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방행정사무 일원화에 대한 연구

        김상만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2017, the National Fire Agency has been opened as an independent agency and expanded its fire fighters, but discussions on the pros and cons of national fire officials continued and public consensus was formed on the "National Fire Service" in Gangwon-do on April 4, 2019. As a result, on April 1, 2021, more than 52,500 fire fighters have been operating under a dual system of state and local officials for the first time in 47 years since the enactment of the Local Public Officials Act 1973. Based on the stability of the organization, the government intends to put public safety first by narrowing the gap in fire fighting services by region and strengthening the nation's ability to respond to major disasters. Fire officials have now officially changed their status to state posts in April 2020. The reality of the fire department is that it is currently entrusted to the city and provincial governors to manage manpower. As a result, fire fighting activities, first aid, rescue activities, and life safety activities, which result in regional deviations, were not a pan-national response, while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train fire fighters were operated by region. The deviation of manpower and budget from region to region means the deviation of fire services provided by fire officials from region to region, which also violates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to be equal by the deviation of basic services provided by the nation. The national position of fire fighting will be a day when all citizens will receive equal fire service, and it will be a day when the safety of the Korean people will take a step further. Article 6 of the Fire Service Act, 'Fire fighting Decree or higher' is appointed by the president. Fire police officers or less shall be appointed by the head of the National Fire Agency, but may delegate some of the president's appointment rights to the head of the fire department or the governor of the city or province. Article 11 Only when the wording delegating authority to the city and provincial governors is deleted and welfare benefits for fire officials, appointment of fire officials, and training for fire officials based on common standards across the country will the full national position of fire officials be realized. It is expected that the entire nation will be able to experience national fire officials and the public will be able to experience the change of the Fire Service Act, recruitment of personnel, and improvement of the welfare of fire fighters. The national position of fire officials began in April 2020, but the full state position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Not only fire officials but also the people's national interest is needed, so research and support for the full national position of fire officials is needed.

      •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김상만 목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진로 교육의 가장 초보적이고 기초적인 인식 단계의 초등학교 학습 현장에서 진로 인식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진로 인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 가를 규명하고 연구 분석함으로써 진로 인식 단계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다는 취지에서 추진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효과를 보이는가? 둘째, 진로 집단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남․여 학생들간 진로인식 수준 향상에 차이를 보이는가? 이와 같은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문헌연구를 통해 진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였으며 연구 대상으로 목포의 Y초등학교 6학년 77명을 표집하여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전체의 사전․사후검사 비교에서 진로인식 하위척도의 결정성, 직업 세계의 이해, 직업 선택 등에서는 사전 검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비교에서 진로 인식 척도의 상위영역인 능력영역에서 태도영역보다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 남학생의 사전․사후검사 비교에서는 진로인식 하위척도의 결정성에서 사전검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실험집단 여학생의 사전․사후검사 비교에서 결정성, 계획성, 직업 세계의 이해, 직업 선택 등에서 사전검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program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cognition. The concrete qu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the career group-counsel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career cognition? Second, the effects ar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77 students of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in Mokpo city. And the career program was put into practice for the students of 38 experimental group. The career program lasted for 4 weeks. And pre and post test were administered. Th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subscales of determination and understanding of vocational world. Second,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subscales of determination in male students group. Third,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subscales of determination and planning in female students group.

      • 50kW 풍력블레이드 설계에 관한 연구

        김상만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소형풍력터빈(Small Wind Turbine)은 바람에너지로부터 동력을 얻어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기기를 통칭하며 독립형과 계통연계형 용도로 세계적으로 소형풍력터빈은 용량에 따라 구분하고 있으나 특별히 발전차액지원제도(Feed in Tariff) 정책에 따라 50kW 이하를 소형풍력터빈으로 별도 지정하고 있으며 소형풍력시장은 발전차액지원제도의 시행 여부에 따라 시장형성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소형풍력터빈은 독립형 전력시스템과 가전제품, 독립적인 적용및 에너지저장장치, 태양광, 소수력, 디젤엔진과 같은 다른 에너지기술을 조합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매력적인 대체품이다. 그래서 해외 선진국의 경우 전력 사용량이 많고 이산화 탄소를 줄이기 위하여 복합 시스템을 늘리는 추세이며 국내에서는 중앙전력망과 떨어진 도서지역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소규모 분산형 복합 발전시스템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청에 발간한 ‘2017년 중소중견기업기술로드맵(2017-2019)’에서는 풍력산업분야에서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전략 품목으로 소형풍력발전기와 풍력 로터허브를 선정하고 로드맵으로 제시하면서 국내에서 소형풍력터빈시스템 및 요소부품에 관련 연구 및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래서 연구목적은 풍력블레이드 제작법과 구조가 가능한 상업용 개발과정과 유사성을 갖도록 50kW 풍력블레이드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공력설계와 구조설계를 통해서 고효율 블레이드를 설계 및 3D 모델링하고 목함에 기반하여 제작된 몰드기법은 탄소섬유와 열경화성 수지인 유리섬유를 사용한 경량설계, 다중부목, 오목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채택한다. 수 작업형 시제품 제조법은 공기역학적인 평판형의 반복적인 설계를 통해서 단주기를 갖는 고밀도 형상 몰드를 사용하여 개발한 것이다. 5개의 블레이드 생산공정을 통하여 제작하고, 블레이드의 주요 구성요소는 IEC-61400-23 규정에 따라 설계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험하며, 개발된 블레이드를 갖는 풍력시스템은 성능 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EC 61400-12 규정에 따라 시험한다. 블레이드와 풍력터빈시스템의 시험결과는 상업 운전에서 요구되는 유효한 설계조건을 확인하였다. A small wind turbine is an electrical device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obtaining power from wind energy. Small wind turbines worldwide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capacity for stand-alone and grid-connected uses, but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feed in tariff, 50kW scale or less is separately designated as small wind turbines. The small wind power market, the market formation is greatly affect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feed in tariff. Small wind turbines are an attractive alternative for off-grid power system and electric home appliances, both as stand-alone application and in combination with other energy technologies such as energy storage system, photovoltaic, small hydro or diesel engines. Therefore, in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overseas, electricity consumption is high and the number of complex systems is increasing in order to reduce carbon dioxide. It is being used in a small-scale distributed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to supply power to island areas far from the central power grid. In the ‘2017 Technology Roadmap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2017-2019)’ published by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mall wind turbine and wind rotor hubs were selected as strategic item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wind power industry and presented as roadmaps. In korea,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small wind turbine systems and component parts are being revitalized. The research objective is to develop the 50kW scale wind turbine blades in ways that resemble, as closely as possible, the construction and methods of utility scale turbine blade manufacturing. The mold process based on wooden form is employed to create a hollow, multi-piece, lightweight design using carbon fiber and fiberglass with an epoxy based resin. A hand layup prototyping method is developed using high density foam molds that allows short cycle time between design iterations of aerodynamic planforms. A production process of five blades is manufactured and key components of the blade are tested by IEC 61400-23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sign. and also wind system with developed blades is tested by IEC 61400-12 to verify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blade and turbine system test showed the available design conditions for commercial operation.

      • 서비스 요인이 무료경로식당 이용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군포시를 중심으로

        김상만 한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군포시가 전국 최초로 2011년 4월 13일부터 만60세 이상 노인무료급식을 실시하였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고령자들의 욕구해소를 위해 연령을 5세 올린 만65세로 2012년 1월 1일 상향 시행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군포시 관내 무료경로식당 전체 4개소(군포시노인복지관 1개소, 지역사회종합복지관 3개소) 무료급식서비스를 받고 있는 3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2012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이며, 설문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남자 142명(39.0%) 여자 222명(60.1%)로 이중 독거노인이 148명으로 40.1% 차지하고 있으며, 학력은 전체의 26.9%가 초등졸로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26.0%로 고졸, 그리고 대졸이상은 13.1%로 그다지 높지 않았다. 무료경로식당 이용자 연령대는 80세에서 90세 사이가 36.0%로 가장 많았고, 이어 75세에서 79세 사이가 35.0%로 많았다. 혼인상태를 보면 기혼자가 45.5%, 월 소득이 없다는 응답자는 30.1%, 주수입원이 용돈에 의존한다고 한 노인은 전체응답자의 37.9%, 주거형태는 아파트 등 자가 소유자가 전체의 55.7%, 영구임대 등 거주자는 44.3%로 건물에 대한 소유자가 더 높게 나타났다. 과거의 직업은 자영업이 24.9%로 가장 많았고, 생활보호는 일반노인(60.2%)이 기초수급자(24.2%)보다 훨씬 이용이 많았다. 군포시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동별로 보면 산본1동이 21.8%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노인복지관이 가까운 군포2동, 군포1동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연령자격에 대해서는 70세 이상이 60.1%로 절반이 넘었으며, 대기자 해소를 위한 질문에 현행체제 유지를 55.3%, 대기자 해결책을 시에서 제시할 경우에 따를 것인가 질문에 29.3%는 협조하는 반면, 70.7%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군포시노인복지관 및 사회복지관 이용자의 주 이용횟수는 주5회가 38%, 주4회가 29%로 1주일에 4회 이상이 67%로 이용횟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희망배식시간은 현행유지가 78.1%로 가장 높게 응답하였고, 무료경로식당을 이용하기 위해 오전10시 이전에 번호표를 뽑고 대기하는 노인이 54.0%, 주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도보가 49.7%, 노인복지관 버스가 30.5%를 차지하고 있었고, 노인복지관 이용하는데 있어 소요시간은 87%가 30분 미만에 가까운 거리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료경로식당 이용하는 노인에 대해 전반적인 만족도에 알아본 결과, 매우 만족이 26.0%, 만족 44.1%로 전체 응답자에 70.1%가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경로식당 접근성, 메뉴 다양성, 음식의 맛, 직원의 친절도, 공간과 시설의 쾌적도, 소득수준은 유의수준 0.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방선거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 2006년 경남도지사 선거를 중심으로

        김상만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의 지방선거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로 특히 유권자의 후보자선택 요인을 바탕으로 유권자시장 세분화전략과 선거마케팅믹스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마케팅의 이론적 영역을 확대하고 나아가 선거마케팅의 활용방안을 시도하고자 한다. 또한 이런 연구를 통해 아직도 구태의연하고 국민의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는 한국 선거마케팅의 과학화와 선진화를 위한 작은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권자가 후보자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요인들이 주로 유권자에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마케팅적인 시각에서 접근하였는데, 선거마케팅이론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5·31지방선거에 있어 경남도지사 선거를 대상으로 유권자세분화전략과 선거마케팅믹스전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비영리분야인 정치 분야에서도 마케팅적 개념이 충실히 적용될 수 있으며 실제 선거상황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목표 달성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여론조사와 미디어전략이 강조되는 현대선거에 있어 마케팅개념의 활용 정도는 선거 결과를 좌우할 만큼의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1. 둘째, 미디어의 발달로 캠페인 비용이 상승할 수밖에 없는 현대 선거에 있어 제한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마케팅의 기본 개념을 넘어서 마케팅의 구체적 기법을 얼마나 정확하게 효과적으로 활용하느냐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다시 말해서 마케팅의 여러 가지 전략·전술을 실전에 활용할 것인지의 문제가 정치마케팅의 주요한 문제로 대두되는 단계에 이르렀다. 셋째, 한국의 선거문화도 표적 유권자층의 선정전략이나 후보의 이미지에 따른 캠페인전략의 수립과 같이 정통적 의미의 마케팅기법이 실제 선거에 활용되기 시작하고 향후 선거에 있어서 이런 경향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란 것이다. 넷째, 보다 정교한 유권자세분화전략과 마케팅믹스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보다 세밀한 여론조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즉, 유권자의 심리적, 정치 행태적 변수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면 본격적인 마케팅 개념을 선거운동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유권자세분화전략의 실제 분석을 통해 표준화전략과 구분되는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선거 마케팅믹스전략 연구를 통해서는 제품전략과 촉진전략이 점차 과학적으로 수립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여섯째, 선거 마케팅개념의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우리 선거문화는 여전히 지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본격적인 정치마케팅의 활성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선거마케팅전략 수립 시 후보자의 강점과 연결 지을 수 있는 표적 유권자의 선정에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유권자 세분화를 통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선거 마케팅전략의 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Today, scientific and strategic management being emphasized at any part of our society, the theory of marketing is being adopted in non-profit part. Effectiveness of marketing is getting more important especially in political organization which have very struggled competition and have to react effectively at situation which is rapidly changing. This thesis studied that how useful political marketing is and what the effectiveness is and the limitation is in our election. The result is follow. First, The Segmentation strategy divided by sex. A candidate, who had not been able to appeal to the female voter, gained high support rate through an emotional campaign strategy aimed female. Second, The Segmentation strategy divided by age. Definitely this increased support rate might be cause by strong supporting tendency toward an opposite party among 30's. Third, Campaign strategy by a candidate concept. At the 5·31 Local election race, each candidate camp, depending on a public-opinion poll, made the candidate concept and worked out a campaign strategy. Forth, TV debate strategy. In spite of coming out elector's big interest, TV debate strategy, which was placed on center of campaign strategy in the 5·31 Local election race, didn't largely affect support rate. So, after TV debating, there was an aspect that public emotion against an opposite candidate was raised. Last, The limitation of our political marketing. In spite of activation of political marketing strategy, voting tendency by regional feeling prevents development of political marketing. Also it keeps from developing of traditional and advanced political marketing strategy. Still there is a voting tendency by strong regional connection. But our election culture is being changed toward resonable and scientific way. In this point, we can be convinced the importance of political marketing strategy by a environment change such as setting up of a policy to meet a voter need, activating of a discussion culture, working out a scientific strategy through a public-opinion poll with participation of an expert and strengthen of a campaign by media and so on.

      • 지역공동체 섬김을 통한 교회활성화 방안 연구 : 새로남교회 중심으로

        김상만 장로회신학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지역공동체 섬김을 통한 교회활성화 방안 연구 - 새로남교회 중심으로 - 최근의 한국교회 모습은 한 마디로 ‘교회의 본질과 나아갈 방향’을 잃고 방황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부흥하고 성장하면 가장 먼저 한 일이 교회건물을 건축하고 외적인 측면에 치중하였는데 그 결과 교회는 세상의 신뢰를 잃고 영적권위도 무참히 무너져버렸다. 거룩하고 온전해야 할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가 세상으로부터 외면당하고 몰매를 맞고 식물인간이 되어 버렸다. 그렇다면 교회는 세상의 조롱과 비웃음 속에‘이렇게’끝나야 하는가? 세상의 신뢰를 잃고 영적권위를 상실한 채 식물인간이 된 교회를‘다시’회복하고 살리는 길은‘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지역공동체 섬김’을 통해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고 교회 활성화를 이루고자 한다. 필자는 2년 전 본 교회에 부임하였는데 교회 상황과 지역 상황을 분석하고 연구한 결과 본 교회를 활성화 시키려면‘선교하는 교회’로 변화시켜야 함을 알게 되었다. 특히‘지역공동체 섬김’을 통해 지역공동체와 소통이 절실하였다. 필자가 꿈꾸는 이상적인 교회는 섬김을 통해‘복음으로 지역의 소망과 기쁨이 되는 교회’를 이루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교인은 선교적 마인드로 변화되어야 하고 교회는 지역공동체를 섬기는 이웃이 되기 위해 세상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런데 본 교회가‘복음으로 지역의 소망과 기쁨이 되는’이상적인 교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먼저 교인들 간의 소통부재, 지역공동체와 소통부재, 그리고 지역공동체 섬김 및 선교적 마인드를 실천하기 힘든 장애요소들을 극복해야 한다. 그래서 필자는 이런 장애요소를 타개하기 위한 기초로 지역공동체 섬김에 대한 목회신학적 기초를 정리할 것이다. 먼저, 교회의 본질로서의 섬김을 정의한 후 지역공동체의 개념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나서 구약에서의 섬김과 신약에서의 섬김의 성서적 근거를 제시한 후,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섬김의 모델을 정리하면서 섬김의 역사적 근거를 제시할 것이다. 특히 세상과 교회의 섬김의 차이점과 지역공동체를 섬길 수 있는 섬김의 다양한 모델을 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루터, 칼빈, 야곱 슈페너와 진젠도르프, 본회퍼 등 종교개혁자부터 경건주의신학자, 현대신학자의 섬김에 대한 주요 신학적 견해를 정리하면서 섬김의 신학적 근거와 함께 본 교회가 지역공동체 섬김을 실천하는 신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필자는 4장에서 쿠르트 레빈 교수의 구조변화 이론의 3단계를 도입하여 장애요소를 타개해 나갈 것이다. 해빙단계에서는 다양한 변화를 통해서 교인들의 얼어붙은 의식을 깨뜨리는 작업을 시도하였으며, 변화단계에서는 당회와 함께 본 교회의 비전을 세우고 지역섬김위원회와 팀을 구성하였다. 재결빙 단계에서는 본 교회의 지역공동체 섬김을 실천할 때 이웃사랑 실천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틀로 김권수의‘이웃사랑 실천의 4가지 모델’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지역섬김위원회 규범과 본 교회의 지역공동체 섬김의 실천을 거시적인 관점으로 3가지 영역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본 교회의 지역공동체 섬김 실천의 신학적 근거와 적용모델의 유기적인 면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특히, 작은 교회의 지역공동체 섬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필자는‘지역의 작은 교회들의 협력’을 제시하였다. 필자는 마지막 5장에서 지난 2년 동안 본 교회의 지역공동체 섬김에 대한 평가를 기술하였다. 지역공동체 섬김이 교회를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는지, 지역교회의 협력이 지역공동체 섬김과 작은 교회들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었는지 평가하면서 본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평가는 필자, 당회, 성도, 지역교회 목회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지역공동체 섬김을 통하여 본 교회는 작은 교회에 불과하지만 교인들의 신앙이 동력을 얻어 먼저 예배가 활성화되었다. 작은 교회임에도 불구하고 지역을 순수하게 섬기는 공동체로 변화되기 시작하면서 복음도 담대하게 증거하는 공동체로 바뀌기 시작했다. 또 성도 간 교제가 풍성해지기 시작하면서 신앙훈련에 대한 동기부여도 강하게 일어났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교회의 본질인 지역공동체 섬김을 실천하면 아무리 작은 교회라 할지라도 반드시 교회가 활성화 되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지역공동체 섬김은 교회의 기능 가운데 봉사 영역에서 주로 이루어졌는데 앞으로 예배, 교육, 행정 등 교회의 다른 영역으로 실천이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지역공동체 섬김은‘통일시대 한국교회’회복과 부흥을 위한‘마중물 전략’이자 ‘그루터기 전략’이 될 수 있음을 필자는 마지막으로 제언하였다.

      • 닭고기 가격결정체계에 관한 연구

        김상만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닭고기산업은 1984년 가축계열화 생산 규정을 제도화하고 1990년 이후 계열화사업 진전을 통해 양적으로 높은 성장을 이루었다. 국내 닭고기산업은 크게 계열화사업체와 농가 및 유사계열화사업체를 통한 생산 및 유통구조로 나누어볼 수 있다. 현재 계열화사업체가 닭고기 산업에서 차지하는 시장점유율은 약 91%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계열화사업체 이외의 사육농가 및 유사계열화사업체(유통인)의 시장점유율은 약 9%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계열화사업체 중심의 닭고기 산업은 타 축종과 달리 도매시장 부재 등으로 기준가격이 불명확한 실정이다. 현재 닭고기가격 기준은 계열화사업체에 비해 시장점유율이 현저히 낮은 사육농가 및 유사계열화사업체(유통인)을 통해 시장에서 거래되는 생계가격을 기준으로 닭고기가격의 기준이 결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계열화사업체들도 현재 기준가격이 되고 있는 생계가격을 바탕으로 가격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제공되고 있는 닭고기 가격정보는 각 기관별 이해관계에 따라 차별화된 가격조사 대상 및 방법 등으로 인해 가격결정이 상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소비자 및 생산자 등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과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닭고기 가격결정체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닭고기 가격결정체계의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 이원화된 산업구조 하에서 시장점유율이 현저히 낮은 유사계열화사업체(유통인)이 결정하는 가격과 계열화사업체가 발표하는 가격으로 구분되어 닭고기시장 내 공식적인 기준가격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사계열화사업체(유통인)와 무등록 종계장 운영으로 인해 공급량 예측이 부정확하며 이로 인해 가격의 불안정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닭고기 가격의 기준이 되는 생계가격의 경우 소수의 유사계열화사업체(유통인)들의 의사에 따라라 결정됨으로써 계열화사업체의 생산원가가 실질적으로 반영되지 않아 부담이 증가될 수 있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마지막으로, 각 유통단계별 제공하는 가격정보 기준단위의 비통일성으로 닭고기 가격정보 및 단계별 가격에 혼란과 이용불편 등 다양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개선방안은 크게 5가지 나타났다. 첫째, 국내 닭고기산업의 9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계열화사업체의 도계가격을 중심으로한 합리적인 기준가격 설정이 필요하다. 즉, 소수의 유사계열사업체(유통인)가 생계가격을 기준으로 형성하고 있는 현재의 형태를 계열화사업체 중심의 도계육을 기준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계열화사업체 기준으로 전환할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반드시 생계가격을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경우 도계육에서 생산원가를 감하여 산출된 가격을 바탕으로 생계가격을 결정하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현재 변동성이 크고 예측 불가능한 수급체계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격변동성 완화를 위해서는 닭고기 가격안정대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유사계열사업체(유통인)의 역할 축소를 통하여 계열화사업을 확대함으로써 이원화된 가격결정체계를 단일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현재 유통단계별 단위의 비통일성으로 인한 가격결정체계 구축을 위한 닭고기 통합통계시스템의 구축마지막으로 향후 소비 증가가 예상되는 부분육과 육가공 시장 확대를 고려하여 생산원가 구조 및 도계비용 등에 대하여 명확한 기준설정 후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가격결정체계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 닭고기 가격결정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닭고기가격의 안정화에 이바지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국내 닭고기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The Broiler industry in South Korea has achieved high growth quantitatively since the livestock integration system whose production regulations were systemized in 1984, made progress in 1990. The industry in the n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production and the distribution structures through integrator, Broiler farms, and similar integrator. Currently, the market share of integrator in the Broiler industry stands at around 91 percent and that of Broiler farms and similar integrator(distributors) is about 9 percent. The Broiler industry, dominated by integrator, does not have clear standard prices partly because of the absence of a wholesale market unlike other animal species. The current standard prices for Broiler are determined based on retail prices for chicken traded in the markets through Broiler farms and similar integrator(distributors) whose market shar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integrator. It has been reported that integrator also determine prices based on the retail prices for chicken in the current markets. In addition, the current chicken pricing information has been made differently depending on survey respondents and methods in accordance with each organization's interest. This has caused consumers and producers to be conf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aising a question about the Broiler pricing system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statistical analysis. Also, ways to improve the system will be suggested. The problems with the Broiler pricing system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under the dual industrial structure, there are prices determined by similar integrator(distributors) whose market share is remarkably low and those announced by integrator. As a result, it is reported that official standard prices for Broiler do not exist in the market. Second, similar integrator(distributors) and unregistered Broiler farms have made supply forecasts inaccurate, which has caused deepening instability in the prices. Third, retail prices for chicken which are the basis for the standard prices for Broiler are determined by a small number of similar integrator(distributors). Accordingly, production costs of integrator are not applied, and therefore the burden can be increased. Finally, non-uniformity of unit price provided in each distribution stage causes various problems including confusion about chicken pricing information, prices by stages, and inconvenience. Five ways can be suggested to re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First, setting affordable standard prices, based on wholesale prices for chicken determined by integrator whose market share is 91 percent, is needed.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system where retail prices for chicken are determined by a small number of similar integrator(distributors) into a new one that is based on wholesale chicken of integrator. However, if necessary, retail prices for chicken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prices calculated by taking the production costs of the wholesale chicken into account. Second, to mitigate the price volatility that can arise under the current unpredictable supply system with great volatility, introducing price stability for chicken is required. Third, the dual pricing system needs to be unified by expanding the integration business through the reduction in the role of similar integrator(distributors). Fourth, a Broiler integrated statistical system for the uniformed pricing system is needed, which will lead to resolving non-uniformity of unit price provided in each distribution stage. Finally, introducing a new pricing system where prices are determined after setting clear standards for the structure of production costs and wholesale prices for chicken is required. Before that, expansion of markets for specific cuts of the meat whose consumption is expected to grow and processed meats also needs to be considered.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of Broiler prices by presenting problems of the Broiler pricing system in South Korea and ways of resolving them. Furthermore, this study is aimed at contributing to the Broiler industry in South Korea.

      • 창업기업의 기술관계능력과 창업자경험이 흡수역량, 기술준비도 및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상만 경일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세계 각 국은 창업활성화를 범국가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창업 활성화를 위해 여러 가지 제도와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그렇지만 창업기업의 5년 후 생존율이 29.0%으로 OECD국가 중 끝에서 두 번째로 낮은데 이는 인적, 기술적, 재정적 자원부족이 주원인이며, 생존과 성장을 위해서는 기술의 상대적 차별화를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창업기업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이 기술자원이라면, 기술자원의 특성과 창업전략의 효과성에 관심이 높아질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창업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하여 창업기업의 기술관계능력과 창업자경험이 흡수역량, 기술준비도 및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다. 이를 위해 창업기업의 기술관계능력, 창업자경험과 창업성과의 관계구조에서 흡수역량, 기술준비도의 매개적 특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 관계가 조절변수인 창업전략, 정부지원정책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 논문은 아래와 같이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기존의 문헌연구를 통해 기술관계능력, 창업자경험, 흡수역량, 기술준비도, 창업성과, 창업전략,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둘째, 각각 정립된 요인들의 특성과 관계성을 파악한 후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실증분석을 하고자 한다. 셋째, 본 논문을 통해 각 요인들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실증분석을 하기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도입하고, 본 연구모형을 근거로 설문을 만들었으며, 전국 청년사관학교 졸업자, 청년창업자금 및 일반창업자금을 지원받은 8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20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173부의 설문지를 근거로 IBM SPSS 23.0을 이용하여 타당성 및 신뢰성을 확인하여 먼저 적합성을 판명하였으며, 모형 적합성을 판정한 후 구조모형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확인된 가설검정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창업기업의 기술관계능력은 탐색흡수역량과 활용흡수역량 및 기술준비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창업자경험은 기술준비도 혁신활성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탐색흡수역량은 기술관계능력과 활용흡수역량 간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며, 기술관계능력과 재무성과 간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한다. 넷째, 활용흡수역량은 기술관계능력과 기술준비도 혁신활성변수 및 품질성과 간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며, 탐색흡수역량과 기술준비도 혁신활성변수 및 품질성과 간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한다. 다섯째, 기술준비도 혁신활성변수는 기술관계능력과 품질성과, 창업자경험과 재무성과, 탐색흡수역량과 품질성과, 활용흡수역량과 품질성과 간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한다. 여섯째, 창업기업의 기술관계능력, 창업자경험과 흡수역량, 기술준비도 및 창업성과 간의 영향력은 창업기업의 신제품혁신우위전략 수준, 정부지원정책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ecnnology-related capacity and CEO experience of start-up on absorptive capacity, technology readiness and start-up performance. For an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formul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collected the effective questionnaires of 173 respondents through countrywide e-mails surveys for start-up companies. As the results of analysis, tecnnology-related capacity of start-up has influences on exploration absorptive capacity, exploitation absorptive capacity and technology readiness. And CEO experience of start-up has influence on contributors of technology readiness. The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exploration absorptive capacity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tecnnology-related capacity and exploitation absorptive capacity. And exploration absorptive capacity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tecnnology-related capac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Moreover, exploitation absorptive capacity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tecnnology-related capacity and contributors of technology readiness. And exploitation absorptive capacity also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tecnnology-related capacity and quality performance. Additionally, exploitation absorptive capacity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exploration absorptive capacity and contributors of technology readiness. And exploitation absorptive capacity also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exploration absorptive capacity and quality performance. Contributors of technology readiness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tecnnology-related capacity and start-up performance. And Contributors of technology readiness also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exploitation absorptive capacity and start-up performance. Start-up strategy to new product innovation has moderating effect among tecnnology-related capacity of start-up, absorptive capacity, technology readiness and start-up performance. Government support also has moderating effect among tecnnology-related capacity of start-up, absorptive capacity, technology readiness and start-up performanc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ecnnology-related capacity of start-up is important to enhance strrt-up performance. In addition, CEO experience of start-up has influence on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tart-up.

      • 예술심리치료를 적용한 이야기심리학이 내담자에게 미치는 효과연구

        김상만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심리치료를 적용한 이야기심리학이 내담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1장 서론에서는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선행연구, 연구의 설계와 절차,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그리고 기본적인 용어를 설명한다. 2장 본론에서는 이야기심리학과 예술심리치료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연구방법으로 연구대상, 연구도구, 연구방법과 절차, 자료처리 및 분석,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을 밝힌다. 이어 연구결과로서 두 가지 차원에서 연구 내담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과 연구결과 분석을 시도한다. 연구결과분석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첫 번째 분석은 매카담스가 제시한 14가지 질문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을 살펴보는 각 질문별 분석과 6명의 내담자가 14가지 질문에 대해 각 개인이 어떻게 표현했는가를 살펴보는 내담자별 분석을 시도한다. 이어 연구의 종합적 이해로 2장을 마무리한다. 이어서 3장에서는 결론 및 제언으로서 연구 결과의 요약과 해석, 결론,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및 제언,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 한다. 매카담스의 14개의 질문은 첫째는 인생을 책으로 생각하고 각 장으로 나누고 제목을 붙이는 것이고, 둘째는 삶에 얽힌 8가지 중요한 사건을 회상하게 하고, 셋째는 영향을 준 주요 인물들, 넷째는 미래의 설계, 다섯째는 풀리지 않는 문제, 여섯째는 신념과 가치관, 일곱째는 삶의 대 주제에 대해서 말하게 한다. 두 번째 항목인 삶에 얽힌 8가지 중요한 사건을 회상하는 부분은 다시 다음의 8개 항목으로 나뉜다. 삶에 있어 최상의 경험, 최저의 경험, 전환기 경험, 최초의 기억, 어린시절 기억, 청소년기 기억, 성인기 기억 및 그 밖의 기억 이야기가 그것이다. 따라서 매카담스의 이야기 인터뷰는 총 14개의 질문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연구결과로서 6명의 내담자들은 14회기 동안 14가지 질문을 그림과 글 및 면담을 통해 표현함으로서 마음이 후련했다고 증언한다. 이를 종합해서 정리하면 첫째, 상담 과정을 통해 새로운 자신감을 찾게 되었다. 둘째, 막연하고 추상적이었던 자신에 대한 느낌들이 객관화되고 종합되어지고 연속성을 갖는 하나의 이야기로 체계화됨을 느꼈다. 셋째, 자신의 삶의 이야기 안에 깃들인 방어적 장애물의 모습들을 보다 구체화시킬 수 있었다. 넷째, 과거의 사건들에 대한 회상이 곧 현재와 미래의 삶에 대한 목표들과 밀접하게 연관되고 있음을 느꼈다. 다섯째, 이는 곧 삶의 소명감에 대한 새로운 눈뜸으로 연결됨을 깨닫고 미래에 대한 새로운 설계를 해볼 수 있었다. 여섯째, 삶의 순간마다 깃들여진 만남과 관계들이 우연이 아닌 사건들로 인식되어 졌다. 일곱째, 과거를 회상함으로서 까마득히 묻혀진 기억들을 새롭게 기억해 내는 과거의 현재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여덟째, 지금의 나의 모습은 과거로부터 연속되어진 시간과 사건들의 연속체임을 깨닫게 되었다. 아홉 번째, 자신의 이야기를 회상해 봄으로써 자신의 이해뿐만 아니라, 인간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 열 번째, 삶의 전환기마다에 자신의 선택들이 중요한 계기들을 이루어 왔음을 깨닫게 되었다. 열 한 번 째, 나의 이야기는 가족을 비롯한 공동체 안에서의 이야기임을 깨닫게 되었다. 열두 번째, 나의 이야기를 말 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카타르시스효과와 감정 분출의 효과를 경험할 수 있었다고 진술한다. 내담자의 진술을 토대로 정리된 내용을 보면 자신의 이야기를 그림과 글, 그리고 언어로 표현함으로 서 새로운 자기 인식과 변화의 가능성을 찾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야기심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NAP(Narrative-Arts Psychotherapy) 는 내담자의 이야기를 보다 더 선명하고 분명하게 하고 제시된 질문을 통한 자기이해가 확실하게 되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그림을 통한 예술심리치료를 적용함으로서 그림은 문(Gate)으로서 이야기의 실마리를 제시하는 역할뿐 아니라 이야기의 넓이와 크기 모양 및 색깔을 선명하게 내담자나 연구자에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림은 보다 안정적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하도록 하는 중요한 이정표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그리고 NAP는 이야기의 성숙성이 보다 더 잘 드러나게 하는 특징을 가졌고 이야기 내용에 대한 성숙성의 정도를 이야기와 그림을 함께 봄으로서 더 확고하게 분석내용을 알게 해 주었다. 앞으로 예술심리치료를 적용한 이야기심리학이 미치는 효과 연구에 있어서 시도 해 볼만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고 생각한다. 첫째, 여성 내담자 뿐 아니라 아동과 청소년, 또는 노인, 남성 등으로 내담자 층을 넓히는 것이다. 둘째, 이번 연구에서처럼 바탕색을 제시하거나 크레파스, 물감, 파스텔 등 제한된 매체뿐 아니라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시도가 가능하리라 본다. 셋째, 집단상담의 형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리라 본다. 집단을 통해 상호 신뢰감이 형성되게 되면 이야기가 더 풍성해 질 것이고, 집단원의 공감으로 편안함을 느낄 것이며, 서로의 문제를 나눔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매카담스의 14개의 질문을 부분적으로 선택해서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First, this study is described the subject proposal, the purpose of study, the preceding studies, the plan and procedure of study, the limits of study and the definition of basic concepts in the chapter 1 of introduction. In the chapter 2 of main discourse, it consist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object, the method, the analysis of study Also there are the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 and the result for the object of this study. Concerning the analysis of the result, it includes the analysis of 14 questions suggested McAdams and the clients' responses for these questions in the chapter 2. Finally, in the chapter 3 of the conclusion, it consists of the result, the summary of study and succeeding study The 14 questions of McAdams are the classification of the life chapter, the important memories of life, the important mentor, the planning future, the stress, the world view and the title of life. And the question of the important memories includes of the following 8 subjects. Peak Experience, Nadir Experience, Turning Point of life, Earliest Memory, Childhood Memory, Adolescent Memory, Adult Memory and Other Important Memory. In the result of study, the 6 clients felt refreshed better through expressing by drawing, writing and talking about above 14 questions for 14 sessions. The summary of the clients' responses is like as below. First, they got pried of themselves through this work. Second, they felt the objectification of their feelings which were organized to a life story with sequence. Third, the troubles in their life stories could be concrete. Fourth, they found that the reflection of past memories was related the goal of present and future. Fifth, they became able to make a plan for the future with a new insight. Sixth, they experienced the Catharsis and Spouting Effect. From a point of view of Narrative Psychology, the client can get the self-understanding by NAP(Narrative-Arts Psychotherapy) and from applying Arts Psychotherapy, the client can express one's story easily and safely by the 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