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航空運送서비스業體의 敎育訓練에 관한 實證的 硏究 : 濟州地域의 K航空社와 A航空社 從業員을 中心으로

        고영림 濟州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outside labor market lacks good labor force to supply human resource fully and continually to the enterprise. Therefore, the enterprises are in the circumstance that they must continually bring up the human resource which is suitable to their job-offering condition. It is the manage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is introduced to overcome this global circumstances. This study has an object to search proper method, technique, and contents of education and training through an aviation company of Cheju area. Also, in this process,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active effect and the result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would be verified. The method of this study is based upon spot interview and positive study through the questionnaire. With th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 analyzed the validity of the variable selected previously by using statistical package called SPSSPC', and then verified the hypothesis focusing my attention on the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and analysis of relation. The seven hypothe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ypothesis I]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trait, the degree of perception on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will be different [Hypothesis II]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trait,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the method and the technique of education and training will be different. [Hypothesis III]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and the technique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result of education and training will be different. [Hypothesis IV] The result of education and training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raining. [Hypothesis V] The reactive effect between the method and the technique of education and training has different influence upon the result of education and training. [Hypothesis VI] The reactive effect between the method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raining has different influence upon the result of education and training. [Hypothesis VII] The reactive effect between the technique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raining has different influence upon the result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re adopted largely. This study shows some suggestions as below. The first, the education and training on conceptual feature and human feature must be reinforced.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analysis, the employees primarily perceived the necessity for education and training on human feature. In the next place, the functional feature and the conceptual feature were orderly presented. The second, in relation to the method of education and training,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OJT and the education and training performed by branch office. In accordance with the conclusion of analysis, the preference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performed by main office shows relative superiority. Therefore, the employees may have minimal attraction for other education and training. So, the institution of branch office for training and the number of tutor must be precedently expanded. And the systematic plan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developing programs are precedently needed. In relation to the technique of education and training, it is demanded that the education and training through vestible training method and case study method will be increased decreasing the frequency of the lecture method except the unavoidable case. The third, to increase the result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the method and the technique of education and training must be changed. The OJT has relative effect on increasing the reactive result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early stage. To continue the effect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the reinforcement is need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performed by main office. And, in relation to the technique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practice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reactive result in the early stage. To continue the effect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it is necessary to obtain special knowledge through conference method and lecture method. The fourth, it is needed that the technique of education and training must be harmonized with the method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other words, to increase the result of the global education and training, case study method and vestible training method is effective to OJT. The fifth, the method of education and training must be harmonized with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case of general process, practical process, self in-house training, the OJT has the possibility that it may increase the result of education and training

      • 정신분석학을 활용한 패션 비평 방법론에 관한 연구 : 패션 광고 사진을 중심으로

        고영림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패션 작품이나 패션 광고는 갈수록 아방가르드해지고 난해해져, 패션 제작자와 소비자가 커뮤니케이션 하는데 원활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이때 패션 평론가는 패션 속의 상징적 의미를 해석하거나 형식적 구조를 찾아내어 패션이 지닌 의미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비평의 근원적인 방법은 가치 판단을 행하는 것이고, 그 가치 판단이 참임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분석적일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패션 비평, 즉 패션 분석을 위해 정신분석학을 활용했다. 패션 비평 방법론으로 정신분석학을 활용한 이유는 정신분석학의 욕망 이론․동일시 이론 등이, 욕망의 상품인 패션을 설명하고 분석하기 위한 훌륭한 분석 기제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정신분석학적 패션 비평론을 정립함에 있어 패션 광고 사진을 그 분석 대상으로 삼은 것은, 패션 광고 사진이 오히려 패션 상품 자체 보다 패션이 지닌 욕망성을 극명히 드러내 주는 매체이기 때문이다. 욕망을 위한 욕망이 패션 전체를 지배하면서, 패션 산업은 잠재적인 소비자를 유혹하여 구매로까지 이어지게 하기 위해서 광고를 하게 되고, 패션 사진의 중요성도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는 패션 광고 사진이 미디어이며, 소비 문화 사회에서 미디어는 상품에 대한 상징적 가치를 매개하고 욕망을 창출하는 욕망의 매개자라는 점과 관련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신분석학적 비평 이론, 특히 욕망 이론을 중심으로, 패션 광고 사진이 관찰자에게 어떠한 무의식 작용을 일으켜 구매로 이루어지게 하고, 이러한 과정이 왜 유행이란 이름으로 끝없이 되풀이되는가를 소비 문화론과 관련시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정신분석학 문화 비평의 등장 배경 및 패션 비평 이론과의 접목 가능성, 정신분석학의 기본 개념에 관해 살펴보았다. 첫째, 정신분석학은 이드 심리학, 대상 관계 이론, 구조적 정신분석학 등의 체계를 해석 이론으로 도입하는데, 본 논문은 언어를 사용하는 주체의 분열에 초점이 맞추어진 구조적 정신분석학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욕망에 대한 많은 분석 가운데, (포스트) 구조주의 이론가이자 정신분석학자인 자크 라캉은 프로이트의 메타 심리학에 구조주의 언어학을 결합시켜 욕망 이론을 재정립한바 있다. 둘째, 라캉은 아이의 발달 단계를 기호학, 구조주의 언어학과 관련시켜 거울 단계(동일시)인 상상계, 언어 세계로의 진입 단계(포르트-다 게임 단계)인 상징계, 실재계의 개념으로 정리했다. 동일시는 외부적 대상이나 타인의 특징을 자기 자신의 마음속에 내재화시키는 것이라고 정의 할 수 있으며, 거울 단계를 동일시로 이해할 수 있다. 라캉은 주체가 다른 이의 욕망의 위치에서 자신에게로 스스로가 반사될 때에만 자신을 개념화 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거울의 이미지가 실재가 아닌 반사물(反射物)이란 사실 때문에 불완전성, 불완전한 쾌감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실재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아를 나르시시즘적으로 이상화하게 된다. 동일시는 존재의 현실과 자신의 것으로 취하는 이상화된 이미지 사이의 메울 수 없는 간극을 상징하며, 동일시 이론으로부터 인간의 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다라는 명제가 돌출 된다. 한편, 언어 세계로의 진입 단계를 나타내는 포르트-다 게임 단계는 아이가 언어를 통해 사회로 진입하게 되면서, 원초적 욕망을 억누르고 무의식을 형성하게 되는 문화와 법으로서의 아버지 개념이 등장하게 되는 단계이다. 그래서 라캉은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화되어 있으며, 언어의 상징 속으로 인간이 이끌려 들어감으로써 근원적인 욕망과 언어(문화) 사이에는 구멍(결핍)이 존재하고, 이 틈새에 또 다른 욕망이 형성된다고 설명한다. 또한 라캉의 욕망 이론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관련하여 남근(phallus)을 욕망의 시니피앙으로 상징함으로써, 패션을 섹슈얼리티와 관련하여 물신적 페티시즘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게 된다. 발달 단계에서 아이는 남근과 동일시함으로써 어머니와 자신을 완벽하게 할 것이라고 상상하나, 결국 자신은 남근이 아니며 남근이 될 수도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고, 문제에 대한 아이의 해결책은 환상뿐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여기에서의 남근은 해부학적 기관이 아닌, 결핍의 충족물, 상징물로서의 오브제 a를 표상 한다. 남근은 결핍의 대상이자 욕망의 대상이기 때문에 그 대체물들을 존재하게 하고, 본 논문에서는 남근을 대신할 그 무엇의 자리에 패션을 치환해 넣었다. 인간은 오이디푸스 위기 이후에 아무리 근원적 실재를 찾아 헤매도 찾지 못하고, 영원히 그 대체물들로 영위해 나간다. 즉 인간의 욕망은 기표로서 본질적인 기의를 찾지 못하고, 끊임없이 재생되는 욕망의 기표로서만 존재하게 된다. 3장에서는 2장에서의 이론적 고찰을 배경으로 패션 광고 사진 관찰 시 일어나는 정신분석학적 시각인지 과정을 살펴보았다. 패션 관찰자(fashion spectator)는 곧 잠재적인 소비자이자 사진을 봄으로써 욕망 하게 되는 모든 관찰자인데, 여기에서의 관찰자는 결핍의 주체이므로 분열된 주체($)이다. 본질적으로 결핍의 주체이기 때문에 주체는 자아를 알기 위해 타자의 영역으로 진입해야만 한다. 패션의 유행은 표상이 현실보다 더 현실적으로 느껴지는 시뮬라시옹 이미지, 즉 허구 효과를 통해 소비자를 유혹한다. 패션 관찰자는 패션 광고 사진을 보면서 사실성에 대한 부정과 꿈에 대한 긍정을 오고간다는 의미에서 이중적인 관객(double spectator)로 볼 수 있다. 관찰자가 보고있는 패션 광고 사진은 라캉이 말하는 일종의 타자(O)이자 상징적 거울로써, 유행은 언어학적 기표 구조에 비유될 수 있다. 사진 속의 욕망의 언어를 표현하는 이미지의 옷은 라캉이 설명한 오브제 a로서, 이는 욕망의 시니피앙으로서의 남근의 대체물을 상징하면서 물신적 페티시즘의 대상이 된다. 오브제 a는 부재와 결핍의 대상이므로, 부재와 결핍을 채울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욕망 하게 하는 요소이다. 패션 관찰자가 일종의 기표의 구조인 패션 광고 사진을 볼 때, 사진 속의 은유적 진술 시스템을 통해 유사 관객을 창조하게 되고, 이 때 섹슈얼리티적 요소를 지닌 관음증과 절시증이 리비도적 시각 에너지로 작용하여 관찰자로 하여금 응시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이 과정에서 퇴행, 나르시시적인 동일시를 거쳐 관찰자가 잠재적인 가능성으로서의 환상을 갖게 되어 욕구와 요구를 낳게 되고, 소비를 통해 요구대상이 자신의 결핍을 충족시켜 주리라고 상상적으로 동일시하고 소비하게 됨으로써 요구에 일시적으로 고정되지만, 곧 주체는 요구 속으로 소멸된다. 욕구와 요구의 차가 욕망이며, 이는 끝내 채울 수 없는 부재와 결핍의 대상이므로 이러한 과정이 끝없이 순환하게 된다. 사진의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에게 잠재적인 가능성으로서 전달되는 환상은 분열된 주체($)가 오브제 a를 꿈꾸거나 욕망(동일시) 하게 되는 ( a) 과정이나, 이는 결핍이자 구멍(◇)이므로 끝내 채울 수가 없고 끊임없이 욕망 할 수밖에 없는 대상일 뿐이다. 관찰자는 이 구멍을 통해 동일시하게 되는데, 영상 안의 구멍은 리비도가 존재하는 빈 공간이자 또한 패션 광고 사진이 지닌 은유적 진술 시스템과 관련되는 곳이다. 패션은 잡종 문화와 불확실한 사회성을 집약시킨 옷을 내놓으면서, 소비자의 욕망을 자극하여 시즌마다 소비를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 패션 광고 사진은 욕망 그 자체를 대변해 왔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패션 광고 사진 만큼 정신분석학적 비평이론이 잘 들어맞는 경우도 드물다. 패션 광고 사진은 당신의 삶은 공허한가를 물으며, 패션 상품 소비를 통해 자아(주체성)를 확립시키고 공허한 마음을 채워줄 것을 약속하지만, 소비는 끝내 채울 수 없는 끝없는 욕망만을 불러일으킬 뿐이다. 욕망을 매개로 끊임없이 반복되는 이러한 변증법적 순환을 통해 패션은 변화하고 발전해 나간다. While it is not so difficult to interpret fashion images as that of movies and works of literature, todays fashion and fashion advertising have become so avant-garde and inscrutable that fashion manufacturers and consumers often face the problem of how well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at case, fashion critics must be successful either in interpreting the symbolism within the fashion or in decoding its formal structure, so that the true colors of the fashion may manifest itself. Value judgments are still used as a fundamental way of criticism under these circumstances, provided that a further analysis must be made to prove that such value judgments are true. This study applied psychoanalysis to the field of fashion criticism. The reason is that various theories in the study of psychoanalysis, such as desire theory and identification theory, are considered the excellent methods of analysis for fashion, which is itself the product of desir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fashion advertisement photography in its attempt to establish psychoanalytical fashion criticism, because fashion photography is a medium that more vividly reveals the sense of desire covert in fashion than fashion objects do, even though it is taken for the mere purposes of advertisement and promotion. As the desire for the desire itself dominates fashion as a whole, fashion industry takes to advertisements to lure potential consumers to purchase, and the importance of fashion photography has increasingly been emphasized.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fashion advertisement photography is sort of medium, which acts as an intermediary of the symbolic values of products and creates desire for them. Therefore, focused on the psychoanalytic criticism, this study looked into the process in which fashion advertisement photography makes viewers unconsciously react to the images and lead to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s well as the reason why such a process incessantly repeats itself in the name of fashion, while referring to consumerism.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In Chapter 2, an investigation was made into the background of the advent of psychoanalytic cultural criticism,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it with fashion criticism, and the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First, this study adopted as its methodology the structural psychoanalysis which focuses on the disruption of a subject that uses language, over other various interpretative theories of psychoanalysis such as Id psychology and object relational theory. In this regard, it is noteworthy that Jacques Lacan, theorist on Post Structuralism and psychoanalyst, combined structural linguistics with Freudian meta-psychology to reestablish the theories of desire. Second, Lacan divided the development stages of a child into the Imaginary stage, (mirror stage, i.e., identification) the Symbolic stage (i.e., fort-da game stage, which is the introductory stage to the world of language) and the Real stage. Identification can be defined as the internalization of an external object or the others characteristics in the minds of identifiers, largely understood as the mirror stage. Lacan explains that the only means for a subject to conceptualize himself is reflecting himself on the plane of others desire. As a consequence, the lack of completion and incomplete pleasure arise because the images on the mirror are not real but mere reflections, which ends up in the narcissistic idealization of the self to protect the subject himself from the reality. Identification symbolizes the insurmountable chasm between the reality of the self and the idealized image taken for as his, from which derives the proposition that

      • 경기 변동에 따른 뉴욕 여성 패션 색채의 분석

        고영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기 변동에 따른 여성복 패션 컬렉션 색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경제 상승과 하강이 반복되는 경제 환경 하에서 효율적인 의류 상품 색채 기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패션 채는 미국 ‘보그(Vogue)’의 온라인 사이트인 ‘스타일닷컴(www.style.com)’의 패션쇼 섹션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수집되었다. 색채 명명 체계의 하나인 ISCC- NBS 컬러 시스템에 기초하여, 총 16개의 색채군으로 패션 색채를 분류하고 수집하였다. 의상 한 벌을 분석의 기본 단위 1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한 벌에 4개 이하의 색채가 동시에 출현한 경우에는 모든 색채를 각각 1로 간주하고 색채를 수집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2001 봄/여름 시즌부터 2010 가을/겨울 시즌까지 뉴욕 여성복 컬렉션에 출현한 총 79,221개의 패션 색채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채도와 색조(tone)의 개념은 본 연구의 자료 수집에서 제외되었다. 경기 변동에 따라 뉴욕 여성 패션 색채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2001 봄/여름 시즌부터 2010 가을/겨울 시즌까지의 미국의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종합 선행지수, 소비자 관점의 경기 지수, 사업자 관점의 경기 지수 등을 분석하였다. 경기를 상승기와 하강기로 구분하고 경기 변동에 따른 뉴욕 여성 패션 색채의 출현률을 기술 통계 및 차이 검정의 방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OECD 종합 선행지수를 기준으로 경기 상승기와 경기 하강기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봄/여름 시즌의 경우 purple이 경기 하강기에 더 많이 사용되었다. 가을/겨울 시즌의 경우 경제적 상황에 따라 blue, white, gray, black 색채의 사용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기 하강기 보다 경기 상승기에 blue, gray가 더 많이 사용되었고, 경기 상승기보다 경기 하강기에 white와 black이 더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OECD 종합 선행 지수를 기준으로 하여 뉴욕 컬렉션 봄/여름 시즌과 가을/겨울 시즌의 난색과 한색, 메탈릭 색채, 무채색, 베이직 색채의 출현률이 경기 하강기와 경기 상승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봄/여름 시즌에는 난색·한색·메탈릭 색채·무채색·베이직 색채의 색채 사용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가을/겨울 시즌의 경우 한색 계열이 경기 상승기에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시건대학교 소비자 신뢰지수와 미국의 OECD 소비자 신뢰지수를 기준으로 소비자 관점의 경기 상승기와 경기 하강기를 구분하여, 뉴욕 컬렉션의 색채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봄/여름 시즌의 경우 소비자 신뢰 지수가 낮은 시기, 즉 소비자 관점의 경기 상승기보다 경기 하강기에 gray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소비자 관점의 경기 상승기에 yellowish pink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을/겨울 시즌의 경우 소비자 신뢰 지수가 낮은 시기, 즉 소비자가 느끼는 경기 하강기에 yellow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업자 관점의 경기 지수를 기준으로 경기 상승기와 경기 하강기에 뉴욕 컬렉션의 색채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봄/여름 시즌의 경우, 사업자 관점의 경기 상승기에 경기 하강기 보다 yellow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반면에 경기 하강기에는 black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가을/겨울 시즌의 경우, 사업자 관점의 경기 하강기에 black과 silver가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경기 상승기에는 blue와 olive가 더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업자 관점에서 볼 때, 경기 하강기에는 봄/여름 시즌과 가을/겨울 시즌 모두 black이 경기 상승기보다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채색· 베이직 색채· 한색· 난색· 메탈릭 색채의 사용은 봄/여름 시즌의 경우 색채 사용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이한 차이는 없었으나, 가을/겨울 시즌의 경우 사업자 관점의 경기 하강기에 무채색 및 베이직 색채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한색은 가을/겨울 시즌 사업자 관점의 경기 지수가 경기 상승기를 나타낼 때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메탈릭 색채 및 난색의 출현률은 사업자 관점의 경기 지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기 변동에 따른 뉴욕 컬렉션의 색채 사용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경기 변동에 따라 출현률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 색채는 white, black, blue, gray, yellow, yellowish pink, silver, olive, 기타 한색, 무채색, 베이직 색채 등 총 11개 군이었다. 한편, 경기 지수 동향과 색채 출현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 yellow, orange, yellowish pink, pink, gray, blue, gold, white, black, purple 등은 경기의 등락과 연관성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뉴욕 여성복 시장을 대상으로 한 색채 기획의 주요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black은 경기 상황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제시되는 색채이나, 특히 경기 하강기의 가을/겨울 시즌에 제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색채이다. 또한, white는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는 색채로 사료되며, 경기 하강기에 제안하는 것이 바람직한 색채이다. 둘째, blue는 최근 세계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색채로, 경기 하강기에는 위로와 희망을 주는 색채로 제안할 수 있으나, 경기 상승기의 가을/겨울 시즌에 제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색채이다. 셋째, gray는 소비자 관점의 경기 지수를 기준으로 경기 하강기의 봄/여름 시즌에 많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된 반면, OECD 종합 선행지수를 기준으로 경기 상승기의 가을/겨울 시즌에 많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된 것을 토대로 볼 때, 이는 경기 변동에 따라 경기 상승기와 하강기에 모두 색채의 컨셉을 변경하여 제안할 수 있다. 2000년대 첫 10년간 꾸준히 출현률이 증가한 색채이므로, 패션 색채 기획 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넷째, yellow는 소비자 관점의 경기 지수를 기준으로 경기 하강기의 가을/겨울 시즌에 많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된 반면, 사업자 관점의 경기 지수를 기준으로 경기 상승기의 봄/여름 시즌에 많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었음을 고려할 때, 경기 상승기의 봄/여름 시즌에는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색채로 제안할 수 있으며, 경기 하강기의 가을/겨울 시즌에는 ‘희망’을 상징하는 색채로 제안할 수 있다. 다섯째, 2001-2010년까지 10년간 뉴욕컬렉션 봄/여름 시즌에서 yellowish pink는 gray, blue, brown 등의 색채 보다 높은 출현률을 보였으며, 소비자 관점의 경기 지수를 기준으로 경기 상승기의 봄/여름 시즌에 많이 사용되었다. 이를 토대로 할 때, yellowish pink는 봄/여름 시즌의 주요 색채 중의 하나이며, 특히 경기 상승기의 봄/여름 시즌에 제안하는 것이 바람직한 색채로 사료된다. 여섯째, silver는 사업자 관점의 경기 하강기 가을/ 겨울 시즌에 ‘강인한 여전사’를 상징하는 색채로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일반적으로는 미래주의 트렌드와 관련하여 나타난 색채이므로 트렌드의 주제에 따라 주의를 기울여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곱째, olive는 경기 상승기의 가을/겨울 시즌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색채이며, 바로크 사조를 상징하는 색채로 제안될 수 있다. 여덟째, 무채색 및 베이직 색채는 봄/여름 시즌에는 전체 뉴욕 컬렉션 색채의 50% 이상을, 가을/겨울 시즌에는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는 모든 색채의 명칭을 색채 명명 체계에 따른 영문 색채명을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본문 중에 사용하였다.

      • 동요를 활용한 언어지도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언어이해력 및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고영림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program using song on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scores for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he subjects selected for the study were 3 children diagnosed as a autistic child. The subject ha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using song four times a week for three months. In this study,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was used to evaluate treatment effect. Test for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scores were used for treat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First, it was very effective for autistic children to have a program using so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ceptive language abilities. Second, it was very effective for autistic children to have a program using so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Concluding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e program using so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scores for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 교통류 친환경성 평가를 위한 트럭 모델링 방안 연구

        고영림 조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통류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 중 트럭의 경우 화물의 적재로 인한 경사저항의 증가로 인하여 경사구간에서 교통의 소통에 악영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과적으로 인한 도로포장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류 중 트럭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도로의 설계에서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특히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트럭은 승용차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연료를 소모할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2015년도 교통물류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보고서 (국토교통부. 2015)에 따르면 차량 1대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승용차보다 트럭의 배출량은 3.4배 이상이며, 특히 대형트럭의 경우 21배 이상 CO2를 배출하므로 교통 부문에서 친환경 교통 운영전략 수립에 있어 트럭은 매우 중요한 고려요소라 할 수 있다. 교통류의 운영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론을 활용하는 방법과 미시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여 교통류의 흐름을 매우 짧은 시간 단위로 모델링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시뮬레이션 모형의 경우 후처리를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효과척도를 산출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어 연구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미시 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에서 생성된 개별 차량의 속도 이력 자료는 차량의 연료 소모량과 배기가스 배출량 모형의 입력 자료로 사용될 수 있어, 교통 운영전략에서 친환경성을 평가하는 목적으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시 교통류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에서 트럭을 모델링하는 방법은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본적인 파라미터가 적용된 트럭 모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여 평가하고자 하는 도로망이 평지인 경우에는 평가의 결과에 미치는 문제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경사구간이 포함된 도로망의 경우 무시하지 못할 만큼의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경사구간의 길이, 경사도, 다양한 종류의 트럭 구성비, 트럭 적재중량 등과 같은 특성에 따라 교통의 소통, 연료 소모율, 배기가스 방출량 등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영향을 주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에 트럭과 관련되어 수행된 연구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 운행되고 있는 트럭의 중량과 성능에 관한 연구와 화물차를 고려한 종단경사 설계에 관한 것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교통 운영 측면에서 트럭 통행에 따른 전체 교통류의 통행속도변화에 관한 연구도 있었다.(유경수 1997, 최재성 2001, 오흥운 2006, 박준영 2009, 고한검 2012, 김영록 2015). 문헌조사 결과 시뮬레이션 모형에서 교통운영의 친환경성을 위해 트럭 모델링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의 설정에 따른 영향을 심도 있게 연구한 사례는 찾기 힘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시 교통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VISSIM에서 트럭의 모델링 파라미터와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소통과 환경측면에서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이를 통하여 교통류의 친환경성 평가 시 합리적인 트럭 모델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Among the various kinds of vehicles constituting the traffic flow, trucks may not only adversely affect the mobility of the traffic flow at uphill sections due to the increase of grade resistance, but also cause damage to the road pavement caused by the overload. Especially in terms of the environment, trucks consum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fuel as well as a large amount of exhaust gas compared to passenger cars. Therefore, trucks are a very important consideration in establishing an eco-friendly transportation strategy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Microscopic simulation is widely used in the research field because it has flexibility to calculate various kinds of effectiveness measures through post - processing. Especially, the historical data of the individual vehicles generated from the traffic simulation model can be used as the input data of the fuel consumption and exhaust emissions model, and is also utiliz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eco - friendliness of the transportation operation strategy. In general, the method of modeling a truck in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software is to use a truck model with the default parameters provided by the software. The use of default truck may not be a problem in case of flat roadways, but it can be a problem if the roadway under evaluation has hilly terrain. Therefore, this study quantitatively estimated traffic and environmental impacts by the modeling parameters of the truck and the roadway grades, and proposed a reasonable truck modeling method for the eco-friendly evaluation of traffic flow. This study modeled the traffic flow using VISSIM, which is widely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raffic flow, to analyze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trucks. In order to evaluate environmentally friendliness, the CMEM model was utilized to estimate the exhaust gas emissions and fuel consumption.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 truck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default truck with three different trucks. Second, the impacts of default trucks and the three trucks were compared in a traffic flow composed of truck and passenger car with two different volume to capacity ratio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ault truck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ctual truck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fuel consumption and emissions. In general, it is desirable to avoid the use of VISSIM default truck when the composition of trucks is high in South Korea and the slope of roads is more than 3%, and it is recommended to create new trucks using the composition ratio of small, medium and large trucks and the load statistics.

      • ETUDE PROSODIQUE DU DISCOURS ORAL EN FRANCAIS : VARIABLES TEMPORELLES ET VARIABLES MELODIQUES DANS L'INTERVIEW RADIOPHONIQUE

        고영림 UNIVERSITE DES SCIENCES HUMAINES DE STRASBOURG 1996 해외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현대 프랑스어의 운율현상들을 실험 음성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음향적 특징과 기능을 분석,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프랑스어 운율현상의 연구가 사실상 화자들이 실제 상황에서 발화한 구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연구자가 작성한 문장들을 발화하는 낭독체의 운율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구어 고유의 현상이자 화자의 메시지의 전달에 필수 요소인 운율의 실체를 기술함으로써 운율현상의 의미 기능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 프랑스어가 실현될 수 있는 다양한 상황 중에서, 두 화자가 자연스럽게 담화를 주고 받는 라디오 인터뷰를 선택하였다. 이 음성자료체 (corpus)는 30분 분량의 "Agora" 프로그램으로(France-Culture 방송) 화자는 방송 진행자와 초대 손님이다. 이 음성자료체의 각 음성 변수들을 시각적 자료로 변환하기 위해서 오씰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우선 청취 실험을 통하여 운율 세 변수(시간성 변수 cs, 멜로디 변수 Hz, 강세변수 dB)의 음향적 변이성과 현대 프랑스어의 액센트의 인지도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두 유형의 액센트로 분류되는 현대 프랑스어 구어의 액센트는, 리듬 액센트의 경우 한 리듬그룹의 마지막 음절이 타 음절들과 대비되는 상대적 장음화에 의해 인지되고, 강세 액센트의 경우 강세 변수 (dB)의 역할이 현저하게 드러났다. 청취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시간성 변수와 멜로디 변수의 음향적 변이성을 각 언술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시간성 변수에서는 종래 운율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덜 다루어졌던 휴지현상(pause)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기능을 기술 하였다. 휴지 현상은 무성휴지와 유성휴지로 나누어지고, 무성휴지는 호흡 휴지와 비 호흡 휴지로, 유성휴지는 머뭇거림이나 동일어 반복으로 나타났다. 무성휴지 길이간의 장단 변화, 무성휴지와 리듬 액센트간의 동반관계, 비 호흡 무성휴지와 연속하여 나타나는 강세 악센트, 유성 휴지와 연속하여 나타나는 강세 액센트 현상들이 관찰되었다. 각 언술의 구성과 동시에 실현되는 멜로디 변수의 변이성을 통해서 화자의 전언 의지를 직접적으로 관찰, 해석하면서 화자가 현대 프랑스어 기본 억양 패턴의 다양한 변화를 상대 화자에 대한 담화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통사 구성요소와의 관계, 연속된 억양 패턴간의 형태 대비현상, 유성 휴지와 억양 패턴 초반부의 상승 현상, 유성 휴지와 억양 패턴 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의 상승 현상을 통해 멜로디 변수의 의미화 기능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프랑스어 구어 담화가 실제 상황에서 실현될 때 나타나는 운율 현상의 복잡하면서도 풍부한 양상을 기술함으로써 운율의 의미화 (signifiant) 기능을 체계화할 수 있도록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본다. 또한 향후 다른 형태의 구어 담화 즉 정치 담화, T.V 뉴스, 토론, 연극 등 상황에서 나타나는 운율 변수들의 변이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프랑스어 구어의 운율 구조와 운율 변수들의 역할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리라 전망한다.

      • 한국주식시장에서의 자산가격결정모형의 설명력에 관한 실증 연구

        고영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주식시장에서 우수한 설명력을 가지는 자산가격결정모형을 찾기 위하여 대표적인 모형인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과 Fama and French의 3요인 모형(three factor model)을 이용한 실증 분석을 하였다. CAPM에 의하면 수익률은 오직 체계적 위험, 즉 시장위험요인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체계적 위험의 설명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실증분석 결과들이 나오면서 시장이상현상(anomaly)을 반영한 3요인 모형이 등장하게 되었다. 1990~2007년까지 KOSPI 기업을 대상으로 검정한 결과, 한국주식시장에서 시장이상현상인 소기업 효과(firm size effect)와 장부가-시가 비율 효과(book-to-market effect)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검증 포트폴리오로써 규모-장부가/시가 25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두 모형에 대한 시계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0)과 유의한 차이를 가지는 비정상수익률(abnormal return)의 수가 CAPM보다 3요인 모형에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주식시장에서 CAPM이 성립하지 않으며, 3요인 모형이 더욱 우수한 설명력을 지님을 의미한다. 외환위기 전후를 비교한 결과, 이러한 설명력은 외환위기 이전은 CAPM이, 이후는 3요인 모형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The) roles of microRNA-148a and -148b in angiogenesis

        고영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마이크로RNA에 의한 전사 후 조절은 발생과정이나 항상성 유지, 혹은 암이나 다른 질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관내피세포에서 혈관생성을 촉진하는 자극에 의해 조절되는 몇 가지의 마이크로RNA들이 발견되었고 이들은 혈관내피세포 기능에 중요한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한다. 혈관내피전구세포에서 혈관내피세포로 분화할 때 변화하는 마이크로RNA들을 찾기 위해 본 연구자는 ChIP-seq, RNA-seq 분석을 하였고 분화되면서 현저하게 발현이 감소하는 마이크로RNA-148a와 마이크로RNA-148b를 찾았으며 RT-PCR 분석을 통해 실제 혈관내피세포로 분화되면서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RNA 타깃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마이크로RNA-148a/b의 예상되는 타깃 유전자로써 Vegfr2의 co-receptor로 알려진 NRP1을 동정하였고 본 연구자는 혈관내피세포 분화과정에서 NRP1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RNA mimic을 이용하여 혈관내피세포에서 마이크로RNA-148a/b을 과발현한 결과 NRP1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VEGF에 의한 세포 이동성, 세포신호전달, 그리고 세포외기질에 의한 F-actin 재구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발광효소의 3’UTR에 마이크로RNA-148a/b가 결합하는 NRP1의 3’UTR부분을 넣은 벡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NRP1이 마이크로RNA-148a/b의 타깃 유전자라는 것을 최종 확인하였다. In vivo에서 마이크로RNA-148a/b의 혈관내피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쥐 조직에서 마이크로RNA-148a/b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형광 제자리 부합법(FISH)을 이용하여 쥐 망막 혈관에서 마이크로RNA-148a/b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마이크로RNA-148a/b가 NRP1을 조절함으로써 VEGF 신호전달을 조절하고 혈관내피세포 분화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을 제시해준다.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by microRNA (miR) is crucial for development, homeostasis, cancer, and other diseases. Several miRs have been found to be modulated by angiogenic stimuli in endothelial cell (EC) and regulate expression of important genes related to ECs functions. To identify the alterations of miRs during differentiation from endothelial progenitor cell (EPC) to EC, we performed ChIP-seq and RNA-seq analyses. The expression levels of miR-148a/b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EPC differentiation on ChIP-seq and RNA-seq analyses. RT-PCR analysis consistently revealed that miR-148a/b levels were greatly reduced in the late stage of EPC and fully differentiated ECs such as human umbilical vein ECs (HUVECs). Neuropilin-1 (NRP1), a co-receptor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2 (VEGFR2), was identified as a putative target of miR-148a/b by miR target gene prediction algorithms. We verified that the expression of NRP1 increased in the late stage of EPC and down-regulated in miR-148a/b overexpressed-HUVECs by miR mimics. MiR-148a/b overexpression in ECs inhibited VEGF-stimulated migration, signaling pathway and ECM-induced F-actin remodeling. Furthermore, we confirmed that NRP1 was the target of miR-a/b by 3’UTR luciferase assay. To establish the angiogenic role of miR-148a/b in vivo, we checked expression levels of miR-148a/b in mouse tissues. We also identified the expression of miR-148a/b in retinal vessels by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 during retinal develop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iR-148a/b might have critical roles in regulating VEGF signaling and EC differentiation by repressing NRP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