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Contents of Global Corporate Web sites: A Comparison Across Countries And Industries : 글로벌 기업 웹사이트 콘텐츠: 국가와 산업의 비교

        Chinzorig ANAR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연구에서 웹 운영을 분석하는 기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웹 사이트의 정전 용량을 분석 및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웹 사이트를 이용하여 소비자들에게 정보를 주고, 수입을 늘리고, 소비자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많은 종류의 회사들이 있습니다. 웹 사이트의 콘텐츠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정보, 특정 정보 또는 유지 관리를 권합니다. 우리는 산업의 세계화 진단을 기반으로 600개의 회사 웹 사이트를 비교했습니다. 대부분의 웹 사이트 콘텐츠 기능은 다양한 산업 그룹에서 상당히 상이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예를 들어, 치약, 청량음료, 서적 출판, 자동차, 컴퓨터, 항공기 (민간) 등이 있습니다. 이 연구는 웹 사이트 콘텐츠의 차이점을 보여 주는 주요 모델을 개발합니다. 콘텐츠는 사이트에 있는 문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른 종류의 정보를 식별하는 요소입니다. 이 주요 웹 사이트 콘텐츠는 글로벌 통합 웹 사이트의 특성을 조사하여 콘텐츠 세부 사항이 세계적으로 표준화 되었거나 국가 또는 산업의 차이로 인해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웹 사이트 콘텐츠 특성은 많은 종류의 문화 그룹에서 다양성이 많다고 판단되었습니다. 또한 콘텐츠 세부 사항과 산업 카테고리 간의 약간의 연관성이 있어야 했습니다. This paper is explaining about analyzing and categorizing the capacitance of websites to create basic information of analyzing web operation. There is a lot of type of companies using the website for giving information to consumers, increasing their income and understanding consumer’s behavior. The contents of website, which are offer the information, specific, or maintenance to customer. We have compared 600 companies’ websites based on diagnosing industry globalization. The majority of website content featur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various groups of industries. For instance toothpaste, soft drinks, book publishing, automobiles, computers and aircraft (civil). This research develops a principal model that differences of website content. The contents are component includes the problem of which is included in the website and identifies the different kind of information. This principal website content was used to research the specifics of global integrate websites to identify if the content specifics have changed globally standardized or if differences exist as a result of across countries or industries. The most of website content specifics were determined to be a lot of variety across many kind cultural groups. In addition, there had to be slight conjunction between the content specifics and industry category.

      • 預金保險制度의 合理的 運用을 위한 改善方案 硏究

        김기남 延世大學校 經濟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32218

        As a part of safety guard for financial risk, the Deposit Insurance System is a direct way to manage financial risk in the case that a bank becomes insolvent and thus unable to pay back depositors. However, an inappropriately-designed system can encourage financial intermediaries to seek risk-taking action that causes financial instability, even leads to crisis in the end. It is admirable that the Deposit Insurance System should be designed and operated based on the primary function for financial stability.However, the Deposit Insurance System in Korea, transformed from the past to cope with the critical situation, has not worked properly in the current Korean economy. In addition, it is not suitable for the global standards. Reviewing the key issues of the current deposit insurance system in respect to the primary function and the global standard of the Deposit Insurance System, this research has found the following solutions by investigating other nations' cases.Firstly, the risk-adjusted premium system should be introduced, with an appropriate range of deposit limit, the co-insurance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supply in order to prevent the moral hazard and to strengthen the present Deposit Insurance System's function for disciplining the financial market.Secondly, we should review the separation fund operating systems and make an improvement on the pricing rat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The bottom line is that the Deposit Insurance System should be improved not for instant change, but for a long-term financial stability and competitiveness by entire system modification. Therefore, it will enable to cover the current fundamental problems thus activating the financial market in Korea. 예금보험제도는 금융안전망의 일부분으로 시스템리스크를 방지하기 위한 직접적인 수단이다. 그러나 부적절하게 설계된 예금보험제도는 금융기관의 위험추구행위를 조장하여 오히려 금융위기를 야기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금융시스템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제반 규제와 제도는 본연의 목적에 충실하도록 설계되고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그러나 우리나라의 예금보험제도는 과거 위기수습 차원에서 변용되어, 정상적인 경제금융 상황에 적합하지 않고 국제적 기준 과도 배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예금보험제도의 근본 목적과 국제적 기준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현행 예금보험제도의 제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외 여러나라의 사례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첫째, 현행 제도하에서 나타나는 시장규율 기능 약화 및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기 위해 차등보험요율제도의 도입, 예금보장 한도 적정화, 공동보험제도 도입, 재원조달 방식의 개선 등이 도입되어 야 한다.둘째, 국제적 기준에 부합되도록 기금의 분리운영 검토,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보험요율의 산정 등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향후 예금보험제도 개선 시 금융안정을 이유로 부분조정에 그쳐 서는 안되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가능하도록 전면적인 제도 개편을 통해 시장기능이 활성화되고 금융산업의 건전성 및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Standards and Science in Trade Regulation in the Global Age : A Critique of the WTO SPS Agreement in relation to Public Health and Safety Concerns

        이윤정 Lancaster University 2004 해외박사

        RANK : 231999

        This thesis seeks to develop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trade law that has shifted attention from the conventional 'negative prescription' to 'positive rule making'. The SPS Agreement is one of those agreements that represents this transformation of the trading system into which such novel principles as harmonisation and scientific justification are introduced. However, the current ferment of intellectual debates about the democracy-legitimacy deficit of the WTO requires this transformation to be reconsidered from plural perspectives that go beyond closed circles of trade universe given the wider impacts of the WTO policy. This argument can be further substantiated by wider issues of globalisation, as the demands for democratisation of international organisations such as the WTO and for a democratic control over globalisation process in a broader sense are inextricably link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is premise, I examine the SPS Agreement through the prism of critical social studies, and seek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diversity that has been undervalued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adjudication of scientific risk disputes in the SPS jurisprudence. By debunking the taken-for-granted legitimacy of legal, economic and scientific rationalities entrenched in the SPS Agreement, this study hopes to provide a sound ground to overcome both the myopic reductionism of technico-scientific approach of the Agreement and the unduly supposed superiority of the technocratic elite, while empowering the public to deliberate public policies in international arenas that affect their interests, fates and values.

      • Whose Quality Is It? Transnational TV Flows and Power in the Global TV Market

        Baran, Şebnem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Sout 2018 해외박사(DDOD)

        RANK : 231996

        While the digitalization of content has increased the visibility of authorized and unauthorized forms of online viewing, the last twenty years has also witness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ransnational television flows. Although television content has traveled across borders before, the course and the content of flows has changed dramatically since the 1980s. Increasing numbers of format adaptations and the rise of new centers of production like Israel, Korea and Turkey have instigated a new wave of discussions both in academia and mainstream media that question the impact of this newfound multidirectionality. These discussions have seen the emerging centers of production as evidence of a change in the global television market long dominated by Anglo-American production. I argue on the contrary and explain how despite the emergence of new centers of production, Anglo-American hegemony has retained its power. By exploring Turkey’s position as a new peripheral center of production, I reveal the role of Anglo-American quality programming in this process of hegemonic reproduction. My overall aim is to capture the ongoing transformation of television within the context of digitalization and globalization by considering the socio-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repercussions it entails.My dissertation starts with my aesthetic, narrative and generic analysis of Son (The End)—the first Turkish television show to successfully travel to Western Europe—to explain the role of Anglo-American quality standards in filtering transnational television flows. This psychological thriller gains Westward mobility thanks to its similarity to Anglo-American quality programming. Although Turkish shows have been popular in the Middle East and the Balkans, Son remains the only Turkish scripted format that has successfully moved to Western Europe. Its exceptional status is important in terms of the multidirectionality attributed to global TV markets after the emergence of new centers of production like Turkey. If the content originating from these centers is mostly confined to areas outside of Northern American and Western European markets, it becomes hard to accept the claims of multidirectionality found in academic studies and trade journal articles. Moreover, if shows which manage to enter these territories do so by mimicking Anglo-American standards, Anglo-American centers keep their dominance in the global markets. In my second chapter, I study two different online streaming models in Turkey, BluTV and puhutv, to elaborate further on the globalization of Anglo-American quality and investigate the role of online streaming in this dissemination. Both platforms emulate the Anglo-American streaming models and use their quality programming standards for their online originals. Then, in my third chapter, I introduce an alternative type of quality within the Turkish context by studying Behzat C. (2010-2013) and Leyla ile Mecnun (Leyla and Mecnun, 2011-2013). This version, which I describe as “political quality,” offers a non-Anglo-American interpretation of quality programming. This type of quality faces the risk of extinction as economic competition intensifies due to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the Anglo-American quality model. “Political quality,” which has the potential to instigate activism, is also threatened by the atmosphere of political oppression in Turkey. I conclude my dissertation by discussing the possible implications of the globalization of Anglo-American quality programming for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television flows.

      • 기업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 글로벌 스탠다드와 채권자의 역할

        이석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1979

        우리나라에서 기업지배구조에 관한 논의가 실질적으로 강하게 대두된 것은 소위 IMF 사태가 초래한 경제위기 이후 그 원인을 분석하는 와중에 기업들의 행태가 지적되면서부터 이다. 즉, 기업들 특히 소위 재벌이라 불리는 그룹체제하의 기업들이 과다한 차입과 방만한 투자 등으로 인해 위기의 원인을 제공하였는데 이러한 기업들의 행태가 초래된 근본원인을 살펴보면 바로 대주주 중심의 독단적 경영을 막지 못한 현 기업지배구조상의 낙후성이 가장 큰 원인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배구조상의 결함을 시정하기 위한 시도가 다양한 분야에 걸쳐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배구조에 관한 이론적 논의는 이른바 주인, 대리인 모형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상태 하에서 대리인인 전문경영자와 주인인 소유주간의 이해상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지배구조의 논의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일본이나 우리나라에서 더욱 보편적인 그룹체제하의 기업현실에서는 단순히 주주와 경영자간의 관계보다는 지배대주주와 타계열사 이해관계자간의 관계 등이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될 수가 있다. 한편 각 나라의 경제여건이나 역사적 배경에 따라 기업의 재무구조와 지배구조의 관계는 서로 다른 유형으로 발달해 왔다. 영국과 미국에서는 직접금융시장이 일찍부터 발달된 여건 하에서 현대기업들이 성장함으로써 은행 차입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따라서 은행과는 거리를 두는(arm's-length relationship) 기업지배구조가 발달해 왔다. 영미에서 대부분의 기업은 개인기업으로 설립되었으나 기업이 성장함에 따라 자본을 조달하기 위해 소유의 분산이 촉진되고 이것은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가져왔다. 소유와 경영의 분리는 경영의 투명성과 책임성 문제를 가져오고 이에 부응하여 기관투자가의 감시-사외이사의 역할-이사회중심 경영감독-주식옵션 위주의 경영자 보상체계-증권시장의 시장통제기능으로 연결되는 소위 '시장중심의 영미식 기업지배구조'의 틀이 정착하였다. 이러한 시장중심의 기업지배구조의 핵심은 주주 이익의 극대화다. 주주 가치 중심의 기업지배구조를 가진 경제를 소위 '주주 자본주의(Shareholder Capitalism)'라고 지칭한다. 반면에 독일과 일본에서는 자본시장 발달이 늦었기 때문에 기업들은 차입은 물론 직접금융도 주로 은행에 의존해왔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과 은행은 장기간의 결속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일본의 '주거래은행제도(main bank system)'와 독일의 '하우스은행 제도(haus bank system)'는 기업과 은행이 상호주식을 보유하고 장기 안정적인 주주의 역할을 해 왔기 때문에 특히 '은행중심의 대륙형 기업지배구조'로 부른다. 이 기업지배구조는 대주주인 은행의 이익보다는 직원·노조·소비자·생산계열기업·지역사회 등 기업을 둘러싼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합의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소위 '이해관계자 자본주의(Stakeholder Capitalism)'라고 불린다. 한편, 우리나라 기업의 지배구조의 특징은 미공개 기업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공개기업이라도 계열 대주주가 비록 자신들만의 직접적인 지분율은 작지만 관계회사 등의 내부지분율을 통해 경영권을 지배하고 있어 사실상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현실에 기초해 이사회 등의 내부규율기능은 물론 자본시장, 금융시장의 외부규율기능도 대주주의 경영권 전횡을 막지 못하였던 것이 지금까지의 현실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우리에게 있어 지배구조의 개선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필수적인 과제라 할 것이다. 위와 같이 각국마다 특유의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적으로 통일적이고 체계적인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주목할 것은 OECD에서 제시한 기업지배구조상의 제 원칙들인데 여기서는 비록 대개의 내용들이 주주와 이사회의 기능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결국은 각국의 사회, 경제적 환경에 알맞은 지배구조를 갖추어 나갈 것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지금 우리나라에서 제기되는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여러 시책들을 보면 영, 미식 위주의 지배구조 방식들을 별다른 여과 없이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집단주의 성격이 강하고 혈연, 지연으로 맺어져 있으며 노동시장이 경직되어 있는 한국의 현실을 고려한다면 단지 주주가치의 극대화라든지 이사회 등의 내부규율 장치의 강화 등에만 중점을 두는 영, 미식의 지배구조 개선논의는 제고의 여지가 많다고 볼 수 있다. 우리 현실에는 주주외에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고려도 필요하고 한편으로 은행 중심의 채권자의 역할이 지배주주를 견제하는 데는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은행은 다른 이해관계자와 달리 정보분석 및 관리 능력이 우월하고, 기업의 투자계획, 자금조달 계획 등 사전적으로 축적된 정보의 양이 많아 정보의 비대칭성을 완화할 수 있고 또한 이를 통해 통제의 사전적 효율성을 확보하게 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나아가 은행이 주주로서 경영감시 역할을 한다면 정보의 비대칭성을 더 완화할 수 있고 증자에의 참여로 지배주주의 소유지분이 감소되는 부수효과도 얻을 수 있다고 하겠다. 기업으로서도 안정적인 자금조달을 통하여 장기투자가 보다 용이해질 것이며, 경제 전체면에서 구조조정 촉진자로서의 역할도 기대된다, 우리나라와 같이 지배구조가 정착되지 못하고 채권자인 은행 이외에는 기업의 이해관계자가 포트폴리오 투자가에 불과한 소수주주나 채권투자가로 이루어진 상황 하에서는 은행의 기업에 대한 사전적 감시와 사후적 책임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기업의 차입조달 비중이 아직 높고 금융기관의 공공기관적 성격이 강화(구조조정으로 정부가 금융기관의 대주주화)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당분간은 채권자가 중심이 되는 은행중심의 통제체제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하겠다. Corporate governance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korea recently because it is regarded as responsible for the outbreak of the crisis, underlying the over-Investment on over-borrowing by chaebol firms. Corporate governance is thus under a heavy reform efforts currently, and the Korean government is subscribing to the global standardism developed by the OECD. So it is emphasizing the role of the board of directors, especially outside directors, as the core system to solve the agency problem between the CEO and stockholders. The global standard, however, seems based on the reality of the US and Britain, where, shareholder capitalism is working under a well-institutionalized market mechanism in goods, capital, and labor. A desirable model of corporate governance depends on the institutional structure of each country, which the OECD principle does not necessarily deny. The Japanese and German model of corporate governance is distinct from the Anglo-American one, and may provide a better model for Korea. In Korea, shareholders other than chaebol family are mostly minority portfolio investors who are interested in short-run capital gains, so they cannot effectively discipline the moral hazard of chaebol heads. Meanwhile, debt-equity ratio for large corporations is still very high. It is thus inevitable that banks and other financial institutions as creditors play the monitoring and disciplining role against the moral hazard of chaebol managers. Banks are generally in a situation to be well-informed about the corporate manger's ability and fund-raising plan. Also, if banks play a role as shareholder, the corporations can have a safer source of financing.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invest in a longer term projects. The corporate governance system which is suitable to Korea's reality for the near future is one where the banks rather than outside directors play a major role.

      • A Study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Banks in Korea

        황나연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1961

        Korean companies increasingly recognize the necessity; the import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surges despite it short history; and CSR is now regarded as the essential management strategies for successful corporate management. Recently, Global Standard was developed and announced publicly; and an increase of socially responsible finance has increased the need of sustainable information. In the same context,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banks is under active discussion. As for Korea's financial markets, economic recession drags out since the IMF financial crisis, incurring massive credit delinquents and the instability in the labor market. During this process, the instability of a financial system, a lack of corporate innovation, and especially the deepened polarization of poverty can be associate with the crisis of capitalism; the incomplete redistribution between income and wealth and noticeable slump in the labor market such as employment and business startup provoked the questions about the sustainability of market economy. Under the circumstance where the credibility of financial institutions declined in this manner, the banking industry has the challenges to carry out strategic and organizational social responsibility and to satisfy many different stakeholders. Thus, Korean banks have struggled to carry 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However, some researches reveal the public opinion is not in favor of a financial industry despite of increasing Korean banks’ expenditure on social contribution and their social activities as social dimension. In fact, banking industry’s social activities as a part of the efforts for its social responsibility was not effective in enhancing their image. Thus, more fruitful social responsibility strategy is needed to respect more fundamental values and fulfill them. This study focuses more on the corporate internal CSR aiming at the social contribution by complying with economic and legal responsibility rather than the implementation of CSR strategically and externally. Firstly, this study explored the background of CSR and the need of social responsibility in banking industry. Next, the study discussed the present situation of banks’ social responsibilities, dividing that into the internal responsibilities corresponding to fundamental ethics and the external responsibilities corresponding to positive ethics. For comparative study, this study used the analytic frameworks as below are set out, linking the social responsibilities in each step suggested in Carroll’s model with responding GRI guideline. As a result, the external responsibilities implemented more strategically have been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hereas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l responsibilities, the fundamental management ethics, has been inadequate. In order for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banks to bear fruits, banks need to make further efforts as follows; First, developing and expanding the current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s important, yet what is the most important is the inside of companies needs to be awakened and prepare the plans for the improvement in a dimension of social responsibilities. Second, the mindset recognizing donation, social service, and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a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needs to be improved. Third, the development to ‘Social Investing’ which is the investment on both social issues and economic growth by shifting the concept of social responsibilities from expenditure to investment is important. Lastly, enhancing corporate consciousness of voluntary social responsibility management is important.

      •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의 역할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비교제도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조상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1946

        우리나라는 비약적인 경제 개발과 더불어 개발도상국이나 재난 현장에 인도주의적 보건의료활동을 지원하는 정부기관과 민간의료단체의 정기적인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이 급증하고 있다.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필수적인 의약품의 선정, 보관, 관리를 전문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약사의 역할과 약제서비스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이제는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 활동 중 시행되는 의약품의 분배와 소규모 의약품 기증이 세계보건기구 (WHO)의 의약품 기증에 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국제기준에 적합한 의약품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신중히 점검해 볼 시점이다. 본 연구는 국제기준의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가 제공할 수 있는 약제서비스를 정리하고,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분석하여, 국제기준에 적합한 표준화된 의약품 지원체계와 약제 서비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국제기준의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의 역할과 약제서비스를 문헌 고찰을 통하여 정리한 후,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의 역할과 약제서비스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비교제도론적으로 분석하였다.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는 의약품의 선정, 보관, 조제, 대체 의약품 제안, 약물정보제공, 복약상담, 약국의 배치와 조제업무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또한, 약사의 중재로 처방, 조제, 투약의 오류와 환자의 약물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약사의 전문성을 갖춘 국외단기보건 의료 활동은 지역 주민들에게 다음과 같은 약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준비단계에서의 의약품 선정은 충분한 사전조사를 통하여 대상 국가가 허용하고, WHO가 제시하는 필수의약품으로 선정해야 한다.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비감염성 질환에 대한 의약품은 현지에서 구입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둘째, 현지활동단계에서 약국은 환자의 진료 동선의 마지막 순서에 위치 하고, 조제, 포장, 검수, 투약, 복약상담 순으로 배치한다. 의약품의 조제는 투약용 지퍼백이나 투약병을 사용하고, 표준화된 라벨을 부착한다. 복약지도 는 현지인 통역을 통해 지역 주민들이 복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약사는 일반적인 의약품 선정, 조제, 투약, 복약지도와 같은 약제서비스뿐 만 아니라, 긴급재난구호활동, 감염성 질환의 예방과 관리, 여성생식보건관리, 정신건강관리, 비감염성 질환의 예방과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지역 주민들의 보건의료를 위한 약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셋째, 마무리단계에서 현지 의료기관에 소량의 의약품을 기증할지라도, WHO 의약품 기증에 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필수의약품으로 표준화된 라벨을 부착하여 기증한다. 모든 의약품은 유효기간이 1년 이상이어야 하고, 환자 에게 투약 후 반환되었거나, 무료 샘플의약품은 기증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불필요한 의약품의 안전한 폐기를 위해 WHO의 가이드라인에 따른다.끝으로 지속적인 보건의료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외단기보건의료 활동에서 현지 의료인들에게 전문의료기술을 전수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보건 교육을 시행하여, 지역 보건을 스스로 책임질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