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력 케이블용 가교폴리에틸렌과 반도전 재료의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민우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전력용 케이블에서 사용되고 있는 XLPE와 반도전 재료의 물성 및 유전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시료로는 H사의 XLPE와 D사의 반도전 재료를 선택하였고, XLPE 그리고 XLPE와 반도전 재료를 혼합한 시료를 제작하였다. XLPE와 혼합한 시료의 물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 차동열량계법, SEM 사진을 이용하였다. 실험 조건은 두께 100μm인 XLPE 그리고 내부 반도전 재료와 외부 반도전 재료를 XLPE와 접합한 시료의 물성 구조 변화가 전기전도 기구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주파수 범위 20~1×10^6Hz와 온도범위 25~100℃에서 인가전압에 따른 유전정접 특성을 실험하였다. 또한, 측정온도범위 25~100℃에서 직류전압 100V, 250V, 500V 및 1000V를 인가한 후 10분이 경과한 다음 시료의 체적고유저항을 측정하였다. XRD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은 XLPE의 경우 2θ=21.4°에서 결정(110)과 2θ=23.6°에서 결정(200)의 기여와 2θ=19.4°에서 비정질의 기여에 의한 피크가 중첩되어 나타났고, 내부 반도전 재료의 경우 2θ=21.4°, 23.6°에서 결정의 기여와 19.4°에 비정질의 기여에 의한 피크가 나타났고, 외부 반도전 재료의 경우 2θ=21.4°, 24°에서 결정의 기여와 20°에서 비정질의 기여에 의한 피크가 나타났다. 시료의 유전특성 결과로부터 XLPE의 경우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접합시료의 경우에는 측정 주파수가 높아져도 접합시료의 안정한 특성으로 유전정접이 열에너지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전압의 변화에 따라서도 변화가 거의 없이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체적고유저항 측정결과로부터 XLPE의 경우 결정의 융점까지는 체적고유저항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결정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결정의 용융으로 인해 체적고유저항율이 다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접합시료의 경우 거의 일정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physic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XLPE and semi-conductive materials for power cable are studied. XLPE and semi-conductive materials a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specimen, and the specimen of XLPE and the specimen which XLPE is joined to semi-conductive materials are produced. X-ray diffraction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re used to analyz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pecimen.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5~100℃ and frequency range 20~1×10^6Hz, a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due to applied voltage is performed and volume resistivity is measured after 10 minute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5~100℃ when DC 100V, 250V, 500V, 100V are applied. From the analysis of dielectric materials, it is confirmed that tanδ decreases as frequency increases for XLPE, and for joined specimen, tanδ is stable although frequency increases. From the analysis of volume resistivity, it is confirmed that ρ decreases speedily until a melting point of crystallinity and over the melting point, ρ decreases slowly for XLPE, and for joined specimen, ρ decreases as temperature increases.

      • Saccharomyces cerevisiae 의 미확정 단백질 Y MR322C의 결정화 및 X-ray 결정방법을 통한 기능 분석

        성민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 number of researches contribute to the discoveries of protein components comprising optimal internal milieu for adapting variable environmental stresses in yeast. However, there still remain functionally unknown ORFs. YMR322C, one of those functionally unannotated ORF encoding 26039.6Da protein of 237 amino acids, is categorized as a member of DJ-1/Thi/PfpI superfamily suggesting putative chaperon or peptidase activity. YMR322C has three paralogues in yeast genome and iterestingly, all of these paralogues, categorized as DJ-1/ThiJ/PfpI superfamily, are significantly induced by mild heat shock stress along with other chaperones and co-chaperones. Furthermore, the other members of DJ-1/ThiJ/PfpI superfamily Hsp31 from Escherichiacoli and human DJ-1 are previously characterized as molecular chaperone and additional peptidase activity also in the case of Hsp31 suggesting homologous YMR322C have similar property. And by another study, YMR322C is also expected to be related to pyridoxine metabolism through ThiJ domain shared by most of superfamily members which is structurally related to type I glutamine amidotransferase domain.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molecular function of YMR322C, we have overexpressed YMR322C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performed crystallization.

      • 동시대의 미술 대중화 현상 속에서 한국화의 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성민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동시대의 미술은 탈장르와 다매체의 시대에 적합한 개념으로 무장하여 인간의 삶에 보다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대중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미술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의 확장은 궁극적으로 문화의 민주적 확산을 지향한다. 그러나 미술의 다양한 대중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술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참여가 그다지 활발하지 못하다는 것은 미술과 대중간의 소통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미술이 대중의 삶으로 다가가고자 하는 노력은 대중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의지를 바탕으로 하는 쌍방향적인 소통으로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중과의 관계성 확장을 위한 미술의 대중화 노력은 미술의 생산과 전달, 수용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연구를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미술과 대중과의 소통은 전시공간에서부터 도록, 비평문, 언론 매체, 다양한 뉴미디어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매체를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신뢰도가 높고 시공간적 접근이 용이한 언론은 대중에게 미술 정보를 전달하는 대표적인 매체로 역할하고 있다. 언론을 통해 전달되는 미술정보의 특성은 동시대의 미술이 대중에게 어떻게 전달되고 수용되는 지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자료가 된다. 동시대의 미술이 수용의 과정에서 관찰될 때 한국미술 안에 존재하는 한국화의 현재에 관한 객관적 관찰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한국사회에서 한국화는 전통미술양식의 계승을 통해 유지되어 온 회화 양식이다. 그러나 1980년대 한국화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된 이후 동시대의 한국화는 전통과의 관계 설정, 현대적 변화에 관한 명확한 방향 설정을 내리지 못한 채 침체되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화는 다른 장르에 비해 시대성을 담아내는 데 적극적이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양식화된 한국화의 특성은 예술적 평가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동시대의 미술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한국화의 침체는 결국 한국화 교육의 문제로 귀결된다. 한국화 교육은 형식적인 전통미술교육으로 대체되어있고 제대로 된 실기 교육은 사실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현재 한국화의 문제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안하는 것은 한국사회에서 한국화의 위상과 교육적 의미를 확인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는 한국사회에서 한국화라는 문화 산물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라는 한국화의 문화적 정체성 발견을 토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토대로 동시대 한국사회의 미술 대중화의 양상, 언론을 통해 보도되는 미술의 양상, 언론을 통해 보도되는 한국화의 현재, 동시대 한국화의 문화적 정체성, 한국화 교육의 의미와 방향이라는 다섯 가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종합일간지 미술기사 분석, 한국화 관련 전문가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가 활용되었다. 실증주의적인 양적 연구와 해석적인 질적 연구를 함께 사용함으로서 미술이라는 특수한 영역에 대한 분석적이며 심층적인 분석이 가능하였다. 연구문제에 관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방법을 통합한 연구 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동시대 한국사회의 미술 대중화의 양상은 미술개념의 변화와 미술환경의 변화의 측면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 미술관은 교육적 역할을 중시하는 복합문화공간의 형태로 바뀌어 가고 대중을 상대로 한 평생교육기관이 증가하고 있다. 미술서적과 미술잡지 출판, 종합일간지 미술기사의 양적 증가, 다양한 매체를 통한 미술정보의 증가 등으로 대중에게 전달되는 미술 정보가 다양해지고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기능과 특성을 지닌 뉴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미술정보의 성격과 전달 방식도 변화되고 있다. 대중을 대상으로 한 대형전시회나 미술행사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술품을 상품으로 하는 미술시장도 활성화되고 있다. 미술의 공공성은 공공미술 영역의 성장으로 나타나는 한편 진정한 미술의 공공성을 고민하는 시점에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 미술 대중화의 양적인 성장은 대중성에 초점을 맞춘 방식과 내용적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견된다. 각종 전시와 미술교육 프로그램, 미술교육 및 미술서적의 내용 등은 가벼운 형식과 내용으로 구성된다. 미술시장의 활성화도 경제성에 집중되어 왜곡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미술교육은 대중을 진정한 문화소비자로 성장시키지 못한 책임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한국사회 미술 대중화의 양적 성장은 미술에 대한 대중의 애정과 관심을 바탕으로 한 질적 성장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언론을 통해 보도되는 미술의 양상에 대한 결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1981년부터 2010년에 해당하는 종합일간지 분석 결과 미술기사는 증가해 왔다. 미술기사는 문화면의 일반보도형태로 보도되며 객관적 사실에 간단한 해설과 비평으로 구성된다. 종합일간지 미술기사는 미술장르와 내용영역에서 동시대의 미술현상을 담아내고 있다. 1980년대 장르 간 구분이 명확했던 미술 현상, 1990년대 새로운 미술 형태들의 등장으로 변화되는 양상 등이 기사분량의 변화로 나타난다. 장르 간 기사분량의 차이를 보이던 1980년대의 특성은 다양성을 내건 복합적인 장르들이 출현하게 되는 2000년대에 이르러 장르 간 기사 빈도수가 유사해진다. 2000년대 미술계에서 유행하는 설치 및 미디어아트와 사진 등이 실제 기사 건수에서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시기별로 전시의 형태 변화, 개인전 주체 소속의 변화, 미술관들의 역할 변화 등을 통해 동시대 미술의 변화와 특성을 담아내고 있다. 한편 종합일간지 미술기사는 유명 미술가의 전시회 소식을 간단한 작품설명과 함께 긍정적 시각에서 내보내는 홍보성 보도기사의 형식을 취하고 있었다. 미술기사 중 절반이 전시 및 작가관련 기사이고 취재원의 수와 유형도 시기별로 큰 변화 없이 나타난다. 기사의 형식적 특성과 내용, 논조 등에서 미술기사의 심층성 부족이 확인된다. 고정적이고 획일화되어 있는 미술기사는 사회에서 바라보는 미술에 대한 고정관념을 만들게 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이러한 미술기사를 만들어 내보내는 미술과 언론사의 보도 방식, 기사의 형식적, 내용적, 심층적 측면의 변화와 개선이 요구된다. 언론을 통해 보도되는 한국화의 보도 형태는 전체 미술기사와의 비교를 통해 분석되었다. 한국화 기사는 전체미술기사 대비 12.1%의 기사분량을 보이며 1980년대 이후 감소하고 있다. 한국화 기사는 전체 미술기사에 비해 일반보도 기사가 더 많이 등장하고 칼럼 등의 심층적인 기사는 적게 나타난다. 기사의 구성도 사실·해설에 그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기사 내용영역의 경우에도 전시 및 작가의 비중이 전체 기사 대비 더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개인전 기사의 비중도 높다. 작고작가나 원로작가 중심의 기사내용, 심층성이 부족한 비평의 문제 등을 포함하여 전체 미술기사보다 더 고정적이고 획일화 된 기사 형태를 보인다. 한국화 기사는 형식과 내용면에서 다양성과 심층성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또한 한국화 기사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한국화의 현재에 대하여 관련 전문가들이 그 문제에 대한 대안의 논의를 적극적으로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 동시대 한국화의 문화적 정체성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는 동시대 한국사회에서 문화로서의 한국화가 가지는 특수성 발견에서 출발하였다. 동시대 한국화는 전통미술양식을 기반으로 동양성과 현대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한국이라는 지역의 미의식을 담고 있는 예술작품이라는 문화적 정체성을 갖는다. 동시대 한국화가 장르의 해체라는 변화를 요구받으며 그 정체성을 고민하는 것은 전통미술양식을 전통으로 받아들여 그것을 한국화의 원형으로 보는 관점과의 갈등에서 비롯된다. 한국화는 전통을 반드시 보존해야 할 어떤 원형으로서가 아니라 변화와 발전을 위한 토대로 받아들여야하며 동시대성과의 문화접촉에 대해서도 더욱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동시대 한국화는 한국사회 구성원들과의 친연성을 회복하여 한국문화의 대표적인 예술작품으로 구현될 수 있는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 연구문제인 한국화 교육의 의미와 방향은 한국화 장르가 맞이하고 있는 위기의식과 같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교육현장에서 한국화 교육은 형식적인 전통미술교육으로 전환되어 있으며 제대로 된 실기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실제 수업에서는 이론적 측면뿐만 아니라 재료와 기법적 측면의 한계, 소재주의, 전통적 교수법의 고수 등이 문제로 지적된다. 한국화 교육의 문제는 한국화 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다양한 교육방안의 제시를 통해 극복되어야 한다. 실제 미술수업에서는 한국화를 전통미술문화의 이해를 위한 매개체로 활용하고, 동시대성을 담은 한국화 작품들을 교육 내용으로 끌어들여야 한다. 또한 전통 재료와 기법의 계발, 교재의 연구, 한국화의 이해와 실기 체험의 기회를 확장시키는 교사연수프로그램의 활성화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들은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체계적인 지도방안과 교수법의 연구를 토대로 진행되어야 한다. 궁극적인 한국화 교육은 한국화의 문화적 정체성 교육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며 점차적으로 서구미술 중심의 미술교육을 동양적 미술교육의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실천적 힘을 길러야 한다. 이는 동양적 미술교육의 사상적 측면에 대한 연구와 현대적 교수법의 계발로 체계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시대의 미술은 좀 더 일반인의 삶 속으로 스며들어가 사회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확장시켜가려는 대중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술의 대중화는 미술에 대한 대중의 진실한 애정과 관심을 기반으로 한 질적 성장으로 나아갈 때 문화사회의 형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 때 대중을 문화인으로 성장시켜야 할 책임은 미술교육에 부여된다. 한국의 문화는 오랜 기간 한국인의 몸속에 내재되어 한국인만의 특수성을 만들어 왔다. 그 안에 한국문화로서의 한국화의 역할도 존재하며 과거 전통미술이 그러했던 것처럼 동시대의 한국화도 사회구성원의 삶속에 스며들어 그들과의 친연성을 강화하며 존재해야 할 것이다. 한국인들의 삶 속에서 한국화라는 문화는 문화사회의 성립을 위한 초석으로 역할 할 수 있는 충분한 문화적 정체성을 부여받고 있기 때문이다.

      • 알바로 시자 건축의 표현 요소에 관한 연구

        성민우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알바로 시자가 그의 작품 안에서 어떠한 건축언어로 공간을 창조해 내는가 하는 것에 주목하여 알바로 시자 건축의 표현요소를 살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다양한 비평가들에 의해 시자의 작품들이 연구되었고, 시자가 언급한 ‘건축가는 아무 것도 창조하지 않는다. 단지 현실을 변형(Transformation)할 뿐이다.’의 ‘변형’은 많은 비평가들의 핵심어였다. 하지만 이러한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단어로 시자의 건축을 연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시자 건축의 한 단편들만을 다루고 있고, 추상적인 표현으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자의 건축 표현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현재까지의 시자의 건축 작품 분석을 통해 시자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주요 건축 표현 요소를 파악하고자 함에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흐름의 따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알바로 시자의 건축은 시자의 시대적·지역적 상황과 근대 건축의 연구를 통해 형성되었다. 시대적·지역적인 상황으로 인해 지역주의(Regionalism)적인 경향이었던 시자의 건축은 포르투갈의 개방 이후 보편성을 찾아가기 시작하면서 지역주의(Regionalism)와 보편주의(Universalism)를 통합해가는 경향이 나타난다. 알바로 시자 건축의 형태적, 공간구성어휘는 꼬르뷔제, 알토, 라이트, 로스, 아우트 등의 모더니즘기의 건축가의 건축을 연구를 통해 형성 되었다. 시자는 일의 도구인 드로잉을 통해 공간을 연구하고, 특히 투시도 스케치를 통해 내·외부 공간을 관찰자의 입장에서 연구하고 있다. 9개의 사례작품의 분석을 토대로 알바로 시자 건축의 표현요소를 평면, 입면, 단면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인 U-shape, 흰 벽, 천창에 관하여 정리하였다. 첫 번째, U-shape의 형태는 80년대 중반이후로 자주 나타나는 시자의 형태어휘이며, 시자는 U-shape를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고 내·외부의 관계를 긴밀하게 하고, 주변의 공간이나 풍경을 향해 수렴하는 공간을 창출한다. 두 번째, 흰 벽은 아돌프 로스의 영향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많은 시자 건축 작품들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세 번째, 천창은 빛을 조정하는 주요 요소인데, 시자는 빛을 조정함으로써 극적인 공간적 장면을 연출하며, 공간적 풍만함을 제공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알바로 시자 건축의 배경을 이해하고 사례작품 분석을 통해 시자 공간에 나타나는 건축 표현 요소들을 살펴봄으로써, 알바로 시자의 건축의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요소들로 공간을 만들어내는 알바로 시자의 작업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looks into design elements in the architecture of Alvaro Siza. Previous studies on Siza's architecture have been introduced and the word 'trasformation' from his mention 'Architects don't invent anything, they transform reality'. has been a critical word. however, it is hard to study with such an abstract concept and most of studies are focusing on specific themes or periods. In order to supplement these existing studies, This thesis focuses on understanding on design elements in the architecture of Alvaro Siza with the study of background of Siza's architecture and his pro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rchitecture of Alvaro Siza has been formed with periodical and regional background and is also characterized by a continuous crticl dialogue with the tradition on contemporary architecture. His buildings display an non-systematic proliferation of citations and more or less cryptic allusions to Frank Lloyd Wright, Le Corbusier, Loos, Oud, Aalto. Drawing, especially perspective sketch, is the critical working tool in his design process and he tries to see the space with the point of objective view. Through the analysis of 9 finished works, the critical design elements -U-shape, the white wall, and top light- in Siza's architecture has been summarized. First, U-shape that appears many times in Siza's work after mid 80s is a configuration of form that wakes in us a chain of associations with other like configurations. it protects inner space from surrounding and opens to landscape or adjacent space. Second, the white walled projects, which is influenced by Aldof Loos, can be seen in various projects. Third, top light is a critical element on controlling light in Siza's architecture. Siza tries to use the light to make a dramatic space. In conclusion, design elements on Siza's architecture can be understood by understanding on background of Siza's architecture and analysing projects. therefore it can be translated into Siza's architectural will and it is very suggestive to us.

      • 전자문서교환(EDI)의 通關業務 自動化에 關한 硏究

        성민우 東國大學校 經營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use of computer in the stream of information is increasing very rapidly and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system by means of new information transaction has brought about a great innovation in the competitive trade environment. This means that firms can achieve the shift and accurate documents handling, cost savings, speedy transaction processing, error reducrion, and increased efficiency in operation and administration through the electronic data interchange. In consideration of this trend, it is innevitable to introduce EDI customs' automation system. Futhermore, implementation of this system has been requested by korea's major trade partners such as U.S.A, EC, Australia and Singapore. In an effort to avoid any possible waste due to trials and errors in establishing this system, this thesis attempted to review the possible problem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agories, customs' clerance procedure related regulations and system managent. Major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one of the problems which may occur in the procedure of customs clerance is institutional inefficiency. To address such inefficiency, systematic analysis and administraion focused on crime-suspected freight by so-called 'Cargo Selectivity System' on the basis of establighing 'Advanced Declarations System' should be taken. By doing so, the inspection cargo can be minimized and the rate of inspection cargo can be lessened. Consequently it reduces a tie-up and delay in the bonded area through 'Wharf Carry-out System', thereby making the flow of import materials smooth. In addition, 'EFT'(electronic funds transfer) which allows the tax to be transmitted automatically from importer's account by connecting the on-lines between the banker and complex automated trade system should be utilized. Second, there are problems in the aspect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re due to the insufficiency in utilization of electronic customs clerance systems resulted from the wide spread insecurity for the future. To solve this problem, the legislation of special and concrete regulations by the goverment should be accompanied. The goverment's legal and political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legal effect, proof ability, supplementary measurement and punishment clause for electronic data exchange is neccessay for promoting the voluntary attendance and cooperation of trade related institutes or firms. Third, connection of on-line system and its stability are a major problem in the field of system management. The activities of system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method to make utmost of the effect of 'EDI' automated customs clearance system by installing and conducting the management council should be followed. In reflection of current situation where the automated customs clearance system is being processed only in view of government and 'KTNET', there have been frictions between actual users of related institutes and the necessary measurement for users' convenience to clear up the problem should be taken. As the social concept isn't settled yet in short of public information and education, the posi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or educational business and the mind changes of the company is absolutely required. Conclusively, 'EDI' automated customs clearance system is very critical since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the competitveness in national economy toward globalization.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more concrete and practical studies on the basis of above mentioned problem and suggestion should be made to improve corporate and national competitivenss by the way of cost reduction as a result of implemeting the EDI customs' automatization system for the national benefit.

      • Studies on the effect of c-Cbl exon skipping on αPix-mediated cell migration and invasion of glioma cells

        성민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c-Cbl, a RING-type ubiquitin E3 ligase, down-regulates receptor tyrosine kinases, including EGF receptor, and inhibits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Moreover, mutations of c-Cbl are frequently found in patients with myeloid neoplasm. Therefore, c-Cbl is known as a tumor suppressor. αPix, a potent mediator of cell migration, is highly expressed only in proliferative and mobile cells, including immune cells, and is up-regulated in certain invasive tumors, such as glioblastoma multiforme (GBM). Here, I showed that a part of the RING domain in c-Cbl is skipped in rat C6 and human A172 glioma cells and brain tissues of several glioblastoma patients. Specifically, these cells and tissues generated c-Cbl that lacks the amino acid sequences corresponding to exon-9 or both exon-9 and exon-10, termed type I and type II exon skipping, respectively. Significantly, both types of the exon skipping prevented c-Cbl-mediated ubiquitination and proteasomal degradation of αPix, resulting in dramatic accumulation of αPix. Moreover, the c-Cbl exon skipping promoted EGF signaling and αPix-mediated cell migration and invasion. However, analysis of the c-Cbl genomic DNA sequence revealed that no putative splice site mutation exists between exon-8 and exon-11. Furthermore, both types of the exon skipping could be seen only when C6 and A172 cells were grown to confluent state (i.e., in contact inhibition) or under hypoxia conditions, as analyzed by using a mini-gene harboring the genomic DNA from exon-7 to exon-11.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known defect of trans-element(s) in C6 and A172 cells, likely also in the tissues from glioma patients, is responsible for the abnormal exon skipping, which in turn allows the glioma cells to overcome contact inhibition and hypoxic condition. In summar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Cbl exon skipping contributes to human glioma and its malignant behavior.

      • Robust watermarking based on visual perception and watermark optimization

        성민우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데이터의 처리 및 전송은 매우 일상적인 일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영상 정보의 보안은 최근 더 화두가 되고 있다. 영상 워터마킹은 보호받아야 할 호스트 영상에 이미지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기법이다. 기본적으로 워터마크는 삽입전의 워터마크와 삽입 후의 워터마크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영상의 소유권을 입증할 수 있다. 이러한 워터마크는 워터마크 삽입방법, 워터마크 추출방법, 여러 영상공격으로부터의 안전성 등 다양한 해결해야할 문제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여러 성능을 상향시키기 위해 워터마크의 시각적 인식에 기반한 연구와 워터마크의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였다. 첫째로 본 논문에서는 Saliency Map을 사용하여 사람들이 영상을 볼 때 어떤 영역을 주로 보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후, 워터마크의 정보를 삽입 할 때 사람들이 주로 시선을 뺏기는 부분에 워터마크의 정보를 덜 삽입하고, 그렇지 않은 곳에 많은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사람들이 워터마크가 삽입된 사실을 인지하기 어렵도록 하였다. 우리는 또한 EIA(Elemental Image Array) 기법과 CAT(Cellular Automata Transform) 기법을 사용하여 워터마크의 견고함과 보안을 더욱 강화시켰다. EIA는 워터마크 정보를 여러 영상 배열로 분산시켜 공격을 받더라도 여러 곳에 뿌려진 정보를 다시 모음으로써 더욱 좋은 화질의 워터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주파수 변환 기법(DCT, DWT, ...)들이 워터마크를 삽입할 공간을 하나만 제공한 반면, CAT는 이미지 소유권자의 암호 값에 따라 다양한 삽입 공간을 제공해 주어서 제 3자가 워터마크를 추출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하였다. 둘째로, 본 논문에서는 워터마크의 투명성과 견고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워터마크 영상 자체를 변환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워터마킹 연구들은 워터마크의 삽입 방법에 집중적인 연구를 통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 하지만 우리는 워터마크 자체에 집중을 함으로써 그로인한 성능향상을 꾀하였다. 일반적으로 워터마크 영상은 호스트 영상의 생김새와 독립적으로 형태를 갖추게 된다. 그로인해 어떤 워터마크는 삽입될 시 호스트 영상의 화질을 많이 저하시키는 한편 어떤 워터마크는 호스트 영상을 거의 바꾸지 않고도 삽입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 부분을 착안하여 우리는 호스트 영상과 워터마크가 주어졌을 때, 최적의 결과를 낼 수 있도록 워터마크의 형태를 변형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digital data processing and transmission come to be a common occurrence. Because of this trend, information security problem is more important. Image watermarking can solve multimedia data copyright protection by embedding a watermark into the host image which needs to be protected. It provides copyright ownership by comparison of input watermark and extracted watermark from the image. The watermarking scheme has lots of issue such as watermark embedding, watermark extraction, robustness from attack, and so on. We have studied the visual perception and the optimization of the watermark to improve these performances of watermark. First, we used the saliency map to see what areas people see when they see images. Then, when embedding the watermark information, it embeds less information in places where people have a lot of eyes, and inserts a lot of information in places where they do not stay, so that people watched the image and lowered the watermark embedding further. We also used EIA (elemental image array) technique and CAT (cellular automata transform) to enhance the robustness and security of watermark. EIA disperses the watermark information into multiple image arrays, ensuring robustness against image attacks. And, if conventional techniques provide only one space to embed a watermark, CAT enhances security by providing various embedding spaces according to the key value of the image owner. Second, we transform the watermark image itself to improve the invisibility and robustness of the watermark. Conventional watermarking studies have improved performance through watermark embedding methods. Generally, a watermark image is defined independent of the host image. Some watermarks change the host image a lot when inserted, and others do not. We find a watermark image that ensures optimal watermarking results for a given embedding method and host image.

      • 朝鮮時代 泥金山水畵 硏究

        성민우 (成民友)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391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the landscape painting in golden color are the specific situation in the major stream of art in the Yi Dynasty. The temperance and economy within the order of Confucian is the important values of inspiring the literary society with the spirit of India ink. However, the Golden color has the glory decoration and aesthetic tendency in the points of pictorial and cultural histories. The landscape painting in golden color is the result with depending on the specific trading rules with the trade mark of religion and authority. The use of golden color had been developed on Goryeo Buddhist paintings. The technique of gold/silver dusts with adhesives used to make scriptures at the Goryeo period. With entering the Yi Dynasty the usage of the technique of gold/silver dusts was transported from Goryeo Buddhist paintings to the Yi Dynasty's court paintings. The golden color which has a absolute authority was one of symbols of the lord. The landscape painting in golden color was the results of the combination between the Goryeo Buddhist paintings and Yi dynasty's court paintings. The landscape painting in golden color was the proper style of expressing the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painting styles using the properties of materials. The middle period of the Yi Dynasty when the landscape painting in golden color was appeared was disordered times through the restoration of In-Cho and the wars with neighbor nations. Heo-ju Yi Jing and Yun-dam Kim Myung-guk who were the well-known court painters in the middle period of the Yi Dynasty performed the technique of the landscape painting in golden color. The technique was widely spreaded out general painters since the technique was shown in their products. However, the technique was disappeared in the latter period of the Yi Dynasty except small works such as fan's paintings, picture books, etc. As I mentioned previously, the limit of the landscape painting in golden color is the effects of the professional painter's objectives and the traditional objects. In this work the products which were painted by the technique of gold/silver dust are branch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The symbolism of golden color is considered with the relationships of social ideologies, historical situations, and painting styles. The technique of gold/silver dusts is the valuable attempt under the traditional painting styles which shows characteristic directions in the overall painter's society. The technique of gold/silver dusts expresses the beauty of paintings, the characteristics of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vercoming the traditional plane properties, and the values of showy decorations. The technique is the foundation of opening the possibilities of new painting styles. 조선시대(朝鮮時代) 이금산수화(泥金山水畵)의 등장과 전개는 수묵화(水墨畵)가 주류이던 당시 상황에서 매우 이색적인 현상이었다. 유교적 사회질서 안에서 절제(節制)와 검약(儉約)은 수묵의 정신성과 더불어 사대부적 문인사상을 고취시키는 주요한 가치들이었다. 그에 반해 금색(金色)은 회화사적으로나 문화사적으로나 화려한 장식성과 탐미적 성향이 강한 색이기 때문이다. 불교미술(佛敎美術)의 전래와 발전을 통해 성장한 금색의 활용은 고려불화(高麗佛畵)를 통해 기법적으로 완성되었다. 금분(金粉)이나 은분(銀粉)을 아교(阿膠)물에 개서 물감처럼 사용하는 금은니기법(金銀泥技法)은 주로 사경(寫經)이나 변상도(變相圖)의 제작에 쓰였다. 또한 화려하고 장엄한 고려불화의 화면 안에서 부분적인 장식의 목적만이 아니라 금니필선(金泥筆線)만으로도 화면을 구성하며 신비로운 종교적 세계관을 구현해내었다. 금은니기법은 유교를 국가이념으로 하는 조선시대에 접어들면서 그 활용이 줄어들게 되지만 갖가지 궁중유물과 장식화 등의 궁중미술 안에서 조선시대 왕족문화를 대변하는 상징색으로 남게 된다. 궁중장식화나 어람용으로 제작된 이금산수화는 기법상 금니필선으로 제작되던 불화양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 금색은 절대적 권위를 표현하는 위세품으로서의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금산수화가 등장한 조선 중기는 인조반정과 이괄의 난 등의 변란으로 인해 왕권이 약화되고 잇단 왜란과 호란으로 사회가 혼란하던 시기였다. 혼란한 사회상은 지배계층의 보수성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시대적 상황과 금색이 갖는 상징성, 이를 표현할 수 있는 기량을 갖춘 화가 층의 존재, 이 조건들이 맞물리면서 이금산수화는 한 시대의 회화양식으로 나타난다. 특히 장식회화에 능했던 도화서 화원들의 손에서 이금이라는 재료는 새로운 회화양식으로 표현된다. 허주 이징(虛舟 李澄)과 연담 김명국(蓮潭 金明國)이라는 조선 중기 대표적인 화원화가들에 의해 그 기법적 완성도를 선보인 이금산수화는 궁중회화의 성격상 좀 더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내용이나 화법을 취하고 있지만 작가별 개성과 시대적 화풍의 변화에도 충실했다. 이후 화원화가 뿐만이 아닌 사대부 문인화가들의 작품에서도 이금산수화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이금기법이 당대 회화기법 중 하나로 인식되어 가고 있었음을 추측케 한다. 하지만 조선후기로 접어들면서 사회가 안정되고 왕권이 강화되는 시대 분위기와 더불어 문인적 취향이 강한 남종화풍이 유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식적이고 화려한 이금산수화는 부채나 작은 화첩 그림 등에서만 일부 활용되어 질 뿐 서서히 그 족적을 찾기 힘들어진다. 이금산수화의 제작 의도 및 목적이 작가 개인의 개성의 발현이라기보다는 정치적 의도 및 일부 지배층의 선호에 의해 이루어졌으리라는 추측이 이금산수화의 예술적 가치를 감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또한 유교와 도교적 사회사상하에서 화려한 장식성과 종교적 상징성으로 대변되는 금색의 활용도는 이금산수화의 발전을 저해한 요소가 되었다. 직업화가들에 의해 목적성을 바탕에 두고 제작되었다는 점, 전통적 화풍이나 소재 등에 치우친 내용들, 작가 개인의 화필이 제대로 드러나기 힘들다는 기법적 측면 등이 이금산수화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조선시대 이금산수화의 분석적 연구는 단순히 금은니기법을 활용한 산수화작품들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구분 짓는데 머무르지 않는다. 금색이 우리 회화사에서 갖는 상징적 의미에 대한 고찰이며 동시에 사회적 이념 내지 역사적 상황과 회화성향과의 관계를 되짚어 보는 기회가 되는 것이다. 이금이라는 재료로 제작되는 산수화는 일반 수묵 산수화가 표현할 수 없는 독특한 개성을 지니고 있다. 금은니기법만이 표현할 수 있는 회화미, 동양회화의 평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입체적 시각화의 특성, 화려한 장식미의 발현이라는 가치를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금색의 문화적 상징성은 우리 회화가 지닌 미의식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줄 토대로서 역할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