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범죄자 범죄성향 개선을 위한 치료프로그램 효과분석 : 서울지역 심리치료센터 한곳의 치료사례 중심으로

        김용회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cidivism risk of sex offenders institutionalized in correctional facilities in order to identify a high-risk group, and apply the GLM-based group treatment program to this group to understand what types of changes the programs have brought to the recurrence of sexual offences and motivators: distorted attitude, sexual interest, social-emotional function and self-control, as well as to socio-emotional functional domain, interpersonal reaction domain and self-control domain. The GLM is an approach that focuses on positive aspects of people and raises their expectat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mselves and achieving life goals so that they are more engaged and motivated to join the treatment programs and finally improve treatment effect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시설에 수용된 성범죄자 중에서도 재범위험성을 평가하여 고위험군에 속한 대상자들에게 긍정심리학적 접근에 따른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변화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삶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했을 때 자발적인 참여와 동기가 강화되고 치료 효과도 높아질 수 있다는 좋은 삶 모델 중심 집단 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성범죄 재범과 범죄죄유발요인(왜곡된 태도, 성적관심, 사회-정서적 기능, 자기관리)과 사회-정서적 기능영역, 대인반응성 영역, 자기관리 영역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다변량 시계열 분석에 기반한 컨테이너 오토-스케일링 고도화 방안 연구

        김용회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이 일반화되면서 많은 서비스들이 클라우드로 이전하거나 애초에 클라우드에서 시작되고 있다. 현재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은 하이퍼바이저 기반의 서버 가상화 기술에서 컨테이너 기반으로 트랜드가 완전히 넘어갔다. 컨테이너의 장점은 여러 가지 있지만 서버 가상화와 달리 별도의 OS 설치 없이 Host OS의 커널에서 직접 구동되기 때문에 부가적인 오버헤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온프레미스 환경을 클라우드로 전환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사라진 것이다. 컨테이너 기술의 확산은 IT 시스템이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변하는 것과 괘를 같이한다. 기존에는 모든 서비스가 통합되어 구성되고 운영되는 모놀리식 아키텍처로 시스템이 구축되었고, 이는 온프레미스나 서버 가상화 환경에 적합한 아키텍처였다. 최근에는 경량화된 개별 단위 서비스 형태로 개발하고 배포, 운영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가 대세를 이루고 있고, 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처는 컨테이너를 통해 실현됐을 때 가장 이상적인 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단일 서비스가 실행되는 컨테이너는 해당 서비스의 상태와 컨테이너 상태를 복합적으로 확인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서비스가 호출되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컨테이너 자원 사용률이 변화하고, 이들 두 지표간 영향도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는 모든 서비스가 통합되어 있다 보니 서비스와 인프라 측면에서 수집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운영, 관리하지 못하고 개별 매트릭 데이터로 각각 관리하여 운영할 수밖에 없었다. 환경과 기술이 변화함에 따라 시스템과 서비스를 분석 관리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기존의 방식을 답습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프라적인 관리 요소와 서비스적인 관리 요소를 다변량 시계열 분석 모델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예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오토-스케일링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여 제안하는 방안의 성능을 평가한다. With the recent generalization of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many services have moved to the cloud or started in the cloud in the first place. Current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have completely gone beyond container-based trends in hypervisor-based server virtualization technologies. Although there are many advantages of containers, unlike server virtualization, additional overhead can be minimized because they are run directly from the kernel of Host OS without a separate OS installation. In other words, the biggest obstacle to moving on-premise environments to the cloud has disappeared. The proliferation of container technologies is in line with the transformation of IT systems from monolithic architectures to microservices architectures. Previously, systems were built with monolithic architectures in which all services were integrated and operated, making them suitable for on-premise or server virtualization environments. Recently, microservice architectures developed/distributed/operated in the form of lightweight, individual unit services have become a trend, and microservice architectures can be provided in the ideal form of services when realized through containers. Containers on which a single service runs can be managed by a combination of the status and container status of that service. For example, as the number of calls to a service increases, it becomes possible to manage a complex analysis of changes in container resources and the impact between the two indicators. In a monolithic architecture, all services were integrated, forc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onitor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rvice and infrastructure perspective, and individual management with individual matrix data. As the environment and technology change, the way systems and services are analyzed and managed must change, but the reality is that they are still following the existing method. Thus, in this paper, we explore ways to analyze and predict infrastructure and service management elements with multivariate time series analysis models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d method by studying algorithms that perform auto-scaling based on predicted data.

      • 네트워크 포렌식 절차 개선을 위한 패킷 헤더 필드의 우선순위 비교 연구

        김용회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증거 은닉 기술의 비약과 정보통신기반시설의 고도화로 저장된 전자정보를 분석하는 디스크 포렌식만으로는 범죄사실의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상에 전송되는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네트워크 포렌식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수천 개에 달하는 프로토콜 필드를 모두 확인할 수 없는 현실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에서 유용한 데이터로 줄이는 방안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망 침해 범죄 수사 시 단서로 활용된 프로토콜 필드를 대상으로 중요도 평가를 통해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범죄유형 별 네트워크 포렌식 분석 방향을 제공한다. 연구결과 피의자 접속장소를 의미하는 IP주소 필드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시간정보, URL 순서로 22개 항목의 우선순위를 범죄유형 별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디도스 공격 사건에서 HTTP 프로토콜 필드의 우선순위가 낮게 평가되었으나 악성코드 유포와 해킹 사건에서는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어 범죄 유형 별 패킷 헤더 필드의 중요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수사관들은 대용량 패킷 분석 시 프로토콜 필드에 대한 중요도를 고려하여 보다 짧은 시간 동안 효율적으로 범죄사실의 증거를 추출하고 피의자 추적의 단서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정보통신망 침해 범죄 수사 시 효율적인 수사방향에 대한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evidence concealment techniques and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have made it increasingly difficult to obtain evidence using disk forensics.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network forensics is further emphasized. However, it is impossible for investigators to identify all of the thousands of protocol fields. Therefore,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reduce large amounts of data to useful inform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priorities based on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packet header fields for investigation clue.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IP address field is the most important and the priorities of 22 areas for the packet header fields. These also show differences among cybercrime categories. HTTP protocol field is not important in DDoS attack cases where as it is very important in malware and hacking cases, which means the importance of packet header fields for investigation clue is depends on cybercrime category. Using the research findings, investigators can extract evidence efficiently from large amounts of data. Moreover,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in making a decision for the effective investigation when investigators investigate cybercrime.

      • 子女가 知覺한 父母의 價値志向性과 學業成績과의 關係

        김용회 忠南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子女가 知覺한 父母의 價値志向性과 學業成積과의 關係를 밝히기 위해 遂行된 것으로 具體的 硏究問題는 다음과 같다. 첫째, 子女가 知覺한 父의 價値志向性과 學業成積 간에는 有意한 관계가 있는가? 그리고 父의 價値志向性에 따른 父의 學力, 年齡, 職業과 子女의 學業成續 사이에 有意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子女가 知覺한 母의 價値志向性과 學業成續 간에는 有意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子女가 知覺한 父의 價値志向性과 母의 價値志向性 간에는 有意한 관계가 있는가? 이상의 硏究問題를 수행하기 위해서 大田市와 보령군내 초·중·고등학교 男女 학생 543명을 대상으로 「가정환경진단검사」(鄭元植)내용중 가치지향성 검사를 실시하고, 1學期未 學業成績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두 雙因間의 관계를 變量分析과 χ²검증에 의하여 처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 父의 價値志向性을 '社會上昇志向'으로 知覺한 학생이 '物質志向'이나 '傳統志向'이라고 知覺한 학생보다 학업성적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父의 學力이 높을수록, 父의 年齡이 적을 수록, 그리고 父의 직업이 전문직·사무직인 학생이 단순 노동직인 학생보다 학업성적이 우수하였다. 둘째, 母의 價値志向性과 學業成績에서도 ‘社會上昇志向’이라고 知覺한 학생이 ‘物質志向’이나 ‘傳統志向’이라고 知覺한 학생보다 학업 성적이 우수하였다. 셋째, 父와 母의 價値志向性 比較에서는 연구대상의 52.5%인 285명의 학생이 父와 母를 共히 社會上昇志向으로 知覺하고 있으며, 父와 母의 價値志向性에서 意義있는 관계를 지니고 있다. 硏究結果를 綜合하여 結論을 내리면 父母의 價値志向性을 ‘社會上昇志向'으로 知覺한 子女들의 學業成績이 높게 나타났다. 또, 父의 學力이 높을 수록, 年齡이 적을 수록, 자녀의 學業成績이 높으며 아울러 父의 직업이 전문직·사무직인 자녀들의 학업성적이 높았다. 결국 父母의 價値志向性이 子女의 學業成績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나, 이를 一般化 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타당한 價値志向性 검사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whether ① differences in the students' school achievement would be found according to their fathers' and mothers' value tendencies perceived by their children, and according to their fathers' academic background, age and vocation; and ②differences in value tendencies between their fathers and mothers would be found. The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fifth, eighth, and eleventh graders from urban and rural area.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from urban area was 276(male students, 149;female students 127), and that froa rural area was 267(male students, 282; female students, 261). A revised version of the Home Environment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urary 1990 Diagnosis Inventory was used to assess parents' value tendencies perceived by their children. School achievements were assessed by a school achievement test prepared by the present researcher. Several one-way and two-way ANOVAs were computed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and a X-was calculated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perceived their fathers and mothers as having social level-up value tendenc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chool achievement tests than did those perceived their fathers as having material and conventional value tendencies. An ANOVA revealed that students having younger fathers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and more professional job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chool achievement tests than did those having order fathers with lower level of education and less professional job.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ntage of consistence in social up-level value tendency between fathers an mothers was 80%, 84.8%, and those in material and conventional value tendency were 46.9%, 50.'l% and 67%, 53.8%,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school achievement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arents' value tendency, especially social up-level value tendency perceived by their children.

      • 폴리올 법에 의한 은 나노와이어의 합성 및 성장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김용회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대면적 전자소자의 투명전극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ndium-Tin-Oxide(ITO)는 취성과 고온•고진공의 공정을 요구하여 새로운 대체 소재를 필요가 필요하다. 이러한 ITO를 대체하기 위해 CNT, Graphene, 전도성 고분자, 은 나노와이어 등이 주목 받고 있으며 그중 은 나노와이어는 우수한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은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투명전극을 형성한 경우 전자소자 산업에서 요구하는 200 ohm/sq. 미만의 전기적 특성을 만족하지만, 은 나노와이어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산란광으로 인하여 ITO보다 낮은 광학적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더욱 얇은 직경과 높은 종횡비를 가지고 있는 은 나노와이어 합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은 나노와이어를 합성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폴리올 법에 압력의 변수를 추가하여 폴리올 법에서의 압력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NaCl, FeCl3, AgCl 등의 Salt 조건에서도 압력에 대한 은 나노와이어의 직경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해 보았고, 입자의 성장 단계에서 직경방향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KBr, NaBr의 첨가로 은 나노와이어의 직경을 조절하였다. 가장 적합한 무기염의 조합으로 NaCl과 NaBr조건에서 합성된 은 나노와이어의 경우 직경분포가 균일하며 20nm 정도의 직경을 합성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와이어의 길이 방향 성장을 유도하기 위하여 합성과정에서의 반응 Step에 변화를 주어 20㎛ 길이를 갖는 성장 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폴리올 법을 이용하여 압력, Control Agent, 공정 Step 등의 변화에 따른 은 나노와이어의 성장 메커니즘을 제어함으로써, 20nm의 직경에 1,000 이상의 종횡비 값을 가진 은 나노와이어를 합성할 수 있었다. 은 나노와이어의 동일 직경대비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동일 면 저항에서 같은 면적에 있는 와이어 수가 줄어들어 투과율이 증가하고 헤이즈 값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종횡비 값을 가졌을 때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 은 나노와이어가 산란광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므로 면저항 대비 투과율이 증가하고 헤이즈 값은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합성된 은 나노와이어를 이용하여 전극을 형성한 경우 50 ohm/sq.의 면 저항 값에서 96.1%의 투과율 값과 0.68%의 헤이즈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道路 投資 效果의 評價를 위한 車輛運行費算定에 關한 硏究

        김용회 東亞大學校 大學院 1975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論文의 目的은 車輛運行費用의 計算을 위한 外國의 算式을 國內에 適用할 것을 檢討하고 새로이 國內에 適合한 計算式을 作成하는데 두면서 同時에 車輛運行의 要素費用들의 評價基準, 그 算定結果 그리고 國內 運行費의 特徵을 分析하는 硏究를 兼한 것이다. 道路의 新設과 改良을 計劃함에 있어 그 投資效果를 判斷하기 위하여 新設 改良費用, 維持費用 等 投資費와 道路가 改良된 後에 期待할 수 있는 運行費用의 節減과를 比較하는 部分이 道路計劃의 가장 主要部分이 된다. 이같은 比較에 第一 큰 問題가 되는 것은 車輛들의 運行費用의 推定으로서 이를 위하여 各國에서는 많은 硏究와 實驗 그리고 統計的인 分析에 依하여 費用細目別 基準을 定하고 車種, 路面, 傾斜 및 速度別의 費用數値를 計算한 表를 作成하여 活用하고 있다. 費用表의 算定에 쓰일 國內의 獨目的인 基準을 갖이지 못하고 外國의 基準을 使用하고 있음을 考慮할때 算定基準의 選擇과 算定된 費用表의 分析檢討는 重要한 命題이므로 이 硏究의 目的의 하나로 하였다. 이같은 費用表는 油類 等 關係物價, 勞賃 等의 變動에 따라 새로운 數値가 要求되고 그때에는 基準資料로 부터 새로이 計算을 하여야하는 큰 勞力이 要求된다. 이같은 計算勞力을 줄이기 위하여 商便한 計算式을 作成하여 活用하면 莫大한 勞力의 節減이 期待된다. 이제까지 이같은 方法은 國內에 紹介된 바 없었으나 英, 佛, 蘇에서는 相當한 硏究가 이루어지고 數式과 係數들이 實用化되어 있다. 論文은 4章으로 區分되어 緖論, 道路投資效果의 評價를 위한 車輛運行費, 車輛 運行費用의 算定式 그리고 結論으로 區分된다. 이 論文에서 佛, 英, 蔬 等 外國에서 硏究 發表된 算式의 基本型에 對하여 韓國의 特性에 附合되도록 速度比例項을 追加하여 修正한 式을 提案하였다. 卽 在來式:C=αL+βT을 提案式1;C_(1)=α_(1)L+β_(1)T÷γVL 2;C_(2)=α_(2)L+β_(2)T+δV^(2)L 으로 補完하여 第三項인 速度函數項을 追加하였으며 따라서 單位區間의 費用式은 在來式:C_(0)=α+β/V을 提案式1.;C_(01)=α_(1)+β_(1)/V+γV……低中速範圍 2.;C_(02)=α_(2)+β_(2)/V+δV^(2)……高速範圍 으로 修正하여 提案한다. 새로운 提案式은 運行費의 分析을 거쳐서 誘導한 것으로서 速度抵抗에너지消費를 加算하여 補完한 理論的인 構成임은 勿論, 考察과 分析을 通하여 檢證된 式으로서 그 變化의 形態로나 誤差의 範圍로 보아 充分한 正確性을 가진 것임을 立證하게 되어 이에 提案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今後의 더욱 完全한 것으로 하기 위하여는 많은 協調指導가 要求될 것으로 믿는다. The main purposes of the paper are: to review and evaluate existing formulas for estimating vehicle running costs; to develop proposed revisions for better application in Korea; and to analyse characteristics of vehicle running costs officially adopted in the country since the early seventies.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four chapters: an introduction, vehicle running costs for evaluation of highway benefit, formulas for computation of vehicle running costs, and conclusions. In many different countries the estimation of road user costs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with different variables being considered in the computation of running costs, such as road conditions, vehicle types, materials and wages. However no specific set of criteria has so far been developed for computing vehicle running costs in Korea, and foreign criteria were inevitably employed in establishing vehicle running cost tables for evaluation of highway benefit. In order to evaluate actual examples of vehicle running costs and the value of highway benefit to road users, a set of research studies, utilizing several foreign criteria, were subject to similar scales and levels which would correspond to the situation in Korea. Tables of vehicle running costs are widely used for highway feasibility studies, but they require frequent revision and computation because of changes in price of materials and wages relevant to running costs of vehicles. It is therefore Convenient to use simplified formulas by which running costs can be calculated rather than computing cost revisions of table value for specific conditions. The proposed formula for estimation of vehicle running costs has not yet been introduced in the country, though considerable progress on development of such a formula has been made in western countries, such as England, France and USSR. In the later part of this dissertation productive efforts was devoted to application of the formulas in Korea, with some modification in the coefficients. However it was eventually proved that they did not yield appropriate results under conditions in Korea. These formulas adopted in western countries basically consist of two coefficients, each of which represents the cost proportional to running distance and to running time. They maybe represented as follows: An overall running cost of a given distance is: C=αL+βT and therefore a unit cost must be: C_(0)=α+β/V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existing formulas employed in western countries are not suitable for use in Korea, and that they should be supplemented with a new coefficient of which value accrues with the increase in vehicle speed. Wit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esigned to quantify the costs required to overcome running resistance of vehicles, the proposed formulas are, under two conditions of different vehicle speeds, as follows: (1) V≤50㎞/h C=α_(1)L+β_(1)T+γVL C_(0)=α_(1)+β_(1)/v+γV (2) V≥50㎞/h C=α_(2)L+β_(2)T+δV^(2) C_(0)=α_(2)+β_(2)/V+δV^(2)

      • 아사나와 경락 프로그램이 간호조무사의 심신에 미치는 영향

        김용회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nducted the pre/post experiment on the effects of Āsana and Gyeongrak Program on the somatization, depression, multi-dimensional fatigue, musculoskeletal pain, and job stress of nursing assistants by applying this program for eight weeks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e nursing assistants working for obstetrics & gynecology clinics in Seoul. Total 80 selected nursing assistants were divided into such a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Āsana and Gyeongrak Program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After collecting the data from those two groups,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by using the SPSS 25.0 Statistics Program.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people following the government policy of the Corona Virus(COVID-19), the program was provided face-to-face to 18 peopl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it was performed in the untact method for the rest 22 people. The Āsana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by utilizing the 12 meridians of Yellow Emperor’s Inner Canon. The duration of Āsana and Gyeongrak Program was 40 minutes. Through a survey by the measurement tools,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nursing assistants was measured by the scale of somatization, depression, multi-dimensional fatigue, musculoskeletal pain, and job stres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25.0 Statistics Program. To understand the matter of group homogeneity, the normality test was conducted on all the analysis factors. In order to present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all the dependent variable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SD) were calculated. As a statistical analysis method to verify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wo groups and before/after treating the program, the repeated measure design two-way ANOVA with repeated factor was performed. In case when the main effects of group, the main effects of treatment, or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reatment were significant, the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mean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ree groups. As a post-test, the Bonferroni was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in the mean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reatments within group, the paired t-test was performed. The significance level(α) of all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set up as .05.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Āsana and Gyeongrak Program for eight weeks, regarding the changes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interactions between group and te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somatization symptom scale, depression scale, 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 musculoskeletal pain, and job stress, there were interactions between group and test. In the results of post-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reatment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face-to-face treatment group and untact treatment group, and the decrease was greater in the face-to-face treatment group than the untact treatment group.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whole data of this study, the physical stress scale and the degree of pain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The somatization symptom scale, depression scale, 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 musculoskeletal pain, and job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The Āsana and Gyeongrak Program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somatization symptom scale, depression scale, multi-dimensional fatigue, musculoskeletal pain, and job stress of nursing assistants. However, there are not many researchers who have researched the effects of Āsana and Gyeongrak Program targeting nursing assistant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more researches on Āsana and Gyeongrak Program by subdividing it into subjects, methods, and period of training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아사나와 경락 프로그램을 8주간 적용하여 신체화 증상, 우울증, 다차원 피로도, 근골격계 통증, 직무 스트레스의 반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군과 대조군을 전후 실험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산부인과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간호조무사 8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나누어 8주간 주 3회 아사나와 경락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인한 정부 방침에 따라서 인원 제한으로 실험군 중에 18명은 대면으로, 나머지 22명은 비대면으로 시행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한 아사나 프로그램을 황제내경의 12 경락을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아사나와 경락 프로그램 시간은 40분으로 실시하였고, 측정 도구에 의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간호조무사의 신체화 증상 척도, 우울증 척도, 다차원 피로도 척도, 근골격계 통증, 직무 스트레스 척도에 의한 신체와 정신건강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 요인들에 대해서는 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규성 검정을 시행하였다. 모든 대응변인의 기술 통계량을 제시하기 위하여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를 산출하였다. 두 집단과 아사나와 경락 프로그램 처치 전과 후에 대한 상호작용효과 및 주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분석 방법으로 반복요인이 있는 이원분산분석(repeated measure design two-way ANOVA)을 시행하였다. 집단의 주효과, 처치의 주효과, 또는 집단과 처치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경우, 처치 내 세 집단 간 대응 변인의 평균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였고, 사후검증으로 Bonferroni를 시행하였다. 집단 내 처치 간 대응변인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 t-검증(paired t-test)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α)을 .05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신체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8주간 아사나와 경락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집단과 검사의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신체화 증상 척도, 우울증 척도, 다차원 피로도 척도, 근골격계 통증, 직무 스트레스의 변화를 살펴보면 집단과 검사의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대면 실험군과 비대면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비대면 실험군보다는 대면 실험군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전체 데이터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 스트레스 척도와 통증정도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화 증상 척도, 우울증 척도, 다차원 피로도 척도, 근골격계 통증, 직무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사나와 경락 프로그램이 간호조무사의 신체화 증상 척도, 우울증 척도, 다차원 피로도 척도, 근골격계 통증, 직무 스트레스에 유인한 변화를 보여주었고,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아사나와 경락 프로그램의 효과를 연구한 연구자가 미비하므로 앞으로 아사나의 수련대상, 수련 방법, 수련 기간을 등을 세분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