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시간 전략 게임을 위한 모방 및 심층 학습을 이용한 인공지능 플레이어 설계

        오인석 세종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실시간 전략 게임은 일반적으로 자원을 채취하고, 건물을 건설하고 병력을 생산하여 전쟁하는 게임을 말한다. 보드게임과는 달리 실시간 전략 게임의 인공지능은 무수히 많은 탐색 공간과 지속해서 변하는 환경 때문에 설계하는 것이 어렵다. 게다가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여러 작업을 끝마쳐야 한다. 이러한 제약들 때문에 실시간 전략 게임은 최신 기계 학습 기술들을 적용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인간 플레이어들은 이러한 높은 복잡도를 가진 실시간 전략 게임에서 인공지능을 압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 플레이어의 리플레이 데이터를 활용하는 사례기반 추론 기법을 사용하여 리플레이를 이용해 유닛들을 제어하는 모델을 설계하였다. 더 나아가 인간들의 전략적인 판단을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해 모델을 생성하였다. 사례기반 추론 방법을 이용하면 설계자가 게임의 배경 지식이 없어도 높은 수준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한 전략적 판단 모델은 데이터를 심화 신경망을 이용해 학습함으로서 인간의 복잡한 판단 과정을 풀어낼 수 있다. 리플레이 데이터는 Blizzard사의 게임인 스타크래프트에서 수집하였다. 사례기반 추론 기법은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시테이블을 만들고 영향력 맵을 이용해 현재 상태와 유사한 사례를 테이블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사례에서 인간이 했던 의사를 모방하게 하였다. 영향력 맵은 전투 유닛들의 영향력을 공간적 분석을 통해 표현한 것으로 사례 간에 더욱 정밀한 비교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추가로 해싱 기법은 적절한 사례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여주었다.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해 구축한 모델은 리플레이 데이터로부터 지형 정보, 유닛 정보, 건물 정보 등을 추출하여 인간이 특정 상황에서 어떤 판단을 내리는지에 대한 것을 학습한 것이다. 각 정보를 표현할 때 사례기반 추론 모델에서 사용했던 방법과 비슷한 방식으로 영향력 맵을 이용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총 3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제한된 환경에서 설계자가 직접 플레이한 리플레이를 바탕으로 스타크래프트 경진대회에 참가했던 상위권 순위의 봇들과 경기를 하였으며 두 번째 실험에서는 일반 사람들이 플레이한 리플레이를 바탕으로 인간이 했던 행동들을 모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른 봇들과 성능 비교를 진행하였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해 생성한 전술 결정 모델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앞의 두 실험에서는 제안한 방법이 다른 봇들보다 더 좋은 성능을 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컨볼루션 신경망이 이미지 형식의 데이터를 학습하는 데 있어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인간의 의도를 잘 학습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실시간 전략 게임에서도 데이터를 추상화하여 이미지로 표현하고 이를 학습하는 것이 좋은 방법 중 하나가 될 것이다.

      • 실용음악화성을 이용한 음악교과서 제재곡 피아노 반주법 연구 : 고등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김경수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실용음악화성을 이용한 음악교과서 제재곡 피아노 반주법 연구 -고등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김경수 음악교육전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학교 음악 수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가창 수업이다. 이것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피아노 반주 능력을 필요로 한다. 그 이유는 다양한 장르와 화려한 연주에 익숙한 많은 학생들에게 음악 수업에서도 반주를 통해 미적 체험을 충족시켜 주어야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실용음악화성을 이용하여 피아노 반주에 대해 연구하려 한다. 실용음악이라는 음악적 성격을 선택한 이유는 오늘날의 음악적 흐름이 클래식 음악 보다는 비중이 훨씬 높고, 문화적으로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 내용으로는, 첫째, 실용음악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3화음, 7화음, 6화음을 제시하였고 사용가능한 텐션에 대해 이해를 구하였다. 둘째, 장르별로 반주 패턴을 제시하였고 필인(Fill in)과 국악 장단에 맞는 반주 형태를 제시하였다. 셋째, 리하모니제이션(Reharmonization)을 위한 고급화성을 제시하였다. 부속7화음(Secondary Dominant 7th Chord)과 투-파이브(Ⅱm7-Ⅴ7) 진행, 각각의 대리화음(Substitute Chord)과 경과화음(Passing Chord) 및 전주와 후주를 만드는 코드 진행(Progression)을 제시하였다. 넷째, 대중이 쉽게 알 수 있는 곡을 리하모니제이션하여 원곡과의 비교를 통해 코드 진행이 달라졌음을 제시하였고,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 역시 리하모니제이션을 함으로써 원곡과의 비교를 제시하여 교사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는 실용음악화성을 통해 기존의 단조로운 화성을 벗어나 새로운 화성에 대한 시도와 분석력을 키우며, 피아노 반주로의 표현 능력이 상승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제시된 각각의 반주형태를 가지고 교사 스스로 제재곡의 화성을 재구성하여 다양한 반주형태를 구사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음악교사들이 가창 수업에 있어 피아노 반주에 대해 중요성과 필요성을 재인식하고 보다 더 효과적이고 세련된 반주를 통해 즐거운 음악 수업이 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Studies of Piano Accompaniment for Musical Pieces from Music Textbooks using Harmonics of Applied Music -Focus on High-school Music Textbooks- Kim, Kyung-soo Major in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What takes up the majority of music class in schools is singing.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is time, the teacher is required to have skills in piano accompaniment. The reason is because the teacher must satisfy the needs for experiencing the artistic for the students, who are already accustomed to a variety of genres and brilliant performing, through the means of accompaniment in the music class setting. For this, the researcher is hoping to study piano accompaniment by the means of using harmonics of applied music. The reason for choosing the musical color of ‘applied music’ is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flow of modern musical trend tends much more towards applied music rather than classical, is having a great impact culturally, and is easy to approach. Based on the research, Firstly, the basic 3rd, 7th, and 6th in applied music harmonics that are used have been presented, and the understanding of usable tension was obtained. Secondly, a pattern for accompaniment was presented for each genre, and an accompaniment form that was suitable for fill-ins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was presented. Thirdly, advanced harmonics for Reharmonization was presented. The secondary dominant 7th chord and the IIm7-V7 chord progression, the respective substitute chord and passing chord as well as the chord progressions for the intro and outro were presented. Lastly, the songs that are well known to the public were reharmonized and compared with the original to prove and present that the chord progression has been changed. Also, the musical pieces from music textbooks were reharmonized and a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was presented to aid the understanding from the teachers. The research in this paper was done in order to develop confidence for trying new harmonics and analytical skills for new harmonics apart from the already established harmonics, which are simple and dull. The anticipation is that the ability to express oneself as an accompaniment pianist will increase. Also, another reason is for making use of the presented accompaniment forms in order to restructure the harmonics of musical pieces from music textbooks, this being done by the music teachers themselves. Finally, the paper hopes to reestablish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for piano accompaniment as a music teacher that teaching singing, and by the more effective and refined accompaniment, be able to make the music classroom a place that is a little more enjoyable to be.

      • 중학교 국악관현악단의 해금연주 지도방안 : 국악관현악곡 ‘신뱃놀이’를 중심으로

        박수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and Keywords Lesson Plan for Playing Haegeum in Middle School Gugak Orchestra Focusing on Gugak Orchestra Piece ‘Shinbaetnori’ Park, Soo Ah Major in Music Educa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ystematic step-by-step lesson plan for playing haegeum to enhance the practical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gugak orchestra. Music education through after-school activities is on the rise because it is not easy to conduct practice-oriented lessons during regular clas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atic lesson plans related to gugak orchestra performance since little has been studied on teaching methods despite the growing number of schools implementing student gugak orchestra in recent years. Accordingly, a lesson plan for performing haegeum, a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is study were set after exploring the directions this study should seek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on teaching haegeum to middle school students. A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that has been handed down since the Goryeo Dynasty, haegeum satisfies the requisites for teaching gugak in consideration of the criteria of music curriculum such as the connection with music subject, choice of instrument suitable to be handled in the field and student's interest and aptitude. Haegeum also has the advantage of embracing various genres of music since it freely allows transposition and transliteration. Therefore, after organizing the contents for theory learning such as its history, material and usage, structure and name of parts, performance posture and techniques, and selecting a gugak orchestra piece called 'Shinbaetnori' as the music material, a practice-oriented lesson plan for students to learn the score and playing technique of this piece was developed so that teachers can use the plan as a reference to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The lesson plan was set up with 15 sessions of step-by-step learning for first year thru thi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ctivity sheets were made accordingly. The lesson plan was written and implemented based on these session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students' musical expression improved from learning the music material, various musical symbols and playing techniques through lessons that use both the lesson plan and the activity sheet. In general, detailed lesson plans are not prepared for after-school lessons. In this study, however, lessons were carried out using lesson plans with set learning content and amount for each lesson, making it easier for students to understand and remember the learning contents from the previous class every time. Also, by using the activity sheet, the students were able to review the contents from previous lessons even in a space where the instrument is not provided to each student. As a result, the students who initially could not read the score were able to read the score and play on their own after the 15th lesson, which made it easier for them to perform together with other instruments. Second, the students were able to recognize various beat changes and play accordingly by learning the beats in the music material through audiovisual method in advance. Because 'Shinbaetnori' used as the material of this study has many beat changes, the teacher repeatedly played the beats used in the piece before the practice, allowing the students to naturally learn the beats before the practice lessons. Conducting the practice lessons after such natural introduction, the students were able to perform the piece without having difficulty in changing the beats. Third, the students became familiar with the positions used in playing the music material and were able to play the material on their own by learning the exercise music for fingering positions and position shifts. Since position shifts are difficult when playing the haegeum, the students were given time to practice the scales and learn the positions first before learning the exercise piece that applies those position shifts. The students were able to play fluently during the actual performance by learning the music for practice instead of learning the material piece immediately. Fourth, the students were able to play fluently by marking the bowing techniques and learning the fingering from marking the finger number for easy and convenient reading of the score. Performing gugak orchestra pieces at sight is difficult because fingering and bowing are not indicated in the scores. Through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learned the F Major scale position, A♭ Major scale position and E♭ Major scale position and their fingering used in 'Shinbaetnori. Upon completing the 15 sessions of lesson, the students were able to play the instrument without looking at the fingering number.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music presented in the activities of Gugak orchestra. In addition, teachers will benefit from using the lesson plan in teaching haegeum to student gugak orchestra since it presents materials necessary for music curriculum and learning contents. In this study, a lesson plan for playing haegeu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using 'Shinbaetnori' as the music material. Studies on lesson plans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so that students can access a variety of musical pieces and receive effective lessons without losing interest for haegeum and gugak orchestra.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not apply to all instruments used in a gugak orchestra because the research was limited to the haegeum. Also, since the music material was limited to 'Shinbaetnori',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using a variety of gugak orchestra pieces. It is expected that the lesson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not only improve students' performance ability but also help teachers provide systematic lessons to students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and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haegeum education. Keywords Haegeum, Student Gugak Orchestra, Shinbaetnori, Haegeum Lesson Plan, Fingering, Bowing, After-school activity 국문초록(요약) 및 주제어(키워드, 핵심어) 중학교 국악관현악단의 해금연주 지도방안 - 국악관현악곡 ‘신뱃놀이’를 중심으로 - 박수아 음악교육전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국악관현악단 활동을 하고 있는 중학교 학생들의 효과적인 실기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단계별 해금연주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정규수업에서는 실기위주의 수업을 진행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방과 후 음악활동을 통하여 음악교육의 비중을 높이고 있다. 근래에는 학생국악관현악단을 시행하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으나 지도법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체계적인 지도방안을 구체화 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전통악기인 해금연주 지도방안을 개발하였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해금지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함으로써 본 연구가 모색해야 할 방향에 대해 탐색하고, 연구의 방향과 내용을 설정하였다. 해금은 고려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악기로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교과와의 연계성, 현장에서 다루기 적합한 악기의 선택, 학생들의 흥미와 적성 등을 고려해 볼 때, 지도를 위한 요소를 충족시키는 악기이다. 또한 조옮김과 음역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해금의 역사, 재료와 쓰임, 구조와 명칭, 자세와 연주법 등의 이론학습과 국악관현악곡 ‘신뱃놀이’를 제재곡으로 선정하고, 이 곡의 악보와 연주법을 익히는 실기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고 이것을 교사들이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중학교 1-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계별 학습을 통한 수업지도안을 15차시로 설정하였으며, 그에 따른 활동지를 제작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지도안을 작성 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업지도안과 활동지를 함께 활용하는 수업으로 제재곡을 익히고, 다양한 악상기호와 주법을 접하게 되어 음악적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대게 방과 후 수업에는 지도안을 세안으로 작성하지 않는데 본 연구에서는 수업지도안을 활용한 수업을 시도하였고, 그에 따른 학습 분량과 내용을 설정하고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이 매 수업시 이전 수업내용의 이해 및 복기가 수월하였다. 또한 활동지를 사용함으로써 개인별 악기를 소지하지 못한 공간에서도 이전에 학습한 내용을 복습 할 수 있게 하였다. 그 결과 15차시 수업이 끝난 후 악보를 읽지 못했던 학생들도 스스로 악보를 읽고 연주할 수 있게 되었고 다른 악기와의 합주를 진행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둘째, 시청각 학습으로 제재곡의 장단을 먼저 익히게 하여 다양한 장단의 변화를 인지하고 연주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재곡으로 사용된 ‘신뱃놀이’는 장단의 변화가 많기 때문에 실기 수업 전 사용되는 장단을 교사가 반복해서 들려주어 학생들이 실습 전에 장단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하였다. 그 후 실기수업을 진행하여 장단의 변화를 어려워하지 않고 연주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포지션 운지 및 이동을 위한 연습곡 학습을 통해 연주에 사용되는 포지션을 숙지하여 연주를 스스로 할 수 있게 되었다. 해금은 포지션 이동이 어려운 악기이므로 이를 먼저 익히는 시간을 가지고 스케일 연습을 한 후, 적용하는 연습곡을 익히게 하였다. 곧바로 제재곡을 학습하지 않고 연습을 위한 악보를 학습하여 실제 연주 시 원활한 연주가 가능하였다. 넷째, 악보를 쉽고 편하게 볼 수 있도록 손가락번호를 표시하여 운지법을 숙지하였고, 운궁법을 표시하여 연주를 원활하게 할 수 있었다. 국악관현악 악보는 운지법과 운궁법이 나타나 있지 않아 연주하기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학생들은 제재곡 ‘신뱃놀이’에서 사용한 ‘F포지션’, ‘A♭포지션’, ‘E♭포지션’의 스케일과 운지법을 익히고, 본 수업이 마무리된 후에는 손가락번호 없이도 연주가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로 하여금 국악관현악단활동에서 제시되는 악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교사들에게는 교과과정과 학습내용에 필요한 자료가 제시되어있어 학생국악관현악단의 해금 지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제재곡을 ‘신뱃놀이’로 지정하여 연주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지도안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더욱 다양한 곡을 접할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이 해금과 국악관현악단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고 효과적인 수업지도를 받도록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금’이라는 악기를 한정시켜 연구하였기 때문에 국악관현악단에서 사용되는 모든 악기에 적용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제재곡을 ‘신뱃놀이’로 한정하여 연구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국악관현악곡의 연구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연주 실력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지도를 하는 교사들도 본 논문에서 제시한 지도방안을 통해 실제 교육현장에서 체계적으로 학생들을 지도하여 해금교육의 활성화를 도와줄 연구가 되기를 바란다.

      • 가네의 수업사태에 따른 바이올린 기초그룹 지도방안 연구

        강석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바이올린을 지도할 때 가네의 교수학습이론을 적용하여 교사들이 수업 때 일어나야 하는 각 수업 사태 별 영역을 잘 이해하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여 효과적인 바이올린 기초수업 지도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가네의 이론을 구성하는 핵심 개념은 학습된 능력, 학습의 사태, 수업의 사태로 학교학습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를 의미한다. 그는 교사의 수업 활동이 각각의 상황(수업사태)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이에 따라, 효과적인 교수 학습활동을 위한 각 상황 별 9가지 수업사태를 제시하였다. 그가 제시한 9가지 수업사태란 다음과 같다. 먼저 주의집중, 학습목표 제시, 선수학습 상기의 학습을 준비하는 단계가 있고 자극자료 제시, 학습안내 제공, 수행행동 유도, 피드백 제공을 하는 기술정보 획득 단계, 마지막으로 수행평가, 파지와 학습의 전이 단계 등 9가지 활동을 말한다. 이러한 가네의 9가지 수업사태를 적용한 바이올린 기초그룹 수업지도안은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준다. 첫째, 가네의 학습이론을 바이올린 수업지도에 적용하면 가네가 분류한 학습된 능력(언어정보, 지적기능, 인지전략, 운동기능, 태도)을 개발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수업방식과 달리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목표와 과제에 대해 발견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마지막으로, 교사를 위한 체계적인 바이올린 수업지도안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수준별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바이올린을 처음 접한다는 설정 아래 수업모형을 설계 하였다는 점, 수업 지도안이 바이올린에 맞추어 작성되었기 때문에 다른 기악수업의 적용에 힘들 수 있다는 점, 실 교육현장에서 검증을 마치지 않았다는 점 등의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제시된 바이올린 수업지도안이 수업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효율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가네의 교수학습이론을 적용한 더 많은 기악수업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understand each instructional events which would occur during the class, and suggest effective teaching plan for basic violin class by designing the class systematically by applying Gagne's teaching events of instruction at violin class. Learning outcomes, Events of learning, and Events of instruction are the key concepts of Gagne's theory and those are the three elements of consisting school classes. He insisted that a teacher's activities in the class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events(events of instruction), and suggested nine instructional events for effectiv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Gagne outlines the nine instructional events as followings ; Gaining attention, Informing the learner of the objective, Recalling of prior learning - Preparing learning stage, Presenting the stimulus, Providing learning guidance, Eliciting performance, Providing feedback - acquiring skills of information stage, Assessing performance, Enhancing retention and transfer - Retention and transfer of learning stage. A teaching plan for basic violin group by applying Gagne's nine instructional events provides following expectation effectiveness. First, in application of Gagne's learning theory at violin lesson helps developing learning outcomes - verbal information, intellectual skills, cognitive strategies, motor skills, and attitudes which is identified by Gagne. Second, unlike existing teaching method, it helps the learner find the learning objective and tasks personally. Last, it can suggest systemic violin teaching plan for teachers. There are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 This learning model was designed that the level of students was not identified, the students are first-learner of the violin, It would be hard to apply other instrumental instruction since this teaching plan is designed for violin instruction, it is not verified at actual education field yet. But it is hoped that this violin teaching plan helps teachers and it is effectively used for teachers of their teaching, and further instrumental instruction study will be carried out more by applying Gagne's learning-teaching theory.

      •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뮤지컬 지도 방안 연구

        정성진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지능별 영역을 구성하고 ‘이해를 위한 교수’ 모형으로 뮤지컬 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2009 개정 음악과 교육 과정을 보면 음악의 미적 경험과 안목을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삶에서 즐길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단일 척도로서 일원적 지능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학습 방법에서 벗어나 학습자 개개인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의 지능 구성이 아닌 학습자들의 다양한 지능에 맞게 지도 방안을 구성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이에 대해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하였다. 가드너는 학습자들이 각각 다른 지능 프로파일을 지니고 있으며 발달 정도도 다르다고 주장한다. 이에 학습자의 관점에서 그들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지능별 영역에 맞게 교수-학습을 구성하여 적용했다. 또한 가드너와 퍼킨스가 제시한 ‘이해를 위한 교수’ 교수 모형을 통해 교수-학습 지도안을 연구 하였다. 뮤지컬은 다양하고 폭넓은 음악적 예술 공연 양식이여서 학습자들이 다방면의 참여를 유도 할 수 있는 동기 부여가 용이하다. 무엇보다 음악을 다양하게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장이 형성되어 뮤지컬을 중심으로 지도안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총 3차시로 구성 되었으며 차시별로 여덟 가지 지능들이 모두 사용 되도록 노력 하였다. 학습자들이 수업 참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활동지를 활용 하였다. 총 3차시 지도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매 차시마다 배경 음악을 먼저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음악실에 입장함과 동시에 친숙할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동기 유발 과정에서 뮤지컬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적게 하고 제시된 상자에 여러 방법으로 넣게 하여 생각을 공유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의 다양한 생각을 나누면서 흥미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든 과정이 폭넓은 예술 공연 양식, 즉 뮤지컬이라 설명 하면서 수업을 전개해 나갔다. 이로 인해 학습자들은 자연 이해적 지능을 제외한 음악적, 언어적, 시각·공간적, 논리·수학적, 대인 관계적, 개인 이해적, 신체·운동적 지능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을 중심으로 뮤지컬의 구성요소를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서곡에서 나오는 주요 멜로디를 제시하고 이를 시각·공간적, 신체·운동적, 음악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연구하였다. 또한 제재곡 ‘Thing of me’를 통해 뮤지컬 넘버를 학습하고 가창을 통해 배우들의 감성을 느끼며 표현하는 학습과정을 계획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뮤지컬 “렌트”중 ‘Seasons of love’곡을 중심으로 악보에 표기된 기호들을 이해하고 쉼표와 박자의 리듬 패턴을 지키며 가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둠별 창작(개사)활동으로 학습자들의 협동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할 것이다. 다섯째, 뮤지컬 “캣츠”를 통해 줄거리 및 ‘Memory'곡이 나오는 상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Memory'곡이 지니고 있는 박자의 변화를 이해하고 배경이 되는 그리자벨라의 감성을 느끼며 가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실제 수업에서 실험을 통해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에 그 효과를 확인 할 수 없다. 다양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아도 다중지능이론 을 적용한 지도안은 많았으나 뮤지컬 보다 오페라의 비중이 높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시연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다양한 뮤지컬의 작품과 제재곡을 통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 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검증 과정을 통해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적 행동에 관한 한·중 비교 연구

        필군동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부모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도덕성 차이를 밝히고, 양국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적 행동과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 부모의 양육태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한국과 중국 유아의 도덕적 행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적 행동은 한국과 중국 간의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한국의 전주와 중국의 위해에 소재하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이상 6세까지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을 만 5세 유아로 제한한 이유는 만 5세 유아라도 다른 사람의 복지, 권리, 공정, 의무라는 도덕성에 관련된 용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덕성 발달에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자가 먼저 중국어로 번역한 후, 2015년 4월 1일∽30일까지 29일간 중국의 유치원에 설문지를 우편으로 보낸 후 만5세 75명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51부가 회수되어 68%의 회수율을 보였다. 한편 한국은 담임교사에게 질문지 조사방법 및 응답 시 주의사항을 전달했고, 각 담임교사를 유아 편으로 부모와 관련된 설문지를 유치원에 55부를 배부 후 52부가 회수되어 94.5%의 회수율을 보였다. 따라서 한·중 양국의 설문지 각 50부를 최종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부모의 양육태도 측정 도구는 다문화에서 보여지는 Schaefer(1959)의 양육태도 모형인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이원영(1983)이 번안한 양육태도 검사지를 최순자(2005)가 일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유아의 도덕성을 평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 森重敏(1988)가 유아의 도덕의식 발달 실태 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한 질문지와 首藤敏元와 二宮克美(2002)가 일본 어머니들이 유아와의 일상생활 속에서 어떤 장면에서 어떤 양육태도를 나타내는지를 조사한 내용을 최순자(2005)가 수정·보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는 한국과 중국 부모의 양육태도, 유아의 도덕적 행동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차이 검증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한국과 중국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적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한국과 중국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차이가 조금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정적 양육태도는 한국 어머니가 중국 어머니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율적 양육태도는 중국 어머니가 한국 어머니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중국 유아의 국적에 따른 유아의 도덕적 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한국의 여아가 남아보다 도덕적 행동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명의 존엄성 영역에서 도덕적 행동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여아와 남아는 도덕적 행동을 거의 차이가 없지만, 남아가 여아보다 난폭한 행동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중 양국의 아버지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적 행동과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 어머니는 애정적 양육태도가 높으면, 유아의 도덕적 행동의 하위요인인 절약 영역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율적 양육태도가 높으면, 유아의 도덕적 행동의 하위요인인 난폭한 행동과도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적 행동의 하위요인이 절약 영역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마치면서 계속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는 부분을 정리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의 수가 크지 않았는데, 좀 더 연구 대상자의 수를 확대하여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선정하였다. 그러나 유아의 도덕적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부모의 양육태도 뿐만 아니라 부모의 개인적인 특성 및 가족 환경, 대중 매체, 또래와의 관계 등 여러 가지 변인들이 있다. 이런 변인으로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도덕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교사 질문지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교사 개인의 측정 기준이나 해당 아동에 대한 편견에 따라 그리고 교사가 설문지를 작성할 때의 심리적인 상태나 주위 환경에 의해 조사의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좀 더 객관적인 조사를 위해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지 이외에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도덕적 행동 측정을 위한 검증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rent Attitude and Moral Behavior of the Child Between Korean and Chinese Parents Bi Jun-tong The Major of Children Welfare and Instruc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Advised by prof. Kim Kyung Jung)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Moral Behavior of children and parenting between Korea and China. Moreover, the author tri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their children’s social moral behavior through survey. Research questions are shown as below. 1. What are the differences related to parenting attitude between Korea and China? 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moral behavior between Korean and Chinese children? 3. What are there any correlations between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their children’s moral behavior in these two countries? The participants are kindergarten children over 5 years old in Jeonju and Weihai. The reason is children of this period may have been able to use some morality related phrases. In addition, this age is an important period of formation of their moral behavior. Questionnaire used in this research is translated into Chinese by the author.75 questionnaires were sent to the kindergarten in China by mail at the first week of April 2015. 5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wo weeks later, and the effective questionnaire returns-ratio is 68%. At the second week of April 2015, 55 questionnaires were sent to the kindergarten in Korea, and the valid response rate is 94.5%(52 of 55 is returned). Finally, 50 questionnaires of each country are used in this investigation. T-test was used during the investigation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moral behavior of children and parenting behavior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is research. Simultaneously,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their children’s moral behavior, researcher used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Basically,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arenting attitude of father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However, it is seems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attitude of Korean and Chinese mothers. Compared to Chinese mothers, Korean mothers are more likely to choose caring type parenting behavior rather than self-disciplinary type. 2. In Korea, moral behavior of female children is better than male children. This difference especially shows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respect for life. Moral behavior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children in China. But the male children relatively more violent. 3.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their children’s moral behavior in these two countries. If the Korean mother tend to be caring type, it will have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thrift; in the other hand, if tend to be self-discipline, adverse impact will affect children’s violent behavior. Chinese mothers’ parenting attitude has an influence on children’s thrift. Inadequacies and improving methods: 1. The sample size is too small to have a generalized conclusion, need more participants to make generalization. In order to optimize the results, this research needs more participants. 2.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moral behavior of children. There are also other factors affect children’s moral behaviors, which needed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research. 3. This research chose kindergarten teachers as respondents of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morality of children. This kind of subjective assessment of children made by the teacher often biased by several other factors, more objective measuring tool should be considered in my future study.

      • 진화전략을 이용한 실용적인 아날로그 회로 자동설계

        박현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아날로그 회로는 전통적으로 모든 전기/전자 시스템의 기본 구성요소로서 필수 불가결 하다. 비록 최근에는 디지털 회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많은 분야에서 디지털 회로로 대체되었지만, 디지털 회로가 대체할 수 없는 아날로그 회로만의 고유한 영역이 있으며, 디지털 회로로 대체 가능하지만 아날로그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분야도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 회로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전문가가 필요하지만, 최근 들어 제한된 수요와 설계의 어려움 때문에 최근에는 아날로그 회로 설계 전문가만의 숫자가 크게 줄어 들었다. 하지만, 아날로그 회로의 중요성은 줄어들지 않았기 때문에 아날로그 회로를 쉽게 설계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방법 중에 하나로 최근에는 진화 알고리즘 기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회로를 자동으로 설계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아직은 전문가가 직접 설계하는 것에 비해서 많은 제약이 따르지만, 이런 기법을 이용하여 회로를 설계하면, 전문적인 지식이 전혀 없이도 회로를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 진화 전략에 기반하여 아날로그 회로를 자동으로 설계하는 알고리즘을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을 해봄으로써, 해당 알고리즘을 좀 더 실용적인 알고리즘으로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세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첫 번째 실험에서는 진화 전략을 이용하여 설계한 회로를 실제 회로로 구현하는데 적합한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회로의 제조 편차에 둔감한 회로를 설계하는데 적합한 평가 함수의 설계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더 큰 규모의 회로를 설계하기 위해 알고리즘의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 실험 결과들을 분석한 결과 아직은 전문가들이 설계하는 수준의 회로는 불가능하지만, 기존 알고리즘을 좀 더 실용적으로 개선할 방법을 알 수 있었다. Analog circuits are fundamental element of all electric devices. But, it is very hard to synthesis analog circuits without expertise. Recently, there are many works about automated synthesis analog circuits using evolutionary algorithms. These algorithms can help synthesizing analog circuits even there are no expertise. But, there are many limits on these algorithms. So, in this paper we performing three experiments to improve analog circuit synthesis algorithm based on evolutionary strategy. We can get some idea how to improve legacy algorithm more practically by analyze these experimental results.

      •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와 협동학습을 적용한 고등학교 창작 교수·학습 지도안 : 윤이상의 <예악>을 중심으로

        김사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All learning begins with the exchanges of knowledge between those who desire to learn. In that sense, Constructivism suggests reasonable method of learning. By learning how to construct knowledge actively from the school level, the students induces curiosit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ituation even if they go out to society and induces to derive the maximum results in relation between people. Learning incorporated with Social Constructivism in music class is especially efficient in development of creativity, because cognitive development and artistic intellection happens simultaneous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guide by incorporating Social Constructivism theory by Vygotsky, with Isang Yun’s <Réak>,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high school education by combining contemporary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guide aims to develop musical knowledge and thinking, to develop creativity, and to form a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by studying and announc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life and techniques of the composers. In analyzing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and Scaffolding, which are the theories of Social Constructivism of Vygotsky, and analyzing they dynamic evaluation to replace the evaluation of objectivity in music subjects, the following limitations arose. The music curriculum is an arts curriculum, and it is a structural problem that is assessed quantitatively even though it is evaluated by applying the ZPD.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students is much greater than the number of teachers in music subject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obtain and observe information from each student. Also there is a lack of development of instruments for evaluation to predict the actual and potential development of music sub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basis to supplement the limit of dynamic evaluation through in-depth study of ZP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guide and its expected effec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teach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a well-balanced way, I used Isang Yun’s <Réak> which shows the way that the two music have properly melted together. We can grasp the correlation between two pieces of music through concurrent and comparative learn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and it can be expected that this comparison application positively affect the learner’s creative process. Second, we developed a guide based on scaffolding techniques for active cognitiv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individual students. The conventional introduction – development – conclusion form is maintained, but the scaffolding technique is applied to this process. When the indirect teaching activities and the help of the instructor gradually reduced we can expect that the student still can act actively in the problem solving situations, solve the tasks responsibly, and experience increased situational knowledge in musical context. Third,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introduced to actualize Social Constructivism.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teraction and construction of musical knowledge among other models, ‘Jigsaw III Model’ which is a reward-oriented cooperative learning. The ‘Co-op Co-op Model’, which is task-oriented cooperative learning, is used for subsequent creative learning. Participants will finish the activities with small group presentations, and time of self-reflection. Since the two models are combined into one for the clas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learners develop sociality, interest and motivation and achieve tasks efficiently. Fourth, a dynamic evaluation is initiated. Qualitative evaluation is introduced to supplement the limit of quantitative evaluation. It is inevitable to quantitatively evaluate student’s ability to assess their potential developmental abilities by visually confirming their scores. However, make sure the teacher’s attention is added by qualitatively describing the students’ efforts and activities. In addition, students should perform self-assessment to contribute to their own subjective thoughts and credibility of teacher evaluation. I’m going to conclude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high school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guide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m and Cooperative learning. First, even though Social Constructivism is a future social-oriented learning method, it is difficult to apply it in the actual classroom because of the lack of the number of music educators compared to the number students to manage. Therefore, make sure to increase the maximum capacity of music educators available, so they can focus on teaching. Second, the teacher should try to get away from the traditional textbook based lessons and to allow the students to approach the music,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with new materials to emanate creativity and interest.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maintain music rooms in a creative space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various sounds, cooperative learning, and creative lessons In recent years, researches on contemporary music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d applied in school education more and more in comparison with the past.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not only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contemporary music in school, but also the famous domestic contemporary composers will surface beyond Korean music education and be re-evaluated. Also I hope that students will recognize the valu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world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and interest, and contribute to its development and succession. Finally, I hope that students will grow up to be an all-around people who understands various kinds of music, leads to respect for various values and positions, and can take on the role of creative global citizens.

      • 고차원 정보와 모듈화를 이용한 카메라 기반 딥러닝 자율주행 연구

        심우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람이 주행을 하는데 주로 시각적인 정보에 의존하여 주행을 한다. 자율주행 자동차 분야에서도 이와 같이 시각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에이전트를 학습시키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RGB 이미지와 같은 저차원 수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이전트를 학습한다. 하지만 RGB 이미지와 같은 저차원 수준의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차량의 전방에 어떤 물체가 있는지 어느 정도 거리에 떨어져 있는지 호율적으로 알 수 없기 때문에 학습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주행 성능을 높이기 어렵다. 또한 자율주행에서의 모방학습은 대용량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이전트를 학습하기 때문에 에이전트가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으나 학습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의도하지 않은 행동을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자율주행에서의 강화학습은 다양한 시행착오를 통해 에이전트를 학습하기 때문에 강력한 성능을 보일 수 있지만, 에이전트의 성능을 위해 보상함수를 잘 설정하기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도심환경에서의 안전한 자율주행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차원 정보와 행동에 따른 모듈화를 이용한 새로운 딥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차량 주변의 상황, 내비게이션 정보와 같은 고차원 정보를 이용하여 자율주행의 성능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제안한 모델의 대표적인 자율주행 시뮬레이터인 CARLA 환경에서 학습 및 검증을 하였고, CARLA 벤치마크를 통해 학습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안한 모델이 다른 차량과 보행자가 있는 복잡한 도심환경에서 기존 모델들과 비교했을 때, 높은 성능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