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Association between thromboxane A2 receptor gene polymorphisms and childhood asthma, and the pharmacogenetics of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

        김자형 울산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Thromboxane A2 (TBXA2) and its receptor, TBXA2R,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athogenesis of bronchial inflammation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BHR) in asthma. Recently TBXA2 is considered a negative regulator of leukotriene (LT)C4 synthase activity, which is responsible for biosynthesis of LT.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sthma-related phenotypes and TBXA2R polymorphisms in asthmatic children, as well as the effect of TBXA2R polymorphisms on the clinical response to LT-receptor antagonis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asthma-related phenotypes and TBXA2R polymorphisms, and also to analyze whether TBXA2R polymorphisms have an effect on the efficacy of the LT receptor antagonist, in asthmatic children with exercise-induced bronchoconstriction (EIB). Methods: We enrolled 695 asthmatics and 159 control children in this study. Asthma-related phenotypes were studied including total immunoglobulin E(IgE) levels, total eosinophil counts, pulmonary function test, and BHR to methacholine or exercise. Genotypes of the TBXA2R +924T>C and +795T>C were performed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method. In the montelukast study, exercise challenge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8-week montelukast treatment in asthmatic children with EIB. Results: The genotype frequencies of TBXA2R +924T>C or +795T>C polymorphisms did not differ among control subjects and atopic or nonatopic children with asthma.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linical parameters of asthma and TBX2R +924T>C or +795T>C polymorphisms in asthmatic children. However, asthmatic children with the combinations of the TBXA2R +924T>C and +795T>C minor alleles had significantly higher total IgE levels (P=0.01), total eosinophil counts (P<0.01) and lower forced expiratory volume (FEV1) (P=0.02) and forced expiratory fraction (FEF25-75%) (P=0.02) than those carrying the major alleles. Among 100 asthmatic children with EIB,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to montelukast in age, gender, total IgE levels, eosinophil counts, baseline lung function, or maximum percent fall in FEV1 after exercise, except for maximum percent fall in FEV1 after 8-week montelukast treatment (P<0.01). When compared with individuals with the major alleles, in patients with the TBXA2R +924T>C TT homozygote and TBXA2R +795T>C hetero- or homozygote (CT+CC) had a 3.67-fold poor response to 8-week montelukast treatment regarding to maximum precent fall in FEV1 after exercise (OR, 3.67; 95% CI 1.15-11.15). Conclusions: TBXA2R +924T>C and +795T>C polymorphisms are not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s of asthma development and asthma-related phenotypes in Korean children. However a combined effect of TBXA2R +924T>C and +795T>C minor alleles may have important roles in IgE production, eosinophilic inflammation, and lower pulmonary function in asthmatic children. In addition, the TBXA2R +795T>C genotype may be used as a predictive marker of the clinical response to the LT receptor antagonist, montelukast, in Korean asthmatic children with EIB. Key Words : Thromboxane A2 receptor polymorphism, Asthma, Exercise-induced bronchoconstriction, LT receptor antagonist, Montelukast 목적 : Thromboxane A2와 그 수용체는 천식에서 기관지 염증과 기도 과민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thromboxane이 류코트리엔 생성과 연관된 LTC4 synthase의 조절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식 환아에서 천식의 임상표현형과 TBXA2R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계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천식의 임상표현형과 TBXA2R 유전자 다형성간의 연관성을 조사하고 또한 운동 유발성 기도 수축을 가진 천식 환아에서 TBXA2R 유전자 다형성이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천식 소아 695명과 정상 대조군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천식의 임상표현형은 혈청 총 IgE 농도, 총 호산구수, 폐기능 검사과 메타콜린 및 운동유발검사가 포함되었다. TBXA2R +924T>C 와 +795T>C의 유전자형 분석은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방법으로 하였다. Montelukast 연구에서는 운동 유발성 기도 수축을 가진 소아 천식 환아 100명에서 운동유발검사를 8주간의 montelukast를 투여한 전후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 소아 천식 혹은 아토피 천식 환아에서 TBXA2R +924T>C 및 +795T>C 유전자 다형성은 천식의 발생과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소아 천식 환자에서 TBXA2R +924T>C 및 +795T>C 유전자 다형성과 천식의 임상표현형과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TBXA2R +924T>C와 +795T>C 변종형의 대립 유전자가 같이 가지고 있는 있는 소아 천식 환자에는 혈청 총 IgE 농도와 총 호산구수가 각각 야생형의 동형접합체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되어 있었고(P=0.01, P<0.01), FEV1과 FEF25-75%는 통계학적으로 야생형의 동형접합자에 비해 의미 있게 감소되어 있었다(P=0.02, P=0.02). 운동 유발성 기도 수축을 가진 소아 천식 환아 100명에서 8주간의 montelukast 치료 후 반응군과 비반응군 간에 나이, 성별, 총 혈청 IgE, 총 호산구수, 폐기능, 메타콜린 PC20, 운동후 최대 FEV1 감소는 차이가 없었으나 8주간의 montelukast 치료 후 운동후 최대 FEV1 감소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1). TBXA2R +924T>C 야생형의 동형접합자와 TBXA2R +795T>C의 하나 이상의 변종형의 대립 유전자를 가진 환아는 야생형의 동형접합자만 가진 경우에 비해 비반응군이 3.67배 더 많았다(OR=3.67 95% CI; 1.15-11.15). 결론 : 한국 소아에서 TBXA2R +924T>C 와 +795T>C 유전자 다형성은 천식의 발생과 천식의 임상표현형과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소아 천식 환아에서 TBXA2R +924T>C와 +795T>C 변종형의 대립 유전자가 같이 존재하는 경우 총 IgE, 호산구성 염증 및 폐기능 감소와는 연관성을 보였다. 이런 결과는 TBXA2R 유전자 다형성이 소아 천식 환자에서 질병 조절 유전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TBXA2R +795T>C 유전자 다형성은 운동 유발성 기도 수축을 가진 소아 천식 환아에서는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체인 montelukast에 대한 임상 반응을 예측하는 인자로 생각된다. 중심단어 : TBXA2R 유전자 다형성, 천식, 운동 유발성 기도 수축,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체, Montelukast

      • 선천성 심혈관계 질환 환아에서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압박 및 기도 기형

        김자형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선천성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영아 및 소아는 흔히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 수술 전후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진단이 늦어지거나 사망률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호흡기 증상의 원인은 심장이나 확장된 폐혈관, 혈관륜(vascular ring) 등에 의한 외부적인 기도 압박(airway compression)에서부터 기관(trachea)이나 기관지(bronchus) 자체의 기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1997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소아과에서 선천성 심혈관계질환으로 진단 받은 환아 중 수술 전후 기도 압박이나 기도 기형이 확진된 66명(평균 연령; 6.5±7.4개월, 남녀 각각 34명, 32명)을 대상으로 선천성 심혈관계질환의 종류, 호흡기 증상의 진단 시기 및 종류,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및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flexible bronchoscopy)소견, 동반 기형 유무, 기계적 환기 유지 기간, 수술 후 경과 관찰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아는 기계적 환기(mechanical ventilation)가 필요했던 기간을 기준으로 1군(7≤days)과 2군(>7days)으로 분류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기도 이상 유무를 평가하기 위해 총 66명의 환아 중 65명에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이중 60명에서 삼차원 재구성을 하였고,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를 같이 시행한 환아는 36명이었다. 중복 대동맥궁 환아 1례에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과 식도 조영술을 같이 시행하였다. 총 환아 66명 중 기계적 환기 치료를 하지 않았던 2명을 제외하고 1군은 23명(35.9%; 남자 10명, 여자 13명)으로 평균 연령은 6.8±8.7개월이었고 2군은 41명(64.1%; 남자 23명, 여자 18명)으로 평균 연령은 6.3±6.8개월이었다. 연령, 성별, 출생체중, 재태 기간, 경과 추적 기간에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군의 경우 1군보다 수술 후에 호흡기 증상이 발생한 경우가 많았고( p<0.001),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외부 압박과 기도 자체의 기형, 혹은 두가지 모두 동반된 경우가 더 많이 2군에서 관찰되었다( p=0.082). 1군의 기저 심혈관계 질환은 혈관 기형(vascular anomaly)과 대동맥궁 폐쇄가 각각 6명(26.2%)으로 가장 많았고, 2군은 심실중격결손이 있는 폐동맥 폐쇄증(Pulmonary Atresia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PA with VSD)이 9명(22.4%)으로 가장 많았다. 혈관 기형을 가진 환자는 총 66명 중 12명(18.2%)이었고, 좌폐동맥 슬링(left Pulmonary Artery Sling; LPAS)이 8례(66.7%)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고 이밖에 중복 대동맥궁이 1례, 비정상적인 좌측 쇄골 하 동맥을 동반한 우대동맥궁(right aortic arch with anomalous left subclavian artery) 2례, 비정상적인 우측 쇄골 하 동맥을 동반한 좌대동맥궁(left aortic arch with anomalous right subclavian artery) 1례였다. 진단 당시 호흡기 증상 및 징후는 수술 전에는 반복적인 천명(wheezing)이 12례로 가장 많았고, 수술 후에는 기계적 환기 이탈에 실패한 경우(weaning failure; WF)가 20례로 가장 흔하였다. 호흡기 증상이 발현된 시기는 두 군 모두 6개월 미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1군; 63.6%, 2군; 62.5%). 총 66명의 환아 중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이나 기관지경 검사로 기도 압박이나 기형은 발견되었으나 수술 전후로 호흡기 증상이 없었던 환아는 12명(18.2%)이었다. 외부 구조물에 의한 기도 압박은 심실중격결손이 있는 폐동맥 폐쇄증와 대동맥궁 폐쇄(Aortic arch obstruction)에서 주로 관찰되었고, 가장 흔한 기도 압박부위는 좌측 주기관지(24례; 63.2%)였으며, 주로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에서 압박되었다. 선천성 기도 및 기관지 기형은 외부 압박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경우를 제외한 것으로 기도 연화증과 기도 협착이 각각 4명(18.2%)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활로 4징과 좌폐동맥 슬링은 총 8명의 환아 중 각각 6명(75%), 5명(62.5%)에서 기도 기형이 동반되어 있었다. 수술 후 기계적 환기 이탈에 실패하거나 지속적인 무기폐(atelectasis) 및 과팽창(hyperinflation)이 관찰되어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를 한 후 기도 압박이 확인되어 대동맥 고정술(aortopexy)을 시행한 경우는 11명이었다. 이중 6명(54.5%)이 호전되었고 2명은 수술 후에도 기계적 환기 이탈에 실패하였고, 1명은 혈관 교정 수술 중 사망하였으며, 1명은 폐고혈압, 1명은 반복적인 감염으로 사망하였다. 혈관 기형의 경우 좌폐동맥 슬링 5명(5/8), 비정상적인 좌측 쇄골 하 동맥을 동반한 우대동맥궁 1명(1/2)에서 혈관 교정술을 시행하였고, 중복 대동맥궁 1명은 대동맥궁 분리(arch division)를 시행하였는데 대동맥 고정술을 했던 비정상적인 우측 쇄골 하 동맥을 동반한 좌대동맥궁 환아 1명이 폐고혈압으로 사망한 것을 제외하고 모두 경과가 양호하였다. 결론적으로 선천성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영아 및 소아에서 호흡기 합병증을 병발할 수 있는 고위험군 환자의 선별하고 조기에 삼차원 재구성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이나 굴곡성 기관지경과 같은 적극적인 검사로 기도 이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하고 치료를 하는 것이 기저 질환의 자연 경과뿐만 아니라 수술 후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fants and children with congenital cardiovascular diseases often present with respiratory symptoms; however, the precise evaluation is usually not performed in pre- or post-operative periods thus delayed diagnosis and increase mortality follow as a result. The spectrum of etiology ranges from extrinsic compression by heart, dilated pulmonary artery, and vascular ring to intrinsic anomaly itself. We recruited infant and children (mean age; 6.5±7.4 months, 34 males, 32 females) with congenital cardiovascular diseases in whom airway problems were proven in pre- or post-operative period at the Asa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7 to June, 2004. Patients were allocated to two groups based on the duration of ventilator care: ≤7 days(group 1), and >7days(group 2).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types of underlying congenital cardiovascular diseases, presenting time and characteristics of respiratory symptoms, findings of chest computed tomography(CT) and flexible bronchoscopy, presence of other accompanied congenital anomaly,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follow-ups based on patient's medical records. As a part of workup for potential airway problems, 65 of total 66 patients underwent chest CT, three-dimensional(3D) reconstruction images for 60 of the 65 patients, and flexible bronchoscopy in addition for 36 of those 65 patients. In a patient with double aortic arch(DAA), chest CT and esophagography were used. Group 1 included 23 patients (10 males, 13 females) and the mean age was 6.8±8.7 months. Group 2 (23 males, 18 females) consisted of 41 patients and the mean age was 6.3±6.8 month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ge, sex, birth weight, gestational age, and duration of follow-up. The patients in group 2 significantly developed more post-operative respiratory symptoms than did group 1( p<0.001) and had more airway problems including extrinsic compression, intrinsic anomaly, and combined problem than did group 1 although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82). Among underlying cardiovascular diseases, vascular anomaly and aortic arch obstruction(each 6 case;26.2%) were the most common diseases in group 1 and pulmonary atresia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PA with VSD)(9 cases;22.4%) was the most common disease in group 2. Vascular anomaly was observed in 12 of total 66 patients. The most common type was left pulmonary artery sling(LPAS)(8 cases ;66.7%); otherwise 1 patient with DAA, 2 patient with right aortic arch with anomalous left subclavian artery(LSCA), and 1 patient left aortic arch with anomalous RSCA were noted. The most frequent respiratory symptom was recurrent wheezing pre-operatively and ventilator weaning failure post-operatively. Most respiratory symptoms developed among under 6 months of age in both groups(group 1; 63.6%, group 2; 62.5%). 12 patients had no respiratory symptoms even though airway problems were confirmed by chest CT or bronchoscopy. Extrinsic compression of the airway was observed in PA with VSD and aortic arch obstruction whereas airway anomaly was more common in tetralogy with Fallot(TOF). The most common site of airway compression was left main bronchus(24 cases; 63.2%) mainly between aorta and pulmonary artery. The major type of congenital airway anomalies was tracheomalacia and tracheal stenosis(each 4 case; 18.2%). Especially 6 patients(75%) with TOF and 5 patients(62.5%) with LPAS had congenital airway anomaly. Eleven patients with weaning failure, persistent atelectasis or hyperinflation and in whom airway problems were proven by chest CT or bronchoscopy underwent aortopexy. Of the 11 patients, 6(54.5%) were improved, 2 failed in weaning ventilator even after operation, 1 died during operation, 1 died due to pulmonary hypertension, and 1 died due to recurrent infection. In 12 cases of vascular anomalies, except death of 1 patient with left aortic arch with anomalous RSCA due to pulmonary hypertension, the post-operative result was good in LPAS(5/8) and right aortic arch with LSCA(1/2) after vascular correction. In conclusion, in infants and children with congenital cardiovascular disease who may have potential airway problems, identification of a high-risk patient, early evaluation for airway problem by chest CT with 3D-reconstruction or bronchoscopy, and early treatment may affect natural or surgical prognosis.

      • 댄스스포츠 참여가 중도 실명 시각장애인의 장애수용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김자형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e sport activity on disability accept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newly visual-impaired people.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among variables and it used sub-variables of degree of participation such as frequency of participation, duration of participation, and degree of participation as dependent variables, and set sub-variables of disability acceptance such as absolute attitude of social constraint, positive attitude on active life, and life satisfaction as mediators, and constituted sub-variab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a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onomy,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goal of life as responsive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newly visual-impaired people who are participating in dance sports activities at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in Seoul and capital region in 2011, and 93 of them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this study is questionnaire and input data is analyzed using SPSS Windows Ver.18.0.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nalysis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newly visual-impaired people shows a significant effect on each other. Secondly, degree of dance sports participation of newly visual-impaired people shows a significant effect on disability acceptance. And disability accept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isplay a significant effect on each other. Thirdly, the analysis result whether the degree of danc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newly visual-impaired people has an effect on disability accept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revealed that the frequency of dance sports participation shows a strong effect on factors for disability acceptance such as the absolute attitude and factor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a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onomy, and the goal of lif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shows a significant effect solely on the goal of life which is on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factors. This study is to prove and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idea that when dance sports is applied as a sport for the disabled, it not only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but also can increase disability accept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spite the efforts of carrying out a practical study based on experiences and data from actual circumstances, further verification and analysis are needed. Besides, there are needs to make instructors understand what is disability and provide them with concrete and systematic programs in order to vitalize the participation of dance sports activity. And for this, additional study is also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댄스스포츠 참여가 중도 실명 시각장애인의 장애수용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究明)하는 것이다. 댄스스포츠 참여 정도의 하위변인인 참여빈도, 참여기간, 참여강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장애수용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제약의 의연성, 활동적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 생활만족을 매개변수로 하며,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인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지배력, 삶의 목적을 종속변수로 구성하여 변인들 간의 효과를 구명(究明)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1년 현재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중도 실명 시각장애인들로 서울에 위치한 장애인 복지관에서 댄스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93명을 최종 분석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입력된 자료는 Window용 SPSS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 실명 시각장애인의 장애수용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수준에서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도 실명 시각장애인의 댄스스포츠 참여 정도는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수용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 실명 시각장애인의 댄스스포츠 참여 정도가 장애수용 및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분석한 결과, 댄스스포츠 참여빈도가 장애수용의 의연성 요인과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기간은 장애수용의 의연성 요인과 심리적 안녕감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강도는 심리적 안녕감의 삶의 목적 요인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도 실명 시각장애인에게 장애인 스포츠로써 댄스스포츠를 적용하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는 물론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장애수용 및 심리적 안녕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조사․연구하였다. 현장에서 얻은 경험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연구가 되도록 노력하였으나 추후 추가적으로 검증․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댄스스포츠 참여의 활성화를 위해 지도자들의 장애에 대한 이해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하며, 지속적인 추가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자연 소재의 원형적 활용을 통한 가구디자인 연구

        김자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변화된 사회구조와 인식 속에 가구는 우리의 생활 안에서 또 다른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게 된다. 과거에는 필요에 의해 사용되어지던 기능적인 측면 위주의 가구에서 현대로 올수록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윤택해짐에 따라 가구로서 기능뿐 아니라 장식적인 측면 또한 중요시하게 되었다. 즉 자신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을 자신이 소유하는 가구에 반영하는 차원으로 발전하여 가구는 회화나 조각 작품과 다르게 체험이 가능한 또 다른 예술 작품의 하나로 구분된다. 따라서 현대 가구디자인은 사용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새로운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다양한 디자인과 표현양식들로 넘친다. 이러한 다양한 가구의 표현양식에 있어 자연은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늘 좋은 모티브(motif)가 되어왔는데 현대에는 기계화. 산업화되면서 지구온난화, 생태계 파괴 등의 환경문제가 전 인류의 공통적인 문제가 됨에 따라 ‘자연을 위한 디자인’이 곧 ‘인간을 위한 디자인’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특히, 자연에서 얻어지는 소재들은 자연생태계가 사라지는 위기에 처한 오늘날 귀한 소재로 여겨지며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인공적인 신소재가 개발될수록 자연소재는 자연에 대한 존귀한 가치를 지닌다. 자연소재를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따라 나타나는 표현 방식은 모두 달라지는데 주로 사람이 인위적으로 가공하고 다듬어 새로운 형태로 제작되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반대로 자연소재 원형 그대로 사용되어질 때는 자연의 본성을 더 잘 형상화 할 수 있다. 이처럼 자연은 모든 예술의 근원이며 그 자체로서 완전하고 아름다운 것으로 가구 뿐 아니라 인간의 조형적 창작활동의 소재가 되어왔다. 존 러스킨(John Ruskin)은 ‘재료는 우리 주변에 항상 널려있다. 즉, 눈을 통해서 보이는 것만이 전부라고 할 수는 없고 눈을 통해서 느끼는 것이어야 한다’라고 했다. 본 논문의 연구 작품인 Branch 시리즈는 자연소재 중에서 나뭇가지의 원형적 활용과 장식적인 요소로서 천연패각(자개)의 사용을 중심으로 제작되어졌으며 또한 나무라는 소재에 있어 자연 그대로의 투박한 소재 표면과 반대로 가공되어진 매끄러운 표면에서 오는 대조적인 조화를 보여주고자 한다. 작품 품목으로는 의자, 벤치, 라운지체어, 수납장, 테이블, 조명 등으로 생활에 실질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는 가구의 범위 안에서 구성하였으며, 모든 작품, 특히 라운지체어와 테이블, 조명은 장식적측면의 오브제로서의 역할이 더 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자연을 상징화하여 자연에 대한 깊은 관심을 예술적인 감각으로 수용하여 조형적으로 구체화시킴으로써 가구를 통해 자연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의 또 다른 작업에의 모색을 위해 하나의 작은 자료로 삼고자 하며 차후 작업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changing a social structure and perception, the furniture becomes a one of the important stature. In the past furniture design is in functionalism, but as the quality of improve our living style and elevate comfortable circumstances, it becomes not only functional, but also it has decorative purposes. So modern furniture design is full of various design and idiom which to arouse new inspiration by the user. From among these variety styles of furniture design, the nature is good motive in these past and present. In modern society environmental problems are people's common issue, such as Global waming, destruction of ecosystem which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nd Mechanization. Therefore many designers think about 'Design for natural' is 'Design for human'. Especially the materials from the nature have rarity and precious worth as new materials more and more develop. Mostly natural materials use after process, but on the contrary to this using original form of natural that can be more express nature imagery. Likewise, nature is origin motive of artistic activities and nature is beautiful and perfect itself. John Ruskin said, "go to nature in all singleness of heart, rejecting nothing and selecting nothing.". On this study, Branch series are using branch for original form of natural and using mother of peals for decorative constituent among the natural elements. Also it shows contrasting harmony with rough surface of wood and smooth surface after processing. The items of work are chair, bench, lounge chair, consol, cabinet, table and lighting that is fit for use in our living. Trough this study I symbolization of nature and forming nature image that based on my imagination by using origin of natural elements. Thus I hope this study will be opportunity a reference to another work later.

      • 고혈압, 당뇨병 유병자의 소득 계층별 건강행태 : 2010~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김자형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활습관의 변화와 생활양식의 서구화로 만성질환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사망이나 의료비 지출에 있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만성질환은 흡연, 음주 등의 건강행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건강행태 개선에 대한 노력보다는 투약을 통한 의학적인 수치조절이 주된 치료가 되고 있다. 또한 사회적 양극화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라 건강행태가 집단적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고혈압과 당뇨병 유병자를 대상으로 소득계층 별 건강행태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효과적인 만성질환 예방과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0~2011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30세 이상 고혈압 혹은 당뇨병 유병자 중 소득 4분위수(개인)값이 없는 유병자를 제외한 4,0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 변수로는 거주지, 성별, 나이, 직업, 교육수준, 결혼여부, 의료보험 종류, 민간 의료보험 유무, 주관적 건강 상태를 소득계층별로 분석하였고, 만성 질환별 성별에 따른 건강행태를 분석하였다. 월간 음주율, 현재 흡연율, 격렬한 신체활동, 중등도 신체활동, 걷기 실천, 만성 질환 교육 여부를 건강행태 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소득계층별로 월간 음주율과 현재 흡연율의 건강 행태에는 차이가 없었다. 고혈압, 당뇨병의 남성 유병자의 신체 활동은 소득계층별로 차이가 있었고, 고혈압, 당뇨병 여성 유병자는 관련질환에 대한 교육여부에 차이가 있었다. 격렬한 신체활동과 중등도 신체활동은 고혈압과 당뇨병 남성유병자의 경우 고소득층일수록 높았으며, 걷기 실천율은 저소득층일수록 높았다. 고혈압, 당뇨병 여성 유병 자는 관련 만성질환 교육여부가 소득계층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고소득 계층일수록 관련 질환에 대한 교육율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기존연구에서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양호한 건강행태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으나, 고혈압과 당뇨병 유병자를 대상으로 소득수준별 건강 행태를 분석한 본 연구에서는 건강행태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만성질환자의 특성상 이환 이전의 건강행태가 일반인구 집단에 비해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환 전후의 건강행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고혈압과 당뇨병을 가진 만성질환자 집단의 소득계층별 건강행태의 특징을 보여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만성질환 집단의 보건정책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Because of lifestyle changes and westernization of lifestyle, chronic disease increases rapidly. Globally, chronic disease accounts for a high proportion of causes of death or medical expenses. Chronic disease is closely related to health behavior such as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However controlling medication level rather than improving health behavior has been one of main treatment. Also as social polarization becomes a serious problem,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 have shown depending on the social economic class difference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people group who have suffered from typical chronic disease-Diabetes, Hypertension. We try to see if it makes a difference in health behavior by income class and to suggest basic data to help effectiv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0 to 2011 is used in this study, 30 years or older people(male and female) who have Hypertension or Diabetes disease selected in 4,045 subjection exception people with chronic disease excluded from four classification of incom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ariables-residence, sex, age, occupation,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type of health insurance,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perceived health behavior- were analyzed by income level class. Monthly drinking rate, current smoking, vigorous physical activity, moderate physical activity, walking practice, and chronic disease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for health behavior variable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health behavior of monthly drinking rate and current smoking rate according to income levels. In male hypertension and diabetic patients, according to income levels, there were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In female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according to income level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isease-related education. In male hypertension and diabetic patients, physical activity and moderate physical activity was higher if the more high-income but the walking practice is lower if the more low-income. In female hypertension and diabetic patients, according to income levels, there were differences in chronic disease-education. Disease-education rate is higher if the more high-income The previous studies about the general population group showed that if the higher income class was, the better health status was. However this study about hypertension and diabetic patients showed the different result with previous studies. Due to the nature of chronic disease, it cannot be ruled out that health behavior before illness affected to present health behavior more than general population. Furthermore, the research about health behavior before and after illness is need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behavior of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by income-class. This study might be helpful in establishing a health policy for chronic disease groups, and might be a reference material.

      • Highly selective fluorescent probe for Hg2+ based on chemodosimetric reaction

        김자형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A great deal of interest currently exists for the development of sensors based on artificial receptors for the detection of environmentally and biologically important species, such as heavy-metal ions. A chemosensor is defined as a molecule of abiotic origin that reversibly complexes to an analyte with a concomitant signal transduction. Fluorescence detection offers several advantages over other methods in the areas of sensitivity, specificity, and real-time monitoring with fast response time.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use of chemodosimeters as a chemical sensor through a specific irreversible chemical reaction between dosimetric molecules and target species, leading to a fluorescent/color change in the receptor. Thus, high selectivity toward the analyte is a welcome feature of chemodosimeters, which is preferable for the detection of the Hg2+ ion. For these reasons, the synthesis of a new fluorescent chemodosimeter has been achieved in a high yielding synthetic sequence. A coumarin-based dithiane was synthesized for the selective detection of Hg2+ with respect to dual chromo- and fluorogenic changing events in aqueous solution by the mercury-promoted transformation of a dithiane group into an aldehyde functional unit. The Hg2+-selective response of the chemodosimeter was clearly observed in aqueous buffer as well as in human blood plasma medium. Also, a new fluorescence turn-on pyrene based Schiff base has been synthesized and its use as a selective probe for Hg2+ ion demonstrated. This sensor was hydrolyzed by Hg2+, and the process induceded color change and a large increase in the fluorescence intensity. Hydrolysis process was very selective towards the Hg2+ ion over other cations. This imply that the H-bonding between the phenolic -OH and the imine -N in sensor plays a crucial role in the high selectivity of sensor for Hg2+ ion over other metal 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