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설화 속 거인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한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황정원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사회는 신화가 숨 쉬던 상고시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문명이 진보하여 과거 미지라 여겨지던 많은 것들이 과학의 영역으로 편입되어 그 베일을 벗었다. 그럼에도 사람과 사람 사이의 소통에 있어서는 크게 더 나아진 것이 없다. 사회구조의 변화와 함께 확산된 개인주의의 영향으로 인간관계는 점점 파편화되어가고 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현대인은 항시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더욱 외로움을 느낀다. 이에 더불어 2007년을 기점으로 한 SNS의 파도는 이러한 현상을 더욱 심화시켰다. 깊은 소통보다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만이 범람한 현시대의 소통은 점점 밖으로 보여지는 것에 치중되고 있다. 현대에 들어와 거인은 굉장히 복합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고전 속에서 가장 흔한 거인의 인상은 영웅의 앞길을 막는 존재였다. 하지만 그들이 처음부터 이러한 이미지를 가졌던 것은 아니었다. 과거 사람들은 모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초자연적인 존재를 만들어냈다. 거인설화의 생성은 이러한 인간의 심리적 불안정 상태를 거대한 존재를 통해서 납득하고 소화해낸 방식이었다. 원시 인류에게 있어 거인은 굉장히 훌륭한 설명 수단이었다. 하지만 세월을 거쳐 사고가 발달하고 새로운 설화가 창작되며 그 이미지는 다르게 사용되고, 해석되었다. 연구자는 현재 사회분열의 가장 주요한 원인인 상대방에 대한 타자화와 설화를 통해 형성된 거인 이미지 사이의 공통점이 있다는 생각을 가졌다. 이에 거인이라는 모티프가 탄생하여 지금껏 사용된 방식과 현대사회의 배타적 소통 사이의 공통점을 찾아보았다. 거인의 이미지가 설화 속에서 어떻게 비춰졌고, 그 유래가 어디서 온 것인지 파악하여 현대사회에서 받아들여지는 거인 이미지의 변화 이유 역시 찾아보았다. 현대인은 타인이라는 거인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본 연구의 거인 일러스트레이션은 동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을 투영하였고 이를 통해 사람 간 관계에서 그저 일부만으로 그들을 판단한 부족함을 성찰하고 소통의 자세에 대한 고민을 담아보았다. 우리는 온전히 서로를 이해할 수 없지만, 배척하는 것이 아닌 천천히 이해하고자 하는 존재로 관계를 맺기를 희망한다. In the contemporary era, civilization has advanced to a degree incomparable to the ancient times, a period imbued with myths. This advancement has led to the unveiling of numerous phenomena previously considered unknown, now incorporated into the realm of science. However, there has been minimal improvement in the realm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spread of individualism, concomitant with societal changes, has increasingly fragmented human relationships. Despite the ubiquity of connectivity afforded by the proliferation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modern individuals experience heightened feelings of loneliness. This phenomenon has been further exacerbated by the adven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ince 2007. In the contemporary context, the image of the giant is multifaceted. In classical literature, giants were predominantly depicted as obstacles in the path of the hero. However, this was not always their designated image. In the past, supernatural beings were created to elucidate the unknown. The genesis of giant myths was a mechanism for humans to comprehend and assimilate their psychological instability through these colossal entities. The researcher postulated a commonality between the process of othering, a primary cause of societal division in the present day, and the image of giants formed through myths. Consequently, the researcher sought to identify commonalities between the evolution and utilization of the giant motif and the exclusive communication prevalent in modern society. The researcher endeavored to understand how the image of the giant was reflected in myths, its origins, and the reasons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giant image accepted in contemporary society. Modern individuals coexist with the 'other,' metaphorically represented as a giant. The giant illustration in this study projected contemporary individuals, prompting introspection on the inadequacy of judging others based solely on a fraction of their identity, and encapsulated contemplation about the posture of communication. While complete understanding of each other is unattainable, the aspiration is to foster relationships as entities striving for gradual understanding, rather than exclusion.

      • 생태 관계성을 통한 공생 표현연구

        오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随着工业化社会快速发展带来的负面影响,能源,生态,自然环境等正承受着巨大的压力. 然而,这样的恶性循环趋势还在不断的增长,自然环境遭到了毁灭性的破坏,威胁着人类的生存与发展.在这样的情况下,想要改善生存环境就应该从根本上解决问题,改变旧观念,建立起环保意识.对此社会各领域都做着不同的努力,这其中包括经济,科技,政治等.而作为工艺美术之一的陶瓷工艺领域也不例外,通过对作品的塑造来传达环保观念是区别于其他领域的艺术表现手段. 陶瓷工艺不仅可以实现作品的功能与效用,还能发现人们潜意识中的情感需求.作为陶瓷工艺的创作者,通过作品来引导人们建立起正面的理念行为是责任也是义务.陶瓷创作是综合性的艺术表达方式,通过对造型,材料,表现方式的研究与应用,以视觉传达的方式来让观赏者感受其想要传达的信息,以改变人们的观念和建立环保意识. 本研究的研究目的在于将近年来备受关注的环境问题,与陶瓷工艺结合起来,探究以生态为主题的陶瓷作品的价值.随着环保观念的深入发展,生态观念已不再仅仅局限于物质的可持续发展概念,而已经上升到物质与精神两方面达到人,自然,社会的和谐共生的文化概念.现在人们对陶瓷工艺的生态表现有了新的认识和理解.在陶瓷工艺逐渐被人们所认可的今天,它成为了人,自然与社会这三者关系平衡的载体,具有重要的生态价值和意义. 论文的第一章就生态和生态学理论本身进行了探讨.对生态和生态学的概念,历史和意义分别进行了理论性的概述.同时,对生态关联性美术示例作品进行了分析和研究.示例作品的表现内容主要是对生存环境的批判与反思,还有对生态之美的写照.将各个国家的现代生态美术案例作品分别从创作观念,艺术题材和技术参与中的生态表现进行归纳描述,更直接的了解了生态美学的概念和意义,而示例作品的表现方式和创作技法也对本研究者的作品起到借鉴作用, 第二章就自然与人类的共生关系进行了整体的梳理.对共生以及共生美学的概念和意义进行了理论性研究.对国内外部分共生美术作品按照创作年代顺序进行分析,更好的梳理了共生美学的发展概况和历史.其中示例作品的研究范围包括:雕塑,装置,影像等美术领域.作品艺术形式中的生态表现主要体现在两方面:一方面对自然的描绘与赞美,人文情怀的抒发与关心.另一方面是赤裸的揭露失去共生关系后对生态链的破坏和对生存环境的负面影响.示例作品的分析和研究也为后期的生态陶瓷作品的表现形式打下了基础. 论文的第三章“融合”对本研究的内容有着承上启下的作用.无论是本文研究者的作品所要传达的信息,还是创作的表现形式都是多角度,多样性的融合行为.本章节先理论性的论述了融合的概念和定义,随后,通过对社会,科学中跨界融合的示例扩展研究来深化概念及范围.最后,美术领域的融合性示例研究对接下来研究者的陶瓷作品起到了铺垫和引导作用.在本研究者的作品中不仅有生态与共生观念的融合,也有材料和制作方法的融合表现. 文章的第四章是实践性创作的一个章节.制作背景和制作目的的理论性阐述是作品的灵魂和主导思想.明确了创作目的,接下来就生态陶瓷创作的材料进行了分类研究.通过应用吸水性材料的陶瓷示例研究帮助理解特性以及表现方式.系统性的研究为本文研究者今后的创作奠定了理论基础,也总结了经验.然后,对研究作品的创作技法和制作过程通过实践进行了整体化的阐述.最后得出结论:恰当的材料和表现形式可以更好的表现作品的主题和传达内在意义. 第五章也就是本研究的最后一章是本研究者的作品分析,也是前一章节实践结果的展示.通过作品来传达作者的意识和思想这是文化传播的重要途径之一.观念的表达也是作品内在情绪的表达,为了更好的接收到作品所要传达的信息,首先进行了研究者个人观点的阐述.随后进行了先行作品研究,先行作品是研究者早期的生态陶瓷作品.通过对材料,形式,表达内容的分析,找出与现在作品的相同和不同之处,为之后的作品明确了发展方向.最后,根据材料和主题类别的不同对研究者的作品进行系统性的分类与分析.多角度,内容的作品分析和研究对主题的表达更加明确和清晰化. 这其中除了对作品材料,制作方法以及表现形式的说明外,还对现代生态陶瓷的生态价值和意义进行了讨论与总结.一方面归纳并总结了生态学理论对现代生态陶瓷的理论指导,另一方面分析讨论生态陶瓷的生态性价值.通过以上论述,论文得出结论:生态观念是未来生态陶瓷发展的重要价值取向之一,生态陶瓷是陶瓷工艺的重要组成部.作为主要的艺术干预手段,在环境保护的呼吁和导向上扮演着重要的角色. 生态陶瓷作品不单单是一个静态的展示艺术,更多的是通过视觉上的艺术表现来表达设计理念与环保意识.通过独特的形式美传达作品所要表达的内容以此来唤醒人类对于生存环境的担忧与关心.严重的环境危机需要急迫的提醒人类去参与到环境保护行动中去.通过艺术表现使人们发自内心的关心,积极地参与,是陶瓷工艺所要集中表现的课题和创作的目的. Although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promotes the progress of human beings from the perspective of visibility, we can't expect further development if we don'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t present, people have realized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in science, politics and other fields, and discussed the countermeasures and methods to solve the problem, and the art field is no exception. In addition, human survival is closely related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because of the impact of the environment on social conditions. Now, many writers are very concerned about this kind of problem, and take it as the object of performance,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 in the above topics through some behavioral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works of the leading artists and researchers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affinity. At the same time, the relevance of the environment is studied in many aspects to reflect the symbiotic ecology. The first is to examine the coexistence and contradiction between symbiosis and human societ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position and unity of man and nature, the two-dimensional relationship between symbiosis and environment. The second is that each field of art has its own unique views on ecologism, and has different artistic views and opinions on ecological civilization and human civilization. In this paper, the case study of works is used as an indirect research object to express the natural equality and causality in life. In addition, a variety of views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in this process, the theory of ecologism is understood. Cai Guoqiang's installation works, Courtney Mattison's ceramics works, Chris Jordan's photography works and other related art works are all includ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works and the author, the artistic expression of individual relationship is sought. The third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iosis and ecology through related works. Based on the art examples of coexistence and symbiosis in nature,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iosis and ecology and the root relationship. The fourth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oncep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bsorbent materials as the basis, and to do aesthetic research on the works of absorbent materials. Fifth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works, it wakes up the ecological value of nature and clarifies the significance of "symbiosis". In addition, through the recombination and re-creation of rare creatures, people's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symbiosis are guided, which also records the beauty of ecology and the preciousness of nature. Although it is a very small individual or something existing in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of researchers, it is an individual in nature who should enjoy their right to exist. Therefore, in the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ucture, the details of the works show the negative factors caused by human-oriented environmental damage. In order to enhance the plastic effect, absorbent materials are used, which not only improves the richness of the work, but also reduces the damage rate. Through the use of the above materials, it is beneficial to eliminate the defects carried in the ceramic process performance. But it is also one of the defects that smoke will be produced during production. Symbiosis and ecology are the main research objects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and use of absorbent materials, symbiosis can be better communicated to the viewers and have a positive impact. The view and significance of the spectators on "symbiosis" have changed qualitatively in the works, and they actively respond to the concept and scope of ecological art by various ways of expression. Energy, ecology and natural environment are facing tremendous pressure due to the negative impact brought by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ized society. However, such a vicious circle trend is still growing, to the extent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has been devastated, which threatens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human beings. Under such circumstances,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requires to solve the problem fundamentally, change the old concept and establish the environmental awareness. Therefore, different efforts are being made in various fields of the society, including economics, science and technology, and politics. And so does the ceramic technology field, which is one of the arts and crafts. It conveys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hrough the shaping of works, which is a means of artistic expression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fields. ceramic technology not only can realize the function and utility of the work, but also can discover the emotional needs in people’s subconscious. As a creator of ceramic technology, it is a duty and also an obligation to guide people to establish positive concepts and behaviors through works. The ceramic creation refers to a comprehensive way of artistic expression. Through researches and application of modeling, materialsand expression methods, the viewer can feel the information conveyedin the manner of visual communication, so that it can change people's concepts and establish environmental awareness. The research aims at combining the environmental issues focused by people in recent years with the ceramic technologyto explore the value of ceramic works with the theme of ecology. With the in-depth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concept, the concept of ecology is no longer limited to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material, which has risen to the material and spiritual aspects of human beings, the cultural concept of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nature. Currently, people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ecological performance of the ceramic technology. Under such circumstances, when the ceramic technology is gradually recognized by people, it has become the carrier for the bal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nature and society, and has a great ecological value and significance. The first chapter of the thesis discusses the ecology and ecological theory. It summarizes the concept, history and significance of ecology and ecology respectively and theoretically. Meanwhile, it analyzes and researches on the ecologically related art example works. The content of the sample works mainly involves the criticism and reflection on the liv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 portrayal of the ecological beauty. Moreover, it summarizes and describes the case works of modern ecological art of various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s of creative concepts, artistic themes and ecological expressions in technical participation, so as to have a more direc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meaning of ecological aesthetics. And the expression methods and creative techniques of the sample works also play a reference role for the researcher's works. The second chapter organizes the overall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mankind, carrying outa theoretical research on the concept and meaning of symbiosis and symbiosis aesthetics. Meanwhile, it also analyzes some domestic and foreign symbiotic art works in accordance with the chronological order of creation to better organize the development and history of symbiotic aesthetics. In which, the research scope of the sample works includes: sculpture, installation, video and other arts fields. The ecological expression in the art form of the works is mainly shown in two aspects: on the one hand, it lies in the description and praise of nature, and the expression and concern of humanistic feelings. On the other hand, it barely exposes the damage caused to the ecological chain and the negative impact generated on the living environment after loosing the symbiotic relationship.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the sample works has also laid a foundation for the later expression of ecological ceramic works. The "fusion"in the third chapter plays aconnecting linkbetween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content of this research. No matter it is the information conveyed by the researcher's work or the expression of creation involvethe multi-angle and diverse fusion behavior. In this chapter,it discusses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fusion theoretically first, and then it deepens the concept and scope by expanding and studying the examples of cross-border fusion in society and science. And finally, the fusion example research in arts field has paved and guided the ceramic works of the following researchers. Not only the fusion of ecology and symbiosis, but also the fusion of materials and production methods have been shown in the works of the researcher. The fourth chapter refers to the practical creation. The theoretical elaboration of the production background and production purpose are the soul and dominant idea of a work. After clarifying the purpose of the creation, it carried out a classification research on the materials of the ecological ceramic creation. Through the research onthe ceramic example made of water-absorbing material, it aims to help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The systematic research has lai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future creation of the researcher of this thesis, while also summarizing the experience. Moreover, it comprehensively elaborates the creation technique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research works through practice. And the conclusion obtained is that: the appropriate materials and expression forms can better express the theme of the work and convey its inner meaning. The fifth chapter, the last chapter of this research, refers to th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work, which is also a demonstration of the practical results of the previous chapter. Conveying author's consciousness and thoughts through works is one of the important ways of cultural communication. The expression of concepts also involves the expression of the inner emotions of the work. To better understand the information conveyed by the work, the researcher's personal opinion has been elaboratedfirst. And then, the research on anterior works is carried out. Referring the anterior work, it refers to the ecological ceramic works created by the researchers in early stages. Through the analysis of materials, forms and expression content, it tries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current works, so as to clarify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future works. At last, the researcher’s works are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materials and subject categories.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works from multiple angles and content clear and accurate the expression of the theme. Except for the description of work materials, production methods and expression forms, it also discusses and concludes the ecological value and significance of modern ecological ceramics. On the one hand, it summarizes and concludes the theoretical guidance of ecological theory to modern ecological ceramics, and on the other hand, it analyzes and discusses the ecological value of ecological ceramic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discussion, it has drawn the conclusion: ecological concept is one of the important value orient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cological ceramics, and the ecological ceramic sisaninse parable part of ceramics technology. As the main artistic intervention method, it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appeal and guidance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ecological ceramic works not only refers to a static display art, but also focuses more on expressing the design concept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wareness through visual artistic expression. Through the unique beauty of form,it conveys the content expressed by the work to awaken human beings’worries and concerns about the living environment. The serious environmental crisis requires to remind human beings to participate i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ons. It is the subject that the ceramic technology needs to centrally manifested and the purpose of the creation making people caring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environment protection actions through artistic expression from their hearts. 산업문명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생태 및 환경은 커다란 압박을 받고 있다. 또한 이러한 악순환의 추세는 여전히 증대 되고 있으며 자연의 황폐화는 인류의 생존과 발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오래된 관념을 바꾸고 환경에 대한 의식을 확립해야 한다. 이에 경제, 과학 및 기술, 정치 등 사회의 각 분야에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술의 하나로서 도자공예 분야도 예외는 아니며, 작품을 통해 환경 보호의 개념을 전달해야 한다 도자공예는 작품의 기능과 유용성을 실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재의식을 통해 사람들의 정서적 욕구를 발견한다. 또한 창작자들은 사람들이 작품을 통해 긍정적인 생각과 행동을 확립하도록 인도하는 책임과 의무를 갖고 있다. 창작은 예술적 표현의 종합적인 방법으로, 조형, 재료, 표현 방법의 연구와 응용을 통해 감상자는 시각전달의 방식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 인식은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고 환경에 대한 인식을 확립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환경 문제와 도자공예를 결합하고 생태를 주제로 작품의 가치를 탐구하는 것이다. 환경보호 개념의 심층적인 발전으로 생태의 개념은 더 이상 물질적 지속 가능한 개발에 국한되지 않고 물질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에서 사람, 자연, 사회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문화의식으로 상승했다. 이에 사람들은 도자공예의 생태적 기능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인식을 갖게 되었다. 오늘날 도자공예가 점차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받아들여지면서, 인간과 자연과 사회의 균형을 이루는 매개체가 되었으며 중요한 생태적 가치와 의미를 갖게 되었다. 본 연구의 Ⅱ장에서 제 1 부분은 생태와 생태학 이론에 대해 논의한 후, 개념, 역사 및 의미를 각각 이론적으로 요약했다. 동시에 생태미술 사례 작품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사례 연구는 주로 생존 환경에 대한 비판과 성찰, 생태의 아름다움에 대한 묘사로 이루어졌다. 다양한 국가의 현대 생태미술 사례 작품은 창작개념, 예술주제, 기술참여의 표현으로 나누어서 요약 및 서술하였다. 미학의 개념과 의미를 보다 직접적으로 이해하였으며 사례 작품의 표현 방법과 창작 기법도 본 연구자의 작품에 참고 자료가 되었다. 본 장의 제 2 부분은 자연과 인간의 공생 관계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하였다. 공생과 공생미학의 개념과 의미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외 해당 작품 중 일부를 제작 연도순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발전과 역사를 정리하였다. 사례 작품의 연구 범위에는 조각, 설치, 비디오 및 기타 미술 분야를 포함시켰다. 본 장의 제 3 부분인 "융합"은 본 연구의 내용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자의 작품이 전달하는 정보이든, 창작의 표현 형태이든 간에 모두 다양한 관점에서, 다양성으로 이루어진 융합 행위이다. 이번 장에서는 먼저 융합의 개념과 정의를 이론적으로 논의한 다음 사회와 과학에서 학제 간 융합 사례에 대한 연구를 확대하여 개념과 범위를 심화시켰다. 마지막으로 미술 분야의 융합 사례 연구는 다음 연구자들의 도자작품을 암시하고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본문의 제 Ⅲ장은 실용적인 창작을 다루고 있다. 제작 배경과 제작 목적에 대한 이론적 설명은 작품의 핵심이자 지배적인 아이디어이다. 창작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생태도자 창작을 위한 소재를 분류하고 연구했다. 흡수성 소재의 응용한 도자 사례 연구를 통해 흡수성 재료의 특성과 표현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체계적인 연구는 본 논문의 연구자의 향후 창작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으며 경험을 요약했다. 그런 다음 연구 작품의 창작 기술과 제작 과정을 실습을 통해 전반적으로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소재와 표현 형태는 주제를 더 잘 표현하고 작품의 내재적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번 연구의 마지막 장인 제 Ⅳ장은 연구자의 작업에 대한 분석이며, 또한 이전 장의 결과를 나타낸다. 작가의 의식과 생각을 작품을 통해 전달하는 것은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개념의 표현은 작품 내면의 감정 표현이기도 하며, 작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더 잘 받기 위해 연구자의 개인적 의견을 먼저 설명한다. 이후 연구자의 초기 생태도자작품인 선행 작품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소재, 형태,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현재 작품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향후 작품의 발전 방향을 명확히 정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작품을 다양한 소재와 주제 카테고리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다양한 관점과 내용에서 작품을 분석하고 연구함으로써 주제의 표현을 보다 명확하고 세밀하게 정리했다. 작품의 소재, 제작 방법 및 표현에 대한 분석과 함께 현대 생태도자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요약하였다. 작품에 대한 생태적 지위의 이론적 지도를 요약하였으며, 또한 생태도자의 생태적 가치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위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생태의 개념은 다양한 도자의 미래 발전에 중요한 가치 지향 중 하나이며, 이중 생태 도자는 도자 공예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 될 수 있다. 주요 예술적 개입 수단으로서, 환경 보호의 요구와 지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생태 도자 작품은 정적인 전시 예술일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예술 표현을 통해 디자인 이념과 환경 의식을 표현한다. 독특한 형태의 아름다움은 작품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하여 생존 환경에 대한 생각을 일깨워준다. 인류가 환경 보호 조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심각한 환경 위기에 대해 알릴 필요가 있다. 이를 예술적 표현을 통해 대중들이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만드는 것이 본고를 통해 집중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이자 창작의 미래 방향이다.

      • 신조형주의를 응용한 도자표현 연구

        김아롱 동덕여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인 미를 추구했던 기존과는 다른, 직선적인 면 분할 방식이나 색채 등으로 대표되는 신조형주의(Neoplasticism)의 추상적 특징을 중심으로 기하학적 형태의 표현양식에서 조형요소를 찾고, 이를 응용하여 현대 도자 디자인 개발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외면적인 가치에 의존하지 않고 지나친 장식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정화되고 간결화 된 표현을 중심으로 하는 신조형주의(Neoplasticism)의 피트몬드리안의 작품을 연구하여, 단순하면서도 규칙성을 가지고 있는 기하학적 형태의 표현양식을 연구자의 감성과 조형의지로 새롭게 해석하여 나타내고자 하였다. 그의 작품에 나타난 2차원적 공간 설정을 바탕으로 하여, 특히 선적인 조형요소에 중점을 두어, 일정한 리듬감을 지니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디자인과정에는 종이 접는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접고 펼쳤을 때 만들어지는 종이 표면의 자연스러운 형태변형과 구성을 연구하여 선적인 요소를 창의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재료 본연의 특성을 살리고 색감을 더해 단순하고 명확한 색상의 대비 표현으로 선적인 조형요소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지적이고 차가운 느낌을 도자재료인 자기토와의 결합으로 극적인 효과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연구 작품 제작의 전 과정은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 주입 성형을 기본으로 진행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find plastic factors in the geometric expression style focusing on abstract characteristics of neoplasticism that are representative for linear side division and color, different from an existing pattern seeking universal beauty and also to apply it to the contemporary ceramic design development. By studying works of Piet Mondrian of neoplasticism that focus on purified and simplified expression rather than depending on physical value and excessive decorative pattern, this study attempted to reanalyze a geometric expression method with simplification and regularity into the researcher’s emotion and consciousness of plastic factors. Based on 2-dimensional space of his works, this study examined various types of design with regular rhythm paying special attention to linear plastic factors. By introducing paper folding method in design process, the study attempted to create linear factors creatively by structuring natural shape change and structure of paper surface made by folding and unfolding. This study also stressed dramatic effects by combining ceramic clay, a material of intelligent and cold feeling that is obtained from linear plastic factors with simple and clear color comparison by using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by adding feeling of color. The whol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research product was carried out by using casting gypsum mould.

      • 기하학적 형태의 결합을 응용한 도자 후식기 연구

        김유라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 Study on Ceramic Dessert Ware utilizing the Union of Geometric Form by Kim, Yoora Department of Ceramic Design Graduate School of Desig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With much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economic development, dietary culture is also fast changing. Unlike in the past, we’ve come to focus on desserts that offer a time to relax, too, instead of focusing solely on the main meal. People are moving away from seeing meals and foods as just something to take in, but as something that can provide sensory and artistic satisfaction. Tableware, too, has shifted away from being seen simply as a tool to hold food and more towards being a means to satisfy our aesthetic needs. It is increasingly emphasized as playing a role in enriching our lives and improving the atmosphere of the living space. We now see a wide range of tableware featuring unique designs. As such, this paper sought to design and develop tableware for desserts by combining various geometric shapes. Geometric shapes are abstract shapes made of circles, triangles and rectangles drawn out using rulers and compass. They are also the basic and reasonable forms that can also be seen in natural order, and thus gives a clear-cut yet orderly feel to objects. Based on these factors, simple tweaking such as rotation, movement, cutting, combination, symmetry and transformation helps create a new three-dimensional form and represents a newly re-configured form.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applying the combination of geometric forms to produce tableware for desserts that are nice to look at, serves its function and adds a hint of ornamentation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erms of methodology, literature review was used to survey the concept and types of desserts and review tableware used for desserts. Specifically, a tea pot and tea cups for coffee or tea, plates to hold bread or cookies and bowls for fruit and ice cream were produced. Plaster molds which facilitates mass production was used to form and combination of plaster molds was used to refine the shapes. Molds were manufactured to ensure there were no bumps but were easy to combine with others either vertically or horizontally. The clay used was white clay. Depending on the piece, colors were added and clear lacquer of 1250℃ was used as the basis. To emphasize the forms made through combination, ornamentation on the white exterior was kept to a minimum, and mostly neutral colors were used. If necessary, it was baked three times. This study confirmed that geometric shapes and forms can be appropriate themes for expressing the consciousness of the sculptor and also serve as a creative factor with rich value. 현대는 다양한 문화의 발달과 교류, 경제적 성장으로 식생활 문화가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예전과는 다르게 주식에 의존하지 않고 간편하고 여유로운 후식에 큰 비중을 두게 되었다. 단순히 먹는다는 개념에서 벗어나 오감만족과 공간적 분위기의 만족까지 요구되어지고 있다. 담기위한 도구였던 식기 역시 인간의 미적욕구를 충족시키는 수단이 되었고, 풍요로운 삶을 누리며, 또한 휴식을 즐기고 주거공간을 돋보이게 하는 역할로 강조되고 있다. 식기의 선택이 다양해졌고 개성 있고 독특한 디자인이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적 형태의 결합 방식으로 후식을 위한 식기를 디자인하고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하학적 형태는 자와 컴퍼스 등의 이용으로 원, 삼각형, 사각형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추상적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또 자연의 질서를 포함하여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기본형으로, 질서를 갖고 단순하고 명쾌한 조형감각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본적 요소를 바탕으로 하여 회전, 이동, 절단, 결합, 대칭, 변형 등의 조작에 의해 새로운 입체적 형태를 만들 수 있으며 새롭게 재구성된 형태는 또 다른 조형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기하학적 형태의 결합을 응용하여 용기로서의 기능적 측면과 시각적 즐거움, 장식의 심미적인 역할을 하는 도자 후식기를 제작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 여러 문헌을 통해 후식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 사진 자료로 후식용 식기에 대해 고찰하였다. 후식용 식기로 차와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주전자와 컵, 빵이나 과자류를 담는 접시 그리고 과일을 담는 볼과 아이스크림을 담는 잔 등을 제작하였다. 제작방법은 대량 생산이 용이한 석고몰드를 이용하여 이장주입성형을 하였고, 주로 석고 몰드(mold)의 결합을 활용하여 성형하였다. 몰드는 요철이 없도록 제작하였고 서로 다른 형태끼리 수직·수평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소지는 백색도가 높은 백토이장소지를 사용하였다. 작품에 따라 안료를 첨가하여 색소지를 만들어 사용하였고 1250℃ 투명유를 기본으로 하였다. 결합으로 형성된 형태를 강조하기 위해 흰색의 외관으로 장식을 자제하였고 주로 무채색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필요에 따라 전사지를 사용하여 3차 번조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하학적 형태 및 도형은 연구자의 조형의식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 적당한 소재가 되었고, 풍부한 가치와 창조적요소로 인식되었다.

      • 유닛의 구성을 이용한 도자표현연구 : 색면추상표현주의를 기반으로

        김경양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자는 작업을 할 때에 기발한 착상이나 자극을 통해 작품을 창조하기 보다는 자신이 처한 상황이나 감정을 작업으로 승화시켜 표출시키곤 한다. 사람은 자신의 감정을 타인에게 완전히 드러내지 않으며, 기록하는 행위에서 조차 거짓이 없는 사실을 온전히 드러내지 않는다. 자신만 보는 일기장에도 후일에 타인이 볼 것을 염려하여 있는 날것 그대로의 생각이나 마음의 괴로움 같은 부정적인 감정들을 배출하지 못한 경험을 한 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있는 그대로 쉽게 표현하기 힘들 개인적인 내면의 감정들을 형상으로 드러내기 위해 색면추상표현주의를 기반으로 ‘유닛’과 ‘색’이라는 추상적이며 효과적인 매개체를 차용하였다. 이러한 추상적인 형태들로 자신의 내적 심리를 표현함으로써, 평소 타인에게 보여줄 수 없었던 개인적인 문제들을 자유로우며 또한 구속이나 속박 없이 표출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작품 제작에 이용된 유닛은 선과 점적인 요소로 나타나며, 때때로 가마에서 번조시 열과 중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기도 한다. 이러한 재료적, 방법적, 특성은 우연의 효과를 통해 다른 작품과는 특별하게 다른 독특함을 부여하기도 하며 특유한 개성을 갖춘 작품 제작 방식이라고 생각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와 감상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색이 주된 요소로 사용되었다. 색의 창조성은 이미지 전달을 빠르게 할 뿐 아니라 각각 고유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심리적 요인을 대변하는 성질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작품 표현의 한 요소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연구자는 색이 가진 심리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연구자의 내적갈등과 문제들을 작품에 표출하면서 감상자와의 소통을 통해 불안한 의식의 상태를 치유하고자 하였다. 제작에는 번조시에 우연히 형태가 변화되는 극적인 표현을 위해 고온에 쉽게 변형되는 소지를 사용하고자 하였다. 전반적인 작품의 형태는 유닛을 이용하여 점, 선, 면의 요소가 드러나도록 구성하였으며, 색이 가지는 특성을 이용한 이미지를 표현하여 색면추상표현주의에서 보이는 정신적·심리적 요소들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제작하였다. 본 연구가 인간 내면의 개인적인 갈등을 표출하고 승화시키는 원동력을 제공해 주실 바라며, 또한 연구자는 물론 감상자 또한 자신의 감정 배출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색채 상징성을 이용한 도자리빙오브제 연구

        김미내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세라믹디자인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색채는 생리학, 심리, 예술, 철학,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기업의 마케팅 관점에서도 색채는 제품 차별화부터 브랜딩 이미지 구축까지 사용되는 전략적 가치로 인식된다. 색채는 우리가 생활하고 행동하는데 촉매 역할을 한다. 보통 사람들이 인지하는 색채의 상징과 연상은 보편적 범주에 속한다. 이를 이용하여 도자 작품에 표현한 모든 시각적 요소는 색채가 가지는 이미지와 상징적 특성에 기인하였다. 이를 작품에 은유적으로 묘사하여 나타내고 작품 속 바닥면의 색채 표현은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관심이 사람들에게 흥미를 유발하는 다양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를 통해 직접 사용하고 공간 연출을 할 수 있는 도자리빙오브제를 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색 소지를 결합시켜 작품 속 색채 상징성이 가지는 특성과 원기둥 형태의 표현은 작가의 외적인 표현, 무의식의 내재된 의미 그 이상을 전달할 수 있다. 작품 속 색채 표현은 바닥면 중심으로 하였고 장식적 요소에 색채 상징성을 부각시켜 미적 반응을 강조하였다. 시각적으로 자극적이지 않은 부드러운 색채를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유닛의 직선적이고 유기적인 형태는 생동감 있는 특징을 가지며 유동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적합하였다. 본 연구는 색채에 대한 탐구와 색채가 가지는 이미지 통해 사용자의 감성과 다양한 감정을 자극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도자리빙오브제의 쓰임과 역할을 통해 직접적인 사용과 공간 연출 등의 실용성을 가지게 하였다. 동시에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고 색채의 상징성을 부가하여 작품을 더욱 심도 있게 바라볼 수 있게 하였다. 이에 기존의 오브제에서 한발 더 나아간 다양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생활공간 기능을 상징화 시키고 모든 공간을 아우르는 도자리빙오브제를 제안하였다. Colour has applied to a variety of fields such as physiology, psychology, art, philosophy, and architecture. In terms of corporation marketing, colour is regarded as a strategic value used for various purposes from product differentiation to building up brand image. Furthermore, Colour plays a role in the catalyst for our lives. The symbol and association that people perceive fall into the general category. With this fact all the visual elements stem from the symbol and image of colour. Each piece of work metaphorically depicts colours. Particularly, colours on the bottom of the piece become various points that people get interested in a part being not easily seen. Through this, ceramic living objects that we can actually use and make space with were created. This study examines colour symbolism of diverse coloured clay, artist's shape expression of cylindrical object, and meaning in unconscious. The colour expression focuses on the surface of the bottom and aesthetic impression is emphasised by highlighting colour symbolism as a decorative element. Each piece of work has straight lines and organic forms raising vividness and it suitable for expressing fluidity. Moreover,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rouse a variety of emotion and user's feeling through the image of and research on colour. This also made ceramic living object have practicality such as actual use and space direction. In addition, this study allows people to appreciate work deeply by adding the colour symbolism and stimulating emotion in order to emphasis on diversity stepping forward from conventional objects. This study suggests ceramic living objects embracing all space and symbolising meatspace.

      • 낭만주의 복식의 미적 특성을 응용한 후식기 연구

        신나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삶의 가치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현대사회의 식문화는 과거와 다르게 맛, 영양, 시각적 즐거움을 동시에 요구한다. 특히 식생활이 풍부해짐에 따라 후식의 전문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후식문화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였으며, 그 수요층은 남성에 비해 여성들의 비율이 높다. 또한 선택의 기준은 맛 뿐 아니라 외형 역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며, 후식기는 음식을 담는 도구에서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수단이 되었다. 그러나 현재 후식기는 차별화된 시장을 형성하지 못하였으며, 이에 새로운 미감을 소재로 한 후식용기 연구의 필요성을 자각하였다. 주 수요층인 여성의 취향을 만족시키고 후식기만의 독립성을 형성하기 위한 새로운 디자인의 식기를 개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 시 기능상의 문제를 고려하며 시각적인 즐거움과 실용성 있는 후식기를 제작하였다. 개인의 개성과 감성, 자유로움을 중시하는 낭만주의 양식의 고찰을 통해 복식에 나타난 미적특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형태 뿐 아니라 문양, 장식, 색채를 부가하여 전체적으로 디자인 하고 각 부분별 조합을 통해 다종의 형태를 나타낸다. 형태와 트리밍에 초점을 가지고 여러 표현 방법의 혼합을 통해 새로운 장식성을 표현하고 변화를 끌어내고자 하였다. 수공예적인 장식을 통해 여성적 감성의 디자인을 재발견하고 차별화된 새로움을 추구하며 후식기의 개별적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테이블 웨어로서의 후식기가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소재의 확장을 통한 다양성이 표출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increased importance of life value, contrary to the past, the food culture of modern society asks for the taste, nutrition, and visual pleasure at the same time. Especially, the abundance of dietary life is led to the specialization of dessert, which is settled down as a culture. The interest in dessert culture has been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s’ taste,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consumers is higher than the one of male consumers. Also, as the standard of selection, not only taste but also appearance were rising as important elements, and the dessert ware was changed from a tool to contain food to a means to satisfy the aesthetic desire. However, the current dessert ware has not formed the differentiated market, so that the necessity of a research on dessert ware with the material of a new aesthetic sense was cognized. It became a chance to develop the tableware in a new design to satisfy women’s taste as the main consumers, and also to form the independence of dessert ware. This study produced the dessert ware with visual pleasure and practicality by considering the functional problems with the use. This study focu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shown in costume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romantic style emphasizing the individuality, sensitivity, and freedom of individuals. Designing the whole by adding the form, pattern, decoration, and color to it, various forms are shown through the combination of each part. Focusing on the form and trimming, this study aimed to express the new decorativeness and also to draw chang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many expression method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rediscovery of design in feminine sensitivity, the pursuit of differentiated newness, and the individual vitalization of dessert ware through the handcrafted decoration. Also, the dessert ware is expected to secure the independent area as tableware and also to express the diversity through the expansion of materials.

      • 아르데코 형의 결합을 통한 도자조형 연구 : 주전자 형을 중심으로

        박신영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도자기는 크게 실용과 조형으로 나뉜다. 전자는 인간의 삶에서 빠질 수없는 존재이다. 그리고 후자는 심미성을 중요시하는 현대시대에 그 가치를 더하고 있다. 이 중 대중에게 식기로서의 인식이 강한 주전자를 다른 시각으로 보고 조형으로서 표현해보고자 하였다. 이것은 몸체, 주구, 손잡이, 뚜껑과 같은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조형 표현을 하는 데에 적합하고 새로운 표현의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자는 본래의 용기 개념에서 벗어난 쓰임이 없고 장식성만이 극대화 된 주전자 조형을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사람들에게 장식품으로서 실용기의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고 일상생활에 조형적 즐거움을 선사하였다. 이를 위해 장식성이 표현된 여러 가지 양식 중 화려하고 여성적 표현이 강조된 아르데코(Art Deco) 양식을 차용하였다. 화려하지만 모던한 이 양식은 현대 디자인의 다양성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요소이다. 이러한 표현이 잘 나타난 소재들을 수집, 결합하여 새로운 조형으로 재해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자료를 통하여 형과 아르데코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주전자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것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형태와 실루엣을 가진 주전자 조형을 계획하였다. 제작은 장식의 보다 섬세한 재현을 위해 슬립캐스팅 기법을 사용하였다. 수집한 소재들을 복제한 몰드를 만든 후 고형주입성형(Solid Casting)과 배출성형(Drain Casting)을 진행하였다. 1차 번조는 850℃로 초벌 하였고 2차 번조는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1230℃로 산화번조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아르데코의 화려한 장식성을 주전자에 반영하고 조형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장식이 나타난 소재들의 형태를 중심으로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일반적으로 알려진 실용기로서의 역할을 넘는 주전자를 통한 새로운 조형미의 창조를 기대해본다. Ceramics can largely be divided into practical use and form. The former is an indispensable aspect of human life. The latter has also gained its value in our contemporary society where aesthetic impression is an important factor. This research seeks to shed a new light on kettles, which are generally recognized as tableware, by expressing it as a form. Kettles consist of diverse structural elements including the body, spout, handle, and the lid which makes it an excellent medium for form expression and new interpretation.   For this research, I created a model kettle that maximized on decorative elements while diverging from its original use as a container. This suggested a potential for practical items to be used as ornaments and it also provided a formative joy to our daily lives.   Of the many different decorative patterns, I adopted the Art Deco style which is the most glamorous and the most feminine. Its glamorous and modern pattern allows for widening the diversity of modern design. Different materials that reflected these aspects were collected and reinterpreted it in a new form.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research was, a literature review on form,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rt deco style, and kettles. Then, a plan for a model kettle with different forms and silhouette was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Slipcasting was utilized in production for a detailed and articulate reproduction of the patterns. Copied molds of collected items were made and solid casting and drain casting were conducted. First firing was conducted at 850℃,and second firing was done in an electronic kiln at 1230℃ to prevent bending.   Through this process, this research seeks to reflect the glamorous Art Deco pattern on the model kettle and suggest its formative possibilities. By combining the forms of different materials reflecting the decorative pattern, and by creating a kettle beyond its usual use as a practical item,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create a new formative aesthetic value.

      • 결구법의 형태적 요소를 활용한 합 연구

        엄기성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담다」라는 동사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물건을 그릇 따위에 넣다.’라는 의미와 ‘어떤 내용이나 사상을 그림, 글, 말, 표정 따위 속에 포함하거나 반영하다.’라는 의미가 있다. 도자공예에서 상기의 복합적 의미를 표현하는데 가장 적합한 소재로 합을 제시할 수 있다. 합은 다양한 재료의 무수한 디자인이 존재하며 우리 주변에서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시각적 특징은 상·하가 분리, 결합된 형태로 요약되며, 결합부위의 형태에서 다양한 조형적 요소를 찾을 수 있다. 개체 간 결합구조의 조형적 특징은 여러 분야에서 찾을 수 있으며 특히 목가구에서 유사한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목가구 제작을 위해서는 각재와 각재, 판재와 판재, 각재와 판재 사이를 연결하는 다양한 결구 방법이 존재하며 이를 결구법(結構法)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목가구의 결합 시 사용되는 구조적이며 기능적인 방식을 응용해 새로운 디자인 결합구조의 도제 합 연구가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자는 연구의 해결요소로써 결구법이라는 전통기법의 형태적 요소를 응용하여 합의 다양한 결합구조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시각적인 미감과 장식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급속한 산업화는 인간에게 편리를 주었지만 인간의 이기(利己)로 인해 많은 것들을 잃어가고 있다. 지금에서야 말로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을 실천해야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된다. 옛것을 토대를 두되 그것을 변화시킬 줄 알고 새 것을 만들어 가되 근본을 잃지 않아야 한다. 전통과의 조우(遭遇)는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이자 연구자의 사고가 확장될 수 있는 발전적 요소가 되었으며 장석, 옻칠, 시멘트 등의 다양한 재료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제 합의 다양한 결합구조를 제시하며 결구법의 활용을 통한 국한된 재료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잊혀져있는 우리 전통공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며 그것을 꿋꿋이 지켜가는 장인들의 노고와 열정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고 관심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천주교 성당 건축지침에 관한 연구 : 수원교구의 성당 규모와 공간 구성을 중심으로

        최중인 경기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한국 천주교회는 16개 교구로 구성되어 있는데, 농촌지역이 많은 교구가 있는가 하면 수도권에 위치한 수원·인천·의정부교구는 신도시와 여러 위성도시로 인하여 신자 수와 본당이 많다. 수도권의 교구는 1990년 정부 주도의 신도시 주택 정책의 영향으로 짧은 시일 내에 신자 수와 본당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특히 수원교구는 분당, 평촌, 산본 신도시를 관할하기 때문에 신도시의 신자를 위한 본당 설립과 그에 수반되는 성당 신축을 위한 교회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했다. 수원교구는 1997년에 ‘건축업무 안내’를 마련하고, 2007년까지 3차례에 걸친 수정과 보완을 통해 ‘수원교구 건축지침’을 펴냈다. 수원교구의 건축지침은 성당 건축 과정에서 발생되던 시행착오를 줄이고, 전문성과 효율성 향상을 기대하였으며, 설계자·시공자·본당 건축위원 등에게 성당 건축 과정에 대한 이해와 역할을 알려주는 유용한 안내서가 되었다. 그러나 때로는 건축지침 자체가 과도한 규제가 되어 창의성과 다양성을 저해하는 획일화의 문제점을 지니기도 하였다. 수원교구 성당 건축지침과 관련한 2011년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인 신부, 총회장 등은 건축지침을 잘 몰랐으며, 그나마 내용에 대해서 불만족하였다. 특히 건축의 연면적(2,644.6㎡)은 적절치 않으므로 신자 수, 지역적 특성, 재정능력, 지역 발전 가능성 등이 반영된 탄력적인 기준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12년까지 15년간 수원교구 건축지침의 적용을 받은 성당의 면적 규모와 기능적 공간을 분석하고, 건축지침의 문제점이나 제한성을 고찰하여 성당 건축에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건축지침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천주교의 성당 건축과 관련한 지침은 트리엔트공의회 이후 사용하기 시작한 로마 미사 전례서 총지침, IFSE(Instructiones Fabricae et Supellectilis Ecclesiasticae) 등이 있으며,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에는 공의회의 정신이 반영된 지역 교회의 문헌들도 있다. 특히 한국은 다른 나라에서 찾아볼 수 없는 성당의 건축 공간별 면적 규모를 물리적으로 정량화시킨 건축지침을 몇몇 교구에서 시행하고 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건축지침을 시행한 수원교구는 면적 규모를 연면적, 건축면적, 사제관과 수녀원에 대해서만 제시하였다. 그러나 면적 규모는 성당의 전체적인 공간 균형을 지니기 위해서 기능적 건축 공간으로 분류되는 전례·교육·친교·선교·사무·주거·기타 공간에 대해서 폭넓게 제시되어야 한다. 수원교구의 건축지침이 적용된 본당 가운데 49개 사례 본당의 건축 공간별 구성 요소에 적용된 현황을 통해 특징을 고찰하였다. 사례 성당의 연면적은 평균적으로 건축 기준에 준하는 정도이지만, 건축면적은 여러 성당에서 기준을 훨씬 상회하였으며, 대지면적은 중소도시에서 대체적으로 넓었으나 구도시와 신도시에서 좁은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건축면적이나 연면적은 대지면적에 상관없이 농촌을 제외한 도시 유형에서 전반적으로 넓게 나타났다. 이는 수원교구가 관할하는 도시 유형이 도시화되면서 성당의 건축면적과 연면적도 넓어지고 있는 것이다. 수원교구의 건축지침이 건축 공간 구성별 면적 규모에 적용된 결과는 공간별로 특징이 있다. 전례 공간은 신자 수가 많고 농촌보다는 도시 특히 신도시에 위치할수록 넓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 공간은 면적보다는 본당 규모에 맞는 교리실의 개수가 중요하게 작용하였으며, 사무·선교·친교 공간은 주출입구를 중심으로 하는 주변에 대부분 배치되어 접근성이 중요하게 작용함을 보여준다. 반면 주거 공간은 채광과 통풍이 양호하며 배치상의 독립성을 고려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친교 공간은 신자 수보다 도시의 형태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강당은 신도시에서 친교실은 구도시에서 넓게 나타났다. 교육·선교·사무·주거 공간은 농촌을 제외하면 도시 및 신자 수의 영향을 받기보다, 일정 규모의 면적 범위 내에서 건축되었다. 성당의 건축 공간별 면적 규모에서 전례 공간은 도시 및 신자 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전례 공간이 성당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므로 성당의 전반적인 면적 규모에서도 신자 수가 많으면 넓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건축지침의 개선안은 공간 구성 요소별로 면적 규모의 기준을 설정하되 도시 및 신자 수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 및 신자 수에 따른 건축지침의 공간 구성 요소별 면적 규모 개선안을 다음과 같이 마련할 수 있다. 첫째, 사례 성당의 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평균대비율과 면적을 바탕으로 공간 구성 요소별 기준 연면적은 3,624.9㎡로서 전례 공간은 17.37%, 교육 공간은 12.73%가 되지만 기타 공간이 가장 넓은 44.16%가 되었다. 기준 면적에 평균대비율의 최고와 최저를 적용시켜 도시 및 신자 수에 따라 공간별 면적의 폭을 가감할 수 있는 융통성을 지니도록 하였다. 그 결과 최고 연면적과 최저 연면적은 각각 6,824.4㎡와 1,557.9㎡로 설정되며, 기준·최고·최저 면적의 건축 공간별 면적 비율은 차이를 지닌다. 둘째, 전례 공간은 좌석 규모별로 1인당 차지하는 좌석 기준, 교리실은 개별 교리실의 면적을 32.3㎡/1실, 사제관과 수녀원은 도시 및 신자 수에 관계없이 일관성 있게 적용될 용도별 면적을 제시하였다. 셋째, 성당 건축을 위한 좋은 건축지침이 마련되어도 이를 적절하게 적용하고 활용하기 위한 인적 자원과 조직의 자세와 역할, 성당 건축의 개념 정립, 성당 건축의 매뉴얼 마련, 각종 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효율성 향상이 동반될 때 비로소 풍요로운 결실을 얻을 수 있다. 2015년은 전례에 획기적인 전환으로 성당이 ‘하느님 집’이며 ‘신자들의 집’으로서 건축적 공간의 변화를 이루는 계기가 되었던 제2차 바티칸공의회가 폐막된 지 50주년이 되는 해이다. 수원교구는 성당이 고층화, 대형화, 세속화 되어가는 상황에서 전례의 적응과 쇄신으로 공의회의 정신을 담은 성당 건축이 많이 나타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현대 한국의 교회 건축은 외형적인 크기와 화려함보다 내적 성숙을 통해 종교로서의 정신적인 트렌드를 지니고, 지역 공동체 안에서 랜드마크의 역할을 함으로써 종교적인 삶과 가치를 오색창연하게 빛낼 수 있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