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시대 사대부 園林으로서 洞에 관한 연구

        유가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s to find of Korean garden's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mountains. The concept of Wonlim園林 in Joseon Dynasty(1392~1910) was a subject that can be explained not only with an act of making landscape造景, but also through rambling in it遊景. The rambling places for scholars were various mountains in the country. Mountains were significant in that it hid materialized ideal place and it is the nature on the other side of the capital city. The space in the mountain perceived as a 'garden' is a section of pure nature without any artificial manipulation. The East Asian culture, where people use Chinese characters, uses '園' for garden. In general, garden is written as '園林' or '庭園'. However, there are not many classical gardens in the country that are left with names such as '-園'. Instead, they are represented in the form of surrounding landscapes or villas centering around structures such as -Jung亭, -Dang堂, -Jungsa精舍, -Lu樓, Hun-軒 and -Sanbang山房. The mental border against the landscape around the structure marks the territory of a garden. This mental border is formed by the appreciator's rambling. This ramble also accompanies the scholar's inward eyes as an intellectual. The artificial mountain假山, flowers and trees, and stones in the yard, and garden ponds in personal gardens were not seen as reproduced nature as the way they appear, but rather appreciated with each individual's ideal in their minds. Scholar's rambling was also carried out by the act of going into the mountains. Mountains are places for the scholar's seclusion and for shelters of recluses who left the secular world. It is also a hidden utopia like an immortal world and has characteristics of another world異界. But in fact, it is an untouched pure nature and a wild place where beasts and insects prevail. Mountains where ordinary person could not access freely, were perceived as a sacred space. People staying in these spaces were revered as they were considered immortal beings like shinsuns. Deep mountains where shinsuns lived, represented utopia and Fudi福地. It also had meanings of sacred mountain and note one where classical scholar, ascetics and chushi處士, who left unsacred society, lived in reclusion. And for the scholars of that time, it was also perceived as a place to 'withdraw and stay' by the concept of calling and reclusion according to the confucianist principle of entering or withdrawing himself in politics出處之義. From this, mountains were given the meaning of Sanlim山林 where scholar‑officials lived their lives away from the capital city. At the same time, it also meant utopia where one reached the stage of shinsun神仙. The methods and aspects of realizing mountains as a utopia were looked at in order to analyze the rambling place in the mountains as scholar‑officials Wonlim. The hope to embody ideal stage理想境 in utopia created various cultural forms and some of them were shaped into scholar's garden culture. First of all, aspects of utopia embodiment were examined based on scholars' appellation of pen names雅號 and rambling on mountain遊山. Some of the pen names were combination of landscapes, such as a mountain, river, valley and stream, and meaning of seclusion隱逸 or reclusion隱遯. An old fisherman海翁, an old recluse遯翁, a valley with cloud雲谷, a valley with pine forest松谷, a recluse as a fisherman漁隱 and a recluse as a woodcutter樵隱 are some of the examples, and many of them used words that meant a valley. These are examples of embodying an ideal stage of seclusion in the mountains by calling people by those names. Also, rambling on mountains is a practical attitude of an appreciator's embodiment of an ideal stage by actually going into the mountains. In addition, methods of making shape of the mountain or representing landscape in the living space were studied. Placing miniature model mountains in ponds or yards is called jisan假山. Among these realization methods, embodiment of an ideal stage by rambling on mountain and reproducing mountains and landscapes were formed into different types of Wonlim. This Wonlim signifies a space for meditation or a place for aesthetic embodiment of the world in a gourd bottle壺. It is also a nature perceived as a concept of garden. This study looks into the artificial mountain, the garden - reproduction of an ideal stage, and the imagery garden - realized in free imagination. In addition, the scholar's practical attitude of perceiving one section of the pure nature as a 'garden' was carefully examined. As an example, meaning of Wonlim as an ideal place in the mountain was also studied. Dong洞 is an attempt to realize the unusual stage through an appreciator's activities such as exploration of the scenary, appellation and dwelling. This includes the process of experience when one recognizes the reality discovered in the mountains as an ideal stage, and it shows how one identifies reality with ideal. Moreover, one makes the space he discovered during rambling into a personal place, Wonlim, through mental border. Hence, dong was regarded as a subject that can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Wonlim', ‘mountain' and 'utopia'. Dong usually means a 'village', but its meaning 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was given after 1910 when integration of Dong洞, Ri里 and Chon村, and change of names and boundaries were proclaimed. Dong was originally used as an elegant name for village units such as Ri and Chon, and it can be found in the documents of Goryeo Dynasty(918~1392). This paper identifies dong as Wonlim, the space found in the mountains equivalent to utopia that has been recorded and handed down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rather than the meaning of 'village'. dong as Wonlim is also used as traveling on mountain which holds valid meaning in the modern times as well. Mujukucho'n-dong in Mt. Teogyu and Sunyoo-dong in Goisan are well known examples of this, and these places are settled as an ideal of modern people where they can get away from their ordinary life and get in touch with the pure nature. Based on the explorations in the scholar's traveling writings, dong's meaning as a Wonlim was studied. The writings contain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untains and surroundings. Repetitive explanations included 'rambled along the stream', 'the trails were narrow and contracted', 'stone gate appeared', 'there is a wide and spacious place inside the gate' and 'inside is vacant'. Also, more explanations were followed such as 'mountains are composed of rocks', 'high and deep', 'steep', etc. In addition, there were words like dong gate, stone gate, Dongbu洞府 and Dongcheon洞天. In short, dong is the vacant space in the valley of high, deep, steep and rocky mountains. And there is a gate to another level. This study considers this Dong in the mountains to have a meaning of an earthly utopia. The activities in dong in the mountains are continued to 'experience' of transformation of space by stepping into the gate, unlimited rambling, 'discovery' and 'imagination' of landscape, 'observation' and 'appellation' of nature and 'embodiment' of ideal stage. These can be the process of scholar-officials' seclusion and a mountain excursion. During this process, they left numerous space appellations and inscriptions. These were chanted as Gugok and expressed complex ideals of combinations of Confucianism and Immortalism. Rock inscriptions included names of places, rambling people and poetry.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dong as a Wonlim as follows. First, space is given an appellation. Dong is a certain section of a mountain without boundaries, but has a special appellation as a selected and recognized place. It either has been called by the same name by many people for a long time or the first person who discovered the place gave it a name. It was related to landscape-characters, special meaning, and Taoism such as Sunyoo-dong仙遊洞, Ohsun-dong五仙洞, Chilsun-dong七仙洞, Eunsun-dong隱仙洞. Second, landscape is enjoyed and interpreted through exploration. The place is like a circuit style garden where on can freely ramble around in the mountains. In a place comprised of natural objects such as a waterfall, marsh, stream, rocks and cliff, one rambles, rests, give names and inscribes names into the rocks. Third, there were some pavilions亭, ponds, and planted trees. It is like a gardening. Scholar-officials wanted to make their secret garden in the deep mountains. Forth, it has a characteristic of a theme park, where the process of discovery, appreciation, experience and imagination with a theme of Shinsun神仙 world is accompanied. Dong is located at an unfrequented area, deep in the mountains. This place can either be reached by an unintended discovery or one has to travel over the rivers and mountains to get to a famous place. One also has to go through steep and narrow mountain trails. The dong either discovered or reached is a distant space away from the secular world and creates aura as another level. The appreciators are intoxicated with the immortal land inside. This is a place with special joy that scholar-officials cannot find in their ordinary lives. This dong's physical basis is the 'mountains' and mental orientation is the 'immortal world'. Fifth, there is no physical boundary such as a fence or wall, but it is a psychological 'area' recognizing a selected place in the natural mountains as a 'single' space. And there is a gate to transform the space and it has its inner area. In the scholar-officials' travel writings, this area is defined as places wit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a space', 'an area', 'different world', 'immortal world', 'a space created by God', 'a space like a gourd bottle', 'distinctive space from the human world', 'Buddhist utopia', 'Daoistic utopia', 'hyundo', 'space beyond human power' and 'grotto as a phantom house'. Sixth, it has characteristics of Wonlim as an unusual space in that it accompanies acquisition of the ideal stage by physical movement and inward eyes, and it is a discovery of a new place for an individual. The performers rambling in the dong are scholar-officials, the Literati of the era. Texts they had access to ranges for Confucianism to Buddhism and Dao. Among different types of texts, inward eyes were created according to one's personal preference. This is appeared in scholar-officials' space appellations. In dong, Confucian ideals were expressed through Gugok九曲, but sometimes they appeared as complex ideal concepts that combined peach blossom land, the world in a gourd bottle and immortal world. Dong is a place of embodiment where these ideals are found, discovered and enjoyed. 이 연구에서는 전통시대 한국정원의 속성을 산과의 관계를 통해 해석하고자 하였다. 당시의 원림 개념은 경관을 만드는 행위造景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노닐고 경험하는 과정遊景을 통해서도 설명되어질 수 있는 대상이라고 보았다. 이때 사대부들의 유遊의 장소는 국내에 산재하는 산이었다. 산은 현실화된 이상향을 감춘 공간이자 성시城市의 반대항에 있는 자연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정원으로’ 인식된 산속의 공간은 인위적 조작이 없는 천연의 자연 속 한 구역이다. 한자를 사용하는 동아시아문화에서는 정원을 의미하는 용어로 ‘園’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정원은 ‘園林’ 혹은 ‘庭園’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현재 보존되어 온 국내의 전통정원은 ‘-園’의 명칭으로 남아있는 사례가 적다. 대신에 ‘-亭’, ‘-堂’, ‘-精舍’, ‘-樓’, ‘-軒’, ‘-山房’ 등 건조물을 중심으로 주변의 영역을 이루는 산수정원 혹은 별서의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건조물의 점경点景을 중심으로 주변경관에 대한 심적인 경계를 이루는 정원이다. 이 심리적인 경계는 감상자의 유遊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유’에는 지식인으로서 사대부의 심안이 동반되었다. 뜰庭에 놓인 석가산, 꽃과 나무, 개인의 정원에 만든 원지園池는 모두 재현된 자연을 눈앞에 보이는 그대로 목도하는 것이 아닌 개개인의 마음속 이상과의 교융을 통해 감상되었다. 사대부의 유遊는 산으로 ‘들어가는’ 행위를 통해서도 이루어졌다. 산은 선비가 은일하는 공간이며 세속을 등진 은둔자가 머무는 공간이었다. 또한 신선세계와 같은 이상향이 숨겨진 공간으로 이계異界로서의 성격을 지녔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듬어지지 않은 천연의 자연으로 맹수와 해충이 창궐하는 야생의 공간이다. 범인이 함부로 드나들 수 없는 산은 신성한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공간에 머무는 인물은 신선과 같은 불멸의 존재로서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 신선이 산다고 믿어진 깊은 산은 낙토와 복지로서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혹은 영산靈山과 명산名山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불온한 사회를 등진 고고한 선비, 도사나 처사가 은둔하는 장소가 되었다. 그리고 당시 사대부들에게는 출처지의出處之義의 소명과 은둔의 관념에 의해 ‘물러나 거하는’ 피세의 장소로 각인되기도 하였다. 더불어 산은 사대부로서 성시를 이탈한 삶이 이루어지는 산림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동시에 신선의 경지가 이루어지는 장소로서의 의미가 있었다. 이 글에서는 산속에서 노닐고 경험한 장소를 사대부의 원림으로 해석하기 위해 이상향으로서 산의 경지를 구현하는 방식과 양상에 관해 살폈다. 이상향을 구현하기 위한 소망은 다양한 문화형태를 양산하였고 그 중 일부는 사대부의 원림문화를 형성하였다. 먼저, 사대부의 아호雅號 명명과 유산遊山을 바탕으로 이상경을 체현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사대부의 아호 중에는 산, 강, 골짜기, 계곡 등의 자연경관에 은일 혹은 은둔의 의미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이름이 있다. 해옹海翁, 둔옹遯翁, 운곡雲谷, 송곡松谷, 어은漁隱, 초은樵隱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골짜기를 뜻하는 용어를 사용한 경우가 많다. 이 같은 사례들은 산악에서 은일하는 이상적 삶을 인물의 이름으로 부름으로써 그 자체를 체현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유산遊山은 산속으로 직접 들어가서 이상적인 경지를 체현하는 감상자의 실천적 태도이다. 이밖에도 산형山形을 만들거나 생활공간 안에 경관을 재현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축소된 산의 형상을 만들어서 연못이나 뜰에 둔 것을 가산假山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구현의 방식 중 유산을 통해 산악의 경지를 체현하는 것과, 산형과 경관을 재현하는 것은 원림의 한 유형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림은 심성수양을 위한 공간이거나 호중천지壺中天地의 미학을 체현하는 공간의 의미를 갖는다. 더불어 정원의 개념으로 인식된 자연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사대부 정원을 점경点景에 해당하는 가산, 이상적 산림경지를 재현한 원園, 자유로운 상상 속에서 구현한 의원意園, 원림으로 인식된 자연에 대한 4가지 범주 안에서 다루었다. 이중 자연 속 한 구역을 원림으로 인식하는 사대부의 실천적 태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관련 사례로는 동洞이라 명칭된 산속의 공간을 다루었다. 동은 비일상적인 경지를 주체자의 적극적인 탐승, 명명, 거주 등의 행위를 통해 현실화 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산악에서 발견한 현실을 이상향의 경지로 인식하는 체험의 과정이 포함된 것으로 현실과 이상을 동일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심적 경계를 통해 산속의 한 공간을 개인적 유오遊娛의 장소로 삼기도 하는데, 이는 원림의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동洞을 ‘원림園林’과 ‘산山’, ‘이상향理想鄕’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았다. 동은 일반적으로 ‘마을’의 의미를 갖고 있으나, 행정구역상 의미로 명명된 것은 1910년 도령으로 기존의 동, 리, 촌의 폐분합치와 명칭 및 경계변경에 관한 내용이 공표된 이후의 일이다. 본래 동은 리, 촌 등과 같은 촌락단위에 대한 아칭雅稱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명칭은 고려시대 문헌에서부터 찾아 볼 수 있다. 동은 일반적 마을, 청학동이나 우복동과 같이 이상향과 현실 속 마을이 결합된 것, 삶의 공간이 아닌 개인의 유遊를 위한 장소의 의미를 지닌다. 이 글에서는 동을 일반적 ‘마을’의 의미보다는 산속에서 발견한 이상향과 같은 차원의 공간으로서 개인의 경험에 의해 기록되고 전승된 원림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원림으로서의 동은 현대에서도 그 의미가 유효한 유遊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기도 하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선유동계곡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들은 지금도 일상을 벗어나 천연의 자연을 마주할 수 있는 현대인의 이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원림으로서 동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서 사대부의 동 답사 기록洞記에 나타난 내용을 파악하였다. 기록된 내용상에는 산세와 주변경관에 관한 내용이 매우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반복적으로 설명되는 내용은 ‘시내를 따라 소요하였다’, ‘산길이 좁고 협착하였다’, ‘석문이 나타났다’, ‘문으로 들어가면 넓고 광활한 공간이 있다’, ‘내부는 비어있다’ 등이다. 또한 ‘산이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 ‘높고 깊다’, ‘험준하다’ 등의 설명이 뒤따른다. 이와 함께 동문洞門, 석문石門, 동부洞府, 동천洞天 등의 용어가 나타난다. 요컨대 동은 높고 깊은 험준한 바위산 골짜기 가운데 비어있는 한 공간이다. 그리고 여기에는 이계異界로 들어가는 문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산속의 동이 현실화된 이상향으로서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다. 산속의 동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은 문門을 들어섬을 통한 공간전환의 ‘경험’, 경계를 설정하지 않은 ‘유’, 경관의 ‘발견’, ‘상상’, 자연물에 대한 ‘관찰’과 ‘명명’, 이상적 경지의 ‘체현’ 등으로 이어진다. 이것은 사대부들의 은일과 산놀이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그 과정에서 수많은 공간명명과 각자刻字를 남겼다. 이것은 구곡九曲으로 읊어지기도 했고 유가적인 이상과 신선관념이 결합된 복합적인 이상을 표현한 것이기도 했다. 바위글씨의 내용 가운데는 공간의 명칭, 노닐었던 사람들, 시구 등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이 갖는 원림으로서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첫째, 공간의 명칭을 갖는다. 산속의 한 구역으로 일정한 경계가 없으나 선별되고 인식된 장소로서 ‘별칭’되었다. 오랜 기간 동안 여러 사람에 의해 같은 이름으로 불리거나 최초 발견한 사람이 명칭을 부여하였다. 선유동仙遊洞, 오선동五仙洞, 칠선동七仙洞, 은선동隱仙洞 등 신선관념과 관련된 명칭, 경관특성에 의한 명칭, 발견한 사람의 감흥이나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명칭 등으로 다양하였다. 둘째, 탐승행위를 통해 해석되고 감상되는 공간이다. 산중의 동은 자유로운 경로로 소요하며 노닐 수 있는 공간으로 회유식回遊式 정원의 성격을 지닌다. 폭포와 소沼, 계류, 바위, 절벽 등의 자연물에 의해 구성된 공간에서 노닐고, 쉬며, 명명하고, 바위에 이름을 새기는 등刻字의 행위가 이루어진다. 셋째, 정자건축∙연못조성∙식재 등 조영행위가 이루어졌다. 경관해석 및 감상활동과 함께 장소 안에 거함을 통해 공간을 소유하고자 하는 구체적 행위가 동반되었다. 이것은 사대부 주택과 별서 등에 조성했던 원림을 산중 공간에 이루고자 한 것이다. 넷째, 신선세계라는 주제를 통해 발견하고, 감상하고, 경험하며 상상하는 일련의 과정이 동반되는 주제정원적 성격을 갖는다. 일상적 생활공간을 벗어난 산속은 신선세계라는 이계에 보다 가까운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동은 이 같은 산 가운데 인적이 드문 곳에 있었다. 이곳은 의도하지 않은 발견에 의해 도달할 수 있거나, 다다르기 위해 물을 건너고 산을 넘는 먼 길을 가야 했다. 또한 험준하고 비좁은 산길을 거쳐야만 나타났다. 이렇게 도달하거나 발견한 동은 인간세상에서 멀어진 공간으로 이계로서의 아우라를 형성한다. 감상자들은 그 안에서의 신선경에 도취된다. 이곳은 사대부로서의 일상적 삶에서 찾을 수 없는 특별한 즐거움이 있는 장소이다. 이러한 ‘동’의 물리적 기반은 ‘산’이며 정신적 지향은 ‘선계’이다. 다섯째, 울타리나 담장의 물리적 경계는 없으나 감상자의 심리적 경계에 의한 영역을 갖는다. 이 영역洞은 산수자연 속 선별된 장소로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동은 문門을 통해 공간의 전환을 맞이하고, 내부의 영역을 갖는다. 또한 사대부의 답사 기록 속에서 일국一局, 일구一區, 별세계, 선경, 조물자가 조성한 공간, 호리병 속과 같은 공간, 인간세계와 구별되는 곳, 낭원閬苑과 현도玄都, 인력으로 만들어지지 않은 곳, 귀선鬼仙의 동굴 같은 곳, 신선구역의 복지 등 세속과는 구별되는 성격을 지닌 공간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설명은 공통적으로 인간세계가 아닌 곳, 세상과 격리된 곳, 초월적 세계로서의 공간성격을 나타낸다. 다섯째, 이상향과 같은 공간 속에서 초월적 경지의 획득이 동반된다. 개인에게 새로운 장소의 ‘발견’이라는 점에서 비일상적 공간성격을 갖는다. 동에서 노니는 행위자들은 사대부로서 그 시대의 지식인이자 문인에 해당한다. 이들은 일상을 벗어난 산속 공간에서 그들이 지향하였던 경관을 발견하고 그 속에서 이상적 경지를 실현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이때 사대부들이 인식하였던 텍스트경관은 유가儒家적인 것에서부터 불佛․도道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이것은 사대부들의 공간명명으로 나타난다. 유가적 이상은 동에서의 구곡을 통해 나타났으나, 도화원, 호중천, 선계 등이 혼합된 복합적 이상향 관념으로 드러나기도 하였다. 동은 이 같은 이상을 발견하고 누리는 체현의 장소이다. 또한 ‘산’이라고 하는 자연 속 한 구역을 이상향과 같은 경지의 한정된 공간으로 인식하고, 그것을 개개인이 마음으로 소유하고자 했던 장소이다. 더불어 공간의 발견, 감상, 경험, 상상, 조영, 거주 등의 행위에 의해 이상향과 같은 장소에서 바라마지 않는 이상적 경지를 체현하고자 하였던 산속의 원림이다.

      • 문학교과서 제재로서의 설공찬전 연구

        유가현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Seolgongchanjeon' is a novel written by Chae Soo who served as a government official under the rule of King Seongjong and Yeonsangun and made a contribution to Joongjongbanjeong. The form of the novel was very unique in that a ghost talked to the other characters through the human body and criticized against contemporary reality by describing the world beyond. That was very interesting enough to bring on the greatest affairs related to writing in the Joseon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a teaching method for the novel and its value by utilizing an educational drama and hypertext. An educational drama could be one of efficient learning vehicles that capitalize on a variety of techniques to teach the theme and value of that novel and adapt it. The teaching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largely consists of four stages: motivating/reading, grasping the plot, reconstructing its meaning, and wrapping up/evaluating. After each stage's learning objectives were selected, educational drama techniques were utilized to devise learning activities to attain the objectives. In the motivating/reading stage, learners are asked to describe their ideas of a ghost, which is one of the major subject matters in the novel, by using educational drama techniques to stir up their learning motivation. In the stage of plot grasping, they look into the major incidents, main characters and their conflicts to think of the theme of the novel, and they represent the incidents, characters and conflicts by applying educational drama techniques. In the stage of meaning reconstruction, they adapt the theme of the novel, which is criticism against society, in group to internalize its value. In the stage of wrapping up/evaluating, every learner and their teacher assess individual and group activities in each stage to reflect on their learning, to give advice and to get feedback. In this approach, the kind of permissive climate that encourages leaners to represent what's on their mind by applying educational drama techniques should be created above all. Every learner should be stimulated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teachers should be careful enough to ensure the class participation of every learner. And they should serve as providers of a variety of materials to let students think of the theme of a selected drama instead of merely offering expository instruction. Another important thing is that what educational drama technique would be the best vehicle for learners to describe what's on their mind should be determined. After all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are satisfied, every student should perform and view an educational drama with sincerity. Another teaching method devised in this study was a hypertext-aided one. This approach was adopted since learners are used to computer. A website could be set up by using hypertext in a manner to make it possible to grasp learner activities at a glance, and all the above- mentioned stages could be incorporated into that. In the website, learners are to be informed about TV programs that center around the novel, and basic materials required for understanding of the novel are provided, and learners are able to search additional materials over the Internet and post their opinions onto the website if they have any. The website is to involve several kinds of activities in order for them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ovel and represent their ideas: taking a detailed look at major scenes, becoming one of the characters, completing the ending, reconstructing the work, and writing an article. After students post their opinions onto the website, their teachers and other students may give their comment and have a discussion on the cyber space. Their online writing is utilized as materials of evaluation. Students are familiar with the medium of hypertext, and online writing may put a less strain on them than offline one. So hypertext-aided learning is expected to allow learners to describe what's on their mind without any restraints and take the initiative in their own learning. <설공찬전>은 성종 때부터 연산군 때까지 언관으로 활약했으며 중종반정의 공신이었던 채수가 지은 소설로, 귀신이 이승 사람의 몸을 빌려 이야기하는 독특한 형식을 취하고 있고, 귀신이 전하는 저승 세계를 통해 현실을 비판하고 있으며, 조선 최대의 필화사건을 겪은 매우 흥미로운 작품이다. <설공찬전>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가치를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육적 적용 방안으로 교육연극을 적용한 방안과 하이퍼텍스트를 활용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교육연극은 그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설공찬전의 주제의식과 그 가치를 현대적으로 차용하여 변용하는 활동까지를 아우를 수 있어 효과적인 학습 방안이 될 수 있다. 이 학습은 크게 동기 유발 및 작품 읽기, 소설 내용 파악하기, 의미 재구성하기, 정리 및 평가 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의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그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활동을 통해 진행된다. 동기 유발 및 작품 읽기 단계에서는 <설공찬전>의 주요 소재가 되는 귀신에 대한 평소 학습자들이 생각을 교육연극 기법으로 표현하게 하여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소설 내용 파악하기에서는 주요 사건과 갈등, 인물에 대한 이해를 통해 주제의식을 생각해 보는 단계로 사건, 갈등, 인물 등의 요소를 교육연극 기법을 적용해 표현해 보도록 하여 학습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의미 재구성하기 활동에서는 각 활동을 통해 생각해본 <설공찬전>의 사회 비판적 주제의식을 모둠별로 교육연극 기법을 통해 현대적으로 차용 및 변용하여 활동하는 학습을 통해 그 가치를 내면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리 및 평가에서는 단계마다 실시한 모둠별 평가지를 종합하여 모둠별 개인별 평가가 모든 학습자와 지도 교사의 평가로 이루어지고 학습에 대한 반성과 제언을 하는 시간을 통해 다음 번 학습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연극을 적용한 학습에서는 주의할 점은 우선 학습자가 자신의 생각을 교육연극 기법을 통해 표현할 수 있도록 허용적인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학습자 간의 원활한 의소사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모든 학습자가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교사의 지도가 필요하다. 또한 소설에 대한 학습이 강의식이 되지 않고, 학생 스스로가 주제의식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교사는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 역할이 되는 학습이 되어야 한다. 교육연극 기법 중 학습자의 생각을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적용하는 것도 중요한 학습 요소가 될 것이다. 이렇게 분위기를 조성하고 기본적인 학습이 이루어진 후 시연되는 교육연극에서는 시연자와 관람자가 모두 진지한 태도로 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하이퍼텍스트를 활용한 <설공찬전> 학습은 현재의 학습자가 컴퓨터에 친숙한 세대임을 고려하여 구상해 본 학습 방안이다. 하이퍼텍스트를 활용하여 홈페이지를 구축, 학습자의 활동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기본 설정을 갖추었다. 학습의 동기 유발 및 내용 학습, 의미 재구성하기, 정리 및 평가 활동이 모두 하이퍼텍스트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설공찬전>을 주제로 한 TV방영물들을 홈페이지에 탑재하거나 볼 수 있는 곳을 소개하여 방영물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도록 한다. <설공찬전>의 내용 이해를 위한 기본적인 자료들을 홈페이지에 제공하고 그 외에 자료들을 인터넷을 통해 찾아보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의 과정에서 생각한 자신의 의견을 홈페이지에 설정된 항목 중 적절한 곳에 글로 표현하도록 한다. 홈페이지의 항목은 <설공찬전>의 내용 이해를 위한 항목과 주제의식에 대한 학습자의 다양한 생각을 표현할 있도록 장면 상세화하기, 소설 속 인물 되어보기, 결말 완성하기, 작품 재구성하기, 기사 작성하기 등의 활동 항목을 설정한다. 또한 이 글은 지도 교사 및 학습자가 보고 의견을 답글로 달 수 있다. 답글에 대한 답글을 통해 토론을 벌일 수도 있다. 하이퍼텍스트 상에 올려진 글과 답글 등을 통해 평가가 이루어진다. 하이퍼텍스트를 활용한 학습은 활용 매체가 학습자에게 친숙할 뿐 아니라 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는 학습지에 글을 쓰는 활동보다 학습자의 부담이 적어 그 만큼 자유롭게 생각을 전개해 나갈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 디지털 트랩 포집 해충 데이터 구축 및 객체 인식 알고리즘

        유가현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order to enable a quick and effective initial response to domestic pests, we intend to establish high-quality learning data that can detect and classify automated pes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open it to lay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system to minimize damage to farms caused by pests. It is active from July to November and collects 11 kinds of pests that damage crops, and installs a collector consisting of sticky, fermon, and infant types in the pest area to collect 120,000 image data with the built-in camera. In addition, 140,000 environmental sensor data are collected with installed sensors and processed into data that AI can learn. Finally, Detectron2 based on Mask R-CNN model and Random Forest models are used to build an object detection classification model and a growth environment analysis model through AI deep learning.

      • 학교유형이 학생의 시민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유가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 1-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고등학교 유형이 학생의 시민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외의 선행연구에서는 시민역량 발달 측면에서 사립학교, 특히 가톨릭계 사립학교가 공립학교보다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고하였으나 국내에서는 평준화된 교육체제로 인하여 학교유형에 관한 논의가 비교적 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로 신자유주의의 영향을 받아 학교체제의 다양화, 특성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고교다양화정책의 결과로 자사고, 마이스터고 등 새로운 학교유형이 신설되었다. 이처럼 한국사회에서도 학교간 차이가 커지면서 학생의 교육결과에 미치는 학교유형의 효과 연구 필요성이 높아졌으나 지금까지 수행된 학교유형 관련 연구는 대부분 국어, 영어, 수학 등 인지적 영역에서의 학생성취에 대한 논의에 머무르면서 비인지적 성취 특히 청소년들의 시민역량에 대한 학교다양화의 영향을 충분히 검증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유형-일반고·자공고, 자사고·외고-에 따라 청소년의 시민역량-투표참여, 합법적 저항, 권리·책임의식, 민주적 절차 및 의식-에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고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가 학교과정 변인에 설명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차분석과 t-test를 통해서 학교유형별로 학생의 개인특성과 가정배경, 학교수준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뒤 경향점수매칭모형을 통해 학교유형 진학선택에 나타날 수 있는 선택편의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경향점수매칭 전후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학생의 시민역량을 설명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개인 특성과 가정배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자사고·외고에 다니는 학생은 일반고·자공고에 다니는 학생보다 여학생이 많았으며 학급토론개방성이 높고 가정배경이 좋은 편이었다. 둘째, 경향점수매칭 전 위계적 선형모형 결과에서는 학교유형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나 매칭 후 결과에서는 학교유형에 따른 차이가 미미해졌다. 이는 경향점수매칭 이후 자사고·외고 학생과 일반고·자공고 학생 사이에 존재하던 개인특성 및 가정배경의 차이가 제거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학교과정효과를 설명하는 변인으로 학급토론개방성이 사용되었는데 학생 개인이 인식하는 학급토론개방성은 투표참여, 합법적 저항에 대해서는 긍정적 영향을 주었지만 민주적 절차 및 의식에 대해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수준의 평균학급토론개방성은 대부분 시민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권리책임의식에는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학급토론개방성의 영향이 시민역량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사실을 시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시민역량 측면에서 자사고·외고의 효과성은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였다. 청소년의 시민역량에 대해서는 학교유형간 차이보다는 학생 가정배경에 따른 차이가 더 크므로 학교과정이 줄 수 있는 영향은 매우 작은 수준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다양화가 결코 다양한 교육결과를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사회는 계층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학생이 대학진학이라는 단일한 목표 하에서 고등학교 진학 선택을 하며 학교 또한 학교유형과 관계없이 최대의 입시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이 과정에서 시민역량은 지금까지 학생과 학교 모두의 관심에서 배제되어 온 측면이 있고 그 결과 학교다양화정책이 시민역량의 격차를 벌리는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사고·외고에서 더 개방적인 학급토론풍토가 발견되며 이러한 열린 학급풍토는 학생들의 시민적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앞으로 학교유형 간 시민역량의 격차를 가져올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유사한 가정배경에 있는 학생들이 모여 있음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배타적으로 작용하여 사회통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우려된다. 따라서 학교체제의 분화가 초래할 수 있는 교육계층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학급 차원에서는 학생 시민역량의 함양을 위하여 다양한 학생 의견을 존중하는, 열린 교실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 KTX 경부선 이용자가 인식하는 차창경관의 특징에 관한 연구

        유가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the integrated planning for social infrastructure including railroad becomes more important, the landscape structure are being considered in the plans. In this regard, each local government is implementing a plan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scenic roads in South Korea. Opposite to scenic roads, little attention has been pos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ailroad and landscape. In this context, as the purpose of using high-speed trains gradually expands from business to leisure activities,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the landscape from inside of the train is raised.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rain window views by analyzing the KTX Gyeongbu Line, which can show the overall status of the national landscape in South Korea. As a research method, three field surveys and a survey using the SD method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users' perceptions of train window views. Based on this, three implications were identified. First, the train window views, which was not recognized as a landscape, was expanded as one of the types of sequence landscape by identifying the train window views that users can experience in the high-speed train. Not much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train window views in South Korea. Therefore, the concept of train window views in this study was defined based on overseas previous literature. In addition, window views were specifically classified into types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visible and invisible sections. This is a differentiation in this study. Second, the factors that can define train window views were classified through a user perception survey.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rain window views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The factors are ‘openness', ‘variability', ‘neatness', and ‘rurality'. In the case of KTX Gyeongbu Line, it was examined that 'rurality' was high, but ‘variability' was low. Third, the need to consider the evaluation items and benefits of landscape management in railway route planning and the railway construction project currently underway in Korea and raised in this study. By investigating users' willingness to pay for a window seat basic data for the economic value conversion of train window views was provided, and it was identified that users positively evaluate the value of train widow views. In summary,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train window views and provides the grounds to support the validity of landscape evaluation items for improvement of landscape in high speed train.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as a basic research on landscape planning of railroads. 철도를 포함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통합적인 계획이 강조되는 흐름 속에서 경관 구조를 반영한 계획들이 고려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우리나라의 도로는 경관적 측면을 강조한 경관도로에 관해 각 지자체에서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아직까지 철도와 경관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 및 평가에는 부족함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고속열차의 이용목적이 비즈니스에서 여가활동까지 점차 확대됨에 따라 열차 이용자가 열차 내부에서 바라보는 경관적 고려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정된 노선을 통해 국토경관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KTX 경부선을 대상으로 차창경관의 개념 및 특성을 구체화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세 번의 현장조사와 SD법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차창경관에 대해 이용자가 가지는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로, 국내 고속열차 내부에서 이용자가 직접 경험 가능한 차창경관을 파악함으로써 경관으로 인지되지 못했던 차창경관을 연속경관의 유형 중 하나로 확장하여 바라봤다. 국내 차창경관에 대한 정의 및 특징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여 국외 선행논문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차창경관에 대한 개념을 규정하였다. 또한, 구체적으로 가시‧비가시 구간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15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차창경관 전반에 관한 정리를 통해 연구의 차별성을 확보하였다. 두 번째로, SD법을 적용한 이용자 인식조사를 통해 차창경관을 정의할 수 있는 요인을 축소 분류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차창경관은 ‘개방성’, ‘변화성’, ‘정돈성’, ‘전원성’으로 분류되어 각 항목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또한, KTX 경부선의 경우 차창경관의 ‘전원성’은 높지만, ‘변화성’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로, 철도 노선계획 시에 경관적 관리 및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철도건설 사업에서 경관에 관한 평가항목 및 편익 고려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용자의 차창자리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조사함으로써 차창경관의 경제적 가치환산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이용자가 차창경관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함을 파악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국내의 지속적인 철도의 경관개선을 위해 차창경관의 현황을 파악하고 경관 평가항목의 타당성을 뒷받침할 근거를 제공하였다. 향후 기존 노선 및 신설 노선계획 시 경관에 관한 기초연구로써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 분석 : 인천의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유가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library services are also changing from data oriented to user oriented. Accordingly, school libraries also need to analyze users ' need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brary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use status of students, the main tier of use for school libraries, and their satisfaction in the service section of school libraries, and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libraries. The study selected five middle and high schools in Incheon City to survey their students, interview with teachers in charge of libraries,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ed the school library for lending and returning books, and as they moved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students, the usage rate of the school library dropped from three times a week to one semester. Seco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brary facilities and materials differed greatly from one school library to anoth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lassroom and the school library decreased, the satisfaction level of location decreased,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the school library. Satisfaction with facilities and the environment was affected by the size and number of seats available for reading, the number of computers for searching, and heating and cooling. Students '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brary materials was influenced by the amount of data they had in their collection,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materials to suit their interests and needs. Third, if you look at the satisfaction level for the school library, the satisfaction level for the service hours, the number of loans, and the penalty for overdue payment was higher than 3 points on average. Other comments, however, revealed discontent over the short-down of school libraries and the lack of lending rights during the vacation. Fourth,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brary staff was higher in order of librarian, librarian teacher and general teacher. The librarian was only in charge of library work, so it was possible to provide students with a concentrated service, but the teacher and the teacher were in charge of checking library work and class at the same time. Fifth, if you look 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chool library use education, only half of the students remembered the contents and timing of the training. This meant that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use education were not effective, and a change was required. Sixth, the overall service section of the school library showed a high demand for a library event.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library events, but high school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library events such as book contest and book discussions for managing their life records. Identifying the needs of the students who are the main users of the school library and providing the appropriate services immediately will contribute greatly to improving the satisfaction level and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school library. Also, if the cooperation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other teachers is drawn based on the needs of the users, it will be the foundation for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school library.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자료중심에서 이용자중심으로 도서관서비스 또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발맞춰 학교도서관 역시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도서관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의 주 이용자층인 학생들의 이용실태와 학교도서관 서비스 면에서의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학생들의 도서관 이용률을 높일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조사 대상 학교는 인천광역시 소재의 중·고등학교 5개교를 선정하여 재학생들을 설문조사하고, 도서관 담당교사와의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주로 도서 대출·반납을 위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였으며, 중학생에서 고등학생으로 올라가면서 학교도서관 이용률이 주 3회 이상에서 한 학기 1회로 크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학교도서관 시설 및 자료에 대한 만족도는 학교도서관 별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수업 교실과 학교도서관의 거리가 멀수록 위치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졌으며, 이는 학교도서관 이용률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시설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에는 도서관의 규모와 열람 좌석 수, 검색용 컴퓨터 수, 냉난방에 영향을 받았다.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자료에 대한 만족도는 소장하고 있는 자료의 양과 더불어 학생들의 관심사와 필요에 맞는 자료의 구성에 영향을 받았다. 셋째, 학교도서관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이용시간과 대출 권수, 연체 벌칙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평균 3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기타의견에서 방학 중에 학교도서관을 단축 개방하는 것과 적은 대출 권수에 대한 불만이 나타났다. 넷째, 학교도서관 담당자에 대한 만족도는 사서>사서교사>일반교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서는 도서관 업무만 담당하고 있어 학생들에게 집중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사서교사와 일반교사는 도서관 업무와 수업을 동시에 맡고 있어 학생들의 정보요구에 즉각적인 반응과 해결이 어려워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이용교육을 받았음에도 내용과 그 시기에 대해 기억하는 학생이 절반에 그쳤다. 이는 이용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뜻하며, 이에 대한 변화가 요구되었다. 여섯째, 학교도서관의 전반적인 서비스 부분에서 도서관 행사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들의 경우 도서관 행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고등학생은 생활기록부 관리를 위한 독후감대회, 독서토론과 같은 도서관 행사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교도서관의 주 이용자인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적합한 서비스를 즉각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학교도서관에 대한 이용자들의 만족도 향상과 이용률 상승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또한,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근거로 학교관리자와 타 교사의 협조를 이끌어낸다면 학교도서관의 지속적인 발전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 중국 단동항의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유가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단동항은 중국의 요동반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국 동북부의 중요한 교통의 중심지이자 중요한 국제무역 항만이며 중국 동북부의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중국이 WTO에 가입한 이후 물류 산업은 급속한 경제 발전을 수반했고 항만의 기능적 모드는 근본적인 변화를 겪었다. 단동항의 배후지는 주로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 그리고 내몽골 북동지역을 포함한다. 단동항 뒤의 단동시는 중국의 주요 경공업 도시이자 외국 기업이 선호하는 도시 중 하나이다. 또한 외자 기업의 원자재 수입과 수출은 대부분 컨테이너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동항의 컨테이너 취급 능력 또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2018년 북한은 핵 포기를 발표했고 중국과의 북한 무역은 정상으로 돌아왔다. 북한과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단동항 또한 북한 상품 수출의 좋은 기회를 가져왔다. 특히, 석유, 천연 가스, 철강, 면화, 곡물 및 기타 재료의 수출은 좋은 전망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단동항의화물 처리량은 앞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항만산업이 지속적인 발전하면서 단동항만 개발의 단점이 지속적으로 드러났다. 특히 수년 동안 치열한 항만 경쟁과 기업 경영권의 변화로 인해 단동항의 기업 변혁은 느려졌다. 전략적 관리 모델이 없기 때문에 항만의 인프라 구축 및 정보화 과정이 느려졌다. 중미 무역마찰의 맥락에서 지역경제의 발전은 침체기에 접어들고 있으며, 단동항의 기존 기업 전략과 맹목적 확대로 인해 부채 위기에 빠지게 되었다. 단동항이 동북아시아에서 어떻게 발전 할 수 있는가가 심각한 발전 전략이 되었다. 본 논문은 단동항과 중국 동북지역의 대표적인 항만인 대련항을 항만입지, 항만시설, 물동량 및 업계지위 등 네 가지 측면에서 비교하였고, 요녕성 주요 항만의 주요품목과 교통량에서 대련항, 잉커우항, 금주항, 단동항 등 4개 항만을 비교분석 하였다. 단동항에 대한 SWOT 분석 결과, 장점, 단점, 기회 및 위협의 네가지 측면에서 단동항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SWOT분석이 수행되었다. 여러가지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단동항만의 부채위기 배경과 현황을 분석한 결과 단동항이 직면 한 문제가 발견되었다.

      • 인간 섬유육종 세포 HT-1080에서 염주괴불주머니의 MMP-2, -9 발현 억제 효과

        유가현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는 세포의 기저막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로 그 중 MMP-2와 MMP-9은 gelatinase의 일종이며, 암 세포의 침윤과 전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염주괴불주머니는 항산화, 항염증, 항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는 염생식물의 일종으로 본 연구에서는 염주괴불주머니 추출물과 그 분획물(H2O, n-BuOH, 85% aq. MeOH, n-hexane)이 MMP-2, -9의 발현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암 전이 관련 인자의 분자생물학적인 검토를 위해 PMA로 유도된 인간 섬유육종세포 HT-1080 세포를 통해 Gelatin zymography, RT-PCR 및 Western blot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과 그 분획물 모두 MMP-2, -9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TIMP-1, -2의 발현 증가에 미치는 뚜렷한 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에 MMPs 발현에 관여하는 상위 신호전달인 MAPKs에 의해 조절된다는 보고에 따라 Western blot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염주괴불주머니 추출물의 경우 p38, JNK, ER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으며, 분획물의 경우 또한 p38, JNK, ERK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염주괴불주머니의 추출물과 그 분획물은 MAPKs 경로의 조절을 통해 MMPs 발현 저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염주괴불주머니를 이용한 암 전이 억제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re enzymes responsible for extracellular matrix degradation. Among them, MMP-2 and -9 are typical gelatinases and two crucial enzymes involved in the metastasis process. Corydalis heterocarpa is a kind of halophyte and some studies have reported its anti-oxidative, anti-im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MMP inhibitory effect of C. heterocarpa was evaluated in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stimulated HT-1080 cells using ethanol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n-hexane, 85% aq. MeOH, n-BuOH, H2O). The non-cytotoxicity was confirmed by MTT assa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on MMP-2, -9 expression were evaluated and compared using gelatin zymography. Results showed that ethanol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were able to inhibit the MMP-2, –9 activities. Furthermor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MMP-2, -9, TIMP-1, -2 were analyzed by RT-PCR and Western blotting. The expression levels of MMP-2, -9, p-38, JNK and ERK were decreased in HT-1080 cells by ethanol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decresed the MMP-2, -9, p38, JNK and ERK expression. Based on current study results, C. heterocarpa was suggested to possess MMP inhibiting natural components indicating that C. heterocarpa may be used as a valuable source of anti-metastasis subst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