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鄭逑 家門의 《武屹九曲圖帖》연구

        정연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919

        본 논문은 寒岡 鄭逑(1543-1620)가 아닌 鄭煒 一家의 鄭東璞(1732-1792)이 武屹九曲을 창조했고, 정위 일가가 주관한 武屹사업의 《武屹九曲圖帖》에 무흘구곡이 시각화되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또한 정위 일가가 가문 부흥의 의도로 《무흘구곡도첩》에 18세기 정구 가문의 정세와 정구에 대한 추모를 반영했다는 점에 다가가고자 했다. 《무흘구곡도첩》은 退溪學派에서 陶山圖를 제작하는 관례에서 벗어나 栗谷學派에서 제작하던 朝鮮九曲圖의 틀을 따라 제작된 것으로, 퇴계학파 최초의 조선구곡도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정위 일가를 둘러싼 18세기 정구 가문이 기존의 조선구곡도 제작 관련 인물들과 접촉함으로 가능한 일이었다. 《무흘구곡도첩》에 나타난 무흘구곡은 , 鄭逑門徒에 의해 일부가 형성되었고, 최종적으로 정동박의 「武屹九曲韻」에 의해 창조되었다. 이후 경상북도 성주에 정착하게 된 정구의 가문 중에서도 鄭煒(1740-1811)를 선봉으로 한 정동박, 鄭㷞(1745-1803)로 구성된 일가는 18세기 정구 가문이 정치적 소외와 선조 정구의 위상문제에 직면하게 되자 가문부흥사업인 동시에 불천위 정구의 추모사업인 무흘사업을 실행하게 된 것이다. 정위 일가가 실행한 무흘사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위는 정구의 8대 종손으로서 무흘사업을 주도했으며, 정후와 함께 1784년에 武屹精舍를 지었다. 무흘구곡 刻字의 경우 무흘사업 이전에 새겨진 각자 외에도 제작자를 알 수 없는 각자 중 일부가 정위의 주도하에 1784년에 새겨진 것으로 추정된다. 정위의 주도 아래 《무흘구곡도첩》 제작을 담당한 것은 정동박이다. 정동박은 최초이자 완전한 무흘구곡이 드러난 「武屹九曲韻」을 지어 이를 바탕으로 지방화가 金尙眞(1705-1784년 이후)에게 〈무흘구곡도〉를 그리게 했고 1784년에 화첩을 완성시켰다. 또한 정위의 주도 아래 정동박은 1785년에 무흘사업의 연장선상으로 《무흘구곡도첩》과 짝을 지어 《武夷九曲圖帖》을 제작하도록 김상진에게 맡겼다. 《무흘구곡도첩》은 기존의 조선구곡도와 달리 鄭敾(1676-1759)의 화법을 보이는데, 정위 일가가 화첩에 권위를 부여하고자 한 의도로 보인다. 또한 《무흘구곡도첩》은 이후에 제작된 퇴계학파 조선구곡도에 정선의 화법을 전파시키기도 했다. 정위는 《무흘구곡도첩》과 《무이구곡도첩》 상단의 시를 통해 朱子(1130-1200)-李滉(1501-1570)-정구-18세기 정구 가문으로의 계승을 뜻하도록 주문했다. 정위 일가가 속한 18세기 정구 가문은 정치적 소외에 더하여 불천위 정구의 위상문제가 겹쳤기에, 자신들이 저명한 유학자 주자와 이황과 정구를 이었다고 공표하고자 했던 것이다. 《무흘구곡도첩》의 무흘구곡은 정동박이 새로 지정한 곡과, 기존에도 정구의 무흘정사 아래 지정된 곡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거해 《무흘구곡도첩》에 수록된 김상진의 〈무흘구곡도〉에, 제작주체인 정위 일가가 “18세기 정구가문의 情勢”와 “정구 추모 遺跡”이라는 인식을 반영했는지 분석해보았다. 정동박이 새로 지정한 18세기 정구 가문의 정세를 반영한 곡에는 가문의 藏書閣, 가문의 생활공간, 處士 가문의 상징이라는 인식이 반영되었음을 확인했다. 기존에도 정구의 무흘정사 아래 지정된 정구 추모 유적이 존재하는 곡에는 정구의 名勝, 정구의 무흘정사, 정구의 상징 臥龍이라는 인식이 반영되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정구가 아닌 정동박이 쓴 시인 「무흘구곡운」에서 무흘구곡이 창조되었고, 정위가 무흘사업을 주관해 김상진이 「무흘구곡운」을 그림으로 시각화한 가문적인 기록이〈무흘구곡도〉임을 알아냈다. 또한《高山七曲圖帖》이 아닌 《무흘구곡도첩》이 퇴계학파 최초의 조선구곡도이며, 이후에 제작된 퇴계학파 조선구곡도에 정선의 화법을 전파시킨 점을 새로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Effect of Plastic Film Mulching on Net Ecosystem Carbon Budget(NECB) in Corn Cultivated soil

        이정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전 세계적으로 농업에 활동에 있어 토양의 수분 손실방지 잡초방제 등을 위해 플라스틱 비닐멀칭 (plastic film mulching) 사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비닐멀칭에 따른 토양의 온도와 수분의 증가는 토양 미생물 활성에 증대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이에 따라 토양유기물의 분해 또한 증가될 것이라 예상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 비닐멀칭과 멀칭을 하지 않은 토양에서의 토양 호흡법을 통한 무기화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Net ecosystem carbon budget (NECB) 분석법을 통한 토양 탄소수지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처리구로는 비닐멀칭과 멀칭을 하지 않은 처리구로 나눌 수 있으며, 그 밖에도 풋 걸음 작물인 보리와 헤어리 베치의 혼합 환원한 처리구로 나눌 수 있다. 약 15cm 가량 성장한 옥수수를 재식거리 30cm × 40cm로 2015년 6월 초에 아주 심기 하였다. NECB를 계산하기 위한 탄소의 유입요소는 옥수수의 Net Primary Production (NPP)와 풋 걸음 작물을 고려하였으며, 유출요소로는 토양호흡과 옥수수의 수확 시 제거되는 옥수수의 알곡, 줄기 그리고 잎을 고려하였다. 토양 시비 관리 조건과 관계없이 비닐멀칭은 옥수수 재배기간 중 토양온도를 평균 약 1℃, 수분함량을 0.002 m3m-3 상승시켰다. 토양의 무기화율은 비닐멀칭 처리구가 멀칭을 하지 않은 처리구에 비해 약 16-23% 높은 무기화율을 나타내었다. 토양의 온도와 무기화율 과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비닐멀칭 처리구에서 고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풋 걸음 작물이 모두 제거되는 처리구에서는 음의 NECB 값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토양유기탄소 축적 감소에 따른 토양 비옥도의 손실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풋 걸음 작물의 환원률이 증가함에 따라 NECB의 값도 함께 증가한다. 또한, NECB 값은 멀칭을 하지 않은 처리구에서 비닐멀칭 처리구 비해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처리구에서 적절한 풋 걸음 작물 환원률은 약 50-58% 이다. 결론적으로, 옥수수를 제배에 있어 적절한 토양유기탄소를 유지하기 위하여 50% 이상의 녹비를 환원해주어야 한다. Plastic film mulching (PFM) has been widely as an agricultural practice throughout the world. It has been considered to increase soil temperature, soil moisture and crop productivity in upland soil. But due to high acceleration in mineralization of soil organic matter it might result in the depletion of soil organic carbon (SOC).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f plastic film mulching on the soil carbon balance in a typical cropping system. In this study, we compared mineralization rates using soil respiration (CO2 emission) changes between polyethylene mulching (PEM) and no mulching during corn cultivation, and soil carbon balance using Net ecosystem carbon budget (NECB) analysis. The main treatments included mulching and no mulching, and investigated further using sub treatments barley hairy vetch mixture. Fifteen day old corn seedlings were transplanted at 30 cm x 40 cm planting distance. After harvesting, we analyzed NECB, which i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otal organic C input and output. Total organic C input included net primary production (NPPstover + NPPear + NPProot + NPPrhizodeposit), and green manure and total organic C output included autotrophic, heterotrophic respiration and harvested biomass. Regardless of soil amendment, PEM treatment increased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by mean around of 1˚C and 0.002 m3m-3 over no mulching treatment during corn cultivation, respectively. PEM treatment increased CO2-C emission by 16-23% over the no mulching treatment.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soil temperature and mineralization, which is closer correlation of PEM treatment. A negative NECB, which implied soil fertility was at risk from a decreasing stock of SOC, was observed with total aboveground biomass removal. However, NECB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n increase in level of biomass recycling and it is higher in no mulching treatment than mulching treatment. Each treatment reached a sustainable level at approximately 50-58% recycling of aboveground biomass; thus, the current levels of SOC could be sustained. In conclusion, more than 50% of the aboveground biomass of the cover crop (12-14 Mg ha-1, fresh weight) should be incorporated as a green manure to sustain levels of SOC in corn cultivation systems.

      • 1990년대 이후 中國 國家資本主義의 展開過程 硏究

        이정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1855

        이 논문은 1990년대 이후 중국의 국가자본주의 발전 과정과 그 동학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8년 개혁·개방 이후 근 30년 동안 중국은 실로 놀라운 경제 발전을 이룩했다. 중국 경제의 이런 성장세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성장 요소들이 제기됐다. 자유시장 메커니즘의 도입과 경쟁의 효과, 자본 효율성의 제고, 해외직접투자의 증대, 세계시장에의 편입 효과, 양질의 저임금 노동자들의 존재 등 다양한 주장들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런 설명들은 중국 경제에서 자본축적의 메커니즘을 총체적으로 보여 주지 못한다는 점에서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 논문은 중국 경제를 국가자본주의론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있다. 국가자본주의론은 1949년 이래로 중국이 ‘사회주의’ 국가가 아니라 자본주의의 한 변종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국가자본주의론은 소위 사회주의 사회 내에서 시장 기제가 형성돼 있지 않을지라도 자본들 사이의 경쟁이 존재할 수 있으며, 국가는 억압적 제도일 뿐 아니라 집합적 자본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그 사회가 사회주의라는 주장과는 달리 노동하는 대중에 대한 착취와 억압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히는 데 유용한 분석틀을 제공한다. 이 논문의 제2장은 특히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경제발전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을 소개한다. 제3장은 국가자본주의론 개념을 중국에 적용할 때 제기될 수 있는 쟁점들을 검토한다. 스탈린주의 소련의 사회성격을 분석하면서 처음 주조된 국가자본주의론이 중국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의 문제와 중국혁명 직후 등장한 마오쩌둥의 인민민주주의 체제를 사회주의라 볼 수 있는가 하는 문제, 토지개혁이 지니는 정치경제적 의미, 개혁·개방 이전의 마오주의 체제와 문화대혁명이 사회주의의 이상을 담고 있는가 하는 문제, 그리고 중국을 사회주의 사회라고 할 때 가장 많이 제시되는 근거인 인민공사를 어떻게 볼 것인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제4장은 마르크스가 자본주의를 분석할 때 사용한 개념들인 상품과 화폐, 착취와 임금관계 그리고 다수자본과 경쟁, 경쟁과 축적 등에 기초하여 중국 국가자본주의의 주요 요소를 이론적으로 재구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고 1978년의 개혁·개방은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의 이행이 아니라 폐쇄적 국가자본주의에서 시장을 도입한 국가자본주의로의 횡적 이동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도 밝힐 것이다. 제5장에서는 사적 자본, 국유기업 그리고 외자기업들의 경쟁이 격화되고 축적이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모순들을 다룬다. 또한 노동력 시장뿐 아니라 자본시장의 형성과 발전과정도 살펴보고 있다. 제6장에서는 중국의 높은 성장을 이룬 요소들에 대해 근대경제학적 관점에 기초한 다양한 논의들을 살펴본 뒤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재구성할 것이다. 또한 마르크스 비율(Marxian Ratios)이라 할 수 있는 착취율과 이윤율을 중국 경제에 적용해 추계하고 있다. 이는 자본축적이란 결국 노동자들에 대한 착취에 기반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현재 벌어지는 세계 경제의 위기에서 중국이 처한 상황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제공한다.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위기에서 촉발된 세계 경제위기는 세계경제 성장의 동력 중의 하나인 중국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중국의 성장 그 자체가 세계 자본주의에 편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2000년대 이후 중국 경제가 보여 주고 있는 고도성장과 모순들은 특히 미국 경제를 포함한 세계 자본주의의 변화와 모순이라는 맥락에서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 이론 미결정성 논제와 번역 불확정성 논제에 관한 고찰

        이정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88 국내석사

        RANK : 1855

        In doing philosophy, one may eschew questions of language altogether and devote one's attention directly to the task of discovering the first principles or the ultimate nature of reality. This is classical metaphysics. On the other hand, one may become impressed with the seriousness of epistemological limitation of our ability to grasp such truth. Then, one may adopt an indirect way of approaching these questions by looking closey at the way of speaking about the world. Here in order to be capable of these task, the basic structure or meaning of language must be viewed as reilecting or referring to the picture of reality. Wittgenstein presupposed the theory of picturing that the language is corresponded with the fact by 1:1. In this view, languages always have the fixed linguistic meaning. But Quine does not agree with Wittgenstein' s view. According to the Quine's position,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the fact is not posied by 1:1 but posited in various ways. Therefore linguistic meaning is not fixed with the fact absoulately but only fixed with the fact relative to our conceptual scheme. These arguments are presented with the thesis of indeterminacy of translation (abbreviated : IT). IT is shown in the radical situation that field linguists atterapt to translate from Jungle language into Korean. Field linguists need to construct manuals which enable them to translate from Jungle language into Korean. The nanuals must provide Korean equivalents for all of the sentences of Jungle language, Hence according to Quine ; Manuals for translating one language into another can be set up in divergent ways, all compatible with the totality of speech dispositions, yet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If translation manuals are indeterminate, then translation is natually indeterminate. And if so, then we must conclude that objective linguistic meaning shared with translation does not exist. Quine' s those conclusions are drawn from two reasons in the following First, they are drawn from the behavioristic theory of meaning. The behavoiristic theory of meaning is debted to the natualistic attitude about languages. Naturalism hold that the language must be grasped with our verbal behavior. Therefore, linguistic meaning is achieved by observing the disposition of verbal behavior. Only the stimulous meaning is apprehend by the verbal behavior and is the linguistic meaning studied by scientific method. Second, they are drawn from the thesis of underdetermination of theory. That thesis is the arugment that there is empirical slack between our experience and theory and based on the existence of alternative theories that are empirically equivalent to the possible observational data, yet logically incompatible w th each other. When one tries to apply these two theses to the radical situation of translation, one shall achieve the effect in the following ; ① The meaning of the Jungle language must be grasped with only the native's verbal behavior-stimulous meaning. ② Translation manual is required in order to know which tranl-ation s right, because there are sentences indistinguished with stimulous meaning. Hence, ③ The power of underdetermination of theory is committed to construe ing the translation manual. Therefore, ④ I Translation manuals are indedeterminated and translation depending on these manuals is indeterminate, too. ⑤ In so far as translation is indeterminate, it is not the fact of the matter which is right. On the other hand, reference of a word is no more scrutable than meaning of a sentence is determinate. One needs to construct the analytical hypothesis in order to differentiate reference of one word from that of another word. But the analytic hypothesis is not determinate. For the individuative apparatus is not capable of being translated. Now, I will conclude Quine's sematical system in the following : Theory - Underdetermination - Truth value Sentence - Indeterminacy - Meaning Word - Inscrutability - Reference

      • 原乳內 體細胞數 測定을 위한 Fossomatic과 Coulter counter 方法의 比較

        이정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1855

        仁川直轄市 地域의 牧場에서 Bulk herd milk, 前乳, 後搾乳, 個體牛乳를 採取하여 直接顯微鏡法(DMSCC), Fossomatic counter(FCC), Coulter Counter(CC), California mastitis test(CMT)의 方法으로 體細胞數를 測定한 다음 그 數値를 比較 檢討하였다. 實驗에서 얻어진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Bulk herd milk 120개의 材料에 대한 DMSCC, FCC 그리고 CC에 의한 平均體細胞數는 각각 433,203, 481,213 그리고 676,245로 나타났다. 2. 前乳 116개의 材料에 대한 DMSCC, FCC 그리고 CC에 의한 平均 體細胞數는 각각 515,035, 611,845 그리고 725,051로 나타났다. 3. 後搾乳 87개의 材料에 대한 DMSCC, FCC 그리고 CC에 의한 平均 體細胞數는 각각 718,506, 839,874 그리고 1,041,160으로 나타났다. 4. 個體牛乳 57개의 材料에 대한 DMSCC, FCC 그리고 CC에 의한 平均 體細胞數는 각각 449,258, 491,018 그리고 621,315로 나타났다. 5. 本 實驗에 사용된 모든 材料에서는 CMT등급별 증가에 따른 平均 體細胞數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공히 CC가 FCC보다 더 높은 平均値를 나타내었다. 6. CMT와 CC 方法에 대한 相關係數는 bulk herd milk에서 0.926, 前乳에서는 0.707, 後搾乳에서는 0.683 그리고 個體牛乳는 0.695로 각각 나타났다. 7. CMT와 FCC 方法에 대한 相關係數는 bulk herd milk에서 0.945, 前乳에서는 0.705, 後搾乳에서는 0.694 그리고 個體牛乳에서는 0.727로 각각 나타났다. 8. CC와 FCC 方法에 대한 相關係數는 bulk herd milk에서 0.978, 前乳에서는 0.997, 後搾乳에서는 0.983 그리고 個體牛乳에서는 0.986으로 각각 나타났다. Samples of bulk herd milk, foremilk, last milk(stripping) and individual cow sample were collected and their somatic cell number swere counted with Fossomatic counter(FCC), Coulter counter (CC), direct microscopic somatic cell count(DMSCC) and California mastitis test(CMT).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summarized as fallows: 1. Mean somatic cell counts of 120 bulk herd milk samples obtained by DMSCC, FCC and CC were 433,203, 481,213 and 676,246 respectively. 2. Mean somatic cell counts of 116 foremilk samples obtained by DMSCC, FCC and CC were 515,035, 611,845 and 725,051 respectively. 3. Mean somatic cell counts of 87 last milk samples obtained by DMSCC, FCC and CC were 718,506, 839,874 and 1,041,160 respectively. 4. Mean somatic cell counts of 57 individual cow samples obtained by DMSCC, FCC and CC were 449,258, 491,018 and 621,315 respectively. 5. Mean somatic cell counts of all sample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CMT score, and the cell counts were higher by CC than by FCC. 6.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omatic cell conuts by CMT and CC were 0.926 in bulk herd milk, 0.707 in foremilk 0.688 in last milk and 0.675 in individual cow sample, respectively. 7.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omatic cell conuts by CMT and FCC were 0.945 in bulk herd milk, 0.705 in foremilk 0.694 in last milk and 0.727 in individual cow sample, respectively. 8.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omatic cell conuts by CC and FCC were 0.978 in bulk herd milk, 0.997 in foremilk 0.983 in last milk and 0.986 in individual cow sample, respectively.

      • A Study on the hysteresis of proportional control solenoid valve

        이정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In the present paper, the pressure control characteristics have been performed numerically in proportional control solenoid valve (PSV). Dynamics analyses of the pressure control characteristics have been evaluated by the Finite Different Method, which show the pressure distribution in proportional control solenoid valve.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es show the dependence of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displacement of the spool in proportional control solenoid valve.

      • 항정신병약물이 인간 SH-SY5Y 신경아세포종 세포의 뇌유래신경영양인자 촉진 유전자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ntipsychotic Drugs o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Gene Promoter Activity in SH-SY5Y Human Neuroblastoma Cells

        이정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2007 국내박사

        RANK : 1855

        목적: 본 연구에서 저자는 항정신병약물이 SH-SH5Y 신경아세포종 세포에서 신경보호작용이있는지 알아보았으며 또한 항정신병약물의 효과가 신경보호작용에 연관되었는가를 확인하였다. 방법: 분화된 인간 SH-SY5Y신경아세포종 세포에 전형적 항정신병약물과 비전형정 항정신병 약물을 처치하여 이들 항정신병약물이 세포생존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MTT 분석을 통해서 평가하였으며 뇌유래신경영양인자 촉진 유전자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luciferase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세포생존능력에 대한 검사에서 할로페리돌은 용량의 증가에 따라서 세포생존능력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아리피프라졸,퀘티아핀,지프라시돈은 비교적 많은 용량에서만 세포생존능력이 감소하였다. (> 50 ㎛). 아미설피라이드,리스페리돈,올란자핀은 비교적 고용량에서도 세포생존능력이 비교적 적은 감소를 나타냈다. (> 50 ㎛).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인 할로페리돌은 뇌유래신경영양인자 촉진 유전자의 활동성에 큰 변화를 주지 않았며 아미설피라이드와 지프라시돈도 마찬가지 였다. 올라자핀(p<0.05),퀘티아핀(p<0.05), 리스페리돈(p<0.05)은 용량을 증가함에 따라서 뇌유래신경영양인지 촉진 유전자의 활동성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아리피프라졸의 경우에는 오직 많은 용량에서만 뇌유래신경영양인자 촉진 유전자의 활동성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이 되었다.(p<0.001) 결론: 본 연구는 일부 항정신병약물이 신경세포보호기능을 가질 수 있음을 밝혀내었고 이러한 결과는 항정신병약물의 치료적 효과가 신경세포보호기능과의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s: Author wants to find out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antipsychotic drugs in the human SH-SY5Y cells and to evaluate the possible relation of the antipsychotic effect and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antipsychotic drugs. Method: For the study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were differentiated to neuron-like phenotype. MTT assay was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ntipsychotic drug on the cell viability and luciferase assays was adap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ntipsychotic drug on the BDNF promoter activity. Results: In the cell viability test haloperidol showed the higher toxic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ose. aripiprazole, quetiapine and ziprasidone had the higher toxicity with large doses (> 50 ㎛). Amisulpiride, risperidone and olanzapine showed the lower toxicity on SH-SY5Y cells with large doses(> 50 ㎛). The typical antipsychotic drug haloperidol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BDNF promoter activity. Amisulpiride and ziprasidone faile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f BDNF promoter activity. Olanzapine (p<0.05), quetiapine (p<0.05), risperidone (p<0.05) showed increased BDNF promoter activ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ose. Aripiprazole showed increased BDNF promoter activity only with higher dose (P<0.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ssible neuroprotective effect of some antipsychotic drugs in the human neuronal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atypical antipsychotic drugs have neuroprotective effect and this neuroprotective effect might be related to antipsychotic effect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