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뉴 잭 스윙(New Jack Swing) 리듬 제작(Rhythm Production) 연구 : 자작곡 'Feel it'을 중심으로

        김제형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80년대 말부터 90년대 초까지 유행하였던 미국의 흑인 음악 장르인 뉴 잭 스윙에 초점을 맞추어, 자작곡 ‘Feel it’을 중심으로 이 장르의 대표곡과 음악 기술적 분석을 통하여 뉴 잭 스윙 장르를 현재에 다시 어떤 방법으로 제작 및 재현할 수 있는지를 목표로 한다. 단, 통상적인 화성, 이론적 분석 및 기법 제시가 아니라 현대 대중음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디(MIDI) 시퀀서(sequencer), 그리고 DAW(Digital Audio Workstation)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리듬 제작에 집중하였다. 장르를 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법들을 기술하고, 아직 국내에서 문헌으로 연구된 적이 없는 음악 형태이므로 이러한 유형의 음악을 제작하려는 프로듀서나 작곡가에게 일종의 지침서로 기능하도록 서술하였다. 논문의 서두에는 ‘Feel it’의 음악적 소개 및 분석을 다루었다, 본론에서는 테디 라일리(Teddy Riley)가 작곡한 뉴 잭 스윙 장르의 대표곡인 ‘Is it Good to You’, 제랄드 레버트(Gerald Levert)와 마크 고든(Marc Gordon) 공동 작곡의‘Use Me’ 총 두 곡을 선곡하여 자작곡 ‘Feel it’과 유사성을 비교하였다. ‘Feel it’에서는 뉴 잭 스윙을 구성하는 특정 요소들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시퀀싱이나 리듬 제작을 어떻게 구현하는지 알아본다. 2000년대 이후의 기계적이고 수직적인 리듬 제작과는 다르게 그루브 박자 정렬(groove quantization)이 두드러지며, 90년대의 샘플링(sampling) 및 미디, 신서사이저(synthesizer)의 기술이 다량으로 사용됨을 관찰하고, 현재의 음악 제작 환경으로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를 서술한다. 결론에서는 위에서 도출된 근거들을 기반으로, 서론에서 목표로 하는 뉴 잭 스윙 리듬 제작의 가장 특징적인 필수 요소들을 항목별로 정리하고 마무리한다. 이 논문에서는 보컬 기법, 등 노래 작법에 관한 요소는 논외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know how New Jack Swing genre can be produced and recreated currently through technological analysis on representative songs in the genre with original composition ‘Feel it’ as the center focused on New Jack Swing which is African-American music genre and was popular until the early 1990s from the late 1980s. But it was focused on rhythm production using MIDI sequencer, and DAW(Digital Audio Workstation) software which are widely used in modern popular music, not a conventional music theoretical analysis and technique suggestion. Necessary techniques were described to reproduce genre to be a guideline for producers or composers to produce such type of music since the music type has not been studied in the country as literature yet. The beginning of the paper covers musical instruction and analysis. The body part selects two songs of‘Is it Good to You’which is the representative song of New Jack Swing composed by Teddy Riley and ‘Use Me’joint-composed by Gerald Levert and Marc Gordon and compares the similarity with original composition‘Feel it’. Existence of specific elements composing New Jack Swing is identified in‘Feel it’ and it is investigated how sequencing and rhythm are produced. It observes that groove quantization stands out and technologies of 1990s digital sampling, MIDI protocol, and synthesizers are used much unlike mechanical and vertical rhythm production after 2000s, and describes how to produce in the current music production environment. The conclusion organizes the most distinguishing necessary elements of New Jack Swing rhythm production by item which is the purpose in the beginning based on the grounds induced above. The paper excludes elements of song writing technique or vocal production.

      • 기계환기로 인한 백서의 급성 폐손상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의 효과

        김제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Many inflammatory mediators and collagenases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acute lung injury (ALI)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The increase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gelatinase-B) produced mainly by inflammatory cells was reported in many ALI models and ARDS patients. Cyclic mechanical stress also can induce MMP-9 production from alveolar macrophages and connective tissue cells.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MMP-9 in ventilator-induced lung injury (VILI) model and the effects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 (MMPI) on VILI were investigated. Methods: Eighteen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low tidal volume (LVT, 7mL/Kg tidal volume, 3 cmH_(2)O PEEP, 40/min.), high tidal volume (HVT, 30mL/Kg tidal volume, no PEEP, 40/min) and high tidal volume with MMPI (HVT+MMPI) groups. Mechanical ventilation was performed in room air for 2 hours. The 20 mg/Kg of CMT-3 (chemically modified tetracycline-3, 6-demethyl 6-deoxy 4-dedimethylamino tetracycline) was gavaged as MMPI from three days before mechanical ventilation. The degree of lung injury was measured with wet-to-dry weight ratio and acute lung injury score. Expression of MMP-9 was studi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 with a mouse monoclonal anti-rat MMP-9 IgG_(1). Results: In the LVT, HVT and HVT+MMPI groups, the wet-to-dry weight ratio was 4.70 ± 0.14, 6.82 ± 1.28 and 4.92 ± 0.98, respectively. In the HVT group, the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p<0.05). Acute lung injury score measured by five-point scale was 3.25 ± 1.17, 12.83 ± 1.17 and 4.67 ± 0.52, respectively. The HVT group was significantly damaged by VILI and MMPI protects injuries by mechanical ventilation (p<0.05). Expression of MMP-9 measured by four-point scale was 3.33 ± 2.07, 12.17 ± 2.79 and 3.60 ± 1.95,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VT group (p<0.05). Conclusion: VILI increases significantly the expression of MMP-9 and MMPI prevents lung injury induced by mechanical ventilat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MMP-9.

      • 장기유출해석을 위한 SWAT 모형 적용에 관한 연구 : 판교신도시유역을 중심으로

        김제형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도권 지역의 신도시 개발에 따른 유역의 도시화와 인구 증가는 유역의 피복상태를 변화시키고,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학적 과정과 하천수질의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지표면의 침투, 침루 및 토양함수량을 변화시키고, 차단저류량과 요지저류량(depression storage) 등을 변화시킴으로서 유출량과 수질을 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문학적과정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문모형을 사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미국 농림부에서 개발한 SWAT모형을 이용하였다. SWAT모형은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에 인위적, 자연적인 물순환 구조변화와 지표수-지하수 연계 해석 등을 개선하여, 강우·증발산·토양수분·지표수·지하수의 시공간적 분포를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장기유출 해석 모형이다. 또한, 본 모형의 적용을 위하여 GIS를 이용한 공간정보를 처리하여 수문모형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ArcView GIS를 이용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대상유역은 판교유역으로서 신도시 개발이 한창 진행되고 있는 지역으로서, 개발 과정에 따라 수문특성, 유출특성, 수질변화 특성 등이 계속하여 변화되고 있으며, 개발이 완전히 종료된 이후의 특성을 예측할 필요가 있는 유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를 이용하여 판교 신도시 개발에 따른 장기유출량을 예측하였고 모델의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였으며, 그 결과 본 모델이 장기유출량해석 및 판교유역의 수문변화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예정이다. As the river basins are urbanized with growing population due to development of new towns in the capital areas, the surface conditions of the river basins changes, affecting the hydrological process and river water quality only to influence the ecology. In other words, the ground surfaces are infiltrated and percolated by water, while soil moisture, blocking and depression storages are varied to change outflow and water quality. In order to assess such hydrological process, this study used the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developed by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The SWAT model is a long-term runoff analysis model which interprets change of the natural water cycle structure and interlinkage between surface and ground waters to quantitatively calculat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raindrops, evaporation, soil moisture, surface water and ground water. In order to apply this model, the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GIS is processed to determine the parameters of the hydrological model. This study used the ArcView GIS for construction of the input database. The subject region or Pangyo basin is being developed vigorously now, and in this process,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utflow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are changing continuously. So,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conditions of runoff after completion of the development. This study used the SWAT to predict the long-term runoff in Pangyo new town by optimizing the parameters of the model, and thereby, determine whether this model could be useful to analyze the long-term runoff and assess the hydrological changes effectively in Pangyo new town.

      • 토마토HR7 유전자 프로모터의 특성

        김제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HR7 유전자는 가지과식물의 Micro-array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종자에서 특이적 발현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Genome-walking PCR 방법을 이용하여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cv. Micro-Tom) genomic DNA로부터 프로모터와 5‘-UTR 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HR7 유전자의 -960 bp (SlHR7 프로모터)를 분리하였다. GUS (β-glucuronidase) 유전자를 리포터로 하는 식물 발현벡터에 SlHR7 프로모터를 클로닝하여 제작한 SlHR7-GUS 벡터를 애기장대와 토마토 형질전환에 사용하였다. 형질전환 애기장대를 분석한 결과 꽃을 포함하는 생식기관과 종자에서 SlHR7 프로모터가 CaMV35S 프로모터에 비하여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형질전환 토마토에서도 종자와 수술의 약(anther) 조직에서 SlHR7 프로모터가 CaMV35S 프로모터에 비하여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SlHR7 프로모터가 종자와 생식기관 특이적인 발현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lHR7 프로모터의 -960~-700 부분을 제거하여 애기장대에 형질전환한 결과 모든 조직에서 프로모터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로 애기장대에서 생식기관과 종자 특이적 발현에 관여하는 조절부위가 SlHR7 프로모터의 -960~-700부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를 이용한 차량의 횡 방향 속도의 추정

        김제형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동형 안전 장치를 설계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주행 중인 차량의 횡 방향 속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최근 들어, 차량의 주행 안정성과 조향 성능 향상에 관한 관심이 커지면서 능동적 개념의 안전 제어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능동형 제어기의 설계를 위해서는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얻어야 하는데 특히 직진 방향과 횡 방향의 속도 그리고 요율에 대한 정보가 중요하다. 직진 방향의 속도와 요율은 센서를 통해 직접 측정이 가능한 반면 횡 방향 속도는 센서로 직접 얻을 수 없고, 센서로 직접 측정이 가능한 횡 방향 가속도와 직진 속도, 그리고 요율을 이용하여 적분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nonlinear sliding-mode observers)를 이용하여 횡 방향 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추정된 횡 방향 속도를 가지고 미끄러운 노면상의 주행이나 선회 시에도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구동 차륜 슬립 제어 방법과 4륜 조향 제어 방법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관측기와 제어기의 성능은 비선형 타이어 모델을 포함한 8 자유도 비선형 차량 모델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하였다. 제안된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는 횡 방향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경우와 Extended Kalman Filter를 이용한 경우보다 성능 및 강인성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A형 인플루엔자 H7N9바이러스의 항원을 발현하는 백신 후보균주의 면역학적 효능과 방어효능 검증

        김제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Attenuated Salmonella strains constitute a promising technology fo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anti-influenza vector vaccines. Several low pathogenic avian influenza (LPAI) viruses posesses major public health concern as there are low probabilities of occurrence of pre-existing immunity against theses subtypes in the human population. Herein, we constructed novel attenuated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that are delivering and expressing hemagglutinin (HA), neuraminidase (NA) and extracellular domain of the matrix protein 2 (M2e) protein antigens derived from an LPAI-H7N9. The constructed Salmonella strains exhibited efficient HA, NA and M2e expression, and delivery. The vaccine strains were test singly or incombination, in chicken and in vitro human PBMC model. We have demonstrated that oral immunization of chicken with Salmonella (Sal) mutants encoding HA (Sal-HA), M2e (Sal-M2e) or NA (Sal-NA), administered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induced both humoral and cell mediated immune (CMI) responses, and protected immunized chickens against the lethal H7N9 challenge. Chickens immunized with Sal-HA+Sal-M2e+ Sal-NA vaccine constructs exhibited more efficient mucosal and CMI responses compared to the chickens that received only Sal-HA, Sal-M2e or Sal-M2e+Sal-NA vaccine constructs. Further, chickens immunized with Sal-HA-M2e-NA vaccine constructs cleared H7N9 infection at a faster rate as compared to the chickens that were vaccinated with Sal-HA, Sal-M2e or Sal-M2e-NA constructs, as indicated by the reduced viral shedding in cloacal swabs of immunized chicken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APCs displaying H7 HA; antigen to stimulate cytokine responses in human PBMC, we co-incubated PBMC with either macrophages or DCs and the mixtures were cultured. Subsequently, the cells were harvested and analysed for the in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IL-12 and TNF-α), Th1 cytokine (IFN-γ) and Th2 cytokines (IL-10 TGF-beta) by qRT-PCR assay. The induction of cytokines varied depending upon the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stimulant used, the cytokine being examined and the APC being incubated with the T cells.We conclude that this vaccination strategy, based on HA, M2e and NA, warrants safer and highly optimizable platform for combating LPAI viruses to avoid the emergence of high pathogenic influenza viruses affecting human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