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물관리업에 특화된 위험성평가 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김소라 숭실대학교 안전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건물관리업에 특화된 위험성평가 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김소라 스마트산업안전공학과 숭실대학교 안전융합대학원 위험성평가 제도 도입이 10년이 지난 지금, 여전히 위험성평가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고, 기업에서는 아직도 위험성평가 제도가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기업의 실효성 있는 위험성평가 제도 운영 및 정착을 위해 위험성평가 중심의「자기규율 예방체계」를 확립 하고자 제도 개선 및 행정적 조치를 실시하고 있지만,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위험성평가 추정값과 산업재해 발생 빈도의 상관관계를 입증하여 실효성 있는 위험성평가 제도 운영을 위한 現 위험성평가 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을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건물관리업 “K”사의 ‘21년, ‘22년 상반기 위험성평가 결과와 ‘21년, ‘22년 산업재해 발생 빈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위험성평가 외에 산업재해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21년, ‘22년 재해자 37명 대상으로 안전의식 수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위험성평가 수준과 산업재해 발생 빈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관계를 입증하였고, 나아가 다음과 같이 건물관리업에 특화된 위험성평가 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강도 중심의 위험성평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서 기업에서는 중대재해 관리가 더욱 강화되었다. 따라서 위험성 평가 과정 중 위험성 추정 시 강도 수준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강도 중심의 위험성평가 제도로 개선하고, 이를 사업장에 도입하여 고위험 작업, 즉 중대재해 예방 중심의 위험성평가 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위험성을 추정할 때 휴먼에러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를 추가하여 불안전한 행동이나 안전불감증 등으로 발생하는 산업재해를 절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재해자의 설문조사 결과 안전불감증으로 인해 저위험 작업에 서도 산업재해가 다수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위험성 추정값에 휴먼에러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안전보건관계자에 의한 배후요인 관리 및 추가 개선책 강구를 통해 휴먼에러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 할 것이라 판단된다. 셋째, 재해자 대상 안전의식 수준 설문조사 분석 결과, 산업재해 예방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활동은 안전점검이었으며, 위험성평가의 재해 예방 효과성에 대한 질문에 과반수 이상이 긍정적 답변을 주었다. 따라서 수시 위험성평가 중심의 실질적 위험성평가 운영을 통해 TBM과 같은 수시 위험성평가를 활성화시켜 위험성평가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는 한편, 사업장 안전관리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제도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 된다. 넷째, 인구의 고령화와 고령 근로자 비율이 높은 업종 특성에 따라 정 부의 고령 근로자에 특화된 위험성평가 교육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비단 건물관리업뿐만 아니라 고령자가 많아지는 인구 추세에 발맞춰 정부 및 공단에서도 고령 근로자 대상 위험성평가 교육 지원, 재정적 지원 등 고령 근로자에 특화된 위험성평가 교육 정책을 통해 위험성평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한편 산업재해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en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risk assessment system,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 are still being raised, and the risk assessment system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companies.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system improvement and administrative measures to establish a "self-discipline prevention system" centered on risk assessment to operate and establish an effective risk assessment system for companies, but there are still things that need to be improved to prove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current risk assessment system for effective risk assessment system operation by prov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stimated risk assessment value and the frequency of industrial accident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of risk evalu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building management industry "K" in '21 and '22 and the frequency of industrial accidents in '21 and '22', and to analyze other factors affecting industrial accidents in addition to risk evaluation, a safety awareness level survey was conducted on 37 victims in '21 and '22'. Through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risk assessment and the frequency of industrial accidents was proved, and furthermore, measures to improve the risk assessment system specialized in the building management industry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rength-centered risk assessment system. With the enforcement of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companies have further strengthened their management of serious ac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rength-centered risk assessment system by assigning weights to the level of intensity when estimating risk during the risk assessment process, and introduce it to the workplace to operate high-risk work, that is, risk assessment centered on prevention of serious accidents. Second, when estimating the risk, it is necessary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caused by unsafe behavior or safety insensitivity by adding an index that can reflect human errors. As a result of a survey of the injured, it was found that many industrial accidents occurred even in low-risk work due to safety insensitivity. Therefore,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human errors by managing background factors and devising additional improvement measures by safety and health officials by assigning weight to the estimated risk value.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afety awareness level survey for the injured, the activity that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in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was safety inspection, a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gave a positive answer to the ques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 on disaster preven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burden of risk assessment should be reduced by activating risk assessment such as TBM through practical risk assessment-centered operation, while operating as an effective system for workplace safety management. Fourth, depending on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es with a high proportion of elderly workers, the government's risk assessment education policy specialized for elderly workers is needed. In line with the growing population of the elderly as well as the building management industry, the government and the industrial complex will be able to enhance understanding of risk assessment through risk assessment education policies specialized for elderly workers, such as support for risk assessment education for elderly workers and financial support, while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독해지문에 나타난 담화 표지어의 분포

        김소라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담화 표지어는 이전의 담화와 앞으로 나타날 담화의 결속장치로 사용되며, 표현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하는 언어적 요소이다(Schiffrin, 1987). 영어로의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읽기, 쓰기, 듣기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런 담화 표지어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생들이 가장 많이 노출되는 학습 자료인 영어 교과서 내 독해지문을 분석하여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Mackay(1987)가 분류한 열거적 유형(Enumerative), 첨가적 유형(Additive), 논리적인 연속성의 유형(Logical Sequence), 설명적 유형(Explicative), 실례적 유형(Illustrative), 대조적 유형(Contrastive)의 6가지 담화 표지어 유형을 기초로 하여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4종 내의 독해지문을 대상으로 담화 표지어가 얼마나 나타나고 있으며, 얼마나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사용된 담화 표지어의 개수가 가장 많은 교과서와 가장 적은 교과서의 차이가 17개정도 차이가 나긴 하였지만 전반적으로 4종 교과서 모두에서 담화 표지어의 분포는 비교적 고르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원별 분석 결과를 보았을 때, 꾸준히 나타나는 유형이 있던 반면 거의 없거나 나타나지 않은 유형도 있었다. 그리고 사용된 담화 표지어의 종류는 대체적으로 한정적이었다. 대부분 한번 사용되었던 담화 표지어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Mackay(1987)는 100여개의 담화 표지어의 종류를 제시하였었는데 그 중 단 한 번도 사용되지 않은 담화 표지어도 많았다.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학습 자료인 영어 교과서에서 나타나는 담화 표지어의 분포는 꾸준히 나타나고 있었지만, 담화 표지어 학습의 중요성에 비해 너무 제한된 담화 표지어의 종류에 편중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담화 표지어 학습을 통해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 영어 교과서에 좀 더 다양한 종류의 담화 표지어를 포함하여 앞으로 학습자들이 교과서를 통해서도 담화 표지어를 접하고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 Systematic Study on the Family Pterophoridae (Lepidoptera) in Korean Peninsula

        김소라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In the review of the family Pterophoridae, Plume moth, in the Korea Peninsula, 23 species of 12 genera are recognized, including seven newly reported species: Platyptilia ignifera Meyrick, P. nemoralis Zeller, Nippoptilia minor Hori, Fuscoptilia jarosi Arenberger, Hellinsia albidactylus (Yano), H. ishiyamanus Yano, and H. kuwayamai (Matsumura). The record of Agdistis adactyla (Hubner) from Mt. Changbai, which is border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gives a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further species belonging to Agdistinae from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the previous reported species from Korea, Pterophorus homodactylus Walker was re-identified as Fuscotilia jarosi Arenberger. All of the known species of the family were systematically rearranged with their full bibliographies, re-descrip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of adults and the male and/or female genitalia, distributional data, and some biological information. An analysis of the cladistics for the species is also conducted. 본 연구에서 1971年부터 2007年 11月까지 채집된 표본과 국내의 주요연구기관에 보관되어 있는 표본, 총 516여개체를 중심으로 외부형태적인 특징과 생식기를 검경, 분지도와 생물 지리적 자료를 토태로, 韓國産 털날개나방科는 2亞科, 12屬, 23種종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 Platyptilia ignifera Meyrick, P. nemoralis Zeller, Nippoptilia minor Hori, Fuscoptilia jarosi Arenberger, Hellinsia albidactylus (Yano), H. ishiyamanus Yano 과 H. kuwayamai (Matsumura), 7종은 미기록 종으로 새로이 기록되었으며, 이 중 Fuscoptilia jarosi Arenberger 와 Hellinsia albidactylus (Yano)는 기종에 북한에서 기록된 종으로 이번 연구에서 남한으로부터의 미기록 종으로 기록하였으며, 이중 Fuscoptilia jarosi Arenberger 는 전 세계에서 한반도에만 분포, 한반도 고유종으로써 확인 할 수 있었다. 기존에 발표된 Pterophorus homodactylus Walker 는 오동정으로 사료되며, 초기 첫 발표 이후 채집 하지 못했던 Amblyptilia punctidactyla (Haworth) (syn. of Platyptilia jezoensis Matsumura) 과 Platyptilia jezonicus Matsumura (syn. of P. argoteles Emmelina)를 채집, 검정 그리고 확인하였다. 그러나, 외국인 학자에 의해 채집, 기록되었던, Platyptilia suigensis Matsumura, Deuterocopus albipunctatus Fletcher 와 Nippoptilia vitis (Sasaki) 는 미채집되어, 초기 기록 이 후로 검정하지 못하였다.

      • 선박 충돌예방을 위한 충돌위험도 인식에 관한 연구

        김소라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선원의 훈련·자격증명 및 당직근무의 기준에 관한 국제협약인 STCW 협약은 해기사가 되기 위한 요건으로 선내훈련을 포함하는 승인된 훈련 프로그램으로서 1년 이상의 승무경력을 갖출 것을 규정하고 있다. 항해 당직 사관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이 명시된 IMO Model Course 7.03에서는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에 대한 교육이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최근 5년간의 국내 해양사고 현황에서도 교통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발생한 사고는 충돌으로 사고종류 중 재결 현황에서도 37.3%를 차지하여 충돌은 발생 빈도가 높지만 분쟁의 빈도도 높은 사고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습생에게 충돌 예방을 위한 교육은 필수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지만, 국내 해기교육기관의 승선 실습 과정에 충돌 예방을 위한 실습 및 교육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승선 실습 과정에 충돌 예방 실습 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선제적으로 실습생의 충돌위험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습생의 충돌위험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현직 항해사와 비교함에 따라 실습생의 수준을 명확히 이해하여 항해 실습생 맞춤의 충돌예방교육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먼저 승선 실습 관련 법적 근거를 조사하여 승선 실습 운영 기준을 파악하였다. 이후 승선 실습 관련, 선박 충돌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였으며 조사 결과 실습생을 대상으로 충돌 예방에 관해 고찰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워 실습생을 위한 충돌예방교육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승선 실습 현황 및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국내 대표 해기 지정교육기관인 한국해양대학교의 교육 과정을 확인하였다. 항해계열 재학생 대상 승선 실습에는 자체 실습선을 활용하는 교내 승선 실습과 국내 해운 선사들의 선박을 동원하는 위탁 승선 실습이 있었다. 2021년의 승선 실습 환경을 조사한 결과, 교내 승선 실습과 위탁 승선 실습의 환경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실습생의 충돌위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2021년 2학기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의 해사대학 3학년 항해 실습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지는 해상교통위험도모델인 PARK Model의 개발 시 사용된 설문과 선행연구에서 추출한 충돌위험요소를 참조하여 구성, 실습생에게 제시되었고 실습생들은 이에 대한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회수된 유효 응답으로 실습생의 승선 시기별 충돌위험 인식 변화를 분석하였고 해상교통위험도모델인 ES Model과 PARK Model의 계산된 위험도에 따른 현직 항해사의 관점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승선 기간이 경과하면서 실습생은 타선과의 조우상황에서 더 높은 위험도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습생이 다수의 항해를 경험하면서 교통환경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타선과의 충돌위험 상황에 대해서 더 높은 위험도를 느끼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황은 주로 횡단하는 상황이었으므로 정면으로 마주치거나 추월당하는 경우에는 항상 위험 또는 안전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하선 시에 타선과의 근접상황에서의 데이터 범위가 군집된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습생 간 충돌위험 인식이 점차 유사해짐을 확인하였다. 실습생과 현직 항해사의 관점을 비교한 결과, 타선과 근거리 있을 때 실습생은 평균적으로 현직 항해사보다 더 높은 위험도를 체감하였으나 타선과 원거리에 있을 때는 현직 항해사보다 더 낮은 위험도를 체감하였다. 이는 실습생이 충돌위험 상황에 긴장하고 충돌위험요소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여 위험도가 급격하게 변화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하선 시의 위탁 실습생 설문 응답은 현직 항해사의 충돌위험 인식 경향과 가장 흡사하였는데, 이는 위탁 실습생이 1학기에 상선에서 평균적으로 더 많은 시간을 항해 당직에 참여하면서 충돌위험에 대한 감각이 현직 항해사와 유사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 결과를 통해 항해 경험이 충돌위험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식별하였으나 전체 학생이 충분한 승선 실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충돌예방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어떠한 형태의 충돌예방교육이 안전한 항해 당직을 수행하게 하는지에 대한 근거가 없어 항해계열 실습생을 위한 최적의 충돌예방교육 방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실습생 대상 충돌예방교육의 적절한 교육 방식을 도출하기 위해 해양 및 교육 분야 전문가와 재학생을 대상으로 AHP 기법 기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시뮬레이션 실습의 중요도가 가장 높으면서 현실 반영이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어 충돌예방교육의 방식으로 시뮬레이션 실습이 적절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론 교육의 장점 및 중요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실습을 주 교육으로 배치하되, 추가적으로 이론 등의 교육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추후 충돌 시나리오 개발에 고려하지 못한 요소를 추가하여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충분한 기간 동안 설문을 시행한다면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충돌예방교육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김소라의 졸업 작품 해설, 「자유에 대하여」

        김소라 동덕여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연주한 4곡의 자작곡들을 분석한 것이다. 작품에 대한 분석은 대학원 과정에서 학습한 것을 바탕으로 하여 각 작품의 작곡 배경과 의도를 설명하고, 선율 및 화성을 분석하였다. “자유에 대하여”라는 주제로 졸업 공연에서 발표된 4곡은 자유를 추구하는 모습을 다양한 음악으로 구성하였다. 발표한 연주곡 4곡은 모두 자작곡으로 플루트,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 콘트라베이스, 드럼, 퍼커션, 실로폰의 편성으로 다양한 악기를 사용해 각 곡의 특징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첫 번째 곡 ‘Like a dream’은 현실에서 벗어나 꿈속에서 자유를 누리는 기쁨을 표현하고자 했고 두 번째 곡 ‘이별하는 길목에서’는 서로에게 구속되어있던 남녀가 이별을 통해 자유를 찾아가는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세 번째 곡 ‘파랑새, 바다로 가다’는 파랑새가 자유롭게 바다로 날아가는 모습을 표현하고자 했다. 네 번째 곡 'The Mirage Under Moonlight’은 동화 ‘알라딘’ 중 알라딘이 성에 갇혀있던 공주를 구출하여 사랑을 쟁취하는 모습을 표현하고자 창작하였다. 본 논문은 대학원 과정을 통해 습득한 다양한 음악적 이론을 각 곡의 형식, 선율, 화성구조에 대한 연구 분석을 통해 그 음악적 특징을 확인하고 전달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앞으로의 작품 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 이 소논문의 목적이다.

      • 한국 현대 창작뮤지컬의 극본 연구 :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김소라 우석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한국 현대 창작뮤지컬의 극본 연구 -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경영행정문화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문예창작 전공 김소라 지도교수 : 곽병창 이 논문은 1990년대부터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창작뮤지컬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그 극본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창작뮤지컬이 한국 뮤지컬시장에서 제대로 자리를 잡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 창작뮤지컬은 1990년대 이전의 발아기를 거쳐 1990년대 도약기를 맞이하였고, 2000년대 이후 급속히 성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창작뮤지컬은 뮤지컬 시장의 변방에 있다. 뮤지컬의 소재와 형식은 다양해졌지만 창작뮤지컬의 대극장 공연은 몇 편에 불과하고 주로 소극장 공연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관객들의 선호도에 있어서도 창작뮤지컬보다는 수입뮤지컬의 비중이 높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이, 일부 논자들의 견해대로 과연 극본에 있는 것인지 살펴보고 창작뮤지컬의 발전 양상은 어떠한지, 1990년대와 2000년대를 비교 분석하여 그 대안을 찾고자 한다. 1990년대 창작뮤지컬의 극본은 주로 현대 한국 사회의 현실을 강하게 비판하거나 변화를 위해 투쟁하는 모습에서 소재를 찾는 등 한정된 소재 범위 안에서 작품을 만들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가족이나 세대 사이의 관계를 통해 볼 수 있는 구체적인 삶의 모습이나 사랑과 죽음 등 삶의 보편적 국면들에서 작품의 소재를 찾기 시작하였다. 그밖에도 점점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사회로서의 현실을 반영하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소재의 확장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1990년대 창작뮤지컬에 비해 진일보한 모습이다. 예를 들어 1990년대까지의 역사 뮤지컬은 방대하고 복잡한 내용을 시간적 제약 하에서 간단명료하게 보여야 하기 때문에 생략과 함축이 많고, 장면과 장면 사이의 유기적인 연결성이 부족하였다. 이 때문에 각 장면은 내용전개에 필요한 사건들을 시간의 순서대로 나열식으로 구성해 놓아 작품의 완성도가 떨어지기도 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러한 역사 뮤지컬은 인물의 깊이 있는 내면 탐구와 현실감 있는 대사를 통해 관객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이루고 있다. 뮤지컬 가사 또한 현실감을 되찾으면서 시적인 상징성을 추구하여 관객층의 깊이를 더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1990년대의 창작뮤지컬에 비해 2000년대 창작뮤지컬의 극본은 질적으로 크게 성장했음을 알 수 있다. 전대에 비해 소재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플롯이나 인물 등의 구축에 있어서 좀 더 세련된 연극적 완성도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관객과 소통하는 가장 중요한 장치인 '가사'의 절실함과 적절함이 2000년대 창작뮤지컬의 질적 성장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짧은 뮤지컬 역사에도 불구하고, 현대 창작뮤지컬의 극본은 이미 수입뮤지컬에 비해 전혀 뒤쳐지지 않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제는 우리 소재에 음악만 대충 입히면 창작뮤지컬이 된다는 안일한 생각을 버리고 완성도 높은 창작뮤지컬을 만드는 일에 주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탄탄한 플롯, 살아 움직이는 인물들, 그리고 절실하고 아름다운 노랫말 등을 두루 갖춘 독창적인 창작뮤지컬 극본의 개발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급성호흡부전증후군을 유발시킨 쥐 모델에서 느릅나무추출물의 효과

        김소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Lipopolysaccharide (LPS) causes acute lung injury (ALI) and contributes to inflammation in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and sepsis. Ulmus davidiana Planch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o cure edema, mastitis in oriental medicin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Ulmus davidiana Planch extract (UDE) and dexamethasone on LPS -induced ARDS rats. Acute lung injury or ARDS was evaluated by lung weight changes, nitrite/nitrate (NO₂-/NO₃-), lactate dehydrogenase (LDH) measurement, the plasma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levels,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in bronchoalveolar lavage (BAL) and by biochemical factors in serume. Radiography and histopathology were examined. UDE and dexamethasone abrogated the extent of endotoxin-induced ARDS, as evidenced by the decrease nitrate/nitrite and LDH in BALF, the decrease pCO₂, the increase O₂ and Partial oxygen tension/ fraction of inspired oxygen (pO₂/FI), the increase in wet/dry weight ratio. The plasma ALT, AST, urea nitrogen levels after adminis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UDE group than in the salin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e effects of UDE on LPS-induced inflammation and the involvement of inhibition of the plasma TNF-α, SOD activity and NO levels. 리포폴리싸카라이드는 급성폐부전을 유발하고 급성호흡부전증후군과 패혈증에서 염증을 유발한다. 느릅나무추출물은 민간요법으로 부종과 염증을 치료하는데 오랫동안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는 급성호흡부전증후군상에서 느릅나무추출물과 덱사메타손과의 항염증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급성호흡부전증후군 또는 급성 폐손상은 폐무게 비율과 폐세척액 내의 LDH와 nitrite/nitrate 의 증가로 확인하였다. 혈액을 채취한 후 혈청내의 TNF-α, SOD, NO와 생화학수치를 재었다. 내독소로 유도된 급성호흡부전증후군의 정도를 억제하기 위한 느릅나무추출물과 덱사메타손은 폐세척액내의 NO와 LDH의 감소, 탄산 가스분압의 감소, 산소 가스분압과 pO₂/FI의 증가, 젖은 폐와 마른 폐 무게의 비율을 증가로 알 수 있고 흉강 엑스레이를 찍고 폐 병리학적 검사를 하였다. 느릅나무추출물을 투여한 군은 혈장 내의 ALT, AST, BUN의 수치는 식염수 투여군보다 현저히 낮았다. 결과는 리포폴리싸카라이드로 유발된 염증상의 느릅나무추출물은 혈장내의 TNF-α, SOD, NO 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 태권도 수련경험 유무에 따른 중학생의 인성발달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소라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태권도 수련경험 유무에 따른 중학생의 인성발달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김 소 라 지도교수 최 상 진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수련경험 유무에 따른 중학생의 인성발달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생들 중 태권도 수련경험이 있는 학생들과 태권도 수련 경험이 없는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불성실한 응답을 한 11부를 제외하고 389부를 SPSS 22.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검증하기위해 Crombach’s α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평균을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검정 t-test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성발달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태권도 수련경험 유무에 따른 인성발달의 차이에 있어 경험자와 미경험자 모두 성별과 학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자의 경우 여자가 남자보다, 1, 3학년이 2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경험자의 경우 여자가 남자보다, 1학년이 2, 3학년보다 인성발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수련경험 유무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에 있어 경험자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공부를 잘하는 그룹이 보통이거나 못하는 그룹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경험자는 교우관계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1학년이 2, 3학년보다 학교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성발달과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의 요인들 중 교우관계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권도 수련 경험자의 인성발달은 학교생활적응의 요인들 중 교우관계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권도 수련 미경험자의 인성발달은 학교생활적응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 태권도 수련경험이 인성발달이나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인성교육의 중요성과 태권도의 교육적 가치를 더욱 높여야 하며, 아동 및 청소년들의 바람직한 인격과 인성의 발달을 위해서 태권도 교육에 대한 관심과 교육편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 of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Taekwondo training experience on school life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Kim, So R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Taekwondo training experience on school life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participants, popul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rea were selected regardless of Taekwondo experience.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Total of 38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by SPSS 22.0 and AMOS 23.0 after eliminating 11 bad and incomplete questionnaires. Validity and credibility were tes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easurement of Cronbach’s alpha.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for general information, and t-test and ANOVA was executed to see mean difference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character development on school life adjustment. The result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ly as for the difference analysis of character development whether experienced taekwondo training or not, both experienced and not experienced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grades. In case of experience hand, the 1st and 3rd grad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2nd grade students. As for non-experienced group, females were higher than males and the 1st graders were higher than the 2nd and 3rd graders in character development. Secondly as the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of school life adjustment, experienced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Also, female was higher than male and high scored students were higher than middle and low scored students.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develop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were positively significant except for peer relation, Lastly, character development among students who experienced Taekwondo training had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significantly except for peer relation, and character development within non-experience group was not related to school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Taekwondo training tends to be helpful for character develop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us, the importance of character development and educational value of Taekwondo should be considered more seriously.

      • 스타트업 기업을 위한 유연적 린 UX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린 UX Toolkit 개발을 중심으로

        김소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인터넷 관련 분야의 성장이 정점을 이루었던 닷컴버블(dot-com bubble) 시기에 미국의 실리콘벨리를 중심으로 스타트업(Startup)이 빠르게 확산되었다. 스타트업은 불확실성 속에서 신규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조직으로 일반 기업과는 다른 경영 전략이 필요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스타트업 환경에 적합한 경영 전략이자 사고방식인 린 스타트업(Lean Srartup)이 등장하였다. 이후, 린 스타트업 방식에 UX 방법이 접목하여 생겨난 분야가 린 UX(Lean UX)이다. Jeff Gothelf(2013)에 의하면 린 UX는 기존 UX 방법론 활용시 발생하는 문서작업, 긴 개발 및 검증 시간과 같은 낭비 요소를 줄이고, 가설을 만들어 이를 검증하면서 끊임없이 제품을 수정해나가는 방법론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린 UX 방법은 빠르게 바뀌는 소비자의 요구와 시장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국내외 스타트업에서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린 UX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로 그 프로세스나 활용 방법이 체계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실제 스타트업에서 린 UX 프로세스나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환경, 상황적인 문제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다분야 융합팀을 이뤄 긴밀하게 협업하는 스타트업의 특성상 구성원들이 비슷한 수준의 린 UX 역량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프로젝트 진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낭비 요소를 제거하여 빠르게 진행되는 스타트업의 특성상 프로세스나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많은 스타트업에서 린 UX 프로세스나 방법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타트업에서 린 UX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돕는 린 UX Toolkit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특히, 빠른 진행과 팀원들 간의 상호 이해를 위해 밀접하게 협업해야 하는 스타트업 환경을 고려하여 다분야 융합팀이 원활하게 협업하고 의사소통 하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 Toolkit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을 고찰하고, 디자인 Toolkit 사례를 분석하여 개발할 린 UX Toolkit의 방향성과 차별성을 계획하였다. 이후 Toolkit을 개발하기 위해 프레임워크 작업을 진행하였다. 문헌을 연구하여 린 UX에 활용되는 방법론을 분석하고 목적에 따라 분류하였다. 분류된 방법론 중 가장 활용도가 높은 방법론을 선정하였고 이를 Toolkit으로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한 Toolkit의 사용성 및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개발한 유연적 린 UX Toolkit(Flexible Lean UX Toolkit)은 목적에 따라 가장 활용도 높은 방법론을 제시해 줌으로써 빠르고 쉽게 린 UX 방법을 활용할 수 있으며, 팀원 혹은 개인의 역량을 고려하여 방법론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방법론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탬플릿을 제공하여 팀원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점으로 유연적 린 UX Toolkit은 스타트업 기업에서 린 UX 방법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대기업의 프로젝트 팀(Task Force, TF) 등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