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냉방부하량은 열관류율이 낮을수록 다소 증가 하였다. 열관류율이 낮아짐에 따라 냉방부하가 증가하는 이유는 창호관류로 인한 열손실이 줄어 현열부하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열관류율 감소에 따른 일사취득량은 전체 냉방 부하량 대비 35%~40% 분포로 다소 높았으며, 변수에 따라 결과 값의 차이도 크지 않아 열관류율 감소에 의한 냉방부하 저감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업무용 커튼월 건축물에서 유리를 선정할 때에는 열관류율 보다는 가시광선 투과율을 고려하는 것이 여름철 냉방부하 저감 측면에서는 효과적이라는 것이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도출되었다.

      • 정보화시대 새로운 통일외교 방안 : 동북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을 위한 인식공동체의 역할

        허효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ole of epistemic community in conducting a new diplomacy for the Korean unification as well as the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in the information age. This study is based on three premises for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new diplomacy under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and Northeast Asian situations: 1) The new international environments strongly suggest that we need a new approach to promoting the Korean unification; 2)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twork of transnational experts across national borders for 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Korean unification and promoting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in the highly globalized world; 3)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uld not be achieved without consolidating the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In a way to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a new diplomacy for the Korean unification, this study made a critical review on the ROK government's unification diplomacy from historical perspective. The government's current unification diplomacy which has been focused on only the state-to-state relationship doesn't reflect some significant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Since the rapid developments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have been changing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s, the actors, contents, counterparts of diplomacy have been changed and diversified, even though states or governments still play the predominant role, functioning as the most important official channels for the Korean unification.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epistemic community as a new actor of unification diplomacy. An epistemic community is a transnational network of top experts who are working in the academia, mass media, NGOs, as well 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ith extensive knowledge and strong influence on the policy-making process in their related fields. It must be emphasized that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would share the vision of the Korean unification as well as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find out new agenda, make some joint efforts to seek some solutions, and finally draw national and international society's attentions for domestic and regional cooperation. The epistemic community's ultimate goal is to institutionalize the mechanism of the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As a new actor of unification diplomacy in the information age,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is effectively going to play a role at the international, domestic, and inter-Korean levels. At the international level,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would serve as a channel for the ROK government's unification diplomacy and promoting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by making neighboring states understand the unification benefits and contributing to build the regional identity of Northeast Asian states. At the domestic level, the epistemic community would form and lead public opinions in favor of consolidating the South Korean people's strong will toward Korean unification as well as offer some policy advices for the government decision-makers. Furthermore, the members of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at the inter-Korean level will share the vision of peaceful unification, and establish a high level of trust between the actors who are involved in and implement the process of gradual unification in the future. In a way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this study analyzed the role of epistemic community in the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The successful case of German unification strongly implies that the epistemic community in Europe greatly contributed to the German unification, although the inter-German epistemic community was yet to develop in the process of the German unification, which brought out some negative consequences in the post-Unification Germ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the Korean unification in the context of promoting peace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in which epistemic community would certainly play an important role. When we analyzed and evalu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most of the cases are just platforms for the simple dialogue across countries in this region without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ational and regional policy making. Nevertheless, we can find some facilitating factors to develop the epistemic community in the future. For example, Track 2 or Track 1.5 diplomacy conducted by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experts are recently becoming more and more activated. Compared to the past, the number of collaborative research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has been increasing, and the field of cooperation has been diversified as well. Meanwhile, there are some obstacles, such as Epistemic Community’s weak political influence at the domestic level, lack of continuity and effectiveness of organizing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joint projects across countries in the region, as well as exerting political influence at the regional level. In addition, it is yet to build up a network of experts in North Korea who share the vision of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peace and cooperation in this region with the mind of openness and reforms.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시대에 새로운 외교방안으로서 동북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을 위한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y)의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주로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는 기존의 통일외교방안으로는 정보화 및 세계화 시대에 통일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구성주의적 시각을 바탕으로 새로운 통일외교로서 본 연구가 제시하는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y) 방안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전제에서 출발한다: 1) 정보화시대에는 새로운 통일외교 방안이 필요하다; 2) 정보화시대 외교는 국경을 초월한 전문가 네트워크가 필수적이다; 3)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의 신질서 구축을 동시에 추구할 때 한반도 통일이 용이하다. 이러한 전제에 따라 본 연구는 첫 번째,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기존 통일외교를 비판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y)의 역할을 소개하였다. 우리나라 통일외교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국제체제의 역사적 변화의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기존의 통일외교가 여전히 국가에만 매달려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세계화와 정보화를 비롯한 국제체제의 변화로 인해 외교의 행위자, 대상, 내용이 다원화·다양화․다변화·다층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현행 통일외교가 새로운 외교환경의 흐름에 지체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세계화와 정보화시대에 걸맞게 국가 중심의 통일외교를 다원화, 다양화, 다변화, 다층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동북아를 중심으로 인식공동체를 형성․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과 관심은 정보화 시대의 통일외교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지만, 한반도 통일은 필수적으로 동북아 신질서의 태동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전체의 평화와 번영을 함께 고려하지 않으면 주변국들의 지지와 협조를 없어낼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통일외교의 범주를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 평화번영으로 확대하고, 이러한 외교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인식공동체를 가리켜 ‘동북아 인식공동체’라고 명명하였다. 동북아 인식공동체는 한반도 통일을 포함한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비전을 공유한 가운데 각 분야에서 전문성과 능력을 인정받아 국내외적 정책결정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전문가 집단의 네트워크를 일컫는다. 동북아 인식공동체는 국경을 초월하여 한반도 통일을 비롯한 동북아의 평화 번영과 관련된 이슈를 개발한 후 각 나라와 국제사회의 주요 정책 어젠다로 채택하도록 하며 이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정보화시대에는 국경을 초월한 정보 및 지식의 교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술적․물리적 여건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인식공동체를 활용할 때, 현행 통일외교가 지닌 정부 대 정부 위주의 외교행태를 다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 앞으로 ‘동북아 인식공동체’가 국제적 차원, 국내적 차원, 남북 차원에서 각각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동북아 인식공동체는 주변 4국에게 통일편익을 이해시키고 동북아 정체성 정립의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동북아 협력에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국내적 차원에서는 정책결정자들에게 정책조언을 제공하고 통일에 순기능적인 여론을 형성 및 주도하며 국민들의 통일의지와 역량을 고취시킴으로써 통일외교를 뒷받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남북 간 민족 평화통일의 비전을 공유하면서 남북통일의 당사자들 간 신뢰를 구축하여 점진적인 통일 프로세스를 이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동북아 인식공동체는 경제적 상호의존과 정치·군사적 갈등이 병렬적으로 나타나는 동북아 역내 국가들 간의 행위에서 협력 가능한 공동의 이익을 도출해냄으로써 평화구축 및 제도화 과정에서 촉매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세 번째, 동북아 인식공동체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유럽통합 과정과 독일통일 과정에서 인식공동체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분석한 결과, 동북아 인식공동체가 동북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을 동시에 추구할 때 두 가지 과제가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최근 동북아 인식공동체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경우가 지속성과 실효성이 부족한 단순한 전문가들 간 대화의 장(場)에 더 가까웠다. 그럼에도 정부 간 합의의 결과로 트랙2 또는 트랙1.5 차원의 회의가 활성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에 비해 동북아 전문가들 간 공동연구 및 국제회의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협력분야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동북아 인식공동체의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였다. 한편, 국내 인식공동체의 정책영향력의 미흡, 동북아 전문가 네트워크의 편중 및 집중 현상, 남북 인식공동체 형성의 제약 등은 장애요인으로서 이를 극복하여 동북아 인식공동체로 발전 및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지연행동의 단계별 심리적 특성 탐구 : 지연행동 5단계 척도의 개발 및 단계별 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허효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Procrastination, which is defined as unnecessarily putting off the tasks that need to be done, has received tremendous attention from researchers over the past 30 years. Various measures of procrastination were developed accordingly but unfortunately, only a few have been sufficiently validated. Even though procrastination is defined as ‘a lack of self-regula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one’s goals’, the majority of the measures of procrastination did not consider the dilatory behavior during the process of goal-directed behavior. Therefore, based on the Model of Action Phases (Gollwitzer, 1990),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model of five action phases of procrastination, and attempted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dilatory behavior in planning, initiating, sustainment, completion, and evaluation phase. Also,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sychological correlates of each procrastination phase, and developed an effective group-based intervention that targets each procrastination phase. The purpose of Study 1 was to develop a comprehensive measure of five procrastination phases. In Study 1-1, preliminary version of the Procrastination Phase Questionnaire (PPQ) was constructed and content validity was reviewed by clinical psychologists. Three hundred and seventy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PPQ,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conducted to determine underlying factors of each procrastination phase. As a result, planning phase was composed of two factors (planning difficulty, planning avoidance) and initiation phase was consisted of a single factor. Also, EFA produced 2 factors for the sustainment phase (discontinuation, sustainment difficulty) and completion phase (completion difficulty, difficulty meeting deadlines), and three factors for the evaluation phase (regret and concern, dissatisfaction with the results, hopelessness). In Study 1-2, PPQ was validated through data collected from 448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PPQ demonstrated adequate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and 3-week test-retest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mong PPQ,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Academic Initiation-Completion Procrastination Scale, Brief Self-Control Scale, and Goal Focused Self-Regulation Scale. Factor structure of each procrastination phase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purpose of Study 2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rocrastination phase and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Four hundred and eighty four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asked to complete the measures of impulsivity, perfectionism, tolerance for failure, general self-efficacy, goal-achievement orientation, depression, anxiety, guilt, and shame. The distinct feature of each procrastination phase was explored through correlation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s a result, impulsivity was especially related to procrastination in planning phase, whereas perfectionism was more strongly related to completion procrastination and the negative evaluation of outcome. It is implied that procrastination is greatly affected by personality factors, which makes it fairly stable over time. Low level of tolerance for failure and general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lanning and sustainment procrastination, whereas high level of guilt and shame were more strongly related to negative evaluation. High level of mastery-avoidance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low level of mastery-approach goal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lanning procrastination.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itiation procrastination and personality factors produced a very different result from other procrastination phases. Initiation procrastin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maladaptive aspect of perfectionism, guilt, and shame; also, it was positively related to general self-efficacy. It is suggested that procrastinators who show dilatory behavior only in initiating phase hold more adaptiv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ose who procrastinate in other action phases as well. The results of Study 2 indicate that the patterns of procrastin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each individual, and also imply that procrastinators are more complex and heterogeneous group than previously thought. In Study 3, a group-based intervention that targets each procrastination phase was developed and its therapeutic efficacy was investigated.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1 and 2, an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Sheeran and Webb (2016), which suggests main tasks and problems to be addressed in each action phase. Twenty two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ither intervention group or waitlist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was asked to participate in a 5-week online-based program (2 hour 30 minute-session per week), and both intervention group and control group completed the surveys before the intervention,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an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As a result,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ecrease in all procrastination phases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therapeutic effect laste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he im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PPQ, which comprehensively assesses five procrastination phases, was developed and the psychological correlates of each procrastination phase was explored. Also,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n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that targets each procrastination phas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지연행동은 해야 할 일을 불필요하게 미루는 행위로서, 목표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조절의 문제라고 정의되지만, 이러한 정의를 충실히 반영하는 타당한 측정도구가 지금까지 부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목표 관련 자기조절 이론인 Gollwitzer(1990)의 행동 단계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지연행동이 나타나는 과정을 5단계(계획 단계, 착수 단계, 지속 단계, 완수 단계, 그리고 결과 평가 단계)로 구분하였고, 각 단계에서의 지연행동 양상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지연행동 단계별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각 지연행동 단계에 개입하는 지연행동 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1의 목적은 지연행동 단계 척도(Procrastination Phase Questionnaire: PPQ)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연구 1-1에서는 기존 지연행동 측정도구의 문항들을 보완하여 적절한 지연행동 단계로 분류하였고, 행동 단계 모델을 잘 반영하는 새로운 문항을 제작하였으며, 전문가 평정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인함으로써 PPQ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37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각 지연행동 단계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계획 지연은 계획 곤란 및 계획 회피 요인, 착수 지연은 단일 요인, 지속 지연은 지속 중단 및 지속 곤란 요인, 완수 지연은 완결 곤란과 기한 준수 곤란 요인, 끝으로 결과 평가는 후회 및 문제의식, 결과에 대한 불만족 그리고 무기력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1-2에서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448명을 대상으로 PP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PPQ의 내적 합치도, 3주 간격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적절함을 확인하였으며, Aitken 지연행동 척도, 학업적 착수-완수지연 척도, 한국판 단축형 자기통제 척도, 목표중심 자기조절 척도와의 상관분석 및 부분상관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와 공존타당도도 양호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각 지연행동 단계의 심리적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484명을 대상으로 각 지연행동 단계와 다양한 성격적(충동성, 완벽주의), 인지적(실패에 대한 내성, 일반적 자기효능감), 동기적(성취목표지향성), 정서적 변인(우울, 불안, 죄책감, 수치심) 간의 관계를 상관분석 및 부분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충동성은 대부분의 지연행동 단계와 관련이 있었지만 특히 계획 지연과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완수 지연과 결과 평가는 완벽주의의 역기능적인 요인인 행동에 대한 의심과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와 같이 지연행동은 성격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꽤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낮은 수준의 실패에 대한 내성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계획 지연 및 지속 지연과, 우울 및 불안은 계획 지연 및 완수 지연과, 그리고 죄책감과 수치심은 결과 평가와 더 깊이 연관되어 있었다. 높은 수준의 숙달회피 및 수행회피지향성 그리고 낮은 수준의 숙달접근지향성은 계획 지연과 관련되어 있었다. 한편 착수 지연과 다양한 심리적 변인 간의 부분상관분석 결과, 충동성과 완벽주의의 부적응적인 특징, 죄책감, 수치심 등과는 부적 상관, 일반적 자기효능감과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착수 지연만 보이는 사람들은 적응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도 시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지연행동 양상이 달리 나타날 수 있으며, 지연행동가들이 생각보다 매우 복잡하고 이질적인 집단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 3에서는 각 지연행동 단계에 골고루 개입하는 지연행동 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과 2의 결과, 그리고 각 행동 단계에서 다뤄야 할 주요 과제와 문제에 대해 정리한 Sheeran과 Webb(2016)의 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처치 집단은 13명이었으며, 프로그램 전(사전), 프로그램 종료 직후(사후), 그리고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추후) 설문조사에만 응한 무처치 대기 통제 집단은 9명이었다. 5주 간(매주 1회, 2시간 30분) 온라인으로 지연행동 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지연행동 수준을 비교한 결과, 처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모든 행동 단계에서 지연행동 수준이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의 효과가 프로그램 종료 4주 후까지 지속되었다. 본 연구는 지연행동의 다섯 단계를 포괄적으로 측정하는 도구인 PPQ를 개발했다는 점, 지연행동 단계별 심리적 특징을 탐색했다는 점, 그리고 각 지연행동 단계에 효과적으로 개입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에서 고려할 점을 제언하였다.

      • 완벽주의와 충동성이 학업적 착수지연 및 완수지연에 미치는 영향

        허효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 지연행동의 새로운 분류를 제안하고, 완벽주의와 충동성이 두 지연행동 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기존의 지연행동의 측정도구가 지연행동의 정의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판단 하에, 과제의 시작을 미루는 착수지연과 일의 마무리를 미루는 완수지연을 측정하는 새로운 도구를 만들어 선행연구 결과가 비일관적이었던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학업적 착수지연과 완수지연을 측정하는 도구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또한 심리학 관련 강의를 수강하는 학부생 15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예비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척도가 학업적 착수지연과 완수지연의 두 요인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18문항을 선정하여 학업적 착수-완수지연 척도(AICPS)를 구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학업적 착수-완수지연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심리학 관련 수업을 수강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결측치를 포함한 응답을 제외한 29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학업적 착수-완수지연 척도는 높은 내적 합치도와 적절한 수준의 2주 간격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여, 착수지연과 완수지연을 측정하는 신뢰로운 도구임이 밝혀졌다. 이에 더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Aitken의 지연행동 척도(API), 우울(CES-D) 및 자존감(RSES)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학업적 착수-완수지연 척도는 2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관분석 결과, 학업적 착수-완수지연 척도의 총점과 하위요인들은 API, 우울과는 정적 상관, 그리고 자존감과는 부적 상관을 보여, 학업적 착수-완수지연 척도가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연구 3에서는 완벽주의와 충동성이 학업적 착수지연 및 완수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부분상관분석 결과, 학업적 착수지연의 경우, 한국판 Barratt 충동성 검사(BIS-11)의 총점, 인지충동성, 운동충동성, 그리고 무계획충동성과는 정적 상관을,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F)의 개인적 기준, 조직화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학업적 완수지연의 경우, BIS-11의 운동충동성, MPS-F의 총점, 실수에 대한 염려, 부모의 비난, 행동에 대한 의심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충동성은 학업적 착수지연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으나, 완벽주의의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학업적 완수지연의 경우, 완벽주의가 충동성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지연행동의 새로운 분류를 제안하고, 각 지연행동 유형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충동성과 완벽주의가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명확히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uggest a new classification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wo types of procrastination, impulsiveness, and perfectionism. By develop -ing a measurement that assesses initiation-procrastination and completion-procrastination, the researcher attempted to find the reason behind inconsistency of results produced by earlier studies. Initiation-procrastination was defined as "putting off the initiation of the task", whereas completion-procrastination was defined as "postponing the completion of the task". In study 1, preliminary version of Academic Initiation-Completion Procrastination Scale(AICPS) was constr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151 undergraduate student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eliminary version of AICPS was composed of two factors, reflecting initiation-procrastination and completion procrastination. 18 item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version of AICPS. In study 2, data collected from 296 undergraduate students were used to analyz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ICPS. AICPS demonstrated adequate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wo factor structure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earcher also carried out correlation tests among AICPS, Aitken's Procrastination Scale(API), Korean version of CES-D, and Rosenberg Self Esteem Scale(RSES) to examine convergent validity. As a result, AICP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PI and CES-D,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RSES. The effects of impulsiveness and perfectionism on academic initiation-procrastination and completion-procrastination were investigated in study 3. Academic initiation-procrastination showed positive partial correlation with 'cognitive impulsiveness', 'motor impulsiveness', 'non-planning impulsiveness' and the total score of Korean version of Barratt Impulsiveness Scale(BIS-11). Also, academic initiation -procrastination showed negative partial correlation with 'personal standards' and 'organization subscale'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MPS-F). On the other hand, academic completion procrastination showed positive partial correlation with 'motor impulsiveness' of BIS-11, in addition to 'concern over mistakes', 'parental criticisms' subscale and the total score of MPS-F.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mpulsiveness explained academic initiation-procrastination whereas perfectionism did not.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perfectionism on academic completion-procrastina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impulsivenes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a new categorization of procrastination, developed a valid measurement of initiation- and completion-procrastination, and clarifi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two type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impulsiveness, and perfectionism.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