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여성 생활무용 참여자의 운동욕구가 재미요인 및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연서 우석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1871

        <Abstract> Influence of Exercise Desire of Adult Woman Participant in Living Dance on Fun Factor & Intentions to continue Participation Yi yeon-Seo Major in Dance Dept.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 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Sohn, Jeong J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difference in exercise desire consequent on the individual properties of adult women participants in living dance, and inquire in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desire and fun factor & intentions to continue participation, and their relative influence. To achieve such a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340 samples of adult women aged over 19 living in the region of Jeonlabuk-do, and finally used 320 samples for data analysis after excluding 20 samples whose responses were judged to be unfaithful.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in an effort to inquir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ed SPSS Win.18.0 and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statistical technique.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 method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could drew the conclusions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exercise desire consequent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ppea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 desire, health desire, purification desire, display desire, and body-type desire in case of age; in case of a vocation, there appea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 desire, health desire, purification desire, display desire, sociality desire, and body-type desire; in case of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appea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 desire, health desire, purification desire, sociality desire, and body-type desire. In addition, as for the difference consequent on one's health condition, there appea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 desire, purification desire, display desire, and bod-type desire; in case of participating period, there appea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 desire; in case of participating frequency, there appea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desire and purification desire, and in case of participating time, there appea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desire, and body-typy desire.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desire and fun factor, it was found that health desire, purification desire, and sociality desire showed a parti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petency while play desir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competency; health desire, purification desire, and sociality desire showed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desire and intentions to continue participation, it was found that health desire, purification desire, and sociality desire showed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ntions to continue participation. Thirdly, the achie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 factor and intentions to continue participation was found to show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ntions to continue participation. The above conclusions taken together, exercise desire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was found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fun factor and intentions to continue participation; in addition, fun fact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ntions to continue participation. Accordingly, it's advisable that there should be an aggressive conception of a diversity of schemes and coping strategies that can double the fun factor in dance through participation in living dance by grasping the exercise desire of adult women participants in living dance and fully meeting their desire,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intentions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living dance. <국문초록> 성인여성 생활무용 참여자의 운동욕구가 재미요인 및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연서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본 연구는 성인여성 생활무용 참가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동욕구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운동욕구가 재미요인 및 참여지속의도와의 상호관련성 및 상대적 영향력에 대하여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여성 340명을 표집 하였으며, 이중 응답이 불성실한 20명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자료 분석에 사용된 인원은 32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SPSS Window 18.0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일원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욕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은 유희욕구, 건강욕구, 정화욕구, 과시욕구, 체형욕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직업은 유희욕구, 건강욕구, 정화욕구, 과시욕구, 사교욕구, 체형욕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력은 유희욕구, 건강욕구, 정화욕구, 과시욕구, 사교욕구, 체형욕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건강상태에 따른 차이는 유희욕구, 정화욕구, 과시욕구, 체형욕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참여기간은 유희욕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참여빈도는 건가욕구, 정화욕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참여시간은 건강욕구, 체형욕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운동욕구와 재미요인의 관계에서 건강욕구, 정화욕구, 사교욕구가 유능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유희욕구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욕구, 정화욕구, 사교욕구는 성취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욕구와 참여지속의도의 관계에서 건강욕구, 정화욕구, 사교욕구가 참여지속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미요인과 참여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성취성은 참여지속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운동욕구는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운동욕구는 재미요인과 참여지속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미요인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여성 생활무용참여자의 운동욕구를 파악하여 이들이 지니고 있는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켜주어 무용참가를 통해 무용이 주는 재미요인을 더욱 만족시켜주는 동시에 무용참여지속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 모색과 대처전략을 적극적으로 구상해야 할 것이다.

      • 상위 수준 중학생의 영어 토론 글쓰기에 대한 평가와 동료 피드백 유형 분석

        이연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act of high-level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compositions on discussion topics and performing peer feedback activities by level on their writing skill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improving their writing learning skills, through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ir writings, by writing in English. This will be based on the genre of 'writing on controversial topics' and exchanging peer feedback by level. To this end, a peer feedback group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levels through a preliminary writing evaluation using IELTS writing task metrics. Then learners spent five weeks writing English compositions and doing level-differentiated peer feedback activities on various discussion upperics. Through this, we analyzed the types of peer feedback provided by upper/lower group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difficulty of pre- and post-learner English composition using the FlashKincade program, and conducted a survey to find out learners' perception of English writing and peer feedback activities. The findings identifi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ree assessors of learners' pre- and post-English composition, utilized IELTS writing task metrics to provide detailed descriptions and scores of four domains: task achievement, text coherence and cohesion, lexical resource, grammatical range and accuracy, for each learner. At this time, assessors had conflicting comments and scores for some learners. Second, based on the evaluation of pre-writing, students were divided into upper/lower groups and analyzed the level-specific peer feedback types provided by the ‘upper↔upper’, ‘upper→lower, lower↔lower, ’lower→upper' groups. Both groups focused on the 'grammar' and 'other' areas (punctuation, spelling error, etc.). But if the data was analyzed in groups, both groups provided lots of feedback to the same group learners across the entire domain of 'organization and content, vocabulary, grammar, and others'. In particular, for upper learners, they gave an overwhelming amount of feedback o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domain to other learners, who were in the same group. Third, the difficulty of English learners' compositions were analyzed by FlashKincade program. In terms of the program, if the grade number is high, it is easy to read and vice versa. The total group average was 70.9, which is the 7th grade level in the United States, with a total standard deviation of 9. The total average of each group was the same as 70.9, but the difference in sentence difficulty among learners in the subgroups seemed to be large, considering that the lower-level subgroup was 2.5 higher than upper-level subgroup in standard deviation. Looking at the difficulty of pre-/post-English sentence by group, the upper-level group had a total pre-/post average of 71.2 to 70.6, with a total standard deviation of 9.0 to 6.5, indicating that the upper-group’s post-English composition could be read by a slightly higher-grade in the United States than pre-English composition. On the other hand, lower-level group’s postmortem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1.2 and 0.5 higher than before, indicating that learners with slightly lower grades could read English compositions. It also indicated that there was a greater difference in the level of writing in the group. Finally, the learner's pre-/post-recognition survey of English composition and peer feedback activities showed that the learner was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learning English in the pre-survey, but the degree of recognition for the English writing domain was somewhat low. Later, in the post-survey, learners responded positively to English composition practice and peer feedback activities, but this was contrary to the research results because the learners’ writing skills were lower in post-evaluation than in pre-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conclusion is that English composition practice and level-differentiated peer feedback activities, do not have positive impact on learners' writing skills, given the numbers of several analytical tools. However, in view of the learner's psychological positives about this activity, unlike the numerical conclusions, a well-organized plan would result in different conclusions from the current results. Therefore,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while conducting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 order for upper-level middle school students to practice effective English composition and engage in peer feedback activities by level, considering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in selecting discussion topics in advance, is necessary. Also, training raters to increase rater-reliability is important, though the raters use concurrent scoring criteria. In planning English composition practice and peer feedback activities, psychological perturbations of learners' performance by a deadline, should not act as external variables; if a teacher informs feedback types in advance, rather than freely exchanging feedback, the result can be more posi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study on the familiarity with topics and the provision of systematic peer feedback to analyze more accurate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upper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본 연구는 상위 수준 중학생의 토론 주제에 대한 영작문과 수준별 동료 피드백 활동이 그들의 영어 글쓰기 실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위 수준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논쟁적 주제에 대한 글쓰기󰡐라는 장르를 기반으로 영작문을 하고, 수준별 동료 피드백을 주고받게 하여 이들의 글에 대한 평가와 분석을 통해 중학생의 영어 글쓰기 학습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이엘츠 글쓰기 과업 지표를 활용한 사전 글쓰기 평가를 통해 동료 피드백 집단을 상위와 하위로 나누었고, 학생들은 5주간 다양한 토론 주제에 대한 영작문과 수준별 동료 피드백 활동을 했으며, 이에 따라 상/하 집단별 제공하는 동료 피드백 유형을 분석했다. 그리고 플래쉬킨케이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사전/사후 영작문 난이도를 살펴보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영어 글쓰기와 동료 피드백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위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확인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사전/사후 영작문에 대해 세 명의 평가자가 아이엘츠 글쓰기 과업 지표를 활용하여 학생마다 ‘과업 성취도’, ‘글의 일관성과 응집력’, ‘어휘력’, ‘문법 사용범위와 정확성’이라는 4영역에 대한 자세한 논평과 아이엘츠 밴드(점수)를 부여하였다. 그 결과,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모두 사전 글쓰기보다 사후 글쓰기에서 평균은 감소하고, 표준편차는 증가했다. 이때, 일부 학생에 대해 평가자마다 논평과 밴드(점수)가 엇갈리는 경우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전 글쓰기에 대한 평가를 기준으로 상/하 집단으로 나누고, ‘상↔상’, ‘상→하’, ‘하↔하’, ‘하→상’ 집단이 제공하는 수준별 동료 피드백 유형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문법’과 ‘기타’ 영역에 치중해서 피드백을 제공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집단별로 분석하면, 두 집단 모두 본인과 같은 집단 학생에게 ‘구성 및 내용’, ‘어휘’, ‘문법’, ‘기타’라는 전 영역에 걸쳐 많은 수의 피드백을 제공했다. 특히, 상위 학생의 경우 하위 학생보다 같은 집단인 상위 학생에게 ‘구성 및 내용’ 영역에 대한 피드백을 압도적으로 많이 주었다. 셋째, 플래쉬킨케이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영작문 난이도를 살펴보았다. 이 프로그램에서 등급의 숫자가 높을수록 읽기 쉬운 글이며 낮을수록 읽기 어려운 글임을 나타낸다. 실험 결과, 학생들의 전체적인 영작문 난이도는 미국 기준으로 7학년 수준이었다. 집단별 총평균은 같으나 표준편차에 있어서 하위 집단이 상위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하위 집단 내 학생의 문장 난이도 차이가 컸음을 알 수 있었다. 집단별 사전/사후 영작문 문장 난이도를 살펴보면, 상위 집단은 사전 글쓰기보다 사후 글쓰기에서 평균과 표준편차가 낮게 나왔는데, 이는 상위 집단 학생들의 영작문이 사전보다 사후에 미국 기준으로 학년이 조금 더 높은 학생이 읽을 수 있는 글이며, 집단 내 영작문의 난이도 차이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하위 집단은 상위 집단과는 반대의 결과를 얻었으며, 이는 미국 기준으로 학년이 조금 더 낮은 학생이 본 연구의 하위 집단 학생들의 사후 영작문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집단 내 글의 난이도 차이가 더 났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영작문과 동료 피드백 활동에 대한 학생의 사전/사후 인식조사를 한 결과, 학생들은 사전 설문에서 영어 학습의 중요성은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나 영어 글쓰기 영역에 대한 중요도 인식 정도는 다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 사후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영작문 연습 및 동료 피드백 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도움을 받았다고 답했으나, 학생들의 글쓰기 실력이 사전 평가보다 사후 평가에서 더 낮게 나왔기 때문에 이는 연구 결과와는 상반되는 응답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러 분석 도구의 수치를 고려할 때, 영작문 연습 및 수준별 동료 피드백 활동이 학생의 쓰기 실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그러나 수치상의 결론과 달리 이 활동에 대해 학생이 느낀 심리적인 긍정을 볼 때, 체계적인 계획을 잘 수립한다면 현 결과와 다른 결론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상위 수준의 중학생이 효과적인 영작문 연습 및 수준별 동료 피드백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토론 주제를 선택할 때 학생의 배경지식을 미리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에 공인된 평가 지표를 활용한다고 할지라도 채점자 간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훈련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영작문 연습과 동료 피드백 활동을 계획하는 데 있어, 적절한 시기를 고려하여 학생의 성적 산출 마감 등에 대한 심리적인 동요가 가외 변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료 학생들이 상호 자유롭게 피드백을 주고받는 것보다 교사가 미리 피드백 유형을 알려준다면 더욱 체계적인 동료 피드백 활동이 가능해져서 글쓰기 학습 효과에 더욱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상위 중학생 영어 글쓰기와 관련한 보다 정확하고 포괄적인 이해를 분석하기 위해 주제와의 친밀도와 체계적인 동료 피드백 제공과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교권에 대한 중등 사회과 교사의 인식 연구

        이연서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thoughts on the current violations of the right to teachers and the phenomenon of the right to teachers in depth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violation, the gap in the right to teachers, and how to enhance the right of teachers. To this end, we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10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found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causes of the infringement as" the ill-conceived human rights consciousness of students who only think of their own rights and don’t think of others’ rights," the lack of faith in teachers and the change in perceptions" and the lack of definition of the education office’s concept of teaching right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correct human rights awareness for the wrong perception that only requires one's own rights without respect for others. Second, teachers have generally underrated their current respect for and protection of the right, and indicated that they have experience in the decline of the right.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is lapse in teaching rights have been shown to be felt by older teachers.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could be found an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em as" a conflict phenomenon resulting from differences in perceptions among generations." Third, regarding the causes of the gap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 majority of teachers said that it is an "anom phenomenon" in which society changes rapidly and the norms of the past disappear and new norms are created. In addition, he referred to "improving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parents" and "developing mass media." Thus, the cause of the gap in teaching rights was found to be in a society that was changing rapidly from day to day, whereas the rate of change in people's perception was slower than the rate of change in society.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manuals and situation-specific response guides for teachers who can be used in real-world education sites. Fifth, trust and effort between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each other is needed. In order to create a shared educational scen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such as training, forums and camps where they can gather together to listen to each other and share their opinions. Sixth, education is needed to reduce the burden on entrance exams and learning progress and to create a community togeth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ducted in-depth research on social phenomena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social and educational affairs, including vivid voices of teachers on social disparities that were not found in quantitative and prior studies. Furthermore, given that the government has asked questions about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gap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teaching rights in Korean society and tried to present solutions through society and education as well as education community, law and system, it could contribute to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mutual respec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한국 사회의 교권침해와 교권괴리현상에 대한 교사들의 생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교사들의 입장에서 바라본 교권침해의 원인, 교권의 괴리현상, 교권의 신장방안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 사회과 교사 10명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교사들은 교권침해의 원인을‘자신의 권리만을 생각하고 타인의 권리를 생각하지 않는 학생들의 잘못된 인권 의식’,‘교사에 대한 믿음 부족 및 인식의 변화’,‘교육청의 교권에 대한 개념 정의 부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타인에 대한 존중 없이 자신의 권리만 요구하는 잘못된 인식에 대한 올바른 인권 의식 정립이 제대로 갖추어져야 할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현재 교권에 대한 존중과 보호에 대해 대체로 낮은 평가를 했으며, 교권의 실추상황 경험이 있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교권의 실추 현상으로 인한 어려움은 교직 경력이 오래된 교사들일수록 많이 느끼고 있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세대 간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세대 간의 인식 차이에서 비롯되는 갈등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과거와 현재 교권의 괴리현상의 원인에 대해 과반수의 교사는 사회가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과거의 규범은 사라지고 새로운 규범이 생겨나는 과도기적 상황 속 규범에 대한 혼란을 겪는 ‘아노미 현상’이라고 답했다. 이 외에도‘학부모의 학력 수준 향상’, ‘대중매체의 발달’을 언급하였다. 따라서 교권의 괴리현상의 원인은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 있으며, 이에 비해 사람들의 인식변화 속도는 사회의 변화 속도에 비해 느리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넷째, 실제 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사들을 위한 맞춤형 매뉴얼, 상황별 대처 안내집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육공동체 서로 간의 신뢰와 노력이 필요하다. 함께하는 교육현장을 만들어나가기 위해 교사, 학생, 학부모가 함께 모여 서로의 목소리를 듣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연수, 포럼, 캠프 등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입시와 학습 진도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함께하는 공동체 사회를 만들어나가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을 담당하는 중등 사회과 교사 10명과 심층면담을 통해 교권이 가지는 사회적 현상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양적 연구 및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교권의 사회적 괴리현상에 대해 교사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아 심도 있게 파헤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대한민국 사회 과거와 현재 교권의 괴리현상의 근본적 원인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교육공동체, 법과 제도뿐만 아니라 사회과 교육을 통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는 점에서 교권보호 및 교사와 학생의 상호 존중을 위한 교육 방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전통혼례복을 응용한 뷰티아트 디자인 연구

        이연서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아름답고 가치 있는 ‘한국의 전통 美’는 오랜 시간 역사와 함께 한국인에게 가장 어울리는 생김새, 정서, 비례, 색상과 소재 등을 사용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혼례는 역사적으로 이어져 내려온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자 관습이며, 선조들의 가치관과 생활양식, 감정의식이 잘 반영된 전통혼례복은 다소 무거울 수 있는 전통의 개념에 현대의 시대적 감각을 더해 재창조 될 수 있는 충분한 미적 가치가 있다고 보고, 메이크업 분야에서도 관심도를 높인다면 미적인 창조 활동을 통해 얼마든지 시대에 발 맞는 학문적 분야로 만들어져 나갈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첫째, 한국 전통혼례복에 대한 이론적 연구로 전통혼례복의 종류와 특징, 전통문양, 전통색채에 대하여 분류, 분석해 보고자하며, 둘째, 아트 메이크업과 고전머리스타일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다른 분야에서 사용된 디자인 사례 및 선행논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전통혼례복을 모티브로 현대적 요소와 웨딩의 이미지를 접목한 아트 메이크업과 신부 헤어스타일에 대한 뷰티아트 디자인의 재해석을 시도하며 넷째, 기존에 주로 다루었던 소재에서 벗어난 예술적 표현으로 새로운 작품유형을 제시하고자 하며 토르소 바디와 모델에게 각각 4 작품씩 총 8 작품에 대한 조형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혼례복의 특징은 우리 조상들의 얼이 담긴 문화유산이자 선조들의 내면과 정신세계의 모습을 외적으로 표현하는 복식으로써 중요한 문화적 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탱화나 민화, 전통 문양, 오방색 등의 주제에 비해 전통혼례복에 대한 미용학적 디자인 연구가 없었던 점을 계기로 그 가치와 우리 민족의 삶을 상징하는 미적 가치를 독창적으로 새롭게 시도하였다. 셋째, 전통혼례복을 주제로 동양적 모티브에 서양적 표현과 재료를 가미한 접근방법을 모색함으로 동·서양의 조화, 과거와 현대의 조합으로 뷰티아트의 디자인 개발을 통해 한국적인 미(美)를 표현하였다. 넷째, 아트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의 영역이 기존의 주요 소재, 패턴에서 벗어난 신선한 주제로써 표현방법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의 무한한 표현 가능성과 전통의 미를 재발견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을 통해 전통혼례복을 응용한 뷰티아트 디자인을 연구해 봄으로써 다시 한 번 우리 전통의 의미와 가치를 되짚어 보고, 전통문화 계승의 대중화에도 도움이 되고자 한다. 아울러 미용예술학적 문화 콘텐츠로 예술성과 창의성을 높이고, 아트분야의 개척에 기여되길 바란다.

      • 간병 보장 강화를 중심으로 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방안

        이연서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strengthen care coverage by improve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s and ensuring care in the home care area because the nursing care is still burdened on the household despite the health insurance protection strengthening polic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plans of strengthening care coverage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health insurance protection strengthening policy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the interview survey analysis of the expert group and the health insurance member group.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health insurance protection strengthening policy is more advanced than the previous policies in that it aims to provide more universal guarantee through all benefits for non-payment service with medical necessity and to expanse benefits of poor group, but the policy is analyzed insufficient Financial stability, moral hazard, and medical fee system reforms for the sake of sustainability. It is analyzed that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has been such a problem for the service operating system (ambiguous role sharing), lack of nursing staff, lack of compensation system for services, and that other care in the home care area still has been burdened on the household, and the quality of care is vulnerable. In order to improve this vulnerablity, it will be necessary to which can be financed financial stabilization through financial expansion and efficiency of expenditure and to find a rational medical payment system for control over excessive medical expenses and quality management of medical care, and to establish for medical transfer system.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plan to prevent financial leakage through institution's operating system maintenance. In order to improve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it is necessary to solve shortage of supply the nursing manpow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at should be improved treatment for nurse, such as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and compensation through proper system of the fees for nursing care. Al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ser 's perception of the service, and to give local small hospitals additional support. It is also necessary to monitor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s at the government level,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he workforce through educ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qualification for the caregiver workforce, to manage environment.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llness or the patient's condition, a different hospitalization method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strengthen care coverage for home care, it is possible to consider providing a care service by using a care organization linked with a hospital, and to plan to refer to the developed Japanese medical care - welfare complex system. In addition, it would be possible to consider providing voucher-type in-kind benefits, and utilizing social service areas and public health centers service. It is hoped that this kind of support for home care will help reduce the burden on the household, as well as help systematically manage rehabilitation and reintegra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of the patient after discharge, thereby promoting the patient 's return to daily life. Today, private care service in Korea is unique. Nursing services including care services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in nursing manpower's role in developed countries, and institutional devices such as rational payment compensation system and quality evaluation have been established and care in home area is ensuring in the area of social insurance. So,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Korea should also provide a more effective care guarantee scheme using the role model of the care guarantee system in developed countries.

      • 고맥락·저맥락 광고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Hall의 맥락이론을 중심으로

        이연서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오늘날 기술의 발달과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국가 간의 경계를 허물고 전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인식하고 경쟁하는 글로벌 기업의 등장을 초래했다. 이와 같은 상황으로 인해 국가의 개념은 약화되고 공통된 문화의 가치를 향유하는 글로벌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은 특정 국가의 소비자가 아닌 전 세계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글로벌 광고의 역할을 중요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글로벌한 제품은 있을 수 있지만 완벽히 글로벌한 인간은 있을 수 없다.”라는 말처럼 소비자는 공통된 문화와 가치를 향유하고 있지만, 문화적 사고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에 차이가 존재하므로 글로벌 광고를 받아들이는 소비자의 태도는 문화권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Edward T. Hall(1976)의 맥락 이론을 중심으로 고맥락·저맥락 광고가 문화적 사고 차이에 따라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연구를 진행했다. 고맥락 광고는 한국의 시대적 상황과 사회 분위기에 공감대가 있어야 광고 메시지 이해가 가능한 쌍용그룹의 기업 PR광고로 선정했다. 미국의 저맥락 광고로 코카콜라와 펩시콜라의 비교 광고를 선정했다. 한국의 고맥락 광고는 쌍용그룹의 기업 PR(public relation) 광고이다. 당시 한국의 시대적 상황과 사회 분위기에 대한 지식과 감정적 공감대가 있어야 광고 메시지 이해가 가능한 감성 광고로 선정했다. 한국인 100명과 미국인 100명 총 20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 후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고맥락 광고와 문화적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저맥락 광고는 한국인과 미국인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홀(Hall)의 맥락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로서 비록 같은 콘셉트를 가지고 광고를 집행하더라도 각 나라의 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하는 것이 소비자와 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그러나 과거 선행논문과 달리 홀(Hall)의 맥락 이론이 미비한 차이로 지지된 것은 본 연구의 중심 이론으로 사용된 에드워드 홀의 맥락 이론은 1950~60년대 발표된 이론으로 현재 한국과 미국의 사회 경제적 변인 요소로 인한 문화적 사고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직접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제작된 저맥락 광고가 모든 문화권에 통용될 수 있는 표준화된 광고라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동일한 광고를 보더라도 이를 지각하는 소비자의 문화적 사고에 따라 태도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글로벌 소비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광고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세계성(global)과 지역성(local)을 함께 담고 있는 고맥락 성격의 글로컬(glocal) 광고의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Nowadays, the rapid improvement of technology and media blurred boundaries between nation and brought about stiff competition among global enterprise. As this situation continues, the concept of the nation state is weakened and global consumers who enjoy a common culture and value have appeared. Accordingly, most of the enterprises focus on global advertisements containing messages targeted at consumers all over the world rather than at consumers in a particular country. However, as the saying goes, “There can be a global product, but there cannot be a global person.”, consumers enjoy a common culture and value but as a difference exists in communication due to cultural thinking, the attitudes of consumers differ. Therefor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an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Context Theory' of Edward T. Hall to find the effects of high context/low context on consumers' attitudes with the difference in cultural thinking. The SsangYong Group's PR advertisement which was printed in the The Chosun Ilbo(newspaper) in May of 1984 was chose as a high context advertisement of Korea and the comparative advertisement of Coca-Cola and Pepsi-Cola was chose as a low context advertisement of the United States. A survey regarding consumer attitude was conducted among 100 Koreans and 100 Americans (a total of 200 people) a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SPSS WIN 18.0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a high context advertisement which reflect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 low context advertisement which doesn't reflect cultural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Korean and American consumers' attitudes. This outcome supports the 'Context Theory' of Hall and it is seen that even though a same concept is used in an advertisement, considering each country's cultural characteristics is a more efficient way of communication. This paper supports Hall's 'Context Theory' more so than previous theories because it was published in the 1950-60s and there has been a change in cultural thinking due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modern Korea and the USA. Nevertheless, this research raises a question about whether low context advertisements can be set as a standard advertisement that can be wed in any culture. This paper also proves that the perceiving consumers' attitudes towards one advertisement can differ among people. Thus, in order to deliver an effective advertisement communication to global consumers, more research of high context 'glocal' advertisements, containing both global and local aspects, is necessary.

      • 디아스포라적(Diasporic) '혼종성'(Hybridity)을 현대적 관점으로 재해석한 바디아트 디자인 연구

        이연서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In a modern globalized society, people live in multicultural environments where new cultures are being created through exchanges and integration rather than adhering to indigenous culture. In fact, diverse spheres have been mixed while people live in an infinite time and flowing space. Such a phenomenon has been further accelerated with the emergenc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In fact, it has even expanded to formative art. ‘Hybridity’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phenomenon and one of discourse for modern people who live in an age of diverse experiences brought about by the expansion of cultural exchange an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n exten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ost-colonial society. In particular, cultural hybridization is essential as the heterogeneous hybridity of active cultural exchange is needed for new and fresh art with the expression of a ‘multicultural co-existence within former colonies’. With the perception of two identities called ‘diaspora’, a continuous clash of egos is experienced. The ambivalence and hybridity of post-colonialism have led to the creation of new cultures. In ot-her words, the outcome resulting from such a clash of identities is the starting point of a new creation. In art, hybridization is inseparable, just like cultural mestization. Therefore, this study took ‘diasporic hybridity’ as the core from a modern perspective. Under such a premise, it classified the historical problem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social change issues and challenges into four categories: time-space hybridization, class hybridization, colony hybridization, and gender hybridization. In terms of time-space hybridization, in Design I, Zainichi Koreans, or Koreans who have lived as aliens and people from different ethnic groups have attempted to join the mainstream culture by adapting themselves learning the language and cultural norms. However, they had to suffer from an identity crisis. Design I expressed such a miserable reality. Design II was created under the theme of the joy and sorrow of soldiers who sacrificed their lives for their country. The effects were maximized by the contrast of comparing their young bodies during the war with their current old and weak appearance. In Design III was created under the theme of ‘class hybridity’ which altars for a god, and is recognized as the uppermost-stream of culture pursuing absolute beauty, with an infusion of punk couture. In ‘punk couture,’ images are created by using images which break down the boundary between high-end culture and popular culture. In Design IV, ‘white supremacy’ and ‘colored races’ were the themes to express humanism, which goes beyond authority. Design V was created under the theme of colonial hybridization, with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as motifs. It was attempted to express diverse differences through physical migration, such as the separation from boundaries and forced migration. For this, patterns and images were borrowed from different cultures and times. In Design VI, Korean ethnic identity in modern times, which has spread the idea of ‘K-culture’ around the globe, was strongly expressed, going beyond the past disadvantaged relationship with China. In Design VII, under the theme of gender hybridization, a desire for sadomasochism-themed aestheticism, was described through expressionism. For this, radical visual materials and compositions were adopted. In Design VIII, created under the theme of gender bisexuality and non-boundary genders, gender sensitivity escaped from the art, which pursued an ideology that was expressed as a transitional context to open thinking under the current trend of the aspirations of humanity and the pursuit of diversity, like pop art. The above results confirm that the conflict of time-space identity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embodiment of visual art, which reflects the current sociocultural aspects based on the sociocultural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odern times. It is anticipated that in body art, which keeps pursuing novelty, studies on diasporic hybridity are aggressively converged and contribute to its growth and development as a cornerstone of a new perspective. 세계화된 현대사회의 인간은 각 나라와 민족의 고유문화보다 각 문화 간의 교류와 결합에 의해 새롭게 문화가 탄생되는 다문화시대(Multi Culture)속에 살고 있으며, 물리적인 시·공간의 탈(脫)경계 즉, 무한한 시간과 유동적 공간에 살면서 다양한 영역들이 혼성화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세계화, 국제화 시대를 맞이한 글로벌 시대에 의해 더욱 활성화되어 조형예술분야까지 확장되어 표현되고 있다. ‘혼종성’은 오늘날 문화적 교류 확대와 정보통신의 발달로 다양한 경험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현실적으로 중요한 현상이자 담론의 하나로 작용한다. 이는 현대사회와 탈식민주의 특징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특히 문화혼종은 예술에 있어 옛 식민지와의 다문화 공생의 표방과 함께 함께 새롭고 신선한 예술을 위한 적극적 문화교류의 이질적 혼성으로 필수불가결하다고 여겨진다. 디아스포라는 두 개의 정체성 인식으로 끊임없이 자아충돌을 경험하게 되며, 탈식민주의에 있어 대표적 특징이라 볼 수 있는 혼종성과 양가성은 문화의 새로운 창조로 이어진다. 즉, 정체성의 충돌로 생긴 틈에서 도출된 결과물은 새로운 창조의 시작점에 서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술에 있어 혼종이 문화 간의 혼합처럼 양가성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만큼 본 연구에서는 현대적 관점에서 디아스포라적 ‘혼종성’을 중심적 사고를 전제로 하고, 우리나라의 역사적 문제, 사회적 변화의 중심에 이슈화되고 있는 쟁점, 안고 가야할 과제 등을 각 특성에 따라 크게 시공간의 혼종, 계급의 혼종, 식민지배의 혼종, 양가 성(性)의 혼종 등 네 가지로 분류하여 표현하였다. 시공간의 혼종성을 주제로 한 작품Ⅰ은 ‘이방인’인 동시에 ‘소수자’로 살아가는 존재인 코리안 디아스포라라 즉, 재일조선인들이 이국의 낯선 언어와 문화 환경에 적응하며 주류문화에 들어가려 하지만 권력 관계에서 오는 정체성 혼란을 역사적 근원을 바탕으로 참담했던 현실을 표현하였다. 작품 Ⅱ는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참전용사의 안타까운 현실에 대한 애환을 주제로 하였으며, 전쟁의 참여했던 젊은 신체와 초라하고 비참하게 늙어버린 노인의 신체를 이중적 구도로 대치시켜 극대화하였다. 계급의 혼종성을 주제로 한 작품 Ⅲ은 절대미를 추구한 최상류 문화의 예술이라 할 수 있는 신을 위한 제단화와 하류문화를 대표하는 펑크와의 혼용으로 ‘펑크 꾸띄르’적인 이미지를 연출하여 고급 예술과 대중문화 경계를 허물어버리는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작품 Ⅳ는 백인 우월주의와 유색인종을 회화의 주제로 사용하여, 메이저 권력의 억압을 넘어선 인본주의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식민지배의 혼종성을 주제로 한 작품 Ⅴ는 한국과 일본을 모티브로 경계이탈, 강제이주라는 물리적 이동을 통한 디아스포라의 다양한 삶의 차이를 표현하기 위해 다른 시대, 다른 문화로부터 양식과 이미지를 차용, 혼용하여 표현하였다. 작품 Ⅵ은 한국과 중국이 과거 종주국 관계였던 역사를 뒤로 새로운 도전이라 말하기 무색할 만큼 눈부신 K-문화를 펼치는 현대 한국의 민족정체성을 강하게 표현하였다. 양가 성(性)의 혼종을 주제로 한 작품 Ⅶ은 사도마조히즘을 주제로 퇴폐적인 유미주의를 탐닉한 욕망을 표현주의를 표방, 급진적인 시각상의 재료 및 구도로 표현하였다. 작품 Ⅷ은 양성(兩性)성, 성의 무(無)경계성 등을 주제로 팝아트와 같이 가식적이지 않은 인간성의 희구와 다양성을 추구하는 시대 흐름에 따른 열린 사고로의 전환적 맥락으로 관념 철학이 추구한 예술로부터의 탈피한 젠더 감수성을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시공간의 정체성에 대한 갈등의 문제를 현대의 사회·문화적 특징과 조형적 특성을 한 시대의 사회문화상이 반영된 시각 예술의 형태인 체현(體現)의 몸으로 표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늘 새로움을 추구하는 바디아트 예술에 디아스포적 ‘혼종성’에 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융합되어 바디아트를 새로운 시각으로 보는 초석으로써 앞으로의 작업 방향을 모색하여 발전시키는데 기여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