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말하기·듣기 교육에서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오현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im a necessity for the education of appropriateness and to present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by examining the concept, principles and components of 'appropriateness'. The term 'appropriateness' has been used with no concrete and clear definition even if it has been dealt with frequently and crucially i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Appropriateness could be defines as 'an ability to control one's linguistic expressions and understanding corresponding to specific communication situations or goals.' It could be also referred to as a thinking behavior reviewing and adjusting one's communication behaviors in consideration of one's circumstances or objectives and a problem-solving ability to decide to what extent one has to select and reflect the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Appropriateness has been based on the 'accuracy'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f observing grammatical rules; however, it could be further extended in terms whether things were appropriate or natural in the situations where communication occurred. As an environment where speaking and listening were conducted, the factors constituting appropriateness include the 'situational factors' that could also be termed as extrinsic phenomena affecting communication. And the 'goal-oriented factors' that could be defined as intrinsic driving forces enabling and leading the communication. Then, the 'linguistic factors' could be seen as the components of appropriateness in that these two factors could be expressed and understood as a real spoken languages in a comprehensive way. Such factors have been materialized in a form of appropriate speaking and listening by the principles of 'gradability' and 'mutual interactions' in the process of actual communication. Appropriateness could be distinguished not only from grammaticality, but also from basic honorific usage, and it might belong to pragmatic language norms so that it could be a core concept that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entire linguistic function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speaking and listening. Appropriateness could also be termed as a social and cultural norm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well-rounded linguistic activities; at the same time, it would be the condition and principle for effectively conveying the intention of a speaker and properly understanding what the speaker would say on a listener's part. In this regard, appropriateness would be a concept that should be treated very seriously in Korean education whose primary objective would be to improve the Korean proficiency. However, the education regarding appropriateness has not been implemented properly in actual Korean education. This could be observed through the survey of respondents'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on the education of appropriateness and the critical review for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fundamental reasons for the occurrence of such problems were that the definition of appropriateness has not been made clearly and the components were also shown unsystematically and loosely so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appropriate speaking and listening has not been arranged in an orderly fashion. Furthermore, it has been shown that the educational methods were problematic in that students' spoken language sections - speaking and listening - were not considered as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they were treated in a similar way to the sections such as read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appropriateness as educational content and offered the educational strategies and models in consideration of spoken linguistic characteristics as an educational method. In order to educate students appropriate speaking and listening, their reflective recognition on whether their daily speaking and listening were appropriate had to come first. Through this process, learners would be able to perceive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for speaking and listening and have a motive for their learning. Meanwhile, they had to consider that they would face a lot more communication situations than they had before. In this aspect, it would be important for the learners to have realistic and diverse speaking and listening situations in the future. Speaking and listening belong to spoken language with immediate, direct and dynamic communication methods. In order for such communication to be operated smoothly, it would be necessary to distinguish appropriate expressions from inappropriate ones, and make judgment on which one would be more appropriate in specific situations and objectives and consider the ability to use it correspondingly - its appropriateness. As a primary principle of communication that had four function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speaking and listening, appropriateness should be treated importantly in Korean education.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and valuable in that it defined the concept of 'appropriateness' used vaguely despite its relative importance i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and suggested a principle of obtaining appropriateness and the factors constituting it. In addition, it proposed the factors of appropriateness as educational conten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ttempted to offer some educational strategies and models for them. 이 연구는 말하기·듣기 교육에서 자주 사용되고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지만 그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정의 없이 사용되고 있는 ‘적절성(appropriateness)’에 대한 개념과 원리 그리고 이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살핌으로써 적절성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적절성은 ‘의사소통의 상황이나 목적에 맞게 자신의 언어 표현과 이해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자신이 놓인 의사소통의 상황이나 목적을 고려하여 자신의 의사소통 행위를 점검하고 조정하는 사고 행위이며, 의사소통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어느 정도로 어떻게 선택하고 반영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문제 해결 능력이다. 적절성은 문법적 규칙을 정확하게 지켰느냐 그렇지 않느냐를 따지는 정확성을 바탕으로 하지만, 이보다는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목적이나 상황에 적합한지와 자연스러운지를 보다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구분된다. 적절성을 구성하는 요소는 말하기와 듣기가 이루어지는 환경으로서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외재적 현상이라 할 수 있는 ‘상황적 요소’와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고 이끌어 가는 내재적 원동력으로서의 ‘목적적 요소’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이 두 요소가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실제의 음성 언어로 표현·이해된다는 점에서 ‘언어적 요소’ 또한 적절성의 구성 요소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실제 의사소통 과정에서 ‘정도성’과 ‘상호 작용성’의 원리에 의해 적절한 말하기와 듣기로 구현되는 것이다. 적절성은 문법성과 구별되며 기초적인 경어법과도 다른 화용론적 언어 규범으로, 말하기와 듣기뿐만 아니라 읽기, 쓰기의 전체 언어 기능을 관통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적절성은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원만한 언어 생활을 위해 필요한 사회·문화적 규범인 동시에 화자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청자가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조건이자 원리인 것이다. 그러므로 적절성은 국어 사용 능력 신장을 목적으로 하는 국어교육에서 매우 비중있게 다뤄져야 할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국어교육에서는 적절성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현실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교사와 학생의 적절성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적절성에 대한 개념 정의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구성 요소 또한 비체계적이고 산만하게 제시되어, 적절한 말하기·듣기를 위한 교육 내용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 방법에 있어서도 교육의 대상이 학생들의 음성 언어인 말하기와 듣기라는 점을 고려하지 못한 채 읽기나 쓰기, 문법, 문학 영역과 유사한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들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 내용으로서 적절성에 대한 개념과 구성 요소를 제시하고, 교육 방법으로서 음성 언어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 전략과 모형을 제안하였다. 적절한 말하기와 듣기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일상생활에서 하고 있는 말하기와 듣기가 적절한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반성적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말하기·듣기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학습에 대한 동기 또한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지금까지 접한 의사소통의 상황과 목적보다 앞으로 접하게 될 것들이 훨씬 많다는 점을 국어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학습자들이 실제적이고 다양한 말하기·듣기 상황을 경험해 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말하기와 듣기는 음성 언어로 이루어지는 즉각적이고 직접적이며 역동적인 의사소통이다. 이러한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절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고, 어느 것이 상황과 목적에 보다 적절한지 판단하여 그에 맞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인 적절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적절성은 말하기·듣기뿐만 아니라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언어 기능을 관통하는 의사소통의 주요 원리로서, 국어교육에서 좀 더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말하기·듣기 교육에서 대단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막연하게 쓰이던 ‘적절성’에 대해 개념을 정의하고, 적절성을 구성하는 요소 및 적절성을 획득하게 되는 원리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중학교를 대상으로 적절성의 교육 내용 요소를 제시하고, 교육 전략과 교육 모형을 제안해 보았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창의적 아동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오현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색채는 한 시대가 요구하는 시대정신의 반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21세기에는 다양성과 첨단기술력을 필요로 하면서 색에 대한 관심이 더욱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고 현대에 와서 색채의 적용과 활용은 곧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생활 주변을 꾸미고 있는 장식품, 건축물, 상품, 의상 등 인간의 보다 편리하고 미적인 생활을 위한 색채의 적용은 색채를 과학적인 실험과 예술창조의 수단으로만이 아닌 보통 사람들의 산업적 생산과 적용, 주변 생활에서 자유롭게 사용하여 그 효과를 얻는 데도 감각적으로 선택하여 적용해야 한다. 색을 단지 감각적으로 아름답고 쾌적하다고 하며 즐기는 시대에서 색에 대해 귀를 기울이고, 색을 말하며 호소하는 새로운 색의 시대를 맞이한 지금 더욱 더 창의적인 사람으로 거듭나기 위해 색채를 유익하게 이용하려고 한다. 이런 우리의 생활과 관계가 깊은 색채들이 지니는 여러 가지 성질이나 기능을 어린이들의 표현활동에 활용함으로써 감정을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의 그림지도를 포함하여 각 영역 가운데서 색채를 통한 창의성 교육의 지도가 필요하다. 인간의 감성을 통해 하는 미술교육은 이미지와 감동을 통한 감성적 인식이 수반되는 교육이므로, 음악, 드라마 등의 다양한 예술 분야와 밀접한 연관을 지니면서 통합적으로 지도할 때 예술 전반에 관한 폭 넓은 이해를 도와줄 수 있다. 이런 미술 교육을 통한 창의성 표현은 아동들에게 자신이 만들어낸 결과에 개인적인 기쁨과 만족감을 느끼고 자신감을 가짐으로써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지닌 창의적인 사람이 되도록 하며 그로 인해 아동들의 지능과 인지능력 발달에 영향을 주게 된다. 아동은 자신들에게 간섭이나 제재가 주어지지 않을 때 잠재된 자신의 창의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고, 교사는 아동의 자기표현의 기회를 간섭하지 말고 아동의 성장 발달 단계에 맞추어, 애정으로 주의 깊은 관찰과 관심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아동의 창조적 표현 활동에 필요한 기술이나 형식을 자기 나름대로의 자기표현에 적응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둔 미술교육이야 말로 창의적인 학습 효과를 개발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창조적인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그림 재료, 표현 방법 등을 수용하고 그것을 자신에게 맞게 해석하고 상상하는 방법을 일깨워 주어야한다. 창의성은 아동이 자신의 독창적 사고와 상상력을 통해 새로운 형식의 모형을 발견해내고 또 자신만의 방법과 재료를 사용해 자기 자신의 일부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미술은 느끼고 생각하는 방식을 새롭게 변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질서를 창조하게 한다. 또 미술활동은 창의성 교육을 내용으로 가르치기 보다는 학생들이 미술 수업 과정에서 실제 창의적 활동에 가담함으로써 창의적인 활동이 형성되기를 기대하는 접근이다. 그러므로 미래 사회에 대처할 통합적이고 조화적이며, 창의성이 뛰어난 아동을 미술교육을 통해 육성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색채를 통한 아동 미술의 창의적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생각해 보고 색채 학습과 창의적 미술교육, 또 아동 미술의 중요에 대해 생각해 보고 또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 그룬트비 평민교육사상의 관점에서 본 세계시민교육의 지향

        오현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세계화 시대에 ‘아래로부터의 세계화’를 추동할 수 있는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개인의 가치를 공동체 안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던 그룬트비의 평민교육사상을 세계시민교육적 관점에서 분석해보았다. 이와 더불어 그룬트비 평민교육의 관점에서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고찰 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그룬트비 평민교육사상의 교육 철학과 교육 내용 및 방법은 세계시민교육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라는 중심 연구문제를 토대로 하위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Ⅳ-1장에서 그룬트비 교육사상의 핵심 키워드인 ‘개인’, ‘평민’을 세계시민주의의 핵심 가치와 ‘시민’, ‘세계시민’의 의미와 연결해보고, 평민교육의 목적과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 원리, 교육 내용과 방법을 세계시민교육적 의미로 분석해보았다.Ⅳ-2장에서는 그룬트비의 평민교육사상이 오늘날 덴마크 교육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덴마크 교사들의 수업 철학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분석해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세계시민교육에의 시사점을 추출해보았으며, Ⅴ장에서는 앞으로의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그룬트비는 삶에 대한 계몽을 통해 스스로의 동기로 사회 구성원 전체의 이익에 기여하고자 하는 성숙한 개인을 기르고자 했다. 이것은 세계화 시대에 ‘아래로부터의 세계화’를 추동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힘이자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룬트비의 교육사상은 근본적으로 평등한 존엄성으로서의 ‘인간성’을 강조한다. 이를 토대로 주체적인 개인으로의 성장과 타인·공동체와 연대할 수 있는 공동체적 민주시민으로의 성장을 함께 추구한다. 오늘날 덴마크 학교 교육은 이러한 그룬트비의 교육사상의 영향을 받아 ‘모든 학생을 평등한 존엄성을 지닌 인격체로서 공평하게 존중하는 것’을 기본 바탕에 두고 있다. 그리고 학생들이 사회로 나가 책임 있는 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시민의식을 기르는 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세계시민교육 또한 지난 수백 년간 강조해온 이러한 시민의식과 책임감, 자기 주도성을 세계무대에 적용하는 것이라고 본다. 덴마크의 시민교육은 교과 내용으로서 특별하게 다뤄지거나 특정 교과에서 분절적으로 다뤄지지 않고 학생의 삶과 학교 교육 활동 전반에서 통합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세계시민교육 또한 학교 교육 전반에서 국제적 관점을 견지하며 종합적·일상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이는 오늘날 세계시민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우리 교육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현재 우리 교육에서는 세계시민교육, 민주시민교육, 인성교육, 진로교육, 인권교육, 학교폭력예방교육 등과 같이 ‘나’에 대한 성찰로부터 시작하는 교육들이 분절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교육들은 그 경계가 모호하며 교사들에게 가르쳐야 할 ‘또 하나의 과목이나 내용’으로서 부담을 가중시킨다. 이 교육들은 모두 인간존엄성을 바탕으로 서로의 다름과 다양성을 존중하며, 나와 타인, 공동체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건강한 시민의식을 기르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교육들은 ‘민주시민성 인간교육’이라는 하나의 뿌리로 통합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시민교육 또한 민주시민성 인간교육의 일환으로서, 자기 자신과 삶에 눈을 뜬 주체적인 개인으로부터 타인·공동체와 연대할 수 있는 공동체적 민주시민으로의 성장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이렇게 성장한 개인들은 연대와 협력을 통해 ‘아래로부터의 세계화’를 추동하며 진정한 ‘인류 공영(共榮)과 평화’의 이상을 실현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Gruntby's Thought of Folk Education, which considered individual values the most important in the community, from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erspective in order to find the direc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at can drive ‘Globalization from below’.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erms of Gruntby's Thought of Folk Education. This study was analyzed based on the Scoping Review, the main research question, 'What does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f the Gruntby's Thought of Folk Education have any meaning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Chapter IV-1, I connected the core keywords of Gruntby's Thought of Folk Education, 'individual' and 'Folk', with the core values ​​of cosmopolitanism and the meanings of 'citizen' and 'global citizen'. In addition, I analyzed the purpose of Folk Education, the pursuit of humanity, the principle of education,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in a glob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ense. In Chapter IV-2, I analyzed how Gruntby's Thought of Folk Education is practiced in Danish education through the philosophy and specific examples of Danish teachers. Through this, I extracted the implications of global civic education and explored the future direc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Chapter V. Gruntby wanted to raise a mature individual who would contribute to the whole of society through enlightenment of life on their own motives. This is the most powerful force and starting point to lead ‘Globalization from below’ in the era of globalization. Gruntby's Thought of Folk Education emphasizes ‘humanity’ as a fundamentally equal dignity, and simultaneously pursues growth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and as a community democratic citizen who can unite with others and communities. Today, Danish education philosophy and school education reflect Gruntby's Thought of Folk Education. Danish teachers educate all students on the basis of ‘fair respect as a person of equal dignity’.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education to cultivate civic consciousness’ which prepares students to go out into society and live as responsible citizens. Danish teachers say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the application of civic consciousness, responsibility, and self-directedness that Danish education has emphasized over the past hundreds of years. Danish citizenship education is not treated specifically as a curriculum or as part of a particular curriculum, but integrated throughout a student's life and school activitie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also being addressed comprehensively and routinely with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throughout schooling. In our education, education that starts with reflection on mysel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ersonality Education, Career Education, Human Rights Educati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etc.) should be integrated into education to respect differences and diversity. In short, these education can be integrated into a single root called 'Democratic Citizenship Human Education'.We respect differences and diversity, and we will integrate them into education that understands our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 community and fosters healthy citizenship. In short, these education can be integrated into a single root called 'Democratic Citizenship Human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ll also promote the growth of people from independent individuals who have opened their eyes to themselves and their lives to communal democratic citizens capable of solidarity with others and communities based on democratic citizenship and human education. Through solidarity and cooperation, individuals who have grown up in this way will be able to realize the ideals of true ‘Prosperity and Peace for Humankind’ by promoting ‘Globalization from below’.

      • 교회 활성화를 위한 새가족교육 프로그램

        오현진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교회는 안팎으로 위기에 직면해 있다. 1970년대 이후 급속하게 성장하던 교회는 성장의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했고, 사회로부터는 영향력을 상실해 버린지 오래되었고 각종 사회부조리와 비리에 기독교인들이 연류되어 사회로부터 지탄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한국교회가 이 지경까지 된 것은 어디에서 연유한 것인가? 이에 대해 필자는 그리스도인 양성을 위한 교회의 새가족 교육에 문제가 있다고 이야기 하고 싶다. 한국교회의 허술한 새가족 교육과정이 허울뿐인 그리스도인들을 양산했고 이는 결국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상실하고 표류하는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을 만들게 되었다. 그러면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그 대안은 없는가? 이를 위해 먼저 새가족 사역에 대한 성서적 근거로부터 장로교 전통의 새가족 교육에 이르기까지 살펴보았으며, 또한 새가족교육의 신학적 근거와 사회학적과 문화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여 본 결과 새가족 교육은 새가족이 교회라는 공동체에 적응해가는 과정이기도 하기 때문에 사회화과정으로 이해해야 되며 기독교적 문화를 내면화할 수 있는 교육 과정 구성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하여 필자는 각자가 사역하며 섬기고 있는 교회에서 새가족부를 운영하여 새가족들로 하여금 빠른 시간 안에 교회에 정착하게 하고, 온전한 그리스도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며, 결국 새가족 사역을 통하여 교회 활성화를 이루기 위한 연구인 본 논문은 첫째, 새가족 사역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연구이다. 필자는 이 논문을 진행하면서 새가족 사역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근거와 새가족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한 후, 그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적인 새가족 사역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 논문에 담았다. 둘째, 본 논문은 새가족 사역 전반에 대한 연구가 담겨져 있다. 새가족사역은 정착사역과 관리사역, 그리고 연결사역과 양육사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체적인 연구와 사역을 포함하고 있다. 다시 한 번 본 논문의 내용을 통하여 의의를 유출하자면 첫째, 침체되어있던 기존 교회 공동체 안에 새로운 활력을 가져오기 위한 방안으로 시도된 연구이다. 즉 새가족 교육을 통하여 무엇보다 침체되어 있는 교회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시도된 사역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교회에 처음 찾아온 새가족들에게 사역의 초점이 맞추어졌지만 그러나 새가족 교육이라고 하는 이 사역은 교회를 어떻게 하면 보다 활성화할 수 있을까? 하는 목적에서 시도된 사역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새가족 교육 사역을 통하여 새가족이 몇 명 등록하였고 몇 명이 정착하였는가라고 하는 사항들은 이차적인 것이다. 오히려 새가족교육 사역을 통하여 교회 분위기가 얼마나 활력 있게 바뀔 수 있는가? 또한 새가족교육 사역을 통해 서로 간에 무관심으로 일관하던 기존 교우들 간의 관계가 얼마나 친밀하게 회복 될 수 있는가?라고 하는 것이 더 중요한 사항들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바라볼 때 본 논문은 새가족 교육을 통해 교회에 처음 찾아온 새가족을 환대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뿐만 아니라 기존 교우들 서로 간에 관심과 사랑을 회복하며 교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주기 위하여 이루어진 연구라고 하는 의의를 가진다. 둘째, 본 논문이 전통적인 교역자 중심의 사역에서 탈피해 평신도와 교역자가 연합하여 함께 일해 나가는 교회의 모습을 찾으려했다는 점이다. 즉 전통적인 피라미드식 조직 또는 상명하복의 체제로 이루어진 교회의 모습에서 벗어나 평신도가 교회의 사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책임감 있게 일하는 교회의 모습으로 변화되어 가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셋째, 본 논문이 체계적으로 교육받은 새가족이 단기간에 교회에 정착하여 교회 공동체를 위해 봉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거의 모든 한국교회가 새롭게 등록한 새가족에 대한 정착방안을 다각도로 연구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한다. 그러나 한국교회에서 실시되는 대부분의 방안과 프로그램들은 단순히 새가족을 따뜻하게 환영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즉 어떻게 하든지 새가족의 마음을 사로잡아 이들 새가족들이 다른 곳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현재 한국교회에서 실시되고 있는 새가족 사역의 내용들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단순히 새가족을 환영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새가족들을 체계적으로 교육하여 교회의 일원으로 삼아 교회 공동체에 필요한 일꾼으로 양육시켜 봉사하도록 만들기 위하여 실시한 연구이다. 넷째, 본 논문이 개 교회에서 실행되는 목회사역이 교회가 위치한 지역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하는 점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한 연구이다. 성도들이 속한 교회에서 실시한 새가족 교육 사역이 그 교회뿐만 아니라, 새가족 교육사역이 그 교회가 속한 지역에도 어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 어떤 점에서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 중학생을 위한 토론 교수-학습 방안 연구

        오현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토론은 하루 아침에 능숙하게 되는 활동이 아니다. 지속적이고도 체계적인 교수-학습에 의해 토론에 익숙해지고, 잘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교수-학습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속에서 보다 나은 토론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 제시와 함께 토론 방법과 전략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들은 자신 또한 토론의 전문가가 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말하고 듣는 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의 실제 토론 활동을 바탕으로 한 ‘토론 활동에 대한 점검 및 분석 기준’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紫微斗數 硏究 : 成立 背景과 理論的 土臺를 中心으로

        오현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Jamidusu(紫微斗數) is Seongmyeonghak(星命學) based on the stars, Big Dipper(北斗七星) and Milk Dipper(南斗六星) stretching in the sky to predict the fate(命運) of the human. 'Jami(紫微)' in Jamidusu refer to the Polaris, the emperor staying in a narrow meaning as well as all of the constellations in Jamiwon. Jami is usually refers to the emperor. 'Du(斗)' is the Big Dipper, and usually, it is used to refer to all constellation. 'Su(數),number' means destiny(命運) and intrigue(術數). Thus, 'Jami(紫微)' is the star name of an emperor representative of all the constellations, and ‘Dusu(斗數)' is a intrigue to explain and predict the fate of a human being. In summary, Jamidusu is a study of the future of humanity, applying the constellations including Jami.In summary, Jamidusu is a study of the future of humanity, applying the constellations including Jami. Jamidusu has been developed as a intrigue(術數)which can predict the future for many years and is Myeongrihak(命理學), also significantly prevalent in Great China region(中華圈) today.It also reached Korea, and already has a Jamidusu history over 400 years. It has been developed bearing comparison in terms of intrigues compared to Japyeong myeongri(子平命理) referred to as Sajupalja, but it has rarely been identified theoretically(學理的). Each claim about intrigues was confusing, so it was the reality of these days that it was difficult to expect a strong development theoretically. Therefore I, the author(論者), has advanced work to illuminate it academically in order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theoretical base of Jami myeongrihak(紫微命理學). Although this article has an academic limit and insufficient part, but it's obvious that it contains the development process of Jamidusu and it is true that it is is the first case which accessed to the direction of academic research in Korea. In this paper that studied the jamidusu, I studied a new part which was not clear until now as the following: There are two astronomical charts to observe the constellations.One is to paint the sky based on observers on the ground and the other is to draw looking at the ground based on the sky. Based on the ground is sinistrogyration(左旋, counter-clockwise) and based on looking down from heaven is rightward(右行, clockwise). The sky seems to be heading in the left direction looked at the ground but in reality, stars are going to go to a little rightward direction. They are the signs of the zodiac of Jamidusu determined by this standard. Yukim(六壬) and Gimundungab(奇門遁甲) draw a similar zodiac like this, but they describe the theory of Hadonakseo(河圖洛書). Therefore, it is clearly stated that the signs of the zodiac of Jamidusu seongban(星盤) was made on the principle of rightward theory. The astronomical system formed in China grew rapidly, embracing Indian astronomy including astrology and Greece astronomy and later, Islamic astronomy imported directly.The development of astronomy is very closely related to influx of astrology consequently. At this time, horoscope astrology in Greece was handed down. horoscope astrology believes that human destiny is determined depending on how the arrangement of constellations of the sky at the moment of birth. It had its origin in the Babylonian, combined with indigenous astrology which handed in India because of the Eastern expedition of Alexander the Great and was brought to China with Buddhism. The contents of etrabiblos, Greek astronomer Klaudios Ptolemaeos' astrology book combined with indigenous Indian astrology and handed down to Tang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which was Suyokyung(宿曜經). There was content about the astrology of zodiac, Western ecliptic(黃道) in the scriptures. After that, Chilyoyangjaegyul(七曜攘災訣) was incomed and translated(A.D. 8C~9C), and the ways how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celestial bodies to male Horoscope were listed there. Dand the ways how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celestial bodies to male Horoscope were listed there. The signs of the zodiac in detail(細部) of Cheonbojinwon(天步眞原) translated in early Qing and Myeongyeok astronomy book, Islamic astrology book imported early in the Ming Dynasty are the same for both the name and the order. Also the name and the flowchart of the signs of the zodiac of modern jamidusu in detail are the same. It is demonstrated that all the names and order of the signs of the zodiac in detail were from Western Astrology(西域占星術) through the contents of these astrology by organizing the influx of Greek, Indian, Islamic, European astrology to China and its period. Sambangsajung(三方四正) of Jamidusu is a unique point of view. Trine, 120 ° angle of Western Astrology, is having influence in the direction of the triangle and perceived to be friendly and nice. However Opposition, 180 ° angle, gives an impact and received in the symmetrical direction, shown to be very ugly. Samhap(三合) often gives a good impact in Japyeong myeongri(子平命理), which makes Sambangsajung by accepting this and Yukchung(六沖, 對宮). Though you should not have a limited reasoning on Sambangsajung, you can not deny the fact that to make sure of it based on all of the signs of the zodiac became very determined(完定) point of view of modern Jamidusu. It was proved, describing the 12 Constellation(Sig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gles(Aspect) of Western Astrology. Sahwa theory(四化理論) is a significant predicting point in Jamidusu.I described four important variables, Rok(祿), Gwon(權), Gwa(科), Gi(忌) and gave a detailed demonstration that the origin(起源) of the birth and the background(背景) of Sahwa began from Sipganbeonyo(十干變曜) of Osungsulryu(五星術類). The existing theories are correct that Hwarok(化祿) represents the spring, Hwagwon(化權) the summer, Hwagwa(化科) the fall, Hwagi(化忌) the winter, principle to create Sahwa(原理) rooted in a distinct seasonal cycle. However it should be the future challenge for the research and the limit of this paper why 14 primary star(主星), Changgok(昌曲) and Bopil (輔弼) are located in this order, Sahwa distributed in Ten Heavenly Stems(十干). It was reasoned through classics(古典) in history of Jamidusu and researches of Modern Dusu(斗數) that Sipganbaesok(十干配屬) in South Korea is different from that is China in the arranged order of Sahwa by Ten Heavenly Stems(十干別).

      • 집단 따돌림을 극복한 고등학생들의 회복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오현진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 관계에서 집단 따돌림을 경험하고 따돌림을 극복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탐색하여 따돌림 극복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실질적인 요인을 찾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전 연구 자료를 토대로 집단 따돌림을 정의하고 따돌림 극복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5명의 대상자를 선정해서 극복의 과정에 대해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얻은 자료를 근거 이론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71개의 개념, 26개의 하위 범주, 7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집단 따돌림을 극복한 것으로 판정된 학생들이 따돌림을 극복하는 과정에서는, 따돌림이 시작되는 촉발 요인이 있었으며 지속적인 폭력적 경험을 하면서 소극적인 초기 대응 양식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자신의 대응 방식을 찾아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극적인 대응 과정에서 긍정적인 대응 방식을 채택한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극복에 성공을 했지만 부정적인 대응 방식을 사용한 경우는 일단 부정적 결과를 경험한 후 결국 긍정적 대응 방식을 찾아 극복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자신의 특성에 맞는 적응 방법을 찾으려는 노력을 기울였다는 공통점을 확인했으며, 교사나 학부모 등 외부의 개입 또는 지지는 위안은 되었지만 극복 과정에 미친 영향력은 미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집단 따돌림을 당하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상담에서 적극적으로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추출하고 후속 연구에서 추가적으로 논의가 필요한 사항들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group bullying and who recovered from that experienced in the peer group in the relationship. For the study, five candidates were selected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covery process after defining bullying based on advanced research data and establishing criteria for judging bullying. As a result of analysis about these data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 71 concepts, 26 sub categories, and seven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covery process of bullied students, we found that there was a triggered factor of bullying and that they were able to seek their own active response form, getting out of the passive initial response form in continuous violence. While bullied, responding positively succeeded in recovery, but bullied there responding negatively eventually sought positive responses and are recovered after experiencing negative results. Also, they have a common that they have made efforts to find ways to fit themselves and that external intervention or support, such as teacher and parents, was comforting, but the influence on the recovery process was minimal. Based on these findings, we deducted implication that is useful in counseling with students who are being bullied and discussed a proposal about issues requiring additional discussion in fur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