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크로스오버 국악 활용 음악수업에 대한 고찰

        김지은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다양한 문화와 역사의 배경을 반영하는 포괄적 음악성을 수용하여 그 시대의 음악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현시대의 포스트모더니즘 양상을 반영하는 크로스오버 국악 또한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다수 수록되어있다. 이에 음악교사는 이러한 크로스오버 국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음악수업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크로스오버 국악이 등장하게 된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함으로써 크로스오버 국악 속에서 한국 음악어법 및 요소를 탐구할 수 있는 음악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역사 속에서 외래음악의 수용은 여러 방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중국음악의 수용 및 서양음악의 수용에 대한 기록이나 예시는 많지만, 「새로운 한국 음악사」에서 전인평이 말하는 것과 같이 우리민족은 우리의 것으로 살찌우며 재창조하는 태도를 잃지 않았다. 다른 나라로부터 유입된 장구, 양금, 태평소 등은 모두 현재에는 전통음악에서 우리민족의 특성을 살린 연주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북한의 경우에도 전면배합관현악 편성과 같이 민족악기와 서양악기를 배합하였다. 이는 민족발성과 양악발성을 배합하고, 서양의 조율법인 평균율을 민속악기에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해방이후 유입된 서양음악은 아직까지도 우리나라 정서에 맞게 변화되지 못한 채 사용되고 있으며, 그러한 과정 속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양상과 맞물려 창작된 음악이 크로스오버 국악일 것이다. 앞으로도 서양음악은 우리의 것으로 재탄생되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또한 「한국민족음악 현단계」에서 노동은이 제시하는 것처럼, 우리나라의 음악적 미와 한국적 음악어법에 대해서도 자주적인 답. 즉, 명료화 될 수 있는 많은 연구들이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P. 메리엄의「민족음악학」에 의하면, 학문의 발전과 더불어 국가의 발전을 위해 수용과 변화를 거치는 것은 과거 어느 시대에서나 맞이해 온 양상이다. 또한 2000년대 문화예술 속에서 크로스오버 국악 공연은 세계에 우리음악을 알리는 데에 적극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더불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는 ‘세계 속의 국악’이라는 명제도 제시되어 있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대표하는 국악의 모습이 원일의 <신뱃놀이>나 이준호의 <축제>와 같은 크로스오버 국악 창작곡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오늘날에는 우리 음악계도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세계시민으로서 문화적 소양을 지닌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고 세계의 음악이라는 학문에도 기여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크로스오버 국악은 창의·융합적 음악 제재곡으로 적합하며 학생들에게 국악에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국악이 학생들의 생활 속에 자리잡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음악교사는 바람직한 크로스오버 국악 제재곡을 발굴하여 2015개정 교육과정에 알맞은 지도 방안을 탐구·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is influenced by the comprehensive musicianship which encourages to use the music that reflects the background in various cultures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historial periods. Therefore, many crossover Korean traditional music contexts are contained in the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of 2015. The music teachers must exploit the crossover Korean traditional music as contexts when they plan the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The music class must give the full opportunities to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post-modernism as the back ground and to explore the every musical materials of Korean musical language while music teachers use the crossover Korean music as contexts. In Korean history, there are many examples of accepting other countries’ music such as music from China and Western countries in many facets. As In-Pyung Jun says in his book ‘New Korean Music History’, Korean people never have never lost the attitudes to bring up those music to be nourished and re-created in Korean characterized ways. Jang-go, Tae-pyung-so, and yang-geaum are the instrument imported from other countries and now they are vigorously played with Korean characterized way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 North Korea, they combine the ethnic instrument and the western instrument or the ethnic vocalization and the western vocalization. Also they use the western tuning system to their folk instruments.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the western music has been imported to Korea, but it has not been converted in Korean way yet. In this process the crossover Korean music is newly composed in meeting with the aspect of post-modernism. We need to set forth on the project to accept and transit the western music in Korean characterized ways and if it is used to improve Korean music academics it couldn’t be better. As Dong-Eun No says in his book ‘The Present Steps of Korean Ethnic Music’, there has to be more studies to find the clear and independent answer to the beauty and the musical language of Korean music along with the process of transposing the western music in Korean characterized ways. According to ‘The Anthropology of Music’ written by A.P. Merriam,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transition has been the general aspect in any past period of time for the nation and academics improvement. The crossover Korean traditional music shows the nature of the post-modernism, and it is used as the great tools to introduce Korean music by many Korean musicians who actively perform these music pieces all over the world. Moreover,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contains the word ‘Korean music in the world’ which shows that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s at work to cultivate students become the global citizens who can also contribute their cultural competencies in every academic branches in the world. I believe that the crossover Korean traditional music could be the very desirable creative–conversive contexts to be used in music classes because it can bring out students’ interests and help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o be settled down in their everyday lives. The music teachers must put efforts in exploring the musical contents, contexts,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that are suitable to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in order to develop the various teaching-learning plans.

      • 중년기 여성의 미술 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 자기 효능감을 중심으로

        박세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Interest in the subject of this study began with awareness of the need for art education for middle-aged women in a transitional period of their lives. While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al” attention for them, there is little research in academia. I believe that the creative function of expressing visual images of art can be an effective way to overcome the chaos of self-image experienced by middle-aged women. In the course of their art learning, they can look back on their lives and find values for themselves, and improve their emotional stability by relieving their desire to express them. Furthermore, I present the theory of self-efficacy as the basis for actively solving the difficulties faced by middle-aged women. The scholar Bandura suggests that life can be qualitatively innovative and renewed through ‘self-efficacy’, one of the important concepts for mental health. This means that ‘self-efficacy’ can serve as a basis for overcoming the emotional crisis and hardships faced by middle-aged women and moving toward new hope. Therefore, I designed and conducted art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self-efficacy and looked at the learning process and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a phenomenological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hree middle-aged women, who devised and conducted a self-efficacy art program for a total of 24 hours from March to May 2019, and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which is representative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was selected and various forms of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Then they are analyzed in stage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study procedure of the scholar Wolcott. Through the process of categorizing the collected data into subcategories and upper categories by open-coding and analyzing and interpreting common themes, a total of four higher categories and 11 lower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categorization is as follows. Upper category ‘self-awareness' was categorized as ‘self-discovery' and ‘self-awareness'. Upper category ‘mid-life awareness' was categorized as ‘mid-life depression and willingness to overcome', ‘aging awareness and acceptance' and ‘sympathy and consolation'. Upper category ‘satisfaction and fulfillment' was categorized as ‘pleasure of immersion' and ‘joy of achievement'. And upper category ‘self-efficacy' was categorized as ‘self-efficacy due to isolation', ‘determination on learning', ‘confidence' and ‘positive chang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aged female learners, who were participants in the study, had time to think about themselves while participating in an art program that considered self-efficacy, formed the ‘area of themselves' that they sought. They looked at their own mind and understanded themselves, and further, to greet a new self in a transitional period of their life, to realize once again that they are active players in life and express their willingness to actively embrace new changes. Second, middle-aged female learners gained confidence by experiencing the sense of accomplishment that reaches the completion of their work in the course of art learning every step of the way. In the beginning they tended to choose the most 'easy to draw' when they were given various objects and materials, but after experiences of successfully accomplishing a given task, they gradually applied and thought of the knowledge they had learned. They also expressed confidence for a relatively high level of task. Finally, research participants with the common points of "mid-life", "mother", "daughter", "housewife" and "art" showed changes that showed themselves more and more confidently, with each other's positive feedback, empathy and encouragement,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mfort. In summing up this conclusion, middle-aged women are in the process of actively participating in art learning with a strong will to overcome the depression that comes from their middle-aged nature, and finding new egos. Through an art program that considered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experienced repeated achievements through art learning, and reaffirmed their potential through the process of looking back, understanding and accepting life. In addition, in the course of learning, he experienced a profound empathy and encouragement from fellow participants in different and same situations, and, by extension, a relaxed self-exp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remarkable topic and implications by qualitatively exploring art learning by middle-aged women, who have not been seen as a subject of study in art, education, and academia. In subsequent studies,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art education will be expand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timing characteristics of adults of different ages, including the middle age. 본 연구 주제에 관한 관심은, 인생의 전환적 시기에 있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미술 교육의 필요성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외부를 향했던 에너지가 내부를 향하는 시기인 중년기에는 그동안 억압되었던 자아의 인식을 고취시키는 ‘교육적’ 관심이 필요하지만, 학계에서는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연구자는 미술이 가진 시각적 이미지의 표출이라는 창조적 기능이 중년기 여성이 겪는 자아의 혼란을 극복하는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미술 학습은 삶의 긍정적인 면을 계발하는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으로,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인생의 전환기를 맞이한 중년기 여성들은, 미술 학습을 통해 내면의 경치를 탐색하는 데(Eisner, 2002)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아를 표출하는 과정에서 자신감을 얻고 자신의 삶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독립성과 자아를 실현할 수 있다. 미술 활동 과정에서 삶을 되돌아보며 스스로 가치를 찾고,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 해소를 통해 중년기 여성들은 시기적 특성에 기인한 우울 수준을 낮추고 평온감과 만족감, 행복감 등 정서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 나아가 연구자는 중년기 여성이 직면한 어려움을 능동적으로 해결하는 기반으로 자기 효능감 이론을 함께 제시한다. 학자 반두라(Bandura, 1997)는 정신 건강을 위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자기 효능감’을 통해 삶이 질적으로 혁신되고 새롭게 거듭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자기 효능감’이 중년기 여성이 직면한 정서적 위기와 고난을 극복하고 새로운 희망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연구자는 자기 효능감을 고려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및 진행하고 중년기 여성의 학습 과정 및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 학습이 중년기 여성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반두라가 고안한 자기 효능감의 형성 근원인 성공 경험, 대리적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정서적 상태를 고려한 미술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중년기 여성 3인으로,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24차시에 해당하는 자기 효능감 미술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직접 진행하며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적 연구의 대표적 방식인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선정하여, 현장 참여 관찰 및 심층 면담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학자 월코트(Wolcott)의 연구 절차를 따라 ‘기술’, ‘분석’, ‘해석’의 단계로 분석되었다. 현장 참여 관찰 과정에서는 참여자들의 작품 완성 과정과 참여 태도, 감정 등을 읽어내려 하였으며 매 수업 녹음하여 수업 직후 전사를 하였고, 녹음된 내용 외에도 관찰 가능했던 특정한 비언어적인 부분들을 함께 기록하고자 하였으며 수업 시간에 완성한 작품은 사진으로 찍어 자료화하였다. 모든 수업 종료 후에는 1회 미술 프로그램 참여와 관련하여 구조화된 문항을 구성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참여 관찰 과정에서 얻어진 자료와 함께 사용하여, 반복적 비교 분석 방법을 통해 개방코딩작업을 통해 하위 범주 및 상위 범주로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쳤고 공통된 주제를 탐색하여 분석 및 해석하였다. 총 4개의 상위 범주와 11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범주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위 범주 ‘자아 인식’에 따른 하위 범주로는 ‘자기 발견’, ‘자기 인식’, 상위 범주 ‘중년 인지’에 따른 하위 범주는 ‘중년의 우울감과 극복 의지’, ‘노화 인지 및 수용’, ‘공감과 위로’로 범주화되었다. 상위 범주 ‘만족감과 성취감’에 따른 하위 범주는 ‘몰입의 즐거움’과 ‘성취의 즐거움’으로 범주화되었으며 상위 범주 ‘자기 효능감’에 따른 하위 범주는 ‘격려로 인한 자기 효능감’, ‘학습에 대한 의지’, ‘자신감’, ‘긍정적인 변화’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였던 중년 여성 학습자들은 자기 효능감을 고려한 미술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스스로에 대해 고찰해보는 시간을 가졌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이 추구하는 ‘나만의 영역’을 형성하였다. 내면을 돌아보고 자신을 이해하는 기회를 얻고 나아가 인생의 전환적 시기에서 새로운 자아를 맞이하는 기회를 얻었으며 삶의 능동적 주체임을 다시금 깨닫고 새로운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의지를 표현하였다. 둘째, 중년 여성 학습자들은 미술 학습 과정에서 작품 완성에 도달하는 성취감을 매 회 경험하며 자신감을 얻었다. 재료를 편하게 다룰 수 없던 초반에는 그림의 소재로 다양한 것들이 주어졌을 때 가장 ‘그리기 쉬운 것’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회차를 거듭하면서 도구 사용에 익숙해지고,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성취해내는 반복적인 경험을 한 후에는 점차 배운 지식을 응용하고 사고하게 되었다. 비교적 높은 수준의 과제도 ‘해보고 싶다’,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표현하였으며, 이러한 자신감은 자신의 능력에 관한 믿음인 자기 효능감으로의 확장으로 연결되었다. 미술 학습이라는 구체적 상황에서 발휘된 자신감과 확신은, 그들이 마주하는 높은 난이도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년기’, ‘엄마’, ‘딸’, ‘주부’, ‘미술’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진 연구 참여자들은 서로의 긍정적인 피드백, 공감과 격려를 통해, ‘나만 힘든 것이 아니다’, ‘서툴러도 괜찮다’라는 심리적인 안정감과 위로를 받으면서 점점 더 자신 있게 내면을 드러내는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에 참여한 중년 여성들은 중년기라는 시기적 특성에서 오는 우울감을 겪고 있긴 하지만 이를 극복하고 싶은 강한 의지로 미술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새로운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기 효능감을 고려한 미술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삶을 되돌아보고 이해 및 수용하는 과정을 거쳐, 미술 학습을 통한 반복적인 성취를 경험하고, 자신의 가능성을 재차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 과정에서, 다르면서도 같은 상황에 있는 동료 참여자들의 깊은 공감과 격려로 힘을 얻고 나아가 편안하게 자아를 표현하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미술 교육 학계에서 연구 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중년 여성의 미술 학습을 질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주목할 만한 주제와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 중년기를 포함한 다양한 연령대의 성인이 주체가 되는, 시기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미술 교육에 관한 연구가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 평생학습을 통한 중년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윤가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생애 전환 시기의 ‘중년기’는 제2의 인생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다. 따라서 중년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필요하나 학계에서는 노년, 아동, 청소년기에 비해 연구가 미비하였다. 최근 중년기가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증가하며 인생에서 중년기가 차지하는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중년층이 사회 전반에 걸쳐 핵심적 역할을 감당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발달심리학자들에 의해 중년기가 인생의 발달단계에 있어 중요한 전환기라는 특성이 밝혀져 더욱 중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오제은, 2013). 연구자는 중년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대두됨에 따라 시대에 맞는 변화된 중년의 특징을 고려한 교육이 필요하며, 중년의 심리적 변화와 노년기를 준비하는 데 평생학습으로서의 미술교육이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평생학습’은 누구에게나 일생동안 삶의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배움을 뜻하며(한상길, 2009), 특히 학습자의 의사와 주체적 행동에 의한 활동을 의미한다. 평생학습의 궁극적 목표는 삶의 질 향상에 있으며, 안정적 노년기 진입을 위해서도 중년 대상 평생학습은 필요하다. 이때 평생학습으로서의 미술교육으로 지역과 공동체 활동 기반의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을 제안한다. 울브리히트(Ulbricht, 2005)에 의하면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은 지역 문화를 통해 삶의 의미와 활력을 불어넣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시키며, 의미 있는 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평생학습의 목적에 부합한다. 나아가 주체적이고 관계를 맺는 활동은 스스로가 가치 있다고 믿게 되어 중년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생애 전환 시점에 있는 중년에게 평생학습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중년의 자아존중감을 고려한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및 진행하여, 중년의 학습 과정 및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는 중년기 성인 4명을 대상으로 2020년 4월부터 6월까지, 총 24차시 동안 서울시 K구 마을 공동 작업장에서 지역 예술가와 공동 진행되었다. 진행 시 참여자의 동의를 구한 다음 매 차시 수업과 개별 심층 면담을 기록, 녹음하였고 녹음 자료는 전사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때 개별 심층면담의 경우 구조화된 문항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질적 분석 방법으로 월코트(Wolcott, 1992)의 기술, 분석, 해석의 절차를 따랐으며 수집한 자료를 개방 코딩작업을 통해 범주화한 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총 4개의 상위 범주와 12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범주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년기 인지’의 하위 범주는‘중년의 위기’, ‘삶에 대한 회한’, ‘노년기 준비’이며, ‘중년의 자아존중감’의 하위 범주는 ‘성취의 즐거움’, ‘목공 기술의 습득’, ‘자신의 가치 인식’이다. ‘지역에 대한 인식’의 하위 범주는 ‘지역 사회 인식’, ‘생각의 변화’, ‘앞으로의 계획’이고 ‘학습 의지’의 하위 범주는 ‘배움에 대한 의지’, ‘미술에 대한 흥미’, ‘함께하는 즐거움’이다. 분석 결과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으로서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은 중년에게 자발적 배움을 지속하게 하여 중년의 위기에 해당하는 다양한 변화를 극복하고, 학습 의지를 고취시켜 안정적 노년기를 위한 준비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년 학습자에게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은 공동체 활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반복적 성취감을 경험하며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게 하여, 더 나은 삶을 위한 평생학습으로서 적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중년기 성인 학습자들에게 평생학습은 자발적 배움을 지속하게 하여 중년의 위기를 극복하고, 자아존중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때,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은 자아존중감 형성에 필요한 성취감과 사회적 관계를 경험하게 하여 평생학습으로써 효과적임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중년 성인 학습자들의 심리・사회적 변화를 고려하고, 안정적 노년기를 그릴 수 있는 평생학습으로서의 다각적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깨달았다. 후속 연구에서는 중년의 시기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며, 노년기로도 연결될 수 있는 미술 학습에 관한 연구가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Middle Age’is a life turning point where people experience numerous changes and it is an important time to get prepared for the second life. While educational interest on middle year is necessary, there are only few researches compared to old age, childhood, and adolescence. Recently, middle year is getting noticed because the middle-aged people are playing key role in overall society as medical development increased average life expectancy and middle age period take up more in life. Especially, developmental psychologists pointed out that middle year is an important turning point for developmental stage in life. In response, there is emphasis on the need for researches on middle year (Jaeun Oh, 2013). With rising educational interests on middle year, it is necessary to have education that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people that changed over time and art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way as a lifelong learning to be prepared for psychological changes in middle age and later old stage. ‘Lifelong Learning’ means the learning that occurs over the life for anyone (Sanggil Han, 2009) and it especially means activities with intention and subjective behavior by learner. The ultimate goal of lifelong learning is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lifelong learning for middle aged-people is necessary for transition to stable older stage of life. In response, this study suggests ‘Community-Based Art Education(CBAE)’which is based on local and community activity for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Ulbricht (2005),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meets with the goal of lifelong learning through inspiring meaning of life and vitality, forming social relationship, and making maintain meaningful activities through community culture. The subjective and relationship activities lead to higher ‘Self-Esteem’ of middle-aged people as they regard themselves as a valuable person. In response, this study suggested necessity of lifelong learning for middle-aged people on turning point, designed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middle-aged people’s self-esteem to examine the learning process and experience of middle-aged people phenomenological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4 middle-aged people jointly with local artists at co-workshop at K District, Seoul for total of 24 times from April 2020 to June 2020. After getting approval from participants, the research was documented and recorded every class wit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The recorded materials were documented to collect research materials.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tructuralized questions. The research use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nd followed the steps of statemen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by Wolcott (1992).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categorized through open coding work and analyzed to derive the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drew total of 4 upper categories and 12 sub-categories and categorized items are as follows : ‘Mid-Life Crisis’, ‘Regret Over Life’, and ‘Preparation for Old Stage’ are the sub-category of upper category ‘Middle Age Perception’. ‘Pleasure of Accomplishment’, ‘Learning of Carpentry’, ‘Cognition on Own Value’ are sub-categories for upper category ‘Self-Esteem of Middle Age’. ‘Perception on Community’, ‘Change of Thoughts’, and ‘Future Plan’ are sub-categories for ‘Perception on Region’. ‘Will for Learning’, ‘Interest in Art’, and ‘Pleasure for Being Together’ are the sub-categories for ‘Will to Learn’. First, Lifelong learning helps middle-aged people to keep on learning voluntarily to overcome various changes from mid-life crisis. It also inspires learning motivation to help getting prepared for stable old stage. Second,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s appropriate for lifelong learning for better life of for middle-aged learners as it forms social relationship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help experiencing sense of accomplishment repeatedly, and help recognizing own value. In conclusion, lifelong learning for middle-aged learners helps middle-aged people to continue learning voluntarily, overcome mid-life crisis, and maintain self-esteem. At the same time, community-based education is effective as a lifelong learning as it gives sense of accomplishment necessary for forming self-esteem and help experience social relationship. The research result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multi-dimensional art education as a lifelong learning that considers psychological and social changes of middle-aged learners and helps to getting prepared for stable old stage. The follow-up researches should be based on understanding of middle-aged people’s characteristics and expand to art education that can be also connected to old age.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3학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예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Community consciousness, which is the basis of maintaining social order, is a consciousness necessary for social members to recognize and solve social problems caused by individualism and materialism as a common problem. In modern society is facing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and social conflict due to the absence of a sense of community.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for Korean students in adolescence, which is an important time when social identity is to be established, that schools at each level are sufficiently cultivating the sense of community of students due to competition-oriented entrance examination education(Kim Wee-jung, 2016). Adolescence is a time when self-identity is formed and developed in a community, and educational efforts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re more emphasized. And also, community conscious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not onl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also on school life adaptation, It helps to prevent a variety of problems(Park Young, Heo Won-koo, 2017). In addition, community consciousness lowers social atrophy related to depression of adolescents, and relatively few behaviors that cause harm to others,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adaptation to school life(Woo Yu-ra, Noh Choong-rae, 2014). The above results imply that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can contribute to solving not only the internalization problem but also the externalization problem in adolescence. This sense of community is closely related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the core value of respect for others and the life of the planet among the ten learning topic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society, environment, economy, and culture, is an education that fosters the ability of learners to choose and participate in alternative ways of life by critically thinking and reflecting on problems in their lives. (UNESCO Korean Committee, 2014). In additi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a profound interrelationship with the social function of art that emphasizes understanding and solving problems close to life. In this trend, sustainable design reflecting the philosophy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an advanced concept that harmoniously integrates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aspects as well as environmental aspects of products. It is in line with the value orientation that emphasize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planet(Jang Yeon-ja, Lee Ju-yeon, 2018). Therefore, this researcher developed a sustainable design class as a middle school class program to cultivate learner's sense of community. However, as social distancing was practiced due to COVID-19, the duration of the class was shortened and the class was conducted online. The subject of the class is ‘create a sustainable package design that reduces plastics’, that students explore the problems of package design in real life and create package designs for sustainability. This class focused not only on the experience of solving problems independently, but also on cultivating an attitude that can lead to practical actions for a sustainable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ustainable design classes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in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research on sustainable design classe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the educational value was examined, an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research were summarized. Secon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ense of community and sustainable design art dealt with in art subjects were identified, and the contents and perspectives on sustainable design presented in each textbook were analyzed through the unit related to sustainable design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ird, among the textbooks containing sustainable design,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drawings related to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Fourth, based on the analysis, the theme of the sustainable design class was set to ‘create a sustainable package design that reduces plastics’. Accordingly, learning objectives and evaluation plans were designed, and flow charts and detailed instruction plans for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were prepared. Fifth, using the Korean Community Awareness Test Scale developed by Jeong Jin-gyeon(1999), a test was conducted on community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a class of sustainable design was conducted in a class of B middle school located in Daejeon. Sixth, the pre- and post-examination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by verifying and analyzing with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meaningful results of this program were derived. Seventh, class satisfaction also received positive results to verify rhe significance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 and post-examination of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the learner who participated in sustainable design cla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total score,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of the pre- and post-results of community consciousness sub-area. Among the sub-regions of community consciousness, "voluntary expression of intent to participate” showed the highest improvement, followed by "authoritarian and exclusion collectivism”, "self-reliance and public consciousness”, "intimacy and belonging”, “sharing with the same city and the public” and "harmony and unity”. Taking a comprehensive look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Sustainable design class improved statistically in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more than 90% of learners responded to ‘Compared to before class, interest in sustainable design has increased.’ with ‘very yes, yes’, confirming the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lass in this study.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at sustainable design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ostering learners'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in the follow-up study, various grades should be sampl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nd a study should be conducted that considers the ratio of female students and male students.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sustainable design reflecting the ideology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ill continue to study diverse approaches to foster practical action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for sustainability in their lives for young people who will lead the future society. 사회질서 유지의 기초가 되는 공동체의식은 개인주의와 물질만능주의 등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사회구성원들이 공동의 문제로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의식이다. 현대사회는 공동체의식의 부재로 학교폭력, 사회적 갈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문제와 직면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정체성이 확립되는 중요한 시기인 청소년기의 우리나라 학생들은 경쟁 위주의 입시교육으로 인하여 각급 학교가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을 충분히 육성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김위정, 2016). 청소년기는 공동체 속에서 자아정체성이 형성되고 발달되는 시기로 공동체의식의 함양을 위한 교육적 노력이 더욱 강조된다. 더불어 공동체의식은 심리적·사회적 발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대인관계뿐만 아니라 학교생활 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건강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공동체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회적 역량 강화를 통해 청소년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박영, 허원구, 2017). 이러한 공동체의식은 청소년들의 우울과 관련된 사회적 위축을 낮추고,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상대적으로 적게 하며, 학교생활의 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우유라, 노충래, 2014). 위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 청소년기의 내현화 문제뿐만 아니라 외현화 문제의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동체의식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10개의 학습주제 중 타인 및 지구의 생명체에 대한 존중을 핵심가치로 정한‘지속가능발전교육’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사회, 환경, 경제, 문화의 통합적 관점인‘지속가능발전교육’은 학습자가 자신의 삶 속 문제를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성찰하여 스스로 삶의 대안적 방식을 선택하고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교육이다(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4).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삶과 밀접한 문제들에 대한 이해와 해결을 강조하는 미술의 사회적 기능과 깊은 상호관련성을 가진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지속가능발전의 이념을 반영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제품의 환경적 측면과 함께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경제적인 측면까지 조화롭게 통합하는 진일보한 개념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추구하는 통합적 측면과 인류와 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강조하는 가치지향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장연자, 이주연, 2018).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의 공동체의식을 함양시키기 위한 학교 수업 프로그램으로 총 6차시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하여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천됨에 따라 기존에 진행할 예정이었던 6차시의 수업을 2차시로 축소하여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수업 주제는 ‘플라스틱 줄이는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으로 학생들이 실제 삶 속에서 패키지디자인의 문제점을 탐색하고 지속가능성을 위한 패키지디자인을 제작해보며 주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보는 경험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실제적인 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3학년의 공동체의식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진행된 연구의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과 공동체의식에 대한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를 통해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을 정리하였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술 교과에서 다루는 공동체의식과 지속가능한 디자인 미술을 확인하고,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관련 단원을 통해 각 교과서마다 제시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내용과 관점을 분석하였다. 셋째,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수록한 교과서 중 사회적·경제적·환경적 관점과 관련된 도판이 포함된 교과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분석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의 주제를‘플라스틱 줄이는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 제작하기’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목표와 평가계획을 설계하고 교수-학습 과정의 흐름도와 세부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다섯째, 정진경(1999)이 개발한 한국 공동체의식 검사 척도를 활용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B중학교의 미술동아리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실시한 전과 후의 공동체의식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여섯째, 사전·사후에 실시한 검사 자료는 SPSS Ver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대응표본 t-test로 검증분석 하여 본 프로그램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일곱째, 수업만족도의 긍정적인 결과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공동체의식 사전·사후 검사 결과 사전검사(M=3.49)에서 사후검사(M=3.97)로 공동체의식이 0.48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공동체의식 하위영역 사전·사후 결과 중 대부분의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공동체의식의 하위영역 중 ‘자발적 참여 의사표현’이 가장 높은 향상도를 나타냈으며, ‘권위적 집단주의’, ‘자율성과 공공의식’, ‘친밀성과 소속감’, ‘동일시와 공과의 공유’, ‘조화와 단결’순으로 높은 향상도가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하자면, 중학교 3학년 공동체의식의 전체 영역과 하위항목은 사후 결과가 통계적으로 향상되어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공동체의식의 함양에 있어 유의미한 것을 알 수 있다. 수업만족도의 질적 분석 결과로는 ‘수업 전과 비교해볼 때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다.’에 90% 이상의 학습자가 ‘매우 그렇다, 그렇다’라고 응답하여 본 연구의 수업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공동체의식을 함양시키는 데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년들을 표본으로 수집하고 여학생과 남학생의 비율 또한 고려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이념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청소년들에게 그들의 삶 속에서 지속가능성을 위한 실제적인 행동과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에서의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박다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With rapid chang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human also changes in various aspects. As the individualistic tendency increases amid excessive competition, lack of mutual communication is being exacerbated into social problems, which occur frequently in school settings.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asserted in a study that the phenomena such as school violence, bullying, insult, and suicide are problems closely related to the adolescents' lack of communication, and not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hich would promote communicative abilities in order to prevent them (Kang et al., 2013). Therefore, this requires an education which would enhance communicative abilities by enabling the building, maintaining and developing of relationship among students, in order to acknowledge and pursue diversity, and to form communities. Based on this research, the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mooth communicative abilities, asserting the necessity of nurturing future talent of the 21st century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school education stresses communication functions under each subject education category. Among them, art education highlights the visual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shows connection to the idea, for it can be used as non-verbal medium through various methods of transferring images, such as signs and symbols. The visual communication education perceives various phenomena of the surrounding and the problems of environment related to the students’ lives, which can be practiced effectively through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t is an in and out-of-school art education program intended for learners to be involved in the community’s history, culture, ecology, and current issues (Chanda, 2007). Through this program,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art activities, detect community problems related to themselves and search for solutions. By doing so, they can communicate independently and actively with people and community, build a sense of collective belonging, and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ve abilities such as understanding and respect. On this basis, the study applied the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o school art classes as an alternative to communication education for developing communicative abilities of the future talent in the 21st century community society, and designed courses which would enable students, as its members, to enhance the environment constituting the community. In addition, they wer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expressive activities for expressing the community freely, in consideration of artistic expressions delivering thoughts and feelings,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stages and communication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ty-centered art education on the communicative abilities of second year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Study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recent trends,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nd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studied theoretically.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for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nd its connectivity with communicative ab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2015 revised art subject education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and then designed art courses applicable to actual education fields. Thir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abilities of second year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a communicative abilities questionnaire was used among other measuring tools developed by KEDI in 2003. One classroom constituted with a total of 30 students in the second year was selected as one single group, and the changes in communicative abilities before and after the eight sessions of the experiment course were measured. The resulting statistic data were comparatively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which drew a conclusion integrated with qualitative analyses such as class practice results, student interviews and investigators’ observation log. The integrated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rt courses applied by the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learners’ communicative abilities. Second, the communicative abilities’ sub-areas, the abilities of interpreting, performing roles, self-presenting, setting goals, and converting messages, showed overall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investigations before and after, including each of sub-areas. Third, among qualitative analyses, in analyzing the student interviews and investigators’ observation log, it was verified that communicative abilities improved effectively after learning. To sum up, the group investigated in this study showed improved communicative abilities through the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he effects of which were therefore verified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빠르게 변화되는 현대사회에 따라 인간의 삶 또한 다양하게 변모된 양상으로 나타난다. 과열된 경쟁 속에서 개인주의 성향이 더욱 강해지면서 상호 간 소통의 부재가 사회적 문제들로 점차 가열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학교 현장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한국교육 개발원 연구에 따르면 학교 폭력, 집단따돌림, 욕설, 자살 등의 현상들은 청소년들의 의사소통 부재와 밀접하게 연관된 문제들이며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교육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있다(강기수 외, 2013). 따라서 학생들은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추구하며 함께 공동체를 이루어 살아가기 위해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 및 발전하는 것으로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교육부에서는 원활한 소통능력을 강조하며 21세기 미래 인재양성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교육부, 2015). 학교 교육에서는 의사소통 기능을 각 교과 영역별로 강조하는데 그 중 미술교육에서는 의사소통을 기호, 상징 등의 다양한 이미지의 전달 방식을 통해 비언어적 매개체로써 활용할 수 있는 시각적 소통 교육으로 그 연결성을 보이며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적 소통 교육은 학생들의 삶 속에서 관련된 주변의 다양한 현상과 환경 등의 문제를 인식할 수 있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미술교육으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이 있다.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은 학습자에게 공동체의 역사, 문화, 생태, 현실적 문제 등에 관여하게 하려는 학교 및 학교 밖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이다(Chanda, 2007). 이를 통해 학습자는 미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자신과 연관된 공동체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함으로써 타인 및 공동체와 소통을 자유롭고 활발하게 이루고 집단의 유대감을 형성하며 이해와 존중 등의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공동체 사회에서 미래 인재에게 필요한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소통 교육의 대안으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을 학교 미술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환경을 스스로 개선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였다. 또한 중학생들의 발달단계 및 소통을 목적으로 자신이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전달하는 미술적 표현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공동체를 표현할 수 있는 표현활동을 연계하여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이 중학교 2학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에 본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동향인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과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둘째, 현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탐색하고 의사소통능력의 연계성을 살펴본 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미술 수업을 설계하였다. 셋째,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이 중학교 2학년의 의사소통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2003)에서 개발한 측정 도구 중 의사소통능력 검사지를 활용하였으며, 중학교 2학년 총 30명으로 구성된 1개의 학급을 단일 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8차시의 실험 수업을 통해 의사소통능력의 사전, 사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자료를 비교분석 하였으며, 수업 실기 결과물, 학생 소감 인터뷰, 연구자 관찰일지 등의 질적 분석을 통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종합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을 적용한 미술 수업은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의사소통능력의 하위 영역인 해석능력, 역할수행능력,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 전환능력이 각각의 하위 요소를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사전·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질적 분석 중 특히 학생 소감 인터뷰와 연구자 관찰일지 분석에서 수업 전과 후를 기준으로 학습 후 의사소통능력이 효과적으로 향상되었음이 검증되었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이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을 통해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어 양적·질적 분석을 바탕으로 그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색채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정서안정에 미치는 영향

        이예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Entering modern society, various studies on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color on humans and increased use of visual media have highlighted the perception of color, which is also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color therapy using the natural healing effects of color. Color art classes using color therapy not only increase individual’s interest. Help learners relieve stress and foster richer emotions, but further energize learners' lives. Despite the positive effects of color therapy so far, color therapy is still only presented as a method of art therapy. However, color therapy should now be used in school art classes and educational sites in terms of prevention of stress, along with the purpose of treatment. A prior study confirmed that the only traditional color education was treated as important within the art curriculum, and that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related to color education. Until now, color units in art classes have only appeared as supplementary parts or as a component of learning, following color theory and traditional color education. According to an analysis of 10 types of "Art" textbooks at the Korea Certified Textbook High School, many textbooks lacked color content or had few activities, and few had color units or provided any reference of color activity. Furthermore, research related to color education is limited to children and preschoolers, thus are a lack of color classes and research for senior student.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class interest survey, first-year high school learners, who are subject to the study, had fewer opportunities to learn color, and because they are not given enough color classes, we can see that they lack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colors. Color art classes can develop students' ego by promoting emotional purification through emotional experiences. Teenagers today face a variety of stress and emotional problems, in which they can expect more effective educational outcomes when they are educated with an integrated form of complementary education by combining color therapy and color art classes. I felt the need for a new paradigm color education for teenagers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erefore, this research class aims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color learning methods in adolescence through: color therapy, color art classes, and teenagers, which are less connected. The topic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color art classes applied with color therapy activities affect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for first graders in high school. Color art classes through color therapy are expect to have the following effects. First, it can increase teenagers interest in color and develop a rich sense of color. Second, color art classes through color therapy help to relieve and prevent stress in teenagers. Third, the color art class through color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stability of teenagers. The sequence of studies first proceeds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o propose how to introduce color therapy in color art classes. Through this, we look at the need for color art classes through color therap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therapy,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Class design analyzes color areas within experimental school textbooks and organizes them specifically based on theo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ve classes of first graders in S high school located in Sancheong-gun, with a total of 114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class. The experimental classes ran from May 6 to June 2, 2020, with a total of six online lectures.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war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of the group is verified by their respective pre- and post-examinations. The research and inspection tools are: the stress test paper revision of Yoon Jung-mi (2019) as well as the corrected emotional stability test paper of Yoon Young-chae (2007). Statistical analysis i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Ver 26.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In addition, we will proceed with the assessment of the results of the class, we look at images of how teenagers' stress and emotions are expre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ess test scores of a single group are postmortem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es, which verify that color art classes applied together with color therapy are effective for high school freshman stress. Second, the emotional stability test scores of a single group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es, and color art classes applied with color therapy are verified to be effective in emotional stability for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Third, color therapy participants can look back at themselves and heal themselves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ir emotions, which can help relieve stress and establish emotional stability in adolescence. Fourth, the class satisfaction test confirms that a positive assessment has been made in terms of interest, understand, and satisfaction of teenagers' color therapy result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color therapy in art classes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learners in adolescence. The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checks show that the stress index has been lowered and the emotional stability score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olor therapy color art classes for first graders in high school reduced learners' stress index and increased the emotional stability index. In the future, we hope that color education methods that will be actively studied to provide various color educational tools that can help teenagers relieve stress and stabilize their emotions. 현대사회로 들어서면서 컬러가 인간에게 미치는 정신적·심리적 효과에 관한 여러 연구와 시각 매체의 사용 증가로 인해 컬러에 대한 인식이 부각 되었고, 이로 인해 컬러의 자연 치유 효과를 활용한 ‘컬러테라피’의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색채 미술수업은 개인의 흥미를 높이고 학습자의 스트레스 해소와 풍부한 정서 함양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학습자들의 삶에 활기를 불어 넣어준다. 지금까지 여러 연구에서 컬러테라피의 긍정적 효과가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컬러테라피는 여전히 미술치료의 한 방법으로만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치료의 목적과 함께 예방이라는 차원에서 컬러테라피가 학교 미술수업 및 교육현장에도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종래의 색채교육은 미술 교과 내에서 중요성 있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과 색채교육 관련 연구 또한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미술수업에서 색채 단원은 소단원이나 학습의 한 요소로만 나타나며 색채이론 및 전통적 색채교육을 답습하고 있다. 한국검인정교과서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10종을 분석한 결과, 다수의 교과서가 색채 내용이 부족하거나 활동의 수가 적은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소수의 교과서에서는 색채 단원이 없거나 활동지조차 제공되지 않고 있다. 더군다나 색채 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아동과 미취학 학생들에게 한정적으로 이루어져 고학년 학습자들에 대한 색채수업 및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사전수업 관심도 조사결과, 본 고의 연구 대상인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들은 색채수업 기회가 적었고, 충분한 색채 내용 제공이 되지 않아 색채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색채 미술수업은 학생들에게 정서 체험을 통한 정서순화를 도모하며 자아를 발전시킬 수 있다. 오늘날 청소년들은 다양한 스트레스와 정서 문제를 직면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컬러테라피와 색채 미술수업을 융합하여 상호 보완의 통합적 형태로 교수되어 질 때, 보다 효과적인 교육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위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뉴 패러다임의 색채교육 필요성을 느꼈다. 따라서 본 연구수업은 각 연계성이 적은 ‘컬러테라피’와 ‘색채 미술수업’, ‘청소년’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 색채학습방법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제는 컬러테라피 활동을 적용한 색채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와 정서안정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컬러테라피를 통한 색채 미술수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고 본다. 첫째, 청소년들에게 색채에 대한 흥미를 높여줄 수 있으며 풍부한 색채 감각을 길러준다. 둘째, 컬러테라피를 통한 색채 미술수업은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셋째, 컬러테라피를 통한 색채 미술수업은 청소년의 정서안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순서는 먼저, 색채 미술수업에 컬러테라피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컬러테라피를 통한 색채 미술수업의 필요성과 컬러테라피와 스트레스& 정서안정의 관계를 살펴본다. 수업 설계는 실험학교 교과서 내의 색채 영역을 분석하고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구성한다. 연구대상은 산청군에 소재한 S고등학교 1학년 5개 학급으로 단일집단으로 진행되며 총 114명의 학습자가 연구수업에 참여한다. 실험 수업은 2020년 5월 6일부터 6월 2일까지 4주 기간 동안 총 6차시의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한다. 집단 간 실험을 통한 전·후 스트레스와 정서안정의 비교는 각각의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검증한다. 스트레스 검사지는 윤정미 외(2019)가 수정 및 보완한 검증된 검사지를 사용하며, 정서안정 검사지는 윤영채(2007)가 수정 및 보완한 검증된 검사지를 사용한다. 통계 분석은 SPSS Ver 26.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며 실험 전·후를 분석한다. 더불어 검사결과와 함께 수업결과물 평가를 진행하여 청소년들의 내면 스트레스와 정서가 어떻게 표출되었는지 이미지로 살펴본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일집단의 스트레스 검사 점수가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수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컬러테라피를 적용한 색채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에 효과가 있는 것을 검증한다. 둘째, 단일집단의 정서안정 검사 점수가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컬러테라피를 적용한 색채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정서안정에 효과가 있는 것을 검증한다. 셋째, 컬러테라피를 학습한 학습자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스스로를 치유함으로써 청소년 시기의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안정 확립에 도움이 된다. 넷째, 수업 만족도 검사를 통해 청소년들의 색에 대한 흥미와 이해, 만족도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색채 미술수업에서 컬러테라피의 적용이 청소년기의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며, 스트레스 및 정서안정 검사지를 통해 스트레스 지수는 낮아지고, 정서안정 점수는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컬러테라피 색채 미술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의 스트레스 지수를 감소시키고 정서안정 지수를 높여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어주는 색채 교육방법이 활발히 연구되어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안정을 도와줄 수 있는 다양한 색채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평생교육으로서의 성인미술교육을 통한 중년기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관한 질적연구

        윤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henomenologically how the art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can bring changes into midlife self-esteem and explore research problems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wo middle-aged men living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the adults art education for self-esteem was carried out for 24 sessions from March to May 2021. After completing all sessions,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was conducted. The program was managed by a researcher and all classes and in-depth interview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o collect and analyze data. Non-verbal materials including participant’s work completion, attitude and emotion were examined during the on-the-spot observation. And every class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Other than that, everything noticeable was recorded. In addition, all works made in the class were photographed for data. After completing all classes, in-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with semi-structured questions as regards the program. Once collected in various formats through on-the-spo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the data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process by Wolcott(1994):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 was used and processed with open coding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especially with data that comes from on-the-spot observation. And the data was categorized as sub-category and upper category through open coding process and the common theme was explored, analyzed, and interpreted. It came up with 4 upper categories, 11 intermediate categories, and 30 sub-categories as follows: an upper category ‘self-awareness’ fell into intermediate categories ‘self-recognition’, ‘self expression’; ‘recognition of the middle age’ fell into ‘middle-age risk’, ‘life regret’ and ‘perception about aging and acceptance’; ‘will to learn’fell into ‘will to study’, ‘interest in art’;  ‘self-esteem’ fell into ‘changes due to encouragement’, ‘joy of doing together’,  ‘recognition of self value’, ‘joy of accomplishment’. Therefore, the conclusion were as follows based on research findings. First, the middle-aged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articipated in the adults art education program as lifelong education found themselves, expressed and gave concrete shape on their ego. Afterwards, they realized they’re actually active subject who can lead their life and accepted their life that will change in future. Second, they experienced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positive interaction with others and continuous task performance in the course of the adults art education and successfully established their self-esteem. Moreover, they thought of knowledge and function they obtained during the class in a creative way and made good use of them. Thus, the recognition of self value in specific environment, the adults art education worked as a foothold to deal with imminent problem stably. Lastly,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similar age group shared emotion and difficulty they had to go through in their lives with others, worked together and recognized each other as one community. And they became mentally stabilized, feeling good enough and they’re not alone by encouraging each other and interchanging positive feedback, which showed changes they recognized their inner side in a positive way. To sump up the findings and conclusion, the adults art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contributed to the middle aged looking back on their life, understanding and accepting and helped them to experience a sense of accomplishment continuously through task performance. And the sympathy, encouragement, and positive feedback to another participant allowed to build positive self-esteem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his study qualitatively investigated the adults art education for the middle-aged who were unwatched as research subject in the academic world and successfully suggested remarkable topics and implications. It’s required to carry out future study on the adults art education by extending to the senescenc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aged.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이 중년기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현상학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문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년기 2인으로,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24차시에 해당하는 자아존중감 성인미술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차시가 종료된 후 개인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으며 수업과 심층 면담은 녹음 및 전사하여 자료로 수집 후 분석하였다. 현장 참여 관찰 과정에서는 참여자들의 작품 완성과 참여 태도, 감정 등 비언어적 부분까지 읽어내려 하였으며 매 수업 녹음하여 전사 후 기록하였고, 녹음된 내용 이외에도 특별하게 관찰 가능했던 부분도 기록하였다. 또한 수업 시 완성된 작품도 사진으로 찍어 자료화하였으며. 모든 수업이 종료된 후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반 구조화된 문항을 구성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처럼 현장 참여 관찰 및 심층 면담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학자 Wolcott(1994)의 연구 절차에 따라 ‘기술’, ‘분석’, ‘해석’의 단계로 분석되었다. 참여관찰 및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반복적 비교 분석 방법을 통해 개방 코딩의 과정을 거쳤다. 개방 코딩의 과정으로 하위 범주 및 상위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공통된 주제를 탐색하여 분석 및 해석하였다. 총 4개의 상위 범주와 11개의 중위 범주, 30개의 세부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상위 범주 ‘자아 인식’에 따른 중위 범주 ‘자기 인식’, ‘자기표현’, 상위 범주 ‘중년기 인지’에 따른 중위 범주 ‘중년기 위기’, ‘삶에 대한 회한’, ‘노화 인지 및 수용’, 상위 범주 ‘학습 의지’에 따른 중위 범주 ‘배움의 의지’, ‘미술에 대한 흥미’, 상위 범주 ‘자아존중감’에 따른 중위 범주 ‘격려로 인한 변화’, ‘함께 하는 즐거움’, ‘자신의 가치 인식’, ‘성취의 즐거움’으로 범주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였던 중년기 학습자들은 평생교육으로서의 성인미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자신을 발견하고 표현하며 자신에 대해 구체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생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능동적 주체자임을 깨닫고 앞으로 변화할 자신의 삶에 대해 수용할 수 있었다. 둘째, 이들은 성인미술학습 과정에서 타인과의 긍정적 상호작용과 반복적 과제 수행으로 인한 성취감을 통해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구축하는 경험을 하였고, 더불어 수업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능을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적극적으로 응용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렇게 성인미술교육이라는 특정한 환경에서 발견한 자기 가치 인식은 그들에게 닥친 문제를 안정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슷한 연령대를 가진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의 삶에서 겪는 어려운 감정들을 나누고 함께 해결해가며 하나의 공동체로 인식하게 되었고 서로에게 격려와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 혼자가 아님을, 이대로도 충분히 괜찮다는 심리적 안정감을 경험하며 자신의 내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해보면 중년기에게 평생교육으로서의 성인미술교육은 삶을 되돌아보고 이해하며 수용하는 것에 이바지하고 과제 수행을 통한 반복적 성취감을 경험하게 하였다. 더불어 학습 과정에서 타인으로부터의 공감과 격려,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미술교육 학계에서 연구 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중년기의 성인미술교육을 질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주목할 만한 주제와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중년기의 특성을 바탕으로 노년기로 연결될 수 있는 성인미술교육에 관한 연구가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 세계시민교육 향상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김예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oday, such social problems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as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depletion of resources, disturbances of the ecosystem and population problem need to be solved at the global dimension beyond the individual ones. In such circumstances, attention focuses on the sustainable society. Also, concern with cosmopolitanism and global citizenship increase rapidly, and therefore, they need to be discussed in all the areas encompassing education, economy, society and environment. Accordingly, the social function of understanding and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to our life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future generation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For such social function, the education for enhancement of the global citizenship is required, and in this context, 2015 Amendment High School Art Curriculum suggests the quality and culture as core competence for the cultural citizens based on the community spirit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wn in the art textbooks in reference to the competence and goals pursued by the art subject and thereupon, review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the activa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art classroom in order to suggest the reform measures and direction for the next amendment of the curriculum. First of all, the theorie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reviewed, while the preceding studies were analyzed, to grasp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cluded in 2015 Amendment of Curriculum and examine its association in the high school art curriculum. Based on the global citizenship measurement indices suggested by Asia-Pacific Center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2020), the researcher confirmed 6 subject areas such as global citizenship, human rights, gender equality, cultural diversity, pea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n, suggested some criteria of analysis of 10 high school art textbooks as composition, units and contents. In the analysis of composition, ratio of themes and ratio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nd in the analysis of the units, the ratio of units per theme, names of the units, learning goals, and distribution of the units per are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the cases. In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and plates were analyzed to draw the results. Then, the results of such analyses and those of the interview with the art teachers were synthesized to suggest the reform measures for the art textbooks and next amendment of art curriculum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mpose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distribute its sub-themes equally in the high school art textbooks. The current art textbooks do not show any independent unit about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us, the ratio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mes are much deviated among the textbooks. Since the themes are emphasized differently among textbooks, it might well be helpful to grasp the general tendency, but the learners may well be biased toward a certain theme. Moreover, also in the interviews with the art teachers, the weight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much differentiated among the textbooks, They emphasized in common that additional materials were required, while such a differentiation should be corrected. Hence,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independent areas and the sub-theme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link the contents of learning in an organic way, and thereby, help the students to cultivate high dimensional perspective through sufficient explanations and cases, being conscious of the relevancy among the contents of learning about the sub-them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names of the units and learning goals so that the sub-theme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ay be reflected equally. In the current art textbooks, the names of the units and learning goals are dispersed, being shown with repetitive and limited key words. In particular, the art teachers opined in the interview that such units as human rights, gender equality and sustainability are not sufficient, being partly featured in the art textbooks. In addition, in terms of the area-wise distribution of the units, the deviations are conspicuous, disturbing students' learning. Hence, it is necessary to recompose the unit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rewrite the names of the units for sub-themes and learning goals by reflecting the reality of our life and society on the textbooks for a well-balanced learning among units. Thirdl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art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programs and pedagogics to enhance students' global citizenship, while reflecting the inter-work relevancy and flows by intensive composition of the themes.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wn in the contents of the art textbooks and learning activities features repeated learning activities and art expression ones, and therefore, art teachers should reform their discussions, projects and the programs related to the real life to help the learners expand their views. Moreover, teachers are obliged to provide for the information useful to grasp the relevancy and flows among works with the visual data, diversified plates and theme-intensive composition. Accordingly, in the learning activities,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cultivate their individual values and sense of community through activities related to their ordinary life, debate and project. In this course, the plate should be reform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its relevancy and information contextually. Fourthly, as the 2022 Amendment Curriculum emphasizes the education for the democratic citizenship, some systematic alternatives should be arranged.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it is necessary for the next curriculum to present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pedogogics reflecting educators' positions as well as some specific educational directions. Hence, through continued researches, it is necessary to set the learning contents relevant to the ordinary life, inter-disciplinary classes and peaceful solutions of the social problems through art, and thereby, help students to grow into the global citizens armed with the critical thinking.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art education of helping the students to sympathize with others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others and solve the global problems in peaceful way as well as the reform of the next curriculum and textbooks to help students cultivate a sense of global citizenship. In addition,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오늘날 기술과 과학의 발달로 나타난 기후, 환경, 질병, 자원, 생태계, 인구 등의 사회 문제는 개인을 넘어 전 지구적 차원에서 해결해 나가야 하며 지속 가능한 사회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시민성, 세계시민의식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며 교육, 경제, 사회, 환경의 전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흐름에 맞추어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삶과 연계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사회적 기능은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기능을 위해 학교 교육에서 세계시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이 요구되고 있으며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문화시민의 자질과 소양을 핵심 역량으로서 제시하여 세계시민교육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 교과에서 추구하는 역량과 목표를 바탕으로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현장에서 세계시민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살펴보아 개선방안, 차기 교육과정 방향성을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포함된 세계시민교육을 파악하고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아시아 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20)에서 제시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 측정지표를 바탕으로 세계시민성, 인권, 성평등, 문화다양성, 평화, 지속가능발전의 6가지 주제 영역을 확인하고 10종의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구성, 단원, 내용으로 분석 기준을 제시하였다. 구성 분석에서는 주제별 구성 비율, 세계시민교육 구성 비율로 통계를 분석하였고 단원 분석에서는 주제별 단원 비율, 단원명, 학습목표 분석, 영역별 단원 분포로 통계와 함께 사례를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에서는 학습활동, 도판 분석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결과와 현직 미술교사 인터뷰를 종합하여 세계시민교육 향상을 위한 미술 교과서,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정리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세계시민교육 영역을 구성하고 하위 주제별 균등한 분배가 필요하다. 현재 미술 교과서에는 세계시민교육 영역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지 않아 세계시민교육 주제 구성의 반영 비율은 편차가 있었으며 이는 교과서마다 강조하는 주제가 달라 그 경향성 파악에 도움이 되지만 현시대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은 한 주제에 편중되어 학습할 수 있어 우려되었다. 이에 현직 미술교사의 인터뷰에서도 세계시민교육 학습에 교과서별 비중의 편차가 있어 추가적인 자료를 요구하며 보완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의 독립 영역과 하위 주제를 적정화하고 학습내용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하위 주제의 학습내용들 간의 연관성에 유의하며 충분한 설명과 사례를 통해 고차원적인 시각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세계시민교육의 하위 주제를 균등하게 반영한 단원명과 학습목표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의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반영된 단원명과 학습목표는 분산되어 있으며 반복적이고 한정적인 키워드를 바탕으로 나타나있다. 특히 미술교사들의 인터뷰에서 인권과 성평등, 지속가능성에 대한 주제의 단원이 부족하고 일부만 포함하여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영역별 단원 분포에서도 반영된 편차가 크고 풍부한 학습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될 수 있었다. 이에 세계시민교육 주제의 단원을 새롭게 구성하여 각 하위 주제의 단원명과 학습목표에 우리의 삶과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 키워드로 개선하여 영역별 균형적인 학습을 이루도록 한다. 셋째, 교과서 내의 학습활동과 도판에서는 구체적으로 세계시민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술 교수학습 자료, 프로그램, 수업 방식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주제 집약적인 구성으로 작품들 간의 연관성과 흐름을 반영해야 한다. 미술 교과서의 내용, 학습활동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은 반복되는 학습활동과 미술 표현활동에 중점적으로 전개되어 있으며 이에 현직 미술교사들은 토론, 프로젝트, 실생활 연계 프로그램 등과 같이 학습자들의 시각을 넓힐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하고 시각자료, 도판의 다양화, 주제 집약적인 구성, 작품들 간의 연관성과 흐름을 파악하는 것에 도움이 되도록 정보를 제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학습활동에서는 내외적으로 실생활과 연계된 활동, 토론, 프로젝트 등으로 세계의 구성원으로서 개인적 가치와 공동체의식을 함께 기를 수 있도록 하고 도판은 학습 내용의 균등한 비중을 유지하여 그 연관성과 정보로 맥락적인 이해를 돕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차기 교육과정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민주시민을 위한 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제안이 필요하다. 인터뷰에서 나타난 학교교육 현장에서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현황, 차기 교육과정에서 점차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세계시민으로서 학습자들이 성장하고 현시대에 요구되는 주제를 바탕으로 교육자의 입장을 반영한 교수학습 자료, 학습 방법들에 연구와 개선,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실생활과 연결할 수 있는 학습내용, 타 교과와의 융합 수업, 미술을 통한 평화적인 사회문제 해결을 이끌어 주체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세계시민으로서 성장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이 자신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에 대한 공감, 공동체적 의식 기반으로 세계의 문제를 평화롭게 해결하는 것에 기여하고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토대로써 차기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편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지고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에 기초한 전통미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김유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e 21st century, culture is at the center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cultural industry has been emerging as a high value-added industry and a core industry of the country throughout the world, so that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striving to establish policies and support for the cultural industry. Therefore,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need for traditional art education to creatively develop our own arts and culture and establish cultural identity, and started to study with the most basic questions about what traditional art education is, how and why it should be taught, and when and where traditional art education should be done for whom. Thus, it was considered how the clas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would be actively take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advance in a more developmental direction.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identify trends and problems in traditional art education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art textbooks that reflect the core of current curriculum focusing on middle school and seek for plans to revitalize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by synthesizing the contents of interviews with current middle school art teachers. The following procedure was conduct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of all,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t, and the definition and necessity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social context were comprehend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ous research analysis. Second, the connection with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was explored and the direction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was considered. Third,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unit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 on traditional art education reflecting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were selected by composition and contents, and the detailed outline for each standard was developed and conceived. Fourth,the final outline was applied and analyzed the traditional art unit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 in detail. Fifth,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e current statu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was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with current art teachers of the middle school, and opinions on points of improvement were synthesized. Sixt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n the traditional art unit in art textbook and the interview with middle school art teachers, plans were sought to revitalize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To be specific about the research method, analysis criteria was selected in terms of aspects of composition and content of art textbooks for a total of 28 textbooks, including 14 types of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currently in use, and texts and images of art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detailed analysis criteria. Through this, the current status of how much the art textbooks actually reflect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and traditional art education, and overall tendency was identified for each textbook. In respect to the composition analysis, all the pages except for the cover, table of contents, appendices, and references of the art textbook were analyzed based on the units related to traditional art, and it was decided whether the traditional art unit presented contents and illustration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art in Korea. Regards to the content analysis, the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and illustrations of the traditional art unit were analyzed as detailed criteria by area and textbook,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se criteri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omposition analysis, the area of the traditional art accounted for an average of 22 pages, approximately 11% of the total, and by volume it could not be found that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whereas the proportion of traditional art fields was different for each publisher. As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area, content related to traditional art education could not be found in all 14 type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in the experience area, but it showed a big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area with an average of 15 pages, approximately 66% as well as in the appreciation area with an average of 8 pages, approximately 34% in the appreciation area. Second, in respect of content analysis, trends and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unit, learning activities, and illustrations by area and textbook. As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area, as with the results of composition analysis,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was not covered by the experience area, but focused by the expression area, and the reflection ratio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was different for each textbook. In the contents of the unit, the unit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current art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s and presented a unit that can cultivate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the art culture’. Besides, an attempt has been made to reorganize the development of the unit and the unit title, and to present various lesson objectives or materials for traditional art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level. There wer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by publishers, and the content of learn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existing art textbooks focusing on theory and information delivery. In the learning activities, traditional art education was concentrated on the area of expression, and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for each publisher. There was no learning activity related to traditional art education confirmed in the experience area, and the number of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raditional art was an average of 6 in the expression area, and 1 in the appreciation area. In particular, there were a total of 6 publishers offering learning activitie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appreciation area, which are less than half of the total of 14 publishers. Expression activitie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account for a high proportion, but most of them are still activities such as drawing and making, and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limited to writing criticism and appreciation, it was necessary to present various activities taking into account the learners in the changing times. Concerning of illustrations, there were an average of 22 traditional art works published in the expression area, and an average of 36 traditional art works in the appreciation area. Since most of the appreciation area is art history, many images were adapted to explain Korean art by era. Furthermore, it was realized that the size of the illustrations would need to be improved to present the works of various types and periods in order to understand our ancestors’ wisdom and life and bring out the art characteristics as even the illustrations of 6 publishers that suggested learning activities in the appreciation area were focused on paintings, crafts, and artworks of the Joseon Dynasty only. Third, as for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with middle school art teachers, they understand even though art textbooks were not used in actual classes, but should have been used or are necessary for students. They also agreed that it would be helpful in practicing traditional art education if the composition and learning contents of art textbooks were improved. It was mentioned that in order for traditional art education to be conducted with high-quality classes and in various ways in the educational field, teachers' competence should be strengthened, the classroom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the school budget and support should be expanded, and opportunities for teacher training should be increased. Moreover, it was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class hours, performance evaluation, teaching culture, and administrative work, and so on. It is also necessary for government policies and supports to keep the efforts of teachers and academic circles maintain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 reflecting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showed differently by textbook in respects of composition and content, and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area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terms of unit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and the proposition of illustrations. In order to actively conduct traditional art-related classes in the educational field,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proportion of each area and to take an intertwined and integrated approach among areas. In addition, it seems necessary to present the name and learning contents of the units taking the learners’ level into consideration in the appreciation area in order to reflect the revised art curriculum in 2015, and to be considered making efforts for activities that can reflect the times and arouse interest. Above all, appropriate images need to presented to show balanced and diverse traditional art in learning activities and illustrations. Once traditional art education will be actively taught in the educational field learners in the transition period of lif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value of traditional art and connect it with life to enjoy and take advantage of in daily life, and then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era of visual culture can be a driving force to recognize our traditional art as one of the various cultures in the world, not just as old ones, and to maintain and develop the identity of our culture in the global community. This study identifie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nd sought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that can be actively implemented in the educational field. As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reflecting the next revised art curriculum in 2022 is coming close,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 basic data for traditional art education within art textbook. It is also expected to be a meaningful work throughout art education. 21세기 국가 경쟁력의 중심에는 문화가 존재한다. 세계적으로 문화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이자 국가의 핵심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정부도 문화산업에 대한 정책과 지원에 힘쓰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우리의 고유한 미술문화를 창조적으로 발전시키고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전통미술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통미술교육은 무엇이며, 어떻게, 왜 실천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전통미술교육은 누구를 위하여 언제, 어디서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물음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나아가 전통미술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더욱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고민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를 중심으로 현행 교육과정의 핵심을 반영하고 있는 미술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전통미술교육의 경향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현직 미술교사들과의 면담 내용을 종합하여 교육 현장에서 전통미술교육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로 첫째, 문헌 조사와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전통미술의 개념과 특징, 사회적 맥락에서 전통미술교육의 정의와 필요성에 대하여 이해하였다. 둘째,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교과서에서 전통미술교육과의 연계성을 탐색하고 전통미술교육의 방향을 고찰하였다. 셋째,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현행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분석기준을 구성과 내용으로 선정하고, 기준에 따른 세부 틀을 선정하여 그에 따라 분석하였다. 넷째,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현직 중학교 미술교사 면담을 통해 전통미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점에 관한 의견을 종합하였다. 다섯째,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결과와 면담 내용을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전통미술교육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현재 사용 중인 전체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14종, 총 28권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구성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분석기준을 선정하고 교과서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세부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전통미술교육을 실질적으로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현황을 확인하고 교과서별 경향을 확인하였다. 구성분석에서는 교과서의 표지, 목차, 부록, 참고문헌을 제외한 전체 쪽수에서 전통미술과 관련된 단원을 분석하였으며, 전통미술 단원은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나 전통미술과 관련한 내용과 도판을 제시하였는가를 판단하였다. 내용분석은 전통미술 단원의 내용, 학습활동, 도판을 세부 기준으로 영역별, 교과서별로 분석하고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기준에 따른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분석에서는 전통미술 영역이 전체적으로 평균 약 22쪽, 약 11% 정도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권별로는 ①권에서는 평균 약 12쪽, 약 11%, ②권에서는 평균 약 11쪽, 약 10%로 전통미술 영역의 뚜렷한 차이점을 찾을 수 없었으며 출판사별로 전통미술 영역의 비중이 상이하였다. 영역별로는 체험 영역에서는 전통미술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찾을 수 없었고, 표현 영역에서는 평균 약 15쪽, 약 66%, 감상 영역에서는 평균 약 8쪽, 약 34%로 나타나며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내용분석에서는 단원의 내용, 학습활동, 도판을 영역별과 교과서별로 분석하여 경향과 특징을 확인하였다. 구성분석과 결과와 마찬가지로 체험에서는 전통미술교육을 다루지 않고 표현 영역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교과서별로 전통미술교육의 반영이 상이하였다. 단원의 내용에서는 현행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단원을 전개하고 ‘미술 문화 이해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단원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여 단원의 전개와 단원명을 재구성하고 다양한 전통미술 소재를 제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출판사별로 양적·질적인 면에서 편차가 심하고, 학습의 내용도 이론이나 정보 전달 중심으로 기존의 미술 교과서와 내용 측면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학습활동에서는 전통미술교육이 표현 영역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출판사별로 차이가 컸다. 체험 영역에서는 전통미술교육 학습활동을 확인할 수 없었고, 표현 영역에서는 평균 약 6개이며 감상 영역에서는 평균 약 1개였다. 특히, 감상 영역에서 전통미술교육의 학습활동을 제시하고 있는 출판사의 교과서는 총 6종으로, 전체 14종 교과서의 반도 미치지 못하였다. 전통미술교육의 표현활동은 높은 비중을 차지하나 여전히 그리기, 만들기와 같은 활동이 대부분이며, 감상활동도 비평문 쓰기, 감상문 쓰기에 그치고 있어 변화하는 시대에 따른 학습자를 고려하여 다양한 활동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도판에서는 표현 영역에서 평균 약 22개의 전통미술 작품이, 감상 영역에서는 평균 약 36개의 전통미술 작품이 게재되었다. 이는 감상 영역이 대부분 미술사이기 때문에 시대별로 우리나라의 미술을 설명하기 위해 참고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었다. 감상 영역의 학습활동을 제시한 6개의 출판사의 도판 이미지들은 회화와 공예, 조선시대의 작품에만 편중되어 있어 우리 선조의 지혜와 삶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과 시대의 작품 제시와 미술교과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도판의 개선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셋째, 현직 미술 교사의 면담을 결과를 보면 현직 미술 교사들은 미술교과서를 실제 수업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으나 미술교과서를 수업 준비에 활용하며 학생들에게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미술교과서의 구성과 학습 내용에서 개선이 된다면 전통미술교육을 실천하는 것에 있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교육 현장에서 전통미술교육이 양질의 수업과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인식을 개선하고 교사의 역량을 강화해야 하고, 수업환경의 개선, 학교 예산과 지원의 확대, 교사 연수의 기회가 늘어나야 한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교과간의 통합, 박물관과 미술관을 연계하거나 수업 시수나 수행평가, 교직문화, 행정업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교사와 교육계의 노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과 지원도 필요하다고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중학교 미술교과서에서 전통미술교육은 구성과 내용에서 교과서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단원의 내용과 학습활동, 그리고 도판의 비중에 있어서 체험, 표현, 감상의 영역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전통미술 관련 수업을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역별 비중의 적정화와 영역 간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행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반영하기 위해서 감상 영역에서는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단원의 명칭이나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학습활동과 도판에서는 시대를 반영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한 고민과 시도, 균형 있고 다양한 전통미술을 보여줄 수 있는 적절한 참고 이미지를 제시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를 통해 전통미술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실천되고, 인생의 과도기에 있는 학습자가 전통미술의 가치를 이해하고 삶과 연계하여 일상생활에서 향유하며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각문화시대의 전통미술교육은 우리의 전통미술을 오래되고 낡은 것이 아니라, 세계의 다양한 문화 중의 하나로 인식하고 지구공동체 안에서 우리의 문화 정체성을 유지·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현행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전통미술교육이 중학교 미술교과서에서 실질적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확인하고, 교육 현장에서 전통미술교육이 적극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문제점을 개선·보완하고자 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차기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제작을 앞둔 현 상황에서 전통미술교육 영역의 기초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술교육 전반에 걸쳐 의미 있는 작업이 되기를 기대한다.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수업 개선 방안 연구 : 미술교사 대상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김성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Living in modern times, we must recognize that mankind is living in a closely connected life to solve global problems, and realize that cooperation for a sustainable future society is necessary. However, as modern society becomes increasingly industrialized and urbanized, it is facing a crisis in sustainability due to climate change, ecosystem destruction, resource deple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this sense of crisis,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 concept of development that can sustain the lives of present humans and guarantee the lives of future humans, was highlighted and the role of education in fundamentally changing human thinking and behavior(Lee Sun-kyung, Kang Sang-kyu, 2009).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s deeply interrelated with the social functions of art that understand and solve problems related to lif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 integrated view of society, environment, economy and culture, is an education that develops the ability of learners to select and participate in alternative ways of life by critically thinking and reflecting on problems in their lives (UNSCO Korea Committee, 2014).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emphasizes cooperation with communication and empathy as the skills necessary to create a sustainable life. Social participation art also emphasizes cooperation, dialogue, and communication among various classes, and seeks to pioneer one's own life and lead change by connecting with life.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can be found in that both training pursue self-directed life change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learners as a major issue. It is also interrelated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that by interacting in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areas, they can be practicable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In this trend, the social function of art, which emphasizes understanding and solving life-friendly problems in art education, is in line with the value of emphasizing sustainable development of mankind and Earth in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education(Lim Hye-won et, 2017).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rt teachers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developing social participatory art classes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social participatory art. The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for this are as follows. The concept and core contents of education were understoo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rt. Accordingly, a questionnaire was produced for middle and high school art teachers nationwid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art. In addition,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rt teachers based on questionnaires.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Ver. 25.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50 questionnaires collected through this proces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 findings finally drew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rom this paper.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current art teachers' perception, the need to link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es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s high. In order to establish and revitalize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es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futur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continuous training are needed to help teachers understand. Subsequently, a teacher awareness survey confirmed that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es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can contribute to the goal of fostering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pursu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can be expected to be an effective education for "creating creativity and convergence capabilities" and has the need to be linked. This confirms that the educational valu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rt are interrelated. Second, art teachers showed that amo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rt subjects,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 "r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and "sex equality" are the most recognized for relevance, but variou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re also relatively evenly chosen. This is a result of teachers' perception of future curriculum-linked class development directions, and the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other subjects and related classes covering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domains can be seen from a macro perspective. Therefore, the integrated linked curriculum of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es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can be expected to implement 17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ir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can be expected to have educational effects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art, and art teachers have found that "experience areas" and "expression areas" are suitabl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es. It is educational in that it can promote learners' overall growth through these experience and expression-related curriculum learning, and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that can solve problems with students in real education sites. Therefore,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in a way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can experience social values and express them so that social participation ar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In conclusion, it showed that it is highly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ecaus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re possible while interacting with others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art.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rt are suitable for fostering creative and convergent skills, and there is a high need for integrated linkage between the two subjects.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oost discussions on how to use social participation art for sustainable life, and that interest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classes in various directions can be applied to art curriculum sites will be expanded.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전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류가 긴밀히 연결된 삶 속에서 살아가고 있음을 인지하고, 지속가능한 미래사회를 위한 협력이 필요함을 깨달아야 한다. 하지만 현대사회는 점점 산업화, 도시화 되면서 기후변화, 생태계 파괴, 자원고갈, 환경문제들로 인해 지속가능성에 대해 위기를 겪고 있고 있다. 이러한 위기의식에서 현 인류의 삶을 지속시킬 수 있으면서 미래 인류의 삶 또한 보장할 수 있는 방식의 발전 개념인‘지속가능발전’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본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의 역할에 주목하게 되었다(이선경, 강상규, 2009).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삶과 연계된 문제에 대한 이해와 해결하는 미술의 사회적 기능과 깊은 상호관련성을 가진다. 사회, 환경, 경제, 문화의 통합적 관점인‘지속가능발전교육’은 학습자가 자신의 삶 속 문제를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성찰하여 스스로 삶의 대안적 방식을 선택하고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교육이다(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4).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지속가능한 삶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술로서 의사소통과 공감 능력을 갖춘 협력을 강조한다. 사회참여미술 또한 다양한 계층 간의 협력과 대화, 소통을 강조하며 삶과 연결되어 스스로 자신의 삶을 개척해나가고 변화를 이끄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즉, 두 교육 모두 주요 이슈로 학습자의 참여를 통해 자기주도적인 삶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관성을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영역에서 상호작용함으로써, 이들을 통합적 관점으로 실행 가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상호관련성을 가진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미술교육에서 삶과 밀접한 문제들에 대한 이해와 해결을 강조하는 미술의 사회적 기능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추구하는 사회, 환경, 경제적 관점의 통합적인관점에서의 인류와 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강조하는 가치와 그 맥을 같이 한다(임혜원 외, 2017).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교육현장에서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사회참여미술에 대한 인식과 실천현황에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 수업 개발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언하기 위함에 목적으로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사회참여미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교육의 개념 및 핵심 내용을 이해하고,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사회참여미술 간의 연관성을 살펴본 후, 앞서 이루어진 이론적 고찰과 교육과정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활용되어지는 미술교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사회참여미술의 통합적 연계 필요성 및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 전국 소재의 중학교, 고등학교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과 사회참여미술에 대한 인식 및 실천 현황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 문항을 제작하였다. 또한 미술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문항을 토대로 심층적인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집된 5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료에 대한 양적·질적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본 논문의 결론 및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직 미술교사 인식 조사 결과에 따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수업의 연계 필요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육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수업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서 교사의 이해를 돕는 다양한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이어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수업은 2015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창의·융합 인재 양성 목표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교사 인식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는 두 교육이‘창의·융합능력 함양’에 효과적인 교육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연계 필요성을 갖는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사회참여미술의 교육적 가치가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미술 교사들은 미술 교과를 통해 실천할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지속가능한 도시과 공동체’, ‘책임감 있는 소비와 생산’, ‘성 평등’항목이 관련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면서도 다양한 지속가능발전목표 또한 상대적으로 고르게 선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향후 교과 연계 수업 개발 방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결과로써, 거시적인 관점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접근하여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영역을 다루는 타 교과와 관련 수업에 대한 연구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수업의 통합적 연계 교과수업은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실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사회참여미술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미술교사들은 2015개정 미술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과 내용 영역 중‘체험 영역’ 와 ‘표현 영역’항목이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사회참여미술수업에 적합한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체험 및 표현영역 관련 교과 학습을 통하여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으며,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학생들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활동에 중점을 두고 참여를 할 수 있는 체험학습 기회가 필요하다. 따라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사회참여미술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회적 가치를 체험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사회참여미술을 통해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사회 참여적 활동이 가능하므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연관성이 크다는 결과를 보였다. 더불어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사회참여미술이 창의·융합 능력 함양에 적합한 교육으로써 두 교과의 통합적 연계 필요성이 높다고 인식함에 따라 연구 문제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사회참여미술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며, 미술 교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방안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