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연을 모티브로 한 홈퍼니싱 가구·소품 디자인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소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63

        자연을 모티브로 한 홈퍼니싱 가구·소품 디자인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조형디자인학과 김소영 지도교수 홍순환 본 연구는 자연을 모티브로 하는 홈퍼니싱 가구와 소품 디자인에 관한 연구로서, 홈퍼니싱 디자인의 중요성과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홈퍼니싱 디자인은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반영하고 영향을 주는 중요한 분야이지만, 학술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홈퍼니싱에 대한 국내 선행 연구는 주로 경영과 관련된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자연을 모티브로 한 홈퍼니싱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러 한 연구의 부족함은 홈퍼니싱 디자인의 중요성과 의미를 인식하지 못하 고, 홈퍼니싱 관련 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제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자연의 개념 과 디자인 컨셉을 활용한 홈퍼니싱 가구와 소품 디자인의 방법과 표현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수행하였다. 첫 번째, 자연, 디자인, 컨셉, 디자인 컨셉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 다. 이를 통해, 자연을 모티브로 한 홈퍼니싱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다. 두 번째, 홈퍼니싱에 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 해, 홈퍼니싱 시장과 소비자의 특성과 트렌드를 파악하였다. 세 번째, 미 술공예운동, 아르누보 양식, 포스트모더니즘의 자연을 모티브로 한 가구 와 소품 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자연을 모티브로 한 홈퍼니싱 디자인의 다양한 방식과 표현을 살펴보았다. 네 번째, 연구자 가 창작한 홈퍼니싱 가구와 소품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자연 의 개념과 디자인 컨셉을 활용한 홈퍼니싱 디자인의 방법과 표현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의 개념과 디자인 컨셉을 활용한 홈퍼니싱 가구와 소품 디자인의 방법과 표현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홈퍼니싱 디자인의 창의 성과 표현력을 높이고,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우수한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본 연구는 홈퍼니싱 디자인의 중요성 과 의미를 강조하고, 홈퍼니싱 관련 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기 위 한 학술적 관심과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을 모티브로 한 홈퍼니싱 가구와 소품 디자인에 대한 기초적이면서도 실증적인 연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개 념들의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홈퍼니싱 시장과 소비자의 특성과 트렌 드, 산업의 동향과 전망 등에 대한 자료, 그리고 작품 분석 방법에 대한 세부적인 접근 방식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부분 들은 후속연구에서 보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깊이 있 는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학생을 위한 웹 기반 영어 초기 문해력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김소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63

        It has been shown that students’ difficulty in learning English stems in large part from their poor development of English early literacy.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seems no systematic tool that measures English early literacy skills.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Web-based English Early Literacy (WEEL)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Built on Kim’s (2017) model, this test consists of nine domains, including “Knowledge of Upper- and Lower-case Letters” and “Letter Naming.” The author’s analysis is based o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obtained from 389 fourth- to sixth-graders (133 fourth-graders, 136 fifth-graders, and 120 sixth-graders)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16 teachers, and four other experts in English educatio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ree respects. First, the new WEEL test is valid and well reflects the nation’s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t is also objective and practicable as a web-based test tool. It is argued that, in relation to some of the domains examined,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to strengthen English early literacy in the curriculum and to develop and implement new tasks that reflect the essential attributes of Korean students. Second, statistical analyses are conducted of the student-participants’ performances in the WEEL test. Results in each grad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ose in the domain of “Knowledge of Upper- and Lower-case Letters.” In the domain of “Letter Naming,” the fourth-graders performed better than fifth- or sixth-graders; in the other domains, however, the results are quite the opposite. Meanwhil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how that there are many areas in which interventions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students’ English early literacy skills. In terms of verbalization and application, the fifth- and sixth-graders make more errors than the fourth-graders do. Third, in general, the participants perform better in domains related primarily to the school curriculum for third- and fourth-graders than in those for fifth- and sixth-graders. From the perspective of English literacy development, this finding indicates that many participants’ English early literacy is structurally unstable. It also suggests that they have lower levels of ability in verbalization and application than in distinction and comprehension. This study has three implications. First,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comprehensive and valid web-based English early literacy test that reflects the performance of and educational setting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Second, it shows that the current English curricula and teaching practices should be reshaped in a way that reinforces the students’ English early literacy skills. Third, it recommends that English education should be reformed, with an emphasis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specified in the current curricular programs, and in this new process of educational change, the teachers have a bigger role to play. It also stresses the need for new English early literacy tests that employ various technologies and the ideas put forth in the present study. 영어과 학습 부진의 문제는 영어 초기 문해력의 발달 상황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영어 초기 문해력을 검사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도구가 부재한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영어 교수-학습 환경 및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웹 기반 영어 초기 문해력 검사 도구인 WEEL Test(Web-based English Early Literacy Test)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WEEL Test는 김소영(2017)이 제안한 모형을 기반으로 영어 초기 문해력 5개 영역에 대해 알파벳 명칭에 대한 발화 과제인 [기초1], 알파벳 대·소문자 간 식별 과제인 [기초2], 음소인식 기능 과제인 [음소], 자모원리 기능 과제인 [자모1]과 [자모2], 어휘 기능 과제인 [어휘], 문장 및 지문에 대한 이해 기능 과제인 [이해1], [이해2-1], [이해2-2]의 총 9개 과제로 구성된 온라인 기반 검사 도구이다. 결과 분석은 연구 과정에서 확보한 정성적 자료 및 서울 소재 공립초등학교 4-6학년 연구 참여자 389명(4학년: 133명, 5학년: 136명, 6학년 120명)의 수행결과에 따른 정량적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WEEL Test는 그 내용의 측면에서 국내 초등영어 교육과정을 반영하였으며 영어 초기 문해력 검사 도구로써 적합함을 확인받았다. 운영의 측면에서도 객관도와 실용도를 확보한 검사 도구임을 확인받았다. 관련하여, 이를 기반으로 국내 초등영어 교육과정과 영어 초기 문해력 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국내 초등영어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과제 개발 및 운영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의 WEEL Test 영역별 수행결과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다음을 확인하였다. [기초2]를 제외한 나머지 8개 과제에 대해 통계적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 이중 [기초1]은 4학년 연구 참여자의 수행결과가 5·6학년 연구 참여자의 수행결과보다 우수한 과제였다. 그러나 이외 7개 과제에 대해서는 5·6학년 연구 참여자의 수행수준이 보다 우수하였다. 영역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연구 참여자 전체 및 학년별로 국내 초등영어 학습자의 영어 초기 문해력 향상을 위해 지원과 중재가 필요한 영역을 확인하였다. 영역별 오류 내용 분석을 통해, 연구 참여자의 기능 발달 상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전 학년 연구 참여자는 공통적으로 초등영어 3·4학년군 성취기준을 반영한 과제에 대해 초등영어 5·6학년군 성취기준을 반영한 과제에 대해서 보다 목표 성취수준 도달자의 비율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영어 초기 문해력의 측면에서, 이는 보다 기반 기능에 대한 발달 상태가 불안정함을 의미한다. 또한 과제의 소제에 관계없이 모든 발화-적용 기능 과제에 대한 수행수준은 식별-파악 기능 과제에 대한 수행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WEEL Test를 통해 국내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교수-학습 상황을 반영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영어 초기 문해력 검사 도구를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영어 초기 문해력에 대한 발달을 모색하고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국내 초등영어 교육과정에 대한 재설계 내지 교수-학습 현장의 모습에 전환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명시된 기능의 특성을 살려 초등영어 교수-학습이 진행되어야 하며 그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우리나라 영어과 학습 부진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과제 유형 및 적용 가능한 기술 등을 기반으로 영어 초기 문해력 검사 도구 개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감정코칭을 활용한 방과 후 미술활동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지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소영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The Effects of the After-School Emotion Coaching Art Program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KIM, SO-YOUNG Department of Career and Learning Coach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fter-school emotion coaching art program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after-school emotion coaching art program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after-school emotion coaching art program on self-esteem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study purpose, fifty surveys were conducted by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collected fifty surveys were used for this study through the process of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and then analyzed by conducting SPSS 21.0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atching sample T-test.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question of this study was to see if the after-school emotion coaching art program has any e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result of the before and after program analysis, the average score o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has been improved, and the proposed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Through the emotion coaching art program, teachers present emotion expression or emotion control and then students recognize, express, share emotion each other, and become to have energy to convert even difficult or troubled situation positively. It should be a turning point of perception to the teachers of after-school art activities. The second question of this study was to see if the after-school emotion coaching art program has any effects on self-esteem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result of the before and after program analysis, the average score o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has been improved, and the proposed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Change of teachers’ way of thinking are required when students do art activities as a method of self-expression. The coaching program is required to be proceeded for after-school art activities in a school of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emotion coaching and art are expected to co-operate in more various ways beyond space and subject. 국문초록 감정코칭을 활용한 방과 후 미술활동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김소영 커리어․학습코칭전공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코칭을 활용한 방과 후 미술활동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코칭을 활용한 방과 후 미술 활동 코칭프로그램이 초등 고학년 아동의 정서지능 어떠한 긍정적 효과를 주는가? 둘째, 감정코칭을 활용한 방과 후 미술활동 코칭프로그램이 초등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긍정적 효과를 주는가?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은평구, 마포구, 서대문구에 위치한 3개의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50부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50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정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친 후, SPSS 21.0 독립표본 t-test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문제는 감정코칭을 활용한 방과 후 미술활동 코칭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프로그램 사전, 사후 분석 결과, 구성요소의 모든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실험 결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가 정서표현이나 정서조절을 제시하여 아동들이 이를 토대로 서로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며, 감정을 서로 공유하면서 힘들고 어려운 상황을 긍정적으로 전환시키는 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미술활동 감정코칭프로그램이 방과 후 미술활동을 하는 교사들에게 인식의 전환점이 되었음 한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문제는 감정코칭을 활용한 방과 후 미술활동 코칭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프로그램 사전, 사후분석 결과, 구성요소의 모든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실험 결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아동들이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미술활동을 할 때 교사의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교육 기관인 학교 방과 후 미술활동에 코칭프로그램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코칭프로그램과 미술이 대상과 공간을 뛰어넘어 보다 다양하게 협력되기를 기대해 본다.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창의·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소영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47

        문화예술교육은 체험과 같은 직접 경험을 통해 감각기능을 발달시켜 민감성을 향상시키고 감수성과 창의성을 길러준다. 기존의 국악교육프로그램들은 교육대상의 욕구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반복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보다 공급자 입장에서 편성되고 실시되어 왔다. 전통적인 국악에 대한 감수성과 몰입이 가능하도록 음악적 수준을 고려한 가족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효과분석을 통 한 피드백이 필요하며 이러한 가족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사회적 교육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가족국악교육 학습참여자의 교육효과에 대한 심증적인 분석과 고찰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실제 국악지도 현장경험을 통해 가족국악교육 프로그램 학습자들의 성격이나 자신감들이 교육효과에 작용하는 사실에 주목하고, 예술교육의 본원적인 목표인 창의·인성을 갖춘 인재육성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가족국악프로그램과 관련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국악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요인으로서성취감과 가족유대감 향상 정도, 학습 성과, 교육 전후 국악에 대한 학습 몰입 변화를 독립변수로 하고 종속변수는 창의·인성 발달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차별화를 위해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에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외 문헌을 참고하여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자기효능감과 창의·인성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Baron & Kenny에 의해 제시된 3단계 매개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효과가 창의·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효과가 창의·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 효과와 자기효능감을 동시에 독립변수로 투입한 3단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은 (R²=.931, F=96.885,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 보면 일반적 자기효능감(β=.311, p<.001), 사회적 자기효능감(β=.892,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두 가지가 다 매개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의·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별 연구변인들의 차이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 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 성별에 따른 연구변인들의 차이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한 결과 학습몰입, 사회적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 창의·인성 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유대감별 연구변인들간의 차이를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살펴 본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경우 부모와 자녀친밀도 내의 항목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에 참여시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의·인성 발달이 촉진되며, 프로그램 참여 효과가 창의·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있 다. 하위변인간 매개가설의 경우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분명하며, 가족 교육프로그램의 특성상 성취감이나 학습몰입 효과는 다소 낮고, 부모와 자녀의 공동학습을 통해 가족유대감과 학습성과의 효과를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가족국악교육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창의·인성을 갖춘 인재 개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와 학생이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가족형 국악체험활동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의 창의·인성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공감하여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체계성을 갖춘 프로그램과 흥미와 관심을 최대한 반영하는 교육여건을 개발하고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들이 학교뿐만 아니라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도 국악교육프로그램으로 자신감을 통해 창의·인성 개발을 촉진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가족국악 교육과정의 지도교사 양성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지도교사의 창의적 체험교육활동지도로 학생들의 바람직한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의지와 노력이 중요시된다. 셋째, 가족국악 교육프로그램을 문화회관이나 예술교육 현장에서 경험하고 소통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에서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가족국악교육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려는 정책적 노력과 재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 Culture and arts education helps learners to develop their sensory functions, improve sensitivity, and cultivate creativity through direct experience. Previous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supplier-centered instead of understanding the needs of learners accurately and analyzing the detailed processes of repetitiv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positively. It is needed to design a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s of learners’ musical skills to improve their sensitivity and immersion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rovide proper feedback based on analysis on its effects. To analyze the social and educational effects of that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consider how the participants of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ink about its educational effects profoundly. Based on the actual experience in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researcher focuses on the fact that learners’ personality or confidence does influenc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 and decides to study its correlation with cultivating persons of ability equipped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fundamental goal of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figure out the desirabl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attain the goal, regarding the factors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is author has set up the sense of achievement, family bonds, learning results, and immersion in learn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lso creativity and personality as dependent variables. Also, to differentiate this study from other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self-efficacy has been selected as a mediating variable. Through both Korean and overseas literature review, this author studied the theorie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self-efficacy,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based on that, this study employed Baron & Kenny’s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o see if self-efficacy has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s of culture and arts program participa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To analyze self-efficacy’s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s of program participa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this researcher conducted three-step analysis entering program participation and self-efficacy simultaneously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found the regression equations (R²=.931, F=96.885, p<.001), which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Examin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separately, this author has found that general self-efficacy (β=.311, p<.001) and social self-efficacy (β=.892, p<.001)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and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both exhibit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ing that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can improve creativity and personality with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ducting analysis on how the variables are different by the levels of schools with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on how the variables are different by the sex of their parents, immersion in learning, social self-efficacy, self-efficacy, and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ducting one-way ANOVA on how the variables are different in relation to family bonds, general self-efficacy indic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intimac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Fourth, program participation elevates self-efficacy, and when self-efficacy is higher,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is accelera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ogram participa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exer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hich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it. Concerning the hypotheses of mediation among the subvariables,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s mediating effect is distinct, an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education program, the sense of achievement or immersion in learning is rather low, and as parents and children learn together, family bonds and learning results are relative greater. Fifth, the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to develop personal of ability equipped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drawn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diverse and creative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in which parents and children can participate together in order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design systematic programs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and establish proper conditions for education reflecting their needs and interest as much as possible. Second, for students to cultivate their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rough confidenc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not only in schools but in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t is needed to develop courses to cultivate instructors for diverse family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a. Also, it is important for the instructors to have will and make efforts to cultivate creative persons

      • 중학생들의 영어 학력격차와 해결방안

        김소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Gaps in English abil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arch for effective solutions Kim, So-Young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Supervisor: Prof. Choi, In-Chull. English is the popular international language in this modern world. In 1997 English was adopted as a core subject in elementary schools for students in Korea. As a result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students'' ability in English has improved but the gaps in English abil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have been widened. In light of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 and find a solution to decrease the gaps in English abil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negative educational side effects. An investigation of the gaps in English abil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has been done through an English achievement test and a teachers'' survey about middle school students. The test was given to 695 middle school students from 8 schools, and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9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are gaps in English abil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gaps are wider than the teachers had perceived. 2. The schools had various scores. The lowest school''s average score was 47.33 and the highest school''s average score was 77.53. The gap between the lowest and highest schools is nearly 32 points. 3. The average scores on the different sections of the English achievement test were as follows: Listening at 79.35, Vocabulary at 63.32, Grammar at 46.84, and Reading Comprehension at 55.25. The highest scoring section was Listening (79.35) and the lowest scoring section was Grammar (46.84). The gap between these two sections is 32.51. 4. In teachers'' opinions,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English are average, and the students'' English abilities have improved since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was introduced. They think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affects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5. Middle school students are strong in Listening/Speaking and are weak in Grammar/Writing. 6. The gaps in English abil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re so wide, wider than before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This is the most difficult challenge facing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The gaps are widening due to private tutoring.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English writing education with form-focu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be moved up in the curriculum and the time given to English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in order to successfully connect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ith that in middle school. Additionally, students need more ability-based classrooms and various textbooks and workbooks available to them from which they can choose according to their ability. 중학생들의 영어 학력격차와 해결방안 영어교육 2004421062 김소영 현대 사회에서 영어는 가장 보편적인 국제어로 손꼽히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시대적 바탕을 배경으로 우리나라도 이런 현실 속에서 학생들을 위해 1997년 영어를 초등학교 3학년부터 정규과목에 편입시켰다. 이로 인해 많은 연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학생들의 실력은 전반적으로 나아지고 있으나 학력격차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다시금 학생들의 수준을 검사하여 실제 학력격차를 확인하고, 만일 학력격차가 있다면 위와 같은 차이를 가져오는 원인을 분석하여 현실적인 학력격차를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줄이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력편차와 문제점 파악을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중학교 1학년생 695명을 대상으로 학력평가를 실시하였고 해결방안 모색을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소재 중학교 영어교사 49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의 학력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학생들 간의 실제 학력격차는 존재하며 생각했던 것보다 그 수치도 큰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각 학교 별 영어 점수는 각 학교별로 모두 차이가 있으며, 가장 점수가 낮은 학교는 평균 47.33이고 가장 점수가 높은 학교의 평균은 77.53으로 이 둘의 차이는 약 32점 정도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셋째, 영어 시험을 구성하는 각 영역별 차이를 살펴보면 듣기 79.35, 어휘 63.32, 문법 46.84, 독해 55.25로 점수분포가 다양했다. 가장 점수가 높은 영역은 듣기 79.35이고, 가장 점수가 낮은 영역은 문법 46.84이다. 이 둘의 차이는 32. 51점이다. 이제 해결책을 찾기 위한 교사들의 의견을 살펴본다면, 첫째, 교사들이 생각하기에 학생들의 영어 수업 흥미도와 참여도는 보통이고, 초등영어 교육실시 이후 학생들의 전반적인 실력은 향상되었고 초등 영어교육이 중등 영어 실력에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고 있다. 둘째, 학생들 간의 영어실력 격차는 많은 편이고 이는 초등 영어교육 시작 전보다 더 커졌으며 학생들은 가장 잘하는 영역이 듣기와 말하기이고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문법과 쓰기부분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학생들을 지도하기에 가장 큰 어려움은 학생들의 실력격차이고 사교육의 영향으로 이 학력격차는 더 커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초등 영어교육의 문자 교육 시기를 앞당기고 언어 규칙(문법)에 관한 명시적 교육과 초&#8228;중등 영어교육간의 연계성이 필요하며 지금 보다 더 세분화된 수준별 교실운영과 이에 알맞은 다양한 교과서와 워크북의 개발도 시급하다. 이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투자와 연구 또한 계속되어서 지속적인 발전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 남양주 호평동 후기구석기유적의 밀개 연구

        김소영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후기구석기시대로 진입하면서 석기는 이전 시기에 비해 크기가 소형화되고 기능이 분화된다. 후기구석기시대의 지표유물인 밀개는 이러한 변화를 가장 잘 드러내주는 석기이다. 밀개는 타격점이 확인되는 격지의 위 끝에 가파르며 연속적인 볼록날을 만든 잔손질 석기로 그 역할은 나무나 뼈 그리고 가죽의 손질에 있다. 한반도에서 출토된 밀개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는 형식학에 근거한 속성 분석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밀개 자체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지만 밀개가 제작된 배경에 대한 인식은 부족했다. 밀개는 생활과 밀접한 도구이기 때문에 밀개 제작·사용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후기구석기시대의 석기제작전략과 생활의 한 단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본 논문에서는 남양주 호평동 유적에서 출토된 밀개의 전 생애와 후기구석기시대 밀개 제작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남양주 호평동 유적은 후기구석기시대의 이른 시기(1문화층, 약 3만년~2만 7천년 전)와 중간시기(2문화층, 약 2만 4천년~1만 6천년 전)에 형성되었다. 이 유적은 문화층이 안정적으로 퇴적되었고 시기별 석기의 제작기법과 구성이 다르며 무엇보다 다양한 밀개가 출토되기 때문에 밀개 연구의 대상으로써 적합하다. 호평동 유적의 밀개연구에서는 1문화층 26점, 2문화층 100점을 대상으로 먼저 밑감과 잔손질에 대한 속성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밀개의 밑감은 1문화층 석영 격지와 돌조각 위주에서 2문화층 석영 이외의 혼펠스․응회암․흑요석의 격지, 돌날이 새로이 나타난다. 밀개 날은 직접떼기나 눌러떼기에 의해 밑감의 위끝에 만들었고 2문화층에서 날의 모양이 다양해진다. 밑감과 날의 크기는 비례하지 않고 밑감의 형태가 밀개 제작을 위한 밑감 선택의 중요한 요소이다. 호평동 유적의 밀개는 날의 모양을 기준으로 볼록날 밀개, 콧등날 밀개, 손톱모양 밀개, 원형 밀개, 직선날 밀개, 사다리날 밀개로 나누어진다. 1문화층은 볼록날 밀개, 콧등날 밀개만 확인되지만 2문화층에서 밀개의 형식이 다양해진다. 손톱모양 밀개, 원형 밀개의 등장과 돌날을 밑감으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형식의 분화는 곧 밀개 사용의 증가, 작업의 세분화, 형태보다는 기능이 보다 중시된 밀개 제작 목표를 의미한다. 밀개의 한 살이(Chaîne opératoire) 검토에서 호평동 유적의 밀개 제작은 근거리에서 획득한 석영과 원거리에서 획득한 혼펠스나 흑요석 등을 이용했다. 석영 밀개 제작에서 돌조각의 사용은 돌조각이 가진 특징을 효율적으로 활용한 예다. 그리고 2문화층 유백색의 질이 좋은 석영에서도 정교한 잔손질이 확인되므로 석영 사용이 좀 더 세분화되었고 기술이 돌감의 한계를 극복했음을 알 수 있다. 혼펠스나 흑요석에 만들어진 밀개는 격지와 돌날에 만들어졌다. 유적에서 두 돌감의 목적이 좀돌날 생산이므로 돌날은 그 과정에서 획득되었거나 이미 완성된 도구의 형태로 유적에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밀개의 사용은 현미경에 의한 사용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죽 손질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돌날에 만든 밀개나 밀개의 두께를 손질한 경우는 손잡이 도구를 장착해 가죽을 손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손톱모양 밀개처럼 주로 손에 직접 쥔 상태로 사용된 밀개도 있다. 이 경우 역시 손에 쥘 부분에 대한 손질이 이루어졌다. 밀개 사용의 일정한 장소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밀개의 폐기는 밀개가 깨지거나 날이 훼손된 경우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수계를 중심으로 선정한 9개의 유적과 비교를 통해 호평동 유적 밀개 제작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들 유적 역시 돌감에 따른 격지떼기의 차이가 나타나지만 유적 인근에서 획득할 수 있는 돌감을 이용한 점이 호평동 유적과 다르다. 다양한 돌감의 등장, 이미 완성된 밀개의 유입, 돌감에 따른 점유 구획이 확인되는 점을 근거로 호평동 유적의 밀개 사용 집단은 이동성이 높은 집단으로 생각된다. 밀개 형식을 세 개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면 중간시기에 가장 많은 수의 밀개가 확인된다. 이때 볼록날 밀개 외에 손톱모양 밀개나 돌날에 만든 밀개, 원형 밀개, 이중날 밀개, 복합석기 등의 새로운 형식이 출현한다. 손톱모양 밀개, 돌날 밀개는 모두 중간시기 좀돌날이 생산된 유적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들 밀개의 생산과 좀돌날 생산 집단은 연관성이 높다. 이처럼 밀개 제작에 있어 중간시기는 상당히 중요한 기점이며 빙하극성기에 접어들어 추워진 기후가 주요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결국 밀개의 제작은 유적의 석기제작 체계, 생활 양상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며 전반적인 기후 변동 아래에서 돌감을 획득하는 전략, 밑감을 생산하는 기술, 적재적소에 요구되는 도구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앞으로의 과제는 중간시기에 접어들어 변화된 밀개 제작의 전략과 배경을 보다 심도있게 파악하고 밀개 형식과 작업의 상관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Since the beginning of the Upper Paleolithic Age, stone tools were made smaller and differentiated in functions, compared with the previous ages. As the representative relic of the Upper Paleolithic Age, the endscraper showed such changes. It was a retouched stone tool with its steep and continuous forehead in a distal part of flake where hitting points could be identified. Moreover, it was used to handle wood, skin and bones.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end scraper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r have mainly focused on analysis of its attributes, based on typology. However, these research methods g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endscraper itself but showe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n endscaper-making backgrounds. As the endscraper was a tool closely related to daily living, the understanding on processes of making and using the endscraper is important to understand a section of people's living in the Upper Paleolithic Age, in addition to their debitage strategies. With the above critical mind, this paper aimed at investigation into characteristics of endscraper-making in the Upper Paleolithic Age, as well as the whole life of the endscraper which was excavated from the Hopyeong-dong site, Namyangju. The site was formed in the early period (1st cultural layer, between 30,000 and 27,000 years ago) and the interim period (2nd cultural layer, between about 24,000 and 16,000 years ago) of the Upper Paleolithic Age. The site include the cultural layers which were stably piled up, different debitage techniques and composition and particularly excavated endscrapers. In this regard, accordingly, they are suitable for research on the endscraper. This study made an attribute analysis of support and retouch of the endscraper excavated from the Hopyeong-dong site, including 26 pieces from the 1st cultural layer and 100 pieces from the 2nd cultural layer. As a result, the scraper's support changed from flake made of quartz in the 1st cultural layer into flake and blade which were made of hornfels․tuff․obsidian in the 2nd cultural layer. The retouching of endscraper was made in a distal part of the support by direct percussion or pressure in the hand, and in the 2nd cultural layer it became bigger in size and various in type. Moreover, the support was not proportional to the size of blade and the support type was essential for making the endscraper. The endscraper of Hopyeong-dong site is divided into a convex endscraper, a thumbnail endscraper, a rondede endscraper, a straight endscraper and a trapezoidal endscraper according shapes of its forehead. While in the 1st cultural layer only the convex endscraper and nose form endscraper were found, in the 2nd cultural layer various type were found, ins were found. It was peculiar that the thumbnail endscraper and the rondede endscraper appeared and the blade was used as support. Such diversification in type indicate the increase in use of endscraper, subdivision of works and the aim of endscraper-making at its function rather than its form. With consideration of Chaîne opératoire, the endscraper of Hopyeong-dong site was made of quartz acquired at a close range and hornfels or tuff acquired at a long range. The fact that debris was used for making the quartz endscraper is an example of efficient utilization of its features. Moreover, in milky-white and high-quality quartz in the 2nd cultural layer minute retouch was found, which shows more diversification in use of quartz and reach beyond the limit of use of raw material. The endscraper made of hornfels or tuff was made on flake and blade. In the site, two raw materials were used for production of micro blade. In this regard, it seems that the blade was acquired in such process or came in the form of an already finished tool. In view of the use of the endscraper, an investigation into skin retouch was mainly made, on the basis of results from microscopic usewear analysis. The endscraper on blade or with the thickness retouched was made by skin retouching with a handle mounted. On the other hand, as the thumbnail endscraper, there was some endscrapers which were directly hand held. In this case, retouch on a portion for hand-held was also performed. It seems that there were specific places for using the endscraper and it came into disuse in case of being broken or damaged on blade. Then, by comparison among 9 sites selected according to the water system, features of endscraper-making were investigated in Hopyeong-dong site. These sites also showed some differences in flaking according to raw materials, but it was unique to use raw materials which could be acquired around the sites. Based on appearance of various raw materials, flow of already finished endscapers and identification of occupied sections according to raw materials, it seems that a group of using endscrapers in Hopyeong-dong site was regarded as a high-mobility group. In view of investigation into the form of endscraper accoding to three periods, the largest number of endscrapers were found in the interim period. In this time, new forms of endscrapers appeared, such as a forehead endscraper, a thumbnail endscraper, an endscraper on blade, a rondede endscraper, an endscraper double, a grattoir multiple, etc. Among them, according as the thumbnail endscraper and the endscraper on blade were found in the interim period in sites where micro blades were produced, there seems to show high connections between production of enscrapers and the micro-blade production group. Moreover, in endscraper-making, the interim period is a considerably important turning point, and colder climate since the beginning of Last Glacial Maximum is regarded as a major cause. Finally, production of endscrapers was closely connected with debitage systems of sites and living conditions. Moreover, it was achieved, based on strategies for acquiring raw materials, technologies for producing supports and necessities of tools required in the right place, under general climate changes. From now oredresearch will be further required to make in-depth understanding on endscraper-making strategies and backgrounds, which became changed in the interim period and to check correlations between endscraper forms and works. Key word: Upper Paleolithic Age, Last Glacial Maximum, Endscraper, Typology, Chaîne opératoire, Debitage strategy, Blade -Microblade debitage, Thumbnail scraper, Endscraper on blade and debris,

      • 오대산 국립공원 내 전나무-활엽수 혼합림의 식생구조와 주요 목본의 공간분포

        김소영 강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전나무-활엽수 혼합림은 오대산 국립공원의 특징적인 식생형으로써 보전상태가 양호하며 잘 발달된 식생구조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오대산의 특징적 식생형인 전나무-활엽수 혼합림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 종 수준에서 상대생장, 내음성 및 입지선택성을 분석하여 종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종간 및 동일 종내 생장단계 간 상호작용, 입지요인, 교란 등의 영향을 규명하고 미래의 변화를 전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 ha 크기의 대표 조사구를 선정했는데 38종의 목본 종이 분포하였다. 교목 중에는 전나무와 피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으며 당단풍과 까치박달나무도 높은 중요치로 공존하였다. 유령목 중에는 당단풍과 전나무의 중요치가 높았다. 직경분포는 직경이 커질수록 개체수가 적어지는 역 J형 구조를 보임으로써 안정된 숲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직경과 높이의 상대 생장식을 분석한 결과 산겨릅나무, 전나무, 당단풍은 하층의 비율이 높으며 그늘이라는 조건에서 생존과 재생을 위해 수평적 수관을 발달하는 내음성 종의 특성을 나타낸 반면, 신갈나무, 피나무, 난티나무는 하층비율이 낮으며 비내음성 종의 특징을 보였다. 수종별 공간분포를 분석한 결과 교목에서 전나무, 피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는 임의분포를 하였고, 당단풍, 까치박달나무, 함박꽃나무는 집중분포를 보였다. 반면 유령목에서는 피나무, 고로쇠나무만이 임의분포를 나타냈다. 이런 차이는 수종의 내음성 정도, 재생특성의 차이 및 입지요인의 차이로 볼 수 있다. 죽은 나무가 임의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은 큰 교란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서열법에 의해 분류된 4 그룹과 입지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수종은 미소지형, 토심, 토양 유기물함량과 토성의 차이에 따라 특징적인 미소군집을 이루고 있었다. 전나무-활엽수 혼합림에서 활발한 재생 능력을 가진 전나무는 활엽수와 함께 지속적으로 공존할 것으로 판단된다. 피나무와 고로쇠나무는 정착률이 낮으나 생존률이 양호하여 개체수가 유지될 것이다. 신갈나무는 후계목의 발달이 빈약하여 하층을 우점하는 다른 종들에 의해 대치 될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당단풍, 까치박달나무와 산겨릅나무는 전나무에 비해 상대적인 소교목으로서 종자분산의 제한과 높은 내음성으로 인해 앞으로도 집중분포를 지속하며 전나무와 공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Abies holophylla forests at Mt. Odae National Park are representative stands in terms of its rareness and good conservation condition in Korea. This study were to characterize vegetation structure and to analyze allometry, shade-tolerance and site selection, aiming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inter- and intra-specific interaction, site factors and disturbance on the spatial pattern of some dominant tree species. There were 38 woody species within 2 ha study area. Importance values of A. holophylla and Tilia amurensis were the highest.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cordata which coexisted with them had high importance values among Canopy trees. Importance values of A. pseudo-sieboldianum and A. holophylla were the highest among saplings. Reverse J structure were found showing the small number of larger trees and the high number of small tree. This indicates a stable forest structure. Allometric function of diameter-height showed that the understory ratios of Acer tegmentosum, A. holophylla and A. pseudo-sieboldianum were high. They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shade tolerant species, which developed lateral crowns for survival and regeneration under a shady condition. On the other hand, the understory ratios of Quercus mongolica, T. amurensis and Ulmus laciniata were low. They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shade intolerant species. The spatial pattern analysis showed that A. holophylla, T. amurensis, Q. mongolica and Acer mono were randomly distributed and A. pseudo-sieboldianum, C. cordata and Magnolia sieboldii were clumped in canopy trees. Among saplings, only A. pseudo-sieboldianum and A. holophylla were randomly distributed. This difference can be explanined by the shade-tolerance degree of each species and difference of the regeneration character. Dead trees distributed randomly, indicating that the great disturbance have not been occurred in the study area.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4 groups divided by ordination and site factor showed that each species composed a specific micro-communi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microtopography, soil depth, soil organic matter content and soil texture. Due to the outstanding regeneration ability, A. holophylla would continue to coexist with broadleaved trees in the study area. T. amurensis and A. mono also would maintain the population based on the fair survival rate even though their low establishment. Q. mongolica seems to be replaced with other tree species occupied its understory due to its low regeneration. A. pseudo-sieboldianum, C. cordata and A. tegmentosum with limited seed dispersal under A. holophylla canopy and shade tolerance would maintain clumped pattern, and coexist with A. holophylla.

      • 실업계 고교생들의 구강 환경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김소영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구강병의 대표적 질환인 치아우식과 치주질환은 그 원인 또한 다양하고 복잡하며 많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발생한다. 각 요인 들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는 것이 향후 적절한 예방책과 치료방안을 계획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저자는 치아우식의 원인에 관련될 수 있는 요인들, 즉 스나이더검사 결과와 치주병 상태를 간접 측정할 수 있는 치은열구액의 양(GCF), 구강건조도, 타액의 당도, 각 구강미생물의 종류, 양, 운동성 등이 미치는 영향과 각 요인 들 간에 상호 관련된 관련성을 산출함으로써 향후 예방계획을 수립하는데 참고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으로는 실업계 고교 3학년 중 구강검진 및 타액검사를 자원한 7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치아우식 및 치주질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우식 경험 영구치의 정도는 스나이더 검사, 타액의 당도를 측정함으로써 예견할 수 있었고, 구강 내 습도가 높을수록 치은염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치은열구액의 양이 많고 우식 경험 영구치 정도는 낮았다(p>0.05). 2. 청년층에서는 구강 세균의 양과 운동성은 실사균의 양을 제외하고는 우식경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고(p>0.05), 한가지 형태의 세균의 양이나 운동성은 대 다수가 다른 형태의 세균의 양과 운동성에 양의 상관성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p<0.05). 3. 타액의 당도는 간균의 양과 운동성과 관련성이 있었고(p<0.05), 치은열구액의 양은 간균의 운동성과 역상관성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와 같은 결론으로 청년층의 우식 발생 예견을 위해서는 스나이더 검사 및 타액의 당도를 측정하고, 치주병 발생을 예견하기 위해서는 치은열구액의 양과 간균, 실사균 및 나선균 등 구강미생물의 양과 운동성을 조사함이 권장 되었다. The authors have examined the oral health state ant the relative factors causing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for technical senior high students, in order to know the co-relations between each factor. 58 male students and 12 girl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the oral exam for caries state and such items of the laboratory tests as GCF with the moisture paper, Snyder test, salivary glucose and oral micro-organism, by use of phase contrast microscope, co-relation was calculated between each factor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Caries experienced degree was highly related with the Snyder test and salivary glucose, and the higher degree of oral moisture, the more of GCF and the less in DMF. 2. There was no influenced for oral micro-organisms causing the caries directly in young adults group except the amounts of filamentous typed oral micro- organism, and there was positive relation ship between amounts or motile for a typed micro-organism and those of the other typed. 3.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alivary glucose and the amounts or motile or bacillus typed micro-organism, otherwise GCF was revealed the negative relation ship with the motile or the bacillus typed oral micro-organism. 4. Modified Snyder test and salivary glucose check were recommended to predict the caries and such items of the tests as GCF, the amounts or motile of bacillus, filamentous and spiral typed micro-organism, would be recommended to predict the periodontal disease, for senior high school students or young adults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