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의료원의 만성질환관리 사업 효과성 및 효율성에 관한 연구

        방효중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It turned out that as a regional public medical center had more experience in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and the referral rate in that region was higher, the glycated hemoglobin control rate was higher accordingly. In addition, as more funds and attendant nurses were secured for the service, the ratio of vulnerable groups was higher, and the medical center had more experience in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operation, there was a As the concept of public health care has changed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 providers (subjects) to the perspective of functions, the roles and functions of public health care are more emphasized now than befor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expansion of public health care service, and particularly, chronic disease care is essential when it comes to public health servic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diabetes care service, which is one of the chronic disease care services at regional public medical centers that have been promo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its public health programs. Specifically, this study designs and analyzes a study model focusing on structural parameters, process parameters, and outcome parameters based on the mainframe of Donabedian's medical service quality evaluation method. Structural parameters include service-related variables such as budget, human resource, and facility; process parameters include variables related to service production and delivery procedures; and outcome parameters include variables related to health level changes measured at the end of service and actual achievements (patient registration rate, glycated hemoglobin control rate, glycosylated hemoglobin improvement, etc.). Other parameters related to environments and resources are utilized as control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1, 2013, and December 31, 2015, from 52 medical centers that participated in the regional public medical center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project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its public health programs. Regional public medical centers whose data for evaluation were insufficient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Sixteen regional public medical centers participated in the above-mentioned service project in 2013, 20 in 2014, and 16 in 2015. Data were collected from business plans submitted by medical centers and also from performance evaluation reports as a secondary data source. Additionally, statistical data of public health care service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National Medical Center were analyzed. The above-mentioned secondary data were provided by the public health care support division of the National Medical Center, which is the organization in charge of operating the public health service program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qualitative analysis, in-depth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mong 15 attendant nurses who had worked for one year or longer at one of the 24 medical centers that participated in the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project at regional public medical centers between January 1, 2013, and December 31, 2015.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In the first interviews, an open questionnaire focusing on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operation and achievement was used, and in the second interviews,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based on the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which was interpreted in a field-based perspectiv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atient registration rate was relatively high when attendant nurses were replaced during the service period and when the ratio of vulnerable groups was relatively low. When attendant nurses were replaced during the service period, more efforts had to be put forth into managing and recruiting new managers, which affected the short-term achievements. It turned out that since vulnerable groups lacked the capability to manage their own health conditions, they tended to rely on ex-post health care mainly as a way of treatment, and that they would be reluctant to participate due to additional charges and uncovered items in relation to registration for the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Additional support for uncovered items such as inspection fees and glucometer strips would be helpful to ease the burden on patients in the vulnerable group participating in the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For organizations that demonstrated efficient project operation performance and outstanding achievements, opportunities to continue participating in the following years It turned out that as a regional public medical center had more experience in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and the referral rate in that region was higher, the glycated hemoglobin control rate was higher accordingly. In addition, as more funds and attendant nurses were secured for the service, the ratio of vulnerable groups was higher, and the medical center had more experience in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operation, there was a higher possibility of improving glycosylated hemoglobin level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project, the most important elements are roles and functions of attendant nurses. In order to secure capable attendant nurses by establishing a proper employment security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pilot project into a regular one with sufficient budgetary allocation. Vocational education needs to be expanded to strengthen attendant nurses' capabilities. In the meantime, 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medical center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project increases, experiences for project implementation will be accumulated, stable infrastructure will be established, and the project’s benefits maximized. Since consistency in project participation is of importanc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tatus of an organization selected as a participant at least for 3 years instead of selecting participants anew each year and to covert this pilot project into a regular one. Additionally, it is vital to diversify and promote interchange among participants with the host institution, the National Medical Center, as the pivot so that exemplary cases and experiences can be shared actively. The central government also needs to provide supportive policies and institutional support so as to promote the cooperation and support among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mmunities. Among effectiveness variables of the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the patient registration rate and the glycated hemoglobin control rate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efficiency. This indicates that as the human resources and budgetary allocation for the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are operated efficiently, the effectiveness also increase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hronic disease care service, therefore, various ways of improving the operation efficiency need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Strategies and methods of high-efficiency medical centers are to be shared for active benchmarking among medical centers. It is necessary to induce participants to put forth more efforts for improvement by reflecting such details in the project evaluation process. For organizations that demonstrated efficient project operation performance and outstanding achievements, opportunities to continue participating in the following years shall be secured with proper incentives such as budget expansion, etc. 공공의료 개념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주체) 중심에서 기능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공공의료의 역할과 기능이 더욱 중시되고 있다. 그만큼 공공의료 서비스가 확대될 필요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만성질환관리는 공공의료에서 제공해야할 필수적인 서비스이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공공보건프로그램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지방의료원 만성질환관리 사업 중에서 당뇨병 사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Donabedian의 의료의 질 평가 방법의 기본 틀에 따라 구조변수, 과정변수, 결과변수 중심의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변수로는 사업에 투입한 예산, 인력, 시설 등의 관련 변수를, 과정변수로는 사업을 수행하면서 제공된 서비스의 생산 과정과 전달 과정에서 발생한 관련 변수를, 결과변수로는 사업의 종료 시점에서 측정한 건강수준의 변화 및 실적 등의 변수(환자등록률, 당화혈색소 조절률, 당화혈색소 개선여부)를 포함하였다. 환경 및 자원 관련 등의 기타 변수는 통제변수로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보건복지부 공공보건프로그램 지방의료원 만성질환관리 사업에 참여한 52개 의료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평가 자료가 불충분한 지방의료원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도별로 2013년 16개, 2014년 20개, 2015년 16개의 지방의료원이 사업에 참여하였다. 자료는 의료원에서 제출한 사업계획서 및 2차 자료인 성과평가 결과를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또한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에서 발간한 공공보건의료 통계집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차 자료는 보건복지부 공공보건프로그램의 운영 주최 기관인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로부터 제공받았다. 질적 분석은 2013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지방의료원 만성질환관리 사업에 참여한 24개 의료원 중 전담간호사로서 1년 이상 근무한 경험이 있는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집단면접을 통해 수집한 자료에 대해 이루어졌다. 총 두 차례의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1차 면접은 만성질환관리 사업 운영 및 성과를 중심으로 한 구조화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2차 면접은 양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작성하여 실시하였다. 현장 중심의 시각에서 양적 분석 결과를 해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담간호사가 사업기간 내에 변경된 경우, 취약계층비율이 낮은 경우에 환자 등록률이 높게 나타났다. 사업기간 내 전담간호사가 변경되면 신규 담당자로서 대상자 관리 및 모집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져 단기적으로 성과에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취약계층은 자발적으로 건강생활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치료 중심의 사후적 건강관리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고, 만성질환관리 사업에 등록하여 발생할 수 있는 본인부담금과 비급여 항목에 대한 비용이 부담되어 사업 참여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성질환관리 사업에 참여하는 취약계층 환자의 부담을 줄이는 데는 관련 검사료나 혈당스틱과 같은 비급여 항목에 대한 추가 지원이 도움이 될 것이다. 지방의료원의 만성질환관리 사업경험이 많을수록, 지역의뢰율이 높을수록 높은 당화혈색소 조절률을 보였다. 그리고 사업예산과 전담간호사 충족도, 취약계층비율이 높을수록, 만성질환관리 사업경험이 많을수록 당화혈색소 개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만성질환관리 사업 수행을 위해 전담간호사의 역할과 기능은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우수한 전담간호사를 확보하기 위한 고용안정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시범사업에서 정규사업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고, 적절한 예산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 전담간호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직무 관련 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 한편, 의료원 만성질환관리 사업 참여가 많아질수록 사업 수행을 위한 경험이 축적되고, 안정적인 인프라가 구축되어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사업 참여가 중요한 바, 지금처럼 매년 사업 대상기관을 선정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참여 기관으로 선정되면 최소 3년간 이를 유지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 정규 사업으로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사업의 주최 기관인 국립중앙의료원을 중심으로 사업 참여기관 간 교류를 다양화, 활성화하고 우수 사례와 경험이 적극적으로 공유될 수 있는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사회의 연계 및 지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앙 정부 차원의 협력과 정책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한편, 만성질환관리 사업의 효과성 변수 중에서 환자등록률과 당화혈색소 조절률이 효율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만성질환관리 사업에 투입되는 인력과 예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경우 효과성도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향후 만성질환관리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운영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효율성이 높은 의료원의 전략과 방법을 공유하여 타 의료원에서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이를 사업의 평가 항목에 반영하여 모든 참여 기관의 적극적인 개선 노력을 유도해야한다. 효율적인 사업 운영과 동시에 효과를 높인 기관에 대해서는 차년도 사업에 연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고, 예산 지원의 확대 등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 실리콘 오일을 이용한 PDP용 Zn₂SiO₄:Mn 녹색 형광체의 고상 합성 및 발광 특성

        방효중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synthesis of composite powders using solid-state reaction method. Zn2SiO4:Mn phosphor powder was synthesized by solid-state reaction method using silicone oil treated ZnO, fumed SiO2 and various Mn sources. The crystallization and luminescent properties of the phosphor particles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 Microscopy (SEM), X-ray Diffractometer(XRD), and photoluminescence spectrometer (PL). Because of the effect of silicone oil treated ZnO's dispersion and coherence, Zn2SiO4:Mn phosphor particles were produced at lower temperature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solid- state reaction method. The advantage of the present method, i.e., solid-state reaction method using silicone oil treated ZnO, fumed SiO2 was that the phosphor synthesis could be done at much low temperature. The doping con centration of Mn(Mn source were MnCO3 or MnO2) in each samples were 0.01, 0.02, 0.03 and 0.04 M. The calcination temperature of Mn(Mn source were MnCO3 or MnO2) in each samples were 1000, 1100, 1200 and 1300 ℃. The optimal doping concentration of Mn(Mn source were MnCO3 or MnO2) was 0.02 M, and optimal calcination temperature was 1000 ℃.

      • 석출물 정량화 방법에 의한 Mod HP강 개질로 튜브의 수명평가에 대한 연구

        방효중 中央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석유화학 플랜트의 개질로는 수소를 많이 포함하는 수소의 개질에 고온 증기를 사용하는 고온 가열로이다. 개질로 튜브의 설계 수명은 100,000 시간 이지만 많은 플랜트에서 설계 수명보다 더 빠른 시간에서 조기 파단이 발생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설계수명 이전에도 정기검사 기간 중에 개질로 튜브의 사용수명 및 잔여수명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를 수행한다. 정확한 방법은 개질로 튜브를 취외하여 잔여수명을 실측하는 크리프 시험을 수행하지만, 이런 경우 튜브의 보수가 필요하며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해 여러 튜브에서 시편을 채취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튜브를 취외하지 않고도 사용된 튜브 표면에서 표면복제 검사만을 수행하여 간접적으로 잔여수명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 수명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사용된 개질로 튜브의 외표면에 석출물의 면적분율은 튜브의 노화(aging)과 관계가 있으므로 튜브의 잔여수명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석출 탄화물의 면적분율을 튜브의 사용기간에 따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이를 활용하여 정량적인 수명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준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산업체 개질로에서 17년 정도 사용한 튜브 등 여러단계의 노화 튜브를 확보하여 사용시간에 따른 개질로 튜브에서 석출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플랜트의 950℃ 온도조건에서 신재, 1.8년, 6.0년, 7.2년, 8.5년, 9.7년, 16.2년 사용된 개질로 튜브의 표면을 연마 후에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미세조직내의 석출된 탄화물의 양을 관찰하였으며, 석출물의 정량적인 면적분율을 측정하기 위해 영상분석 프로그램인 ImageJ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미세조직의 분석은 개질로 튜브의 내표면(inner r-surface), 외표면(outer r-surface), 절단된 축방향 윗면(z-surface) 3종류에 대해 측 정하였다. 사용시간에 따른 각각의 표면에서 석출물의 양을 분석한 결과,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면에서 석출물의 면적분율이 증가하는 추세선 그래프를 측정할 수 있었다. 튜브 외표면과, 절단된 축방향면에서 측정된 추세선은 오차범위가 작은 신뢰할 만한 관계식을 나타내었지만, 시편을 절단하지 않고 현장에서 측정 가능한 튜브 외표면의 관계식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측정한 관계식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른 플랜트에서 11.5년간 사용한 개질로 튜브를 취외하여 관계식을 검증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관계식이 유용함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현장에서 개질로 튜브를 취외하여 잔여수명 평가를 진행하지 않고도 튜브의 외표면에 대하여 표면복제법을 적용하여 금속조직 샘플을 채취하여 조직 내 석출물의 양과 사용 시간의 상관관계 그래프를 통해 비교적 간단하고 쉽게 사용 중인 튜브의 잔여수명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forming furnace of a petrochemical plant is a high temperature furnace using at high temperature steam for reforming hydrocarbons containing a lot of hydrogen. Although the design life of a reformer tube is 100,000 h(11.4 years), it is reported that premature failure occurs at a time earlier than the design life in many plants. Therefore, even before the design life, during the regular inspection period, an inspection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service life and remaining life of the reformer tube. The exact test method is to take out the tube from the reforming furnace and perform a creep test to measure the remaining life.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repair of the tube and has the inconvenience of collecting specimens from several tubes in order to reduce the measurement error. Therefore, in this study, without cutting the tubes, only the surface replication test wa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sed tube to obtain referance life data for indirectly evaluating the remaining life. Since the area fraction of carbides precipit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former tube serviced is related to the aging of the tube, it is a criterion for evaluating the remaining life of the tube. Therefore, the area fraction of these precipitated carbides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according to the service period of the tube, and reference data was presented so that it can be utilized for quantitative life assessment. In this study, the amount of carbides precipitation in the reformer tube according to the service time was measured by securing several stages of aging tubes from tubes that have been used for about 17 years in an actual industrial reforming furnace. After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tube with the reforming furnace used for virgin, 1.8, 6.0, 7.2, 8.5, 9.7 and 16.2 years under at 950 ℃ temperature condition in the same plant, the carbides in the microstructure was observed by an optical microscope ImageJ program used. Microstructure analysis was measured on the inner surface, outer surface and cut axial top surface of the tub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mount of carbides precipitated on each surface according to service time, a trend line graph in which the area fraction of carbide increases in all surfaces as service time increases could be measured. The trend line measured in the tube outer r-surface and the cut axial direction showed a reliable relational expression with a small error, but the relational expression of the tube outer r-surface that can be measured in the field without cutting the specimen can be applied usefully.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relational expression, the relation obtained in this study was useful by taking out the reformer tube used for 11.5 years in another plant and verifying the relational ex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rrelation graph between the amount of carbides precipitated in the tissue and the service time by taking a metal tissue sample by applying the surface cloning method to the outer r-surface of the tube without taking out the reformer tube in the field and proceeding with the residual life evaluation. It will be possible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residual life of the tube in use relatively simply and eas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