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漢語同源詞音韻硏究

        李姸周 國立臺灣大學 1995 해외박사

        RANK : 247647

        漢語同源詞연구는 古漢語의 語源에 대한 연구로,字形과 字音이 각기 달리 존 재하는 漢語에 있어 전통적인 漢語同源詞연구는 字形과 字音을 혼동한채 訓誥 學의 형태로 존재해 왔다. 그후 서양 言語學이 중국에 도입된 이후 漢語同源 詞는 여러 측면에서 연구되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종래의 同源詞연구를 서술, 비평하고 재평가 했으며,또한 종래의 연구에 기초하여 漢語同源詞가 반영하는 古代漢語의 音韻現象을 音韻變化와 形態論의 두가지 측면에서 분석해 보았다. 論文은 총 6章으로 構成되어 있으며,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製論: 同源詞에 대한 定義 2. 前代 漢語同源詞硏究의 敍述과 比評 3. 漢語同源詞의 音韻對應 4. 音韻變化로 인해 생겨난 漢語同源詞 5. 漢語同源詞에 나타난 古代漢語의 形態音素 6. 結論 漢語同源詞의 音韻對應은 古代漢語의 특징을 잘 反映하고 있다. 우선,周秦時代 以前의 音韻變化와 周秦以後 兩漢時代의 音韻變化를 反映하고 있으며,또한 古代方言現象을 反映하고 있다. 漢語同源詞로 再構가 가능한 古 代漢語의 形態音素에는 *s-(prefix)와 *-s(suffix)가 있다.

      • 요양보호사의 직무분석

        이연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일부지역의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168명과 재가방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138명으로 총 30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2009년 5월 4일부터 2009년 5월 15일 까지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조사와 요양보호사 표준교재인 실습매뉴얼의 기본요양보호기술 내용을 기초로 연구자가 제작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Cronbach' α 값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요양보호사의 특성은 기혼이 미혼보다 많았고, 성별은 여자가, 나이는 40~50대가 많았고, 학력은 고졸 이하, 종교인이 많았다. 근무 장소는 노인요양시설이 재가방문요양시설보다 많았으며 경력은 1년 미만이 많았고 1일 보호대상 인원은 5명이상과 1,2명이 많았다. 근무형태는 주로 교대근무와 정상근무를 하고 있으며 계약형태는 정규직과 계약직으로 일하고 있으며 근무일수는 월 20일 이상을 일하며 평균급여는 100만원 이상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동기는 경제문제 해결이 여가 및 사회활동을 위함보다 약간 높았으며 요양보호사 외 사회복지사, 케어복지사, 미용사, 조무사, 조리사, 컴퓨터 등의 기타자격증을 소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요양보호사의 직무는 정서지원영역, 신체지원영역, 가사 및 일상생활지원영역 순으로 직무수행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직무는 정서지원의 말벗하기와 신체지원의 감염예방을 위한 손 씻기 이었고 가장 낮은 직무는 임종요양 보호와 임종 시 가족요양 보호로 나타났다. 3. 요양보호사 특성별 직무분석은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는 50세 이하, 성별은 남자, 결혼 상태는 미혼, 학력은 대졸이상에서 직무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경력은 3년 이상 경력자들이 3년 이하의 경력보다, 1일 돌보는 대상인원은 5명 이상이 5명 이하 보다, 근무형태는 교대근무자가 정상근무자 보다, 계약형태는 계약직이 정규직과 시간제 형태보다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달 근무일수는 20일 이상이 20일 미만근무자보다, 평균 급여는 100만원 이상이 80만원 미만과 80~100만원 보다, 취업동기는 경제문제해결을 위하여가 요양시설에서 직무수행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4. 요양보호사들은 표준 직무 외 활력증후와 혈당체크, 인슈린 처치, 수지관장 등의 기타업무인 간호행위를 하면서 대상자들에 대한 관찰과 건강 체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제도하의 요양보호대상자들을 가족을 대신하여 돌봐주는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직무분석을 처음 시도한 데 그 의의가 있다. 요양보호사들이 근무하는 장소에 따라 약간의 직무차이는 있지만 연구에 사용된 문항들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내용으로 직무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기술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들의 질적 향상과 대상자에 대한 서비스 질을 높이게 하기 위한 전략개발과 다른 지역의 요양보호사들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 무경계 경력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이연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undaryless care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e study especially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tween boundaryless care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illennials in the workplace who earned degrees from technical colleges or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a) how does boundaryless career of millennials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undaryless care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illennials, do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ve moderating effects? The data finally analyz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441 respondents. As a result of common factor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method and direct oblimin, it was confirmed that boundaryless career has two subfactors of boundaryless mindset and organizational mobility preference. Accordingly, the study was conducted twice by setting boundaryless mindset and organizational mobility prefer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wo main results were identified. First, one of the subfactors, boundaryless mindset showed positive(+) effects towards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in this relationship,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ould not show the moderating effects. Second, organizational mobility preference showed negative(-) effects toward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howed positi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m. According to such results, this study emphasized practical implication that organizations should provide an appropriate organizational support considering their career attitudes to help millennials increas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urthermore, it suggested that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identify which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greater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undaryless care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illennials focusing on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between millennials and the others. 본 연구는 대졸 밀레니얼 세대 근로자를 대상으로 무경계 경력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간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 두 가지를 상정하였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의 무경계 경력태도는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밀레니얼 세대의 무경계 경력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조절하는가? 연구 수행을 위하여 국내 재직 중인 대졸 이상 밀레니얼 세대 근로자 총 453명에게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이 중 441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최대우도법과 사각회전을 이용한 공통요인 분석 결과 종속 및 조절변수는 하위요인이 없는 단일요인임이 확인되었고 독립변수인 무경계 경력태도만 무경계적 사고방식과 조직이동성 선호의 2개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에 각 하위요인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이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토하였다. 사용한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경계 경력태도의 하위요인 중 무경계적 사고방식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둘째, 조직이동성 선호는 무경계적 사고방식과는 반대로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지원인식은 이 관계에서 정(+)적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졸 밀레니얼 세대 근로자들의 경력태도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조직 차원의 경력 관리와 이를 가능케 하는 운영 체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밀레니얼 세대의 낮은 조직몰입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전 세대들과의 집단 간 비교를 통해 세부적으로 어떠한 조직지원이 밀레니얼 세대 근로자들의 무경계 경력태도와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더 큰 정(+)적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하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부모의 심리통제가 청소년의 인지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 불안의 매개효과

        이연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심리통제와 인지과제수행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D시의 초․중학교 66명(남아 34명, 여아 32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심리통제척도, 불안척도 및 인지과제를 실시하였다. 부모심리통제와 불안증상은 청소년들이 자기보고식 척도로 측정하였고, 인지과제는 개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심리통제가 인지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여 청소년이 부모심리통제를 낮게 지각할수록 인지과제에서 더 나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불안이 인지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여 불안증상이 낮을수록 인지과제에서 더 나은 수행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심리통제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으며, 상태불안보다 특성불안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심리통제가 높을수록 불안증상을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심리통제와 인지과제수행의 관계에서 특성불안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와 모의 심리통제와 연합기억과제 수행의 관계에서 특성불안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부의 심리통제와 토막짜기와 기호쓰기수행의 관계에서 특성불안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부모심리통제 및 불안이 청소년의 인지과제수행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청소년의 인지과제수행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지향해야 할 부모 역할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 창의 인성 프로그램 개발

        이연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인성 초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초등3,4학년의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의 세 단계의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교육부와 서울특별시교육청(2015)에서 제시한 창의성 덕목과 인성 덕목을 반영하여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인성 형성에 도움이 되는 그림책을 선정하였다. 초등 3,4학년 발달 수준을 검토하여 그림책과 연계한 교육 활동을 선정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교육 현장에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교육시설에 장소를 정하여 . 초등 3,4학년을 대상으로 2020년 12월 29일부터 2021년 1월 30일까지 5주 동안, 주 2회 총 10 회기에 걸쳐 연구자가 12명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 인성 프로그램을 실시 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대상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 인성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실시 전후, 실험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 교육 개발원에서 개발한 KEDI 창의적 인성검사 27문항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 회기에 주관식 및 서술형 검사를 통해 주관적 반응 분석을 하였으며, 매 회기별 12명의 학생들의 활동을 네러티브 형식으로 내용을 분석해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 인성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실험 전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지만, 6하위 요인중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건 아니었다. 그러나 4하위 요인인 독립성, 개방성, 위험회피, 호기심 요인은 프로그램 실행후 비교했을 때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유의한 수치가 아닌 2하위 요인인 과제집착과 심미성에 대해서도 프로그램 장기간 적용시 유의하게 성장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요인별 결과에 따른 본 연구와의 연관성을 내용 분석으로 하였는데, 이는 프로그램 결과에 대한 해석시 큰 참고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 창의인성 검사 결과로는 유의미한 수치가 나왔으며, 이는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창의 인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고 실시된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 창의인성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교 방과후 프로그램, 청소년 상담센터 집단상담 프로그램, 도서관 프로그램으로 단기간 혹은 장기간으로 활성화 되기를 기대한다.

      • Dubliners에 나타난 마비의 상징적 의미

        이연주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Dubliners,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contains some good writing for the reader to read quite easily, but the stories are difficult in one sense because they have hidden or symbolic meanings. Dubliners is "the moral history" of Joyce's country, and Joyce tried to present the city Dublin, as ''the center of paralysis, to the public through the aspects of four periods: childhood, adolescence, maturity and public life." The stories proceed roughly through each period in a kind of autobiography, Paralysis affects most of the characters. They are unable to move out of their social environment. The stagnation of Dublin is caused by corrupt politics and rule by nationalism and the hold of the church. The symbolic meanings of paralysis appear in each story as the living dead and the restriction of the escape from physical and spiritual atrophy. Certain images of closed areas such as coffins, confession-boxes, rooms, buildings, and the city become symbolic when they are presented in a way suggesting enclosure. In general they express the restrictions and fixations of life in Dublin. Also as images of color. sea, snow, and darkeness are repeatedly used, the effect of the theme is greatly strengthened. In the stories of childhood, the elements of children's romantic dreams are frustrated by the corruption of religion, the loss of moral value, and physical enervation. The stories of adolescence show the inner chaos and paralysis of the heroes who don't accept the new variables and lack enervation of the mind. Moreover, in society they are separated by themselves and live in isolation from others. In the stories of public life, the heroes' pursuit of materialism make them change every moral value into inhuman things. And in 'The Dead', the last story in Dubliners, every person who participates in the party is in a state of living death and shows a kind of self-centered paralysis. With the addiction of 'The Dead,' Dubliners comes to embody in its total movement the structure which binds together all of the stories. Images of the isolated individual give way to images of the society surrounding that individual, to be followed in turn by a combined image in which the individual fits into his social context. Whether Joyce wrote for the mere pleasure of writing, out of a deep need of self-expression, or in order to improve mankind, there is no denying the presence in Dubliners of a major moral theme, that of paralysis, consciously introduced and obviously developed and denounced throughout the stories, in all its manifestation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fine the symbolic aspects of paralysis in each story and understand Joyce's intentions to describe the moral history of Dublin, the very center of paralysis.

      • 신입생의 교우관계를 통한 대학생활 적응 예측 : 정신건강, 학업성적, 학업유지를 중심으로

        이연주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들의 교우관계를 통해 이후의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교우관계는 연결 상태와 연결의 강도를 반영할 수 있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사용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의 세부항목은 객관적 적응 지표인 학업성적, 학업유지 및 일반적 적응 지표로 볼 수 있는 정신건강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순서는 변인 수집 시기를 고려하여 학기 중에 수집 가능한 정신건강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연구 1로 정하고, 학기 종료 후에 수집 가능한 성적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연구 2로 정하였으며, 여러 학기를 거쳐 수집한 학업유지 자료를 기반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연구 3으로 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신입생 37명의 교우관계를 통해 정신건강을 예측하였다. 친구관계의 연결 상태와 지지적인 측면인 친밀도를 반영하여 예측변인인 교우관계를 측정하였고, 우울, 사회불안, 걱정, 자살생각으로 정신건강을 알아보았다.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친밀도를 반영한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이 정신건강을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친밀도를 반영한 외향 연결정도 중심성은 정신건강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는 친구들이 자신을 친밀하다고 느끼는 정도가 클수록 학기 말의 심리적 불편감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2는 신입생 87명의 교우관계를 통해 학업성적을 예측하였다. 교우관계는 두 개의 잠재변인으로 측정하였다. 하나는 친밀도와 상의도를 반영한 지지적 교우관계이고 다른 하나는 대화 및 만남 횟수를 반영한 교류적 교우관계이다. 학업성적은 1학년 1학기 학업성적을 예측하였고,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지지적 교우관계는 학업성적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교류적 교우관계는 부적으로 학업성적을 예측하였다. 이는 전공 내의 친구들로부터 친밀감과 조언을 많이 받는다고 생각할수록 높은 성적을 받게 되고 친구들과 많이 교류할수록 낮은 성적을 취득한다는 의미이다. 연구 3은 신입생 116명의 교우관계를 통해 이후의 학업유지를 예측하였다. 교우관계는 친밀도와 상의도를 가중치로 한 내․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지지적 측면인 친밀 연결망과 상의 연결망, 교류적 측면인 대화 횟수, 만남 횟수로 측정하였다. 학업유지는 2018년 1학기부터 2020년 1학기까지 매 학기 측정하였고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친밀도를 가중치로 한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이 이후의 학업유지를 예측하였다. 이는 전공 내에서 친구들이 자신을 친밀하다고 느끼는 정도가 신입생일수록 이후에 학업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는 신입생이 전공 내에서 형성하는 교우관계를 이름생성법(name generator)으로 수집한 후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다양하게 측정하였고, 이를 예측변인으로 하여 이후의 대학생활 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신입생의 교우관계에서 친구들이 참여자에게 친밀감을 느낄수록 심리적 불편감이 적었다. 또한 지지적인 교우관계가 증가할수록 학업성적이 높았고 친구들과 대화나 만남을 통해 보내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학업성적이 낮았다. 그리고 친구들에게 친밀감을 주는 참여자일수록 지속적으로 학업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신입생이 전공 내에서 맺는 교우관계는 정신건강, 학업성적, 학업유지를 유의하게 예측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우관계를 돈독히 하는 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유전자와 생명 공학 개념의 정교화를 위한 PCR 교구 개발

        이연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다 더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교구를 이용한 지도법을 개발하여 기존 생명 과학Ⅱ 교과 과정 중 유전자와 생명 공학 단원의 PCR 교수법을 보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PCR 교구를 실제 교실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생명 과학 교과 개념 이해 능력과 생명 과학 교과목에 관한 과학적 관련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해 보았다. 서울시 소재한 N 고등학교 1, 2학년으로 구성된 과학 동아리 19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질적 모둠 구성에 기반을 두어 PCR 교구를 활용한 수업을 적용한 집단과 교구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강의식 수업을 진행하는 집단으로 나누어 같은 날, 다른 교시에 고등학교 정규 수업 시간인 동아리 시간을 이용해 각각 50분간 연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수업 전과 후에 사전 검사지와 사후 검사지로 PCR에 관한 문제를 풀도록 하고, 정답률을 토대로 SPSS t-검증으로 통계 처리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다. 또한, 수업 만족도에 관한 설문지를 점수화하여 Mann-Whitney u-검증으로 비모수 통계 처리를 하여 정량적 분석과 함께 학생들과 교사와의 인터뷰로 정성적 분석을 하여 PCR 교구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PCR 교구를 활용한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수업의 결과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학생들보다 대부분의 학생들에게서 더 높은 학습 성취도의 발전을 보였고, 생명 과학 교과에 관한 과학적 태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도 확연한 차이로 PCR 교구를 활용한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집단에서 더욱 높은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생명 과학 교과 개념의 정교화에 교구의 활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PCR 교구를 활용한 수업은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에게도 수업 진행의 편리와 효과적인 수업 전개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종합하여 보면 PCR 교구를 활용하는 것이 PCR 교과 개념을 교수하고 학습하는 것에 더욱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교구의 활용이 학습을 할 때마다 무조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분명한 것은 교구의 적절한 활용이 학생들의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개발된 PCR 교구를 응용하여 PCR 개념을 교수•학습하는 것에서 폭을 넓혀 유전자와 생명 공학 단원의 기초가 되는 DNA의 복제 원리나 PCR 원리와 비슷한 맥락인 DNA 염기 서열 분석 원리를 설명하는 데에도 적절한 수업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The study aims to supplement the PCR teaching method of gene and biotechnology unit in the existing Life Science Ⅱ curriculum by developing the instruction method using the teaching aid for mor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PCR teaching aid to the actual classroom, and examined the effect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Life Science subject concept and science related attitude on Life Science subject. A total of 19 students from science club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graders of N high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Based on the heterogeneous group structure, we divided the group using the PCR teaching aid and the group that does not use the teaching aid into the existing lecture class. And on the same day, we conducted demonstration class for 50 minutes each using the high school regular class time ‘Club time’ on other classes. Before and after the demonstration class, Pre - test and post - test to solve PCR problems, and based o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SPSS t-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on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was scored, and the nonparametric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by the Mann-Whitney u-test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by interviewing the students and the teacher. As a resul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PCR teaching aid, most of the students showed higher learning achievement than the lecture class students. In addition, in terms of scientific attitude toward science subjec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we obtained more positive result in the group apply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PCR teaching aid. Based on this, we confirmed that the use of the teaching ai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elaboration of concept of life sciences curriculum. The use of PCR teaching aid has also shown that it helps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class to have convenient instruction and effective teaching. Taken together, using PCR teaching aid is a more efficient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concept of PCR. However, it is not intended to claim that the use of the teaching aid is indispensable for every learning. Clearly, proper use of the teaching aid will help students learn. By extension, by applying the developed PCR teaching aid in this study, we expanded the scope of teaching and learning of PCR concept it is expected to be an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 for explaining the principles of DNA replication, which is the basis of genes and biotechnology and the principle of DNA sequencing, which is similar to PCR principles.

      • 스타트업의 로고 디자인에 대한 태도 요인 연구 : 선호와 기능성을 중심으로

        이연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 world of growing enterprises and industries, how did logos come to be so important? And why have they become such an integral aspect of a company’s branding? They often say that a picture is worth a thousand words, the reason being that an image, in one glance, can communicate more clearly an intended message than would a lengthy text. It isn’t so farfetched to conclude then, that a pictorial is more fruitful and attractable to audiences, for toddlers and adults alike. Symbols are a concise and precise way to communicate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starting businesses, the correct choice of logos for their companies can either make or break them. My thesis will attempt to explain the importance of logos and why their place in a growing market is indispensable. Starting companies (or Start-up as we will refer to them in this thesis) are up and coming companies with groundbreaking technologies and innovative ideas that provide a necessary shift in the set paradigm of existing industries. They bring in challenges and competition that positively affect economic growth, and set in motion the wheel for employment rates to increase. In Korea currently, there are many “Start-up” companies. Due to the growing number of openings; many people have now adopted the entrepreneurial mindset. As the number of Startup companies increases, so does the practicality of Logo Design. Its importance is especially emphasized in its unique ability to differentiate companies from their competitors, setting them apart as entities of their own, and sequestering any part of ‘likeness’ they might share in order to bring about a more original ‘start’ at the company’s opening. In the overheated competition market, logos have now become indispensable. They are being used as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company, in other terms its face and identity. Brand logos are the primary means of consumer attraction for companies as they play a key role in not only raising their brand’s awareness amongst the general public, but also in helping overcome the limitations a small business might encounter with their marketing strategies and initial capital fees. “Start-up” expenses tend to be small compared to their megalithic counterparts. Yet the importance of branding is still as relevant to them as it is to their competitors. Many of them, in fact, are aware of the need for Logo Design, and the demand for their services is at an all reaching high. The reality is, however, that Start-ups are quite limited within the design of their firms, and suffer consequently as a result. Previous studies, such as the “Logo design guidelines” and the “preference studies” have shown that compared to SMEs and other large corporations, there is a lack of resources being put towards starting companies. It further necessitates the need of Logo Design for these companies to be implemented to give them a fair chance at growth and continuous prosperity. Logo Design doesn’t only aim to please its consumers with aesthetics; it also aims to expand its necessity in order to place itself as an important part of a company’s management strategy. Too many non-design issues such as organizational culture, communications and such, fall out of the jurisdiction of designing whereas they should be used as multi-faceted solutions. Logos are what help create a connection between a company and its consumers. The higher the level of relatedness is, the easier it is to attract customers. Whether that be through the color the logo displays, or the image used to represent the brand, (an image in all likeness that may or may not resembles something the consumer likes or something he / she is familiar with,) there is no denying that it establishes a connection. However, just as logos can cause connections, they can also sever them, the main way being through confusing imagery. When the creation is especially erroneous, it can adversely affect the company’s brand negatively. If you create a brand logo without defining its corporate identity or vision, you will fail in coming up with an appropriate image that correctly represents what it stand for, and in turn will have to spend a lot of time and money to correct it. A key element of branding identity; Logo desig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a company can indulge in. It visually expresses its branding through cognitive imagery that can trigger the preference factor among consumers and establish the loyalty the company wishes to instill within them. Logo Design in itself is a function meant to satisfy one’s personal preference. However, if that was all it was, it would be too personified. Logo design also has the daunting task of expressing what the brand stands for, in other terms expressing its identity. Aestheticism and functionality are both elements that are indispensable to the operations of a company.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tudy consumer’s understanding of subj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lifestyle, and preferences. This directly corresponds to human subjectivity, and showcases how their behaviors cannot understand a social phenomenon to its existing one correctly. A method known as the Q methodology is then used as an alternative, since it can better grasp the human essence and social phenomenon. The premis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solely focuses on the subjective viewpoint of audiences. Based on this background, we can see how the acceptance of a logo design is achieved. There are two conditions of instruction that need to be met. The first being preference, and the second functionality. The challenge was in discovering whether these elements exist independently or interactively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solve this enigma, the Q methodology was applied and through it four types of consumer preferences were uncovered in relation to Start-Up’s logo design. In this study, a total of 53 Q samples (Start-Up logos) were used and applied to a Q sorting of 30 P samples (respondents), with the following results obtained with the QUANL analysis program. As mentioned above, there are four types of preference and functionality for Start-Up logo designs, their names respectively being: “Intuitive seeking type – Application and creativity type – Functional meaning type – and Memory seeking type.” The first type, being the “intuitive seeking type” was characterized by its intuitiveness, clarity and functionality. It’s a type of logo that showcases the identity of a company through intuition.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rrectly choosing a symbol that is suitable for the image of the company, and puts a high emphasis on using readable fonts that can express its element well. Being able to recognize a company intuitively is crucial as it distinct it from other not to intuitive logos. Using a symbol mark that can clearly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any is a fruitful and advantageous choice. The second type, known as the “application and creativity type” was characterized through its usage of creativity. Type 2 is a logo that shows great creativity in its application. It showcases the importance of designing a distinctive logo that represents the company’s identity through simple composition but a unique aesthetic style that is implicit and practical in its design. The third type is the “functional meaning type.” It was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al, semantic, and associative traits. Type 3 brings in the philosophy and value of the company by appropriately choosing colors and schemes that match the functional aspect and semantics of the brand. The fourth and final type is named “the memory seeking type” characterized by familiarity, ease and clarity. Type 4 is a type of logo that is easy to remember, it’s distinct in the way that the pattern it uses aren’t distinctive but familiar. It uses simple form and avoids using too many components that are confusing. In this study, we found that discovering and understanding schemata, which is a combination of preference and functionality combined into a specific form, gives a strategic perspective on the logo design of Startup companies. It suggests that we use directionality as a guideline for the logo creation in the future. 스타트업은 혁신적 기술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보유한 신생 기업으로 기존 산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경제적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고성장‧고수익 가능성을 지닌 스타트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나날이 커져가고 있는데 스타트업의 대대적인 성공과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까지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보아 기업 규모만을 따지는 단순한 용어를 넘어섰으며 현재에도 새로운 의미를 더해가고 있다. 또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하는 유사한 기업 형태인 벤처기업 또는 초기 창업기업과 혼돈되어 사용되기도 하나 스타트업은 고도의 기술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고 있으며 가벼운 몸집으로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하며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신생기업 이라는 점에서 그 특징이 분명하기에 기존 기업과는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국내에도 뜨거운 창업 열기로 인해 수많은 스타트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 경쟁력이 강화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선택은 질적 변화를 추구하는 양상을 보이며 자신에게 맞는 것, 자신의 취향과 부합하는 것으로 다양화‧고도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타트업에게 최적화된 가이드라인과 소비자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스타트업은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브랜드에 대한 차별화와 더불어 시각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브랜드 로고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스타트업에게 로고는 소비자들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기업이나 브랜드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효과적인 시각적 수단으로 사용되며 영세하고 자본이 없는 초기 스타트업의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경쟁 업체로부터의 차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는 단순히 심미적 요소의 창조를 목적으로 하는 것에서 벗어나 기업의 중추적인 경영 전략으로 그 역량이 확장되고 있으며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조직문화, 의사소통, 경영정책 개발 등 많은 비 디자인적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다각면으로 활용 되고 있다. 하지만 스타트업은 본질적인 특성상 혁신을 바탕으로 단시간 내 급격한 성장을 이룰 수도 있기에 아직 기업의 정체성이나 비전이 정의되지 않은 상태에서 브랜드 로고를 잘못 만들 경우 브랜드 가치 공유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를 바로잡기 위한 많은 시간과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스타트업은 브랜딩의 중요성을 인지하면서도 현실에서는 경제적인 근본적 이유와 함께 의뢰하는 회사의 특성에 따라 한계에 부딪히기도 하는데 현재 스타트업의 브랜드 작업을 위한 로고 디자인에 대한 수요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자금 조달 문제를 제외 하고도 공급 면에서 양극화 되어 있는 실정이며 기초 지식과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태에서 기업이 스스로 제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에 앞서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브랜드 로고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고 로고와 관련해 몇 가지 관점들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본 연구 주제인 스타트업 로고 디자인과 관련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전반적으로 스타트업에 대한 현황 분석이나 스타트업 기업을 위한 브랜딩 프로세스, 스타트업에서의 디자인 역할 인식과 활용 등의 연구들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스타트업의 로고 디자인에 대한 수용자 개인의 취향, 신념, 아이디어와 같은 주관적인 특성을 토대로 인간의 주관성을 이해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고 기존의 방법론(R)으로는 수용자의 내적 틀과 같은 인간 행위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기에 인간의 본질과 사회 현상을 파악할 수 있는 Q 방법론을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또한 디자인이라는 것이 개인의 선호를 충족시키는 기능도 하지만 로고는 특정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표출하는 궁극적 기능도 수행하기 때문에 선호와 기능성 양 요소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요인에 대한 연구와 이해도 필요하기에 선호와 기능성 이라는 두 가지 지시조건을 주어 로고 디자인에 대한 수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두가지 요소들은 각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지 아니면 상호작용을 통해 존재하는 구조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방향의 기본 전제는 바로 스타트업 로고 디자인에 수용자의 주관적 관점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며 인간의 주관성을 목적으로 하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스타트업 로고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선호와 기능)에 대한 4가지 유형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총 53개의 Q 표본(스타트업 로고)을 이용하여 30명의 P 표본(응답자)에게 소팅을 하였으며, 요인분석 프로그램인 QUANL을 사용하여 결과물을 얻었다. 연구를 통해 발견된 스타트업 로고 디자인에 대한 선호와 기능성의 유형은 총 4가지로 나타났는데 “직관적 인지 추구형”, “응용과 창의성 추구형”, “기능적 의미 추구형”, “기억 용이성 추구형”으로 각각 명명하였다. 유형별 해석은 분석 결과 나타난 각 유형간 상관관계지수, 유형별 점수표, 각 P 표본의 심층 인터뷰 등을 통해 얻은 내용들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각 유형별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제1유형인 ‘직관적 인지 추구형’은 직관성, 명확성, 기능성 이라는 특징이 나타났다. 1유형은 로고를 이루고 있는 요소들이 회사의 정체성을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기능적으로 충실한 역할을 하는 로고를 선호하는 유형이다. 1유형에게는 기업에 대한 명확한 특성과 정보를 부각시키고 직관적인 연상이 가능한 심벌마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컬러 또한 기업의 대표적인 특성에 부합하는 연성있는 상징적인 컬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기업의 가독성 높은 서체를 사용하여 브랜드명을 직관적으로 인식 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제2유형인 ‘응용과 창의성 추구형’은 창의성, 응용성, 심미성, 현대성 이라는 특징이 나타났다. 2유형은 응용과 변화의 요소를 통해 다른 로고와는 다른 차별적인 특징을 보이는 로고 즉, 창의성이 돋보이는 로고를 선호하는 유형이다. 기능적인 측면 보다는 심미적면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로고의 멋과, 함축적 미를 통해 그 안에서 재치와 기교의 요소를 찾을 수 있는 창의적인 형태를 선호하며 현대적인 감각을 반영한 듯한 심플하면서 간결한 스타일로 디자인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3유형인 ‘기능적 의미 추구형’은 기능성, 의미성, 연상성의 특징이 나타났다. 3유형은 로고 속에 담겨있는 의미를 중요시 하는 유형으로 로고의 각기 요소들을 통해 기업의 특성과 철학, 가치 등을 연상할 수 있어야 한다. 브랜드명 또한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였는데 브랜드명에 담겨있는 의미가 오해 없이 기업을 나타내 주어야 하며 컬러랑 서체 역시 기업의 철학과 의미를 설명할 수 있는 기능적인 측면과 부합한 디자인으로 제작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4유형인 ‘기억 용이성 추구형’은 친숙성, 용이성, 명시성의 특징이 나타났다. 4유형은 익숙하고 주변에서 많이 봐왔던 친근한 이미지가 담겨있는 디자인을 선호하는 유형이며 작고 많은 요소들 보다는 크고 단순한 형태를 주로 사용하여 기억 용이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브랜드명은 신조어나 합성어의 사용은 지양하고 직관적이고 쉽게 인식이 가능하도록 일반적으로 친숙하거나 짧은 단어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컬러 또한 눈에 잘 들어오도록 넓은 면적으로 사용하며 채도가 높아 뚜렷해 보이는 컬러를 사용하여 무엇보다 쉽게 인지가 가능하도록 디자인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초기 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니며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스타트업에 대한 학문의 폭을 넓히며 이론적 틀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예비창업자 또는 기존의 기업에게도 적용범위를 확장시키고 타당한 분석적 시각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며 선호와 기능성이 결합되어 특정형태로 유형화되는 수용자의 주관성 구조를 발견하고 이해하는 것은 스타트업 로고 디자인에 대한 전략적 관점을 발견하고 향후 스타트업의 로고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서 방향성을 제시하며 기초 자료로 사용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