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마선조사 흰쥐의 폐 및 심장조직중의 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에 대한 연구

        이상협 朝鮮大學校 大學院 198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hange of cytosolic superoxide dismutase(E.C.l.l5.1.1.) activities in the lung and heart of mice irradiated with a single dose of gamma irradiation 400 rads for the whole body was examined. The specific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in cytosol fraction of lung and heart were decreased to lowest levels on 7 day after irradiation and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per gram of the organ tissues were decreased to lowest level on 21 day after irradiation. Also the total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per lung and heart were decreased to lowest level on 7 day after irradi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cytosol of heart is more decreased than the activity in cytosol of lung after irradiation.

      • 스포츠스타를 통한 광고가 기업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협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스포츠스타를 통한 광고가 기업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0년 현재 서울, 경기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통해 남자와 여자의 비율을 감안하여 총 400부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회수된 설문자료 중 일괄적인 응답을 하거나 신뢰성이 떨어지는 설문지 27(6.75%)부를 제외한 총 373(93.25%)부의 설문응답지만 자료로 사용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크게 인구통계학적 특성 7문항, 광고모델 이미지 11문항, 모델속성 10문항, 기업이미지 9문항, 구매의도 6문항으로 총 4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 문항을 제외한 각각의 문항은 5단계 리커트(Likert)척도로 구성하였다. 각 설문지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광고모델에서는 김용만, 정희선(2004), 범경기(2005), 이종호, 윤일기(2004)의 선행연구에서, 기업이미지에 대한 내용으로 안병수(2008), 채정훈(2000), 조민자(1999),의 선행연구에서, 구매의도에 대한내용으로 김용만(2007), 윤각(1997)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이 연구에 부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지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62.210%의 양호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설문문항 중 모델이미지 5문항, 기업이미지 6문항, 모델속성 4문항, 구매의도 3문항만이 타당성 검증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각 요인들에 대한 Cronbach' α 계수는 모델이미지 .857, 기업이미지 .758, 모델속성 .738, 구매의도 .737로 측정되어 모두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신뢰도 검증(Cronbach's α), 종속 t-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 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스타 모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성별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정직과 매력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을 제외한 연령, 결혼여부, 직업, 학력에서는 스포츠스타 모델이미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스포츠스타를 통한 광고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스포츠스타를 활용한 광고모델의 이미지와 속성이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에서 이미지에서는 매력, 속성에서는 자격 요인이 큰 영향을 미쳤다. 셋 째, 스포츠스타 광고모델이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유의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스타를 이용한 광고에서 소비자들은 그 제품을 구입 할 의향이 있다는 결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 째, 기업이미지가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유의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상 경계 조절을 통한 (K,Na)NbO3계 압전 세라믹 기반의 압축형/전단형 가속도 센서의 온도 안정성 연구

        이상협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b(Zr,Ti)O3 (PZT) is widely used as a key piezoelectric material for accelerometer sensors used for plant/facilities status monitoring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But, due to the issue of limiting the use of lead, research about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mong them, (K,Na)NbO3 (KNN)-based ceramics have a high Curie temperature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comparable to PZT due to a lot of research on doping materials and process optimization recently. Despite such efforts,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in commercialization due to the problem of low temperature stability compared to PZT. In this study, we made K0.48Na0.52NbO3-Bi0.5(Na0.7K0.3Li0.1)0.5ZrO3-BiScO3+0.5mol%Mn piezoelectric ceramics were used to form the representative three types of phase, rhombohedral(R)-orthorhombic(O)-tetragonal(T), R-T, and R-T(R-rich) phase. And we evaluate their dielectric/piezoelectric properties and high-temperature stability. Then, compression/shear accelerometer sensors were fabricated using these three types of piezoelectric ceramics, respectively, and high temperature performance was evalua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iezoelectric constant of the piezoelectric ceramics andthe sensitivity of the accelerometer sensor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change trend of the phase boundary temperature wa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BiScO3 composi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terial having the x=0.01375BS composition had the best temperature stability. In addition, the sensitivity of the accelerome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were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the temperature stability of the shear sensor was excellent in all three compositions. 충격 및 진동, 고온, 방사능과 같은 다양한 특수 환경 산업의 기기/설비가 손상 시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구조물의 상태를 감시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정밀한 상태 감시를 위해 온/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등 목적 별 다양한 안전 진단 센서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들을 이용한 구조물의 운전 감시 및 공정 상태 진단하는 것을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기술이라고 하며, 특히 충격, 고온, 방사선 등 많은 위험 인자가 존재하는 발전소에서는 더욱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충격 및 진동을 이용한 안전 센서인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 시설의 노후화 및 결함 등의 위험 상황을 사전에 찾아내어 피해를 방지하고 있다. 가속도 센서란 압전 소재를 이용한 센서로 기계적 충격 및 진동이 전기적 신호로 발생하는 압전 물질을 이용한 센서이다. 현재 대부분의 가속도 센서의 경우 핵심 압전 소재로 Pb(Zr,Ti)O3 (PZT)가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최근 납으로 인한 환경 오염과 인체에 유해성으로 유럽은 RoHS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미국은 TSCA (Toxic Substances Control Act)의 환경 규제 제한 지침에서 모든 전기/전자 제품에 납계 유해물질 사용 제한을 요구하고 있다. 이로 인해 PZT를 대체할 비납계 압전 세라믹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K,Na)NbO3 (KNN)계 세라믹은 최근 많은 도핑 물질 연구와 공정 최적화 연구로 PZT에 버금가는 높은 큐리온도와 압전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PZT와 비교하여 온도 안정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으로 인해 소재의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고, 실제 센서에 적용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한국은 가속도 센서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상용 센서를 제작하는 기업에서는 센서의 소재 및 부품 기술을 비공개로 제작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자체의 센서 소재 및 부품의 원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납계 압전 세라믹을 고상 반응법으로 제조하여 온도 안정성이 뛰어난 최적의 조성을 설계하였고, 고온형 가속도 센서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비납계 압전 세라믹 K0.48Na0.52NbO3-Bi0.5(Na0.7K0.3 Li0.1)0.5ZrO3-BiScO3+0.5mol%Mn (KNN-BNKLZ-BS+Mn)에서 rhombo hedral (R)-orthorhombic (O)-tetragonal (T) 상경계, R-T 상경계, R-T (R-rich) 상경계를 갖는 세 종류의 대표적인 압전 세라믹을 제조하여 유전/압전특성 및 고온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종류의 압전 세라믹을 이용하여 실제 압축형과 전단형 가속도계 센서를 제작하고 고온 성능을 평가를 통해, 압전 세라믹의 특성과 가속도계 센서의 감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 1~18GHz 대역 EMI 시험장 평가에 대한 유효성

        이상협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험인증, 즉 제품의 인증을 위한 시험은 시험결과의 부적합이나 적합을 판단하기 앞서 시험 데이타의 재현성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시말해서 동일한 시료를 우리나라의 A 시험소의 Data와 우리나라 정 반대에 있는, 예를 들어 우루과이의 B 시험소의 Data가 각 시험소의 측정불확도의 차이만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Data 결과가 나와야 하는것이 시험인증의 test의 기본 개념과 동시에 시험을 하는 목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에 따라 각 해당 시험의 법률과 지침이(Directive) 있고 시험방법이 전세계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것도 기본개념과 목적에 벗어나지 않는것이라고 생각되어 집니다. 국내에만 EMC 시험을 할수 있는곳이 40여개, 전세계적으로 수백의 아니 수천개의 시험소가 존재하는것은 각 시험소의 물리적인 환경 또한 많은 차이가 있다고 생각되어집니다. 아무리 국제 규격(CISPR:국제무선장해 특별위원회)에 의해 동일한 각 시험장 평가에 대한 특성을 만족하더라도각 시험소에서의 물리적인 특성과 환경 조건은 차이가 있을수 있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이에 따라 시험장 평가에 특성과 더불어 그 외 외부적인 요소 또한 지침서에 구체적인 진술과 정량적인 수치(객관적인 진술)가 명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따라, 1GHz이상의 EMI 시험시 시험장 평가 방법인 SVSWR의 시험을 통해 사소한 물리적인 조건에 따라 데이타가 달라질수 있다는 것을 통해서 향후 시험장 평가 시험시 그외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병귤과 금귤의 에탄 올 침출 중 유용성분의 변화

        이상협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prepare functional food materials of citrus liqueur in jeju Citrus platymama and kumquat, it were investigated changes in major consttutents to soaking of ethanol concentration, raw material content, Citrus platymamma hot air peel.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oaking below sample 3kg/10l (30%, w/v) of 30~95% spirit solution for 70 days of citrus platymamma and kumquat were investigated. pH was decreased according to lower ethanol concentration and pH was 4.28~5.21, 3.87~5.00, 3.99~5.90 of cutted citrus platymamma fruits and kumquat fruits and not cutted kumquat. Color a was decreased according to higher ethanol concentration and color b was increase according to higher ethanol concentration. Extract was increased soaking until 20 days, extract content was 1.41~2.74 (%,w/v) with cutted citrus platymamma and kumquat, 0.05~1.95 (%,w/v) with kumquats. Acid content was 0.08~0.5%(v/v). Fructose and glucose and sucrose were main free sugar, fructose and glucose were increased according to lower ethanol concentration, sucrose was highly ethanol concentration, extracted rapidly within early of soaking. the content of vitamin C was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ethanol concentration, most early of soaking was extracted sharply. Flavonoids was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ethanol concentration and most early of soaking was extracted sharply. Main flavonoids of citrus platymamma were narirutin, hesperidin, nobiletin, 3,5,6,7,8,3'4'-methoxylated flavone, tangeretin, narirutin was highly 312.8~557.5 ug/ml of citrus platymamma in 95% ethanol concentration next 3,5,6,7,8,3'4'-methoxylated flavone>nobiletin>tangeretin>heperidin. Main flavonoids were rutin, hesperidin, neohesperidin, qurecitrin, myricetin of kumquat, rutin was highly at 118.3~159.1 ug/ml of cutted kumquat and 15,8~77.2 ug/ml of kumquat in 95% ethanol concentration. Total polyphenol was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ethanol concentration, after of soaking 20 days was most extracted. Total polyphenol was 403.7~543.3 ug/ml with cutted citrus platymamma, 270.8~280.2 ug/ml with cutted kumquat of higher of 2 times and cutted kumquat than was higher. Antioxidative activities was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ethanol concentration, citrus platymamma and kumquat was 38.2~72.2%, 5.4~18.4% with 30~95% ethanol concentration for 70 days. For preparation of liqueur was most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soak with 60~95% ethanol concentration for cutted fruits 20~30 days and the original form more than 50 days, and then to blend. 2. 70% spirit solution soaking of raw material contents for 70 days were investigated. Changes in pH and color a were decreased, color b was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raw material contents. Extract, acid content, free sugar were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with raw material content. Vitamin C was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with raw material content, it was not changes for until 10 days soaking. Flavonoid was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with raw material content, Early soaking with 70% raw material content was fast increased, 90% raw material content was late of shortly after soaking, it was not changes of pass 10~20 days. Rutin contents was 139.4~291.1 ug/ml with 90% raw material contents, the rest flavonoids contents were largely with 70~90% raw material contents. Changes in total polyphenol was fast soaking in early soaking and that was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raw material contents, that was lower most of soaking period under 50% raw material contents, not changes more than 70% raw material contents after 20 days. Antioxidative activities was less effect for raw material contents and soaking period that was necessary to soak with more than 30% raw material contents. Therefore For preparation of liqueur with 70% ethanol concentration, it is necessary to soak of raw material content with 30~70%. 3. Soaking of Citrus platymamma peel dried with hot air 500g/10l (5%, w/v) of 30~95% ethanol concentration for 70 days were investigated. Changes in pH was low 5.19~4.80 with 30% ethanol concentration, that was decreased according to lower ethanol concentration, soaking after 10 days until was fast lower. Color a was decreased and color b was increased according to lower ethanol concentration. Extract was 2.00~2.19 %(w/v) with 30~70% ethanol concentration, that was most lower with 95% ethanol concentration, continuously increased. Acid content was 0.18~0.21 %(v/v) with 30~70% ethanol concentration, 0.13~0.15 %(v/v) with 95% ethanol concentration. Changes of free sugar was increased according to lower of fructose and glucose, sucrose was decreased according to higher of except 95% ethanol concentration. changes in vitamin C was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difference of content was lower of under 50% ethanol concentration. Most flavonoids was fast extracted more than 80% for 3~5 days soaking. Flavonoids was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ethanol concentration except to soak 95% ethanol concentration, content in 95% ethanol concentration was most low, content in 70% ethanol concentration was most high. Content in total polyphenol was 628.8~711.2 ug/ml with 30~70% ethanol concentration for 20 days soaking, content was most high with 95% ethanol concentration. Therefore For preparation of liqueur with citrus platymamma peel, it is necessary to soak 50~70% ethanol concentration for 20 days to raise at raw material rate, heighten content of major constituents. 제주 병귤과 금귤을 식품소재로 활용하여 감귤리큐르의 제조에 토대가 되는 침출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주정농도 및 원료첨가량에 따른 이화학성분과 유용성분의 경시적 변화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정농도를 30~95%로 조절한 다음 시료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병귤 및 금귤의 생과실을 각각 3kg/10l(30%, w/v) 비율로 첨가하여 후 70일간 침출시키면서 경시적인 변화를 조사하였다. 침출액의 pH 변화는 주정농도가 낮을수록 감소하였으며, 침출직후부터 20일까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향이었다. pH는 병귤 및 금귤의 절단시료에서 각각 4.28~5.21, 3.87~5.00이었고, 금귤을 절단하지 않은 원형시료는 3.99~5.90으로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지속적으로 pH가 낮아졌다. 색도는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a값이 낮아지고, b값은 증가하였으며, L값은 주정농도에 따른 병귤과 금귤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가용성고형물의 변화는 주정농도에 의한 영향은 매우 적었으며, 침출직후부터 20일까지에 크게 증가하였고, 침출 후 20일을 경과하면서 함량 차이는 적었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병귤과 금귤의 절단시료에서 1.41~2.74(%w/v)으로 큰 차이가 없었고, 금귤 원형시료는 0.05~1.95(%w/v)로 금귤의 절단시료보다 낮았다. 산함량은 0.08~0.5%(v/v)로 주정농도에 따른 영향은 주지 않았으며, 주정원액에서 가장 높았다. 주요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였으며, fuctose와 glucose는 주정농도가 낮을수록, sucrose는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높았으며, 대부분 침출초기에 급격하게 용출되는 경향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대부분 침출 후 20일에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Flavonoids의 변화는 전체적으로 주정농도가 증가할수록 많이 침출되었으며, 침출 후 20일까지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병귤의 주요 flavonoids는 narirutin, hesperidin, nobiletin, 3,5,6,7,8,3'4'-methoxylated flavone, tangeretin이었고, narirutin 함량이 주정농도 95%에서 312.8~557.5μg/ml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3,5,6,7,8,3'4'-methoxylated flavone, nobiletin, tangeretin, hesperidin 순으로 함량이 많았다. 금귤 시료에는 rutin, hesperidin, neohesperidin, qurecitrin, myricetin이 주요 flavonoids였으며, rutin 함량이 주정농도 95%에서 금귤 절단시료가 118.3~159.1μg/ml, 금귤 원형시료가 15.8~77.2μg/ml 로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변화는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대부분 침출 후 20일에 용출되는 경향이었다. 병귤 절단시료는 403.7~543.3μg/ml로 금귤 절단시료의 270.8~280.2μg/ml보다 2배 정도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금귤을 절단하였을 때가 원형 그 자체를 이용하였을 때보다 함량이 높았다. 항산화 효과는 주정농도가 증가할수록 우수한 효과를 보였고, 침출기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병귤시료를 30~95% 주정으로 70일간 침출하였을 때, 38.2~72.2%로 높았으며, 금귤시료는 5.4~18.4%로 항산화활성이 병귤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병귤과 금귤과실을 이용하여 리큐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주정농도를 60%이상에서 절단시료는 20~30일, 원형시료는 50일 이상 침출시킨 다음 숙성하여 블렌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었다. 2. 주정농도를 70%를 침출용매로 하여 금귤의 원료첨가량에 따른 침출특성을 조사한 결과 원료 비율을 많이 할수록 pH의 변화는 감소하였고, 색도 a값은 낮아졌으며,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과실 첨가량이 많을수록 가용성고형물, 산함량, 유리당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대부분 침출 후 20일을 경과하는 시점에서 각각의 원료비율에 상응한 일정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이었다. 비타민 C는 원료비율을 많게 첨가할수록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침출 후 10일까지에 침출액으로 이행되는 변화양상을 보였다. Flavonoids는 원료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며, 원료비율 70%까지는 침출초기에 급증하였으며, 90% 첨가하였을 때는 침출 직후 약간 지연되었으며, 10~20일을 경과하는 시점에서 일정수준을 유지하는 변화양상을 보였다. Rutin이 원료비율 90%에서 139.4~291.1 ug/ml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flavonoids는 원료비율 70~90%에서 높은 flavonoids 함량이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의 변화는 침출 초기에 빠르게 침출되는 경향으로 원료비율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원료첨가량 50%이하에서는 침출기간내내 함량의 차이가 적었으나, 70% 이상에서는 20일 이후에 일정함량을 유지하였다. 항산화효과는 원료 첨가량 및 침출기간에 대한 영향이 매우 적게 나타났으며, 원료비율을 30%이상 첨가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금귤을 절단하여 리큐르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비율은 70% 주정으로 침출시킬 때, 30~70%를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사료되었다. 3. 병귤 건조과피의 침출특성은 주정농도를 30~95%로 조절한 다음 병귤의 건조과피를 각각 500g/10l(5%, w/v)비율로 첨가하여 70일간 침출특성을 조사한 결과, pH는 주정농도 30%에서 5.19~4.80으로 가장 낮았으며, 주정농도가 낮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침출 후 10일까지 급격하게 낮아졌다. 색도는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a값이 낮아지고, b값이 증가하였으며,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주정농도 30~70%에서 2.00~2.19%(w/v)로 차이가 매우 적었으며, 주정원액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산함량은 주정농도 30~70%에서 0.18~0.21%(v/v)로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주정농도 95%는 0.13~0.15%(v/v)였다. 유리당의 변화는 fructose와 glucose에서 주정농도 낮을수록 높았으며, sucrose에서 주정원액 처리구 이외에서는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함량이 낮아졌다. 비타민 C의 변화는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주정 50%이하에서는 함량차이가 적었다. 대부분의 flavonoids는 침출 후 3~5일에 80% 이상 침출액으로 빠르게 용출되는 경향이었다. 주정원액으로 침출하였을 때를 제외하고는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주정원액에서 가장 낮았으며, 주정농도 70%에서는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침출 20일 때 주정농도 30~70%에서 628.8~711.2μg/ml였으며, 주정원액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병귤과피를 리큐르 제조 원료로 사용하였을 때, 원료이용율을 높이고, 유용성분의 함량을 많게하는 판단으로 주정농도 50~70%에서 20일 동안 침출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되었다.

      • 미래학교 전환을 위한 초등학교 공간 재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 : 오픈스쿨 재조명을 중심으로

        이상협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need to cultivate talent in preparation for the rapidly changing future continues to increase, interest in future educational spaces to appropriately educate essential competencies for preparation of future is also increasing. However, schools in Korea still adhere to the form of one directional teaching centered on teachers in the absence of specific directions for future school, and practical solutions are needed in response to increasing idle space in school facilities and deteriorated existing school facilities resulted from the low birth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patial restructuring of existing schools based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education in preparation of future education. The future school characteristics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examined through literature in this stud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educational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such as self-directedness, collaboration, and creativity for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flexibility, openness, diversity, ICT, and community for facility characteristics. The specific spaces required for school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self-directedness, collaboration, and creativity can be derived by the support of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defined as above. These characteristics of future schools are conceptually similar to those of open schools in the pas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open school and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school and open school, it is found that future school has similar properties to open school. In the past, open school was popular and spread around the world based on concepts known by various progressive scholars before the 20th century, but they were considered failures due to many problems and often returned to traditional classrooms, making diagnosis of existing open school critical for future direction. A reexamination of open school showed that open school was a change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and socio-economic situation immediately after World War II, and that education was not properly conducted due to the lack of consistent type and preparation. These open school revealed many problems, mainly in facility characteristics such as flexibility, openness, and diversity, and no specific problems were reported in terms of pedagogy. Operational and management problems of those days are expected to sufficiently solve in the current situation by the help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lessons from trial and error. In order to become an alternative model for future school transformation, it is necessary to accomodate learning space, break out space, collaborative learning space, individual learning space, and professional learning space for facility characteristics (flexibility, openness, and diversity) common in future schools. Based on the definition of open school, which includes both education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various open-plan schools at the present time to specify the direction of space improvement for future transition through lessons from open school.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fou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ypes of schools with open plans evolved by classifying the schools currently in operation into three categories: public space expansion, learning space expansion, and integrated expansion. Firstly, in the case of the public space expansion type, various forms of learning, activities, and play are accommodated in a wide open break out space as the learning space is expanded to utilize the area facing the public space while maintaining the basic function of learning spa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flexibly cope with changes in the types of education that are difficult to predict in the future society due to the difficulty of linking between learning spaces. Secondly, in the case of learning space expansion type, the basic learning spaces are maintained, and the open space is minimized by expanding and using the area that can be used through the flexible opening between continuous learning spaces. Although it is forming a learning environment that is not disturbed by informal spaces due to the disconnection of learning space and break out space, there is a problem of the usability of widely designed informal space, which is also difficult to flexibly cope with unpredictable future education methods. Thirdly, in the case of integrated expansion type, the basic learning spaces are maintained, but the integrated concept of expansion toward public space and learning space has been revealed that expanding the learning area through flexible opening to all parts needs some control to achieve the goal of flexibility; The spac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ctively using variable walls, and the space is flexibly divided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The public break out space was planned as a large space that could accommodate the whole, and as it can become freely opened and closed appropriately, creating a necessity of relatively closed learning space providing small collaboration and individual learning spaces. This integrated expansion type is a space that can be divided and integrated according to intention, and it has potential to flexibly cope with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and utilize various spaces. As such, there were common factors for each type, but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specific spaces, an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and additional planning measures are resulted in the following facts. Firstly, the learning space had a basic form maintained in common, and most of the learning spaces were opened and closed using variable walls, and the learning area was expanded and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learning.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learning space did not necessarily adhere to the rectangular shape, but can be changed to a space with various forms of space. Secondly, break out spaces tend to be placed in public spaces that are directly connected from the learning space, and appear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individual types and plans. It is a widely open space for learning, collaboration, and play, and is designed to allow free space organization through furniture that is easy to move. Thirdly, the collaborative learning space and individual learning space were found to be comprehensively divided through furniture within the break out space and to assist learning by placing specific spaces near the learning space. In this case, there is a lot of room for expansion of the learning area through opening, so planning measures are needed to cope with the need for small fixed spaces depending on various activities. Fourthly, professional learning spaces were difficult to identify in most schools under case study, but there were cases where professional experiences were possible by placing them in places with easy access to learning spaces and break out spaces. There is a need for a plan that can be used as a core space of the school by locating specific specialized spaces for future technologies such as libraries with ICT in the center of the school. From these facts, it is also possible to infer that comprehensive planning in an integrated and expanded manner can flexibly cope with various unpredictable morphological changes for educational space in the future, and that comprehensive planning of learning spaces, break out spaces, collaborative learning spaces, and individual learning spaces is useful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central space of the school such as a library through future technologies such as ICT forming organic space for the function of professional learning spaces or learning spaces. This study confirmed the similarity of the direction and spirit of future school and open school in the past in many ways. To prevent the same problems from being repeated again, this study reviewed how essential spaces meet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future school and lessons of open school can be embodied as an alternative model for future school transformation. 급변하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인재 양성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미래를 살아가기 위한 필수적인 역량을 교육하기 위한 미래 교육공간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학교 현장은 미래학교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이 부재한 상태에서 여전히 기존의 교사 중심의 일방향적인 가르침의 형태를 고수하고 있으며,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학교시설 내의 유휴공간 증가, 기존 학교시설의 노후화 등의 문제와 연계한 실질적 해결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교육적, 시설적 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학교의 공간 재구성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 자료 및 문헌을 통해 살펴본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학교 특성은 크게 교육적, 시설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바 교육적 특성으로는 자기주도성, 협력성, 창의성이 나타났고 시설적 특성으로는 유연성, 개방성, 다양성, 전문성, 지역사회 연계성이 드러났다. 교육적 특성인 자기주도성, 협력성, 창의성의 역량 강화를 위하여 미래학교가 요구하는 구체적인 공간으로는 학습공간, 비공식 공간, 협력 학습공간, 개별 학습공간, 전문 학습공간이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공간들이 시설적 특성에 맞는 성격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미래학교의 특성은 과거에 나타난 오픈스쿨과 개념적으로 유사한바 오픈스쿨의 특성을 파악하고 미래학교와 오픈스쿨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미래학교가 상당 부분 오픈스쿨과 유사한 속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과거의 오픈스쿨은 20세기 이전부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알려진 개념을 바탕으로 전 세계에서 유행하며 확산되어 갔지만 많은 문제점으로 인해 실패의 사례로 여겨지며 기존의 전통적인 교실로 회귀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미래학교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기존 오픈스쿨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오픈스쿨을 재조명해 본 결과 오픈스쿨이 이론과는 무관하게 2차 대전 직후 시대, 사회적 상황에 따른 변화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국가마다 다양한 양상이 나타났을 뿐 아니라 일관된 유형 없이 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됨에 따라 교육적 특성에 맞는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오픈스쿨은 많은 문제를 드러냈는데 주로 유연성, 개방성, 다양성의 시설적 특성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이 다수였고 교육적인 면에서는 특별한 문제가 보고된 바가 없었다. 운영, 관리상의 문제점도 나타났으나 한번 겪어본 시행착오와 기술의 발달로 현재 상황에서 충분히 해결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오픈스쿨이 미래학교 전환의 대안적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미래학교와 오픈스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교육적 특성(자기주도성, 협력성, 창의성)을 위한 공간인 학습공간, 비공식 공간, 협력 학습공간, 개별 학습공간, 전문 학습공간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이러한 공간들이 오픈스쿨의 문제점으로 언급된 시설적 특성(유연성, 개방성, 다양성)에서 개선이 필요하고 부재했던 전문성, 지역사회 연계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육적인 특성과 시설적인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오픈스쿨의 정의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오픈스쿨에서 나타난 공간에 집중한바 과거의 오픈스쿨에서의 교훈을 통해 미래학교로의 전환을 위한 공간 개선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현재 시점의 다양한 오픈플랜 학교들을 대상으로 사례를 분석하였다. 현재 운영 중인 개방된 형태의 학교들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공용공간 확장형, 학습공간 확장형, 통합 확장형의 3가지로 구분하여 변형된 오픈플랜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첫 번째, 공용공간 확장형의 경우 기본적인 학습공간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공용공간에 면한 부분을 개방하여 학습이 가능한 영역을 확장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공용공간이 확장되면서 넓게 개방된 비공식 공간에서 다양한 형태의 학습, 활동, 놀이 등이 수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습공간 간의 연계가 어려워 미래 사회의 예측하기 어려운 교육의 형태 변화에는 유연한 대처가 어렵다. 두 번째, 학습공간 확장형의 경우에도 기본적인 학습공간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며 연속되어 배치가 되는 학습공간 간의 개방을 통해서 학습이 가능한 영역을 확장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공용의 비공식 공간에 대응해서 닫힌 형태로 되어있어 개방을 최소화하고 있다. 학습공간과 비공식 공간의 단절로 학습에 방해받지 않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지만 넓게 계획된 비공식 공간의 활용성 문제가 있으며 이 또한 예측할 수 없는 미래교육의 방식에 유연한 대처가 어렵다. 세 번째, 통합 확장형의 경우에도 기본적인 학습공간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공용공간 확장형과 학습공간 확장형의 통합된 개념으로 모든 부분으로의 유연한 개방을 통해 학습 가능한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형태가 드러났다. 가변형 벽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공간을 개폐하고 있었으며 학습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공용의 비공식 공간은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넓은 공간으로 계획되었으며 자유롭게 개폐가 가능해지면서 상대적으로 닫힌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고 소규모의 협력 및 개별 학습이 가능한 공간이 보조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합 확장형은 의도에 따라 분할과 통합이 가능한 공간으로 미래 사회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하며 다양한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이렇듯 각각의 유형마다 공통적인 요소도 있었지만 구체적인 공간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차이가 존재하므로 각각의 공간이 드러낸 특성과 추가적인 계획 방안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학습공간은 공통적으로 기본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부분 가변형 벽체를 사용하여 개폐를 가능하게 하여 학습의 형태에 따라 학습 영역을 확장하여 사용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학습공간의 형태는 반드시 직사각형의 형태를 고수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여지가 있는 공간으로의 변화가 나타났다. 두 번째, 비공식 공간은 학습공간에서 바로 연결되는 공용공간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으며 개별 유형과 평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학습, 협력, 놀이 등이 가능하도록 넓게 개방된 공간으로서 이동이 쉬운 가구를 통해서 공간을 자유롭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었다. 세 번째, 협력 학습공간과 개별 학습공간은 비공식 공간 내에서 포괄적으로 가구를 통해 공간을 구획하는 형태와 학습공간 인근에 구체적인 공간을 배치하여 학습을 보조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 경우 개방을 통한 학습 영역의 확장 여지가 많기 때문에 고정적인 다양한 용도의 소규모 공간에 대한 필요성에 대응하는 계획 방안이 필요하다. 네 번째, 전문 학습공간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확인이 어려웠지만 학습공간과 비공식 공간에 인접한 접근이 쉬운 장소에 배치하여 전문적인 체험 및 경험을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었다. 도서관이나 ICT 같은 미래 기술을 위한 구체적인 전문 공간을 학교 중심에 위치시켜 학교의 핵심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획 방안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종합적으로 통합 확장형으로 계획하는 것이 미래 사회의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형태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학습공간, 비공식 공간, 협력 학습공간, 개별 학습공간을 학교 안의 작은 학교 개념인 클러스터 형태로 포괄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공간 활용 면에서 유용하다는 사실 또한 유추가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학교의 중심 공간으로서 전문 학습공간의 기능을 위한 도서관이나 ICT 같은 미래 기술을 위한 공간을 학습공간과의 유기적인 공간 연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래학교의 방향과 과거 유행했던 오픈스쿨이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과거와 같은 문제점이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현시점에서 다시 나타나고 있는 변화된 형태의 오픈플랜 사례를 통해 미래학교와 오픈스쿨에서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교육적 특성에 맞는 필수적인 공간이 구체화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미래학교 전환을 위한 하나의 대안적 모델로 활용하기 위한 공간 재구성 방향을 제시하였다.

      • 국산 탄소섬유의 복합재 압력용기 적용을 위한 기계적 성능 비교 연구

        이상협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국산 탄소섬유의 복합재 압력용기 적용을 위한 기계적 성능을 비교하는데 있다. 현재 군수분야의 복합재 압력용기는 국외 탄소섬유를 사용하고 있으며, 국산 탄소섬유 복합소재로 대체하기 위해 복합소재의 평가방법을 통해 군수분야 복합재 압력용기 제작의 적용 가능성 확인이 필요하다. 군수분야 복합소재 평가방법은 습식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을 활용하여 복합재 압력용기의 제작 및 파괴 시험을 통해 복합재 압력용기에서의 섬유강도를 도출하고 소재 물성과 비교 평가하여 국내외 탄소섬유 복합재의 강도전이율을 확인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강도 탄소섬유 복합재(H2550, H3055), 국외 고강도 탄소섬유 복합재(T700, T800)를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으로 스트랜드 시편을 제작하였고, 스트랜드 시험을 통해 섬유 단위 물성을 도출하였다.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으로 국내외 탄소섬유 복합재의 압력용기를 제작하였고, 파괴시험을 통해 복합재 압력용기의 섬유 강도를 도출하여, 스트랜드 단위의 섬유 강도와 비교하였다. 강도전이율 평가를 위한 복합재 압력용기 섬유체적률은 열중량분석시험으로 후프와인딩 두께는 실측정 방법과 식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국내외 탄소섬유 복합재 강도전이율 평가 결과, H2550과 T700 탄소섬유 복합재의 강도전이율이 각각 91.36%, 91.29%로 확인하여 소재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파악되나, H3055와 T800 탄소섬유 복합재의 강도전이율이 각각 78.61%와 109.55%로 확인되어 소재 대체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복합재 압력용기의 구조적 안전성 확인을 위해 ABAQUS v6.13을 이용하여 복합재 압력용기 구조해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약 4% 이내의 오차가 발생하여 비교적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 한중 주식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비교연구 : 업무집행기관을 중심으로

        이상협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회사지배구조에 관한 논의는 사실상 주식회사가 등장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여 대규모 기업을 설립함에 따라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게 되고 이로부터 회사지배구조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세계 각국은 자신들의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가 반영된 회사지배구조를 발전시켜왔다. 한중 두 나라는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적으로 밀접한 연관이 있고, 동시에 이웃한 인접국으로서 양국의 회사지배구조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학문적 · 현실적 의미를 가진다고 할 것이다. 한국은 외환위기 이후 회사지배구조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제도 개선에 박차를 가해왔다. 미국식 사외이사제도를 도입하고 감사위원회제도를 도입하여 이사의 업무집행에 대한 감독권을 강화하였으며, 대표소송, 집중투표제를 도입하여 소수주주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였다. 최근에는 집행임원제도를 도입하여 업무집행기능과 감독기능을 철저히 분리하는 지배구조형태를 담은 개정상법이 2011년 3월 11일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따라서 이제 우리나라 회사지배구조도 최근의 국제적인 지배구조의 변화추세에 다가가는 모습을 띠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은 경제개혁의 요구 하에 1993년 회사법을 제정하였고 그 후 2005년 회사법을 대폭 수정하였다. 새롭게 개정된 2005년 회사법은 경리제도 등 중국 고유의 법제를 유지하면서도 이사장의 권한을 축소하고, 이사와 경리를 비롯한 고급관리자들의 책임을 명확히 하였으며, 상장회사의 사외이사제도를 도입하는 등 기존의 제도를 크게 보완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여 글로벌화된 경제 환경에 부응하였다. 중국은 13억 명의 인구를 가진 거대한 시장으로서, 외국기업들의 중국에 대한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의 인접국이라 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중국과의 경제적 교류 역시 지속적인 성장세에 있다. 한국기업들이 중국 내에 현지법인을 설립 · 운영하는 경우 그 기업은 개별적인 외국인투자기업법에 의하여 설립되지만 그 기업의 법적 형태는 원칙적으로 중국 회사법상의 주식회사의 형태로 설립 · 운영된다. 따라서 중국 회사법상의 주식회사 지배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필수적이라고 할 것이다. 본문에서 저자는 한중 양국의 주식회사 지배구조를 소개 · 비교 · 연구하였으며 차이점을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며 제2장에서는 회사지배구조의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회사지배구조의 개념과 중요성을 소개하였다. 제3장에서는 양국 주식회사 업무집행기관에 대하여 비교 · 연구하였으며, 경리제도 등 중국 고유의 제도를 소개하였다. 제4장은 본문의 결론이다.

      • "θεοτοκος" : 테오토코스(θεοτοκος)를 통해 본 마리아의 신원과 역할

        이상협 수원가톨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다수의 마리아론학자들은 마리아의 “θεοτοκος” 곧 신적 모성이 마리아에 관한 신학의 기본원리라고 주장한다. 또 다른 마리아론학자들은 구세사적인 관점에 착안하여 마리아를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사업에 있어서 하나의 협력자로 받아들여 그 신학을 전개해 나간다. 전자의 경우에는 마리아의 신원과 정체성에, 후자의 경우에는 마리아의 사명과 역할에 그 역점을 둔다. 마리아론이 이처럼 양 분화된 흐름을 갖는 원인은 θεοτοκος 교의 확립의 역사적 배경 안에 있다. θεοτοκος는 그리스도론으로부터 출발하여 그리스도론에 관한 논쟁을 거쳐 확립되었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그리스도론에 초점을 두었기에 마리아의 사명과 역할에 관한 θεοτοκος의 이해는 부족하였다. 반면에, 그리스도론을 배제한 그릇된 경향의 마리아 연구는 마리아의 신원과 정체성을 모호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그러나 제 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제 8장’은 참 하느님이시며 참 인간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신원과 그의 어머니인 마리아의 신원을 명확히 하며, 구세사 안에서 마리아의 사명과 역할도 제시한다. 이로써 그리스도론과 교회론 안에서 마리아의 신원과 역할은 θεοτοκος를 통해 새롭게 조명된다. 이제 교의신학과 성서신학, 신학적 인간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마리아론은 일치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θεοτοκος에 관한 신학적 연구 토대 위에서 마리아에 대한 신심은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초록(abstract) Most scholars on the mariology have maintained that Mary’s “θεοτοκος,” which refers ‘Maternitas Divina’, would be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mariology.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cholars on the mariology have insisted on the cooperative role of Mary in the Jesus Christ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Salvation History. The former has put emphasis on identity and origin of Mary while the latter has focused on the role and the calling of Mary. The cause of divided aspects on the mariology can be found in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establishment of θεοτοκος. since θεοτοκος had been originated on the christology and, at the same time, had gone through controversy of the christology itself to be settled. The concentration of the christology, in the early studies, brought the lack of comprehension on “θεοτοκος” in relation to the role and the calling of Mary. Meanwhile, an erroneous a mistaken tendency in the study of Mary with the exclusion of the theory of Jesus Christ obscured the origin and the identity of Mary. However, the chapter 8 of Lumen gentium, published by the second Vatican Council, presented and clarified the origins of Jesus Christ, who certainly is the God and at the same time the human, as well as his mother: Mary; and suggested the role and the calling of Mary in the Salvation History. Hereby, this announcement has shed new light on the role and the calling of Mary in the christology and the ecclesiology through by θεο- τοκος. The mariology should have fount out a common ground among varied viewpoints of dogmatics, theology of bible, theological anthropology, and such. Furthermore, devout on Mary should be developed in the proper way on the basis of theological study about θεοτοκος.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