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연정화공법에 의한 생활하수중 오염물질의 존재형태별 처리 : 李炳周 [저]

        이병주 경상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63

        To reduce the area of a sewage treatment plant, increase the removals of water pollutant and attain the goal of water quality for the total amount control of pollutant, a sewage treatment plant, using natural purification, was constructed. The constructed wetland was composed of an aerobic area and an anaerobic area. The efficiency of sewage treatment according to the treatment time, the loading amount of pollutant, season and decomposition velocity of pollutant was investigated.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rate by water pollutants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and an existence of water pollutant of pebbles were investigated, too. And then, water pollutant balances to know the tendency of the sewage treatment according to the treatment time on the basis of above results were analog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On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time in constructed wetland for 2 years, the removal amount of BOD, COD, TOC and SS in the aerobic area was rapidly increased as treatment proceeded. Decreased BOD, COD and T-P were mostly insoluble, while decreased TOC and T-N were mostly soluble and decreased SS was mostly volatile. The removal amount of BOD and COD decreased, but that of TOC, T-N and T-P was increased in the anaerobic area as the treatment time proceeded. On the effects of pollutant loading, the amount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water pollutant, between the removal amount of BOD and loading amount of BOD was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emoval amount of IBOD was more than that of SBOD. The BOD treatment tendency in the aerobic area was similar to that in anaerobic area, and treatment tendency of COD was similar to that of BOD. But in the case of TOC, the removal amount of STOC was more than that of ITOC, contrary to that of BOD or COD. In the case of SS, the removal amount of VSS was more than that of FSS as the loading amount of SS was increased. In the case of T-N and T-P, the removal amount of dissolved materials was more than that of suspended materials. On the effects of season according to the an existence of water pollutant, the removal amount of BOD, COD, TOC, SS, T-N and T-P in summer and autumn was more than that in spring and winter. The removal of BOD, COD, TOC, SS, T-N and T-P in effluent was about 92, 89, 73, 95, 46 and 84% in all seasons, respectively. Decomposition velocity of water pollutant according to the an existence of water pollutant was as follows ; In the case of BOD, the decomposition velocity constants of SBOD and IBOD in aerobic area were 3.46 and 1.50day^(-1). In anaerobic area that were 0.26 and 0.16day^(-1), respectively. The decomposition velocity of SBOD in both areas was speedier than that of IBOD. The decomposition velocity of COD, according to the an existence of water pollutant, was little different. In the case of TOC, the decomposition velocity of STOC in aerobic area was speedier than that of ITOC. But that in anaerobic area was opposite in comparison to that in aerobic area. In the case of SS, the decomposition velocity of VSS in both areas was speedier than that of FSS. In the case of T-N, the decomposition velocity of DTN and STN in aerobic area was 0.52 and 0.59day^(-1), and that in anaerobic area was 0.08 and 0.05day^(-1), respectively. The nitrification rate in aerobic area was about 80% at HRT 1.1day and nitrification velocity constant was about 1.5day^(-1). The denitrification rate in anaerobic area was about 80% at HRT 5.5day and denitrification velocity constant was about 0.5day^(-1). In the case of T-P, the decomposition velocity constant of DTP and STP in aerobic areas was 1.59 and 0.46day^(-1), and that in anaerobic area was 0.24 and 0.06day^(-1), respectively. To study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ebbles which were used in the constructed wetland by natural purification, the fractiona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the content of inorganic matters and heavy metals in pebbles, according to the sewage treatment tim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N concentration in pebbles was gradually increased, but organic-N concentration was rapidly increased as the treatment proceeded. And the concentration of NH_(4)-N and NO_(2)-N was slightly increased as the treatment continued. T-P concentration also slightly increased in time. The concentration of inorganic-P and organic-P was rapidly increased as the treatment time went by. In the surface layer of the aerobic area after 2 years levels were 82.9 and 93.9mg/㎏. Among phosphorus fractionation, Ca-P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any other phosphorus. The relative concentration of inorganic matters in surface of pebbles by EDS, after 2 years, was that Si concentration rapidly decreased in comparison to raw pebbles, while the concentration of Al, Ca and Fe slightly increased. Water pollutant balance was analogized to know treatment tendency according to the treatment time by an existence of water pollutant. 9.9㎥/day on the average for 1 year flowed into the constructed wetland and about 14% of inflow was evapotranspired. In the case of BOD balance, the inflow of SBOD and IBOD was 81∼98 and 256∼323㎏/day, respectively. About 86∼93% of SBOD and 71∼92% of IBOD in the aerobic area was treated. And 3.3∼3.8% of SBOD and 6.9∼18.7% of IBOD in anaerobic area were treated. So the outflow of SBOD and IBOD was about 3.7∼8.4 and 3.0∼26㎏/year. In the case of COD balance, the inflow of SCOD and ICOD was 42∼85 and 122∼198㎏/day, respectively. About 68∼75% of SCOD and 73∼96% of ICOD in aerobic area were treated. And 11∼16% of SCOD and 2.9∼14% of ICOD in the anaerobic area were treated. So the outflow of SCOD and ICOD was about 6.6∼12 and 3.1∼16㎏/year. In the case of TOC balance, the inflow of STOC and ITOC was 92∼148 and 29∼63㎏/day, respectively. About 54∼58% of STOC and 68∼97% of ITOC in the aerobic area were treated. And 11∼22% of STOC and 0.3∼10% of ITOC in the anaerobic area were treated. So the inflow of STOC and ITOC was about 29∼36 and 6.4∼14㎏/year. In the case of the SS balance, the inflow of VSS and FSS was 102∼159 and 87∼90㎏/day, respectively. About 89∼94% of VSS and 90∼91% of FSS in aerobic area were treated. And 5.1∼8.2% of VSS and 7.1∼7.9% of FSS in the anaerobic area was treated. So the outflow of VSS and FSS was about 2.3∼2.4 and 1.5㎏/year. In the case of T-N balance, the inflow of DTN and STN was 157∼252 and 57∼59㎏/day, respectively. About 14∼22% of DTN and 23∼29% of STN in the aerobic area by pebbles were treated. And 41∼42% of DTN and 39∼46% of STN in the aerobic area by microorganisms were treated. About 3.3∼3.8% of DTN and 8.3∼13% of STN in the aerobic area by pebbles were treated. And 7.1∼10% of DTN and 1.8∼3.5% of STN in the aerobic area by microorganisms were treated. So the outflow of DTN and STN was about 41∼79 and 1.8∼3.5㎏/year. In the case of T-P balance, the inflow of DTP and STP was 7.8∼13 and 1.8∼4.2㎏/day, respectively. About 24∼27% of DTP and 33∼39% of STP in the aerobic area by pebbles were treated. And 13∼15% of DTP and 17∼22% of STP in the aerobic area by microorganisms were treated. About 23∼24% of DTP and 17∼31% of STP in the aerobic area by pebbles were treated. And 7.1∼7.3% of DTP and 5.6∼6.3% of STP in the aerobic area by microorganisms were treated. So the inflow of DTP and STP was about 2.1∼4.3 and below 0.5㎏/year.

      • 심폐소생술금지(Do Not Resuscitate; DNR)에 대한 노인의 인식과 태도

        이병주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Despite the positive perception and active attitude of the old people toward DNR, education on DNR was low. So education on DNR for the old people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socially.

      • 동아시아 음나무 집단의 유전 구조와 위도에 따른 유전적 특성 변화

        이병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Understanding relation between environments and species is important, because surrounding conditions temporally and spatially influence inter- or intra-species genetic structure. Latitudinal Biodiversity Gradient (LBG) is the most representative pattern about spatial distribution of species. Species richness is higher in the lower latitude than in higher latitude establishing a latitudinal biodiversity gradient. At the molecular data, LBG pattern appears with higher genetic diversity and genetic divergence in lower latitude. In this study, I addressed relation between geographical distance and genetic distance among Kalopanax steptemlobus popul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ussian Far East by using six microsatellite markers, In addition, I evaluated latitudinal variation of genetic diversity and genetic divergence among Kalopanax septemlobus populations in East Asia by conducting meta-analysis on this study and previous study. I fou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ographic distance and genetic distance among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ussian Far East populations of Kalopanax septemlobus. Geographical isolation was thought to affect genetic divergence among populations. Genetic diversity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atitude degree of Kalopanax septemlobus populations in East Asia. Northward range expansion of Kalopanax septemlobus during postglacial period was considered to make ‘founder effect’ which reduces genetic diversity in population by ‘bottleneck’. Meanwhile, genetic divergence measures were not higher significantly in lower latitude than in higher latitude. The lack of latitudinal gradient of genetic divergence among populations was thought to be influenced partially by little latitudinal climatic variation on the similar warm temperate climate zone over which Kalopanax steptemlobus distributes.

      • 외식기업의 가맹점 조절초점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본부 통제방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병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수와 가맹점 수가 증가 추세를 이어가면서 프랜차이즈산업의 외형이 확대되고 있지만, 경영환경이 악화되면서 가맹본부 총 매출과 평균 매출은 오히려 감소하는 등 가맹본부의 어려움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은 양적 성장이 중요한 반면, 구조적인 현황이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이는 사업경험이 부족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가맹본부가 무조건 가맹점을 모집함으로써 가맹점의 경영 부실 및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프랜차이즈 시스템이 본부와 가맹점 간의 계약관계에 의한 시스템임을 고려해 볼 때, 프랜차이즈 본부의 가맹점에 대한 효율적인 통제 및 관리능력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프랜차이즈 본부와 가맹점 간의 지속적인 관계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고, 이들 요소들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가맹점 측면에서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맹점주의 동기부여에 대해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동기부여를 이해하기에 적합한 이론은 조절초점 이론(regulatory focus theory)라 할 수 있다. 특히, 조절초점 이론은 조직 구성원들이 생산적 결과물과 안전성 결과물을 위해 각기 노력을 다르게 할당하는지를 설명하는데 적절한 이론이다. 조절초점은 조직 구성원들이 목표 지향성이 무엇이냐에 따라 자신의 행동방식을 조절하는 동기 기제로서, 이러한 조절초점에 따라 동기와 경험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통제메커니즘은 유통경로 측면에서 살펴보면, 경로 구성원들에 의해 수행되는 활동을 통제하고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는 예측 가능하고, 확실한 성과를 위해 통제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높은 조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조절초점과 가맹점의 경영성과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가맹점의 조절초점과 경영성과 간에 본부의 통제방법이 어떤 조절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외식 분야에서 프랜차이즈 산업의 양적 성장 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 프랜차이즈 본부가 가맹점과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외식 프랜차이즈 본부의 가맹점에 대한 효과적인 운영관리 전략을 제공함으로써 외식 프랜차이즈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편의표본추출방법에 의해 2019년 6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서울 및 5대 광역시(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의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를 대상으로 총 630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630부 중 612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부적합한 설문지 12부를 제외하고 600부만을 본 연구의 유효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하여 SPSS 23.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기업의 가맹점 조절초점이 가맹점의 경영성과 중 본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외식기업의 가맹점 향상초점이 예방초점에 비해 본부만족도와 재계약의도에 더욱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기업의 가맹점 조절초점과 가맹점의 경영성과 중 본부만족도 간에 본부 통제방법의 조절역할을 살펴본 결과, 외식기업의 가맹점 향상초점은 본부 통제방법 중 결과 통제와 마케팅 과정 통제와 상호작용함으로써 본부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외식기업의 가맹점 예방초점은 본부 통제방법 중 결과 통제와 마케팅 과정 통제와 상호작용함으로써 본부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본부 통제방법 중 재료 및 운영 과정 통제는 외식기업의 가맹점 향상초점과 상호작용함으로써 본부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식기업의 가맹점 조절초점과 가맹점의 경영성과 중 재계약의도 간에 본부 통제방법의 조절역할을 살펴본 결과, 외식기업의 가맹점 예방초점만이 본부 통제방법 중 결과 통제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재계약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식기업의 가맹점 향상초점은 본부 통제방법 중 마케팅 과정 통제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재계약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외식기업의 가맹점 예방초점은 본부 통제방법 중 마케팅 과정 통제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재계약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부 통제방법 중 재료 및 운영 과정 통제는 외식기업의 가맹점 예방초점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재계약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동기부여에 관한 조절초점 전략은 동기부여의 본질과 경영성과 간의 측정에서도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며, 가맹점의 조절초점에 따라 가맹본부의 통제방법도 다르게 적용되어야 성과 향상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외식기업 가맹점의 경영성과를 비재무적 성과인 본부만족도와 재계약의도로 한정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매출액, 순이익 등의 재무적 성과도 함께 측정하여 경영성과를 정성적 지표와 정량적 지표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다면 더욱 구체화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외식 프랜차이즈 산업을 유형별로 구분하지 않고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외식 프랜차이즈 산업을 한식, 중식, 일식, 양식 등 유형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외식 프랜차이즈 유형에 적합한 효과적인 조절초점 전략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조절변수로 본부의 통제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본부와 가맹점과의 관계 성과를 긍정적 측면인 신뢰와 부정적 측면인 기회주의로 구분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외식기업의 가맹점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의 선행변수로 본부의 상품, 물류, 교육, 고객관리, 마케팅 등과 관련된 본부지원 서비스를 선정하여 조절초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본부의 가맹점에 대한 효율적인 경영전략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Although the number of franchise headquarters and franchisees are increasing, the business environment show some difficulty issues with decreasing the total sales, and average sales of the franchise headquarters. In addition, lack of business experience of franchisees, management ability of the franchisee at the franchise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the sustained relationship between the franchise headquarters and the franchisees,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particular, in order to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in terms of franchise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otivation of franchisees. Regulatory focus theory has been spotlighted as a theory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motivation of franchisees. The regulatory focus theory is known as a suitable theory to explain how members of the organization perform their respective efforts for indiscriminate recruitment of franchisees, and uncertainties in business models have resulted in franchisees' management failures and disputes. According to the franchise system which was formed by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quarters and the franchise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in the effective control and productive and safety outcomes. In addition, motivation and experience can be changed by focus of adjustment. Control mechanisms, in terms of distribution channels, are the methods used to control and coordinate the activities performed by channel members. Therefore, franchising affiliates aim to achieve higher organizational goals by using control mechanisms for predictable and robust performance. Hence, present study concude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 management performance of restaurant headquarters and franchisees.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in detail how the control method of the headquarters plays a role between the regulatory focus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affiliates. This is very important in figuring out what kind of efforts the franchise headquarters should take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with the franchise in the foodservice area.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restaurant franchise industry by providing an effective operational management strategy for the franchise of the restaurant franchise headquarters.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total of 630 copies were distributed to restaurant franchise owners in Seoul and five metropolitan cities (Incheon, Daejeon, Daegu, Busan, and Gwangju) from June 1 to June 30, 2019. A develped 63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612 participants were collected. Of these, only 600 copies were employed after removing unsatisfactory responses or inadequate questionnaire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hypothesis test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restaurant control points on the satisfaction of the headquarte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ocus of improving the franchisee's franchise on the catering company had mor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 headquarters and the intention to recontracts. Second, this study confimed the headquarters control method between the focusing point on the control of affiliated restaurants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affiliated stores. As a result, the focus of improving the franchisee's mercha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headquarters by interacting with the result control and marketing process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franchisee's preventive focus has been shown to negatively affect headquarters satisfaction by interacting with outcome control and marketing process control. Therefore, the interaction with the focus has a positive effect on headquarters satisfaction. Third, the role of control of the headquarters control method was examined between the focus of regulating the franchisees' outsourcing companies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franchisees. As a result, only the preventive focus of the franchisee's merchants interacted with the result control of the headquarters control method, which nega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of re-contract. In addition, the focus of improving the franchisees of catering companies positively affects recontract intentions by interacting with the marketing process control of the headquarters control method, while the focus of prevention of the franchisees of catering companies interacts with the marketing process control of the headquarters control method. Fourth, the control of material and operational processes in the headquarters control metho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contract by interacting with the restaurant prevention focus of catering companies. In conclusion, the control focus strategy on the motivation of eating out franchise can be a useful tool in measuring the nature of motiv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methods. First, in this study,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restaurants catering to restaurants was limited to headquarters satisfaction and recontract intention.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more detailed conclusions can be drawn if the financial performances such as sales and net profits are measured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is divided in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dicators. Second, this study did not categorize the restaurant franchise industry by type. Therefore, future research suggests that the catering industry can be helpful in establishing effective control focus strategies for each catering franchise typ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atering industry. Third, this study used the control method of headquarters as a control variable.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is also important to class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quarters and affiliated stores into positive aspects of trust and negative aspects of opportunism to examine their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Fourth, if the control of affiliated restaurants is set to variables such as product, logistics, education, customer management, and marketing at the affiliated headquarters, it will be helpful to establish an efficient management strategy for affiliated stores.

      • 반도체 장비기업의 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이병주 한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Local Firms in the Semiconductor Equipment Industry Although Korea hold a key post in the worl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chip industry, most semiconductor equipments are relatively retarded and were imported by the U.S.A, Japan, and The E.U. Most semiconductor equipment firms, which are small and venture business, are caught in vicious circle of poverty due to the lack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because semiconductor equipment business were prospered by a few of big firms. This vicious circle results in the sense of crisis that semiconductor equipment industry might collapse.

      • 위성영상 피복분류에 대한 CN값 산정

        이병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위성영상 피복분류 항목에 대한 유출곡선지수(CN)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미국 토양보존국(SCS) 에서 기존에 제시하고 있는 피복분류 항목과 위성영상 피복분류 체계에 대한 국내외 사례의 연구를 통하여 환경부에서 공간해상도에 따라 제시하고 있는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의 피복분류 항목에 대한 CN 값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지피복분류 항목별 CN 값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여 3개의 적용대상지역, 경안 수위지점 상류유역, 백옥포 수위지점 상류유역, 괴산댐 상류유역 등 3개의 적용대상 지역을 선정하였다. CN 값 산정에 이용되는 토지피복도는 2000년에 획득된 Landsat-7 ETM 영상을 이용하여 구축하였으며 수문학적 토양군 주제도는 1:50,000 개략토양도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검정방법은 각 적용대상지역별로 선정된 홍수사상의 유출량 자료로부터 산정된 관측 유효우량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CN 값과 강우량 자료로부터 산정된 계산 유효우량을 비교·분석하여 적합성을 검토하였으며, 검정결과 계산된 유효우량은 관측 유효우량에 대해 대략 30% 미만의 상대오차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위성영상 피복분류에 대한 CN 값은 기존에 제시된 CN 값에 비해 유효우량 산정결과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주관이 배제된 객관적인 CN 값 및 유효우량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opose Runoff Curve Numbers(CNs) for land cover and treatment classifications of satellite image and to test the feasibility and accuracy of the proposed CNs. For these purposes, land cover classifications by using satellite imag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SCS's land cover and treatment classifications are studies and land cover classifications sugges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are selected to provide CNs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s. The 3 case study areas, where are the upstream of Gyeongan stage gaging station, the upstream of Baekokpo stage gaging station in Pyungchang River basin, and upstream of the Koe-San Dam, are selected to test the proposed CN values, and collected hydrologic and meteorologic data, Landsat-7 ETM of 2000, soil map of 1:50,000. The tests are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observed effective rainfall obtaining each discharge record and estimated value obtaining observed rainfall and suggested CN values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errors between those values are within 30%.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posed CN values for land cover and treatment classification of satellite image not only provides more accurate results for the computation of effective rainfall, but also suggest the objective CN values and effective rainfall.

      •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중년여성 대상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이병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현대사회의 가장 주된 건강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비만 등의 만성질환은 사망의 주요원인으로 밝혀져 이에 대한 관리와 예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45세 이상 폐경전후의 중년여성은 여성호르몬의 감소, 체중 증가 및 신체활동 감소 등 다양한 위험요인이 증가하여 심혈관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질병 예방을 위해서는 중년여성에서 규칙적 운동, 건강한 식습관 등 생활습관의 개선이 필수적이나 지속적인 실천이 매우 어려우므로, 개인의 생활습관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건강행위의 지속을 위한 동기와 의지를 강화해야 한다. 따라서 비만과 같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가진 중년여성을 위한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후 개인의 운동행위 변화단계,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의 장점 및 운동 자기효능감을 상승시키고 그 효과로서 신체조성, 근력 및 생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대상자는 경상북도 북부지역 A시에 소재한 24개 읍․면․동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5세 이상 65세 이하의 복부지방률 0.85이상, 체지방률 28이상,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 등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이 하나 이상인 중년여성이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1월 8일부터 4월 20일까지 3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실험군 27명, 대조군 27명 대상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기틀을 세우고,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여 전문가 타당도 검증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한 후 최종적으로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군에게 적용한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은 개인의 운동행위와 동기를 증진하기 위해 다양하고 역동적인 과정을 통해 적절한 개인별 행위변화 중재를 적용하고, 건강행동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건강교육」, 「근력 및 유산소 운동」과 「식이 상담」및 「운동 상담」중재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중재프로그램은 4주간을 1세트로 하여 총 3세트 12주 동안 진행되면서, 매 세트마다 프로그램을 등록하도록 하였다. 근력운동과 유산소 운동은 주 5회 12주간 60회기, 건강교육과 식이 및 운동 상담은 주 1회 12주간 12회기를 시행하였다. 계획단계의 대상자에게는 프로그램 중재가 시작되기 전에 일대일 상담을 통하여 자신의 건강상태 정보 제공, 개인적 회상을 통하여 동기화를 유도하였다. 이후 계획단계, 준비단계, 행동단계, 유지단계에 있는 중년여성에게 동기정도에 따라 변화전략이 역동적으로 제공되었으며, 자신이 운동수행을 꾸준히 지속하고 식습관 관리를 실천할 수 있도록 「건강교육」, 「근력 및 유산소 운동」과 「식이 상담」및 「운동 상담」을 모든 단계에 적용하여 의사결정 균형, 자기 효능감이 증진되도록 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신체조성과 생화학적 측정 검사결과에 대한 기본상담과 실험종료 후 건강정보 책자를 제공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두 군의 일반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은 서술적 통계를 이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사전 동질성검증은 Chi-square test, t-test로 하였고, 연구의 가설검증은 두 군간의 사전, 사후 차이검증에 대한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에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프로그램 중재 후 각 그룹별 사전사후 비교 결과, 운동행위 변화단계는 실험군은 계획단계 3명(11.1%), 준비단계 12명(44.4%), 행동단계 3명(22.2%), 유지단계 9명(33.3%)이고, 중재 후 계획단계 0명(0.0%), 준비단계 6명(22.2%), 행동단계 10명(37.0%), 유지단계 11명(40.7%)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χ2=8.46, p<.027), 운동행위 변화과정의 각 그룹별 사전사후 점수는 경험적 변화과정에서 실험군 0.41±0.20점, 대조군 -0.03±0.12점으로 실험군의 상승 폭이 크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9.89, p<.001). 행동적 변화과정에서 실험군 0.38±0.27점, 대조군 -0.03±0.16점으로 실험군의 상승 폭이 크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6.88, p<.001). 의사결정 균형의 이득적 요소(t=2.29, p<.026), 운동 자기효능감(t=7.32, 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의사결정 균형의 장애적 요소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3.52, p<.002). 신체조성에서는 실험군에서 복부지방률(t=-2.09, p<.042)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체질량지수(t=-1.29, p.202), 체지방률(t=-1.99, p=.052)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력요인으로 악력(t=2.27, p<.028)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실험군에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t=-2.31, p<.025), 총콜레스테롤(t=-4.19, p<.001)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t=0.72, p=.473), 공복혈당(t=-1.51, p=.139)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 중년여성 개인의 변화단계에 따라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대상자의 운동행위 변화단계, 변화과정, 의사결정 균형 및 운동 자기효능감과 복부지방률, 악력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총콜레스테롤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도시 지역이 아닌 지방 중소도시의 중년여성들에게 지역사회 인적자원을 활용하여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중재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고, 만성질환 예방과 인식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보건소나 대학 등 지역사회 자원과의 지속적인 연계를 바탕으로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적용과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