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경험 및 요구

        조민지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유아 양성평등교육을 어떠한 방법으로 실행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유아 양성평등교육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효과적인 유아 양성평등교육을 위해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들이 양성평등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양성평등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2. 유아 양성평등교육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3. 효과적인 유아 양성평등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의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2018년 6월 2일부터 9월 5일까지 총 10명의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경험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사 1인당 2~3회의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총 24회의 심층 면담이 이루어졌다. 면담 내용은 연구 참여자들의 동의를 구한 후에 녹음하고 전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위해 면담 자료 전사본과 현장노트에 기록된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으며 주제별, 핵심내용을 분류하고 범주화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양성평등교육의 실제의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의 계획에 따라 유아 양성평등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은 정해진 교육과정 속의 틈을 활용하여 교육과정과 연계한 양성평등교육을 계획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평등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유아들이 쉽게 접하는 동요나 동화 속에서 성 역할 고정관념이 드러나는 소재를 찾아서 유아들과 함께 수정해보는 활동으로 나타났으며, 양성평등교육 내용이 담긴 교수자료를 사용하여 양성평등교육을 실행하기도 하였다. 일상생활 속에서 양성평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들은 유아들이 교사의 사소한 언행과 행동까지도 모두 따라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교사 자신을 유아들의 ‘거울’이라고 비유하였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교사의 성 역할 고정관념이 드러나지 않은 언행 및 모습을 따라할 수 있도록 ‘시범 보이기’를 통해 양성평등교육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유아들에게 나타나는 성 역할 고정관념 상황에 개입하여 성 역할 고정관념이 드러난 언행 및 행동을 멈추게 하거나 사전에 의도적으로 놀이방향을 정해주는 등의 방법을 실행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이는 궁극적으로 유아들의 선택의 자유를 빼앗는 결과를 초래하는 상황을 염려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유아들이 잘못 인지하고 있는 양성평등 개념에 대해 바로 잡아주며, 무조건 ‘같음’보다는 유아 개인의 특성을 ‘인정’해주는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 양성평등교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교사들의 어려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들은 유아 양성평등교육을 모든 교사들이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교사만 실시하고 있음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평등교육을 위한 교수 자료 및 교구가 부족하거나 이미 양성평등교육 목적으로 개발된 자료들도 오래된 자료이기 때문에 양성평등교육을 실시하기에 내용 면에서 부족함을 느끼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교사들은 자신들이 지니고 있는 성 고정관념으로 인해 유아 양성평등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유아 양성평등교육을 위해 교사가 유아의 행동과 사고에 개입할 때 교사의 교육방법에 대해 부정하거나 유아의 성 역할 고정관념이 드러나는 태도가 잘못됨을 느끼지 못하는 주 양육자의 보수적인 성 역할 인식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낀다고 말하였다. 이 외에도 교사들은 유아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중매체나 암묵적으로 정해진 사회적 약속 등과 같은 사회 환경 속에 내재 된 성 고정관념 및 성 차별적인 요소들로 인해 유아 양성평등교육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과적인 유아 양성평등교육을 위한 유아교사들의 요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 양성평등교육을 책임지는 교사의 자기반성과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느낀 교사들은 잘못된 양성평등의식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자기반성을 하고 유아들이 없는 곳에서도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노력을 해야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양성평등교육에 관한 지식과 정보를 수집하거나 끊임없이 연구하는 태도를 가지며 지속적인 자기계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양성평등교육 개념을 확립하기 위한 교사교육 및 부모교육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자신들의 성 역할 고정관념으로 인해 양성평등교육을 실시할 때 한계를 느끼거나 교육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며 이에 따라 교사교육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교사교육이 유아 양성평등교육의 지름길이라고 표현하며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은 유아 양성평등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은 주 양육자들에게도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며, 부모교육은 유아 양성평등교육의 지름길이라고 표현하며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부모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유아 양성평등교육 관련 프로그램이 개발 및 보급되기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양성평등교육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흥미롭고 실용적인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원외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활성화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유아교육기관 내에서만 유아 양성평등교육을 실시하는 것보다 양성평등 내용을 다룬 극 무대나 성 편견이 없는 직업 탐구 및 체험, 전시회, 체험관과 같은 다양한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양성평등교육의 효과의 증진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재 이러한 원외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더 많은 외부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 양성평등교육의 실제를 알아보고, 유아교사들이 실행하고 있는 유아 양성평등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의 요구를 들어봄으로써 유아 양성평등교육의 실행방법과 보다 효과적인 양성평등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안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초등학교 3학년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재료 분석과 교사의 재료활용 실태

        조민지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research analyzed the art materials of art textbook for students in the 3rd year class of elementary schools and attempted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art materials used in the 3rd year class of elementary schools. To that end, the works of art for reference contained in art textbook for students in the 3rd year class of elementary schools issued by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data, and the materials that are needed for art class were analyzed. The reason that the students in the 3rd year class of elementary schools were chosen as the object on which this research was made is that the 3rd school year is in the last stage of the lower classes and the beginning of the middle classes when they grow out of their own diagramming expressions into objective propensity and the period in which diverse use of materials is needed. In this researc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eachers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bout teaching materials that were actually used.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research was the one that is reorganized with reference to Lee Gyeong-hee’s questionnaire form attached to her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Use of Materials in Art Education Curriculums of Elementary Schools”, and survey was conducted on 100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nyang-si. In this researc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How are the types of materials contained in the art textbooks for 3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Second: How do the teachers perceive art education curriculums of elementary schools? Third: How is the actual state of utilizing materials for the 3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lanation about the materials and tools presented in the textbooks were somewhat insufficient. Many referenced materials contained in the textbooks were limited to general art materials, and there were many programs that were similar to the old ones. Despite the fact that works of art for reference are not only the examples of children but also ‘appreciation, which is the source of imagination, even materials used for the works of art were not accurately recorded and ‘the directions of materials’ were a little insufficient. Second, there were many respondents who said that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reorganized art textbooks which integrated the 3rd year class and 4th year class in the 7th Curriculum than with the previous textbooks. The diversity and use of materials in the reorganized curriculums have been more interesting than in the old curriculums, but in the aspect of new and more creative diversity of materials, they were still similar to the old ones, so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wanted the adoption of new materials. Third, the art activity that was most preferred by the children in art class was found to be making things and the art materials that were preferred most by the children were pinking scissors, color drawing paper, and gumbo soil. The art class activities that art teachers mostly do were drawing, and drawing materials that were used most were pastel crayons and materials for making things that were used most were color drawing paper, and paper that was used most was found to be white drawing paper. Besides, pastel crayons and gumbo soil, and gum woodcut print were mostly used in art class activities, so they were not very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The abov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use of art materials and art class activities are concentrated in particular materials and activities, so in order to atta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more diverse use of materials and art class activities should be perform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미술교과서의 미술재료를 분석하고, 초등학교 3학년에서 실제 사용하는 재료의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출시된 초등학교 3학년 미술 교과서의 실린 참고작품과 수업시간에 필요한 재료를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3학년이 저학년의 마지막 단계이자 중간학년이 시작되는 시기로 자신의 도식적 표현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성향이 시작되어 다양한 재료사용이 필요한 시기로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는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제 사용하는 교육재료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이경희(2002) “초등학교 미술교육과정의 재료사용 분포와 문제점에 관한연구” 에 첨부된 설문지를 참고하여 재구성 하였으며, 경기도 안양시의 초등학교 교사 100명을 조사 대상으로 실행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 미술교과서에 포함된 재료의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미술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3학년 미술수업시간의 재료활용 실태는 어떠한가? 이에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 제시된 재료 및 용구에 대한 설명이 다소 부족 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실린 참고작품의 재료가 일반 미술재료에 국한 되어 있는 것이 많았고 프로그램조차 예전과 비슷한 부분이 많이 있었다. 참고작품은 아동에게 본보기가 되는 동시에 상상력의 근원이 되는 ‘감상’을 통하여 재료를 발견 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에 자리 잡고 있는데 비해 참고 작품에 사용된 재료조차 자세히 표기 되어 있지 않았으며 ‘재료의 사용법’ 면에 있어서도 다소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둘째, 제 7차 과정 3, 4학년 통합으로 개편된 미술교과서는 개편되기 전 교육과정에 비해 ‘만족한다’ 는 의견이 많이 나타났다. 개편된 교육과정은 예전 교육과정에 비해 재료의 다양성 및 재료 사용 부분이 흥미로워 졌지만 보다 새롭고 창의적인 재료의 다양성 면에서는 여전히 이전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 새로운 재료의 도입을 원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셋째, 미술수업시간에 아동이 가장 선호하는 미술 활동으로는 만들기가 많은 의견을 나타냈으며, 아동이 흥미 있어 하는 미술재료로는 핑킹가위, 색도화지, 고무찰흙이 있었다.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주로 하는 미술활동으로 그리기가 가장 많았으며 주로 사용하는 그리기 재료로는 크레파스가 가장 많았고, 만들기 재료로는 색종이가 많았으며 종이 부분에서는 흰 도화지로 나타났다. 그 외에 크레파스와 찰흙, 고무판화가 미술활동 시 주로 사용되어 재료면에 있어 예전과 크게 달라진 점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미술재료의 사용과 미술활동이 특정한 재료와 활동에 편중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어 아동의 창의성 발달을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재료의 사용과 미술활동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 양자점 발광층을 이용한 OLED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 연구

        조민지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Quantum Dot have been used in the display and lighting applications. We have develop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QD-LED) using spin-coated poly[N,N’-diphenylbenzidine dipenylether] (Poly-TPD) and quantum dots. QD makes of CdSe and ZnS. The basic device structure of the QD-LED was anode / hole injection layer (HIL) / hole transport layer (HTL) / emitting layer (EML) /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 cathode. Indium-Tin-Oxide (ITO) layer was used as an anode material. The Poly-TPD were used as a HTL. QD as an emission layrt, and 3TPYMB, BAlq as an ETL were used. LiF was used as an EIL. The Al was used as a cathode material. we studied the effects of carrier transport layers on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QD-LEDs and investigated the HTL dissolution in accordance with solution process. After the preparation of the QD-LED, the current density (J) - voltage (V) - luminance (L) and current efficiency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he optimized structure was ITO(Plasma Treatment) / Poly-TPD(30 nm) / QD(5㎎·㎖⁻¹) / 3TPYMB(50 nm) / LiF / Al. The maximum current efficiency was 4.374 cd/A in a deep red QD-LED with an emission wavelength of 630 nm. InP QD-LED have a 2.89 cd/A and Green QD-LED have a 5.426 cd/A of maximum current efficiency. In addition, the maximum current efficiency was 9.633 cd/A in Green QD-LED when Heptane was used as a solvent of QD. The charge balance and carrier recombination were significantly dependent on morphology and thickness of carrier transport layer and QDs.

      • 청소년유해매체물 차단수단 의무설치 정책의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조민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유해매체물 차단수단 의무설치 정책의 실효성 논란을 파악하고자,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과 부모를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여 청소년유해매체물 차단수단에 관한 인식의 차이와 이용 경험, 사회·문화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청소년유해매체물 차단수단에 대한 부모와 자녀간의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부모의 게시글에서 게임, 중독 예방, 위치 조회, 시간제한 등의 키워드가 추출되며 차단수단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자녀는 삭제, 비활성화, 무력화, 우회, 사생활침해 등의 키워드가 추출되며 차단수단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인식 차이를 보다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수행한 심층인터뷰에서 부모는 차단수단을 통해 자녀의 시간관념 생성, 스마트폰 과몰입 문제 해결, 위치확인을 통한 자녀의 신분안전 등을 기대하고 긍정적이라 평가하였다. 자녀의 경우 문자나 SNS 감시로 인한 사생활 침해, 시간제한으로 인한 자기결정권 침해 등을 주요 부정적 요인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반발심 같은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모와 자녀의 청소년유해매체물 차단수단의 이용행태를 확인한 결과, 부모의 차단수단 이용방식은 최소한의 기능만을 남겨두고 모든 기능을 차단하는 ‘완전 차단형’, 일일 허용된 시간만큼만 사용하도록 제한하는 ‘시간 관리형’, 차단이나 시간제한은 없지만 모니터링을 통해 자녀에게 경각심을 주는 ‘자율모니터링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자녀의 차단수단 이용방식은 시기별,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어쩔 수 없이 차단수단을 받아들이는 ‘순응형’, 차단수단을 우회하거나 삭제하는 방법을 찾아보는 ‘소극적 회피형’, 실제로 차단수단을 무력화하여 사용하는 ‘적극적 회피형’으로 구분 되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유해매체물 차단수단 의무설치 정책의 사회·문화적 영향을 확인한 결과, 사회적 영향으로는 차단수단으로 인한 가정 내 갈등현상과 부모의 스마트폰 종속 현상이 부작용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영향에서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변화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놀이문화가 차단수단으로 인해 영향을 받음으로써 또래관계에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단수단에 대한 의무설치 정책과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회의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청소년유해매체물 차단수단에 대한 심층적 논의들은 현재 시행 중인 규제정책의 존폐여부에 대한 고민이나 규제정책의 실효성,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research has studied into difference in understanding and use of experienc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of filtering programs for media materials harmful to teenagers by carrying out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on senior students and the parents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controversy on effectiveness of the policy for compulsory installation for the filtering program for media materials harmful to teenagers. First, as a result of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tha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to the children and parents differences in perception concerning filtering program for media materials harmful to teenagers, it was found that games, preventing addiction, location queries, time limit and other key 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parents bulletin board, showing positive views of the filtering program held by the parents. On the contrary, it was understood that deleting, deactivating, disabling, bypass, violence of privacy and other key words were extracted, showing negative views on the filtering program held by children. In-depth interviews that took place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the parents made positive evaluation of creating concept of time, solving problems of smartphones, overindulgence and safety through location queries made through filtering programs. In case of the children's evaluation, violation of privacy through SNS surveillance, infringement of self-determination owing to time limits and other reasons were considered as the main negative factors. Through this, the study can reveal the side effects it brings about such as teenagers stress and resistance. Having investigated into the parents and children use pattern of filtering program for media materials harmful to teenager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parents using the filtering program as ‘completely blocked type’ in which every function was blocked in exception of essential functions, ‘time management type’ in which usage was made possible only during the allowed time and ‘autonomous monitoring type’ in which there was no time limit or blocking but alert was aroused through monitoring by parents. Use pattern of the children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ge and time. They were classified as ‘adaptation type’ in which the children helplessly accepted the filtering program, ‘passive avoidance type’ in which the children tried bypassing or deleting the filtering program and ‘active avoidance type’ in which the children used by disabling the filtering program. Finally, having investigated into social and cultural effects of the policy for compulsory installation for the filtering program for media materials harmful to teenagers, it appeared as a social effect that conflicts in the family and parents dependent phenomenon of smartphones occurred as side effects. As a cultural effect, due to the fact that entertainment culture for senior students which has evolved centering on smartphones was affected by filtering program, a side effect on peer relationship unexpectedly occurred. Generally, doubtful responses were made on the policy for compulsory installation for the filtering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In-depth discussions on filtering program for media materials harmful to teenagers that was attained through the research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in providing certainty on abolition of regulatory policies, effectiveness on regulatory policies and direction for change.

      •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이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민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veloped a math education program for social justice under the theme of <Climate Change> and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o analyze the impact on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skills and mathematical attitudes in the process of applying it to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how does the math education program for social justice affect students' ability to solve mathematical problems? Second, how does the math education program for social justice affect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 a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social justice was developed under the theme of <Climate Change> by analyzing prior research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A total of 14 programs were completed by integrating them with Korean and science subjects, focusing on the line graph of Unit 5 of Mathematics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ourth grade. Among the five classes in the fourth grade of J Elementary School in Dongjak-gu, Seoul, the class with the researcher as the homeroom teacher was set as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lass with the highest homogeneity with the experimental class was set as the comparative class. The experimental class applied a math education program for social justice, and the comparative class conducted a textbook-oriented math class. To solve <Research Problem 1>, pre- and post-mathematical problem-solving test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classes, and t-verified using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using i-STATistics 2.01. In addition, to solve <Research Problem 2>, pre- and post-mathematical attitude test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classes, and t-verified using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using i-STATistics 2.01. In addition, students' activity paper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materials were used as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th education programs for social justice enhance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skills. Second, math education programs for social justice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s. Third, through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s for social justice, students were able to critically recognize social problems, seek solutions together, raise social awareness, and strengthen their willingness to practi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th education programs for social justice enhance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process of learning how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that arise in their actual lives. Second, math education programs for social justice help students recognize the power of mathematics and develop their willingnes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problem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mathematical attitudes. In other words, various social problems that exist around them are mathematically recognized, and mathematics is used to have a willingness to practice to solve social problems. Finally,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in relation to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math education programs for social justice. Second,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s for social justice. Third, there is a need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math education programs for social justice. 본 연구는 <기후 변화>를 주제로 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기후 변화>를 주제로 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4학년 2학기 수학 5단원 꺾은선그래프를 중심으로 하여 국어, 과학 교과와 통합하여 총 14차시의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J초등학교 4학년 5개 반 중 연구자가 담임으로 있는 반을 실험반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반들 중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 사전 검사 결과 실험반과 가장 동질성이 높은 반을 비교반으로 설정하였다. 실험반에는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비교반은 교과서 중심의 수학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문제1>을 해결하기 위해 실험반과 비교반에 사전·사후 수학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i-STATistics 2.01을 사용하여 양적 분석 방법으로 t-검증하였다. 또 <연구 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반과 비교반에 사전·사후 수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i-STATistics 2.01을 사용하여 양적 분석 방법으로 t-검증하였다. 뿐만 아니라 질적 분석 방법으로 학생들의 활동지, 설문지, 인터뷰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킨다. 둘째,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사회문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함께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사회적 의식을 높이고 실천의지를 다질 수 있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실제 살아가는 삶 속에서 생기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주제로 하여 수학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킨다. 둘째,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수학의 힘을 인정하고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의지를 기르는 데에 도움을 주며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주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수학적으로 인식하게 하며 수학을 활용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실천 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정의를 위한 다양한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미국 공중보건법상 감염병 대응 조치에 관한 행정법적 연구

        조민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9년 말부터 전 세계로 확산된 코로나 바이러스는 공중보건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 전 영역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감염병에 대한 대응의 중요성을 새로이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여 미국 공중보건법상 감염병 대응 조치에 관한 행정법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공중보건 및 공중보건법의 의의를 살펴본 후 공중보건 위기에 있어 미국의 감염병 대응정책을 검토한다. 이후 주체의 측면에서, 미국 헌법상 기본원칙인 연방주의, 권력분립, 법률선점주의를 살펴보고, 이러한 헌법적 원천에 기반해 연방, 주, 지방정부가 부여받는 공중보건 권한과 각각의 공중보건 기관에 대해 논의한다. 종류의 측면에서는 평상시와 비상사태를 구분하며, 평상시의 경우 예방접종·검사와 선별·치료·접촉자 추적을, 비상사태의 경우 검역과 격리·통행금지와 폐쇄·공동체 봉쇄 조치·의료대책 개발과 분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계 측면에서, 공중보건 권한에 대한 제한을 헌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감염병에 관한 제한을 프라이버시권과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이 감염병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적절한 권한 배분이 이루어지고, 상황별 대응전략의 확보 및 전문성 제고가 필요하며, 프라이버시권에 대한 숙의 및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이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미국의 공중보건법상 감염병 대응 조치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최근의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발생 시 효과적인 위기대응 체계에 대해 고찰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주제가 시의적절하고 유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VID-19, which has spread all over the world since the end of 2019, has had a huge impact not only on public health issues, but on all areas of society, and it has become an opportunity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In response to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an administrative law study on the measures to respond infectious diseases in the U.S. public health law as the subject.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public health and public health law, and then reviews the U.S. policy for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in public health crises. Afterwards, in terms of subject, it examines the federalism, separation of powers and preemption, which are the basic principles of the U.S. Constitution. Based on these constitutional sources, it discusses about the public health authority granted by federal,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public health organizations of each government. In terms of types, it divides normal state and emergency state. In a normal state, vaccination, testing and screening, treatment and related therapies, and contact tracing are performed and in a state of emergency, quarantine and isolation, curfews and closures, community containment strategy, and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edical countermeasures are performed. In terms of limitations, restrictions on public health authority are reviewed with a focus on the Constitution, and restrictions on infectious diseases are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right to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n order for Korea to respond to an infectious disease outbreak, appropriate authority distribution should be made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secure a response strategy for each situation and improve professionalism, and it is essential to deliberate on the right to privacy and develop a collaborative governance. The topic of this study may be timely and meaningful in that by examining the measures to respond infectious diseases in the U.S. public health law, the effective crisis response system in the event of an infectious disease such as COVID-19 can be considered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Korea.

      • 『폭풍의 언덕』에서 히스클리프를 위한 변명

        조민지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폭풍의 언덕』에서 히스클리프는 ‘악’을 대변하는 인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인간의 본성 안에는 선과 악이 공존하며, 절대적으로 선한 인간과 완벽하게 악한 인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선한 성품을 타고난 인간이 성장 과정에서 악인으로 변모하기도 하고, 악의 속성이 강하던 인간들이 경험과 교화를 통하여 선량한 사람으로 변하기도 한다. 『폭풍의 언덕』의 히스클리프는 악인의 면모를 갖춘 인물이다. 그는 자신이 원수로 설정한 힌들리의 정신과 영혼을 파멸의 구렁텅이로 몰아넣고 그의 재산을 강탈한다. 아내인 이사벨라를 학대하며 폭력을 휘두르기도 한다. 자신의 생명보다 소중하게 여겼던 캐서린의 가정을 파괴하려 하며 언셔 가문과 린튼 가문의 재산을 독차지하기 위해 병약한 아들을 강압하여 강제 결혼을 시키고 미망인이 된 며느리를 학대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처럼 극악한 인물로 보이는 히스클리프가 원한과 복수심에 사로잡혀 악마적인 인물로 변모해 가는 데에는 어떤 동기가 작용하고 있다. 또한 히스클리프 성격 속에 애정과 관대함과 같은 인간적인 미덕이 존재하기도 한다. 출생지가 불분명하며 유색인종이었던 히스클리프는 신분의 차이가 분명했던 당대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에 의해 소외되고 억압당하는 처지에 놓여 있었다. 히스클리프의 악마적 성격과 악행은 상당 부분 그 자신의 내면적 결함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회적 환경에 의해 발현된 것이었다. 히스클리프는 미스터 언셔의 사망 이후 노예 신분으로 전락하고, 힌들리에 의해 정신적, 육체적 학대를 받는다. 조셉의 냉대를 받고, 자신의 아내였던 이사벨라에게는 버림을 받는다. 하지만 히스클리프에게 있어서 가장 큰 시련은 캐서린의 배신이었다. 유년시절부터 그의 유일한 벗이며 연인이었던 캐서린은 에드가 린튼과 결혼하기로 결심하면서 히스클리프를 절망의 구렁텅이에 빠지게 한다. 비록 히스클리프를 위한 결심이었다고 하지만 캐서린의 진심이 그에게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히스클리프는 비참함과 상실감, 그리고 원한과 복수심에 사로잡히게 된다. 악마의 화신으로 보이는 히스클리프의 면모는 상당부분 자기 내면의 속성 때문이 아니라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형성되었다. 또한 유년기와 말년의 히스클리프에게서는 헌신과 관대함과 같은 인간적 미덕이 발견되기도 한다. 선과 악은 이분법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한 인간의 본성 속에 공존하는 속성이다. In Wuthering Heights, Heathcliff is a character considered as representing ‘evil.’ However, good and evil coexist in human nature, and perfectly good and evil people do not exist. A person with an inborn good personality can become evil during the course of his or her life, and a person with an evil character can change into a good person by experiences and reformation. Emily Brontë tried to show the real feature of goodness in Wuthering Heights. Heathcliff brought down his foster brother Hindley, tried to destroy the family of his precious Catherine, forced his ill son to marry in order to claim the fortunes of the Earnshaw and Linton families, and mistreated his daughter-in-law who became a widow. However, these actions, which show how Heathcliff changed into an evil person full of spite and revenge, were the result of clear motives. In addition, there were humanistic virtues such as love and generosity in his character. Heathcliff, whose birthplace was uncertain and who was non-white, was isolated and oppressed under th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at that time when social status was paramount. Most of his evil character traits and wicked actions were not from his internal defect but from his social environment. Heathcliff’s social status fell to the level of slave after his foster father Mr. Earnshaw’s death. He was mistreated mentally and physically. He received a cold reception from the household servant Joseph and was forsaken by his wife, Isabella. However, his biggest ordeal was betrayal by Catherine. Catherine, who had been Heathcliff’s only friend and lover since his youth, decided to marry Edgar Linton, which made Heathcliff fall into the depths of despair. Even though Catherine made her decision out of love for Heathcliff, her reasoning was not made clear to him. This led to Heathcliff spiraling into misery, loss, grudge, and revenge. Most of Heathcliff’s evil was caused not by his internal character but by external factors. Also, from his youth to old age, Heathcliff displayed humanistic virtues like devotion and generosity. Good and evil are not a dichotomy. They coexist in human nature.

      •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통해서 본 몸 철학의 교육적 의의

        조민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유의 중심을 이성으로부터 몸으로 전환시킨 니체의『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타난 몸 철학의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그의 저서인『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이해하기 위해 그의 생애와 저작을 살펴보고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내용 구성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니체의 몸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몸에 대한 근대 이성 철학의 관점을 살펴보고,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타난 몸을 의미를 알아보았다. 이어서 몸 철학과 교육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교육적 인간상으로서의 위버멘쉬, 교육내용으로서의 춤, 교육방법으로서의 자기극복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니체의 몸 철학의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로서, 니체의 『Also sprach Zarathustra』(1896)을 정동호(2020)가 번역한『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중심으로 니체의 다른 저술들과 그의 사상을 연구한 저작물,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등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타난 몸 철학은 자신의 삶에서 몸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고찰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첫째, 몸으로 실존하는 인간의 능동성과 개방성을 깨달음으로써 인간을 온전히 이해하는 계기가 된다. 둘째, 몸의 의미를 회복하고 진정한 자아의 개념을 깨달을 수 있다. 셋째, 교육적 인간상인 위버멘쉬의 의미를 이해하고 우리의 교육이 지향해야하는 인간상을 탐색할 수 있게 해준다. 넷째, 자연과 삶을 표현하는 체현 예술로 파악한 춤을 통해 모순과 허무로 가득 찬 우리의 삶에서 긍정을 추구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게 한다. 다섯째, 자기극복을 통해 우리는 능동적이며 창조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존재임을 깨닫는다. 서양의 근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본질은 이성이었으며 이성의 본질은 사유하는 것이었다. 사유하는 것은 오직 이성의 독자적인 것이었으므로 사유할 수 없는 ‘몸’이라는 존재는 등한시될 수밖에 없었다. 니체의 몸 철학은 이러한 사유의 중심을 이성에서 몸으로 돌리고자 한다. 몸의 존재는 우리와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그 의미를 알지 못하면 인간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 니체의 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은 인간을 전인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니체의 『차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통해 그의 몸 철학을 이해하고 몸을 가진 자아의 의미를 깨달아 기존의 이성 중심의 교육적 한계를 넘어서고 동시에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고 성장할 수 있는 지평을 넓혀줄 것이다.

      • 브루너의 표상양식이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5.6학년 장단지도 방안

        조민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국의 교육학자 브루너(J.S.Bruner,B.)의 표상양식이론(Theory of Representation)을 적용하여 장단지도방안을 찾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교과서에 나오는 장단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2007 개정 음악교육과정의 특징과 국악교육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초등학교에서의 국악교육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둘째, 장단의 올바른 개념 형성을 위해 장단의 종류 및 특징을 살펴본다. 셋째, 브루너(J.S.Bruner)의 표상양식이론(Theory of Representation)을 본 연구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적용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다. 넷째, 장단학습의 체계적인 지도방안으로 현행 초등학교 음악과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제재곡을 중심으로 장단을 분석하고, 장단별로 브루너의 표상양식이론(Theory of Representation)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장단지도방안을 모색한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토대로 현재 초등학교 5,6학년에서 지도 되고 있는 4가지 장단(굿거리, 세마치, 자진모리, 중중모리)을 중심으로 표상양식이론을 적용하여 그 단계에 맞는 다양한 자료 개발 및 그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각 장단의 느낌, 강약, 기운, 흐름, 호흡 등의 표현은 표상양식이론의 행위적양식을 적용하였다. 그 구체적 방안으로 신체를 이용한 신체 타악기 장단 치기, 친구와 장단치기, 타악기 치기, 발자국 따라 걷기, 장단에 어울리는 몸동작 표현하기를 제시하였다. 둘째, 장단을 구음이나 정간보를 보고 장단을 칠 때 학생들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표상양식이론의 영상적양식을 적용한 다양한 시각자료를 개발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도해, 그림악보, 교구자료가 있다. 셋째, 표상양식이론의 고도의 단계인 상징적양식을 적용한 숫자 입장단, 말장단, 구음 및 장단부호 익히기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자료와 지도방안을 통해 학생들이 국악교육에서 장단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더불어 우리음악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가지게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