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xpressions of RANK and RANKL in Gingival Tissue of Human Chronic Periodontitis : 만성 치주염 환자의 치은 조직에서 RANK 및 RANKL의 발현 양상

        백영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실험에서는 만성 치주염 부위 치은 및 건강한 치은에서 염증이 RANKL 및 RANK의 발현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상호 비교 분석하여 치주조직 파괴의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경북대학교병원 치주과 내원환자 중 만성치주염 환자와 치주질환이 없는 건강인 대조군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환자요소, 임상 치주상태를 기록하고, 치주질환이 없는 사람의 건강한 부위(n=8, Group 1), 만성 치주염 환자의 염증성 부위 (n=8, Group 2)에서 각각 변연치은을 채득하고 액화질소에 급속 동결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각 조직 내 RANKL 및 RANK의 발현을 관찰하고,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상대적 발현을 정량하였다. 또한, 각 조직의 β-actin을 이용하여 표준화한 후 Student's t-Test로 통계처리 하였다. 그 결과 RANK은 치주질환이 없는 정상 조직보다 만성 치주염의 염증성 조직에서 약간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RANKL은 만성 치주염환자의 염증성 조직에서 치주질환이 없는 정상조직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가 만성치주염 진행과정에서 RANKL와 RANK가 질환 진행과정과 진단방법 및 치료지표로의 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호텔 여성 조리사의 감정 노동과 소진에 관한 연구

        백영란 경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the growth of service ratio in modern industry had introduced competitive sense among firms and demand of pleasant service for workers in terms of attitude, image, and being kind and friendly service, for their importance on produce. Hotels control emotional expression of its employees with certain demanding standard. As employees deal with this demand, emotional division becomes a part of labor in service industry where the nature of emotional labor can be represented best. Emotional labor accelerates discordance from the gap between their actual emotion and demands of system, which degrade contentment level of employees, this can conclude departure. Precedent studies on stress show employees who cognate stress and find it hard to overcome, eventual experience can be exhaustion.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figure the connection between female hotel culinary staff and the level of occupational contentment which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provoke. From that, need to alleviate pressure of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can be met, need for basic study to increase occupational contentment also can be found a way to go.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et a precedent data for ongoing studies, to find solution of issue on female hotel culinary staff and their emotional labor, exhaustion, and occupational contentment. Survey target is female culinary staffs who are employed by five-star luxury hotels in Seoul.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most concerned while survey strategy is supported by extracted factors from precedent studies. Bibliographic and evidential study was implemented, collected data is analyzed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also analyzed by SAS statistical program for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t-test, Anova, and regression. Summary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Level of emotional labor pressure was high among groups of non-married, college or university degree, 3 to 5 years of hired-by-hotel experience, relatively low level among groups of married, more than graduate school degree, 10 years or more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This data show active tries to reduce emotional pressure of non-married 3 to 5 years experienced group should be followed. Emotional exhaustion is more serious in group of sous-chefs or higher position, compared with group of first-line-cooks or less higher position. This reveals needs of re-education or energizing sessions such as job vision suggestion. Meanwhile, contentment level of occupational accomplishment is relatively high in second cooks and first cooks group, age of 26 to 40, college or university degree, contentment level of job fitness is higher in group of sous-chefs with university degree or more on the other hand. First cooks group which job fitness level is lower shows better contentment of accomplishment, this means efforts to encourage sous-chefs are needed. Expression caution level grows, higher impersonality and emotional exhaustion level is. This proves to prevent impersonality and exhaustion, pressure for emotional labor should be reduced. The fact that group of higher impersonality shows lower contentment means ease of impersonality from reduced expressive pressure for hotel employees are in urgent need. Study shows while female culinary staffs are dealing emotional labor, they experience discordance owing to expressing standardized emotion instead of actual emotion, and also shows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of female culinary staffs is connected with job contentment.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exhaustion from emotional labor should be reduced or be prevented, programs and systematic complement for self-control should be prepared to increase occupational contentment, studies on female hotel culinary staff and their job management should be followed. 현대 산업구조에서 서비스 산업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기업 간에 경쟁이 치열해지기 시작했으며, 서비스 관련 종사들의 태도와 이미지, 친절도 등이 생산성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점이 인식되면서 근로자들에게 보다 친절함을 요구하게 되었다. 서비스 산업인 호텔기업들은 근로자들의 감정표현에 대하여 관리하고, 일정한 기준을 요구하게 되었다. 기대규범을 수요하고 대응하는 과정에서 근로자들은 감정노동을 수행하게 되었으며, 서비스 부분은 감정 노동이 가장 잘 나타나는 부문이라 할 수 있다. 감정 노동은 종사자들의 조직의 요구와 자신의 실제 감정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감정적 부조화에 따라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고, 스트레스는 종사자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떨어뜨리고 결과적으로 이직률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종사자들은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데 한계를 느끼며 결국 소진을 경험하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텔 여성 조리사들의 감정 노동과 소진 및 직무 만족관계를 알아보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감정노동에 대한 부담과 소진을 경감 시켜줄 근거를 제공하며 직무 만족을 높일 방안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호텔 여성조리사의 감정 노동, 소진, 직무 만족도에 관련된 요인을 실증 분석하여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향후 연구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설문대상은 서울 소재 특급호텔 조리부에 근무하는 여성 조리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 구성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의 연구목적에 맞추어서 추출된 연구변수들이 주로 활용 되었다. 연구의 방법으로 문헌 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고, 자료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 (Date cleaning)과정을 거쳐,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호텔 재직기간이 3년∼5년 미만인 대학 재학 중 또는 대졸정도의 미혼집단에서 감정노동 수준이 높은 반면 호텔 재직기간이 10년 이상이면서 대학원 재학이상인 기혼집단의 감정노동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따라서 호텔 재직기간이 3년∼5년 정도인 미혼집단의 감정노동 강도를 완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적극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주임급 이하보다 대리급이상인 집단에서 정서적 고갈 수준이 높게 나타나 대리급이상 집단의 정서적 고갈 완화를 위하여 업무재교육 또는 업무비전 제시와 같은 심신충전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한편, 직무성취도 및 만족도는 26∼40세의 전문대 및 대학 재학/졸업인 일반사원 및 주임급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직무적성도는 대학 재학이상의 대리급에서 높게 나타났다. 직무적성도가 높은 대리급보다 주임급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상대적으로 대리급의 직무만족도가 낮음을 시사하고 있으므로 대리급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또한, 조사대상자의 감정표현의 주의성이 높을 수록 탈 인격화 및 정서적 고갈이 높으므로 조사대상자의 탈 인격화 및 정서적 고갈 완화를 위해서는 감정노동 수준을 완화시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탈 인격화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저하되고 있으므로, 호텔 직무 종사자의 감정표현 강도 저하를 통한 탈 인격화이 완화가 시급한 것으로 보여 진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여성조리사들은 실제로 경험하는 감정이 아닌 조직에서 요구하는 규범화된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감정적 부조화와 같은 역기능을 경험하게 되며, 여성 조리사들의 감정노동은 소진과 또 소진은 직무 만족과 관련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 조리사들의 감정 노동으로 인한 소진을 경감시키거나 예방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통제력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제도상 보안이 필요하며, 호텔 여성 조리사의 직무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호텔조리사의 조직특성이 자기효능감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백영란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특급호텔 조리사를 대상으로 조리종사원들이 지각하고 있는 조직공정성과 조직신뢰가 자기효능감에 따라 조직유효성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특성의 조절효과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규명하고 이에 대한 통합적 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실증적 연구방법과 문헌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으며, 문헌적 연구에서는 조직특성, 조직공정성, 조직신뢰, 자기효능감, 개인특성, 조직유효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가설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등에서 검토된 내용을 토대로 모형을 분석하고 선행변수인 조직특성 요인을 조직공정성(분배, 절차, 상호작용)과, 조직신뢰(상사, 동료, 조직)로 구성하였으며 매개변인으로 자기효능감을, 조절변수로 개인특성을, 종속변수로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으로 연구 설계하여 관련된 변수들의 영향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적용되는 모집단은 서울시내에 분포되어 있는 특 1급 호텔에 재직하고 있는 조리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한 설문지는 총450부였으며 설문지는 422부가 회수되었으나 무성의한 반응을 보이거나 결측값이 있는 20부를 제외하고 402부(89.3%)가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조직공정성의 요인은 자기효능감 관계에 있어서 절차공정성을 제외한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조직신뢰는 상사신뢰를 제외한 동료신뢰와 조직신뢰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조직공정성과 자기효능감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나타났고, 조직신뢰는 직무만족에, 상사신뢰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이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특성에서는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만이 조절변수 역할을 하였으며, 나머지 요인은 조절변수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판명되었다. 이는 조직에서 구성원들이 지각하게 되는 공정성과 신뢰, 자기효능감이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뜻하며 개인특성은 조절변수의 역할보다 그 자체로서 조직유효성을 높이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알 수 있다. 학문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호텔조리사의 조직특성이 자기효능감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다차원적 접근에 의한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 하여 이를 토대로 호텔조리사들의 조직 유효성에 대한 이론 발전과 향후 지속적인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조직유효성에 대한 논의를 연구하는데 기초연구로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실무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호텔 조리사의 조직공정성 지각과 조직신뢰를 높이는 것이 자기효능감과 조직유효성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만족하는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 호텔조리사들의 조직공정성 지각, 조직신뢰 및 자기효능감을 만족 시키는 것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조직 차원에서 관리하고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과 조직과 가정, 개인의 인생설계, 개인특성의 다양한 요인에 따른 조직적응에 대한 다채로운 프로그램개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 한국 전통 오방색을 이용한 조형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백영란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사회(現代社會)는 흔히들 이미지의 사회라고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를 이용하거나, 컴퓨터의 마우스를 이용한 선(線)의 사용과 색감(色感)의 선택으로 그림을 그리며,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그런 이미지들은 색의 향연이라 불릴 정도로 다양하며, 원색적인 화려함과 선명함을 띠고 있다. 한편, 사람들은 이렇게 넘쳐나는 색감들 속에서 좀 더 활기차고, 생동감 넘치는 삶을 찾게 되며 그 안에 내재 되어있는 색감의 기본적인 의미까지도 찾고자 한다. 이러한 색감(色感)의 기본적인 의미성(意味性)을 살펴 찾아보고, 현대인들이 느끼고 싶어 하는 활기참과 생동감 넘치는 삶을 위한 색감을 한국 전통 채색인 오방색을 이용한 조형 작품 연구를 통해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오방색(五方色)을 이용한 조형 연구는 오방색에 내재된 한국인(韓國人)의 색채의식(色彩意識)과 의미(意味) 중심의 색채의식을 살피며, 음양 오행설(陰陽 五行說)에 따른 철학적(哲學的)인 배경을 토대로 이루어진 색채관(色彩觀)에 따라 주로 사용된 오방색의 활용성을 근거하였다. 또한, 다양성과 창의성이 있는 조형작품(造形 作品) 제작을 시도를 위하여 전통채색의 오색에 의한 대비 효과와 오색을 중첩으로 하여 얻을 수 있는 중간 색채를 좀 더 현대적인 기법(技法)과 형태(形態)로 화면을 재구성하였고, 음양 오행설에 따른 오색의 의미성을 배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법과 재료의 다양성 등을 표현(表現) 하고자 노력하였으며, 화면을 이용한 공간 표현에서는 좀 더 자연스러운 우연성이 곁들여 질 수 있도록 실험적이며, 현대성을 갖춘 표현기법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오색의 배치는 단순히 원시적(原色的)인 느낌이 아닌, 구체적이며 다양성을 이루어 누구나 공감(共感)할 수 있는 한국적(韓國的)인 미감의식(美感意識)을 중심으로 활용하고, 전통 오방색이 가장 한국적인 색임을 다시 인식하며, 우리 고유의 색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현대회화(現代繪畵)의 흐름 속에서 한국 채색화(彩色畵)가 확고한 존재가치의 정립과 발전를 통하여 보다 한국적이며, 세계적인 한국화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로 오방색의 고유성을 새로운 조형의식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In general, the modern society is called the 'Society of Image'. More and more people are harnessing the lens of the digital camera, clicking through the color senses and images with the mouse on their computers. And those images are various enough to be dubbed as a "banquet of color", taking on the primitive splendor and clarity. Meanwhile, people find more vital and live life in those rich color senses, even to the extent they figure out the meanings behind those color senses. In this sense,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what these color senses basically mean and what the modern people seek through those color senses are, in those modeling works utilizing the those color senses are, in those modeling works utilizing the traditional 5 Korean colors. The study on the modeling using the 5 traditional Korea colors in this paper is mainly addressed around the recognitions of Korean people for the colors focused on the meaning held by each color, and founded on the applicability of the same 5 colors originating i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Yin-Yang School for colors. Besides, we reconstructed the middle colors in more modern techniques and shapes on the display, which are obtainable through the contrasting and overlapping effects by the 5 colors to help any attempts to make a modeling piece through the contrasting or overlapping effect. We alos tried to express the variety of those techniques and materials within the limitation not excluding the meanings of the 5 colors pertaining to Yin-Yang School while presenting a laboratory and modernized representing techniques so that a more natural and contingent elements may be absorbed into the space expressions harnessing the display.

      • International Borrowing, Government Intervention, and Diversified Business Groups in Korea

        백영란 University of Calfornia 2002 해외박사

        RANK : 248623

        The goal of my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interaction between the financial sector and the industrial sector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My graduate research focuses on the government-guaranteed foreign loan program which mobilized export credits and syndicated loans during the 1960s and 1970s. Export credits as government exchanges and syndicated loans as exchanges between sovereign and private banks inevitably require examining the role of governments of both creditor and debtor countries. Chapter 1 describes how the availability of export credits, guaranteed by the creditor governments, induced the involve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n international financial flows and the increase of private loans to Korea. Thus, industrial promotion policies adopted by the Korean government were not simply domestic policies but were financially supported and shaped by the export promotion policies of the developed countries. Chapter 2 examines the enforcement issues in international loan contracts which shaped the debt service problems in the 1980s. It is argued that the de facto guarantees provided by the creditor governments led to risky international loans by private banks. Using micro-level data on international loan contracts of Korea from 1973 to 1981, the lending behaviors associated with syndicated loans are compared to those of export credits. The regression analysis suggests that, in contrast to the case of export credits, the private bankers made riskier syndicated loans during the times of the clear political and economic uncertainty. Thus, the result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it was the expected side-payment effects that led to risky lending behaviors of private banks. Chapter 3 focuses on how lending rules of the Korean government in foreign loan operations engendered the increasing domination of the diversified business groups known as Chaebols. In order to enhance the probability of success, the government adopted a set of rules that linked foreign loans to self-financing capabilities and export performances. Through repeated application of these rules, an advantage to incumbents naturally emerged. A model based on several simple assumptions and results from a regression analysis argue that the incumbent effects were the real mechanism of the gradual domination of Chaeb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