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원형콘텐츠를 활용한 멀티미디어교재 기획프로세스 연구 : 러시아 소재 대학의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오태환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21st century in which we are living is often referred to as the "Century of Culture.”Upon realiz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f Korean culture for foreigners, this study intends proposing a planning process of multimedia materials as a teaching contents to meet the need. As numbers of courses related to Korean Studies are steadily increasing worldwide, not to mention in Asia, teaching contents became necessary to achieve a better quality of education. This study looks into Korean Studies in Russia whose academic and cultural exchange with Korea is recently increasing. Korean Studies taught in Russia may be considered to have three major problems: Lectures of Korean Studies are mostly depending on text books; specialized teaching staffs, teaching materials and reference books are scarce. To help resolve these three difficulties-lectures, professors and teaching materials-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for more effective teaching Korean Studies and incorporates into this thesis as a development material for teaching material, Culture Heritage based Digital Contents defined from digital contents which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 of Korea has been developed into. The study thus presents strategies to realize more effective teaching Korean culture in Russia by incorporating educational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 Heritage based Digital Contents in a platform of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To achieve this, pending problems of education of Korean culture are reviewed and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is accordingly proposed as an alternative. Also after potentiality of Culture Heritage based Digital Contents as a development material is verified, a planning process is derived upon considering improvement through similar development case study and development conditions such as objects, materials and utilization circumstances in development process. It has been reconstructed particularly on the basis of SCORM(Sharable Contents Objective Reference Model)-based standard methodology for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by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The planning process presented here focuses on strategies to classify and reprocess Culture Heritage based Digital Contents which is the existing contents and to construct it into multimedia materials. The planning strategies are constructed in a way which they can develop suitable multimedia materials based on the analysis of requirements by Russian educational environment of Korean Studies. Especially as the Culture Heritage based Digital Contents, which is a digital contents, can be processed through effective management of metadata, the standard and utilization methods of the processing work is presented. It is intended that the new teaching materials to be developed will combine variety, expandability and applicability of Culture Heritage based Digital Contents with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materials, such as large capacity, high quality, inclusive utilization, interactivity, search availability and expandability to improv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in Russia. This will enrich the content of education of Korean culture in Russia, provide diverse learning environment and allow interesting classes through utilization of edutainment contents resulting in increasing interactivity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By proposing a planning process of multimedia materials for teaching Korean culture to foreigners, effective and sustainable educational contents for teaching Korean culture has been secured to allow improvement in quality and diversification and in ability of leaning and teaching, at the same time the utilization of can Culture Heritage based Digital Contents be promoted. Eventually Culture Heritage based Digital Contents which contains out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traditional culture resource from 5000 years of Korea, will realize more effectiv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As mentioned above, it may also become a development model for extended education contents which contains global value of Culture Heritage based Digital Contents and furthermore, in the sense of a nation, it will contribute to renovating our national image providing right knowledge of Korea.

      • 過電流센서를 利用한 傳導體 니켈 센서에 關한 硏究

        오태환 명지대학교 대학원 1984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論文은 渦電流式센서 중에서 브리지법을 이용하여 傳導體 Ni (니켈) 에 의한 임피던스의 변화로 발생되는 高調波信號(電壓 및 周波數 변화가된 信號) 를 A/D變換하고 高調波信號를 디지탈로 샘플링해놓은 PR OM의 데이타와 比較하므로써 특정한 傳導體 니켈(Ni)의 信號만을 센싱할 수 있는 시스템특성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渦電流 센서의 領域에서 특정高調波信號만을 檢出하는 경우, 그 範圍는 센서직경의 약50 ~ 80%에 불과하였다. 本 論文에서는 이 範圍를 76.7 ~ 137.8%로 향상시켰으며, 또 渦電流에 의하여 발생되는 交番電界 領域에서 傳導體를 빠른 速度로 이탈시킬 경우에도 比較器( Correlation ) 素子( 20〔M(HZ)〕 Correlation rate )와 A/D 變換器 (DC~30 Megasamples per second)를 사용한 결과 高調波信號의 檢出 速度가 향상됨을 알수가 있었다. In this study, I make A/D transform the harmonic signals, which created by the impedance change of transmitter (Ni ) using the bridge method, and compared with data of PROM made by digital samplings. Using the above mechanism, I studied on the system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sensing signals only of the special transmitter (Ni ) . In the case of detection of special harmonic signals only on the region of eddy-current sensor, in general, the detection range is about 50-80%of the sensor diameter. However,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 knew that it had to elevate the range to 76.7-137.8%, and in the case of removing the transmitter rapidly in the alternative electric field creating by the eddy-current, I knew that the detecting speed of harmonic signals was elevat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using the comparator ( correlation rate 20 MHz) and A/D converter (DC-30 mega.samples/sec) .

      • 철도노반 암석쌓기 재료로서의 셰일암 적합성 분석

        오태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지형중 대구, 경주, 울산지역은 지질 특성상 점성토 퇴적암 셰일이 주를 이루고 있어, 터널굴착시 발생한 버력(셰일)을 유용하여 브레이커 소할에 의한 암석쌓기로 사업효과를 극대화하였음. 그러나, 현재 일부구간에서 침하가 발생하고 있으며, 침하원인으로는 입도조건이 불량한 상태에서 외부노출로 인한 함수량 변화, 시간경과에 따라 암이 약화되어 쌓기체 구간 응력이 집중된 부분이 파괴되어 쌓기체 침하의 원인 중 하나라고 판단된다. 노반쌓기의 허용 잔류침하량 관리기준은 콘크리트 및 자갈 궤도형식에 따라 30mm~100mm 정도이며, 엄격한 관리기준이 요구되는 곳에서는 침하발생시 유지보수 측면에서 시간과 노력, 비용 등이 많이 소요된다. 이 지역 셰일의 경우 1년 이상 풍수에 직접영향을 받는 자연환경에 노출될 경우 층리면을 따라 부서지는 슬레이킹 현상이 발생되나, 수침반복 내구성 시험결과는 층리가 없는 암석을 단기간에 채취하여 시험하므로 시험결과는 높게 평가 되어지고 있다. 또한 셰일 등 퇴적암에 대한 암석쌓기의 장기침하 거동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며 실내시험 기준은 현장여건과는 차이가 많은 실정이다. 한국철도시설공단 KR-CODE(2015)에 "암석쌓기 재료로서 셰일 등 역학적 특성에 의해 쉽게 부서지거나, 수침반복시 연약해지는 재료는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해야 한다"로 되어 있으나 명확한 세부적인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암석쌓기 재료로서 과대평가 될 수 있는 셰일에 대한 내구성 품질시험 기준에 대하여 슬레이킹 시험주기 증가와 자연상태에서 6개월 이상 시간경과 후 시험방법 등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젓갈류의 숙성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 및 biogenic amine류에 대한 chlorine dioxide의 저감화 효과

        오태환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식생활에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젓갈류의 숙성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와 biogenic amine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Biogenic amine류는 국내에는 아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일정량을 섭취하였을 때 인체에 독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위험성을 제기하고 있고, 제외국의 수산물과 수산가공품에 대한 규정을 볼 때 규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이에 따라 젓갈류 중 새우젓과 멸치액젓의 숙성기간 생성된 biogenic amine류에 chlorine dioxide 처리를 통해 저감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숙성기간에 따른 젓갈류의 이화학적인 변화를 분석한 결과 새우젓의 숙성기간이 3, 6, 12, 18개월 따라 염도는 21.82, 22.92, 22.26, 21.71%로 측정되었고, 멸치액젓은 2개월 21.16%, 24개월 21.48%로 숙성이 지남에 따라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젓갈류의 pH는 일반적으로 5.5-6.5를 나타내지만, 갑각류를 원료로 하는 젓갈류는 그 값이 다소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는데, 새우젓은 숙성기간에 따라 7.72-8.17을 나타내어 멸치액젓 5.69-5.83으로 측정되어 보고된 내용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색도는 새우젓의 경우 명도(L값)는 58.25±0.52에서 숙성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54.83±0.55까지 낮아졌다.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도 숙성 전 값이 6.50±0.07, 8.07±0.09에서 숙성 18개월이 지났을 때 3.67±0.42, 5.56±0.90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멸치액젓은 색차계를 이용하였을 때 명도(L값)는 숙성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분광광도계를 통하여 측정하였을 때 2개월 숙성 시 0.35±0.01, 24개월 숙성 시 0.41±0.01의 값을 보였다. 휘발성 염기질소는 새우젓은 3개월 숙성되었을 때 21.47 mg/100mL에서 숙성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여 18개월 숙성된 시료에서 42.93 mg/100mL으로 분석되었다. 멸치액젓은 2개월 숙성 시 77.47 mg/100mL의 함량을 보였고, 24개월 숙성 시 216.53 mg/ 100mL로 분석되어 점차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학적인 변화를 확인하였을 때, 일반세균의 경우 새우젓은 숙성 3개월까지 3.2 log CFU/g까지 증가하였다가 6개월까지 숙성하였을 때 2.3 log CFU/g으로 감소하였다. 이후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2.7, 2.6 log CFU/g으로 다소 증가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멸치액젓은 2개월 숙성하였을 때 4.0 log CFU/g에서 24개월까지 숙성하였을 때 1.3 log CFU/g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장균과 대장균군의 petrifilm을 통한 실험 결과 새우젓과 멸치액젓 시료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새우젓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2개월 숙성시료는 tyramine 함량 218±17 mg/kg와 비교하여, aqueous chlorine dioxide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36 ppm으로 처리 시에는 검출되지 않았고, 18개월 숙성 새우젓의 대조구 tyramine이 240±37 mg/kg에서 18 ppm이상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멸치액젓은 aqueous chlorine dioxide 5, 9, 18, 36 ppm으로 처리하였을 때 점차 감소하여, 2개월 숙성 시료에서 36 ppm ClO2 처리 시 putrescine은 478±41 mg/kg에서 117±6mg/kg, histamine 505±19 mg/kg에서 20±28 mg/kg, tyramine 139±35 mg/kg에서 10±24 mg/kg로 측정되었다. 24개월 숙성 시료 또한 aqueous chlorine dioxide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biogenic amines의 함량이 putrescine 125±25 mg/kg, histamine 16±25 mg/kg, tyramine 11±28 mg/kg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미국 FDA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산물에 대한 bigenic amines에 대한 허용기준 histamine 50 mg/kg, tyramine 100 mg/kg 이하로 낮출 수 있는 결과이다. Biogenic amines are nitrogen compounds that are generated by amino acid decarboxylase, amination of aldehydes and ketones, and amino group transfer reaction. Most of the biogenic amines appears toxic to the human body. Histamine causes allergic reaction and tyramine constricted blood vessels. Cadaverine and putrescine serve to increase the toxicity of other amine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ossible applications of ClO2 to reduce biogenic amines in the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and to evaluate resulting quality effects in the products. The samples were analyzed salinity, pH, color, volatile basic nitrogen(VBN), and total viable cell counts. The salted-fermented shrimp sauce contained 21.71-22.92% of salinity, 7.72-8.17 of pH, 21.47-42.93 mg/100mL of VBN. On the other hand, salted-fermented anchovy sauce contained 21.16-21.48% of salinity, 5.69-5.83 of pH, and 77.47-216.53 mg/100mL of VBN.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viable cell counts in salted-fermented shrimp sauce were 3.2 log CFU/g for 3 fermented months, 2.3 log CFU/g for 6 fermented months, 2.7 log CFU/g for 12 fermented months and 2.6 log CFU/g for 18 fermented months. The total viable cell counts of salted-fermented anchovy sauce were 4.0 log CFU/g for 2 months and 1.3 log CFU/g for 24 months. Chlorine dioxide treatments on biogenic amines in salted-fermented shrimp sauce and anchovy sauce were analysed by HPLC. The samples treated with 5 ppm, 9 ppm, 18 ppm, and 36 ppm of chlorine dioxide showed the decreased content of biogenic amines. Putrescine, cadaverine and histamine were not detected in salted-fermented shrimp sauce. The contents of putrescine, histamine and tyramine were 117±6 mg/kg, 20±28 mg/kg, 10±24 mg/kg, respectively, for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ed 36 ppm. This results were reduced the limit for the content of biogenic amines on the salted-fermented shrimp sauce and anchovy sauce as required by the US-FDA guideline.

      • 조세분쟁의 대체적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 조정제도를 중심으로

        오태환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현행 조세구제제도는 그 기능이 중복되어 충실한 심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조세소송도 조세법원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일반 행정사건과 함께 행정법원 또는 일반 민사법원에서 다루어지고 있어,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조세분쟁에 대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제를 하는데 한계를 드러내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근본적인 문제점은 납세자와 과세권자 사이에 분쟁이 발생한 경우 당사자 간의 협의와 조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전혀 없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조세분쟁이 행정심판 내지는 판결을 통하여 획일적으로 해결되고 있으나 그 과정이 매우 비효율적이고 시간적?경제적인 낭비를 초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납세자의 참여가 배제되기 때문에 결과 여하에 불구하고 납세자의 공감을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납세자 권리구제제도의 제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해결책은 신속하고 저렴할 뿐만 아니라 납세자에게 충분한 의견개진과 주장?입증기회를 주는 민주적이고 효율적인 구제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미국?독일?프랑스 등 선진국에서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 조정제도가 그 해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조정제도는 주로 사실판단을 요하는 조세분쟁에서 납세자와 과세관청 간에 제3의 조정인이 개입하여 공정한 협의와 조정을 통하여 분쟁을 조기에 해결함으로써 효율적인 권리구제를 도모하는 분쟁해결수단으로, 조정제도의 도입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사전협의제도의 도입이다. 사전협의제도는 세무조사가 종결되기 전 또는 과세확정 전 단계에서 납세자와 조사자 사이에 의견이 대립되는 경우에 납세자 또는 조사자가 조정을 신청하여 분쟁의 발생 초기에 양 당사자 간에 상호 협의와 타협에 의해 분쟁을 해결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러한 사전협의제도를 도입하면 납세자가 최종적인 부과처분을 받기 이전에 과세당국과 협의하여 분쟁을 사전에 종결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불복쟁송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조세분쟁을 미연에 방지하여 과중한 업무량에 시달리고 있는 각종 재결기관과 법원의 업무 부담을 획기적으로 경감시킬 뿐만 아니라 부실과세의 방지와 납세자만족도 제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장기 성실사업자에 대한 조세감면신청 청구제도이다. 이 제도는 납세자의 어려운 경제적 형편을 고려하여 납세자와 일정한 협의에 의해 부담할 세금의 전부 또는 일부 감경해 주는 제도인데, 장기간 성실하게 납세의무를 이행해 온 납세자가 장래 부도 등으로 인해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을 때 야기되는 경제적 위험을 과거 성실납세에 대한 은전 또는 보상차원에서 세금을 감면해 주는 제도이다. 셋째, 조세소송에 있어서 외부 조정인에 의한 조정방식을 도입하는 것이다. 현재의 조정방식은 양 당사자에게 심한 심리적 압박을 가하게 되고, 당사자가 변론과정에서 드러나지 않은 사정을 이야기 하기는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행정소송의 경우에도 조정제도의 취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민사?가사재판과 같이 전문지식을 갖춘 제3자를 조정위원으로 임명하여 조정위원이 조정절차를 주도하고 법원은 감독 역할을 하는 조정제도의 마련이 타당하다. 넷째, 조세소송에서 조정사건을 조기에 분류하기 위한 조정사례의 유형화 방안이다. 현재는 조정으로 종결되는 사건이 판결로 종결되는 사건보다도 오히려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처음부터 판결보다는 조정으로 분쟁을 해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면 바로 조정을 시도하는 것이 분쟁을 신속하게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그동안 조세소송에서 축적된 조정사례를 세목별, 쟁점별로 유형화하여 조기에 판결사건과 조정사건으로 분류하는데 도움이 되는 판단자료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다섯째, 소송에 있어서 조정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미 법원에서 사실상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면 차제에 소송상 조정의 법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조정제도를 더욱 발전시켜 활성화하는 것이 납세자의 권리를 신속하게 구제한다는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조세분쟁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야말로 헌법에서 천명하고 있는 조세법률주의와 재산권 보장이라는 납세자의 기본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조세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과도하게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분쟁이 해결된 뒤에도 그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는 현재의 조세구제제도가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분쟁의 당사자가 분쟁의 해결에 직접 참여하는 조정제도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시점이라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