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구 필라테스운동이 성인여성들의 신체스트레스 지표와 척추측만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서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aged women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with 9 members. The 9 exercise groups participated in the same apparatus Pilates(reformer, barrel, chair)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The conclusion was obtained as follows. In order to confirm the change of body stress index, the statistical difference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change of active oxygen, the anti-oxidant. The change in active oxygen was decreased after exercise in the exercis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difference test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 time, the measurement time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differences. The change in anti-oxidant was increased after exercise in the exercis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difference test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 time, the measurement time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differences. The change in length of the thoracic kyphosis decreased postoperatively in the exercis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mean difference test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ime, the interaction time between the measurement time, and the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oracic spine Moire W line horizontal angle after exercise than before exercise in the exercise group. In the mean difference test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 time, the measurement time,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change in the pelvic horizontal angle Moire M lin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exercise in the exercis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mean difference test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 time, the measurement time,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strument pilates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body stress index(active oxygen) in adult women, and it is also an imbalance of the spine that can be considered as a partial cause of the spine side. In other words, by reducing asymmetry, the instrument pilates exercise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body shape of adult women. We look forward to continuing to develop Pilates programs that will be more accessible to them, and to improve body shape and mentality.

      • 중등음악 가창곡에 대한 대중음악 리듬 반주음형 연구

        김서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7th music and curriculum contents are student?centered education process which considers seriously the student's interest and attention. It also emphasizes the life of music. therefore, this thesis sees popular music which is close with the life of the young people and it wants to use the rhythm of popular music the Accompaniment law in the lessons. The popular music is able to attract student to their interests and attentions. In addition, popular music was included in life of the young people who Accommodates a popular music deeply. therefore, In order it will be able to approach most easily the young people, it grasped the actual condition which is how the popular music applied from education and it analyzed a plan which applies in Accompaniment department after analyzing the rhythms of popular music in song. It analyzed general feature and education meaning of the popular music and the rhythm which is used in the currently song broadcasting and it tried to search a common feature in order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current popular music which hold first in the present society. Through Accompaniment type analysis of the song territory which is recorded in the middle class textbook which it follows in 7th middle class curriculum, we could see that the lower classes had a lot of types of Accompaniment melodious and the higher classes had a lot of types of Accompaniment no melodious. therefore, it considers seriously the music expression ability of the students. Based on this basic types and the type of popular music of textbook and the rhythm written to popular songs, this thesis takes advantage of a musical piece belonging to the song area. Not scattered a mood of the song which the existing secondary role of Accompaniment is, Accompaniment of a partnership role which students interested needs. If this education does, the students will be training to a variety of musical experiences and popular music that was decadent commercially will be able to assist music education to desirable direction.

      • 2015 개정 언어와 매체 문법 교육 개선 방안 연구 : 음운 단원을 중심으로

        김서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rammar education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grammar in the five textbooks of 〈Language and Media〉, an elective subject newl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finding an effective phonological education method. In order to do so, the content structure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ontents of grammar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re reviewed, and each feature is organized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analysis of school textbooks. Although the target of analysis was set as the phonological unit within 〈Language and Media〉, the analysis of the phonological unit of the common curriculum and the general elective curriculum was also judged to be a necessary step to confirm the flow and connection throughout the educational content between grades, thus, a macroscopic level of chapter analysis was carried out. Further, in the actual analysis, all five textbooks were each classified into chapter composition, content, and educational activity, and were further examined in detail. The chapter composition was analyzed mainly focusing on the sequential relationship of grammatical elements and the content analysis was done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textbooks. Moreover,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divid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and the materials utilized. Based on this analysis, the identified problems and the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hapter composition, the paper attempted to unify the arrangement of the chapters of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the structural aspect of Korean language. Here, the paper considered that the prerequisite learning of the phonological unit was required. Upo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 as the subject deals with the grammatical elements learned in the common curriculum in depth, it was assessed that the sequential order of “phoneme-word-sentence-discourse” would be appropriate. In addition, as it is a process which encompasses the entire grammatical aspect, it was predicted that a step-by-step, structural composition would be more effective. Furthermore, the research related to the content focused on the sub-concept of the phonological variation. Phonological variations are basically classified as the same as “replacement, deletion, addition, abbreviation,” but the contents presented as sub-concepts of each phenomenon sometimes convey different aspects. Among them, it was discussed whether or not to include the phenomenon of fortition (된소리되기), ‘ㅣ’ vowel regressive assimilation(역행 동화), ‘ㅏ, ㅓ’ deletion, and ‘Sait-sori(사잇소리),’ which all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tition and ‘Sait-sori’ is frequently applied to the overall linguistic life and as the absence of learning the related contents would further lead to difficulty when learning other phonological phenomena, the significance of the two phenomena were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it was concluded that 'ㅣ' vowel regressive assimilation and 'ㅏ, ㅓ' deletion were not suitable for learning as they lack regularity as a phonological phenomenon and because the related explanations are very vague. In the case of educational activities, an appropriate composition of the type of activity was suggested, and the criteria for the material selection were also set, and based on this, the actual educational activities were further specified. In this process, the questions and materials that could provide appropriateness to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original textbooks were excerpted or modified to meet the purpose of the activity. Moreover, newly formed questions were set according to the suggested direction of the educational activity and was intended to be composed in a way that could fill up the relatively insufficient parts or adding contents for new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선택 과목인 〈언어와 매체〉 5종 교과서의 문법 영역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음운 교육 방안을 모색하여 문법 교육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을 살펴보고 특징을 정리하여 교과서 분석에 기여하는 밑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을〈언어와 매체〉의 음운 단원으로 설정하였지만 공통 교육과정과 일반 선택 교육과정의 음운 단원에 대한 분석 또한 학년(군)별 교육 내용의 연계성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라고 판단되어 거시적인 수준으로 단원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격적인 분석에 들어가서는 전체 5종 교과서를 단원 구성과 학습 내용, 학습 활동으로 분류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단원 구성은 문법 요소의 선후 관계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고, 학습 내용 분석은 각 교과서별 차이점을 중심으로 내용을 기술하였다. 학습 활동은 문항의 유형과 활용된 자료를 기준으로 나누어 정리해 보았다. 이렇게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제언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원 구성의 차원에서는 국어의 구조와 관련된 학습 요소의 단원 배열을 통일하고자 하였다. 교과목의 특성상 공통 교육과정에서 배운 문법 요소를 심화하여 다루고 있기 때문에 국어학의 기본 구조를 따라 ‘음운-단어-문장-담화’와 같이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구성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문법 영역의 전체적인 요소를 아우르는 과정인 만큼 단계적이고 구조적인 구성이 더욱 효율성을 지닐 것이다. 학습 내용과 관련된 부분은 음운 변동 현상의 하위 개념에 중점을 두었다. 음운 변동 현상은 기본적으로 ‘교체, 탈락, 첨가, 축약’과 같이 동일하게 분류되지만, 각 현상의 하위 개념으로 제시되는 내용은 서로 다른 지점을 보이기도 한다. 그중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된소리되기, ‘ㅣ’모음 역행 동화, ‘ㅏ, ㅓ’탈락, 사잇소리 현상의 수록 여부를 논의하였다. 된소리되기와 사잇소리 현상은 언어생활 전반에 빈번하게 적용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고, 학습 내용에서 배제할 경우 관련 지식의 공백으로 다른 음운 현상을 학습하는 데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기에 하위내용으로 수록되는 것이 합당하다. 반면에 ‘ㅣ’모음 역행 동화와 ‘ㅏ, ㅓ’탈락은 음운 현상으로서의 규칙성이 부족하고, 관련 설명이 매우 모호하다는 점에서 학습 내용으로 다루기에 적절치 못하다고 결론지었다. 학습 활동의 경우에는 활동 유형의 적절한 구성을 제언하고, 자료 선정의 기준 또한 설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제 학습 활동을 구체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 교과서의 학습 활동 중 적합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문항 및 자료는 발췌하거나, 활동의 목적을 살리는 쪽으로 수정하여 수록하기도 하였다. 직접 구성한 문항은 학습 활동의 제언 방향에 맞게 설정하였으며, 기존 문항을 활용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부족한 유형이나 새로운 활동의 내용을 추가하는 쪽으로 구성하였다.

      • 초등영어 학습 시 소집단 구성방식에 따른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양상

        김서희 대구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spects of the learners' interaction and the difference of them by grouping methods in order to infer points to be considered in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ixteen students selected from a fifth grade class and they were divided to three levels by their English abilities. Four heterogeneous groups were made up of four students - one high-level learner, two middle-level learners, and a low-level one. After doing heterogeneous group-working eight times, homogeneous group-work had been done eight time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high-level learners had tendency to take many roles of the group work in former term of the heterogeneous group working. On the other hand, middle-level and low-level students didn't play much of roles in groups, and their quantities of speaking and the rate of suggestions reflected were at low level. As high-level learners spoke a lot of responses about questions and remarks for leading the activity, middle-level students did it for practicing the learning contents, low-level learners tended to speak for practicing or asking about the contents. Second, in latter term of the heterogeneous group-working period, some of the heterogeneous groups have been changed in taking roles that the learners shared the works jointly or by turns. As a result, the matter of inequal role-sharing was settled and the quantities of students' remarks increased as well as interaction between members. However, there were groups that still had problems related with inequal role-taking, the exclusion of some students from doing activities, the decrease of middle, low-level learners' speaking caused by monopolization of high-level student in group work. Third, the roles in group work were equalized in high, middle-level groups from the beginning of homogeneous group activity. Especially, not only the improvement of the conversation with various contents but also the increase in quantities of learners' words were found as the learners distributed the roles equally. Yet, there was trouble with unfairness of sharing roles and imperfection in mutual teaching in low-level group. Fourth, the learners in low-level group assigned the roles each other equally as the activities proceeded. Taking diverse parts, the students spoke many words that included various contents. On the contrary, some learners of high, middle-level groups displayed the tendency of diminishing in speaking by reason of loss interest and shortage of concentration on activities. The declining of concentration on activities caused overlooking the errors or missing the chance to correct them. Based on these results, five suggestions are made here for more effective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y. First,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onsider when groups are conducted is to form a group that can make learners' self-efficacy increase as learners participate group-work and interact actively. Second, there is a need for letting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anging and assigning the roles to them equally. Third, teachers have to devise some methods to maintain the learners' concentration on activities. Fourth, differentiated tasks for cooperative group activity should be developed. Lastly, it's necessary to make up for imperfect limitation of mutual teaching in middle, low-level group working. 본 연구는 소집단 협동학습활동을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소집단 내 상호작용이 어떠한 양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집단 구성 방식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해봄으로써 소집단 협동학습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 내 1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상위 수준 학생 1명, 중위 수준 학생 2명, 하위 수준 학생 1명으로 이루어진 4개의 소집단을 구성하여 8회의 이질 소집단 협동학습을 실시하였으며, 이질 소집단 활동이 끝난 후 다시 4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1개의 상위 그룹, 2개의 중위 그룹, 1개의 하위 그룹으로 수준별 소집단을 구성하여 8회의 동질 소집단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소집단 구성 방식에 따라 나타난 학생 간 상호작용 양상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이질 소집단 활동 전기에 역할 분담이 균형있게 이루어지지 않아 상위 수준 학생들은 담당 역할 및 발화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중위 수준, 하위 수준 학생들은 비중이 낮은 역할을 담당함에 따라 발화량도 적고 소집단 내 의견 반영률도 낮은 편이었다. 특히 상위 수준 학생들은 질문에 대한 응답, 활동 진행 목적의 발화를 많이 하였던 데 반해 중위 수준 학생들은 연습 목적의 발화, 하위 수준 학생들은 학습내용을 연습하거나 질문하기 위한 목적의 발화를 많이 하여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이질 소집단 활동 후기로 접어들면서 소집단 내 중요한 역할을 번갈아 가며 맡거나 공동으로 담당하여 초반의 불공평한 역할 분담 문제를 자율적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구성원들이 고른 양으로 발화하고 서로 활발하게 상호교류하는 소집단이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불균형한 역할 분담 문제와 일부 학생들의 활동 배제, 상위 수준 학생의 활동 주도에 따른 중?하위 수준 학생들의 발화량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 소집단도 있었다. 셋째, 동질 소집단 활동 시에는 중?상위 그룹 내 역할분담이 활동 초반부터 균등하게 분배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이 나타났다. 특히 이질 소집단 활동에서보다 여러 역할을 번갈아 가며 맡음에 따라 다양한 내용의 발화가 나타났고 발화량도 이질 소집단 때보다 증가한 학생이 많았다. 그러나 하위 그룹에서는 학생들의 발화량이 이전보다 증가한 편이었으나 소집단 내 역할이 제대로 분담되지 않고 상호교수의 한계를 보이기도 하였다. 넷째, 동질 소집단 활동 후반에 이르러 하위 그룹 학생들은 역할을 균등하게 나누어 맡으면서 발화량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구성원들 각자 다양한 역할을 맡으면서 발화내용도 훨씬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중?상위 그룹 내에서는 일부 구성원들이 활동에 집중하지 못하고 흥미를 잃어 발화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역할 고착에 따라 이같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또 활동에의 집중력 감소에 따라 동료수정을 하지 않거나 오류를 간과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집단 협동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구성원 간 상호교류가 활발하며 구성원 모두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방법으로 소집단을 구성하여 협동학습을 운영해야 한다. 둘째, 소집단 협동학습 시 역할 분담 및 교체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자발적으로 역할을 바꾸어 가며 나누어 맡을 수 있게끔 하는 교사의 역할과 방법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소집단 활동에 학생들의 집중력이 유지될 수 있는 다양한 학습 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이 학습내용을 연습하고 구성원 간 의견교류가 필요함을 자각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준별 협동학습 과제 개발이 요구된다. 다섯째, 동질 소집단 협동학습 시 중?하위 수준 학생들의 동료수정 문제를 보완할 수 있을만한 방안이 필요하며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본 연구 결과 및 제언이 고려되어 현장교육에 적용된다면, 소집단 협동학습 활동은 영어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를 고취시킴과 동시에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기회 증진 및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기여하여 다인수 학급에서 나타나는 영어 발화 기회 부족의 문제를 극복할 만한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수국차(Hydrangea serrata Seringe)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노화 사이의 상관관계 및 지표성분의 동시분석법 밸리데이션 확립

        김서희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수국차(Hydrangea serrata Seringe)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노화 활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지표성분의 동시분석법 밸리데이션을 확립하였다. Antioxidant contents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결과 각각 60% 에탄올 추출물(11.45 ± 0.13 ㎎ GAE/g), 40% 에탄올 추출물(19.27 ± 0.09 ㎎ CE/g)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이금속이온에 대한 환원력 실험 FRAP, PMA 모두 40% 에탄올 추출물(285.96 ± 0.99 mM TE/g, 5.21 ± 0.99 mM TE/g)이 가장 우수하였다.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는 DPPH, ABTS 실험에서는 각각 80% 에탄올 추출물(5.35 ± 0.00 mM TE/g), 40% 에탄올 추출물(969.14 ± 0.00 uM TE/g)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ORAC 실험에서는 60% 에탄올 추출물(2.62 ± 1.22 mM TE/g)이 가장 우수하였다. 활성산소종의 소거 효능 평가 HR, HP 실험의 RC50값은 20% 에탄올 추출물(631.96 ± 0.6 ㎍/㎖), 40% 에탄올 추출물(115.62 ± 0.9 ㎍/㎖)에서 각각 우수한 활성을 보였으며, 활성질소종의 소거 효능 평가 NO, ONOO- 실험의 RC50값은 모두 40% 에탄올 추출물(41.03 ± 3.7 ㎍/㎖, 373.10 ± 5.1 ㎍/㎖)이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또한 항노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Collagenase inhibition 실험 결과 40% 에탄올 추출물에서 16.40% - 42.54% 범위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산소종 소거 활성과 활성질소종 소거 활성, 항노화 효과 사이의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하여 활성산소종(HR HP) 및 활성질소종(NO, ONOO-) 소거율이 항노화 효과(Collagenase inhibition)에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국차에 함유되어있는 주요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HPLC-MS/MS 분석법을 수행하여 총 11개(flavonoid 계열 4개, phenol 계열 8개)의 단일성분을 규명하였다. 또한 3개의 지표성분(Protocatechuic acid, 4-O-CQA, Caffeic acid)을 선정하여 이에 대한 동시분석법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였다. 직선성은 모두 R2 값이 0.999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지표성분의 검출한계는 0.4028 µg/mL, 0.7709 µg/mL, 0.7526 µg/mL로 나타났으며, 정량한계는 1.2206 µg/mL, 2.3362 µg/mL 2.2806 µg/mL로 나타났다. 정밀성은 모두 의약품 등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의 기준치인 2% 이하로 확인되었으며, 정확성을 위한 회수율은 98.21-101.07% 범위로 확인되었다. 또한 Protocatechuic acid는 0% 에탄올 추출물에서 7.04 ± 0.46 ㎍/㎖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4-O-CQA는 40% 에탄올 추출물에서 78.6 8± 7.93 ㎍/㎖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Caffeic acid는 0% 에탄올 추출물에서 34.96 ± 0.79 ㎍/㎖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천연 항산화 대체물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기본심리욕구 만족이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일반 동기와 대인존재감의 이중매개효과

        김서희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도박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도박문제는 더욱 심해지는 가운데,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하고 도박행동에 대한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본 심리욕구 만족, 일반 동기 수준, 대인존재감, 도박행동 심각도 및 저수준 도박행동을 주요 변인으로 설정하고, 주요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더불어, 기본심리욕구 만족이 일반 동기 수준과 대인존재감을 통해 도박 행동 심각도와 저수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박행동에 대한 개입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를 위해 연구자 소속기관인 H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승인(2021-A0005)을 득한 후, 최근 3개월간 1회 이상 도박에 참여한 성인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총 532명이 참여하였고, 3개월 이내 도박 경험이 없거나 지시적 조작 점검 문항에서 불성실 문항으로 간주된 자료를 제외한 402명의 자료가 SPSS 23.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이 도박행동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 동기수준과 대인존재감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은 일반 동기 수준을 매개로 하여 대인존재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경로를 통한 대인존재감은 도박행동 심각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은 저수준 도박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일반 동기 수준과 대인존재감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3개월간 1회 이상 도박에 참여한 만 19~68세의 도박경험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도박행동에 참여하는 개인의 인구통계학 및 도박 이용 관련 특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연구자의 도박행동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비교적 진행도가 높은 수준이 도박행동 심각도를 측정하는 K-CPGI 척도에 더해, 저수준 도박행동을 측정하는 L척도를 사용하였다. 셋째,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도박경험자 삶 전반에서 나타나는 일반 동기에 주목하여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이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확인하였다. 넷째,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인존재감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도박행동에 대한 개입방안을 제시하고,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While the gambling market is getting bigger and the gambling problem is getting worse,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variables affecting gambling behavior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seek intervention for gambl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General Motivation, Mattering, Gambling Behavior Severity and Low-level Gambling Behavior were set as major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was verified. In addition,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on Gambling Behavior Severity and Low-Level Gambling Behavior were confirmed through General Motivation and Mattering. For this study, after obtaining approval(2021-A0005) from the Bioethics Committee of H Universit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adults who participated in gambling more than once in the last three months. 532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data of 402 people who had no gambling experience within 3 months or were considered as insincere case by instructional manipulation check item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Contributed to Gambling Behavior Severity through General Motivation and Mattering. Specifically,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ttering through General Motivation. And Mattering through this path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Gambling Behavior Severity. Seco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ow-level Gambling Behavior, but the mediating effect of General Motivation and Mattering was not significant in this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interventions for gambler are proposed,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김서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과 친사회적 행동,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관계를 밝혀보고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이 자기조절력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자기조절력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과 친사회적 행동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인천시,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만 4세 유아 26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유·아동 인터넷 중독진단 척도(2011)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권연희(1995)가 Weir와 Duveen(1981)의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PBQ)를 번안·수정한 척도를 이경미(2014)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해 김지아(2002)가 Kendall과 Wilcox (1979)의 자기조절능력 검사도구(Self-Control Rating Scale: SCRS)를 번안·수정하고, 박미정(2008)이 일부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obel test를 통해 매개변인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 친사회적 행동, 자기조절력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 전체의 평균값은 4점 척도에서 2.16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 평균값은 가상세계지향성, 내성, 금단, 일상생활장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의 진단기준에 따른 결과는 일반 사용자 집단이 83.27%로 가장 많았고, 잠재적 위험 사용자 집단이 13.31%, 고위험 사용자 집단이 3.42%로 나타났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전체의 평균값은 4점 척도에서 2.76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 평균값은 협동하기 행동, 배려하기 행동, 돕기 행동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유아의 자기조절력 전체의 평균값은 4점 척도에서 2.84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 평균값은 주의집중력, 충동성 감소, 자기통제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 전체와 하위요인은 친사회적 행동의 전체와 하위요인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 전체와 하위요인은 자기조절력 전체와 하위요인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자기조절력 전체와 하위요인은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요인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이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Sobel test를 통해 매개경로의 유의성이 최종적으로 검증되었다. 이것은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력은 낮아지고 그 결과로 친사회적 행동이 낮게 나타난다고 해석된다. 따라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증진시키는 것은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감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대중음악을 활용한 리듬 교육 지도 방안 연구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김서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에서 기본 능력은 음악을 표현하고 감상활동에 필요한 기초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이 기본 능력 중에서도 기초가 되는 요소는 리듬이다. 리듬은 가창, 기악, 창작활동을 할 때 이해되어져야 하는 기본요소이므로 음악의 모든 활동을 할 때 리듬교육은 가장 기본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학생들에게 음악의 기본적인 요소 중 리듬에 대한 지도를 하는 것은 음악에 대한 흥미를 갖고 이해를 하게 되며 음악을 생활화 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7년 음악과 개정교육과정 교수ㆍ학습계획에 나타나있는 학생 발달에 맞는 능력수준과 흥미도를 고려하여 교육내용을 구상해야 하고 학습내용에 맞는 창의적이면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해 학생들이 익숙하고 흥미를 가지고 있는 대중음악을 활용하여 리듬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교수? 학습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대중음악은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능동적으로 수업에 임하게 될 것이다. 또한 대중음악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여서 다양한 음악을 배울 수 있는 계기로 삼아 음악수업의 즐거움과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다. 그리고 음악의 생활화에 방향을 둔 현 교육과정에서 학교 수업에서의 대중음악 활용은 자신의 생활 속에서 음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음악 교육에서 대중음악을 활용한 리듬교육이 효과적일 수 있도록 교수ㆍ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 대중음악이 교육활동에 올바르게 적용되는 방향을 제시하고 지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리듬의 개념과 요소, 음악교육학자들의 리듬교육방법과 대중음악이 교육적으로 갖는 의미에 대해 말하고, 교과서를 분석하고 학생들에게 대중음악의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한 후, 대중음악을 활용한 리듬교육의 단계별 수업지도방안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3가지 제재곡을 통해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마치면서 몇 가지 제언점을 남긴다. 첫째, 리듬교육을 지도함에 있어 학생들이 스스로 리듬을 느끼고 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와 활동 중심의 지도를 하여야 한다. 둘째, 음악수업에서 대중음악의 활용이 흥미를 위한 것만이 아닌 음악의 한 부분으로써 교육적으로 활용되어져야 한다. 셋째, 대중음악을 활용한 리듬교육은 음악의 기초능력을 키우고 풍부한 음악표현을 하고 음악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의미 있게 적용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효과적인 리듬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수? 학습방안이 연구되어져서 음악적 표현능력을 적극적으로 키워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그리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도움이 되고 대중음악이 학교수업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20대 청년의 젠더 갈등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서희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점차 심화되어 가는‘젠더 갈등’현상과 그 심각성을 비교적 높게 나타내는 20대 청년들에 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연구 문제를‘우리나라에 거주하는 20대 청년들의 젠더 갈등 경험은 어떠한가?’로 설정하고, 현상과 관련한 타인의 경험을 기술하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20대 청년들의 젠더 갈등 경험이 갖는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젠더 갈등은 우리 사회의 주요 갈등으로 연구되어왔으나, 지금껏 그 원인이나 요인을 분석하는 양적 연구 차원에서 주로 다뤄져 왔다. 최근 들어서는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존재하나 이 역시 대부분 외현적으로 드러나 보이는 현상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어왔다. 그러므로 20대 청년의 젠더 갈등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방법론인 현상학적 연구를 활용하여 그들의 실제 경험을 들어봄으로써 그러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연구를 위해 대전에 거주하는 20대 청년 8명이 면담에 참여하였고, 면담 내용의 분석은 Colaizzi의 연구방법 7단계에 기초해 이뤄졌으며, 연구 결과는‘젠더 갈등 경험에 관한 이해’,‘젠더 갈등으로 인한 영향’,‘젠더 갈등으로 인한 욕구’,‘젠더 갈등 해소의 필요성’의 4가지 범주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인 20대 청년들이 형성한‘젠더 갈등’의 의미를 살펴보고, 그로 인한 복합적 어려움과 욕구를 설명했으며, 나아가 젠더 갈등 완화 및 해소를 위해서는 개인과 사회의 총체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나타냈다.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젠더 갈등 현상을 경험하는 개인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하나의 현상을 경험할지라도 이를 통해 형성하는 의미는 개인 간 차이가 존재하므로 사회·문화적 맥락뿐만 아니라 개인에 대한 이해가 함께 이루어질 때, 더욱 심층적인 탐색이 가능하다. 둘째, 젠더 갈등 현상이 20대 청년에게 미치는 복합적 영향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인지, 정서, 행동으로 나타난 세 가지 영향에 관한 이해는 상담 장면에서 20대 청년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았다. 셋째, 젠더 갈등으로 인해 20대 청년의 문제는 확장되어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관한 상담사의 이해가 필요하다. 젠더 갈등 현상 속 20대 청년이 경험하는 문제의 원인을 개인 내적이 아닌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탐색하며 이들의 경험을 옹호하는 상담사의 태도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넷째, 온라인을 매개하여 나타나는 20대 청년의 젠더 갈등을 이해하고 이에 관한 교육 및 정책적 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젠더 갈등’이라는 사회적 현상 속 개인의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현상에 관한 심층적 이해를 제공하고 상담 장면에서는 20대 청년들을 이해하고 심리 정서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began with an interest in the 'gender conflict' phenomenon, which is gradually deepening in our society, and young people in their 20s, who show their seriousness relatively high.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to 'What is the gender conflict experience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living in Korea?' and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gender conflict experience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by using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at describes other people's experiences related to phenomena. Gender conflict has been studied as a major conflict in our society, but so far, it has been mainly dealt with in terms of quantitative research that analyzes the causes or factors. In recent years, there are studies on young people in their 20s, but most of them have also focused on the phenomenon itself that appears to be external. Therefore, in order to explore the gender conflict experience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it was necessary to grasp the meaning and essence of such experience by listening to their actual experiences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Eight young people in their 20s living in Daejeon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and the analysis was based on Colaizzi's seven stages of research metho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into four categories:‘Understanding of the Gender Conflict Experience’,‘The impact of gender conflict’,‘Desire due to gender conflict’, and ‘The need to resolve gender conflicts’. Through this, the meaning of "gender conflict" formed by young people in their 20s, who are study participants, explained the complex difficulties and desires, and further explain that overall efforts of individuals and society are needed to alleviate and resolve gender confli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individuals experiencing gender conflict. Even if you experience a phenomenon, the meaning formed through it exists between individuals, so more in-depth exploration is possible when not onl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but also individuals are understood together. Seco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mplex effect of gender conflict on young people in their 20s. Understanding the three effects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was considered to be helpful in supporting young people in their 20s in the counseling scene. Third, the problem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is expanding due to gender conflict, so it is necessary for a counselor to understand this. The counselor's attitude of defending their experiences by exploring the causes of problems experienced by young people in their 20s with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not within individuals, can help solve the problem. Fourth,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gender conflict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that appears online, and to discuss education and policy about i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by exploring individual experiences in the social phenomenon of "gender conflict," and provides data to help understand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support psychological emotions in the counseling sc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