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직 구성원의 정보보호 위반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정보기술 서비스의 활성화와 근무형태 변화에 따른 기업 내 보안위협이 다양해지고 그 심각성도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과 조직은 정보보안 정책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정보보안 교육 및 기술적 보안장치 등의 보안통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고 작은 보안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상당 부분이 내부적인 과실에 의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 원인을 짚어보면, 기술적인 측면의 보안장치가 미흡해서 발생하기보다는 고의적이지 않은 인간 행위의 오용 및 인적 오류 등에 의해 발생하는 측면이 강하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들의 정보보안 정책위반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파악하고, 정보보안 준수인식과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보보안 인식이 정보보안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단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이를 밝히기 위한 폭넓은 시각과 관점을 견지할 필요성을 밝힌다. 즉, 조직 구성원의 습성과 업무성향의 非악의적 행위가 정보보안 위반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문헌 검토를 통해 정보보안 정책위반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크게 3가지인 업무장애(Work Impediment), 저해습관(Bad Habit), 디지털비축(Digital Hoarding)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실무경험이 있는 대상자 중심으로 설문을 통해 이들 요인이 보안위반 행위의도와 정보보안 준수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구성원이 판단하는 업무장애는 정보보안 정책위반 행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구성원의 저해습관은 정보보안 정책위반 행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원의 디지털비축 성향은 정보안 정책위반 행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구성원의 업무장애/저해습관/디지털비축은 정보보안 준수인식을 통제한 상황에서 정보보안 정책위반 행위의도와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정보보안 위반행위에 대한 이론적 개념의 세분화와 측정방식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이전 연구에서 측정하기 어려웠던 개인의 습성 및 업무성향의 정보보안 관련 행위의도 영향력을 보안위반 상황별 시나리오를 통해 검증할 수 있었다. 나아가 조직 구성원의 정보보안 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무적인 관점에서 정보보안 정책을 수립하여 보안준수행동 유도해나가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미래 정보전에 대비한 한국군 군사혁신에 관한 연구

        정보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급변하는 21세기 정보화, 과학화 사회에 세계적 발전도약은 혁명성을 띠고 있으며, 정보능력과 첨단과학기술의 수준이 국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되어가고 있다. 역사를 통해서 군사독트린, 조직. 그리고 전략은 과학기술의 진보에 부응하여 끊임없이 변화해 왔다. 산업화 기계화는 1, 2차 세계대전에서 대규모 진구전과 기동전을 가능케 하였다. 정보혁명은 대규모 병력전이나 기동성이 전쟁의 결과를 좌우하지 않는 새로운 전쟁양식인 정보전의 등장을 예고하였다. 이러한 정보전의 등장은 실제적인 무력충돌 없이 승리를 획득 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면서, 지도자의 전략적 인지상태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정보를 전략적으로 이용하는 것이고, 작전수준에 보다 초점을 두고 사활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보호 · 이용하기 위해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며, 전자전(Electronic Warfare)의 발전과 더불어 전자스펙트럼을 통해 획득, 변형된 정보를 직접적으로 방해하기 위한 수단을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전쟁 양상으로 등장하는 정보전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정보전 수행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무기기술과는 달리 정보통신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 확산되고 있기 때문에 정보무기를 획득하는 것은 엄청난 재정적 자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컴퓨터 전문가와 주요 네트워크 접근이 정보전의 유일한 전제조건이다. 정보전의 이러한 특성은 모든 사람이 정보전의 잠재적 행위자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행위 주체를 명확히 식별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함축하고 있다. 또 다른 특성은 전통적인 위협의 경계선을 보호하게 만들며 정보전의 영역 설정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전통적인 위협의 성격은 집합적, 선형적, 일차원적 유형이었고 또한 군사영역과 민간 영역간의 구분이 상대적으로 가능했으나 사회의 주요 기반시설이 정보통신 시스템으로 구축되는 현실에서 군사영역과 민간영역의 구분은 큰 중요성을 갖지 못한다. 즉 정보전의 영역은 과거의 군사적 · 경제적 영역에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군사적, 경제적, 정치적 그리고 사회적 영역 모두에 걸쳐있는 것이다. 정보전의 이러한 특성은 전략적 정보전(Strategic Information Warfare)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러나 현대 우리군의 전력구조 무기체계는 정보전을 수행하기 위한 것 이라기 보다는 전통적인 화력전, 기동전과 같은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타파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물론 여전히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우리의 안보 여건에서 볼 때 군사혁신의 속성인 불연속적인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협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며 또한 국가경제의 어려움 속에서 예산 제약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제약 사항을 극복하면서 미래를 개척하는 어려운 과제를 현명하게 풀어 나갈 수 있을 때, 바로 이 과정에서 우리군이 선진군의 모습으로 변할 수 있는 열쇠를 갖게 된다. 따라서 한국군도 미래전에 승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군사혁신을 대입한 정보발전이 매우 긴요하다. 혁신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미래 전쟁양상에 능동적으로 대비하지 못할 경우 주변국으로부터 주권침해와 굴욕적 강압의 과거외침 사례를 반복하며 외교적 창피를 당하게 될 것이고, 심지어 물리적 생존과 같은 사활적 국가 이익이 위협받는 초래될 수 있음을 배재 할 수 없다. 따라서 미래 정보전 수행을 위한 첨단무기체계의 전력화, 전문인력 양성 및 군 구조개선 등의 군사혁신 특성을 고려 할 때 최소한 GDP의 5% 이상의 국방재원이 장기적이며 안정적으로 보장되어야만 앞서 언급한 풍부한 잠재역량의 인력자원활 용으로 미래전을 대비한 군사혁신이 차질 없이 촉진되며 자주국방의 기반이 형성될 것이다.

      • ‘길찾기’를 위한 공간디자인의 유형과 환경정보적 기능 : 공공청사 로비공간을 중심으로

        정보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경제 수준의 향상과 사회변화에 따라 공공청사 로비공간이 점차 대규모화 되고 복합화 됨으로 인해 동선 체계가 매우 복잡해져 사용자들의 방향감 상실이나 목적지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길찾기(way-finding)’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길찾기를 위한 공간디자인의 유형과 그에 따른 환경정보적 기능에 대하여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기초로 현재 우리나라 공공청사 로비공간의 현황 및 문제점을 조사하여 그 대안을 예시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길찾기를 위한 공간디자인은 공간구조화, 구역차별화, 시각정보화, 랜드마크 구축 등의 4가지 유형으로 정리된다. 각각의 유형과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환경정보적 기능과의 연관성을 정리하면, 공간구조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환경정보적 기능으로는 중심성, 개방성, 명료성이 길찾기의 관점으로 분석될 수 있고, 구역차별화는 영역성, 이질성, 집중성으로, 시각정보화는 주목성, 시인성, 식별성으로, 랜드마크 구축은 방향성, 접근성, 정체성으로 분석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한 국내 공공청사 로비공간에 대한 사례분석 결과, 길찾기를 도와주기 위한 공간구조의 특화, 마감재 및 색을 통한 기능적 영역 구분, 사인 체계와 같은 기본적인 공간디자인의 배려가 전반적으로 보이긴 했으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환경정보적 관점에서 볼 때 여전히 소극적이고 부분적인 적용에 그치고 있어 공공시설 로비공간에서의 길찾기는 개선의 여지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Along with improved economic level and social concern, the lobby spaces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more multi-functional. As a result, very complex systems of circulation cause problem of way-finding that users have trouble in finding the destination or lose the sense of direction. Hereup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vironment-informational functions of spatial design for way-finding and to survey the present conditions or problems of lobby spaces in Korean government office building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o present the alternative suggestions. The spatial design for way-finding is classified into 4 types: space structuralization, area individualization, visual informationization, and building -landmark.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 -informational functions and 4 types of spatial design for way-finding are as followed; the spatial structuralization can be analyzed with environment–informational functions such as centrality, openness, and legibility; the area individualization can be analyzed with territoriality, differentiation and convergence; the visual informationization with visibility, awareness, and discrimination; the building-landmark with directivity, identity, and perceptual acces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obby spaces in domestic government office building shows that the specialized spatial structuralization for helping way-finding, area individualization through finishes and color, and consideration of visual informationization such as sign system were shown in general. But in the environment-informational viewpoint based on the user, it is just being applied in a passive and partial manner so the way-finding at the lobby spaces in government building should still be highly improved.

      • 정보화 시대의 인터넷 윤리교육에 관한 연구

        정보 원광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우리는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 시대의 가장 핵심적인 기술인 컴퓨터는 이제 새로운 패러다임, 새로운 상식이 되고 있다. 우리의 생활 속에서 결코 소홀하게 생각할 수 없는 많은 영역들이 컴퓨터 및 컴퓨터 기술엘 의존하고 있다. 컴퓨터는 인간 사회의 진보를 위한 도구와 모델로서, 그리고 철학적 추론의 기초로서 우리들의 삶 속으로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컴퓨터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버공간의 확대는 최근 몇 년간 우리 사회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사이버공간은 사람들간의 관계의 확장, 평등한 대화상황, 정체성의 실험 등을 강조하는 낙관론의 입장과, 언어폭력, 음란물, 폭력적인 내용의 확산을 주장하는 비관론의 입장으로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의 본래적 가치를 위협함으로써 상당한 도덕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도덕적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덕적 규범에 바탕을 둔 건전한 인터넷 문화를 창출해 갈 수 있는 청소년들의 인터넷윤리 의식을 함양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청소년들이 존중하고 준수해야할 규범체계에 대한 이론적 탐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오늘날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률은 정확한 통계를 산출하기 불가능할 정도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용하는 정보나 내용의 종류 등 질적인 면에서도 급변하는 추세이다. 이런 현실은 곧 인터넷 이용이 청소년들에게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와 보다 바람직한 이용을 위한 대안이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제기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런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고 있으며, 또한 인터넷 이용률이 급증하고있는 추세에 비하면 이로부터 받게되는 청소년들의 영향에 대한 연구와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인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을 보완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연구된 것이다. 인터넷 이용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과 특히 그 중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역기능적 폐해와 관련한 부분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작업도 병행함으로써 논문의 실천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미디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인터넷이라는 신종 미디어의 영향력에 대한 이론적 기존 성과를 분석·정리하여 인터넷 이용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역기능적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인터넷 미디어교육 시안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이버 세계 속의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이버 세계의 역기능적 폐해를 조사하여 다각적인 원인분석을 시도하면서 그 특징들을 찾아보고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에 있어 반사회적 행위에 대한 효율적인 예방과 사전대책을 제시하여 청소년들이 올바른 인터넷 윤리의식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일 있다. Today we live in the world of information. The computer is the prevalent core technology of our times and has become a new paradigm for common sense, Many areas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our lives are depending on computers and computer technology. As a tool and model for the advancement of human society and the basis of philosophical logic, computers have infiltrated deep inside our lives. The expansion of cyber space based on computers and the Internet is one of the most notable changes in out society in recent times. In cyber space, considerable moral confusion arises between the optimistic point of view that emphasizes the merits such as expansion of relationships among people, equal communication, trial of identity, etc., and the pessimistic point of view that insists on the demerits of verbal violence, obscenity and expansion of violent content that threatens human dignity and intrinsic values. To overcome such moral confusion, it is urgent that our youth are trained on Internet moral consciousness that can create a sound Internet culture based on a moral code. This study can be identified as a theoretical research on a normative system that the youth that live in this Internet world should respect and observe. Today, the Internet use rate has increased rapidly so that the exact statistics cannot be calculated Not only is it increasing quantitatively, but also it changes rapidly in the qualitative aspects including the use of information or the kinds of content. This trend raises issues of how using the Internet affects youth and what is the alternative for desirable use of the Internet. On the influence of the Internet on the young and its effective reaction policy, systematic researches have not yet been made. This study starts with these problems and aims to complement this reality. Focusing on the influence that the use of the Internet has on our youth, especially on dysfunction and related areas, this study also presents alternatives for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past research results on the influence that media has on the young and based on this, it analyzes and arranges theoretical achievements of past researches. By doing so, it will present the Internet media education plan as an alterative to overcome the dysfunction that use of the Internet inflicts on our youth. In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ysfunctionality of the cyber worl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youth in the cyber world, analyzes the reasons in diversified ways, and determines its characteristic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reate in young people the right moral approach to the Internet through effective preventive measures and policies against undesirable social activities on the Internet by young people.

      • 시각예술 아카이브 사이트에 관한 실태조사 및 이용자 특성 연구

        정보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급변한 21세기 디지털 혁명으로 인하여 예술의 생산 형태가 바뀌었듯이 이제는 예술의 수용 형태도 달라지고 있다. 그러나 환경의 발전 정도에 비하여 시각예술의 정보 형태는 여전히 대다수가 고전적인 형태를 띠며 폐쇄적인 구조이다. 또한 시각예술 분야에 관한 국가 주도의 문화정보화 사업이 진행되어왔으나 그 경과와 성과에 대하여 주목받지 못해온 실정이다. 문화정보화 사업의 성과로 현재 공공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 가운데 시각예술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아카이브 사이트인 ‘문화포털’과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DA-Arts'가 있다. 이러한 시기와 맞물러 민간 영역에서 자발적으로 시각예술 분야에 집중적으로 몰두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해 온 두 기관이 있는데, 이는 ’네오룩 이미지올로기 연구소‘와 ’김달진미술연구소의 달진닷컴‘이다. 상기 네 곳의 웹 사이트에 대하여 아카이브로써 어떠한 시각예술의 정보를 다루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으로, 시각예술 정보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통하여 시각예술 정보 아카이브에서 다루어야 할 것으로 보이는 주요 정보 항목의 틀을 도출해내어 각각의 웹 사이트의 실태를 파악해보았다. 작가 정보, 작품 정보, 소장 정보, 전시 정보, 연구 정보, 비평 정보가 주요 정보 유형으로 설정되었고 이에 각각의 웹 사이트를 탐색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작업이 수행되었다. 위 여섯 항목을 전부를 충족하는 웹 사이트는 없었으며, 문화포털과 네오룩 이미지올로기 연구소, 김달진미술연구소의 달진닷컴은 소장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었고,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DA-Arts는 소장 정보는 제공하나 연구를 위한 다른 정보는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그 외에 작가 정보와 작품 정보, 전시 정보와 비평 정보는 방식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네 군데의 사이트 모두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시각예술 정보 아카이브 웹 사이트 이용자에 대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어떠한 직업적 성향과 사이트 이용 동기, 경험, 만족도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Due to the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digital revolution is produced in the form of art has changed. Now, there are also different acceptable forms of art.  However, when compared to the development degree of the environment The information in the form of visual art is still the majority of the closed structure. Culture Information Service of the country-led project is in progress, however, it does not receive attention for that lapse and performance. Culture Information Service is the result of a website archive sites now operating in the public's business, 'Cultural portal' and 'Digital archive of art Korea DA-Arts'. And The voluntary focused on the two institutions to collect data on the visual arts in the private sector, which is 'Neolook imageolrogi Institute' and 'Daljin dot-com of Kimdaljin Art Institute'.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Status of these Web sites are contain information of any visual art as an archiv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hrough previous research on visual arts information to derive the framework of the important items of information in the visual arts analyzed each web archive site.  Artist Information, Art work information, collection information, exhibition information, research information, Critique information has been set as the main type of information. Search for each Web site, and determine whether the task of providing the relevant information has been carried out.  There was above website to meet all six items. 'Cultural portal', 'Neolook imageolrogi Institute' and 'Daljin dot-com of Kimdaljin Art Institute' had not provided the information collection. 'Digital archive of art Korea DA-Arts' had not provided other information for the study provides a collection information. All web site provides Art work and Artist information, exhibition information and Critique information to the user.  In addition, an online survey was about the website users. Occupational tendencies of users, sites motives, saw out about thei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 LDM Contents Construction for Connected and Autonomous Vehicles from UAV Video : Focusing on Lane Changing Actives on a Urban Freeway

        정보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센서기반 자율주행차량의 다양한 사고사례가 보고되며, 안전한 자율주행의 실현을 위한 ‘자율협력주행기술’의 일환으로 LDM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LDM이란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자율주행 지원정보를 수집, 저장하여 제공하는 정보체계로, 정밀도로지도를 기반으로 랜드마크, 교통정보, 자차정보 등을 차로수준으로 매핑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시스템이다. LDM은 자율주행을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갱신주기에 따라 4개의 Layer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때 기존의 교통정보 수집 방법론은 Layer 3, 4로 구분되는 동적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드론을 활용하여 기존의 방법론으로 수집하기 어려운 LDM 콘텐츠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드론 항공영상 내 차량 객체를 검지하고 추적하기 위하여 다중객체추적 알고리즘 기반의 Vehicle Object Tracking Model를 구축한다. 추적된 차량객체에 지리적 위치정보를 부여하기 위하여 Auto Georeferencing Framework를 개발한다. 개발된 모델과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드론 항공영상 내 차량 주행궤적에 대한 경위도좌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차로변경 행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LDM 콘텐츠인 위험구간 정보를 생성한다. 본 연구의 주요한 기여는 다음과 같다. 기존의 교통정보 수집 방법론으로는 수집할 수 없었고 모호하게 표현되었던 위험구간 정보를, LDM 콘텐츠로써 정확한 지리적 위치와 위험요소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도로 인프라 및 차량 내부에 데이터 수집 장치의 설치 없이 자유롭게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하며, 개별 차량의 주행행태를 경위도좌표와 함께 수집하기 때문에 기존의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는 활용성을 가진다. 이처럼 본 연구의 결과물은 데이터 수집범위와 가공단위에서 높은 범용성을 가진다. 연속류 뿐만 아니라, 단속류, 교차로 등 다양한 범위의 데이터를 수집가능하며 이를 통해 딜레마존, 차선변경 다발 구간, 가감속 위험 구간 등 기존에 수집할 수 없었던 다양한 교통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차량 주행궤적을 수집하기 때문에, 기존에 실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어 교통 시뮬레이션에 의존하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경로 예측 연구에 실제 차량 궤적 데이터를 적용 및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행태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정책 비교 및 소비자 보호 행동 연구

        륙정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6

        In the era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technologies like artificial intelligence are closely related to consumers based on big data. This technology can be customized to fit the consumers needs through advertisement services. New technologies provide convenience to people's daily lives based on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provided by consumers and data found by tracking activities. Despite this technology having it's benefits, there have been concerns about privacy violations from the consumers. Recently, consumers have becom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behavioral information as there have been no suitable laws in Korea to apply behavioral information on online advertisements.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is to establish the basic data as an information available and guidelines related to behavioral information protection to provide a safe and reliable online use environment for consumers. The following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order to achieve these findings. The first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on the protection of behavioral information in online behavioral advertisements. The second study is a demonstration of consumer protection behavior on the privacy of behavioral information in online behavioral advertisements.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earch finding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Korea's policies to other countries like Europ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hina when it comes to the protection of behavioral information of online behavioral advertisements, Korea has no exclusive law to apply the protection of behavioral information of current online behavioral advertisements. Although there are regulations related to behavioral information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PIPA), there are limitations to apply to actual sites because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and scope of behavioral information. Additionally, Consumers also need to strengthen their rights to inform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nsumer control, right to know, and choice over automatically collected behavioral information Secondly, consumers had a low awareness of regulation and support polices but they thought those polices are important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a survey of consumers’ recognition about the policy related to the behavioral information of Korea ’ s current online behavioral advertisements. Respondents also thought that policies related to the collection of behavioral information, reporting and response methods were very necessary regarding regulation policy and the government's policy on providing education need to be enhanced regarding the support policy. Thirdly, as a result of classifying Internet users according to the risk awareness model, the avoidance attitude group (high risk, low effectiveness) was the largest with 114 people, the proactive attitude group (low risk, high effectiveness) 82 people, the indifference attitude group (low risk, low effectiveness) 75 people, and the responsive attitude group (high effectiveness) 69 peopl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gender. Avoidance attitude group and indifferent attitude groups have a high proportion of women, while proactive attitude groups and responsive attitude groups have a high proportion of men. Lastly,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differences in the information search and protection behavior of behavioral information privacy protection in the four groups; which were classified as the avoidance attitude group, the indifferent attitude group, the responsive attitude group and the proactive attitude group. Proactive attitude groups and responsive attitude groups have more active information seeking attitudes and take active protective actions than avoidance attitude groups and indifferent attitude groups. This study as identified differences in protection behavior by classifying groups according to risk recognition and efficacy belief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behavioral information of online behavioral advertisements and related policies and a survey of consumer policy recogni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is a study that demonstrates privacy protec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tection of behavioral in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relevant policies.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온라인 상의 개인정보와 활동 정보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온라인 상의 활동 정보는 개인을 식별하는 것은 아니지만 개인의 취향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맞춤형 광고는 온라인상의 기록, 활동 정보,쿠키 정보 등 행태정보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한다. 그러나 동시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고 있다.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온라인 광고의 행태정보에 관한 법률이 구체화되지 못하여 행태정보의 활용으로 인한 소비자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먼저 온라인 광고의 행태정보 보호와 관련한 유럽, 미국, 중국과 한국의 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한국의 현행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행태정보 보호와 관련한 정책을 유럽, 미국, 중국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도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정책의 수요자 입장에서 한국의 행태정보 보호와 관련한 정책에 대한 인식과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위험태도지각모형에 근거하여 행태정보에 관한 소비자의 인지된 위험과 효능감에 따라 소비자집단을 분류하고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행태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보호 행동이 집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행태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유럽, 미국, 중국과 한국의 정책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행태정보 보호를 위한 독립적인 법이 없는 실정이다. [개인정보보호법]에서 행태정보에 관련된 규제가 있지만, 행태정보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범위가 없어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소비자가 자신의 정보에 대해 가지는 권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자동으로 수집된 행태정보에 대해 소비자의 통제권, 알 권리, 선택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행태정보와 관련한 정책에 대해 소비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는 규제정책과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이 모두 낮은 편이지만 중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규제정책에서는 부적절한 행태정보수집에 대한 신고 및 대응에 관한 정책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지원정책에서는 정부의 교육 제공 관련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험태도지각모형에 따라 소비자의 집단을 구분한 결과, 회피집단(고위험, 저효능)이 114명으로 가장 많고, 상황주도집단(저위험, 고효능)이 82명, 무관심집단(저위험, 저효능)이 75명, 반응집단(고위험, 고효능)이 69명으로 분류되었다. 각 집단의 인구통계 특성은 성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회피집단과 무관심집단은 여성 비율이 높고 상황주도집단과 반응집단은 남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험태도지각모형에 따라 구분된 네 집단에서 행태정보 프라이버시 보호의 정보탐색행동과 보호 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상황주도집단과 반응집단은 회피집단과 무관심집단을 보다 적극적인 정보탐색행동을 가지고 있으며 적극적인 보호 행동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행태정보와 관련 정책에 대한 비교분석 및 소비자의 정책 인식 조사를 통하여 정책 수요자의 입장에서 정책에 대한 요구를 밝히고 나아가 실제 소비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의 행태정보 보호와 관련한 정책의 방향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의의가 있다.

      • 키치(Kitsch) 문화콘텐츠가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보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791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 of reaction on kitsch contents. The study was carried with total of two tests. Specifically STUDY 1,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separate groups where one group was exposed to general cultural contents whereas the other group was exposed to kitsch cultural contents. Having done so, the diffusion of contents information and positive feeling toward contents information of both groups were measured,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need for uniqueness in these direct effects. STUDY 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separate groups where one group was exposed to positive country situation whereas the other group was exposed to negative country situation. Having done so, the positive feeling toward country cultural image and intention to visit country when they see a kitsch contents of both group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analytical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udience have an more affirmative reaction(diffusion of information/positive feeling toward information) on kitsch contents than general contents. Second, Audience's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need for uniqueness plays a moderating role diffusion of information. but we did not fou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feeling toward information between cultural contents types and audience reaction. Third, If the images of the country is negative in advance, kitsch contents is a negative impact on each positive feeling toward country cultural image and intention to visit country. on the contrary if the images of the country is positive in advance, kitsch contents is a positive impact on each positive feeling toward country cultural image and intention to visit country. 연구에서는 우리의 일상에 빠르게 침투하고 문화현상인 키치에 대한 수용자 반응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키치문화콘텐츠의 파급효과를 확인한 다음, 글로벌 문화콘텐츠 전략으로서 키치문화콘텐츠의 수용자 인식이 국가의 문화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방문의도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2번의 실험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문화콘텐츠 유형(일반/키치)에 따른 수용자반응(정보확산의도/정보호감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그 외에 수용자반응의 조절변수로 수용자성향(감각추구성향/독특성욕구)을 고려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사전에 형성된 국가이미지의 호의성 여부에 따라 키치문화콘텐츠에 대한 국가문화이미지 및 방문의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과제 1에서 키치문화콘텐츠는 수용자반응(정보확산의도/정보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화콘텐츠유형과 수용자성향(감각추구성향/독특성욕구)의 조절효과에서, 키치문화콘텐츠와 정보확산의도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반면, 정보호감도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연구과제 2에서는 사전 국가이미지가 나쁠 경우에는 키치문화콘텐츠가 국가문화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사전 국가이미지가 좋을 경우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첫째, 키치문화콘텐츠가 일반문화콘텐츠에 비해 파급효과가 크고 정보호감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키치문화콘텐츠의 정보확산의도는 감각추구성향이나 독특성욕구가 높은 수용자에게 크게 작용하지만 정보호감도와는 상호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다른 국가의 키치문화콘텐츠를 접할 때는 사전에 해당 국가에 대한 호의적인 인식이 있을 경우에만 키치문화콘텐츠가 국가문화이미지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고 방문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전에 비호의적인 인식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키치문화콘텐츠가 국가문화이미지 및 방문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

      •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러닝 지속사용의도와 영향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정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727

        디지털 시대로의 빠른 변화 속에서 새로운 교육 환경으로 모바일러닝이 주목받고 있다. 3세 이상 국민의 모바일러닝 경험율은 전년대비 11.8% 상승한 30.2%로 나타났으며, 이러닝 공급기업의 23.9%가 모바일 기반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지식경제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3). 또한, 모바일 기반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이러닝 공급기업의 스마트폰 기반 사업 비중이 11.5%로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25.1%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모든 과정이 이러닝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버대학들에서 모바일러닝 서비스의 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적극적인 모바일러닝 서비스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사이버대학생의 실제 모바일러닝 사용은 실질적인 콘텐츠의 학습보다는 강의 일정, 시험결과, 공지사항 확인 등과 같은 소극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이주민, 2010). 대부분의 학습자가 직장인인 사이버대학의 경우 모바일러닝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강의를 수강하고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함에도, 사이버대학의 모바일러닝은 활발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모바일러닝 환경과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분별하게 양적 확대에만 치중한 결과이다. 모바일러닝의 무분별한 도입이 학습자들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바일러닝은 도입과 수용을 높이는 데만 초점을 맞춰 성장해왔으며 모바일러닝 관련 연구도 주로 사용자들의 수용의도와 실제 수용 여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Bhattacherjee(2001)에 따르면 새로운 정보기술의 장기적인 생존력과 실질적인 성공은 최초의 수용보다는 지속적인 사용에 의존한다. Lyytinen과 Hirschheim(1988)은 정보시스템이 도입된 후 사용 빈도가 낮고, 사용 방법이 적절하지 못하며, 사용의 효과가 없을 경우, 해당 정보시스템의 도입은 실패로 이어진다고 주장하면서, 정보시스템의 초기 수용 단계가 아닌 수용 후 지속적 사용이 정보시스템의 성공을 규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였다. 이러닝에서 모바일러닝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모바일러닝이 실질적인 성공을 거두고 장기적으로 안정기에 접어들기 위해 모바일러닝의 지속사용의도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의 지속사용의도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모델인 기대일치모델과 통합기술수용이론을 바탕으로 모바일러닝 지속사용의도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러닝에서 기대일치,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만족도 및 지속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기대일치모델과 통합기술수용이론의 확장을 통해 모바일러닝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높이고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러닝 지속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실천적 전략을 마련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기대일치는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러닝 성과기대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기대일치는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러닝 노력기대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기대일치,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러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과 만족도는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러닝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W사이버대학에서 모바일러닝을 통해 학습한 웰빙건강학부생 26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측정모형의 검증 및 구조모형의 검증을 통해 각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대일치는 성과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대일치는 성과기대뿐만 아니라 노력기대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대일치,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모바일러닝 학습자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과 만족도는 모바일러닝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과기대는 모바일러닝 지속사용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는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이 모바일러닝을 활용하여 과제를 수행하거나 시험에 응시하는 것과 같이 성적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학습활동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기대일치는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를 매개로 만족도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가지며, 노력기대와 만족도를 매개로 지속사용의도에도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만족도를 매개로 지속사용의도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모바일러닝 학습자들의 지속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대일치,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속사용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사회적 영향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기대일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설계 단계에서부터 모바일러닝의 시스템 안정성, 유용한 학습내용의 조직, 그리고 고객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모바일러닝만의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인 성과기대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노력기대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설계가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영향이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학습자가 속한 준거집단의 모바일러닝 사용을 촉진하는 마케팅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모바일러닝 지속사용의도와 영향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나 지속사용의도가 실제 지속사용으로 이어지는지 추적하여 지속사용까지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연구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이러닝과 연계되어 모바일러닝 서비스가 제공되는 환경에서 진행되어 학습자들이 이러닝과 모바일러닝에서의 학습경험을 구분하지 못한 채 설문에 응답했을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설문지에 모바일러닝의 정의를 설명하고, 모든 설문 문항에 ‘모바일러닝 학습과정에서’라고 명시하였으나 학습자들이 모바일러닝 학습경험만을 바탕으로 응답하였다고 확신하기 어렵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모바일러닝만으로 학습이 제공되는 환경에서 추가적인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With a rapid change to digital times, mobile learning receives attention as a new environment of education. According to Korea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KNIPA, 2012), it is notable that 30.2% of Koreans above 3 years old have experienced mobile learning, which has been increased by 11.8% from the previous year survey. Also, 23.9% of e-learning corporations is staring up mobile learning businesses. Especially, online universities take the initiative in adopting mobile learning service. However, despite active adoptions of mobile learning service, online university students use the service occasionally for checking notices and syllabus.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mobile learning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does not lead to continuous use. Nevertheless, according to Bhattacherjee(2001), the actual succes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depends more on continuous use than the initial adoption. Therefore, in order to make mobile learning gain the actual success and reach a plateau,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of mobile learning.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of mobile learner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an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influencing mobile learners'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and to suggest effective establishing plans of mobile learning system and operational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 confirmation have effects on mobile learners' performance expectancy? 2. Do confirmation have effects on mobile learners' effort expectancy? 3. Do confirmation, performance expectancy, and effort expectancy have effects on mobile learners' satisfaction? 4. Do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satisfaction have effects on mobile learners'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67 online university students of the Well-being and Health Department. They are taking the classes opening at the second semester of 2013 and provided mobile learning service. Also,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ER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ere administrated. After tha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in order to confirm the normality of the data by using SPSS. To confirm the fit of the structural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AMO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firm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expectancy. Second, confirmation also affected significantly effort expectancy. Third, confirmation, performance expectancy, and effort expectancy had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Lastl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However, performance expectanc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i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future studies will need to examine if continuance intention leads to actual continuance use. Second,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mobile learning is offered lined to e-learning. Therefore, it is possible for the subjects to answer the questionnaire in confusion with the experience of e-learning.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in pure mobile learning conditions.

      • E-메일광고의 평가요소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 동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727

        국내 인터넷 인구가 1,600만명에 달하는 등 인터넷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E-메일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E-메일은 기업과 소비자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비즈니스의 핵심으로 업계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비즈니스 기능에 대한 예로는 광고, 마케팅, 판매, 고객 서비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E-메일은 마케팅과 광고를 통한 새로운 시장과 배포 채널 개발, 새로운 정보기반의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에 활용되고 있다. 기존의 광고매체를 벗어나 인터넷이 새로운 광고 매체로서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인터넷 사용의 확산에 따른 E-메일 광고가 새로운 매체로 부여되고 있다. 여기에 현재 광고의 중요한 매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E-메일의 구성 요인에 따른 마케팅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따른 오락성, 정보성, 구매촉진, 부정자극의 4가지 평가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소비자의 태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인구 통계적 요인과 인터넷 사용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E-메일 광고의 평가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하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정리·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E-메일광고의 평가요소와 긍정적 소비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3개 부문 10개의 세부가설을 검증해본 결과 E- 메일 광고의 평가요인 중 오락성, 정보성, 구매의도는 소비자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부정자극의 요인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E-메일 광고의 평가요인에 대해 광고의 내용이 오락성의 요인이 클수록 긍정적인 소비자 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정보성의 요인이 클수록 소비자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되고, E-메일 광고의 구매적 요인이 클수록 소비자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E-메일 광고의 부정자극만으로는 소비자의 태도에 아무런 변화를 주지는 못했다. 인구통계학적으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변수중 성별과 학력에 대해서는 긍정적 소비자태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업과 나이에 의해서는 유의 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사용자의 일반적인 특성 또한 차이 검증을 실시했는데 결과 인터넷 사용시간과 E-메일 사용횟수에 의해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과 E-메일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이 E-메일광고에 대해 긍정적인 소비태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상기의 결과를 토대로 종합해 보면, 인터넷사용의 확산으로 E-메일 광고가 새로운 매체로 자리 매김 하기 위해서는 E-메일광고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오락성(흥미도), 정보성(정보제공의 기능성), 그리고 구매의도의 요인을 더욱더 향상 시켜야 만이 광고매체로서 새로운 역할과 기능을 다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본 논문을 통해서 재확인 할 수 있었다. Internet users have explosively been increased up to about sixteen million persons of domestic internet population, on the other hand, relatively the importance of e-mail is gradually raising. E-mail is changing the industry as the core of business that transmit information among enterprises and consumers, and as instances for such business functions, advertisement, marketing, sales and customer service, etc. can be cited, and also e-mail is used for new market through marketing and advertisement, distribution channel development, product of new information base and development of service. Taking off the existing advertisement medium, internet appears as new advertisement medium, and e-mail advertisement according to expansion of e-mail use is allowed as a new medium. Here, the author observed the marketing effect according to formation element of e-mail which is presently used as an important medium for advertisement and tried to know about what effect has on relation of consumer's attitude for evaluation of e-mail advertisement according to element of population statistic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user. He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In order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and subordinate variable giving effect on evaluation element of e-mail advertisement and affirmative consuming attitude, inspected detailed assumptions of 10 out of 3 parts, entertainments, information and desire to purchase had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among evaluation element of e-mail advertisement. If did not offer any change to consumer's attitude. Saying it over, it is known that it has more effect on consumer's positive attitude, as the element of entertainments is big, and it has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as the information element is big. However, as negative stimulus of e-mail advertisement, it did not give any change to consumer's attitude. As result of practicing difference verification in statistics of population, it appear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consumer's attitude for sex and scholarship among variabl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job and age. Difference verification on general characters of internet user was also practiced, and as result thereof, it appear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even according to use time of e-mail and use time of internet. that is, people using many internet and e-mail, have positive consuming attitude for e-mail advertise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when generalized, it is important to improve more entertainments(degree of interest), information(possibility to provide information) and element of desire to purchase which have important effect on e-mail advertisement so that e-mail advertisement can be newly occupied as new medium, by expansion of internet use, so the author can reassure through this study that it can do new role and functions as an advertisement med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