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체육과 도전영역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김관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dern society has entered an information society, and we live in a world where everything in our lives is combined with IT.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made coding education mandatory in the curriculum, and software education is taking place in elementary schools. Mobile applications emerged as a good teaching and learning tool that can be used for self-directed learning because they can be used anywhere and anyone can use them. Both teachers and learners are living in a world combined with IT, but studies on the practical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mobile applications in physical education are still lacking. This is because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is still perceived as a subject centered on physical activity and is far from smart devices or mobile ap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bile application that enabl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elf-direct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and challenge activities, so that learners receive individual feedback, who record their learning, and provide customized classes focused on individual records to self-directly learn physical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eories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were analyzed, and prior studies of educational mobile applications for education in other subjects and physical edu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 mobile applica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challenge activities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the Play Store by analyzing the competencies, content system, and learning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setting it as the content of the application, using Android Studio in Java. In addition, a teaching-learning guide for the challenging areas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using a mobile application was developed. The main menus of the developed mobile application consist of 'Physical Education HAJA', 'Safe HAJA', 'Record HAJA', and 'Capture HAJA'. ‘Physical Education HAJA’ is a menu that displays what the learner has learned intuitively at a glance. It displays the number of times exercised, the date of the most recent study, and the most recently performed exercise. 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motivate self-directed learning an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while sharing with all external applications that allow sharing by capturing one's learning content with the sharing function. 'Safety HAJA' is designed to prepare for and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that may occur during activities, including warm-up exercises, cleanup exercises, first aid, and CPR. 'Record HAJA' is presented by grade and by activity, and is organized so that students can select activities they want and learn independently. In the case of distance/speed challenge, the result value is recorded and stored, feedback is received, and a graph is displayed so that the state of growth can be immediately confirmed. It is recorded and stored in a format so that appropriate feedback can be received. In the case of movement, target/speculative challenge, the learner records and stores self-assessment as a star based on the captured movement,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ppropriate feedback. 'Capture HAJA' is designed so that you can directly select and collect your own active photos and videos, and if you don't have any photos or videos, you can select them and shoot them right away. The teaching-learning guide for the challenge area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using the mobile application was developed by dividing into speed challenge, distance challenge and motion challenge, target/speculation challenge. The teaching-learning guide for speed challenge and distance challenge was developed so that learners can use mobile applications to accumulate their own records, see changes in records, and give feedback on their own. The motion challenge, target/speculative challenge teaching-learning guide was developed to enable learners to self-feed back while viewing their motions captured using a mobile application, and to enable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self-evaluation using stars.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can receive individual feedback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fter school, at home, social distancing, and remote classes,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challenging activities. In addition,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educational mobile applications that can be used in physical education subject in subsequent research will be developed and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현대 사회는 정보화 사회에 접어들었고 우리는 삶의 모든 것이 IT와 결합한 세상에 살고 있다. 교육부는 교육과정 속에 코딩교육을 의무화하였고,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고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자기 주도적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좋은 교수학습 도구로 떠올랐다. 교사와 학습자 모두 IT와 결합한 세상 속에서 살아가고 있지만, 체육교과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질적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는 아직 체육교과를 신체활동 중심의 교과로만 인식하고 스마트기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거리가 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체육과 도전영역을 학습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학습자가 개별 피드백을 받으며 학습을 누가 기록하여 개인의 기록에 집중한 맞춤형 수업을 제공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체육을 학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관련 이론을 분석하고 다른 교과와 체육과의 교육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체육과 역량과 내용 체계, 학습 내용 등을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으로 설정하여, 자바언어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체육과 도전영역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플레이스토어에 배포하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초등학교 체육과 도전영역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메뉴는 ‘체육HAJA’, ‘안전HAJA’, ‘기록HAJA’, ‘촬영HAJA’로 구성되어 있다. ‘체육HAJA’는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직관적으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종합하여 표시하는 메뉴로 운동 횟수, 최근에 학습한 날짜, 최근에 한 운동을 표시한다. 또한 공유하기 기능으로 본인의 학습 내용을 캡처하여 공유하기를 허용하는 모든 외부 어플리케이션으로 공유하면서 자기 주도적 학습에 동기를 부여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안전HAJA’는 준비운동, 정리운동, 응급처치, 심폐소생술에 관한 내용을 담아 활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상황에 대비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기록HAJA’는 학년별, 활동별로 제시하여, 본인이 원하는 활동을 선택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거리·속도 도전의 경우 결괏값을 기록·저장하며 피드백을 받고 그래프로 나타내어 성장하는 모습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동작·표적/투기 도전의 경우 촬영한 동작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자기평가를 별점으로 기록·저장하며 알맞은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촬영HAJA’는 자신의 활동사진과 동영상을 직접 선택하고 모아서 볼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였고,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이 없다면 선택하여 바로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초등학교 체육과 도전영역 교수학습 지도안은 속도 도전·거리 도전과 동작 도전·표적/투기 도전으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속도 도전·거리 도전 교수학습 지도안은 학습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자신의 기록을 누적하고 기록의 변화를 보며 스스로 피드백하도록 개발하였다. 동작 도전·표적/투기 도전 교수학습 지도안은 학습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촬영한 자신의 동작을 보며 스스로 피드백하고, 별점을 활용한 자기평가를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학습자가 체육수업· 방과 후·가정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원격수업의 환경에서도 개별 피드백을 받으며 초등학교 체육과 도전영역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 체육교과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체육수업이 질적으로 발전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자동차 정션 블록의 열적 특성 및 진동 특성에 대한 수치 해석적 연구

        김관희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정션 블록의 강건 설계를 위하여 수치 해석적 방법을 통해 문제점을 검증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정션 블록은 차량 내 전류 분배와 통신, 바디 제어를 담당하는 부품이며 과도한 발열로 인한 열화, 진동으로 인한 파손 문제가 주로 발생한다. 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열 유동 해석과 진동 해석 방법을 개발하였다. 정션 블록 구성요소에 대한 발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퓨즈, 릴레이에 대한 시편을 제작하여 온도 상승 시험을 실시하였고 동일조건의 해석을 진행하여 물성을 구축하였다. 열 유동 해석을 위해 정션 블록의 복잡한 형상을 단순화 하고 전류의 흐름에 따라 근사모델을 구성하였다. 열 유동 해석 한 결과 시험 값과 평균 2.17℃, 최대 6.88℃ 오차가 발생하였다. 진동해석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인장 및 피로시험을 수행하여 물성치를 확보하였다. 모달 해석을 통해 고유진동수를 도출하고 랜덤진동해석으로 수명을 예측하였다. In this thesis, it was proposed to verify the problem by means of numerical analysis for the robustness of the vehicle junction block. The junction block is the part of the vehicle that is responsible for the distribution of current, the communication and the body control, and is usually damaged by excessive heating and vibration due to excessive heating. Analysis of heat flow and vibration analysis method is developed in order to prevent it in advance. In order to verify the heating characteristics of the junction block components. A specimen was produced by producing a temperature increase test for the purpose of the fuse, relay.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e same conditions to construct the properties. Heat flow analysis for the junction block wa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power and simplify complex features of the approximate model configuration. The result of analysis indicates that average error was 2.17℃, maximum error was 6.88℃. In the case of vibration analysis, the tensile and fatigue testing of engineering plastics was performed to obtain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Through the modal analysis, a natural frequency was derived, prediction of life cycle through the random vibration analysis.

      • 효율적인 석면 관리방안 마련 연구

        김관희 광운대학교 환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지구환경보호 측면에서 유해폐기물 처리에 대한 규제법이 강화되면서 재개발 등 건축물의 철거공사에서 발생되는 석면 분진폐기물 처리에 대한 처리 방법이 강화되었다. 유해폐기물 중 특히 석면은 내 알칼리성과 내 산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생체 내에서는 같은 형태를 유지 하며 오래 잔류하므로 호흡기에 흡입되면 석면 폐증, 폐암, 악성 중피종 등과 같은 불치의 직업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임상연구와 역학연구에서 위험을 가진다는 석면은 건축물 사용에서 철거에 이르기까지 석면분진이 다량 발생하는데 석면함유 여부를 식별하기가 곤란 하고 석면함유 제품에 대한 현황 파악이 제대로 되지 않아 처리에 대한 어려움과 경제적인 규모가 작기 때문에 기업 경영의 어려움으로 가증되고 있어 정부의 시급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석면 제조, 사용 허가 사업장에 대한 효율적인 석면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하여 석면 시멘트 제품군 및 석면마찰 제품을 제외한 석면을 사용하는 제조, 사용허가 사업장에 대한 관리실태 등을 파악하여 석면대체물질 활용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석면함유 제품을 비석면제품으로의 대체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 합리적인 석면함유제품의 금지 및 법규개정의 근거 자료로 활용하기위하여 국내 석면사용 중지계획 등 구체적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고형시료에서 분석된 석면의 종류는 백석면이 21개중 19개 시료에서 검출되어 90.5%였고 천장재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2) 법적인 기준을 중심으로 허가를 득하여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나 현장 에서는 허가기준에 따라 실행이 되지 않고 있었다. (3) 작업 전, 작업 중 공기 중 석면 농도 비교에서는 작업 중 농도(0.0074 개/㎤)가 작업 전 농도(0.0013개/㎤)에 비하여 6배 높게 분석 되었다. (4) APT, 학교, 상가. 주택으로 구분된 건물 형태별 작업자 석면노출 평균` (5) 건물건립연도에 따라서는 석면해체, 제거 시 공기 중 석면 농도에 차이가 없었다. (6) 석면의 해체, 제거방법에 따라 공기 중 석면농도에 큰 차이가 있었으며 T자형, ㄱ자형 도구이용 시 높게 분석 되었다. (7) 직무별 석면 해체, 제거 작업자 노출농도에서는 직접 석면 해체, 제거를 담당하는 작업자 들이 건물 해체 작업에 임하는 살수작업자, 정리 작업자, 포크레인 운전자 보다 높은 농도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석면해체, 제거작업에서의 공기 중 석면 농도는 0.001∼0.34개/㎤로 낮은 농도의 시료가 많았으며 그 농도 범위가 해체방법과 공간의 크기에 따라 매우 크고, 작업장에 따라 노출 기준의 3배를 초과하는 작업장이 있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9) 외곽지역(fence)의 농도는 0.001∼0.003개/㎤로 낮은 수준 이었으며 해체 장소와의 거리 때문에 농도에 차이가 있었다. (10) 석면에 대한 8개항의 이해도 조사에서 근로자들의 석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다. The regulation law for a global environment protection was strengthened whole world about hazardous waste. And the treatability was strengthened about the asbestos dust disposal of waste which occurs from removal public corporation of the redevelopment etc. building. In the hazardous waste maintains the form where the asbestos is same specially from within the organism and remains long. Therefore, becomes the cause of many kinds malignant disease. The asbestos dust occurs plentifully in the building at the time of use and removal. The asbestos control is difficult and give a difficult in corporate management. Therefore, the countermeasure urgent is necessary to the government This research for the asbestos management plan preparation which is efficient grasped the management actual condition of the asbestos and under the foundation data security of asbestos substitution material application. Also, investigated concretely in order to apply with ground data of law revision the product which contains the asbestos The next is result of this research. (1) The chrysotile was detected from 19 specimen (sample : 19/21, 90.5%) and most plentifully re-from ceiling. (2) The permission is legal. But according to permission standard does not become the execution from site. (3) The concentration of working time (0.0074/㎤) was 6 times highly analyzed compare to the concentration of before working (0.0013/㎤) (4) The building form asbestos exposure average concentration the house (0.04/㎤) was highest, and the house (0.002/㎤) was lowest. (5) According to building erecting year there was not a difference to asbestos consistency. (6) According to dissolution of the asbestos and removal method there was a big difference to asbestos consistency in air. (7) The work person capacity which takes charge of a direct asbestos dissolution and a removal with the fact that is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 (8) The asbestos concentration in air from asbestos dissolution and removal work the specimen of low-end consistency was many with 0.001∼0.34/㎤ and the consistency scope according to dissolution method and size of space is very different. (9) Concentration of the angle area (fence) distance because with the dissolution place to be a low-end level with 0.001∼0.003/㎤ there was a difference to consistency. (10) About the asbestos from this chart investigation of 8 opening the gain and loss was insufficient about the asbestos of workers

      • 항공기 비행시간 분석을 통한 인천공항 주기장 운영 효율성 증대방안 연구

        김관희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천공항은 2005년부터 2013년까지 9년 연속 공항서비스평가(ASQ) 1위를 달성함으로써 세계 공항운영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01년 3월 개항과 더불어 인천공항의 주기장은 해외 선진공항의 주기장운영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운영되었다. 그리고 2008년부터는 축적된 운영노하우를 바탕으로 자체개발한 주기장운영지원시스템인 운항정보관리시스템(FIMS)을 바탕으로 항공기 주기안정성과 탑승교 주기장 활용도를 고려하여 주기장 배정 및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천공항은 주기장운영지원시스템(FIMS)을 이용하여 익일 주기장 배정시 항공기 스케줄 시간 기준으로 배정을 하고 있는데, 당일 주기장 운영시 항공편이 집중하는 피크시간대는 항공기 예상도착시간이 반영되지 못해 주기장 운영시 어려움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당일 주기장 운영에는 FIMS의 항공사 시간정보를 통해 항공기 예상도착시간이 반영되지만 주기장 운영 효율화 및 안정화를 위해 항공기 비행시간 특성을 파악한 예상도착시간 정보를 근본적으로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정한 지역에서 출발한 항공기는 계절풍이나 바람방향 특성상 월별로 비행시간의 차이가 발생하며, 비행시간의 차이는 결국 항공기 도착시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자 인천공항에 취항하는 노선별로 항공기 비행시간에 대한 패턴을 조사하였고, 월별로 항공기 비행시간이 일정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인천공항을 취항하는 항공사의 출발지 공항에서 인천공항까지 비행 소요시간을 분석함으로써 주요도시별로 계절풍 및 바람의 방향에 의해 월별로 차이가 나는 항공기예상도착시간의 패턴을 조사하여 주기장운영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최근 3년간 인천공항 취항실적 기준 일 1편이상인 취항도시 67도시를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고, 8개 지역(중국, 동남아, 일본, 미주, 유럽, 동북아, 대양주, 중동)으로 나누어서 지역별, 도시별, 월별, 기종별 비행시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미주, 대양주, 일본, 유럽의 경우는 하계시즌 대비 동계시즌이 항공기 비행시간이 증가되었고, 평균 비행시간은 미주 40분, 대양주 26분, 유럽 18분, 일본 18분 정도의 차이가 최대 발생되었다. 중국, 동남아, 동북아, 중동의 경우 동계시즌 대비 하계시즌이 비행시간이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으며, 평균 비행시간은 중국 10분, 동남아 15분, 동북아 15분, 중동 36분 차이가 났다. 비행거리가 긴 지역일수록 비행시간의 차이폭이 컸다. 이와 같은 비행시간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기장 배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행시간과 연계한 항공기 예상도착시간을 파악해야 한다. 특정편의 예상도착시간을 알아야 주기장운영지원시스템(FIMS)을 통해 실제적으로 항공기를 특정 주기장에 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시간차이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월별 항공기 비행시간과 실제도착시간을 비교한 자료를 같이 연계하여 주기장을 배정해야 한다. 항공기 제조사별, 기종별로도 비행시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보잉사의 경우 B747(E급)>B777(E급)>B767(D급)>B737(C급) 순으로, 에어버스사의 경우는 A380(F급)>A330(E급)>A321(C급)의 순으로 비행시간이 짧게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객기중 최대기종인 에어버스사의 A380은 보잉사의 E급 항공기보다 비행시간이 다소 걸리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도시)별로, 기종별로, 월별로 항공기 비행시간은 일정한 차이가 있다는 점이 증명되었고, 항공기 비행시간과 예상도착시간을 연계하여 실제 주기장 배정 및 운영업무에 적용시켜 공항 이용객, 항공사, 조업사, 공항관련기관들의 만족도가 증진되고 전체적으로 인천공항의 서비스가 향상되기를 기대해 본다.

      • 머신러닝을 활용한 이커머스 환경의 고객 행동 기반 분류 연구

        김관희 中央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풍부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대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고객들을 행동들을 분석하고 고객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업과 기관에서는 고객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및 학습하여 고객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최근 CDP(Customer Data Platform)의 등장으로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고객의 단일 프로필 생성, 분석, 추적, 관리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발전해 왔다. 특히 이커머스 시장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커머스 환경의 고객의 분석 및 분류에 관한 선행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고객의 분류를 하기 위한 RFM 모델은 여러 산업분야에 적용되어 간단한 방법으로 최근성, 구매 빈도, 구매 총 금액 속성을 기준으로 고객을 간단하게 분류를 할 수 있는 모델이지만 이커머스 환경의 고객은 24시간 언제든지 접속할 수 있으며 고객의 여러 행동들의 데이터 수집 및 저장하고 반영한 고객의 행동 기반 분류에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커머스 환경에 적합한 고객의 데이터, 세션, 행동 단위의 데이터를 모델링하고 고객을 분류하는 MLCB2SC(Machine Learning based Customer Behavior Segmentation System in e-Commerce)를 제안한다. 이커머스 환경에 적합한 고객 행동 기반 세분화 분류의 RFMVDA & VDAR 모델을 제안하고 DNN를 구성하여 제안한 모델로 고객의 행동 기반 분류 및 예측하였다. 이커머스 환경에서 구매한 고객의 세분화 예측 정확도는 92.98%, 구매하지 않는 고객의 세분화는 87.33%의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To analyze customers' behaviors and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o customers using machine learning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es and institution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collect, analyze, and learn customer data to provide optimal services to customers. With the recent advent of CDP (Customer Data Platform), it has evolved into a software platform that continuously stores customer behavioral data and analyzes it from various perspectives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nalyzing, tracking, and managing a single customer profile. As the e-commerce market has increased worldwide, prio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customers in the e-commerce environment. The RFM model for customer classification is a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to simply classify customers based on recency, purchase frequency, and total purchase amount attributes in a simple way, but customers in the e-commerce environment are It can be accessed at any time, and there is a limit to the behavior-based classification of customers that collects, stores, and reflects data on various customer behaviors.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MLCB2SC (Machine Learning based Customer Behavior Segmentation System in e-Commerce) that models customer data, session, and behavioral unit data suitable for e-commerce environment and classifies customers. RFMVDA & VDAR models for classification based on customer behavior suitable for the e-commerce environment were proposed, and a DNN was constructed to classify and predict customer behavior based on the proposed model. In the e-commerce environment, the segmentation prediction accuracy of purchasing customers was 92.98%, and the segmentation of non-purchasing customers was 87.33%.

      • 空調 덕트 設計法의 比較 硏究

        김관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기조화용 덕트 설계법에는 등압법, 정압재취득법, 등속법, 전압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정압재취득법이 등압법과 비교하여 소요동력이 절약되고, 정압재취득법의 문제점을 보안한 것이 전압법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국내의 설계사무실등에서의 덕트 설계는 시설비가 적고 덕트 사이즈가 적어지며 설계시간이 적게 소요된다는 이유에서 등압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등압법 사용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으리라 판단된다. (1) 적당한 풍량을 적당한 방법으로 배분하여 준다는 근본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2) 소요 동력이 커져서 에너지 비용이 많아진다. (3) 장기적으로는 등압법 설계가 비경제적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효율적인 공기조화 설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조화용 덕트의 설계를 등압법, 정압재취득법, 등속법과 전압법으로 사무소 건축물의 공기조화 덕트 모델에 대하여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첫째, 전압법과 정압재취득법이 등압법과 비교하여 동압이 크다. 둘째, 마찰저항에 따라 소비전력이 달라질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마찰저항 0.2 mmAq 적용시는 송풍기 전력이 전압법과 정압재취득법이 등압법보다 작지만, 마찰저항 0.1 mmAq 적용시는 오히려 송풍기 전력이 전압법과 정압재취득법이 등압법보다 크게 나타났다. 셋째, 등속법은 덕트내의 속도가 가장 빠르므로 덕트의 규격이 작지만, 상대적으로 다른 설계법과 비교하여 소비전력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넷째, 덕트 설계 시간은 전압법과 정압재취득법에 비해 등압법이 짧다. 다섯째, 분기 댐퍼는 전압법과 정압재취득법에 비해 등압법이 많이 필요하다. 여섯째, 고속 덕트를 등압법에는 적용 할 수 없으나 전압법과 정압재취득법에는 적용 가능하다. 일곱째, 정압재취득법 및 전압법은 덕트 ASPECT RATIO를 조정함으로서 건축물의 건축비를 절감 할 수 있다. 여덟째 송풍기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분기 덕트와 가장 먼 위치의 덕트가 동일 풍량의 덕트 일 경우 등압법은 동일 사이즈의 덕트가 설계되어 덕트 정압이 일정치 않으나 전압법 및 정압재취득법은 동일 사이즈가 아닌 별개의 덕트 사이즈로 조정 가능하므로 취출성능의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등압법은 다른 설계방법 보다 속도가 느리며 소음이 적어 일반사무실과 같은 건축물에 적합하며 정압재취득법은 공장이나 PLANT등 대규모의 설비 또는 배기설비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사물인터넷 환경 실현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상황인지 시스템

        김관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까운 미래에는 컴퓨터나 스마트 폰 같은 단말을 이용해 사람과 사람 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물, 그리고 사람의 개입 없이도 사물과 사물 간에 소통을 지원 하는 사물인터넷 환경이 도래할 것이다. 사물인터넷(IoT)은 다양한 사물 및 센서들 간의 연결 기술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는 플랫폼들이 구축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플랫폼에서는 제공되는 정보들은 사물 및 환경의 상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하고 사용자의 위치에서 현재 상황에 적합한 지능형 서비스들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진정한 IoT 환경 실현을 위해서는 환경의 변화를 기반으로 각각의 사물들을 제어하는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용자 중심의 끊김 없는 상황인지 서비스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을 분석하고 끊김 없는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서 동적 매쉬형 네트워크 구성 기법을 제안하고, 구성된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 중심의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행동 및 주변 환경의 추상화와 이를 통한 사용자 상황인지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상황인지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해 주차장 시스템을 시뮬레이션 한 다음, Best Effort 방식과 상황인지 시스템 성능을 비교 하였다. Best Effort 방식을 이용한 사용자는 주차 수용률이 감소 함에 따라 상황인지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 보다 평균적으로 차량 및 도보 이동거리가 증가함을 볼 수 있다. 상황인지 시스템은 Best Effort 방식보다 평균적으로 33%의 향상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주차 수용률이 0% 경우 최대 61%의 성능 효율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동적 네트워크 구성 및 상황인지 메커니즘을 다양한 분야에 접목시켜 시스템 중심이 아닌 서비스 사용자 및 제공자 중심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끊김 없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 한다. The environment of Internet of Things (IoT), which supports not only the communication between human beings but also devices such as computers or smart phones without humans’ intervention, is expected to be realized in the near future. IoT facilitates more various services using the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devices and sensors. However, existing context-aware systems only takes the status of things and environment into consideration. It does not support the intelligent service which cares about humans’ status such as their location. The user-centric context aware service is required to realize the seamless services in IoT environment without human intervention. This thesis proposes a mechanism for constructing a dynamic mesh network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user’s status, and a mechanism of user-centric context-aware service provisioning in the network. The proposed mechanisms are applied to a parking system for performance evaluation;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our system with the best effort method. The proposed context-aware system shows 33% increase in average performance, and especially 61% when the rate of available parking space is 0%.

      • 디지털 시대의 평생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학점은행제와 K-MOOC의 연계 운영 방안

        김관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redit Bank System and K-MOOC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state-led lifelong education cours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ed the 'K-MOOC Credit Bank System process' in 2019 to link the two systems. However, the effect was slight, and it was not enough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redit Bank System and K-MOOC.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Credit Bank System and K-MOOC using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and tried to propose a more effective linkage management plan. First, since the Credit Bank System and K-MOOC are based on different laws, that laws must be revised.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grasp the needs of learners and set up various curriculum.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should set up a `Credit Bank System K-MOOC collaboration department' to provide human resources and financial support to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operated mainly by universities with sufficient facilities, and courses should be offered in online. All courses will be installed on the K-MOOC platform and divided into general courses and credit certification courses.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redit certification courses partly chargeable and provide on/offline deepening courses. In addition, through the enhancement of the K-MOOC platform, online evaluation functions should be added and all learning processes and results can be viewed and managed at onc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presented a more effective policy management plan through the integration and collaboration of the Credit Bank System and K-MOOC. It is also significant tha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and learners who have experienced lifelong education to confirm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cooperation between the two systems. However, most of the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focusing on domestic cases and data, and it is possible that the researcher’s subjective opinions intervened in interpreting the materials.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xamine advanced overseas cases, and we must consider measures to examine quantitative data through large-scale survey in addition to interviews. 학점은행제와 K-MOOC는 국가 주도 평생교육 과정의 대표 사례로, 교육부는 2019년 두 제도의 연계를 위해 ‘K-MOOC 학점은행제 과정’을 신설하였다. 그러나 그 효과는 미미했으며 학점은행제와 K-MOOC가 가진 각각의 문제를 해결하기에도 역부족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심층 면담을 활용하여 학점은행제와 K-MOOC의 현황과 문제를 분석하고, 보다 효과적인 연계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먼저 학점은행제와 K-MOOC는 근거 법령이 다르므로,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및 「고등교육법」을 개정해야 한다. 교육부는 학습자의 수요를 파악하여 다양한 교육과정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는 ‘학점은행제 K-MOOC 연계 운영 전담 부서’를 신설하고, 교육훈련기관에 인력이나 비용을 지원하는 것이 좋다. 교육훈련기관은 충분한 제반이 갖추어져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운영하며, 강좌는 온라인 형태로 제공해야 한다. 모든 강좌를 K-MOOC 플랫폼에 탑재하고 일반과정과 학점인정 과정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이때 학점인정 과정은 부분 유료화하고, 온·오프라인 심화 과정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K-MOOC 플랫폼 고도화를 통해 온라인 평가기능을 추가하고, 모든 학습과정과 결과를 한 번에 보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와 K-MOOC의 통합 연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정책 운영방안을 제시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평생교육을 운영하고 있는 담당자와 평생교육을 경험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고, 두 제도의 연계 필요성과 실효성을 확인했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 국내 사례 및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자료를 해석하는 데 있어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가 개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해외의 선진 사례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며, 면담 외에도 대규모 설문을 통해 정량적 데이터를 검토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