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신 중 체중증가가 제왕절개 후 자연분만(VBAC)의 성공여부에 미치는 영향

        노정희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 whether weight gain affects the success of VBAC by using BMI; and to estimate whether weight gain is risk factor affecting the success for VBAC. Methods: The study compared clinical features taken from 112 patients who tried VBAC in the Gil Hospital from January 2001 through December 2006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92 patients for the success (82.1%) and 20 patients for the failure group (17.9%). Excluding 36 patients with no BMI data, in order to get the optimum BMI figure to be able to estimate success of VBAC we used ROC from 76 patients with BMI data. With the regular standard to distinguisnormal weight(BMI 19.8-26 Kg/m2) and overweight (BMI 26.1-29 Kg/m2), we examined two patient groups from the 76(success group (62) vs. failure group (14)), surveyed the interrelation between weight gain and success of VBAC, and compared the discrepancies of variables of both groups through the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Results: 1. According to the result of a comparative examination between success group and failure group with three comparison factors which are patients age(31.9±4 and 30.5±4), BMI data (26.8±3 and 27.1±3 Kg/m2), and degree of weight gain, the first two factor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last fact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ich are 11.2±4Kg of the success group and 13.2±5Kg of the other one (p<0.05). 2. A survey on the availability of the BMI date to estimate success of VBAC, tells the criteria with the standard BMI figure 26 is not statistically valuable (P=0.837). In addition the ROC test to get the optimum BMI data, we could not get the optimum cut off data in the significance level. 3. By comparing success or failure clinical features taken from two groups of patients (BMI<26 Kg/m2 and BMI≥26 Kg/m2), some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epancies(p<0.05): birth weight (2460±841.1g and 3415.4±387.9g), patients’ weight gain(8.2±3.2Kg and 12.9±2.9Kg), and patients’ weight at the point of delivery (56.8±4.8Kg and 72.0±7.9Kg). One (4%) out of patients (BMI<26 Kg/m2) used uterine stimulant, while 9(24.3%) out of 37 patients (BMI≥26 Kg/m2)did. 4. By analyzing interrelation between BMI data and different clinical features, we found that BMI figures have significant interrelation with the Apgar score(r=0.369,p<0.01), delivery interval(r=0.234, p<0.05) and fetal weight(r=0.309, p<0.01).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bove survey, it is evident that BMI data is too restricted to use as an estimate criteria on success of VBAC. Patients, however, who had relatively small scale of weight gain, showed a higher success rate of VBAC, and this tells proper Estimate Criteria will help to objectify these findings. 목적: 임신 중 체중증가가 VBAC의 성공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를 이용하여 그 상관관계를 조사하였고, 과도한 체중증가가 VBAC성공에 risk factor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VBAC을 시도한 산모 1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공군 92명(82.1%), 실패군 20명(17.9%)의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BMI를 측정하지 못한 36명을 제외한 76명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VBAC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BMI값을 알아보기 위하여 receive-operating curve (ROC)를 구하였다. 또한 통상적인 정상체중과 과체중을 구분하는 BMI 26(Kg/m2, 이하 단위 생략)미만/26이상을 기준으로 VBAC 성공군 62명과 실패군 14명을 대상으로 VBAC의 성공 여부와의 상관관계를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고 이들 VBAC 성공군과 실패군의 각 변수간의 차이를 Chi-square검정 및 Fisher`s exact test,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1.VBAC 의 성공군과 실패군 간의 산모연령(31.9±4, 과 30.5±4), BMI 값(26.8±3, 과 27.1±3) 및 산모의 체중증가를 비교한 결과 연령 과 BMI 결과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산모의 체증증가항목에서는 성공군 11.2±4Kg, 실패군 13.2±5Kg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VBAC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BMI 값의 유용성에 대한 검사에서 BMI 26 을 기준으로 한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P=0.837). 또한 최적의 BMI 값을 얻기 위한 ROC 검증에서도 최적의 cut off 값을 유의수준 내에서 구 할 수 없었다. 3. 성공군 BMI 를 26 미만과 26 이상으로 나누어 임상양상을 비교한 결과 출생체중이(2460±841.1g, 3415.4±387.9g), 산모의 체증증가(8.2±3.2Kg,12.9±2.9Kg), 및 출생 시 산모체중 (56.8±4.8Kg, 72.0±7.9Kg)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BMI 26 미만의 경우는 25 명 중 1 명(4%)이 자궁촉진제를 사용하였으나, BMI 26 이상은 37 명 중 9 명(24.3%) 의 산모에서 사용되었다. 4. BMI 값과 여러 임상적 특징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프가점수 (r=0.369, p<0.01), 출산간격 (r=0.234, p<0.05) 그리고 태아체중 (r=0.309,p<0.01) 이 BMI 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BMI값은 VBAC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하는 데는 제한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임신기간 중 체중증가가 상대적으로 적은 산모에서 높은 VBAC의 성공률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 하였고 이러한 사실을 객관화 시킬 수 있는 적절한 예측지표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자의 수행평가 성취도 분석 및 선행학습진단

        노정희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교사의 학생에 대한 수행평가를 돕기 위해 중학교 컴퓨터 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선택된 단원의 수행평가에 베이지안 네튼워크를 사용하였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학습자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교사는 단원에서 학습할 내용간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추론과정을 거치면서 생성된 자료에 의해 학습자의 학습 흐름과 단원에 대한 수준도 파악할 수 있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수행평가에 사용함으로써 학습자의 부족한 선행학습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학습자 피드백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기업 물류환경에서의 RFID 도입 현황 연구

        노정희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앞으로 다가올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업의 물류시스템에 RFID의 도입을 위한 도입현황을 연구하고자 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은 언제, 어디서나 기업과, 고객 그리고 사물들이 의사소통과 서비스의 흐름이 실시간적으로 연결되어 상호작용과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환경을 말하며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 중 하나는 RFID 기술이다. RFID 기술을 현재 운영중이거나 운영을 고려하는 기업의 물류시스템에 도입하는 모델을 살펴보고 그 도입적용 된 모델을 살펴보고 RFID가 도입되어 운영되는 현황을 참고 하는데 목적이 있다. RFID 기술의 도입은 국내외로 시범실시 중인 상태이며 기술 및 표준화가 안정화 되어있지 않다. 현재 가격, 주파수 할당 및 표준코드 지정 등의 표준화와, 정보보호 등의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RFID는 생산공정, 재고관리, 유통/물류, 컨테이너 관리 등 기업의 여러분야에 걸쳐 도입이 가능하며 기존 바코드 시스템이 갖고 있는 여러 단점들을 보완할수 있게 되면 기업의 전반작인 물류시스템의 효율성이 높아지며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국내에서는 RFTD의 기업물류 시스템 도입을 위하여 정부의 지원 아래 시범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점진적으로 기업의 운영형태가 글로벌화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는 전반적으로 도입 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화를 지향하는 기업에서는 타 기업 대비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 상황에서 다른 분야보다도 먼저 물류시스템에 RFID를 도입하여 운영하여 물류비를 절감을 통한 경쟁력화보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RFID system will begin to replace an actual Bar code system starting from 2005. A ubiquitous computing system with RFID has been developed to enhance customer services and logistics efficiency. RFID is a miniscule tag that can store numerous data and can be written and read, even distant place. This system will aide us in enhanc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nd tracking, and will reduce various lead time, cost and inventory problems in e-business environment. This paper presents a state-of-the-art introduction of RFID system in the area of logistics, distribution and supply chain management. Various literatures and records on this subject were referred in order to check on some outbreaks of unexpected problems and disadvantages in supply chains and demand chains. Also, several effective RFID application models are suggested.

      •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심리통제와 자녀와의 부정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노정희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anxiety on psychological control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4 mothers with three- to five-year-old children across the country. Data were collected from surveys and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conducting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t-test, F-test, Scheffé post-hoc test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The path model was tested using the AMOS 23.0 program. The Bootstrapping methods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s of the parame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other’s with one child perceived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more negatively than those with two or more. Second, it was found that mother’s parenting anxiety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at is, the higher the mother's parenting anxiety, the higher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other’s parenting anxiet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ir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rough psychological control. That is, it was that psychological control was high when mother’s who were raising their children in young children were high, and as a resul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also increased.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ignificant the significance of intervention on mother’s anxiety and psychological control in order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That is,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need to focus on mother's anxiety and psychological control to effectively intervene in reducing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 요양보호사의 돌봄서비스 질에 대한 모형개발연구

        노정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요양보호사의 돌봄서비스 질에 대한 모형개발연구 노 정 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종사하는 요양보호사들의 돌봄서비스 질 을 강화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요양보호사의 공감능 력과 직업소명의식 및 인권의식을 중심으로 돌봄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 요양보호사들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앞 으로 더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돌봄서비스에 대한 질적 향상과 장기 요양 서비스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공감능력의 인지적 요소가 정서적 요소보다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소명의식의 천직의식 요소와 이타행동 요소가 높을수록 돌봄서비스 질을 높이고, 인권의식이 높을수록 신뢰성, 대응성, 공감·유형·전문성 모두가 높아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전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모형을 검증한 결과, 공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요소의 오차분산이 음수로 나타나 매 우 작은 수로 고정한 후 다시 분석하였다. 수정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IFI=.929, TLI=.903, CFI=.928, RMSEA=.097로 양호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모형은 요양보호사가 제공하는 돌봄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모형의 수렴타당 도와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표준화 회귀계수, 평균분산추출, 개념 신뢰 도를 산출한 결과, 대체로 최소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부분적으로 입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평균분산의 제곱근 값이 해당하는 행과 열의 상관계수보다 모두 크게 나타나 변별타당도가 확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집한 데이터가 측정모형에 부합함을 확인하 였으며, 이후의 분석에서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셋째,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모형의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 직업 소명의식이 돌봄서비스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정한 가설과 인 권의식이 돌봄서비스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정한 가설은 채택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요양보호사 들의 돌봄서비스 질을 강화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을 보면, 사실상 요양보호사가 가지고 있는 사명감이나 가치관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돌봄서비스 질에 대한 연구의 관점을 외부 환경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더 확대하여 연구가 이루어 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미 이와 관련된 연구는 충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요양보호사에 대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판 단되었다. 즉, 이제는 돌봄서비스 질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만 큼 이러한 요구에 충족하는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돌봄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보 호사와 돌봄서비스 질에 관한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Keywords)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질, 모형개발, 공감능력, 직업소명의식, 인권의식

      • 조선후기 반가의 주거문화 고찰과 공간분석에 의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연구

        노정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해 기계론적 이성주의의 보편성·절대성이 퇴보하고 보다 상대적이고 특수한 것에 가치를 두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새로운 문화적 가치를 창조해야 하는 환경디자이너는 도시와 자연에 대해서, 인간의 삶의 방식에 대해서, 그리고 우리가 처한 시대적 상황과 역사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논리적인 전개와 해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의 모색은 근대화의 미명 아래 이루어졌던 기계론적·이성주의적 문화환경에 대한 주체적 재평가와 비평을 통하여 우리의 위상을 찾으려는 노력과 함께 유구한 역사 속에서 살아 숨쉬는 전통적 가치를 발견하여 문화적 고유성을 확립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정신 하에 본 연구는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문화적 전통성을 찾기 위한 하나의 노력으로서 조선후기 반가가 지니는 공간구성의 고유언어를 현대적으로 해석·적용함에 있어서 즉물적인 전통 재현의 태도를 지양하고, 이를 개념화하여은유적으로 반영함으로써 현대 환경디자인에서의 한국성 표현 가능성에 대한 모형사례를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다음의 과정을 갖는다. 첫째, 문화의 총체적 산물로서 주거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주거문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우리 민족 고유의 주거문화의식을 성립한 배경으로서의 풍수사상과 유교사상, 민간신앙을 고찰하여 조선후기 반가를 구축하는 가본 인식이 단순한 문적 대상이 아닌 생태 순환적 사고에서 비롯됨을 고찰하였다. 둘째, 근대로 발전하는 태동기로서의 조선후기를 시대적 대상으로 하여 사회·경제적, 건축 문화적 시대 특성을 연구한 결과, 인문 사회적 발전에 기인한 도시의 성장과 건축기술의 보편화, 실학적 건축사상의 대두라는 건축적 배경 하에서 조선후기 반가 건축은 대사회적(對社會的) 남성공간인 사랑채는 확대되고 안채는 더욱 폐쇄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가사규제의 약화로 인하여 지방 반가 공간구성이 보다 자유로워짐에 따라 거주자의 이상적 공간개념이 주택에 그대로 반영됨을 알 수 있다. 셋째, 이러한 시대적 특성 아래 지어진 조선후기 반가 주택의 공간구성을 분석해보면 풍수사상에 의해 자연의 순환체계에 순행하는 배치와 좌향을 택하고, 생활윤리로서의 유교사상, 즉 조상숭배, 내외사상, 장유유서, 상하 계층의식을 건축환경 안에서도 실천하려는 평면구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총체적으로 조선후기 반가 건축은 채의 분절을 통한 공간작법에 의해 크고 작은 마당이 형성되고 기둥과 벽, 담에 의안 공간구성 결과 사이공간의 개념, 안과 밖의 개념, 공간의 열림과 닫힘 등을 통해 이야기가 있는 공간전개의 특징을 갖는 주택공간을 형성하여 자연의 에너지, 생태적 순환체계에 순행하는 유기적 환경을 창출하였다. 다섯째, 일련의 연구결과로 조선후기 반가가 지니는 시대적·문화적·공간구조적 이해에 의한 절제미학과 단순미학, 즉 서구 모더니즘의 대량생산이나 기계미학에 기초를 둔 단순성과는 근본적인 사고의 차이를 보이는 우수한 공간기법의 환경디자인 적용을 모형사례로 제안하는 과정에서 조선후기 반가 건축에서 보여졌던 미니멀리즘적 표현을 실험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로써 조선후기 반가가 지니는 공간구성적 특성을 환경디자인 요소로써 개념화하여 내재된 문화적 고유성을 일깨우고 이를 재창조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해 우리의 삶의 방식과 가치가 고양될 수 있는 환경디자인 창조에 적극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생태적 순환체계를 갖는 유기적 환경디자인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하나의 대안으로써 조선 후기 반가가 지니는 공간구성언어의 고유한 전통적 가치를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응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디자인 연구를 통해 우리의 조상들이 그러했듯이 생태계의 순환체계를 따르는, 자연과의 관계, 인간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환경디자인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획일화된 인간의 감성회복을 통한 전일적 가치관의 실현을 이룰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Nowaday new paradigm makes a tendency to value the relative and specific things above a universality of a mechanistic rationalism. Under these conditions the environmental designer who should create new cultural value can build up logic and expound city nature, a mode of human life, the phases of the times we´ve faced and history. An initiative revaluation of the mechanistic, rationalistic cultural environment and designer´s constant which establish cultural characteristic make it possible. This study lays stress on establishing cultural tradition. it interprets the concept of space of the upper classes´s house at the Chosun period and metaphorically applies it to the present-day environmental design. These can propose a case of the possibilities of presentation of Korean character in the present-day environmental design. These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o establish the concept of residence culture in order to comprehend architecture as a creature of not material but cultural gives us an idea of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theory of geomancy, the Confucian idea and a folk belief which are a background for building up our own sense of residence culture. In the later Chosun period -as the quickening period into modern times- a social·economic·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made the style of space madality of upper classes´ house. This study grasp the stream of traditions that had cut off by foreign influence. At that time, in regional upper classer´s house, it shows the tendency of extending the male quaters. On the other hand the main building was getting smaller. With weakening of restriction of domestic duties, a resident´s intention reflects on the house as it is. Under these conditions the upper classes´ house took the lay of a site according to the theory of geomancy and Confucian ideas, that is, it was the idea of ancestor worship, avoiding society with opposite sex etc. They tried to apply these idea to architecture. The division of a section of a building made both some yards and the concept of space, inside and outside, and opening and shutting space. These concepts created an organic environment which is adaptable to an ecological circulations. Accordingly this study conceptualize the character of the space of the upper classes´ house in the later Chosun period as a factor of the environmental design. Beside it search for the way to apply to the environmental design that can make aware of our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raise them. Lastly through this study we will be able to materialize propriety of the method of space as the excellent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al design of the upper classes´ house at later Chosun period.

      • CSR활동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 : CSR성과와 재무적 제약과의관계를 중심으로

        노정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decad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a business environment. Most of firms have issued their sustainability reports to communicate with stakeholders and this is a growing trend. Through CSR, firms can create their impression or image and it has a profound effect on firms' value. CSR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n academia over the years.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firm‘s value attracted the attention of scholars. Of special interest is the lack of consensu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firm value. Some people have insisted that CSR may impose unnecessary costs to firms and give negative effects on firms' value but others have said that the reverse is true. In this paper, I study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nd financial constraints in Korea using a sample of 961 firm-years during the period from 2009 to 2011. I hypothesize that better performance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an be lower financial constraint due to reduced agency costs and informational asymmetry. To measure performance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 use two proxies using KEJI index. One is an equal-weighted CSR index and another is a stakeholder-weighted CSR index suggested by Akpinar et al. (2008) and Choi et al. (2010). Financial constraint is measured by KZ index suggested by Kaplan and Zingales (1997), credit rating, cash flow sensitivity of cash (Almeida et al,,2004) and investment-cash flow sensitivity (Fazzari et al., 1988). I find a nega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financial constraint. To assess the robustness of the result, I use balanced panel data analysis and 2SLS. I find the same results.

      • 퇴직급여 과소적립 위험에 대한 한국자본시장의 평가

        노정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o evaluate the risk of the unfunded pension liabilities in Korean stock market and bond market. In order to pursue the research objective, I use non-financial companies listed in the KOSPI and KOSDAQ which adopted DB pension plans over the period of 2005 to 2014. The funding level of the pension plan(PFL) is measured by pension assets divided by pension liabilities. According to the Guarantee of Workers’Retirement Benefit Act (Article 16), firms with DB pension plans shall maintain the ability to pay the benefits. In order to secure such ability, employers are required to maintain ‘minimum level of reserve’at the end of each fiscal year. If the reserve balance proves to be less than the required minimum level at any fiscal year end, employers should make up for the deficiency in the following 3 years. The replenishment process has a direct impact on the company’s internal cash resources, resulting in a significant impact on the value and investment of the firms. To see how to evaluate the risk of unfunded pension liabilities in Korean stock market, I use portfolio analysis. I sort firms into 10 portfolios according to the funding level of the pension plan(PFL) and examine the risk-adjusted returns of 10 portfolios after portfolio formation by running time-series regressions. The results show that market tends to undervalue the firms with relatively lower level of the pension plan. This result is also robust to alternative definitions of the funding level of the pension plan. In robustness analysis, I use the Fama and Macbeth (1973) cross-sectional regressions and find that PFL is a significantly negative predictor of stock return,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ime-series regressions. Additionally, I examine to see whether the high returns of under-funded companies can be related to the potential risk factor or the firms' characteristics. After analyzing portfolio characteristics and double sorting portfolio, I find that the firms with lower level of pension funding tend to have the lower accruals and higher probability of default. Also, these firms have relatively small size. Thus, it seem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 high returns of under-funded companies are not the compensation for a potential risk factor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capital asset pricing models. To see how to evaluate the risk of unfunded pension liabilities in Korean corporate bond market, I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bond credit ratings and the funding level of the pension plan(PFL) using ordered probit and ordinary least square analysis. Firms with DB pension plans shall maintain the ability to pay the benefits. Moreover, pension liabilities shall be paid in preference to taxes, public charges and other claims. When a firm goes into bankruptcy, unfunded pension liabilities are senior to secured or unsecured bond payments. As such, the claim of unfunded pension obligations could potentially reduce the future payoff to other bondholders, resulting in lower credit ratings. Consistent with expectations, my findings suggest that low pension funding levels tend to decrease bonds’ credit ratings. In addition, the improvement or deterioration of the pension funding levels is associated with bond rating changes. I find that this relationship is more pronounced for under-funded firms, whose reserve balance is below the required minimum level. This study is, to my knowledge, among the first research endeavors undertaken to examine how to evaluate the risk of the unfunded pension liabilities in Korean stock market and bond marke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stock and bond investors and contribute to rational decision making by capital market particip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