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터보-직접분사 가솔린 엔진에서 윤활유 및 연료종류에 따른 조기점화 특성 연구

        김태명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세계적으로 강화되는 배출물 규제와 효율 향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다운사이징 엔진이 대세가 되고 있다. 통상 저속에서 높은 평균압력이 발생하는 엔진의 특성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조기점화 현상 발생. 이에 대한 원인으로 윤활유가 지목 되고 있으며 본 실험에서는 윤활유 성상에 따라 발생하는 조기점화 현상을 측정하여 분석한다. 저속-고부하 영역의 실험조건을 선정한 뒤 각 조건별로 동일한 컨디션의 실험상황을 재현한 뒤 일정 시간동안의 조기점화 발생 횟수를 측정한다. 측정한 결과와 이때의 엔진 신호를 바탕으로 조기점화와 윤활유 성상 및 추가 조건에 대한 서로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또한 윤활유에 첨가 된 첨가물의 성분에 따른 조기점화 영향도를 파악하여 성분 별 가중치를 파악한다. 최종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차기 터보 직분사 엔진 개발 및 엔진에 적용 될 윤활유 개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발달장애인의 직업재활로서 사회적 농업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태명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직업재활로서 사회적 농업이 갖는 의미를 찾고자 사회적 농업의 일환으로 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3곳을 탐색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이 직접 농업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3곳을 선정하여 각 대표와 발달장애당사자 부모 1명을 심층면담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총 5가지의 범주와 2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5가지의 주제는 첫째 사회적 농업의 직업으로서의 의미, 둘째 사회적 농업에서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 셋째 사회적 농업이 지니고 있는 장점, 넷째 사회적 농업을 통한 변화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이 사회적 농업에 바라는 점들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발달장애인들은 사회적 농업에서 일의 가치를 배우고 있었으며, 농장활동의 다양성 속에서 적절한 직무배치를 받고 있었다. 또한 지원자들과 함께 하는 긴 농장활동의 참여기간은 체득의 시간들로 채워져 자신들의 일로 습득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농업의 환경적인 부분에서는 자연에서부터 자연의 일부로 살아가는 과정을 거치고 있었다. 특히 발달장애인들과 기꺼이 소통하겠다는 의지와 따듯한 마음을 지닌 사람들이 오래 머물러 주는 것이 그들의 삶에 큰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사회적 농업이 갖고 있는 장점은 치유, 돌봄, 교육, 직업 등 다차원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는 사회적 농업의 특성을 이 연구에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중요한 것은 발달장애인들에게 사회적 농업이 좋은 것은 맞지만 농업만이 아닌 그 안에서 다양한 활동이 병행되는 것이 장애를 더 장애화 시키지 않을 수 있음을 주지하고 있었다. 유럽에서 오랜 전통을 갖고 있는 캠프힐이나 나르쉬공동체가 농업을 바탕으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음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큼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발달장애인들을 사회적 농업 현장에서 지원하고 있는 운영자나 대표들은 발달장애인들의 심리적․정서적․신체적 변화들을 감지하고 있었으며, 가족은 물론 교사도 사회적 농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이렇게 사회적 농업이 발달장애인에게 주는 다차원적인 기능들을 통해 변화되어지는 것을 알기에 더 많은 사람들이 사회적 농업을 갖춘 캠프힐이나 교육․돌봄․체험 농장들이 확산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이런 긍정적 영향력을 갖고 있는 사회적 농업이 더 확장되고 국가의 정책으로 자리잡기까지 관련 단체와 사회적 농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곳들이 연대하고 연계하여 사회적 농업의 확장에 힘을 한데 모아야 할 때임을 시사하고 있었다. 참여농장, 돌봄농장, 체험농장, 교육농장, 나아가 고용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야 할 것이라는 것과 이 분야는 장애인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대상층을 아우를 수 있는 폭넓은 영역이어서 관련 행정기관들이 함께 관련 정책들을 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우리나라 國際複合運送業의 課題와 發展方案에 關한 硏究 : 綜合物的流通 시스템의 確立을 中心으로

        김태명 檀國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부존자원이 不足하고 對外指向的 成長政策을 추구하지 않을 수 없는 經濟的 特性으로 보아 對外去來에서의 貿易과 運送은 密接한 관계에 있다. 1960年代 중반부터 政府의 輸出主導政策을 강력히 추진하여 온 결과, 우리나라 輸出入物量은 비약적인 增加를 가져왔으며 運送面에서도 輸出入物量이 급격히 增加하자 1970年代 초 세계 굴지의 海上運送周旋業者들이 國內에 진출하여 영업활동을 하였다.이에 1976年 海運港灣廳의 發足 이후 輸繼入物量의 適期責任輸送이라는 당면과제와 업계 질서를 위해서 처음 26個社에 海上 運送周旋業免許를 발급하여 영업을 개시하였다. 그 후 輸出入物量의 增加와 더불어 業體數도 1987年 6月 30日 현재 71個社에 이르고 있으며 콘테이너 取扱物量도 9배의 伸張을 가져왔다. 그러나 業體數의 增加에 비해 質的인 發展이 미흡하여 最近의 尖端産業開發에 따른 經濟의 質的 高度化 추세와 世界交易物品의 輕薄短小化로 인한 貸物流通量의 增加速度는 완만한 반면, 貨主들의 고급화, 다양화되고 있는 要求에 우리나라의 業體들이 부응할 수 없는 物的 流通시스템의 問題點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時點에서 本 論文은 第II章에서 國際複合運送의 一般的인 考察을 하고, 第III章에서 物的 流通管理面에서의 國際複合運送을 살펴보았고, 第IV章에서 우리나라 國際複合運送業의 現況과 問題點을 分析하였고, 第V章에서 우리나라 國際複合運送業의 問題點에 대한 改善策을 제시함으로써 명실공히 綜合物的 流通시스템을 갖춘 國際複合運送業者로서의 發展을 모색해 보는데 그 目的이 있다. 本 論文의 주된 硏究方法으로는 國內外의 關聯文獻을 參考하는 文獻的 調査方法과 業體를 방문하여 現況과 問題點에 대한 資料를 수집하는 實地調査方法을 택하였다. 우리 나라 國際複合運送業이 있는 問題點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經營上의 問題點으로 資本金 및 運營의 零細性, 營業組織의 脆弱性, 收入源의 不安定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둘째, 綜合物的 流通시스템上의 問題點으로 시스템의 未備와 컴퓨터에 의한 情報시스템의 未備, 海外네트워크의 不足, 海外에 物的 流通의 거점인 綜合物的 流通센타의 不足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셋째, 專門人力의 不足으로 業界 종사들의 專門性 결여와 양성기관의 교육프로그램이 미흡하다. 넷째, 美國의 海運市場 開放壓力에 대한 사전 대비책이 결여되어 있다. 위와 같은 問題點을 改善하고 綜合物的 流通시스템을 갖춘 國際複合運送業者로 成長해 나가기 위해 다음과 같은 發展方案을 제시한다. 첫째, 經營의 現代化로 資本金의 확충, 運營의 專門化, 그리고 世界的인 네트워크를 構築하고, 地域을 다변화하여 海外에 現地法人을 설립한다. 그리고 收入源의 安定을 위해 합리적인 요금표(Tariff)를 제정 실시한다. 둘째, 生産에서 販賣까지의 全流通過程을 把握管理할 수 있는 綜合物的 流通시스템을 構築하고, 컴퓨터에 의한 情報시스템을 개발하고, 海外에 物的 流通의 거점인 綜合物的 流通센타를 설립한다. 셋째, 專門入力을 育成하기 위해 현재 海運技術院의 교육프로그램을 改善하고 外國의 專門人力育成制度를 도입하여 國內에 活用한다. 그리고 이를 위한 政府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 넷째, 對外開放壓力에 직면하여 開放時 단계적으로 開放하여야 하며, 外國企業의 內陸運送은 제한을 해야 하며, 다국적 기업이 아닌 순수한 美國企業에 한해 美國에 진출한 우리나라의 業體規模와 균형을 이루도록 開放해야 한다. 그리고 外國企業의 전액투자가 아닌 合作投資로 유도하고, 종사원은 國內人의 고용을 의무화해야 한다. 그외에도 政府는 國家政策面에서 複合運送業을 育成 發展시키겠다는 강한 의지를 지녀야 하며 各種 등록기준 및 관장기관의 합리적인 改善으로 制度的인 面에서 效率化를 기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to the most practical means for development of KOREAN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ing Business. The nation's freight forwarding business have rapidly developed and expanded in the field of operation during the last one, although various problems and bottleneks still exist, hindering the progressive development to grow as the future-oriented industry of the country. In order to understand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ing, it is desirable to look into, first, the historic background and developments process of the forwarding industry along with physical operation system being excercised by other countries, especially in Europe and U.S.A. We also have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Multimodal-Transport system and its relationships with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ing service to achieve mutual cooperation scheme between the two fields. In this context, this study has dealt with Freight Forwarding, Multimodal Transport and the relation between these system.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Freight Forwarding firms are analized and examined. Issues and problems facing the Freight Forwarding Busines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Managerial Difficulties: Too small a scale of capital and business organization leads to unstable source of revenue and lack of public credit, and further difficulty in drawing up long range business strategy. Compound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Difficiencies in the compound system of physical distribution are obvious, Computerization are deemed necessary to be able to utilize international freight informations, and also needed are the compound physical distribution center. Professional Man-pow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of people engaged in this business are lacking, training institutions and training programs are insufficient. Capacity to Cope with External Pressure: The pressure to free inland distribution service from advanced nations are sure to agravate, and appropriate preparedness to cope with such pressure are lacking. In order to remedy such difficulties and problems, proposed here are as the following: Government Measures: Legislation of Multimodal Transport system and training program of professional manpower should be improved to a optimum level. Under the present legal system, it is quite impractical to carry out effectively the role of Multimodal Transport in line with the new inter-country transport concept. The Korea Maritime institude and the Maritime business excecutive courses are not recognized to function well up to now and need many remedy and modification to fully accomodate various requirements of the industry. Measures from the Business side: * Thorough and complete preparation of service system in Through Transport. * Reorganization of business structure and standardization of freight tariff, * Expansion of the forwarding business and specialization of the service by route and individual firm, * Integration of cargo soliciation system, * Systematic way of 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 * Standardization and Computerization in forwarding operation and documentation, * Active development of overseas new market.

      • 느릅나무 뿌리껍질 에탄올추출물의 폐암 예방 효과

        김태명 충북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우리나라의 5대 사망원인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암은 그 발생률과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질환이다. 2003년~2005년까지 암의 총 발생건수는 398,824건으로 위암이 18.3%로 1위이고, 폐암이 12.1%로 2위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으나, 사망률은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10년간 발생률과 사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는 장미목 느릅나무과에 속하며, 한국을 비롯한 일본 및 중국에서 주로 분포하는 관엽 교목으로서 민간에서는 부종, 임질, 젖샘염(유선염), 위궤양 등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말린 유근피(楡根皮)는 그 약성이 본초강목, 동의보감 등의 고전의서에 언급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느릅나무 뿌리껍질 에탄올추출물의 폐암예방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생 A/J 마우스에 benzo[a]pyrene(B[a]P)을 생후 24시간 이내에 1회 0.5mg/20μl의 용량으로 피부밑주사로 허파샘종(lung adenoma)을 유발하고, 느릅나무 뿌리껍질 에탄올추출물을 0.5%, 1%의 농도로 사료에 섞어 이유 후 10주간 공급하였다. 시험이 모두 종료된 후에(생후 13주째), 허파조직(lung tissues)을 적출하여 냉아세톤으로 고정하여,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며 버니어캘리퍼스로 종양의 수와 크기를 측정하였다. 느릅나무 뿌리껍질 에탄올추출물 1% 투여군의 총 종양 수에 있어서, 수컷에서 36%, 암컷에서 31%의 감소율을 보였다. 지름이 0.5mm이상인 종양을 B[a]P 단독투여군과 비교하였을 때, 수컷은 43%, 암컷은 37% 감소하였다. 느릅나무 뿌리껍질 에탄올추출물의 폐암 예방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유래 폐암세포를 이용하여 cell viability, cell cycle arrest, apoptotic cell death를 알아보기 위하여 CCK-8 assay, EMSA, FACS analysis, DAPI stain,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폐암세포주(A549, NCI-H460)에 느릅나무 뿌리껍질 클로르포름분획은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성장을 농도의존적(0 ~ 200 μg/ml)으로 저해하였으며, 세포주기 중 Go/G1기에서 S기로의 진행을 멈추게 하였다. 또한 느릅나무 뿌리껍질 클로르포름분획은 핵내 전사인자인 AP-1의 DNA결합 활성을 억제하였고,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인 P21waf1/Cip1 발현을 증가시켜 cyclin D1 활성을 억제하였다. Apoptotic cell death를 유도하는지를 알아본 결과는, 느릅나무 뿌리껍질 클로르포름분획은 DAPI stain과 FACS analysis (PE Annexin V stain)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여 세포자멸소체(apoptotic body)를 형성하였으며, pro-apoptotic protein인 Bax, Caspase 3, 9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anti-apoptotic protein인 Bcl-2, Bcl-xL, PI3K, p-Akt(Ser473)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느릅나무 뿌리껍질 추출물은 암세포의 세포주기의 진행을 억제하고,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폐 발암(lung carcinogenesis)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major causes of death were cancer, cerebrovascular disease, heart disease, diabetes mellitus and accident in the Korean. One of these was a great risk at cancer. Cancer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in the world. Lung cancer is now the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in both men and women in the Korea, also, as well as being the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Elm tree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is a deciduous tree which i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The elm tree was belonging to the Ulmaceae family. The barks of the stem and the root of this plant have been used in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edema, mastitis, gastric cancer and inflammation in the literatures. Lung cancer chemopreventive effects of extract of elm tree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i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elm tree root (ER) on lung tumorigenesis by benzo[a]pyrene (B[a]P)-induced in A/J mice. Newborn mice were treated with ER in the diet during 10 weeks, a single subcutaneous dose of B[a]P (500㎍/㎖) in 20㎕ olive oil. The total number of tumor in the B[a]P + ER 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B[a]P alone group in A/J mice (Reduced multiplicity rate: male: 36%, female 31%). The ER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related proteins through the down-modulation in cyclin D1 and p-Akt(ser473) expressions, during B[a]P induced lung cancer in mice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a basis for future evaluation of the potential of ER as a chemopreventive agent against lung cancer. For the assessment of in vitro, i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tract of the elm tree on the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d apoptosis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A549 and NCI-H460). Treatment of the elm tree extract to A549 and NCI-H460 human lung cancer cells resulted in the growth inhibition, morphological changes, and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using CCK-8 assay, DAPI staining, FACS scan, and western blot analysis. Elm tree extract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cells and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in a dose-dependent manner. Elm tree extract treatment of A549 and H460 cells also resulted in dose-dependent arrest of cells in G0-G1 phase of the cell cycle. It was found that elm tree extract treatment also resulted in activation of P21waf1/Cip1 and decreased in the protein expression of cyclin D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xtract of the elm tree root bark may have a possible potential chemopreventive agent to suppress lung carcinogenesis.

      • 색채선호도와 EQ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연구

        김태명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학생의 색채선호도와 감성지능(EQ) 그리고 학업성취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색채선호도가 EQ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중학생의 생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소재 4개 중학교의 1학년 370명온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색채선호도 설문지 와 EQ검사지 그리고 2학기말 합산성적을 검사도구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색채선호도는 감성지능 및 학업성취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중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밝은 색(파랑, 하양, 연두, 노랑, 초록, 빨강)을 선호하고, 어둡고 칙칙한 색(남색, 자주, 청록)은 덜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파랑과 하양에 대한 선호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색채선호도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본다. 둘째, 색채선호도와 감성지능(EQ)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무채색을 제외한 난색, 한색, 중간색이 모두 감성지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한색(파랑, 청록, 남색)은 감성지능의 하위요인 중 '정서활용'을 제외한 '정서인식', '감정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EQ지수' 등의 전 항목에 걸쳐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따뜻한 색 (빨강, 주창, 노랑)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색채선호도와 학업성취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한색과 무채색(검정, 회색, 하양)은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나, 따뜻한 색과 중간색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차가운색은 감성지능과 학업성취 양쪽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나, 따뜻한 색과 중간색은 EQ에만, 무채색은 학업성취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학생들은 밝고 산뜻한 색을 선호하며, 어둡고 칙칙한 색은 덜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파랑과 하양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다. 색채선호도에 있어서 성별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본다. 그리고 색채선호도가 감성 지능 및 학업성취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차가운 색에 대한 선호가 EQ와 학업성취도 양쪽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끼치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감성지능과 학업성취도 상호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좀더 세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색채선호도를 파악함으로써 학생이해 및 인성교육, 생활지도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을 밝힌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is study has goal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s of Color Preferences, Emotional Quotient, and scholastic Achievements and measuring the influences of Color Preferences on EQ and scholastic Achievements. So I questionnaired 370 first graders(184 boy students and 186 girl students) of 4 middle school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e tendency of teenagers' preferences for bright and vivid colors to dark and dull colors Most of all, their preferences for 'blue' and 'white' are distinguished. It shows little preferential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Second, all three groups of colors, such as warm colors(red, yellow red, yellow), cool colors(blue green, blue, purple blue), and neutral colors(green, yellow green, purple, red purple) except for colorless colors(black, gray, white)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Q. Especially, cool colors show relatively high relationship:; with almost all factors of EQ, except for 'emotional application' factor So cool colors can be considered to have relatively higher relationships with EQ than warm colors. Third, cool colors and colorless colors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cholastic achievements, but warm colors and neutral colors have few significant relationships.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that cool colors have influences on both EQ and scholastic achievements, but warm colors and neutral colors only on EQ, and colorless colors only on scholastic achievements. Conclusively,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 bright and vivid colors to dark and dull colors and have especially high preferences for 'blue' and 'white', but few preferential differences between boy students and girl students. Color preferences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EQ and scholastic achievements and it Is remarkable that cool colors have relatively high influences on both EQ and scholastic achievements. But more detailed study should be follow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Q and scholastic achievements. Other results prove the result of this study in that cool colors have Influences on scholastic achievements, but not in that they have the same influences on EQ. So another confirming work should be followed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cool colors and EQ through new EQ test device and more enlarged samples.

      • 대구·경북지역 고등학교의 상담활동 실태와 활성화 방안

        김태명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 activation plan for school counseling through investigating the status of counseling in high schools in Daegu city and Gyeongbuk area. To gain this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ssumed. First, how is the status of counseling that students perceived about high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and what can be solutions for its activation? Second, how is the status of counseling that teachers perceived about high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and what can be solutions for its activation?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I analyzed questionnaire forms that were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regarding the status of school counseling and its activation, and combined to form questionnaires both for students and teachers respectively appropriate and modified for this study, and the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subjects of 750 high school 2nd-year students and 180 teachers from 15 high schools in Daegu city and Gyeongsangbuk-do including eight academic high schools and seven vocational high schools. Among the total copies of collected questionnaire survey, the 723 copies of student survey and 161 copies of teacher survey that were completed in all questions were taken with SPSS for windows 10.0 to get the frequency by each question and percentage, and χ^(2) test was taken to see the difference by the variable i.e., gender and career course of students, and gender and career experience of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o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counseling status that students perceived, there are about half of students who experienced counseling, and they have counseling over career course and their learning mainly with their teacher in charge. 2. In students' request and activation plan for counseling, it was found that the necessity of counseling was well recognized, and that the demand for their counseling was towards getting professional ones. Securing the given time for counseling activity and change in perception of counseling were selected in terms of elements for activation. 3. In the status of counseling that teachers perceived, most of teachers experienced counseling for students but they stated that school counseling activity was not executed well. It was said that the reason was that there were a lack of time given for counseling, and a lack of students' awareness about counseling. 4. In the status of awareness in teachers' school counseling and its activation plan, it was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have school counseling, and that school counseling should be made up mainly of teachers and students. It was also told that the causes for obstruction to school counseling were overburdened classes and on-job duties of teachers, and their poor knowledge and skills for counseling, and that models for activation plan were enumerated as securing time given for counseling, and a practice of counseling training.

      • 지각된 부모의 자기통제력과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적응에 미치는 효과: 자기결정성 동기적 관점

        김태명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self-control in child rearing which had been proved to be a predictor of success in many fields. The second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way of motivation-promotive child rearing to the parents of adolescents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arental self-control and parenting attitude from the perspective of Self-Determination Theor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basis of 1095 middle school students’ survey, which was nationwide sampled from 6 schools of five areas in Korea. The analyses were conducted in four different domains of scholastic adjustment, emotional adjustment, behavioral adjustment, and social adjustmen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paren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self-control was proved to be an important personality variable which had a strong influence on children’s daily adjustments by affecting parenting attitude. Parents’ personality of losing temper easily, impulsivity, self-centeredness was revealed to have a strong effect on parenting attitude, which, consequently, affects children’s adjustments. Second, parental self-control as well as parenting attitude was revealed to be a direct predictor of middle school students’ life adjustments. As a result of inputting three components of self-control and six components of parenting attitude, parental self-control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every four domains of scholastic, emotional, behavioral, and social adjustment. Third, parental self-control had different mediators across the domains of adjustment. To be specific, the common mediator was ‘rejection’ of parenting attitude in the domain of emotional adjustment such as self-esteem and depression, ‘autonomy support’ in the domain of behavioral adjustment such as school regulation and delinquency, and ‘structure’ in the domain of social adjustment like relationship with teacher or peer. Fourth,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were identified to be the strongest predictor of middle school students’ adjustments. ‘Autonomy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ix subareas of school achievement, class participation, self-esteem, school regulation, teacher-relation, and peer-relation, while ‘structur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five subareas of school achievement, self-esteem, school regulation, teacher-relation, and peer-rel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ar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need not only to trust their children and support children’s autonomy, but also they need to set the regulation together, and help them to keep the rules. Fifth, parental self-control and parenting attitude explained the most variance of emotional adjustment like self-esteem and depression, whereas they explained the least variance of school achievement. Sixth, the strong effect of ‘rejection’ was identified in the emotional adjustment of adolescent students. The path coefficient from ‘rejection’ to ‘self-esteem’ was the highest and the one from ‘rejection’ to ‘depression’ was the second highest among all the path coefficients, which implied the strong effect of parental personality and parenting attitude in the domain of children’s emotional adjustment. Seventh, some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in the subareas of class participation, school regulation, and teacher-relation, which meant that parental self-control c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parenting attitude with class participation, school regulation, and teacher-relation. Finally,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key words: parental self-control, parenting attitude, motivational model of parenting attitude, six dimensions of parenting, academic adjustment, emotional adjustment, behavioral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