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변상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학문적 정체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연구문제 1.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대상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통계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이 첫 게재된 1995년 9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총 390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 분석 준거에 따라 시계열 빈도분석과 연구결과 간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대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성격 및 적응 연구 177편(45%)이며 성과연구가 108편(28%), 진로 및 적성연구 45편(12%)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 연구는 모두 10% 미만으로 나타나 상담 연구 영역 이 성격 및 적응 연구 등 특정 주제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연구대상이 없는 논문 4편을 제외한 386편 중 100편(25%)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다. 이어 중등 60편(15%), 고등 55편(14%), 성인 46편 (11%), 대학생 37편(9%) 순이다. 연구대상이 둘 이상인 경우를 제외하고 단일 연구대상에서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전체 390편 중 370편(95%)이 양적연구로 확연히 집중된 반면 질적연구는 18편(4%), 혼합연구는 2편(1%)에 그쳤다. 양적연구는 매해 90%를 넘는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질적연구가 소폭 늘었지만 2018년 최대 5편이 게재된 것을 제외하고는 아예 선택되지 않거나 한 해 1~2편 정도만 게재됐다. 넷째, 통계방법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학전공이 증설된 초반에는 프로그램 효과를 보기 위한 사전-사후 t검증 방법을 사용했으며, 이후 변인 간 상관 및 인과 관계를 보기 위한 상관분석 및 회귀 분석 방법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2014년 이후에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다변인간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의 흐름이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의 다양성과 통계방법의 변화는 상담현장에서 실제 과제를 풀어내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해석된다. 상담학은 실제를 바탕으로 한 연구이므로 보다 더 확대된 시선의 창의적 연구 노력이 앞으로도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explore academic identity. To this end, we have established a research problem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research topic trend of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trend of the thesis on the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in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4. How is the statistical method trend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390 paper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1995 to August 2020, when a master's thesis on counseling psychology was first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177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45%) were studied, followed by 108 performance studies (28%), and 45 career and aptitude studies (12%). All other studies appear to be less than 10%, confirming that counseling research areas are concentrated on specific topics such as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Second, 100 (25%) out of 386 papers, excluding 4 papers without subjects, were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followed by 60 middle and high schools (15 percent), 55 high schools (14 percent), 46 adults (11 percent) and 37 college students (9 percent). Except for cases where there is more than one subject, the lea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counselors in a single subject. Third, 370 (95%) of the total 390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studies, while only 18 (4%) were conducted on qualitative studies and 2 (1%) on mixed studies. Quantitative research has maintained a ratio of more than 90% every year, and qualitative research has increased slightly since 2015, but only one or two were selected or published a year except for up to five in 2018.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expansio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pre-post-t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to see program effects. Since 2014, we have shown the flow of analyzing multidimensional causality using structural equations. The abov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in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continued to change. In particular, the diversity of subjects and changes in statistical methods are interpreted as researchers' efforts to solve real challenges at the counseling site. Since counseling is a practical study, we hope that creative research efforts with a wider perspective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제주도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실태에 관한 연구 : 제주대학교를 중심으로

        김한회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대학교 학생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들의 건강과 체력, 생활체육 활동 여건, 현재 실시하고 있는 생활체육 활동, 운동경기 관람경험, 생활체육 활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생활체육 활동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대학교 학생 360명의 대상자를 선정한 후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나타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특성에 맞는 종목의 육성 및 보급 대학생들은 스스로가 건강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활동은 그 중요성이 높으므로 젊음을 이용한 모험스포츠와 체험스포츠를 제주도 특성에 맞는 종목을 육성 및 보급하는 제주도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제주도 차원의 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 대학생들의 여가시간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수의 대학생들이 컴퓨터 게임(1.1%)에 빠져 생활체육 활동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의 세계적인 추세를 보면 의식주, 건강, 여가선용 등 생활의 환경요소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기본조건이라는 측면에서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마을단위 생활체육 환경조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다양한 욕구를 수용하고, 과학적이고, 흥미로운 생활체육프로그램(1인 1스포츠 갖기, 마을단위 생활체육형태의 소규모 생활체육 프로그램)의 제공 등으로 대학생들을 생활체육의 장으로 끌어낼 수 있는 제주도 차원의 프로그램 개발이 특별히 요구된다. 셋째, 전문가를 이용한 운동처방 및 건강상담 시스템 구축 대학생들은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해 생활체육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활동은 건강유지 및 증진이 우선인 만큼 건강을 위한 생활체육 활동 이용방법, 적용범위등을 연구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즉 스포츠 의학자, 생리학자, 지역 내 의료기관이나 전문가를 이용한 운동처방 및 건강상담 등의 시스템 구축이 제주도 차원에서 뒷받침되어져야 하겠다. 넷째, 대학생들의 행동하는 생활스포츠 참여로의 유도방안 강구 여학생들의 운동경기관람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경기시설의 부족으로 인한 대학생들이 관람욕구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 기존의 경기장 시설을 활용한 프로경기의 유치 등으로 보는 스포츠의 만 족을 극대화하고, 이를 행동하는 생활스포츠 참여로 유도하는 적극적인 방안(다양한 스포츠 경기 유치 등)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다섯째, 제주도 차원의 생활체육 활동의 제반 행정지원과 환경조성 대학생들은 생활체육 활동이 삶을 질을 향상시킨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체험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주도 차원에서 복지향상을 위해 생활체육 활동의 제반 행정지원과 환경을 조성하여 생활체육 활동을 통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disparities of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toward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conditions for sports for all activities, their own sports for all activities, viewing experiences of sport games, and sports for all activities. Taking it one step further, this paper prepares a variety of ways that help to realize their effective sports for all activities. I selected 360 Cheju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as subjects, questionnaired them, and analysed the questionnaires with SPSS. Accordingly, reform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promotion and distribution of local sports University Students are found to recognize themselves that they are healthy. Sports for all Activities are quite important for their health. Therefore, taking advantage of their youth and vigor, efforts are required in the level of Jeju administrative organs to promote and publicize venture sports and on the-sports, feasible in Jejudo. Second, Development of sports for all programs in the level of Jeju administrative organs. This survey shows that these days university students spend more time for their leisure activities, while a small number of them who are addicted to computer games(1.1%), consecutively, indifferent to sports for all activities. Looking into global tendency, the world is focusing on constituting suitable environment for sports for all in their own communities considering living factors such as clothing, food, housing, health, leisure and sports for all which are fundamental condition for daily life. Likewise, it is demanded to create a variety of programs in the level of the Jeju provincial office that are conducive to mak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 in sports for all. For example, we can think of campaign(one sport per one person or creation of sports for all that fit it with particular communities on a small scale). Third, systematizing prescription of exercising ways and counsel for health with the help of specialists. The rate of university students who do exercise regularly is rising and they are found out to do sports for all activities to keep their health. As much as the priority of their sports for all activities is to keep their health, it is required to develop practical methods and scope. That is, with the help of vital dynamists and physiologists, local clinics and specialists, we should systemize physical exercise prescription ways and counsel for health in the level of the Jeju provincial office. Fourth, conceiving methods to induc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The rate of girl audiences is going up, but athletic facilities are still short of to satisfy their viewing desire. Therefore, it is indispensible to generate aggressive alternatives which lead people to enjoy sports for all. For example, to maximize viewing pressure, we can attract professional games, making use of existing gym facilities. Taking it one step further, it is desirable to have people enjoy sports for all there. Fifth, comprehensive financial support and constitution of suitable environment for sports for all in the level of Jeju provincial office. University students are found to recognize that sports for all activities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perform in their daily liv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crucial to finance administratively and constitute suitable environment in the level of the Jeju provincial office in order to make them enjoy healthy and happy lives through sports for all.

      • 국가교육과정과 사범대학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 제주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이재숙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Nowadays, living in the so-called ‘intelligenc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universally characterized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already witnessed its advent, shocked by ‘AlphaGo’ in March 2016, which has flooded our society with anticipation-mixed anxiety and voices of urgency toward upcoming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ways. First, it aims to closely examine revision processes of National Curriculum which has focused on educating ‘future talent’ and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in earnest since 2000s. Secondly, it concentrates on analyzing connectivity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whose goal is educating teachers who are assumed as another ‘future talent’ in charge of educating students of ‘future talent’. Finall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t is design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in developing progressive education curriculums that is equipped with more efficiency through fusion of National Curriculum and teacher-educating curriculum and consistent with original intent of college of education. Regarding these objectives, research problems a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kinds of difference exist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Second, in what way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is associated with National Curriculum? Third, in what direction should be made the revision process of curriculum of Eduction of College in Jeju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the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in Jeju National University was selected as this department has shown high ratio of successful applicants at national teacher certification exam. With a view to heighten objectivity and reliability in collecting reference materials, the department of Biology in Science Colleg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was singled out for comparison analysis and its related documents were compiled through its web pages and yearly handbook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The related materials on the developments of revision process in National Curriculum were procured through related books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tion and detailed part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was verified that the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ha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at of the similar department in the same university.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similar department showed more diversity and quantitative superiority in its curriculum compared with College of Education, which suggest that the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be revised. In addition, in terms of connectivity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revision process of National Curriculum has adapted to progress of society and worl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connectivity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and then to develop complementary and ‘integrated’ curriculum. In particular,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should not exist as perfunctory procedure for teacher’s license, but effective and efficient curriculum for educating qualified teachers should be drastically prepared.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는 인터넷으로 통칭되는 디지털 정보기술의 발달로 치닫던 와중에 ‘지식정보사회’라는 커다란 장애물을 만났다. 이는 지금까지 모든 가치의 정점이었던 ‘물질’이 그 자리를 마침내 ‘지식’에 내어주게 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식정보화사회’의 영화는 오래가지 못했다.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지능정보화사회’ 곧 ‘4차 산업혁명사회’에 놓이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미 우리는 2016년 3월 4차 산업혁명사회의 서막을 알리는 ‘알파고’의 등장을 목격했으며 미래에 대한 기대 섞인 불안과 절박함의 목소리가 사회 곳곳에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미 국가교육과정에서 꾸준히 논의되어 왔으며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한 ‘미래형 인재’와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국가교육과정의 개정과정을 살펴보고 ‘미래형 인재’를 양성할 또 다른 ‘미래형 인재’인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우수한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사범대학 본래의 취지를 회복하고 국가교육과정과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융합’을 통해 보다 효율성을 갖춘 발전적인 교육과정의 개발과 편성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일반대학 교육과정의 차이는 무엇인가? 둘째,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국가교육과정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향후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은 무엇인가? 위 연구 질문에 대해 먼저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개설학과 중에서 임용시험에서 좋은 성적과 높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는 생물교육학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유사학과인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와 국가교육과정의 개정 변천과정에 대한 자료는 대상학교 홈페이지와 각 해당년도 편람과 교육부 요람 및 국가교육과정 개정의 총론과 각론을 주요 참고자료로 삼아 수집자료에 대한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는 먼저 횡적인 분석을 통해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일반대학 유사학과의 교육과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사범대학 교육과정 보다는 일반대학 교육과정이 교과목의 양적 우세와 다양성을 보이는 결과가 나타났다. 종적 분석에서 살펴본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국가교육과정의 연 계성에서도 국가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통해 사회와 세계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개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정작 예비교원의 교육과정인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는 두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세간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청년실업‘은 교원 임용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오히려 학교현장에 적합하지 않거나 수업 교과내용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은 더욱 근본적인 면에서 장기적 ’청년실업자‘를 양산시킬 수 있다는 예측들이 조심스럽게 나오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가교육과정과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연계성 비교에서 두 교육과정의 격차를 좁히고 상호 보완적이며 ‘융합적’인 교육과정의 개발이 시급하고 특히 사범대학의 교원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원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학점채우기’식이 아닌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는 과감한 교육과정의 마련을 촉구해본다.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수리논술 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 주요 사립대학의 수리논술고사 분석을 중심으로

        양은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발표에 따른 2016학년도 대학 모집인원, 수시전형 모집인원 논술고사 실시대학과 논술고사 반영비율, 수능자격 기준, 특정대학의 논술성적 편차 등의 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서울 소재의 주요 사립대학들 가운데 5개 대학인 고려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를 선정하여 2012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 최근 3년간 이들 5개 대학 수리 논술고사의 논제 유형과 과목(영역)별, 단원별, 빈도수와 난이도, 대학별 출제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3년간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독서·논술학교에서 실시한 수리논술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수리논술 교육에서 실시한 진단평가, 실전모의고사 문제를 관련과목, 관련단원, 출제형태, 난이도, 단원별 출제빈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주요 대학의 수리논술 문제 출제빈도와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수리논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이고 행·재정적 지원방안과 대책을 제언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수리논술 교육에 대한 수학교사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도 자세히 제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나 일선 학교에서는 수리논술 교육의 방향과 활성화 방안, 그리고 학교 수리논술 교육의 효과적인 방안과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아울러 수학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수리논술 교육을 위해 방향 설정과 지도방안 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2016 university applicant numbers, nonscheduled admission applicant numbers, reflection rate of essay test, qualification standard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score deviation of essay test in specific univers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ve major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such as Korea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are selected, and their topics for mathematical essay test and the features of test in the past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based on subject type, unit type, frequency of use, level of difficulty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e of mathematical essay conducted by ‘Reading and Essay School’ program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analyzed, In the diagnostic test for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and mock test for real SAT, not only related subjects, related units, examination question trends, level of difficulty, the frequency of units are analyzed and its results are also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questions in major universities mathematical essay tes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plan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vitalizing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ies for math teachers who want to teach math essay test in schol should be also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math teachers build effective math essay teaching plan as well as they would be practical and helpful in establishing math essay education plan and effective strategies for school math essay education.

      •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개발이 토지가격(土地價格)에 미친 영향

        김신덕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제주의 산업구조는 서비스업으로 편중되어 있고 청정자연환경을 강점으로 관광 상품이 국내에서 가장 큰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된다. 이러한 강점을 더욱더 강화하고, 새롭고 경쟁력 있는 산업을 추진하고자 제주특별자치도는 현재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다. 이 계획의 중심역할을 하는 6대 핵심프로젝트는 투자 유치 및 토지 확보가 용이하고 지역사회 공감대 형성 및 시너지 효과가 큰 사업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주 경제발전을 선도하는 선도 프로젝트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6대 핵심프로젝트를 이루는 한 가지 요소 중 토지는 고유한 물리적 특성인 고정성과 부증성을 가지고 있다. 토지라는 자원은 이동이 불가능하고, 생산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6대 핵심프로젝트가 단계별로 진행되면 될수록 사업부지 인근의 지가는 상승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핵심 프로젝트로 인한 요인이 사업부지 인근의 토지가격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제주의 6대 핵심프로젝트 중 본 연구는 첨단과학기술단지 조성사업을 분석하되 개발사업 이외에도 토지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고자 한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2년부터 2010년이다. 이 기간 중 2002년(조성계획 2년 전), 2004년(국가산업단지지정), 2007년(산업시설용지 공급 개시), 2010년(부지조성공사 준공 및 입주 시작)을 분석시점으로 하여 토지가격의 변화를 살펴본다. 또한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첨단과학기술단지조성사업 부지의 경계로부터 3㎞이내의 표준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헤도닉 모형을 추정하되 종속변수는 지가상승률로 하여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기로 한다. 이를 통해 첨단과학기술단지와 관련된 여러 가지 독립변수들이 어떠한 형태로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 연구의 방법을, 제2장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일반현황과 특별자치도 추진과정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의 변천과 성과를 살펴보았고, 제4장에서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를 개략적으로 알아보았다. 제5장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의 개발과 지역경제의 변화(2000∼2012)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제6장에서는 선행연구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분석하였다. 제7장에서는 연구의 시간적 범위 및 분석대상지역에 대해 개관하였으며, 제8장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가 토지가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의 결과를 제9장에 나타냈으며, 마지막으로 제10장에서 분석의 결과와 성과에 대해서 요약하였다. 토지가격 상승률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는 첨단과학기술단지까지의 거리, 제주대학교 상권, 아라택지개발지구까지의 거리, 남광초등학교 권역더미, 제주대학교 병원, 행정구역, 지목, 용도지역 등을 고려하였으며, 본 연구는 첨단과학기술단지의 토지가격 영향력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의 거리 변수를 주요 분석 관심대상으로 하여 헤도닉 모형을 구성하였는데 모형1은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 2㎞ 이내의 공간적 범위를 설정하였고, 모형2는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 2㎞초과 3㎞이내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모형1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의 거리변수가 인근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10% 유의수준에서 유의하였지만 모형2, 즉 2㎞초과 3㎞이내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이 인근 토지에 2㎞ 반경이내에만 영향을 미치고 그 이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특이할만한 것은 모형2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이 없는 반면, 아라택지개발지구 변수는 10% 유의수준에서 유의하다는 것이다. 이는 모형2, 즉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 2㎞∼3㎞ 반경은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권이 아닌 아라택지개발지구의 영향권 안에 들어가는 지역이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헤도닉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기 이전에 먼저 실시한 가격상승률 분석에서는 지속적 상승을 보인 토지 비중이 가장 많은 읍면동은 아라2동이었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는 월평동, 영평동의 순서로 가격 상승 필지의 비중이 높았다. 이 3개 지역은 첨단과학기술단지의 가장 인접한 지역이면서 오등동, 용강동, 아라1동에 비해 과거에 사람들이 덜 거주하는 곳이었다. 즉 개발 사업이 있기 전에는 사람들이 별로 선호하지 않아 낮은 가격이었다가 개발 사업이 있으면서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반면 오등동, 용강동, 아라1동은 개발사업 이전에도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는 자연취락지구가 많이 분포하고 있어 개발 사업이 있어도 그 상승폭은 나머지 3개 지역만큼 급격히 커지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단순히 지난 10년간 가격상승률이 어느 읍면동이 가장 많았는지만의 결론내릴 수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가격상승에 영향을 준 것이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이 일부 있었을 것이라는 추론만이 가능했다. 그러나 헤도닉 모형을 이용함으로써 단순히 추측에 그쳤던 토지가격 영향의 원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즉, 어느 읍면동이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단순한 추론이 아니라 첨단과학기술단지의 반경 2㎞이내까지는 영향을 미치고 그 이상의 공간적 범위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이 아닌 아라택지개발지구의 영향이 미친다는 구체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濟州型 敎育福祉 프로그램이 對象學生의 自我尊重感과 學校生活適應에 미치는 影響

        오수선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교육복지대상학생들의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형성과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제주형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2013년부터 제주도에서 전국 최초로 농어촌 지역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인 만큼 사업의 효과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제주의 농어촌 학생들이 제주형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학교의 교육복지 프로그램에 어떻게 참여하는가에 따라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에 적응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제주형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중심학교 10개교의 4, 5, 6학년 각 1개 학급을 무작위로 표집하여 56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의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현재 함께 살고 있는 가족 구성원과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도 및 만족도, 그리고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에 관한 설문 등 총 30문항에 대해 Likert 척도 형식의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참여도와 만족도간의 상관관계 및 공분산의 값을 분석한 결과 참여도에 따라 만족도가 높았고,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되었다. 즉 참여도와 만족도 모두 학생의 자아존중감 고취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참여도와 만족도간의 상관관계 및 공분산의 값을 분석하였더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만족도는 학교생활 적응과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갖고 있지만 참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찾아볼 수 없어 자아존중감의 매개변인을 제외하여 생각해볼 때에는 학생들의 프로그램 만족도가 참여도보다 학교생활 적응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인과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아존중감이라는 매개변인을 두고 생각해 볼 때에는 참여도를 끌어 올리는 것이 자아존중감 고취에 효과적이며,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면 이는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할 때 교육복지프로그램 참여도도 간접적으로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 참여도와 만족도는 대상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면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도 효과적임을 강조하며, 학교 내 프로그램 연계 및 지역사회 외부기관과의 네트워크를 더욱 공고히 하여 대상학생의 욕구와 필요에 의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지원 및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educational welfare program targeted students who need educational welfare in the Jeju type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their participating experience and formation of their self-esteem. It also examined the effect of Jeju type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how self-esteem as a mediation affect the school adjustment after analysis. Jeju-typ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 began in 2013 on Jeju Island specifically in rural areas and their surrounding businesses. These business required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urthermore, research should be necessary into how rural students would participate in the welfare program, and how this would affect self-esteem and their everyday school life. This study surveyed the type of educational welfare of Jeju,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School 10, conducting a support program that consisted mainly of grade 4, 5 and 6 classes. Each one was randomly selected for the survey which was conducted of 562 peopl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urveyed were gender, grade, and current living situation with family members and thei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Jeju-type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Self-esteem and school life questionnaires were also done with a total of 30 Likert scale questions created to checklis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s follows. Firstly, Jeju-type educational welfar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an analysis of the value of the covariance based on participation and higher satisfaction. This was shown to have an effect on self-esteem of students were analyzed. This means that all students who participated should be checked for their ongoing self-esteem and satisfaction,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was raised.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the value of covariance analysis was found to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the school adjustment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Howeve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is more important than the participation affected in school adjustment when did not consider the mediation becaus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participation is not found. Thirdly,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results statistically between th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that those tha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their self-esteem can affect the general school adjustment. Thus, raising satisfaction is effective in raising self-esteem when considering the self-esteem as a mediation. Also, when self-esteem is enhanced this gives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thi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chool’s adjustability. In this study, the inter-working between Jeju-style educational welfare and student satisfaction is shown to improve a student’s self-esteem. Students'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influence, indirectly, the school adjustment when their self-esteem is taken into account. The study emphasizes that it is effective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when improving self-esteem.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school programs and community programs further strengthen the network with external organizations. This will create a varied and ongoing support that caters to the wants and needs of students and the needs for developing a customized training program.

      • 제주지역 학교영어교육 개선 방안 연구 : 고등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안태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As the world is becoming a global village, the thick wall between countries in the past is weakening and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re increasing. In this process, English serves not only as an essential means of communication but as a scale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 keep up with this new era,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has to make preparations for getting the status of an international city. However, as far as English proficiency is concerned, Jeju students need to raise their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rder to find out ways to improve English proficiency in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3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is thesis. They are the ways of English learning and acquisition, the effective ways of learning English. and the degree of dependence on English textbooks to improve English competence. It was revealed that students in Jeju still concentrated mainly on reading and English grammar to acquire English. Secondly, writing and speaking in English class have rarely been dealt with. Thirdly, students in Jeju don't have much access to the use of mass media regarding English education. With regards to English textbooks, the reasons students don't have interest in textbooks used in the class are as follows. First, they don't contain enough interesting contents to intrigue students. Second, the contents in the textbook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ir real life situations. Third, they don't deal with the 4 language skills appropriately, which are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s effective ways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English has to be taught in English and in content and language-integrated learning, Jeju special 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dominated English education policy should be contain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desirable that writing in language functions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ha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communicative competence. Secondly, speaking should be encouraged in class. Thirdly, English textbooks have to contain texts and material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Fourthly, native English teachers should have the chance to evaluate students' speaking and writing skills. Fifthly, multi-media like English T.V programs or English newspapers should be used in or out of the classroom as much as possible. Sixthly, user-friendly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Seventhly, English pronunciation should be taught on the basis of phonetics. Lastly, the contents in the textbooks should be linked to writing. In addition, geographically, Jeju is isolated from the mainland, so locals are rather exclusive to people who are from other provinces or cultures. Thus, to break their prejudice of other cultures or people from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education is needed. 세계가 지구촌화됨에 따라 과거에 국가 간의 두꺼운 장벽은 약화되고 인적, 물적 교류는 증대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 과정에서 영어는 의사소통의 가장 중요한 수단일 뿐 만 아니라 국제 경쟁력의 척도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시대 흐름에 보조를 맞추어 나기기 위해서 제주도민들을 비롯한 학생들의 영어 경쟁력이 요구되는 제주국제자유도시는 그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대비를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본 논문은 제주국제자유도시내 고등학생들의 바람직한 영어능력 향상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3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어 학습 성향과 습득 방법은 어떠한가? 둘째, 제주국제자유도시에서 영어 교과서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은 무엇인가? 셋째, 제주국제자유도시의 고등학생들의 영어능력 강화 방안은 무엇인가? 영어 학습 성향 및 습득 방법과 관련해서 첫째, 학생들은 여전히 읽기와 문법 위주의 학습을 통한 시험 위주의 영어 학습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말하기와 쓰기가 거의 등한시 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로 학생들은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 영어 관련 매체를 이용함에 있어서 극히 제한적이었다는 점이다. 영어 교과서와 관련해서는 학생들이 교과서에 흥미를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교과서는 학생들에게 흥미를 끌만한 충분한 내용을 담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둘째, 교과서 내용들은 학생들의 실생활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다. 셋째, 교과서는 언어 습득을 위한 4가지 기능들을 적절하게 다루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주도 영어교육 정책은 영어교육 향상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내용언어통합학습법과 영어수업은 최소한 영어로 가르쳐야 된다는 것을 전제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포함되어져야 한다. 첫째, 의사소통능력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언어 기능 중 쓰기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수업시간에 영어로 말할 수 있도록 독려되어야 한다. 셋째, 영어 교과서는 제주국제자유도시의 특성을 반영하는 텍스트와 자료를 수록해야 한다. 넷째, 원어민 영어 교사들에게 학생들의 말하기, 쓰기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야 한다. 다섯째, 영어로 된 T.V 프로그램이나 영자 신문과 같은 대중매체가 수업 내적, 외적으로 이용되어야 한다. 여섯째, 학습자 친화적인 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곱째, 음성학의 기본 원리를 교육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발음 교육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과서 내용이 쓰기와 연계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덧붙여,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리적으로 본토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제주도민들은 타 지인들 혹은 외국인들에게 다소 배타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편협적인 사고를 깨뜨릴 수 있는 교육도 실시될 필요가 있다.

      •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다차원 정책 분석

        강은주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from the perspectives of normative dimension, structural dimension, constituentive dimension, and technical dimension by using the four-dimensional framework. The conclusion included the recommendations of improvement measures needed for Jeju Self-governing school to expand autonomy of school operation and to take root and develop as a success model of school reform.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analyzing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ie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value pursued by autonomy of school operation in normative dimension and what is the purpos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being pushed forward in Jeju? Second, what system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Jeju Self-governing school through its historical development in structural dimension? Third, who are the stakeholder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in constituent dimension and how do they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what are their roles and requirements? Fourth,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in its designation, operation, evaluation, and feedback in technical dimension? Fifth, what is the comprehensive diagnosi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based on the analysis of four-dimensional framework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Jeju Self-governing school,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special school type specified in Article 216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ct and Articles 45 to Article 46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same Act. Jeju Self-governing school, operated only in the Self-Governing Province, is the nation's only and new school system. It refers to the autonomous school with full autonomy delegated to its principal in consideration of special characteristics unique to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eju Self-governing school is classified into 'i-Good School' designated every two years from 2007 to 2013 and 'Dahandi Learning School' which has been designated every year since 2015. 'Dahandi Learning School' is a model of the second Jeju Self-governing school which applied the innovative school models of other regions to Jeju Self-governing school after a progressiv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came into office in 2014. The analysis of four-dimensional framework, which was used as a framework in this study, is an analytical model adopted from「Better Policies, Better Schools: Theories and Applications」(2004) authored by Bruce S. Cooper, Lance D. Fusarelli and E. Vance Randall. Cooper, Fusarelli, and Randall presented an analytical model of educational policy, called 'normative dimension', 'structural dimension', 'constituentive dimension', and 'technical dimension', based on major theories of educational policy analyses. The methods for data collection used in the analysis of four-dimensional framework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were literature study, in-depth interview, and survey on awareness. A total of 14 persons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including 3 policy executors of the Office of Education, 2 principals(1 principal from each school), 2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affairs(1 teachers from each school), 2 ordinary teachers(1 teacher from each school), and 1 administrative director of school. The survey on awareness among member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was carried out by survey method. The survey of the member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faculty/teaching staff, we surveyed teachers and administrative directors working at 34 schools operating the Jeju Self-governing school in 2016. For students and parent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of the 4th, 5th, 6th graders and their parents of 34 schools, the same schools of aforesaid faculty/teaching staff. The schools targeted for survey were selected by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by model and by region. The period of questionnaire survey wa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6. A total of 1,970 set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ut of which 401 sets were distributed to faculty/teaching staff and 866 set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while remaining 703 sets were distributed to parents. A total of 1,742 set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379 sets from faculty/teaching staff, 840 sets from students, and 523 sets from parents. The rate of collection was 94.5% among faculty/teaching staff, 97.0% among students, and 74.4% among parents, which was averaged at 88.4%.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we attempted an analysis of four-dimensional framework for Jeju Self-governing school. We derived the value pursued by Jeju Self-governing school from normative dimension. Moreover, we identified the objective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operational goals perceived by teachers, and operational goals under the two model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In structural dimension, we analyzed historical process of change and structur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In particular, we found that there were special laws for Jeju Self-governing school and its structures such as curriculum, authority over personnel affairs, budget support, etc. In constituentive dimension, we examined roles and conflicts among municipalities, Office of Education, administrators, teachers, administrative offices, and parents, who were relevant members under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and furthermore, verified their awareness and extent of satisfaction. In technical dimension, we analyzed whole processes of designation, operation and evalu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to determine whether Jeju Self-governing school was taking root as a sustainable school model. In addition, we examined the policies designed to promote Jeju Self-governing school widely. Furthermore, we discussed the results of analyses based on the details related to normative dimension, structural dimension, constituentive dimension, and technical dimension.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values pursued by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normative dimension were autonomy and responsibility. Different goals were set by 'i-Good School' and 'Dahandi Learning School' in connection with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Moreover, the purpos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which members perceived, was mixed due to the concept of school autonomy which encompassed many conflicting perspectives. Thus, Office of Educa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ould need to map out clear policy direction, and furthermore, consensus would need to be formed on policy objectives. Second, Jeju Self-governing school was found to be built on two models that pursued different school direction accommoda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from the viewpoint of structural dimension. 'i-Good School' was promoted and operated to keep pace with trends of globalization and to meet requirements for resolution of regional gap at the incipient stag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Meanwhile, 'Dahandi Learning School' began to be promoted and operated after the election of a progressiv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d in the midst of requirement for school culture innovation. Although the operation and change of each model were the results of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therefore are considered proper, the Office of Educa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made inadequate effort to embrace the ideas and opinions in connection with changes in the models. Third, Jeju Self-governing school had an innovative structure in which the unit school autonomy was guaranteed as special privilege under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ct from the viewpoint of structural dimension. Jeju Self-governing school is a school for which special privilege is granted for school and curriculum operations as prescrib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ct, and members considered such special privilege of autonomy as being important. However, the special privilege was not fully exercised actually in each school. This was because the Office of Educa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id not present measures for practical exercise of such special privilege, such as guidelines on exercise of special privilege, etc, and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part of each school with respect to autonomous policies. Therefore, plans would need to be mapped out to ensure specific and constant exercise of special privilege among respective schools in connection with school and curriculum operations. Fourth, the stakeholder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were as follows from the viewpoint of constituent dimensi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the executors of policie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the supporter of certain budgets; faculty/teaching staff, the operators of each school; and students and parents, the entities who demanded education. Each member wa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oper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with interest and was satisfied highly in overall way. The Office of Educa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as needed to proceed with continuous planning for overall policies and support for each school, while each school was needed to strengthen their autonomy capability so as to demonstrate their autonomy granted to them. Fifth, Jeju Self-governing school established the school charter and entered into an agreement on performance at the stage of its designation from the viewpoint of technical dimension. In the operation phas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training of faculty/teaching staff was implemented, along with school consultation. Moreover, Jeju Self-governing school carried out a self-evaluation annually, in addition to the appraisal by the Office of Education once every two years, in the evaluation phase. That represented a policy requiring the responsibility of each school. However, relatively,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executor of Self-governing school policies, had not established any self-evaluation system, except for the evaluation project of the Office of Education. Sixth, Jeju Self-governing school was found to proceed with promotions of each school and those of the Office of Education effectively for students and par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ical dimension. The 'i-Good School' had expanded to comprise approximately 40% of all elementary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ver the last decade in connection with spread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Currently, about 12% of all elementary schools have been designated and operated as 'Dahandi Learning School' while 'Dahandi Learning School' would need to expand its operations to a level at least on a par with 'i-Good School' in the period ahead. Seventh, a consensus would need to be formed on the goals and direc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when we considered the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ies based on results of analysis of four-dimensional framework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In addition, guidelines would be needed to be established by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o promote exercise of special privileges granted for school autonomy. Moreover,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ould need to strengthen its role as policy leader while each school would also need to reinforce capability for leveraging the autonomy. Most importantly, control tower is needed to be put in place which will set the basic cours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share the philosophy of management, establish, plan and continuously implement specific guidelin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commendations that we can make to promote improvement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are related to the need for evalu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and analysis of its performance. Additionally, a consensus-building effort is needed on the value pursued by Jeju Self-governing school. To promote exercise of special privileges granted to Self-governing school, rules and ordinances would need to be established at the level of the Office of Educa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Moreover,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truct a educational governance system that considers the value and operating model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basic data useful for expansion of autonomy for Jeju Self-governing school operations in each school and for transform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as a success model for school reform. 본 연구의 목적은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을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에서 분석하는 데 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제주형 자율학교가 학교 운영의 자율성 확대와 학교개혁의 성공 모델로 정착, 발전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을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규범적 차원에서 학교운영의 자율화가 추구하는 가치는 무엇이고, 제주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추진 목적은 무엇인가?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는 그 역사적 전개를 통해 어떤 체계와 구조적 특징을 보였는가? 셋째, 구성적 차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의 이해 당사자들은 누구이고 각각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이들의 역할과 요구는 무엇인가? 넷째, 기술적 차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지정, 운영, 평가, 환류에 있어서 특징은 무엇인가? 다섯째,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다차원 정책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종합적인 진단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인 제주형 자율학교는 「제주특별자치도법」제216조 및 동법 시행령 제45~46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특별한 학교 형태이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만 운영되고 있으며 전국 유일의 새로운 학교 제도로 제주특별자치도만이 갖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학교장에게 자율권을 대폭 위임한 자율학교를 의미한다. 제주형 자율학교는 2007년~2013년까지 2년마다 지정된 ‘i-좋은학교’와 2015년부터 매해 지정되고 있는 ‘다디배움 학교’로 구분된다. ‘다디배움학교’는 2014년 진보 성향의 교육감 당선 이후 타 지역의 혁신학교 모델을 제주형 자율학교에 적용한 제2의 제주형 자율학교의 모델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틀로 사용한 다차원 정책 분석은 Bruce S. Cooper, Lance D. Fusarelli와 E. Vance Randall의 저서 「Better Policies, Better Schools: Theories and Applications」(2004)에 나온 분석 모형이다. Cooper, Fusarelli, Randall은 주요 교육정책 분석 이론을 토대로,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이라는 교육정책에 관한 분석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다차원 정책 분석을 위해 사용한 자료수집의 방법은 문헌연구, 심층면담, 인식조사였다. 심층 면담 참여자는 두 가지 모델별 교육청 정책집행자 3명과 교장 각1명, 업무당당교사 각2명, 일반교사 각2명, 행정실장 1명 모두 14명이었다. 제주형 자율학교 구성원들의 인식조사는 설문조사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경우 2016년에 제주형 자율학교을 운영하고 있는 34개 학교에 근무하는 교원과 행정실장을 전수조사하였다. 학생과 학부모의 경우, 교직원과 동일한 34개 학교의 4·5·6학년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모델별로, 지역별로 비례유층표집을 하여 대상 학교를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6년 9월~10월이었고, 배부된 설문지는 교직원 401부, 학생 866부, 학부모 703부로 총 1,970부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교직원 379부, 학생 840부, 학부모 523부로 총 1,742부였으며, 회수율은 교직원 94.5%, 학생 97.0%, 학부모 74.4%로 전체 88.4%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다차원 정책 분석을 시도하였다. 규범적 차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가 추구하는 가치를 도출하였고,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추진 목적과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운영 목표, 그리고 제주형 자율학교 두 모델의 운영목표를 확인하였다. 구조적 차원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특히 제주형 자율학교가 가지고 있는 법적 특례와 교육과정, 인사권, 예산 지원 등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구성적 차원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구성원인 지자체, 교육청, 관리자, 교사, 행정실, 학부모의 역할과 갈등을 규명하였고, 구성원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기술적 차원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가 지속 가능한 학교 모델로 정착되고 있는지를 제주형 자율확교의 지정, 운영, 평가의의 전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제주형 자율학교의 확산 정책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의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 결과를 논의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규범적 차원의 관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가치는 자율성과 책무성이었으며,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목표는 i-좋은학교와 다디 배 움학교가 달랐다. 또한 여러 가지 상반된 관점들이 내포되어 있는 학교 자율성의 개념으로 인해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목적은 혼재해 있었다. 따라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명확한 정책 방향 설정과 정책 목표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구조적 차원의 관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는 시대적 요구에 의해 학교의 운영 방향을 달리하는 두 가지 모델을 가지고 있었다. 제주형 자율학교 초기 국제화와 지역 격차 해소 요구에 의해 i-좋은학교가 추진·운영 되었고, 진보 성향 교육감의 당선과 학교 문화 혁신의 요구에 의해 다혼디배움학교가 추진·운영되었다. 각 모델의 운영과 변경은 시대적 요구에 의한 것으로 적절하다고 평가되었으나 모델 변경에 따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의견수렴 노력은 부족하였다. 셋째, 구조적 차원의 관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는 「제주특별자치도법」에 의해 단위학교 자율성이 특례로 보장되는 혁신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제주형 자율학교는 「제주특별자치도법」에 의해 학교 및 교육과정 운영의 특례가 보장되는 학교이며, 구성원들은 각각의 자율화 특례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단위학교 안에서 활용도는 충분치 않았다. 이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자율화 특례를 활용하기 위한 지침 등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고 동시에 단위학교의 자율화 정책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학교 및 교육과정 운영의 특례에 대한 단위학교 실행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구성적 차원 차원의 관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의 이해당사자들은 정책 집행주체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일정 예산 지원자인 제주특별자치도청, 단위학교 운영자인 교직원,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였고, 각각의 구성원들은 제주형 자율학교 운영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정책 전반에 대한 지속적인 기획과 단위학교 지원 노력이 필요하였고, 단위학교 역시 부여된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자율 역량 강화가 필요하였다. 다섯째, 기술적 차원의 관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는 지정 단계에서 학교헌장의 재정과 성과 협약 체결, 운영단계에서 교직원 연수와 학교 컨설팅 실시, 평가 단계에서 매년의 자체평가와 2년 단위의 교육청 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는 단위학교의 책무성이 요구되는 정책이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자율학교 정책 집행자인 도교육청은 도교육청 평가 사업을 제외하고 자체 평가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지 않았다. 여섯째, 기술적 차원의 관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는 학생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단위학교의 홍보, 교육청의 홍보를 잘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주형 자율학교의 확산과 관련하여 i-좋은학교는 지난 10년간 제주특별자치도 전체 초등학교의 약 40%까지 확대·운영되었다. 현재 다디배움학교는 전체 초등학교의 약 12%가 지정·운영되고 있으며, 앞으로 다디 배 움학교 역시 i-좋은학교 이상으로 확대·운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제주형 자율학교의 다차원 정책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을 살펴보면 제주형 자율학교의 목표와 방향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고, 학교 자율화 특례의 활용도 향상을 위한 도교육청 차원의 지침이 요구된다. 정책 주체로서 도교육청의 역할 강화와 자율성을 활용할 수 있는 단위학교의 역량 강화도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철학을 공유하고, 구체적 지침들을 형성하여 정책을 지속적으로 기획하고 집행해 갈 컨트롤 타워의 구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면,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평가 및 성과 분석이 필요하고, 제주형 자율학교의 가치에 대한 공감대 형성 노력이 필요하다. 제주형 자율학교의 자율성 특례를 단위학교에서 실현할 수 있도록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차원의 규칙 및 조례 제정이 필요하며, 제주형 자율학교의 가치와 운영 모델을 고민할 교육 거버넌스 구성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제주형 자율학교가 학교 단위의 자율성이 확대되고 학교개혁의 성공 모델로 정착하기를 기대한다.

      • 제주지역 NIE 활동 지속가능성 요인 연구 : : 제주NIE학회 사례를 중심으로

        이현숙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NIE(Newspaper In Education)는 신문을 교재로 활용하는 교육 활동이다. 제주에서의 NIE 활동은 학교와 신문사를 크게 두축으로 진행되고 있다. 학교에서 이뤄지는 NIE 수업과 신문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NIE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이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이들은 NIE강사이다. 제주에는 대표적인 NIE 강사들로 구성된 제주NIE학회가 활동하고 있다. 제주NIE학회는 제주지역에서 자발적으로 구성된 NIE관련 단체로 2006년 NIE연구회로 출발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NIE학회의 지속가능한 요인을 가지고 제주지역 NIE 활동의 긍정적 요인과 저해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제주지역 NIE 강사에 대한 심층면접으로 진행되었다. 면접대상은 10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면접 자료를 기초로 이루어졌다. 이번 연구에서 면접을 통해 강사들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기준으로 3개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그룹은 NIE만으로도 지속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고 인식하는 그룹, 두 번째 그룹은 복합적 NIE 활동이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그룹, 세 번째 그룹은 NIE학회 회원 활동은 지속하고 있지만 NIE강사로서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지 못하는 그룹이다. 이 연구에서는 면접결과를 바탕으로 제주NIE학회의 지속가능성 뿐 아니라 향후 제주의 NIE 활동의 지속가능성으로 확장할 수 있었다. 면접결과를 통해 분석된 제주지역 NIE 지속가능 요인은 다음과 같다. (1)강사 자신의 자아 성장을 통한 성취감 (2)지속적 신문 읽기의 필요성 (3)사회에 대한 관심과 지향 (4)신문사의 NIE 지원과 사업의 지속성 (5) NIE활동을 통한 경제적 성취 (6) NIE 지도자 활동을 통한 교육자로서의 보람 (7) 창의성 (8) NIE를 활용한 자녀교육 성과 (9) 강사들의 인간적인 네트워크 및 신뢰 (10) 다양한 교육과의 결합 용이성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저해요인은 (1) NIE 목적에 대한 지향점이 명확하지 않음 (2) NIE활동 강사들의 인간적 갈등 (3) 신문사의 NIE 지원 사업 약화 (4) 신문저널리즘의 신뢰도 하락에 따른 교육적 자료 활용도 떨어짐 (5) NIE를 통한 자신의 성장(자아실현)기회가 부족 (6) NIE 활동과 경제적 소득의 상관관계 (7) 신문 단일 매체활용 교육의 인기도 하락 (8) 시민교육 및 공동체 교육활동에 참여한다는 사명감 부족 (9)학교 현장의 NIE 효과에 대한 인식 미흡 등이다. 제주지역 NIE 활동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고 있는 긍정적 요인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요인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 연구가 제주를 넘어 NIE의 지속가능성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추후 NIE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NIE 강사와 지도자 뿐 아니라 학교, 신문사, 교육현실, 제도적 변화 등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NIE (Newspaper In Education) is an educational program that utilizes a newspaper as a textbook. A newspapers is a medium of long standing history. The refined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a newspaper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mocratic system by developing healthy public opinion in the middle of the new media age, in which a countless amount of information is abound. Although the NIE activities in Jeju are mainly run either in schools or newspapers, it is the NIE instructors and leader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NIE programs promoted by schools and newspaper companies, link the two entities together. Jeju NIE Society is a voluntary research group that was established in 2006 in Jeju, composed of exemplary instructors of the field. In this study examined a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of the sustainability of NIE Society.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of NIE instructors in Jeju, which were 10 in total. The result of the research was produced based on interview data. After the interview, the instructo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awareness of sustainability". The first group fully appreciated and took an optimistic view on its sustainability of NIE alone, whereas the second group considered NIE be sustainable by maintaining complex programs, and the third group continued as NIE Society members but not actively engaged as lectors. In this study, several factors of its sustainability, based on the interviews of members in NIE, are suggested as follows. There are several positive factors of sustainability of NIE activities: (1) the sense of accomplishment by the lector's personal development; (2) continuous reading of newspapers; (3) social interests and directions; (4) sustainability of the NIE support and business power; (5) financial achievement through NIE activities; (6) the sense of fulfillment as a NIE instructor; (7) creativity; (8) children's education using NIE methods; (9) human network and trust among the instructors; and (10) the ease of combination with various fields of education. Impeding factors include (1) uncertain directions of NIE; (2) relationship conflicts among the NIE instructors; (3) the weakening support of NIE projects in newspaper companies; (4) the decreased use of newspaper due to the lowered public trust of newspaper journalism; (5) lack of opportunities in personal development through NIE; (6) few financial benefit through NIE; (7) dropped popularity of newspaper-based media education; (8) lowered sense of mission in partaking civic education and community education; (9) low public awareness at schools. In order for NIE activities in Jeju to be sustainabl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efforts to maintain sustainable positive factors and to improve efforts to improve sustainability.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to study the sustainability of NIE beyond Jeju. This study was limited that it was short of the in-depth research of the need not only for the changes in NIE instructors and leaders but also in schools, newspaper companies, fields of education, and the overall system in order to ensure sustainability of NIE . It is believed that continuous researches and efforts are needed for the future.

      •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방식별 비용편익 분석을 통한 효율성 평가 : : 제주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부기철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방식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을 통해 공공 처리시설과 자체 처리시설(감량기)의 효율성 비교와 더불어 공공 처리시설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실제 행정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공공 처리시설과 자체 처리시설(감량기)의 비용편익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방식별 비용과 편익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연구를 위해 제주 지역에서 운영 중인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의 2개소의 실제 운영 자료를 사용하였고, 자체 처리시설(감량기)도 사회복지시설 1개소와 가정 1개소의 실제 측정 자료를 사용하였다. 다만,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추진 중인 광역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은 환경부 자료를 사용하였다. 비용편익 분석을 보다 세밀하게 산정하기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별로 분석하였고, 분석 비교의 편의성을 위해 모든 건설비용과 운영비용, 편익을 현재 가치로 환산하여 톤당 처리비로 나타냈으며, 가동률은 80%로 가정하여 동일한 상황을 구현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공공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보다는 자체 처리시설(감량기)에서 처리하는 것이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수반되는 수집운반 과정에서의 처리비용이 높은 것이 효율성 저하의 주요 요인이었다. 이에 반해 수집운반 과정이 없는 자체 처리시설(감량기)의 처리비가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방법에 있어서 실제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편익을 산정하기 위해 실제 운영 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설문 또는 서면에 의한 조사 자료를 근거로 비용과 편익을 분석한 것 보다는 보다 현실에 가깝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몇 가지 제시해 보면, 첫째, 음식물류 폐기물을 발생원에서 처리하는 자체 처리방식(감량기) 보급 사업을 음식물류 폐기물 다량 배출 사업장 위주로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공공 처리방식의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에 소요되는 예산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수집운반 비용을 대폭 낮춰야 한다. 셋째, 도민들이 부담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수집운반 및 처리 수수료를 현행 30원/kg에서 228원/kg까지 점진적으로 높여야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the public disposal facility and self-disposal facility of the food waste composter. Moreov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ain problem of public facility and try to contribute an actual public administrative work in the municipal public work.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tudy, we use the real operational data of the 2 food waste disposal facilities. For the self-disposal food waste composter facilities, we use the data from the facility built in the social welfare institute and that of the one in household. For on going metropolitan food waste disposal facility operated by Jeju Province, we use the data from the MOE. The core policy implications, as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obtained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self-disposal composter distribution project of Jeju Province should be focussed into the places of businesses which generate a lot of food waste. Next, to save the budget of the public food waste disposal project, the cost of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should be reduced substantially. Finally, the user fee for th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the food waste should be raised to 228won/kg from on going 30won/k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