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활체육 참여 중년여성의 긍정심리자본, 운동몰입, 그릿, 건강증진행위의 구조적 관계

        정미남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긍정심리자본, 운동몰입, 그릿, 건강증진행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봄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목적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서울시와 천안시의 휘트니스 센터에 등록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40세~64세의 중년여성 274명을 연구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직접 배포 및 수집하였으며, 이 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되는 3명의 자료를 제외한 271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및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과 Chronbach's a 분석,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을 위한 Scheffe 분석,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 중년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인구통계학적 변인(연령, 학력, 직업)과 참여특성 변인(참여종목, 참가횟수, 참여시간, 참여기간)에 따라 긍정심리자본, 운동몰입, 그릿, 건강증진행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 중년여성의 긍정심리자본, 운동몰입, 그릿, 건강증진행위 간에 구조적 관계가 성립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은 운동몰입과 그릿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운동몰입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그릿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긍정심리자본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중년여성의 생활체육 참여뿐만 아니라 생활체육을 지속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노후를 준비해야 하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교육학 분야에서 주료 적용되던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의 관계를 살펴보는 새로운 시도로서 의의와 가치가 있을 것이다.

      •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골프 스트레스 척도 개발

        정지해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resent study takes into account the limitation that golf stress scales available so far could not comprehend both the aspect of individual performance and the aspect of social emotions that arise from the career of golf participant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olf stress scale taking into account the implementation stage and the maintenance stage apply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Population was selected from ordinary people playing golf as of 2015 and the purposeful sampling method was carried out on the users of 8 golf driving ranges in the areas of Seoul, Incheon, Gyeonggi-do Province, and Chungcheongnam-do Province to analyze a total of 499 persons including 208 people at implementation stage and 291 at maintenance stage. Existing stress scales were referred to in order to develop questionnaire items to measure golf stress, and the appropriateness of items were decided according to groups of golf participants and golf professionals. Particularly, previous studies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golf stress were consulted. And the initial items were mad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of 2 stages: the implementation stage includes golf participants of not more than 1 year of golf career and the maintenance stage includes those of over 1 year of career. Further, in order to explore the structure of factors of golf stress that golf participants perceiv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on 208 at implementation stage and 291 at maintenance stage. And standardized coefficient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verify the stability of the latent variables. And Cronbach's α value was calculated to decide on the reliability of golf stress scale develop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lf stress scale at the implementation stage was shown to have met the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total of 20 items of 4 factors were drawn including “performance dissatisfaction” consisting of movement, technique, performance, risk management, and practice; “economic burden” consisting of money, economic issues; “rudeness of companion” consisting of stress factors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with companion; “awareness of other people” reflecting shame about the gaze and awareness of other people. Factor structure drawn met the evidence for focus validity and discrimin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also proved to be a satisfactory level. Therefore, it has been found that the golf stress scale at the implementation stage completely met the evidence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functions as a stable scale. Second, the golf stress scale at the maintenance stage met the evidence for construct validity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total of 15 items of 3 factors were drawn including “performance dissatisfaction” consisting of movement, technique, performance, risk management, and practice; “rudeness of companion” consisting of stress factors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with companion; “physical limitations” consisting of stress arising from physical conditions, physical fitness, and injury. Therefore, it has been found that golf stress scale at the maintenance stage completely met the evidence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functions as a stable scale. Based on results as above,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would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offers categorized stress types appropriate for the changed stages of exercise behavior of golf participants by proposing questionnaire items to specifically measure stress types arising at the implementation stage and the maintenance stage of the gold participants; and through this, it serves as a basic research to provide stress-coping methods for specific stress types. 이 연구는 지금까지 제시되었던 골프 스트레스 척도는 골프 참여자의 경력에서 발생하는 개인수행 측면, 사회정서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해 범이론적 모형에서 제시하였던 실행단계와 유지단계를 고려한 골프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5년 현재 골프를 즐기고 있는 일반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서울, 인천, 경기, 충남 지역의 골프연습장 8개소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유목적 표집법을 실시하여 실행단계 208명, 유지단계 291명 등 총 49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골프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문항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 스트레스 척도를 참고하였고, 골프 참가자,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문항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특히 범이론적 모형과 골프 스트레스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골프경력 1년 이하의 경우 실행단계, 골프경력 1년 초과인 경우 유지단계로 구분하여 집단의 특성을 반영하는 초기문항을 제작하였다. 골프 참가자가 지각하는 골프 스트레스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하여 실행단계 208명, 유지단계 291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각각 수행하였고, 잠재변수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 표준화계수 및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아울러 개발된 골프 스트레스 척도의 신뢰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였다. 이 연구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단계의 골프 스트레스 척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토대로 구성타당도의 증거를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요인구조로는 동작, 기술, 수행, 위기관리, 연습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행불만”, 금전, 경제문제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제적부담”, 동반자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로 구성되어 있는 “동반자무례”, 다른 사람의 시선, 의식에 대한 부끄러움이 반영되어 있는 “타인의식” 등 총 4요인 20문항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요인구조는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충족하였고, 신뢰도 역시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행단계의 골프 스트레스 척도는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증거를 모두 만족하여 안정적인 척도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지단계의 골프 스트레스 척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토대로 구성타당도의 증거를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요인구조로는 동작, 기술, 수행, 위기관리, 연습에 대한 스트레스로 구성되어 있는 “수행불만”, 동반자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로 구성되어 있는 “동반자무례”, 신체적 조건, 컨디션, 부상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로 구성되어 있는 “신체제약” 등 총 3요인 15문항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요인구조는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충족하였고, 신뢰도 역시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지단계의 골프 스트레스 척도는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증거를 모두 만족하여 안정적인 척도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이 연구는 골프 참여자의 실행단계, 유지단계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 유형을 구체화하는 측정문항을 제시함으로써 골프 참여자의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적합한 스트레스 유형을 구분하여 제시한다는 점, 그리고 이를 통해 유형별 스트레스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연구로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 기대-가치 모델을 적용한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운동정체성과 성취행동의 구조관계 : 지원체계 지각수준에 따른 조절효과

        강경우 단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 지각의 잠재계층을 도출함과 동시에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성취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대-가치 모델을 적용하여 운동정체성, 기대-가치, 성취행동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는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의 지각수준에 대한 잠재계층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지원체계 지각의 하위집단에 따라 운동정체성, 기대-가치, 성취행동의 차이는 어떠한가?”, “지원체계 지각의 하위집단에 따라 운동정체성, 기대-가치, 성취행동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여 연구목적과 일치하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15년도 대한장애인체육회에 정식으로 등록되어 있는 장애인 엘리트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등록 선수를 각 종목별 무선(random)으로 선정한 후 이천장애인종합훈련원과 장애인경기단체의 협조를 받아 선수를 직접 찾아가는 목적표집법을 활용하여 총 338명의 자료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조사도구는 관련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구조화된 설문지를 적용하였고, 구성내용은 연구대상의 배경특성,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 운동정체성, 기대-가치, 성취행동으로 구성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SPSS 21.0과 Amos 21.0,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고,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각 척도가 타당성을 보유하고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한 절차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의 잠재계층은 몇 개의 유형으로 구분되며, 분류된 잠재계층의 특징은 어떠한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운동정체성, 기대-가치, 성취행동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하였고,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Phantom 변수 모형, Bootstrapping을 적용하였다. 또한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의 잠재계층분류에 따른 기대-가치 모델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집단 구조모형(multi-group structural modeling)을 적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의 잠재계층을 분류한 결과, low 수준 집단, middle 수준 집단, high 수준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분류된 집단의 특성은 high 수준 집단일수록 경기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 지각의 잠재계층에 따라 운동정체성, 기대, 가치, 성취행동의 차이를 각각 살펴본 결과, 공통적으로 low 수준 집단에 비해 지원체계의 중요도를 높게 지각하는 high 수준 집단일수록 운동정체성, 기대, 가치, 성취행동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의 중요도를 높게 지각하는 집단일수록 기대-가치 모델에서 반영하는 운동관련 변수 역시 높게 지각함을 나타내고, 또한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의 중요도 정도를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운동정체성, 기대, 가치, 성취행동의 개인차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집단을 대상으로 운동정체성, 기대-가치, 성취행동의 구조모형에서 완전매개모형보다는 부분매개모형이 자료를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운동정체성은 기대와 가치를 매개하여 성취행동을 설명함과 동시에, 성취행동에도 직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모형에 설정하는 것이 보다 타당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low 수준, middle 수준, high 수준 집단에 따라 기대-가치 모델에서 설명하는 변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 지각의 잠재계층에 따라 조절효과를 보유한 경로는 운동정체성 → 가치의 경로에서 high 수준 집단이 가장 낮은 효과크기를, 가치 → 성취행동의 경로에서 middle 수준 집단이 가장 낮은 효과크기를, 기대 → 성취행동의 경로는 low 수준 집단에서 가장 낮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그 외에 기대-가치 모델에서 통제한 경로는 모두 통계적으로 동일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성취행동을 강화하여 종합적인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가 현실적으로 장애인 엘리트선수들에게 긍정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그리고 실제적인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정책적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성취행동을 강화하는 기저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운동정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과 더불어,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의 체계적 구축과 적용 역시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과정이 종합되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면 앞으로 다가올 다양한 국내외 장애인 엘리트스포츠대회에서 긍정적인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초등학교 방과후 스포츠수업의 재미요인과 학교생활적응 및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관계

        김현성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첫째,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재미요인, 학교생활적응,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재미요인, 학교생활적응,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서 방과후 스포츠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25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신뢰성이 있는 자료로 판단된 설문지를 부호화(coding)하여 통계프로그램인 SPSS Windows 23.0 Version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개인배경특성을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문항간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도 검증(cronbach's α)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하여, 방과후 스포츠수업의 참여자들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라 인지되는 재미요인, 학교생활적응,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를 사용하였다. 아울러 연구가설 2~4를 검증하기 위하여, 방과후 스포츠수업의 참여자들의 재미요인, 학교생활적응,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재미요인, 학교생활적응,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자유로움과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하위요인인 직접 참여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년과 스포츠참여 종목에 따라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건강유지와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하위요인인 간접 참여의도와 직접 참여의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재미요인은 학교생활적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건강유지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사관계와 학교규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사회성 함양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재미요인은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성취감과 수업의 용이성이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하위요인인 간접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사회성 함양이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하위요인인 직접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은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사관계와 교우관계가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하위요인인 간접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습활동이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하위요인인 직접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을 종합해 볼 때,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재미요인과 학교생활적응 및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 간에는 인과관계가 성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초등학교 방과후 스포츠수업 활성화 및 미래생활체육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differences in fun factors, school life adjustment, and future intention in sports participation depending on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after-school sports classes, and 2)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fun factors, adjustment,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in the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sports classe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and a total of 250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Windows 23.0 Vers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from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un factors, school life adaptation, and future sports participation intention based on such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fter-school sports class, freedom, a sub-factor of the fun factors,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voluntarily, a sub-factor of futur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one’s gender. In addition, maintaining one’s health, another sub-factor of the fun factors, and indirect and direct participation intentions, sub-factors of futur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one’s grade and types of sports one’s participating in. All of the figur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fun factor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after-school sports classes are found to influence school life adjustment partially. In particular, health maintenance, the sub-factor of the fun facto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school rule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It is also found that sociality cultivation, a sub-factor of the fun factors, has an impact on relationships with friends, a sub-factor of school life adaptation. Third, the fun factor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after-school sports class partially influence their future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Specifically,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learnability of the classe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fun factor, are found to affect the indirect participation intention, which is a sub-factor of the futur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In addition, sociability cultivation, a sub-factor of the fun factors, affect the direct participation intention, which is also a sub-factor of the futur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 Fourth,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after-school sports class partially influence the futur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Particularly, the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s and friend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adjustment, are found to affect the indirect participation intention,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future sports participation intention. In addition,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a sub-factor of school life adaptation, has an impact on the direct participation intention,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future sports participation intention. In conclusion, there exist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un factor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after-school sports classes,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and their futur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Based on such results of,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vitalize the after-school sports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and develop future sports and exercises. 이 연구는 첫째,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재미요인, 학교생활적응,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재미요인, 학교생활적응,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서 방과후 스포츠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25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신뢰성이 있는 자료로 판단된 설문지를 부호화(coding)하여 통계프로그램인 SPSS Windows 23.0 Version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개인배경특성을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문항간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도 검증(cronbach's α)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하여, 방과후 스포츠수업의 참여자들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라 인지되는 재미요인, 학교생활적응,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를 사용하였다. 아울러 연구가설 2~4를 검증하기 위하여, 방과후 스포츠수업의 참여자들의 재미요인, 학교생활적응,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재미요인, 학교생활적응,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자유로움과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하위요인인 직접 참여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년과 스포츠참여 종목에 따라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건강유지와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하위요인인 간접 참여의도와 직접 참여의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재미요인은 학교생활적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건강유지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사관계와 학교규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사회성 함양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재미요인은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성취감과 수업의 용이성이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하위요인인 간접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사회성 함양이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하위요인인 직접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은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사관계와 교우관계가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하위요인인 간접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습활동이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의 하위요인인 직접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을 종합해 볼 때, 방과후 스포츠수업 참여 초등학생의 재미요인과 학교생활적응 및 미래생활체육 참여의도 간에는 인과관계가 성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초등학교 방과후 스포츠수업 활성화 및 미래생활체육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 은퇴개념 모형을 적용한 장애인 운동선수의 은퇴지각 탐색

        위유섭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에서는 Talyor & Ogilvie(1998)가 개발한 은퇴개념 모형을 적용하여 장애인 은퇴선수의 은퇴원인, 은퇴준비요인, 은퇴 후 가용자원, 은퇴에 대한 적응모습, 은퇴 후 대책을 생애주기별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추천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연구대상자의 수를 늘리는 방법인 눈덩어리 추출법을 사용하여, 패럴림픽 및 아시안 패러 게임 등 크고 작은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경험이 있는 국가대표 출신의 은퇴선수 4명을 선정하였다. 조사절차는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에 맞는 체계적인 해석을 위해 Spradley(1980)가 제시한 문화 분석방법 중 영역 분석(domain analysis)과 분류 분석(taxonomic analysis)을 이용해 수집된 자료를 분류 및 해석하였다. 이때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이야기를 반복적으로 읽어 수집된 자료에서 주제를 찾고, 교육적 가치성분을 분류해 연구 텍스트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국가대표 운동선수들이 은퇴를 결심하게 되는 은퇴원인으로는 체력 및 경기력저하, 부상방치, 생계유지, 실업팀 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국가대표 운동선수들의 은퇴준비요인으로는 자신의 마음의 문과 장애인들에 대한 지원 부족, 사회진출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 국가대표 운동선수들의 은퇴준비를 위한 가용자원으로는 정보제공, 비현실적 지원, 비장애인 대상의 교육 참여, 자격증 취득, 마음가짐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 국가대표 운동선수들의 은퇴적응 모습으로는 은퇴 뒤 생기는 여유로움, 허무함, 후회감등 심리적 상태, 고립된 생각, 경제적 부담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인 국가대표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은퇴 후 대책에 대한 예방 및 중제 요인으로는 학업 및 자격증 취득, 당당함, 취미활동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은퇴선수들이 다섯 가지의 생애주기별 과정에서 은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탐색할 수 있었고, 향후 장애인 운동선수들에게 다가올 은퇴에 대하여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 주는 제도를 마련하였다는 것에 대해 이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use of retirement, factors in preparation for retirement, available resources after retirement, the images adapting to retirement, and the measures for life after retirement in each life stage using the retirement concept model developed by Talyor & Ogilvie(1998). A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four retired national athletes who won medals in various competitions including the Paralympics and Asian Para Games were selected with snowball sampling method which is used to increase the number of research objects continuously by recommendation.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for investigation procedures and the domain analysis and the taxonomic analysis, among the cultural analysis methods suggested by Spradley(1980), were used for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collected data for the research. At this time, the researcher read the stori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peatedly to find subjects in the collected data and constructed research texts by classifying the components of educational values.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research conducted by the application of such research methods. Firstly, disabled national athletes decide to retire because of deterioration in physical strength and athletic performance, aggravated wound, maintenance of livelihood and lack of business teams. Secondly, the factors for the preparation of retirement of disabled national athletes are their mind, insufficient support for the disabilities and the pressure of entering the society. Thirdly, the resources available for the preparation of retirement of disabled national athletes are provision of information, unrealistic support, participation in education for the non-disabilities, acquisition of professional certificates and mind-set. Fourthly, the images adapting to retirement of disabled national athletes are the mental status such as leisure, futility and regret, a sense of isolation and financial burden. Fifthly, the prevention and mediation factors for the measures after retirement recognized by disabled national athletes are acquiring degree and professional certificates, being confident and doing hobbies.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tirement of disabled athletes in their five life stage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pared a system which could help disabled athletes in preparing for their future retirement.

      •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 시스템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 PRECEDE 사전진단 모형과 Matrix 요구도 분석의 적용

        원영인 단국대학교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 시스템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영향요인을 진단하고 건강증진 요구도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단계의 단계적 연구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 연구에서는 PRECEDE모형을 부분 적용하여 사회적, 역학적, 행동적, 생태학적 진단을 통해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단계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요구도를 장애 발생시기(발생 이전, 발생 직후, 발생 이후)와 생애주기별로 구분하여 건강증진 요구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단계 연구를 위해 2019년 현재 등록된 지체장애인 중 장애인복지관에 다니는 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5개 권역(서울, 경기, 충청, 전라, 경상)에서 체계적 유층집략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각각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와 같은 선정기준으로 지체장애인 총 62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이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되거나 무응답의 문항이 있는 20부를 제외하고 최종 60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하여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분석 가능한 자료만을 가지고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1단계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전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 t-검증(independent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cheffe를 사용하으며, 각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정규성 검증과 확인적요인분석과 및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개인배경 변인(성별, 연령, 소득수준)에 따른 건강증진 영향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삶의 질은 연령,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연령,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는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성별,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지지는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증진행동의도는 성별, 소득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장애관련 변인(발생시기, 장애등급)에 따른 건강증진 영향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삶의 질은 발생시기, 장애등급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발생시기, 장애등급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는 발생시기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발생시기, 장애등급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지지는 발생시기와 장애등급 모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건강증진행동의도는 장애등급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건강증진 영향요인의 경로모형분석 결과 건강증진행동의도와 건강증진 행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연구를 위해 지체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눈덩어리 추출법(snowball sampling)을 통해 총 1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표집하였다. 또한, 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연구참여자의 명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선정기준에 의거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첫째, 국내 장애인등급 시스템에 의하여 지체장애인 1~4등급에 해당하는 지체장애인 둘째, 의사소통이 가능한 복합장애가 없는 지체장애인 셋째, 이 연구에 진정성을 가지고 열성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로 선정하였다. 2단계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해던 매트릭스와 시간 중심 매트릭스 기법을 혼합 적용하여 지체장애인의 장애발생 시기에 따른 요구도와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초기 형태의 매트릭스 제작과 면담문항을 제작 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자료수집 이후 초기 형태의 매트릭스의 틀에 맞춰 자료를 입력하였으며, 세 번째 단계에서는 입력된 자료를 통해 매트릭스를 수정하고 자료를 통합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재분석 과정을 거쳐 최종 결론을 도출하였다. 2단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에 관한 요구도는 장애인시설 표기(24회), 장애등록지원(11회), 장애인시설 위치의 변화(10회), 복지관 협소화(10회), 재가 장애인지원(9회), 정보제공(9회)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 생애주기를 통틀어 당사자의 노력에 대해서는 발생 직후는 야외활동(14회), 현실인정(8회) 으로 나타났고, 발생 이후는 인식개선(12회), 도전성(9회)으로 나타났다. 주요기관에 대한 요구도는 발생 직후는 건강검진 지원(9회), 장애등록 지원(8회) 으로 나타났고, 발생이후는 생애주기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물리적 환경에 대한 요구도는 발생 직후는 장애인 시설표기(12회)로 나타났고, 발생이후는 장애인시설 표기(12회), 장애인시설 위치의 변화(7회) 순으로 나타났다. 관련정책에 관한 요구도는 발생 직후는 찾아오는 서비스(7회)로 나타났고, 발생이후는 생애주기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생애주기별에 따라 청년기는 정보제공(9회), 장애인 시설 표기(9회), 장애인 화장실 개선(8회), 장애등록 지원(6회), 중심기관 역할의 필요(5회) 순으로 나타났고, 중장년기는 장애인 시설 표기(9회), 장애인 시설 위치의 변화 (7회), 현실적인 정책개선(5회), 현실인정(5회), 지방지역 시설 개선 (5회) 순으로 나타났으며, 노년기는 복지관 협소화 (10회), 재가 장애인 지원(9회), 장애인 시설 표기(6회), 야외활동 (5회), 담당기관의 전문화(5회)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후속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건강증진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면에서 그 의의가 있을 수 있으며, 이 연구를 통해 향후 지체장애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애 영역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health promotion system for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s well 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for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to analyze their health promotion need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PRECEDE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health promotion factors of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through a social, epidemiological, behavioral and ecological diagnosis. In the second stage of the study, the health promotion needs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ir disability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after) through classifying by life cycle.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sampling in five areas (Seoul, Gyeonggi, Chungcheong, Jeolla, Gyeongsang) was used to select the population from among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registered as of 2019 attending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e first stage study to extract each sample. A total of 625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in the end data of 605 person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20 were excluded due to incomplete or inconsistent responses. The data that could be analyzed were verifi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AMOS 22.0 program. Before verifying the hypothesis 1,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tools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test.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Scheffe was used as a post-test, and normality was verifi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First, through verifying the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ge, income level) of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ere partial effects o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ge and income level. There also were partial effects on health status according to age and income level. Income level had partial effec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Gender and income level also had partial effects on physical self-efficacy. Income level showed partial effects on social support. As well, gender and income level showed partial effec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al intention. Second, through verifying the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disability-related variables (time of occurrence, disability grad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artial effects o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time of occurrence and disability grade. In addition, there were partial effects on health status depending on the time of occurrence and the disability grade. Health promotion behavior showed partial effects related to the time of occurrence. Physical self-efficacy showed partial effects related to the time of occurrence and disability grade. For social support, the time of occurrence and the disability grade showed no effects. Meanwhile, health promotion behavioral intention was found to be partially affected by disability grade. Third, the path model analysis of the factors promoting health promotion found that all the pathways oth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ten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5 subjects with a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s a population for the second stage study and snowball sampling. In addition, for the clar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ollowing selection criteria. First,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who fall into grades 1 to 4 according to the disability grade system in Korea; second,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who do not have a complex disability that prevents them from communicating; third, those who can participate in this study with sincerity. In the second stage study, we used a mixture of matrix and time-based matrix techniques to analyze the health promotion needs of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the goal was to analyze the needs of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their life cycle needs. In the first stage, the initial form of the matrix was produced and interview questions were created. In the second stage, the data was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initial form of the matrix after data collection. In the third stage, the input data were used to modify the matrix and integrate the data. In the fourth stage, the final conclusion was drawn through the reanalysis process. The results of the second stage are as follows. The needs identified for health promotion for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re as follows: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24 times), assistance in disability registration (11 times), changes in the location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10 times), narrowing of welfare centers (10 times), support for disabled persons at home (9 times) and information provision (9 times).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First, the efforts of the subjects throughout the life cycle immediately after their occurrence were found to be outdoor activities (14 times) and reality recognition (8 times), with awareness improvement (12 times) and conductivity (9 times) after the occurrence. The demands for major institutions were as follows: support for medical examinations (9 times) and support for disability registration (8 times) immediately after its occurrence, while the demands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were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12 times)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the disability, followed by the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12 times) and the change of location of disabled facilities (7 times). The demand for related policies appeared as a service (7 times)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life cycle after the occurrence. Second, according to the life cycle, among those in the youth period the demands included providing information (9 times),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9 times), improvement of disabled toilets (8 times), support for disability registration (6 times), and the necessity of the role of the central institution (5 times); for those in middle age, they were: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9 times), changes in the loc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s (7 times), realistic policy improvement (5 times), reality recognition (5 times), and improvement of local facilities (5 times). In old age, they were the narrowing of the welfare center (10 times), support for the disabled persons at their homes (9 times), marking of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6 times), outdoor activities (5 times), and specialization of the responsible institutions (5 times).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suggesting direc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nd can be used as data for building a health promotion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ly disabled. It is hoped that such studies will consider not only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but also various other areas of disability.

      • 지적장애아동의 전통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한 한국문화 정체성 및 사회성 기술 발달 효과 규명

        원유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전통문화 인식을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적 내용과 교육목표 등이 포함된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전통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장애복지관을 매개로 장기간 적용해 봄으로써 현장 타당성을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전통문화 정체성 및 사회성 기술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연구 1>의 프로그램개발 절차과정과 <연구 2>의 프로그램 효과로 나누어 연구방법이 진행되었다. 첫째, <연구 1>의 연구설계는 이용숙(2002)과 Taba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한규령, 2005)을 수정 및 보완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본 틀을 4단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프로그램 개발 방향 설정, 프로그램 예비적용, 프로그램 수정)로 작성하였다. 연구절차 및 분석으로는 문헌조사와 탐색적 면접조사를 통해 1~2단계를 작용하였고, 참여관찰 및 현장 노트, 서술적 관찰자료, 면담자료, 반성일지, 동료평가, 전문가의 자문회의 등을 활용하여 3~4단계를 적용하였다. 둘째, <연구 2>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에 따른 지적장애아동의 전통문화 정체성 및 사회성 기술에 대한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검사 설계(pre-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 12명과 비교집단 12명을 구성하여 집단을 운영하였으며, 실험집단에 대한 실험적 개입의 결과로 인한 것임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적 개입을 하기 전에 양 집단에 대한 동질성 확보를 위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실험집단은 전통놀이 프로그램에 2012년 2월부터 5월까지 주 1회 70분 수업이 4개월 동안 참가하는 지적장애아동이고, 비교집단은 전통놀이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고 일반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지적장애아동들로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전통놀이 프로그램의 일반화하기 위해서 <연구 1>에서는 다음과 같이 4가지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지적장애아동의 인지적 능력을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한국문화를 접할 수 있고, 우리의 의·식·주, 문화재, 전통예술이 내포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한다. 둘째, 지적장애아동의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의 발달을 꾀할 수 있는 교육적 목표가 내포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한다. 셋째, 지적장애아동의 흥미 및 참여유도가 가능하도록 난이도의 조정, 규칙의 간소화, 보조기구의 다양화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보조교사와 자원봉사자는 미리 선발하여 프로그램 및 지적장애아동들의 특성에 대한 사전교육을 통해 사전 지식을 충분히 습득 후 프로그램 진행에 참여하여야 한다. 한편,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전통문화 정체성 및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2>에서는 2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전-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에서 전통문화 인지도의 하위요인 중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문화재에서, 전통문화 선호도의 하위요인 중 의생활, 문화재, 전통놀이에서, 사회성 기술의 하위요인 중 자기통제, 자기주장, 협력기술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비교집단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처치 후 집단 간의 검사에서 전통문화 선호도 및 인지도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나 사회성 기술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적장애아동에게 전통놀이 프로그램의 참여는 자연스러운 경험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적장애아동에게 사회적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를 발달시키고,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면서 타인과의 협력하게하고, 쉽게 또래 형성이 되어 자연스럽게 사회성을 발달시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raditional game programs for children with mental weakness including knowledge contents and educational goals to be equipped with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s, and to apply the developed programs to the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to examine their effects on the identity of traditional culture and social skills through researching on-site validity. This study was largely divided into the procedures of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in <Research 1>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s in <Research 2>. Firstly, regarding the design of <Research 1>, the basic frame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was made in 4 steps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deciding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preliminary application of the programs and the revision of the programs) by revising and complementing the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cess (Han, 2005) of Lee(2002) and Taba. Regarding the procedures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step one and two we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search and questing survey, and step 3 and four were done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on-site note, descriptive observation data, interview data, self-reflection diary, evaluation of colleagues, advisory meeting of experts, etc. Secondly, in <Research 2>, the ‘pre-posttest design’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s on the identity of traditional culture and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composed of 12 people each, and a pretest was done before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to secure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so tha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sults are caused by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made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d participated in traditional game programs conducted for 70 minutes once a week from Feb. to May, 2012, The comparative group was composed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traditional game programs but joined ordinary athletic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our conclusions were made in <Research 1> to generalize the traditional game program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rstly, the programs should include Korean food, clothing, shelter and traditional arts for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o that they can naturally experience Korean culture. Secondly, the programs should include the educational goals which can develop the psychomotor,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ly, the level of difficulty should be adjusted, rules should be simplified and aid tools should be diversified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o promote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urthly, teaching assistants and voluntary workers should be selected in advance so that they may acquire prior knowled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as well as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orientation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of the program. In <Research 2>, two conclusions were made regarding the effects of traditional game programs on the identity of traditional culture and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rstly, it was found in the pre-posttes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ood, clothing, shelter and cultural assets among the sub-elements of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clothing, cultural assets and traditional games among the sub-elements of prefere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self-control, self-assertion and cooperative skills among the sub-elements of social skill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re were no such difference i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ly, in the examination between groups after treatment, there were differences in both the sub-elements of preference and re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social skills. Thes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learn much naturally by participating in traditional game programs. They also suggest that such traditional game programs have positive effects in help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the understanding of social interactions, making them cooperate with others while fulfilling their role and responsibilities, and developing their sociality in a natural way by making friends with their peer group easily.

      • 선수, 부모, 지도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중학교 축구선수의 인성발달 저해요인 및 교육요인 탐색

        유영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It is essential for the adolescent student players to be reminded that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the basic education that they should constantly receive as a student. Thus, the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that could hinder personality development among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 athletes, parents of student athletes, and soccer instructors, an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for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five students who were currently student athletes in a middle school soccer team, five parents of student athletes, and five soccer instruc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is study collected data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s in depth. In the specific data collection procedure, open questionnaire, in-depth interview, non-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relevant documents, the methods of which were commonly used in prior research, were us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tudent athletes, parents and instructors.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following the transcription work. Meanwhile, through consultation and multidisciplinary analysis between colleagu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veracity was secured. the results from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athletes, parents and instructors in the factors detrimental to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i.e., personal,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More specifically 1) Student athletes and instructors considered the selfish tendency of individual students as a personal detrimental factor of personality development while the parents considered excessive use of a computer or mobile games as the personal detrimental factor. 2) Student athletes indicated the conflicts with instructor the most, while the parents and instructors pointed the absence of neglect and communication at home 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detrimental factor of personality development. 3) Student athletes indicated the problems induced in the camp training, parents pointed out the absence of various hobbies and exploration for aptitude, and instructors indicated the juggling of study and exercising as a social detrimental factor of personality development.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s of student athletes, parents, and instructors in the viewpoint toward the educational variables(i.e., moral, social, and emotional)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detail, 1) Student athletes consider politeness, parents considered responsibility, and instructors considered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as the most crucial morality educational factor for personality development. 2) Student athletes and parents regarded cooperation, and instructors regarded consideration as the most significant social educational factor for personality development. 3) Student athletes considered modesty, parents considered patience, and instructors considered the self-control 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emotional education factor of personality development. This conclusion shows that the perception towards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varies between student athletes, parents, and instructors, and these differences in perception should be used as a basic data in cultivating the student athlete with correct personality. 청소년기 학생선수들에게 인성교육은 학생의 신분으로서 간직해야 할 기본적인 교육임을 주지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학생선수, 학생선수의 부모, 축구지도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중학교 축구선수들의 인성발달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저해요인을 우선 알아보고 이후 인성교육을 위한 중요요인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를 유목적 표집법 중 준거 표집법을 토대로 현재 중학교에서 축구부활동을 하는 학생선수 5명, 학생선수의 부모 5명, 축구지도자 5명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 중 연구대상자들의 경험을 보다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인 자료수집 절차를 살펴보면, 선행연구에서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자료수집 방법인 개방형설문, 심층면담, 비 참여관찰, 관련문서 등을 활용하였으며, 이 연구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생선수, 부모, 지도자 등 세 집단에게 각각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전사 작업 이후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한편 동료 간의 협의와 다각도 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진실성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 부모, 지도자가 바라본 인성발달 저해요인(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사회적 요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1) 인성발달의 개인적 저해요인은 학생선수와 지도자는 이기적 성향을 가장 많이 인성발달의 개인적 저해요인으로 밝히고 있으며, 부모들은 과도한 컴퓨터 사용 및 휴대폰 게임을 가장 많이 개인적 저해요인이라고 나타내었다. 2) 인성발달의 환경적 저해요인은 학생선수는 지도자와의 갈등을 가장 많이 지목한 반면, 부모와 지도자는 가정에서 소홀함과 소통의 부재를 가장 중요한 환경적 저해요인이라고 지목하였다. 3) 인성발달의 사회적 저해요인은 학생선수는 가장 많이 합숙 생활의 문제를 지적하였고, 부모는 축구 활동 외에 다양한 취미 및 적성발달 시간의 부재를 사회적 저해요인으로 지적하였으며, 지도자는 학습과 운동의 병행을 사회적 저해요인라고 밝히고 있다. 둘째, 선수, 부모, 지도자가 바라본 인성발달 교육교인(도덕성, 사회성, 감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1) 인성 발달을 위한 도덕성 교육요인은 학생선수는 예절, 부모는 책임감, 지도자는 인권존중이 도덕성 교육요인으로 중요하다고 밝히고 있다. 2) 인성발달을 위한 사회성 요인은 학생선수와 부모들은 협동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도자는 배려가 사회성 교육요인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3) 인성발달을 위한 감성 요인은 학생선수는 겸손, 부모는 인내, 지도자는 절제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세 집단 간의 관점이 모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은 선수, 부모, 지도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중학교 축구선수들에 대한 인식은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축구선수를 꿈꾸는 학생과, 이를 뒷바라지 하는 부모, 축구선수로 성장시키기 위해 가르치는 지도자 등 각기 다른 서로의 위치에서 올바른 인성이 함양 된 학생 선수를 육성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소프트볼 선수들의 진로장벽, 진로스트레스, 진로발달의 인과관계

        장순웅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소프트볼과 같은 비인기종목에서 운동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학생들의 진로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에 입각하여, 진로발달을 저해시키는 요인인 진로장벽과 진로스트레스가 진로발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2012년도 소프트볼 협회에 선수로 등록되어 있는 중, 고,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2차례 개최되는 전국 규모 대회에 출전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목적표집하여 총 20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경변인 특성에 따른 진로장벽, 진로스트레스, 진로발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고, 일원변량분석의 사후검증은 Duncan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각 척도가 타당성을 보유하고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한 절차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진로장벽, 진로 스트레스, 진로발달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프트볼 선수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진로장벽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가정수입, 개인입상경력, 팀입상경력에 따라 진로장벽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프트볼 선수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진로스트레스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가정수입, 개인입상경력, 팀입상경력에 따라 진로스트레스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프트볼 선수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진로발달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개인입상경력에 따라 진로발달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프트볼 선수들의 진로장벽, 진로 스트레스, 진로발달의 인과관계를 규명한 결과, 진로장벽은 진로 스트레스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 스트레스는 진로발달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 스트레스는 진로장벽과 진로발달의 관계에서 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areer barrier and career stress, both career development-impeding factors, affect career development, based on the need to come up with methods of improving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 players of unpopular sports such as softball. Regarding the participants of study,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registered as players with the Korea Softball Association as of 2012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purposeful sampling was conducted on the players participating in national softball tournaments held semi-annually, thus data for a total of 207 players being analyzed. As regards processing of collected data, hypotheses were tested by SPSS 18.0 and Amos 20.0 programs, and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α=.05.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find out difference among career barrier, career stress and career developmen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background variables, and post-hoc test of one-way ANOVA was conducted by Duncan method. Also, as a procedure of testing whether each scale proposed in preceding studies is vali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In addition, in order to test causation among career barrier, career stress and career development,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areer barrier was shown to partially differ according to softball players' background variables. Specifically, it was shown that career barrier differed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individual prizes won and team prizes won. Second, career stress was shown to partially differ according to softball players' background variables. Specifically, it was shown that career stress differed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individual prizes won and team prizes won. Third, career development was shown to partially differ according to softball players' background variables. Specifically, it was shown that career development differed according to individual prizes won. Fourth, analysis of causation among career barrier, career stress and career development of softball players showed that career barrier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stress and career stres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Also, career stress was shown to play the role of mediation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development.

      • 성인 유도 동호인의 1인 동영상 방송에 대한 품질 특성, 지각된유용성, 지각된용이성, 수용의도의 구조적관계 :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종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1인 미디어는 이제 그저 새로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존의 미디어를 뛰어넘어서는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Influencer)’ 혹은 ‘BJ’같은 새로운 직업군을 탄생시켰으며, 또한 기존의 미디어들이 감히 도전하지 못했던 분야와 정보 전달의 새로운 방식 및 시청자와의 소통 방법을 과감하게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유도에 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그 실마리를 풀기 시작한 본 연구는 보다 창의적인 스포츠 교육 수단의 개발을 위한 선구자적 기초 연구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새로운 정보 기술에 대한 이용자의 심리 상태를 검증할 수 있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성인 유도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1인 동영상 방송을 활용한 유도 교육의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한 기대효과로는 우리나라의 유도 종목을 위한 1인 동영상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고, 유도 종목을 위한 1인 동영상 방송의 제작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유도 동호인을 대상으로 1인 동영상 방송을 통한 유도 교육을 실험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추후 동호인이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유도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 제작에 기초 자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등의 기대효과가 존재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 유도 도장 및 생활 유도클럽에서 활동하는 성인 유도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유의확률표본추출법을 통하여 표집되었으며, 1인 동영상 방송 시청 경험이 있는 성인 유도 동호인 350명을 선정하였고, 전량 배부 후 이 가운데 299부를 회수하였다. 설문지의 검토과정에서 수거된 설문지 299부 가운데 이중기입 되는 등 응답결과에서 신빙성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26부를 제외하고 신빙성이 확보되었다고 판단된 273부의 설문지가 분석 과정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서울, 경기 지역 유도 도장과 생활 유도 클럽을 직접 방문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구통계학적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test와 ANOVA, 구조방정식 분석, 조절효과 분석 등의 단계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유도 동호인의 1인 동영상 방송의 유도 컨텐츠에 대한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수용의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시스템 품질과 지각된 용이성, 관여도, 수용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업과 소득에 따른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시청시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서비스 품질과 정보품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제품구매장소에 따른 차이에서는 시스템 품질과 관여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보취득경로에 따른 차이에서는 지각된 유용성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성인 유도 동호인의 1인 동영상 유도 컨텐츠의 품질특성(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 정보품질),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수용의도의 각 변수간 직접효과를 구조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 품질과 정보 품질의 직접효과, 정보품질과 지각된 용이성의 직접효과, 지각된 유용성과 수용의도의 직접효과, 지각된 용이성과 수용의도간의 직접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 유도 동호인의 1인 동영상 유도 컨텐츠의 품질특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수용의도에 대한 구조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변수간의 각각의 관계에 대하여 1인 미디어 유도 컨텐츠에 대한 성인 유도 동호인의 관여도 조절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분야에서도 보다 많고 질 좋은 1인 미디어가 성장함으로서 우리나라의 스포츠 와 더 나아가서는 전 세계의 스포츠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