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수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B시 A초등학교 4~6학년 중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여 부모동의서를 제출한 아동 2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10명씩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2018년 7월 26일부터 2018년 8월 31일까지 주 2회, 회기 당 70분씩, 총 12회기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하여 초기에는 친밀감 형성 및 흥미유발, 중기에는 감정해소와 정서안정 및 성공경험, 후기에는 성취감 형성을 목표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아영, 차정은(1996)이 개발한 개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김수진(2003)이 초등학생에게 적합하게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먼저 SPSS 20.0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자기효능감 사전점수로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전체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 하위영역별 중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about the effect of clay group art therapy on children`s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submitted parental consent form among the 4th~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B city. 10 students were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program is conducted from July 26, 2018 to August 31, 2018, twice a week and 7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program is consisted of three steps aiming at forming intimacy and accusing interest in the beginning, relieving emotions, emotional stability and success experience in the middle term and accomplishment of achievement in the latter term. We used the general self-efficacy of individuals developed by Kim A-young and Cha Jeong Eun (1996) as a research tool and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modified by Kim A-Young (1997) which is suitable for an elementary student Kim Su Jin(2003). We first confirmed the homogeneity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rough SPSS 20.0 for data processing and conducted independent t-test in order to examine about a pre-score of self-efficacy and conducted repeated measures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a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hildren's overall self-efficacy. Second, cla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mong sub-sectors of the children's self-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cla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enhancing the children's self-efficacy.

      • 현대패션에 나타난 경험디자인

        김수연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In comtemporary times, the design has changed into a design for people which gives first priority to consumer emotion first. According to this time setting, designers have focused on which design induces consumer emotion, which naturally led to the emergence of experience design. Experience design aims to provide a valuable experience to people and is being studied with interest and interconnection in various design fields. Since this cannot be concluded only through a specific design field,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rive clearer viewpoints by organizing it as a concept of comprehensive range that can be defined with experience and knowledge professional fields with various categories including web, culture, system, and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uthor examined the design field that has expanded with social development and the setting for the emergence of the experience design developed according to value change, and organized the concept of experience design based on interactive design, UX design, and emotional design studied based on experience. Unlike the substantial form of the general design, the experience design has an intangible form manifested by the reaction of people. And this experience design is implemented by stimulation and reaction in space and time, producing a result which is the experience of people. It is studied with interest in various design fields including fashion design. By reviewing arts and design cases reflecting such experience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was extracted by the method of behavior induction, emotion induction, and sense induction By analyzing the fashion exhibition, fashion design, and fashion marketing field using these methods, it was found that fashion is a concept that includes both artistic value as a work and commerciality as a product.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which are more salient in fashion design by comparing two fields of art form and design form. As a result of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m, it was found that fashion becomes a mediator which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products and people, people and people, people and natural environment, and nature, showing an tendency to develop to make an useful experience. In addition, since the fashion is always wor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it is able to more effectively provide the experience achieved from the tactile sense among the various senses, and easily grasp the user’s physical conditions, psychology and surrounding environment, providing what are needed for users and being able to interact. These characteristics make it possible to apply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design eminently. In addition, in the fashion marketing,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experience design is applied after being replaced with the term of experience marketing. In the contemporary fashion, the experience design is expected to further develop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beneficial experience to people through the convergence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methodologically helping various studies of fashion design applied with experience, development of product design, installation of works and experience marketing. 현대에 와서 디자인은 인간을 위한 디자인으로서 소비자의 감성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 따라 디자이너들은 어떤 디자인이 소비자의 감성을 이끌어 내는가에 집중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경험디자인이라는 개념이 대두 되게 되었다. 경험디자인은 사람에게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 영역에서 관심을 갖고 서로 연계성을 갖고 연구 되고 있다. 이는 특정 디자인 분야를 통해서만 결론지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웹뿐만 아니라 문화, 시스템, 환경까지 총체적으로 아우르는 다양한 범주의 전문영역의 경험과 지식이 어우러져야 정의할 수 있는 포괄적인 범위의 개념으로 이를 정리하여 좀 더 명확한 관점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 발전에 따라 확장되어가는 디자인의 영역과 가치 변화에 의해 발전하게 된 경험디자인의 등장배경을 살펴보았고, 경험을 기반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는 인터랙션디자인, UX디자인, 감성디자인의 개념들을 바탕으로 경험디자인 개념을 정리하였다. 일반적인 디자인의 실재적인 형태와 달리 경험디자인은 사람의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무형적인 형태로 이러한 경험디자인이 주로 구현되는 방식은 주어진 공간과 시간 속에 자극을 주고 반응되며 얻게 된 인간의 경험을 성과로 한다. 이는 패션 디자인을 포함한 다양한 디자인 영역에서 관심을 갖고 연구 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경험요소가 반영된 예술·디자인 사례를 고찰해보면 경험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행동유도, 감성유도, 감각 유도 방식으로 추출되어진다. 이 방식들을 이용해 패션작품 전시 영역과 패션 디자인 영역, 패션 마케팅 영역을 분석해보면 패션은 작품으로서의 예술성과 상품으로서의 상업성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술형식과 디자인형식의 두 영역을 함께 비교함으로써 패션디자인에 보다 특수하게 나타나는 경험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패션은 인간의 신체, 심리,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제품과 사람, 사람과 사람 또는 사람과 자연환경, 문화 속에서 상호소통 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되며 유익한 경험을 만들어 가기 위해 발전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패션은 늘 착용하고 있고 몸과 고르게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감각 중에서도 촉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험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었고 사용자의 신체 컨디션이나 심리, 주변 환경을 파악하기 수월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사항을 즉각적으로 제공하며 상호작용 할 수 있어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경험디자인의 성격을 적용하기에 탁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패션마케팅에서 또한 체험마케팅이라는 용어로 대체되어 경험디자인 개념이 적용된 사례들로 나타나고 있다. 현대 패션에 있어 경험디자인은 앞으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의 융합을 통해 인간에게 유익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점차 더 발전될 것이라 예상되며 본 연구를 통해 경험디자인이 적용된 패션디자인의 다양한 연구 및 제품디자인 개발, 작품 설치, 체험 마케팅의 방법적 측면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제주지역 직장인의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에 따른 식행동,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식사의 질 분석

        김수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s in breakfast energy levels by examining dietary behaviors and status of food intake, classifying it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breakfast energy level, and then evaluating dietary behavior, nutritional intake, and quality of diet. We studied 596 workers aged at 19-59 in Jeju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conducted by professional dietitians from June to December 201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Program (Ver. 24.0) and, x ̄2-test, ANOVA (Duncan) were used as the method of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der of subjects was 50.3% males, 36.9% were aged 40-49, 67.6% had higher education, and 81.2% were married people. 28% of subjects were in the upper-middle classes in income, 64.4% living in Jeju-city, and 47.0% working as office workers, which were the largest number. Second, in terms of breakfast energy level for subjects, it showed 26.7% were “breakfast skipper group”, 14.3% identified as “breakfast low energy group”, 36.4% were “breakfast moderate energy group”, and 22.7% were “breakfast sufficient energy group”. It also indicated that groups that were older (p<0.001), and married (p<0.01) the higher breakfast energy level that was measured.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the higher breakfast energy level was, the earlier they ate, and the more frequently they had homemade meals (p<0.001). while breakfast skipper group showed the largest in terms of frequency of consuming food from restaurants (p<0.01), takeout food (p<0.05), and delivery food (p<0.01). Fourth, when it comes to the average daily intake of energy, it showed significantly breakfast sufficient energy group (2236.8kcal), breakfast moderate energy group (1835.1kcal), breakfast skipper group (1788.5kcal), and breakfast low energy group (1669.3kcal) in order (p<0.001). The average daily intake of vitamin A (p<0.01), vitamin B2 (p<0.001), niacin (p<0.001), phosphorus (p<0.001), iron (p<0.001) and sodium (p<0.001) appeared to be similar to energy intake,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ifth, for breakfast sufficient energy group, the dietary distribution was the most appropriate, and for breakfast skipper group, in the carbohydrate: protein:fat composition ratio, the intake of carbohydrate was the lowest (p<0.001) while the percentage of intake of fat was the highest (p<0.001), which also mea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ixth, in all groups, calcium intake versus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was lower, and the higher the breakfast energy level was, the better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they showed. Vitamin C and Calcium were taken less than necessary by a majority of subjects in all groups. Also, in all the nutrients, the lower the breakfast energy level was, the higher the ratio of those consuming less th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which led to a meaningful difference (p<0.001). Seventh, breakfast skipper group showed lower intake of potatoes (p<0.05), beans (p<0.01), seeds, vegetables (p<0.001), mushrooms, fruits (p<0.01) and seasonings (p<0.001), eggs (p<0.01), fish and shellfish (p<0.001) and milk and dairy products, while showing high intake of drinking alcohol (p<0.05) and meat, which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reakfast sufficient energy group had all the food groups in a variety ways except milk and dairy products. Eighth, the higher the breakfast energy level was, the higher Dietary Variety Score (DVS), Nutrient Adequacy Ratio (NAR) and Mean Adequacy Ratio (MAR) were, leading to a positive difference (p<0.001). Also, The Index of Nutrition Quality (INQ) of calcium (p<0.05) and vitamin C (p<0.01) was the lowest in the breakfast skipper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26.7%of workers in Jeju have been skipping meals for work, and such groups showed a higher consumption of alcohol and meat, a higher ratio of fat compared with energy taken, and insufficient intake of vitamin and minerals, resulting in a relatively poor quality of diet and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On the other hand, breakfast sufficient energy group, the highest of breakfast energy level showed opposite results to those of breakfast skipper group.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o prepare consistent education and promotion for office workers in a bid to improve the awareness on the significance of breakfast, as well as building adequate breakfast habits.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직장인의 식행동 및 식품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에 따라 4개 군으로 분류한 뒤, 식행동, 영양소 섭취 상태, 식사의 질을 평가하여,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19-59세 직장인 596명을 대상으로 2017년 6월부터 12월까지 전문영양사에 의한 면접방식의 대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Program (Ver. 24.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내용별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x ̄2-test, ANOVA (Dunca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50.3%였으며, 연령은 40-49세 36.9%, 교육 수준은 대학교 이상이 67.6%, 혼인상태는 기혼이 81.2%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은 중상이 28.0%였으며, 거주지역은 제주시가 64.4%, 직업은 관리사무직이 47.0%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은 아침결식군 26.7%, 아침식사 저에너지군 14.3%, 아침식사 중간에너지군 36.4%, 아침식사 충분에너지군 22.7%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p<0.001), 기혼일수록 (p<0.01)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이 높을수록 이른 시간에 저녁을 먹고, 가정조리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반면에 음식점 (p<0.01), 포장음식 (p<0.05), 배달음식 (p<0.01) 이용 섭취빈도에서 아침 결식군이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1일 평균 섭취 에너지는 아침식사 충분에너지군 (2236.8kcal), 아침식사 중간에너지군 (1835.1kcal), 아침결식군 (1788.5kcal), 아침식사 저에너지군 (1669.3kcal) 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p<0.001), 비타민 A (p<0.01), 비타민 B2 (p<0.001), 나이아신 (p<0.001), 인 (p<0.001), 철 (p<0.001), 나트륨 (p<0.001)의 1일 평균 섭취량도 섭취 에너지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아침식사 충분에너지군의 경우 아침, 점심, 저녁, 간식 배분이 가장 적정하였고, 탄수화물:단백질:지방 구성 비율에서 아침결식군의 경우 탄수화물 섭취가 가장 낮은 반면 (p<0.001), 지방 섭취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p<0.001),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모든 군에서 영양섭취기준 대비 칼슘의 섭취가 낮고,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이 높을수록 영양섭취기준 대비 영양소 섭취 비율이 양호했다. 모든 군에서 과반수 이상이 비타민 C와 칼슘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했으며, 모든 영양소에서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이 낮을수록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비율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일곱째, 아침결식군의 경우 서류 (p<0.05), 두류 (p<0.01), 종실류, 채소류 (p<0.001), 버섯류, 과일류 (p<0.01), 양념류 (p<0.001), 난류 (p<0.01), 어류 및 어패류 (p<0.001), 우유 및 유제품류 섭취량이 가장 낮은 반면, 주류 (p<0.05), 육류의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아침식사 충분에너지군의 경우 우유 및 유제품류를 제외한 모든 식품군을 다양하게 섭취하였다. 여덟째,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이 높을수록 식품의 다양성 점수 (DVS)가 높고 (p<0.001), 영양소 적정섭취비 (NAR) 및 평균 영양소 적정섭취비 (MAR)가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또한 아침결식군에서 칼슘 (p<0.05), 비타민 C (p<0.01)의 영양소 질적 지수 (INQ)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제주지역 직장인의 26.7%가 아침식사를 거르고 출근하였고, 이러한 아침결식군은 주류와 육류의 섭취가 많고, 섭취한 에너지에 비해 지방 비율이 높고, 비타민 및 무기질 영양소 섭취도 부족하여 전반적인 식사의 질이 낮았으며, 식행동도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아침식사 에너지 수준이 가장 높은 아침식사 충분에너지군은 아침결식군과 반대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직장인을 대상으로 아침식사의 중요성 인식 제고 및 올바른 아침식사 습관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일 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입원환자의 간호서비스 기대도, 간호서비스 만족도 및 고객충성도 비교연구

        김수연 삼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서비스 기대도와 간호서비스 만족도 및 고객충성도를 파악하여 이 제도의 향후 방안을 모색하는 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017년도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운영과 일반병동 운영을 진행하고 있는 서울의 병원 1곳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일반병동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이에 동의한 환자에게 서면 동의서를 받은 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총 13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수집기간은 2017년 8월 30일부터 2017년 10월 20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sio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검정,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OVA, Dunca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병동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기대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은 일반적 특성 중 연령(F=.46, p=.014), 결혼상태(F=4.21, p=.019), 보호자와의 관계(F=4.05, p=.022), 교육정도(t=10.34, p=.002), 시술유무(t=8.23, p=.006)에 따라 간호서비스 기대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2. 일반병동은 일반적 특성 중 보호자와의 관계에 따라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높았다(F=4.42, p=.016). 반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은 일반적 특성 중 연령(F=8.16, p=.001), 결혼상태(F=4.79, p=.011), 보호자와의 관계(F=7.15, p=.002), 교육정도(t=5.83, p=.019), 입원일(F=6.91, p=.002)에 따라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높았다. 3. 일반병동은 일반적 특성 중 선택동기(F=3.51, p=.066)에 따라 고객충성도가 높았다. 반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은 일반적 특성 중 연령(F=4.28, p=.018), 교육정도(t=4.73, p=.033), 입원일(F=5.45, p=.007),에 따라 고객충성도가 높았다. 4. 일반병동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서비스 기대도는 일반병동이 높았다(t=–8.12, p=<.001). 5. 일반병동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이 높았다(t=2.91, p=.004). 6. 일반병동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의 고객충성도는 전체 –0.47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이 높았다(t=3.75, p=<.001). 7.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입원 당일 간호서비스 기대도와 퇴원시점 간호서비스 만족도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8.92, p=<.001). 8. 일반병동의 입원 당일 간호서비스 기대도와 퇴원시점 간호서비스 만족도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4.26, p=<.001). 9.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은 간호서비스 기대도와 간호서비스 만족도의 관계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47, p<.001),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고객충성도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6.13, p<.001). 일반병동은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고객충성도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54, p<.001). 결론적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대한 간호서비스 기대도는 일반병동보다 낮았지만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이 고객충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중증도에 따른 간호인력의 적절한 배치와 보충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주요어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일반병동, 간호서비스 기대도, 간호서비스 만족도, 고객충성도

      • 성격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김수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격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의 W초등학교 5학년 전체 학급을 대상으로 주관적 안녕감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자의 학급과 가장 동질적인 1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1개 학급은 통제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6주 간 총 10회기에 걸쳐 성격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실 시하였으며, 통제 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실험이 끝난 후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두 집단 모두 주관적 안녕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0.0을 이용한 검사지 반응의 통계적 분석, 각 회기별 소감문, 프로그램 종결 후 학생 설문지 및 연구자 관찰 및 분석을 활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정적 안녕과 정적 안녕의 하위요인인 정적 효능안녕, 정적 정서안녕, 정적 관계안녕 모두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성격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부적 안녕의 하위요인인 부적 정서안녕은 유의미하게 낮았으나, 부적 안녕과 그 하위요인인 부적 효능안녕과 부적 관계안녕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연구결과, 성격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정적 안녕은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부적 안녕은 유의미한 효과가 없어서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부분 긍정되었다. 학생의 소감문 및 관찰 내용 분석 결과, 학생들은 성격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과 친구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형성하며 평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신의 유능감을 높게 평가하며 자신감을 드러냈고, 긍정정서를 표현하였다. 자신의 정서와 유능감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낮추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친하지 않았던 친구와도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반응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격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적 안녕은 향상시키고, 부적 안녕의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가능성을 제시해주어 전반적으로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에 적합한 성격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소집단군으로의 질적 연구의 병행, 유의미한 결과를 미치지 못한 부분을 보완 및 수정한 프로그램의 적용, 본 프로그램의 추후 효과 검증을 위한 장기적인 후속 연구의 실시, 지속적인 강점 일기쓰기의 효과검증을 위한 추수연구의 진행, 기존 행복증진 프로그램과의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주요어 : 행복증진프로그램, 성격강점, 성격강점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 주관적 안녕감 * 본 논문은 2013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 환경복지도시 구현을 위한 환경불평등 격차분석

        김수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모든 사람은 공평하게 환경재화를 사용하고 환경서비스를 누리며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에서 살아갈 권리가 있다. 그러나 경제성장을 위한 무분별한 자원소비는 생태계파괴와 기후변화 같은 환경문제를 발생시켰다. 환경문제로 인한 피해는 환경오염을 유발한 선진국이나 고소득계층에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나라, 인종, 여성, 노약자, 어린이와 같은 사회적 약자에게 편중되어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렇듯 환경문제로 인한 피해가 고소득계층보다 사회적 약자에게 가중되어 불평등이 발생하는 것을 본 연구에서는 환경불평등이라 정의한다. 환경불평등이 완화되기 위해서는 특정 계층에게 발생하는 피해에 대해 모든 계층이 동등하게 책임을 져야하며, 환경불평등이 해소되어야만 진정한 환경복지가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불평등 격차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평가결과를 통해 환경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환경불평등 격차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는 환경불평등을 유발하는 환경적요인, 사회경제적요인, 물리적요인으로 부문을 나누어 구성하였고, 중요도 설문과 분석을 통해 지표의 객관성과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지표는 환경적요인 11개, 사회경제적요인 6개, 물리적요인 6개이며, 선정된 지표를 연구 대상지인 서울시에 적용시켜 서울시 환경불평등 격차를 평가하였다. 서울시 각 자치구의 재정자립도와 비교하여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재정자립도가 가장 높은 강남구와 송파구의 경우 환경적으로 심각한 오염을 가중시키는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재정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고, 사회복지 수준이 높으며, 환경오염을 완화시키는 녹지면적이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다른 자치구들은 재정자립도, 녹지면적, 사회복지시설이 강남구, 송파구 보다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서울시의 환경불평등 격차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선정된 평가지표는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환경불평등 격차를 파악하는데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지표를 활용한 평가결과는 향후 환경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발레 동작을 활용한 필라테스 프로그램 개발

        김수연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필라테스의 기본원리 및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운동기법과 발레의 상지, 하지의 근육강화 및 예술성을 겸비한 동작을 접목시켜 기존운동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필라테스와 발레의 신체적, 정서적 효과를 토대로 일반인들의 바른 자세와 건강한 몸을 가꾸기 위한 운동기법 뿐만 아니라, 발레동작의 미적표현을 부각하여 운동효과와 더불어 발레라는 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레 동작요소의 활용을 통해 기존의 정형화된 필라테스 동작보다 더욱 다양한 구성의 확대를 기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여러 차례의 동작수정과 보완을 통해 6개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준비운동, 12개 동작의 본 운동과 정리운동을 수행하는 3개의 동작까지 포함하여 총 21개의 동작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각의 동작은 그 특성에 따라 신체의 여러 부위의 근육을 자극시키고, 부하를 줌으로써 각 동작의 특징별로 세분화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필라테스의 기본적인 원리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운동기법에 상지하지의 근육강화 훈련과 예술성이 두루 겸비된 발레동작을 활용하여 현대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바른 자세 및 건강한 몸 뿐만 아니라 발레의 예술성까지 함께 함양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몸을 가꾸기 위한 기존의 운동방식을 탈피하여 운동효과와 더불어 발레를 함께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일반인들로 하여금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추후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동작들 또한 개발되어 개인의 특성에 맞게 적용 가능하도록 세분화 되어야 할 것이다.

      • 암환자 성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태도와 성 상담 장애

        김수연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국문요약 암은 아직도 인류가 정복해야할 대상으로 우리나라 사망원인질환 중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발생율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학의 발전으로 오랜 시간 투병해야하는 만성질환으로서의 특성을 띄고 있어 암환자의 질병치료 뿐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건강과 성문제, 배우자와의 상호작용 등을 포함한 질적인 삶에 대한 고민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암환자의 성(sexuality)과 관련하여, 많은 암환자가 성기능의 장애 및 이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를 경험하고 있어 그에 따른 교육 또는 상담이 중요한 시점이지만 우리나라 문화와 관습의 특성상 환자는 물론 해당 환자를 돌보는 의료인조차도 성에 대한 문제를 드러내거나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교육, 상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의 성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태도, 그리고 성상담 장애를 조사하고 이들 변수 간 관련성을 파악하여 향후 암환자에게 적절한 성상담 및 교육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암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관계연구이다. 2011년 5월 12일부터 28일까지 서울, 경기도, 강원도 소재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439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배부․수거하는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설문지에는 암환자 성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암환자 성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암환자 대상으로 한 간호사의 성 상담 장애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와 해당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중 여성이 99.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연령은 평균 29세로 파악되었으며, 최종학력은 3년제 간호과 졸업이 48.3%로 가장 많았고, 종교는 무교가 50.3%로 가장 많았다. 결혼여부는 미혼이 72.9%로 많았으며 결혼기간은 6년, 근무경력은 평균 7년이었으며, 해당부서 근무경력의 평균은 3년이었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88.6%로 가장 많았고, 월수입은 평균 228만원이었다. 2. 암환자 성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에서, 간호사의 64%가 암환자가 성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69.2%의 간호사가 암환자의 배우자로부터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또 80.8%의 간호사가 암환자의 성 욕구가 변화된다고, 31.5%의 간호사가 암환자의 성적욕구를 대화나 가벼운 포옹으로 해결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암환자의 성 생활과 관련해 간호사의 87.7%가 그 빈도가 변화되며, 68.0%의 간호사가 암환자와 배우자가 성 생활을 기피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3.9%의 간호사가 암환자가 성 상담의 대상으로 희망하는 것은 환자자신의 배우자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92.5%는 성 상담이나 관련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암환자 성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는 총점 72만점에 36.12점이며 평균평점(총점/문항수)은 6점 만점에 3.01이었다. 개별문항 중 '성은 환자가 먼저 이야기를 꺼내지 않더라도 논의되어야 한다.'가 4.10점으로 가장 평균점이 높았고, '나는 시간을 내어 환자와 성에 대한 관심사를 상의한다.'가 1.76점으로 가장 평균점이 낮았다. 4. 간호사의 암환자 성 상담 장애는 총점 120점 만점에 74.8점이며 평균평점(총점/문항수)은 6점 만점에 3.74로 나타났다. 개별문항 중 ‘나는 전문가가 아니다(전문분야가 아니다).’가 4.51점으로 가장 평균점이 높았고, '나는 시간을 내어 환자와 성에 대한 관심사를 상의한다. '동료들이 나에 대해 나쁘게 생각할까봐 걱정된다.' 등의 두 문항이 2.22점으로 가장 평균점이 낮았다. 5.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암환자 성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연령, 최종 학력, 종교, 결혼 여부, 근무 경력, 직위, 월 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간호사의 암환자 성 상담 장애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연령, 최종 학력, 결혼 여부, 근무 병동, 근무 경력, 직위, 월 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암환자 성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와 간호사의 암환자 성 상담 장애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암환자의 성에 대해 허용적인 태도를 가진 간호사일수록, 간호사의 성 상담 장애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암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암환자의 성(sexuality)과 관련된 정보를 습득하고, 암환자 대상 성상담 및 교육을 담당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교육프로그램의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또, 암환자의 성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기반으로 다양한 중재를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고통스러운 치료과정 속에서도 성적 정체감과 자존감을 가지고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모해야 할 것이라 여겨진다.

      • 펄스드-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방식을 이용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박막의 상온 제조와 이온에너지 분석기와 신경망을 이용한 챔버 감시

        김수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상온에서 Pulsed-PECVD 를 이용하여 SiN 박막을 증착하였다. 플라즈마에 Pulse를 인가해주는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으로 기존의 PECVD 실험과는 구별이 된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한 몇 가지의 새로운 그리고 흥미로운 SiN 박막의 특성들을 본 논문을 통해 소개한다. 변수들에 대한 duty ratio의 영향을 소스 전력과 바이어스 전력의 함수로 살펴보았으며, 박막 특성과의 관계도 규명하였다. 그리고 플라즈마 챔버를 감시하기 위해 신경망 기법과 관련하여 이온 에너지의 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기법을 연구하였다. 진단 데이터는 IEA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IED 와 RIEF는 Eh와 Nh에 의존하였다. 일반적으로 소스 전력이 감소하면 Eh, Nh, RIEF 그리고 IED는 증가하며 El와 Nl는 감소한다. 특히 낮은 duty ratio에서 소스 전력에 따라 다른 duty와 반대의 Eh 가 보이는 것과 El의 급격히 감소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전체 펄스가 on 되는 시간의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 duty ratio범위에서, rf 전력이 감소하면 증착률이 증가하며, 높은 증착률은 낮은 duty ratio 에서 얻을 수 있었다. 증착률이 IED (Eh) 또는 RIEF (Nh)와 강한 연관성을 보이므로 높은 증착률이 높은 IED와 RIEF로 인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굴절률이 Eh 와 반대의 경향성이 보임을 이온 에너지와 이온 에너지 flux와 연결지어 설명하였다. 특히, 바이어스 변화에 따라서는 굴절률이 일관된 변화를 보임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는 낮은 바이어스 전력에서 높은 굴절률을 가진 SiN가 제조 되었다. 이온 에너지 진단과 박막의 성질 사이의 흥미로운 관계를 다루었으며, 이 관계가 박막의 성질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감시 기법이 신경망과 in-situ 이온 에너지에 의해 개발 되었다. 이 기법의 중요성은 플라즈마 챔버의 변화에 이온 에너지가 상당히 그리고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에 집중된다. 한편, 플라즈마 고장의 실시간 감시를 위해 시계열 신경망모델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모델들은 플라즈마 고장을 감지하기에 충분히 높은 민감도를 입증하였다. 학습 인자와 민감도측면에서 최적화한 모델의 진단 정확도는 50% 이상이었으며, 이들 모델의 적용은 플라즈마 공정의 실시간 감시 성능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