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위키기반 협력학습에서 과제유형과 협력방식이 공유지식과 협력적성향에 미치는 영향

        김서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최근 위키기반 협력학습에 대한 관심과 함께 협력의 과정에 대한 연구와 공유지식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키기반 협력학습에서 효과적인 과제유형과 협력방식에 대한 이해와 함께 공유지식과 협력적 성향을 촉진 할 수 있는 협력학습 설계의 기초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위키기반 학습환경에서 협력적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과제유형과 협력방식을 달리하여 공유지식과 협력적 성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키기반 협력학습에서 과제유형(정보조사, 의사결정)이 개인 공유지식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위키기반 협력학습에서 협력방식(순차적, 상호책임, 집중적)이 개인 공유지식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위키기반 협력학습에서 과제유형(정보조사, 의사결정)이 협력적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위키기반 협력학습에서 협력방식(순차, 상호책임, 집중적)이 협력적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13년 7월에 초등학교 5학년 대상으로 구글사이트・위키 페이지・SNS도구를 활용하여 협력학습을 실시하였다. 과제유형은 지식의 성격 및 탐구 능력을 토대로 정보조사과제와 의사결정과제로 구분하였으며, 협력방식은 역할분담, 상호의존 및 조정의 수준, 동시접속 여부, 역할분담에 따라 순차적, 상호 책임적, 집중적 협력방식으로 구분하였다. 공유지식 점수는 학습자들은 위키기반 협력학습으로 총 2차례 과제를 해결한 뒤, 개인 공유지식점수를 각각 산출하여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방법으로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다음, 협력적 성향은 동일한 협력적 성향 검사지로 실험 사전・사후에 실시하였으며, 검사 점수의 차이를 혼합설계 분산분석(Mixed ANOVA)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유형과 협력방식은 공유지식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으며, 정보조사 과제는 집중적 협력방식, 의사결정 과제는 상호책임 협력방식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으로 의사결정 과제보다 정보조사 과제가 학습자 공유지식에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과제유형에 따른 협력적 성향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전반적으로 점수가 향상되었으나, 집단 간 차이 및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협력방식에 따른 협력적 성향은 협력방과 관련 없이 모두 향상되었다. 그리고 상호책임 협력방식 집단이 나머지 두 집단에 비해 협력적 성향의 향상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위키기반 협력학습에서 내용과 방법 측면에서 효과적인 설계의 방법 제공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교수・학습에서 위키를 활용한 협력학습을 실시할 때 교사와 설계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협력방식의 최근의 연구들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협력의 수준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협력의 과정적 설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 및 협력학습과 관련된 후속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협력학습의 효과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공유지식을 양적으로 탐구한 하나의 사례연구가 될 수 있다.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기반 협력학습에서 나타나는 비장애학생의 장애이해 태도와 장애학생의 쓰기능력 변화과정 탐색

        윤정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통합교육환경에서 SNS활용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협력학습을 통한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비장애학생의 장애이해 태도변화와 장애학생 쓰기능력의 변화과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K중학교 2학년 비장애학생 6명과 장애학생 3명을 대상으로 SNS활용 협력학습을 7차시 수행하였다. 비장애학생의 장애이해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장애학생의 쓰기능력은 SNS 게시글의 분석을 통하여 변화과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비장애학생은 ‘염세주의-절망’, ‘손상된 성격 고정관념’, ‘동정적 사회적 고정관념’, ‘행동오해’, ‘낙관주의-인권’의 장애이해 하위 차원에서 긍정적인 태도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태도 중 행동적 태도 요소가 인지적, 정서적 태도 구성 요소에 비해 증가하였다. 한편, 장애학생의 쓰기능력은 글의 길이가 증가하였으며 글의 구성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글의 정확성은 뚜렷한 변화과정이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SNS의 속성인 신속성, 친목성, 즉각적 피드백 등을 반영하여 학습 환경을 구성해야 하며 협력학습의 과제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에게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촉진되는 과제를 제공할 때 장애학생의 동기와 흥미가 독려될 수 있고, 장애학생의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 준다.

      • e-포트폴리오 운영 방식이 표현능력 및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기수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컴퓨터 공학의 발전에 따라 등장한 e-포트폴리오(e-portfolio)는 웹을 기반으로 하고 디지털화된 자료의 공유를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학교급, 교과목에서 교육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실제 교육현장에서 e-포트폴리오가 활용되었을 때에는 인쇄물 기반의 전통적 포트폴리오와 같이 학습 자료의 누적과 수합의 기능만 강조되고 학습자의 성찰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e-포트폴리오 고유의 장점이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성찰이나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전략적인 설계원리들을 반영한 e-포트폴리오 학습환경을 제공했을 때와 그렇지 않은 기존의 e-포트폴리오 학습환경을 제공하였을 때 교육적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실제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즉, 초등학교 미술 수업에서 e-포트폴리오의 기존 운영방식인 자료수집형을 비롯하여 자기성찰형, 상호작용형과 같이 e-포트폴리오의 운영방식을 달리하였을 때 학습자의 표현능력 및 감상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학습에서 e-포트폴리오 운영방식(자기성찰형/상호작용형/자료수집형)에 따라 학습자의 표현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학습에서 e-포트폴리오 운영방식(자기성찰형/상호작용형/자료수집형)에 따라 학습자의 감상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 D초등학교 5학년 세 학급 71명을 자기성찰형 집단, 상호작용형 집단, 자료수집형 집단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5학년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회화(드로잉)영역의 교수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성찰 또는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설계 원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집단별로 서로 다른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을 구축하였다. 각 집단은 초등학교 5학년 미술 시간을 활용하여 매주 2시간, 5주 동안 자기성찰형 e-포트폴리오 활용 학습, 상호작용형 e-포트폴리오 활용 학습, 자료수집형 e-포트폴리오 활용 학습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별 학습자의 표현능력과 감상능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세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표현능력 및 감상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집단과 검사시점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혼합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통계처리 분석 도구로는 SPSS 18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찰형 e-포트폴리오와 상호작용형 e-포트폴리오는 자료수집형 e-포트폴리오에 비해 학습자의 표현능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형 e-포트폴리오는 자기성찰형 e-포트폴리오나 자료수집형 e-포트폴리오에 비해 학습자의 감상능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성찰과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e-포트폴리오 활용 학습이 학습자의 표현능력 또는 감상능력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것을 확인하였다. 운영방식과 무관하게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모든 집단에서 학습자의 표현능력과 감상능력이 향상되었으나 전략적 지원 및 도구적 환경이 마련된 e-포트폴리오 환경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포트폴리오 환경보다 더 효과적으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킨다는 기존 선행연구와 일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표현능력 향상에는 자기성찰형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과 상호작용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 간 효과의 차이가 없었으나 감상능력 향상에는 자기성찰형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보다 상호작용형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이 더 효과적이었다. 즉, 상호작용형 e-포트폴리오는 다른 운영방식의 e-포트폴리오보다 학습자의 표현능력과 감상능력 향상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수설계의 측면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수집의 기능만 갖춘 e-포트폴리오는 학습자의 성찰과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e-포트폴리오보다 표현능력과 감상능력 향상에 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학습자의 표현능력과 감상능력을 가장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e-포트폴리오 운영방식은 상호작용형 e-포트폴리오이다. 따라서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 제작시 학습목표, 교수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학습자 내 성찰 뿐 아니라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설계 원리 역시 포함할 필요가 있다.

      • 학교교육에서 한국과 중국의 교육매체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왕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서 한국과 중국의 교육매체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교육매체 유형, 연구방법, 교육매체 관련 연구주제, 연구대상 네 가지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에 근거하여 미래의 방향을 예측하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지난 7년 동안(2006년~2012년) 한국과 중국에서 연구된 교육매체의 유형은 어떠하였는가? 2. 지난 7년 동안(2006년~2012년) 한국과 중국에서 연구된 교육매체관련 연구방법은 어떠하였는가? 3. 지난 7년 동안(2006년~2012년) 한국과 중국에서 연구된 교육매체관련 연구주제는 어떠하였는가? 4. 지난 7년 동안(2006년~2012년) 한국과 중국에서 연구된 교육매체관련 연구대상은 어떠하였는가? 5. 지난 7년 동안(2006년~2012년) 한국과 중국에서 연구된 교육매체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내용분석법을 채용하여 2006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보화 매체 핵심 학술지인 <교육정보미디어연구>와 <전화교육연구(电化教育研究,Electrifying Education Research)>를 택하여 교육매체관련 278편(한국 105편, 중국 173편)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교육매체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코딩 전에 두 명 연구자가 단독적으로 연구대상 총 278편(한국 105편, 중국 173편) 논문들 중에서 45편(10% 이상) 논문들을 무작위 선택방식에 의해 검증대상을 선정하였다. 그 다음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7년 동안 매체유형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연구동향을 비교해보면, 공통적으로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된 매체 유형은 컴퓨터 웹2.0기반 매체(한국 58%, 중국 36%)와 컴퓨터 웹1.0기반 매체(한국 28%, 중국 28%)순으로 각각 1위, 2위를 차지하였다. 반면에 양국의 차이점은 컴퓨터 기반 매체에 대한 연구에서 나타났다. 둘째, 지난 7년 동안 매체연구방법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연구동향을 비교해보면, 양국의 공통점은 양국 모두 지난 7년 동안 실험연구(한국 33%, 중국 18%)와 개발연구(한국 25%, 중국 58%)가 많이 수행되었다는 것이다. 반면에 양국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한국에서는 질적연구가 약 15% 가량을 차지한 반면, 중국에서는 지난 7년 동안 질적연구가 한편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지난 7년 동안 매체연구주제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연구동향을 비교해보면 양국이 모두 매체에 대한 속성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는 점이 공통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난 7년 동안 매체연구대상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연구동향을 비교해보면 양국 모두 대학생(한국 53%, 중국 47%)을 대상으로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 왔다. 또한 양국에서 고등, 중등, 유아에 대한 연구는 모두 적은 것이 또 하나의 공통점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 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에서는 지능기술 매체, 모바일 매체와 같은 새로운 매체의 교육적 활용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여 이러한 매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 기대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면 향후 연구자들에게 매체에 대한 이해가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교육매체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셋째, 유아, 초등, 중등,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드문 편이므로,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다양한 학생층에 대한 관심을 촉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중국에서 13억 인구와 넓은 지역 기반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교육매체 발전의 불균형문제를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로 인해 향후에는 중국에서 격차해소를 위하여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반면에 한국에서는 이런 문제가 없으므로 앞으로는 이웃나라의 중국의 상황을 파악하고 우수한 연구 결과를 참고 하면서 더 나은 교육정보화 도약의 발전이 될 것이다.

      • 스마트교육환경에서 융합인재교육(STEAM)이 중학생의 지식융합능력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형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스마트교육환경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업에서 지식융합능력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스마트교육환경의 융합인재교육(STEAM)의 효과와 교수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스마트교육환경에서 융합인재교육(STEAM)은 학습자들의 지식융합능력을 향상시키는가? 둘째, 학습자는 스마트교육환경의 융합인재교육(STEAM)을 만족하는가? 한편, 스마트교육환경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을 ‘STEAM수업설계를 위한 준거 틀’을 바탕으로 교수설계하고 혼합연구방법을 도입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양적연구의 결과, 스마트교육환경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은 중학생들의 지식융합능력과 만족도를 향상시켰다. 질적연구의 결과, 지식융합능력은 ‘융합적 지식 모으기’와 ‘융합적 지식 사용하기’활동을 통해 향상되었으며, 만족도는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과 ‘스마트기기사용에 대한 만족’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로서 스마트환경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정규 수업시간으로 편성하고, 실험집단 비교집단의 두 집단에 적용한 연구, 융합인재교육(STEAM)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융합된 지식이 실제로 형성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디지털 지상파 라디오 방송의 전송방식 결정요인에 관한 지상파 방송사의 인식차이 연구

        채수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지상파 라디오방송은 디지털 전환을 앞두고 있다. 연구보고서와 비교실험방송 결과를 바탕으로 전송방식과 전환 시기만 결정하면 되지만 디지털 전환은 방송사업자 간 이해 때문에 늦어지고 있다. 라디오방송 사업자는 디지털 전환 조건으로 기존 방송사업자의 배타적 위상유지, 주파수 확보와 혼신예방, 디지털 라디오의 위상 정립, 비즈니스 환경조성을 요구하고 전송방식도 이와 같은 이해에 맞는 방식을 각자 원한다. 한국방송공사(KBS), 문화방송(MBC), 에스비에스(SBS)는 방송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유력한 주체로서 각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미래 이익이 최대로 실현될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에 참여한다. 그 결과, 사업자들 간 이견과 갈등은 디지털 전환이 지연되거나 라디오방송 수용자 및 국가 이익에 반할 수 있는 결과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 방송사업자는 전송방식별로 객관적인 기술특성을 주관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서로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방송사업자 간에 쟁점은 무엇이며 쟁점 간 이견은 어느 정도인지 계량적으로 측정하여 조정할 수 있는 방안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송방식 결정에 고려해야 할 여러 요소를 선행연구에서 찾아 전송방식 결정에 참여하는 주요 방송 사업자인 KBS, MBC, SBS 간에 해당 요소에 대한 인식차이를 측정하여 상호 동의하는 요인과 동의하지 않는 핵심 쟁점요인을 추출하였다. 방송 사업자 간 전송방식 결정요인에 대한 인식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채피와 맥리드(Chaffee & McLeod)가 고안한 상호지향성 모델(Co–orientation Model)을 적용한다. 상호지향성 모델은 특정 대상에 대해 상대의 인식이 어떠한지, 자신의 생각과 그 대상에 대한 자기의 생각을 비교한다. 인식의 비교는 객관적 일치도(agrement), 주관적 일치도(congruence) 그리고 정확도(accuracy)를 측정하여 상호지향성을 판단한다. 방송 사업자 간 상호지향성이 있는 전송방식 결정요인은 ‘동의’ 요인이 되고 상호지향성이 없는 요인은 ‘비동의’ 요인이 된다. 비동의 요인은 다시 ‘긍정적 동의’와 ‘부정적 동의’로 재분류하고 최종 비 동의로 나타나는 요인을 핵심 쟁점요인으로 추출한다. 라디오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KBS, MBC, SBS 간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방송사의 라디오 부분에 종사하는 방송기술인, 프로듀서, 그리고 회사의 기술정책·기획 담당자를 택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 응답자는 각 사별 40명씩, 총 120명으로 서면설문 및 전자메일 설문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KBS, MBC, SBS 간 FM 라디오방송의 디지털 전환 필요성과 전환이유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사업자 간 라디오의 디지털 전환 필요성과 전환이유에 대한 인식차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객관적 일치도 측정 결과, 라디오의 디지털 전환 필요성은 KBS와 MBC가 서로 같은 수준에서 동의하지 않아 상호지향성이 없으며 소극적인 형태로 전환에 동의한다. 전환이유를 설명하는 항목에서도 사업자 간 상호지향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방송 사업자들은 디지털 라디오 전환에는 소극적으로 동의는 하지만 전환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 둘째, 주관적 일치도 측정 결과, 디지털 라디오 전환 필요성에서 KBS와 SBS는 자신들은 전환에 찬성 하지만 MBC가 전환에 반대할 것으로 추정하여 상호지향성이 없다. 그러나 MBC는 자신들도 찬성하고 KBS와 SBS가 디지털 전환에 동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디지털 라디오 전환이유에서 ‘청취자의 데이터통신 요금 경감’, ‘효율적인 주파수 활용’,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청취자의 청취행태 변화에 대응’에 대해 서로 이견이 있으므로 상호지향성이 없어 동의하지 않는다. 셋째, 정확도 측정 결과, 디지털 라디오의 전환 필요성에 대해 KBS, MBC, SBS는 상호지향성이 있으나 MBC는 전환 필요성에 낮은 지향성을 보이고 있어 모든 사업자가 적극적으로 디지털 전환에 동의하지 않는다. 전환이유로 나열한 항목에서도 사업자 간 상호지향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에서는 디지털 라디오방송의 전송방식 결정요인에 대해 KBS, MBC, SBS가 어떤 인식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쟁점으로 드러나는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추출한다. 연구결과, 디지털 라디오 전송방식 결정을 위한 주요 요인 중, 방송 사업자 간 인식 차이로 생긴 쟁점요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객관적 일치도 측정 결과, 현재 FM 라디오방송 대역(88–108MHz)을 전환 주파수 대역으로 하는 것에 대해 KBS와 SBS의 인식 차이가 매우 커서 상호지향성이 없다. 전환대역을 지상파 DMB방송 대역 주파수로 하는 것은 KBS, MBC, SBS는 상호지향성이 없어 서로 동의할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이다. 멀티플렉스 사업을 가능하게 할 조건으로 지상파 DMB방송 대역으로 전환하고, 모든 사업자에게 동일한 송출출력을 허용하여 동일한 방송구역을 보장 하는 것에 대해 KBS와 SBS는 상호지향성이 없으므로 사업자 간 이견이 있다. 둘째, 주관적 일치도 결과, 전환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현재 FM 라디오방송 대역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사업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is about to be changed from analog to digital. Transmission system and time of transition should be decided to complete digital broadcasting. But digital transition in domestic market is in stuck due to the conflict of interests among broadcasters such as Korean Broadcasting System(KBS),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MBC), and Seoul Broadcasting System(SBS). As a condition of the digital transition, the broadcasters demanded the Korean government to give them a dominant position in the broadcasting industries and guarantee the frequency assignment and good business environment creation. In addition, they want to adopt the transmission system in their own profitable way. They have been participating in the determining process of digital transmission system but they also insist their expected interests. Unfortunately different views and conflicts among the agents can lead in delay of digital transition and undermine audience benefi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gainst main agents, KBS, MBC, SBS who are primary participants in determining the digital transmission system. By measuring the agents' cognitive differences on various factors in determining the digital transfer system,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critical factors. To measure the agents' cognitive difference about determining factors of the transmission system, Chaffee and McLeod's Co-orientation Model was used. Co-orientation was judged by measuring agreement, congruence, and accuracy of broadcasters' cognition regarding digital radio broadcasting. The decisive factors which has co-orientation are regarded as agreed factors whereas the decision factors which has no co-orientation are labeled as disagreed ones. In addition, disagreed factors are reclassified into positive agreement and negative agreement, and then the final disagreed factors as considered as key issues of digital transmission.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broadcasters for digital transition of radio. Technology policy-planners, broadcasting engineers, and produc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By 40 people from each broadcaster, a total of 120 people answered the questionnaire in person or by e-mail. Research question 1 examined the reasons and needs for transition of digital FM radio among KBS, MBC, SBS. The broadcasters showed a difference of cognition as follows: First, MBC and KBS didn't agree with each other at the same level there was no co-orientation between them. They both showed passive attitude for the need of digital transition. To sum up, broadcasters agreed in a extent in switching digital radio, but they didn't agree with the reasons for transition. Second, as for congruence, SBS and KBS preferred digital transition, but MBC believed that SBS and KBS also would agree. About reasons of switching of digital radio, because they showed different opinion each other, "the reduction of data communication charges to audience", "efficient use of frequency" and "countermeasures of changes in the behavior of the audience with the change of the media environment", there is no co-orientation each other. Third, as for accuracy, KBS, MBC, and SBS showed co-orientated relationship each other about need for switching of the digital radio. But MBC showed low co-orientation for need for transition. So, every broadcaster did not agree on transition of digital actively. Further, there was no co-orientation of the broadcasters when it comes to the reasons for the transition. The research question 2 of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cognition among KBS, MBC, and SBS about the transmission system of digital radio broadcasting. This study extracted important factors about the issue.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for the use of the frequency band to switch FM radio band(88-108MHz), there was huge gap between the opinion of SBS and KBS. It means there was no co-orientation. As three broadcasters had no co-orientation in terrestrial DMB broadcasting band to be switched into frequency band, KBS, MBC, and SBS couldn't agree on it. To perform Multiplexing business, it has to use terrestrial DMB broadcasting band and the same transmission power to ensure the same broadcasting service areas. For the possibility of multiplex, there was no co-orientation in SBS and KBS. Secondly, congruence result, for switching frequency band to a present-using FM radio broadcasting band, broadcasters had no co-orientation. Also there was no co-orientation in FM adjacent bands(76-88MHz: VHF Ch5-6) as well as FM radio broadcasting band(88-108MHz) and terrestrial DMB broadcast band. There was no common agreement between broadcasters about "FM radio broadcasting band(VHF Ch7-13) of current", "terrestrial DMB broadcasting band", and "adjacent bands and FM radio broadcasting band" in the frequency band of the digital conversion target. Since they showed different co-orientation in preference of the multiplex project promotion and emission of the same transmission power, which are basic factors of "possibility of multiplex", it can be regarded as a key issue. Third, the results of accuracy, MBC and SBS didn't agree with the cognition of KBS that has selected frequency band to switch the terrestrial DMB broadcasting band. KBS underestimated SBS and MBC in conversion of adjacent bands and FM radio broadcasting band so there was no co-orientation. KBS underestimated SBS for the factor of "the program to be sent from the own transmitting station" in the concept of "status of the broadcaster". Under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co-orientation Model, this study measured agreement, congruence, and accuracy. After classifying disagreement factors into positive and negative agreement, key issue factors were extract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greement, choosing whether to use FM radio broadcasting band or terrestrial DMB broadcasting band is an imp

      • Alteration of Fertilization Capacity on Intestinal Microbiome Imbalance of Male Mice

        Malavige Romesha Chandanee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Sirtuin 1 (SIRT1), the most conserve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dependent protein deacetylase,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genomic stability, and development. SIRT1 knockout (SIRT1) mice exhibit decreased energy expenditure and hypersensitivity to a high-fat diet (HFD). SIRT1 deficiency in the testis has also been shown to cause male infertility in animal model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lteration of the testicular function of SIRT1 mice on HFD. Six-week-old mice were fed ad libitum as wild type (WT) and SIRT1 male mice with either a control diet or with HFD for 32 weeks and then were sacrificed. The levels of biomarkers for hepatotoxicity, sex hormones, and cytokines were analyzed in the serum and blood-testis barrier (BTB), and the sperm morphology was examined in the testis and epididymal spermatozoa. Interestingly, an enlargement of seminal vesicles was observed in the SIRT1 mice fed with HF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hepatotoxicity was also seen in these mice. The concentration of serum testosterone increased in HFD-fed SIRT1 mice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levels of IL-1β and TNF-α increased in both HFD-fed WT and SIRT1 mice. The concentration of SOD level increased in both HFD-fed WT and SIRT1 mice. In RT-PCR, the m RNA expression of tight junction protein (TJP) 2 and claudin 3 significantly decreased in HFD-fed SIRT1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s. Degenerative spermatocytes and spermatids were detected in the HFD-fed SIRT1 mice testicular section. Sperm motility decreased in WT and SIRT1 with HFD feeding, and sperm concent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WT-HFD and SIRT1 mice with or without HFD feeding. Taken together, HFD can alter energy and steroid metabolism in SIRT1-deficient mice, which can lead to imbalances in motility and production of sperm and testosterone that can result in male reproductive disorders. Recently, animal gut dysbiosis (GD) caused by diet, age, drugs, and environmental pollutants has rapidly increased. These factors could induce abnormal symptoms in the metabolism of energy and nutrition, and the immune system. Also, it has been reported that gut microbiomes affect the lumen formation of seminiferous tubules in the testis and the integrity and permeability of the blood-testis barrier.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GD altered testicular function and sperm formation in mice. In order to induce GD, 9-week-old wild-type (WT) and TLR4 knockout (TLR4 KO) male mice were fed high doses of antibiotics for 4 weeks and were sacrificed to collect serum and organs for the experiment. The levels of hepatotoxicity, sex hormones, and cytokines were analyzed in serum, and apoptosis, ER stress, and sperm morphology were examined in the testis and epididymal spermatozoa. A higher level of hepatotoxicity (GOT) was observed in TLR4 KO- GD mice compared to a control without G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The level of serum testosterone was lower in WT-GD mice than in control (p>0.05). A comparatively higher level of IL-1β was determined in WT-GD mi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L-6 concentration between each group. Meanwhile, the highest level of IL-6 was observed in both TLR4 KO-GD mice. The lowest concentration of TNF-α was determined in WT-GD mice. Interestingly, WT-GD mice expressed the highest endotoxins concentration rather than other mice. Comparatively ER stress was significantly low in testis derived from WT mice. Addition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ice’s RNA level was observed in ATF4, CHOP, EDEM, Bip, and GRP94 expression. The quality of semen was determined from proAKAP4, a sperm-specific protein that is a marker and the results expressed the lowest quality in WT-GD mice. The spontaneous apoptosis was frequently observed in the testis of TLR4 KO-GD mice. In conclusion, the testicular function can be indirectly regulated by the gut microbiome, suggesting that the development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ssociated with the microbiome is necessary to treat sub and infertility in animals.

      • 한푸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개량한푸 디자인 연구

        마효청 경성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ring Hanfu back into people's vision and make Chinese people realize that traditional clothing is Hanfu rather than cheongsam. Taking the Ming dynasty of China as the background, this paper takes the traditional clothing of women in the Ming dynasty as the research object. Starting with the silhouette, collar shape, sleeve shape, the way of wearing and the implication of common patterns,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fashion trend, improves the traditional Hanfu, reverts and imitates some traditional clothing, and makes the modified Hanfu in line with modern life. The specific steps are as follows:   1. Investigating the background of The Times, so as to get the reasons for all kinds of clothes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2. Taking the skirt, Bijia, Beizi, and blouse of women's traditional clothing in the Ming dynasty as the main research object, this paper analyzes the research object from the perspectives of silhouette, collar shape, sleeve shape, wearing style, common patterns and implication. 3. Combined with the current trend, the traditional elements commonly used in modern clothing are marked out and analyzed. 4. By combining various elements of traditional clothing with modern design, we can improve the lack of initiative in traditional clothing. 5. Making improved Han clothing. Although making improved Hanfu can achie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t has little influe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paper more vigorously, more researches will be done to support this theory in the future.

      • 활동 이론(Activity Theory)에 근거한 중등교육실습 운영 분석 :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의 입장에서

        김판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Since education is performed through specific meetings with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when the education is started, processed and further completed. In training such an important teacher, teaching practicum has so much special meaning that it is called the flower of the preliminary teacher curriculum. However, most of the scholars say that the current secondary teaching practicum is not sufficiently meaningful in terms of the operation compared to its importance and value. This research, therefore, was intended to present solution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eaching practicum by exposing the perceptions and contradictions of the secondary teaching practicum among practicum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ll related. The research issu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activity system of teaching practicum in practical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desirable structure and the actual implement of teaching practicum?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solutions for overcoming the contradictions? This study has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framework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from Engeström's third-generation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each subject in relation to the teaching practicum.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practical school teachers, professors and officials of education colleges, supervisors and researchers at the education office from May to September 2019, and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inductive analysis method, which is the typical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o deriv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med the activity systems of the practical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for the teaching practicum, and revealed the common primary and secondary contradictions within and among each subject, including the tertiary and quaternary contradictions for some of them. Practical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commonly had a "know-you" attitude and unsubstantial collaboration as primary contradiction. In this regard, the rules concerning teaching practicum were unclear, and division of labor was abnormally conducted, causing secondary contradictions. There were subsequent contradictions such as ‘a wide variety of guidance’ at schools, ‘the neglect of teaching practicum’ at colleges, ‘limits of indirect and documentary support’ at administrative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requirements of each subject toward other subjects were aggregated to suggest comprehensive measures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such a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practicum, organizing and operating a transcendent consultative body, establishing a system of ‘collaboration’ between education colleges and practical schools, and improving the teaching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mprovement in teaching practicum requires more concrete effort from not just a single institution, but overall systemic cooperation. It also suggests that the leading role of the administrative body in improving the teaching practicum is needed, and furthermore, we can see the requirements for need analysis to be conducted in colleges of education. 교육은 교사와 학생과의 교사와 학생과의 구체적인 만남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교사는 교육이 시작되고 진행되어 마무리되는 시점까지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중요한 교사를 양성하는데 있어 교육실습은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꽃’이라고 불릴 만큼 특별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중등 교육실습은 그 중요성과 가치에 비해 운영적인 측면에 있어 충분히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실습과 관련한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의 인식 및 모순을 드러냄으로써 교육실습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에서는 교생실습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연구문제 2. 교육실습이 원활히 운영되기 위한 구조와 현실과의 모순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모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교육실습과 관련한 각 주체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Engeström의 제3세대 문화역사 활동이론의 틀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2019년 5월부터 9월까지 교육실습과 관련한 실습학교 지도교사, 사범대 교수 및 업무 관계자, 교육청 장학사 및 연구사를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질적 연구의 전형적 분석 방법인 귀납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에 대한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의 활동체제를 구성하였으며, 종합적인 교육실습 활동체제와 이들을 비교하여 공통 1차, 2차 모순 및 각 주체별로 가지는 모순점들을 드러냈다.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은 공통적으로 ‘알아서 하세요’식의 방임적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허울뿐인 협력 관계를 지니는 공통 1차 모순을 갖고 있었다. 이와 관련해 교육실습과 관련한 규칙은 불명확했고, 분업은 비정상적으로 실시되어 2차 모순을 발생하고 있었다. 실습지도학교에서는 ‘천차만별의 지도’, 사범대에서는 ‘교육실습 방임’, 행정기관에서는 ‘간접적, 문서적 지원의 한계’ 등의 모순점들을 갖고 있었다. 이후 각 주체별로 서로에게 가지는 요구사항들을 종합하여 모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교육실습의 중요성 인식, 초월적 공동협의체 조직 및 운영, 사범대-실습학교 간 ‘공동 협력’ 체계 구축, 사범대 교육과정의 실질적 개선 등의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교육실습의 개선을 위해서는 한 기관이 아닌 전체적인 시스템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육실습의 개선에 있어서 행정기관의 주도적인 역할이 필요하며, 나아가서는 사범대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