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외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문헌 분석

        이지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7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첨단재생의료의 특성을 고려한 특별관리가 체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법적근거가 마련되었다. 첨단재생의료 시장은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첨단재생바이오법 시행을 계기로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출판된 첨단재생의료 분야의 문헌을 조사하여 국내·외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현황을 파악하고, 제약사 주도 임상연구와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를 중심으로 세부항목별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2018년 1월 1일부터 2021년 6월 29일까지 PubMed에 등록된 문헌 중 제목과 초록으로 1차 검토 후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에 해당하며 이상반응 정보가 기재된 문헌들을 2차적으로 검토하여 임상연구 문헌을 선정하였다. 연구재원, 출판연도, 국가, 적응증, 추적관찰 기간 등을 변수로 선정하여 임상연구 문헌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세포치료 130건, 유전자치료 65건, 조직공학치료 20건, 융복합치료 5건으로 총 220건이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 총 220건의 문헌 중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가 163건(74%), 제약사 주도 임상연구가 57건(26%)으로 조사되었다.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가 제약사 주도 임상연구보다 약 3배정도 많았다. 출판연도의 경우, 제약사 주도 임상연구의 경우 2020년에 가장 출판된 문헌이 많았던 반면,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의 경우 2018년 그리고 2019년에 출판된 문헌이 많았다. 연구수행국가의 경우, 제약사 주도 임상연구에서는 북아메리카(미국, 캐나다)에서 연구를 가장 많이 진행하였고,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에서는 유럽이 압도적이었다. 첨단재생의료 적응증의 경우, 제약사 주도 임상연구와 비교하여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에서 뇌/신경/정신 질환의 임상연구와 안구 질환의 임상연구에서 압도적으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추적관찰기간의 경우, 문헌 검색 양상이 제약사 주도 임상연구와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제약사 주도 임상연구와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간 이상반응 양상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전체 임상연구 문헌에 기재된 이상반응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제약사 주도 임상연구에서는 fatigue(피로), prexia(발열), headache(두통), hypertension(고혈압) 순으로 다빈도 이상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에서는 headache(두통), nausea(메스꺼움), fatigue(피로), fever(열), anemia(빈혈) 순으로 다빈도 이상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220건의 문헌 분석을 통해 문헌 검색 전략을 세워 문헌들을 선정하고, 제약사 주도 임상연구와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를 중심으로 임상연구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이는 임상연구 정보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체계적인 정리 및 유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With the recent enactment of the “Act on the Safety and Support of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and Advanced Biopharmaceuticals,” the legal basis for special manage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has been established. Also, the global regenerative medicine industry has been growing rapidly in recent years, and it is expected to grow faster in Korea t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clinical research in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and to analyze each detailed item with a focus on pharmaceutical company-led clinical research and researcher-led clinical research. Among the documents registered in PubMed from 1 January 2018 to 29 June 2021, the clinical research literature was selected as the literature that corresponds to the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clinical research and contains adverse reaction information. Research funding, publication year, country, indication type, and follow-up period were selected as variables to analyze clinical research litera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220 eligible studies were identified through a literature search. 163 cases (74%) of researcher-led clinical research and 57 cases (26%) of pharmaceutical company-led clinical research were investigated. In the case of the publication year, pharmaceutical company-led clinical research had the most published literature in 2020, while researcher-led clinical research had the most published literature in 2018 and 2019. As for the countries whe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North America (USA, Canada) carried out the most research in pharmaceutical company-led clinical research, and Europe was overwhelmingly in research-led clinical research. In the case of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indications, compared with pharmaceutical company-led clinical research, researcher-led clinical research conducted overwhelmingly in clinical studies of brain/neuro/psychiatric diseases and clinical research of eye diseases. For the follow-up period, the literature search pattern was similar. In addition, abnormal reaction patterns between pharmaceutical company-led clinical research and researcher-led clinical research were compared and show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verse events described in the entire clinical research literature, in the order of fatigue, prexia, headache, and hypertension were observed in pharmaceutical company-led clinical research. In researcher-led clinical research, adverse events were observed in the order of headache, nausea, fatigue, fever, and anemia. In this study, a literature search strategy was established through analysis of a total of 220 literatures and clinical research literature was analyzed with a focus on pharmaceutical company-led clinical research and researcher-led clinical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maximize the efficiency of 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utilization and will help to systematically organize and build a useful database. In addition, when adverse events occurs, rapid respons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chnology field and additional damage occurrence can be preemptively responded, and the accumulated data can be used to reflect them in policies related to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in the future.

      • 임상연구 동의과정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심명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16

        Background & Objectives: Although obtaining the informed consent, which makes clinical trials or researches ethical, is very important part of carrying out clinical researches, the informed consent process (ICP) is still not done adequately. A few researches on the methods to provide information and to evaluate understandability were done so far. However, the researches for developing the informed sheet and ICP have been very insufficient in Korea. The past researches on ICP were mostly focused on the process to get a sign on the informed consent form and did not study ICP in a broad perspective. This study therefore attempted first to describe broadly and systematically the activities of ICP,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the whole processes of clinical researches. The problems in each detailed process of ICP were further presented and the steps to improve each ICP were also provided. In addition to provision of improving methods for more effective ICP, a comparative evaluation study of understandability and preference on two different forms of informed sheets, in which contents are same each other, with a view to presenting a real example of improving steps for ICP. Methods: Studies on the ICP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data obtained from 1) various articles related with ICP, 2) interviews with clinical investigators or sponsors concerned with ICP, 3) my personal experiences as a clinical researcher, and 4) etc. The comparative prospective study to evaluate understandability and preferences on two different formats of informed sheets with same contents (used informed sheet, UIS and modified informed sheet, MIS) was done. Results: Studies on the ICP in clinical research were carried out in an aspect of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ecution of clinical research. The first ICP before the execution of clinical research is composed of 3 detailed stages; 1) planning stage of clinical research, 2) preparatory stage of ICP, and 3) review stage of ICP. In this process, informations for planning of clinical research were collected, and then designing and protocol developing for clinical research followed. The informed sheet and consent form were made, and reviewed further by related investigators, institutional review boards, and government authorities. To improve efficiency in this ICP, following steps were presented; 1)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2) preparation of informed shee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3) evaluation of readability on informed sheets, 4) developing of standardized informed sheet, and 5) establishing various methods of providing informations. The second ICP, which is done during the execution of clinical research and a well-known ICP from the current narrow perspective, has 4 detailed stages; 1) notifying stage of clinical research, 2) providing stage of clinical research informations, 3) deciding stage of clinical research participation, and 4) ICP stage during execution of clinical research. The improving steps for this process are 1) necessity for improvement of inappropriate recognition, 2) step by step approach of notification and introduction on clinical research, 3) evaluating understandability on the informations, 4) devotion of enough time by the qualified information providers, 5) utilizing various providing methods of information and supplementing verbal explanation method, 6) appropriate supporting during making decision of participation, 7) collecting the opinions from those who decide not to participate, 8) obtaining the additive informed consent, 9) sharing the experiences of subjects who have withdrawn from the research, and 10) etc. The last ICP done after the execution of clinical research consist of 2 stages; 1) closing stage of clinical research, and 2) stage of sharing research results and final review. Making various types of reports through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during clinical research and sharing the results are done in this process. The improving steps for this process are 1) broadening of results sharing, 2) obtaining feedback from the subjects' experiences on clinical research including ICP, 3) breaking blinding information and giving continued related informations, and 4) Examining problems in ICP and establishing steps to improve ICP. In a prospective comparative evaluation of understandability between UIS and MIS, the speed of reading MIS (4.13 words/sec) was faster than that of UIS (3.48 words/sec). The score of understandability on MI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71.4%)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n UIS (64.3%). The 8 items modified from the conventional UIS to the new MIS in this study were 1) bold style and underlining of characters, 2) increasing font size of characters, 3) using diagrams, 4) widening interval between lines, 5) using colors, 6) inserting a table of contents, 7) using cover page, and 8) using header symbols. In a preference study over two forms of informed sheets, 87.9% of participants preferred MIS to UIS. Conclusions: It was clearly presented in this study that ICP, a broad process closely related with overall periods of clinical research, was composed of 3 ICPs (i.e. ICPs before, during and after execution of clinical research), not just confined to the conventional narrow process of focusing solely on obtaining signs from subjects. Activities, problems, and improving steps in each detailed stage of 3 ICPs were further investigated. Improvement of participants' understanding was observed through using a new modified form of informed sheet over the conventional used informed sheet, suggesting a new and more efficient informed sheet. 배경 및 목적: 임상연구에서 동의서의 작성과 취득을 포함한 동의과정이 임상연구를 가장 윤리적이게 만드는 핵심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동의과정이 여전히 적절히 시행되지 않는 실태가 많다. 외국에서는 피험자 동의과정의 정보제공 방법론과 이해도 평가 등에 대한 일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피험자 동의과정의 연구나 피험자 설명서 개발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종전의 동의과정에 대한 연구는 동의서에 서명하는 과정에 국한된 연구로 임상연구 전반에 걸친 광의의 동의과정에 대한 규명은 아직 이루어진 바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임상연구 전반에 관련되는 피험자 동의과정을 총체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여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다시 각 세부단계별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효율적인 동의과정을 위한 개선책의 제시에서 더 나아가, 이러한 동의과정의 개선방안의 실증적인 사례를 보여주고자 설명서의 형식을 달리한 두 종류의 피험자 설명서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의 비교평가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연구 동의과정과 관련한 국내외 문헌 고찰, 및 임상연구 동의과정에 관여하고 참여한 임상연구자와 의뢰자와의 인터뷰와 본인의 임상연구자로서의 임상연구 경험을 토대로 조사·연구하였다. 피험자설명서의 내용에는 변화를 주지 않고 표현양식을 서로 다르게 한 양식을 대상자에게 제시하여 피험자 설명서 이해도와 선호도의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임상연구 동의과정에 대한 연구는 크게 임상연구 수행 전, 중, 후 단계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임상연구 수행 전 동의과정의 세부단계는 임상연구 기획단계, 동의과정 준비단계, 동의과정 검토단계로 임상연구 기획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임상연구 설계 및 연구계획서를 작성하고 특히 피험자 설명서와 동의서를 마련하여 시험자의 검토와 임상시험심사위원회와 허가당국의 심의를 받는 단계로 이를 위해 연구대상군에 대한 사전조사를 하여 대상군의 파악을 기본으로 피험자 설명서를 마련하고 가독성 평가와 표준화된 피험자 설명서를 개발하고 다양한 정보제공 방안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상연구 수행 중 동의과정의 세부단계는 임상연구 공고단계, 임상연구 정보제공단계, 임상연구 참여 결정단계, 임상연구 진행 중의 동의과정 단계로 연구대상군에 대한 사전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임상연구 홍보 전략을 구상 및 시행하여 임상연구를 대상피험자군에게 알리고 지원자에게 마련된 정보제공 방안을 사용하여 임상연구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제공된 정보에 대한 이해도 측정 및 추가정보를 제공하고, 참여 유무를 결정하여 참여 결정 시 피험자 동의서를 작성 하고 임상연구를 진행하며 지속적인 추가 동의과정을 시행하며 중도 탈락자의 경험을 공유해야 한다. 임상연구 수행 후 동의과정의 세부단계는 연구 종료 단계, 연구결과 공유 및 최종 검토단계로 임상연구를 종료 후 그로 인해 얻어진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고 각종 보고서를 작성 제출하며 연구결과를 피험자들과 공유하고 사용된 약물 또는 치료법의 규명 및 지속적 정보제공은 물론, 임상연구 진행 중 도출된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방안을 탐색, 검토 및 대책을 수립해야한다. 기존에 흔히 사용하는 피험자 설명서 `가'형과 새로 개발한 피험자 설명서 `나'형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를 비교·평가한 연구에서 피험자 설명서를 읽은 속도는 `가'형은 3.48단어/초, `나'형은 4.13단어/초로 `나'형의 피험자 설명서가 더 빠른 속도로 읽어졌다. 이해도 평균 점수는 `가'형을 읽은 대조군이 5.79 (64.3%)개, `나'형을 읽은 시험군은 6.42 (71.4%)개로서 유의한 차이(P 값은 0.031)를 보였다. 또한 `가'형에서 `나'형으로 변형된 8가지 항목 `굵은 글자·밑줄의 사용', `글자크기를 키움', `도표의 사용', `줄 간격 넓힘', `색조 사용', `목차 삽입', `표지의 사용', `글머리 기호 사용' 에 대한 선호도 비교를 보면 ` 조금 도움이 된다' 또는 `매우 도움이 된다'가 71.21%에서 93.94%의 호응도를 보였다. 두 가지 종류의 피험자 설명서 중 어떤 형의 피험자 설명서가 더 쓰이기 바라느냐는 항목에 `나'형 설명서에 87.9%의 선호도를 보였다. 결론: 피험자 동의과정을 피험자로부터 단순히 서명을 구하는 협의의 과정으로 국한하지 않고 임상연구 수행 전, 중, 후로 구분하여 동의과정이 임상연구 전 단계에 걸쳐 밀접히 작용하는 광범위한 과정임을 명확히 제시하였으며, 이를 다시 각 세부 단계별로 분류하여 각 세부 단계별 활동내역, 문제점과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또한 두 종류의 형식을 달리한 피험자 설명서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 비교평가연구 결과, 피험자 설명서의 표현 형식을 개선함으로써 피험자 설명서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형식의 보다 효율적인 설명서를 제시할 수 있었다.

      • 임상연구요양급여 적용 신청에 대한 효율성 제고

        정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02

        임상연구요양급여 적용 신청에 대한 효율성 제고 본 연구는 실제 임상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 신청 업무 절차와 운영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 신청의 장애 요인 및 개선이 필요한 시급한 사항과 개선 방향에 대해 알 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 신청 업무의 장애요인은 관련 법률에 대한 명 확한 가이드라인 제시와 관련 해석의 부족, 임상연구요양급여 적용 승인 을 위한 과다한 신청 서류, 임상연구요양급여 적용 신청을 위한 기관 인 프라 부족 등의 순서로 나타났지만, 임상연구요양급여 적용 신청이 연구 활성화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는 대상자는 47.6%에 해당하여 부 정적 영향으로 선택한 33.3% 보다 더 많았다. 또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 신청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는 신청 방법 의 간소화, 법적 제도 개선, 임상연구요양급여 적용 범위 확대 순으로 나 타나, 현행 제도의 개선이 불가피 함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결론으로 본 연구를 통해 임상연구 요양급여 적용 신청 업무는 연구활성 화를 위해 필요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설문에 참여한 대상자 수가 적고, 임상연구 요양급여 처방을 계획하고 있는 연구자는 대상자로 포함 되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추후 대상자 수 확대를 통해 업무의 진행 방향과 나아가서는 정책 방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추가 연구를 마련할 수 있는 기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 핵심되는 말: 임상연구요양급여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orking process of applying clinical research and care benefits at actual clinical sites, and to find out the factors of disability in applying for clinical research and care benefits, urgent matters that need improvement,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Obstacle factors in applying for clinical research care benefits were the lack of clear guidelines and interpretations of relevant laws, excessive application documents for approval of clinical research care benefits, and lack of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for applying for clinical research care benefits. However, 47.6%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applying for clinical research care benefi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research, compared to those who chose a negative effect. In addition, improvements in applications for clinical research and care benefits were made in the order of simplification of application methods, improvement of legal systems, and expansion of coverage of clinical research and care benefits, indicating that improvement of the current system is inevitabl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for clinical research and care benefits is necessary for the promotion of clinical research. However,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survey is small, and investigator who plan to prescribe clinical research medical care benefits are not included as subjects, so the interpretation is limited. It is believed that this will pave the way for further research that can affect the direction of work progress and further policy direction by expanding the number of subjects.

      • 임상연구에서의 부수적 발견(IF) 관련 제도 개선방안 고찰 : 유전정보 포함 연구를 중심으로

        조혜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97

        임상적으로 해당 질환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나 징후가 없는 환자에서 진단 목적으로 실시한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증상을 부수적 발견 (Incidental Finding, 이하 IF라 한다)이라 한다. 특히 CT나 MRI 등 의료영상 촬영 도중 의도치 않는 다른 증상이 발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이루어 지고 있어 관련 가이드 등이 어느 정도 제시되고 있는 반면, 연구 영역에서는 아직 IF라는 개념조차 생소해 하고 있고 IF 발견 시에 대한 상황을 고려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미국 대통령위원회 보고서 중 하나인 『ANTICIPATE and COMMUNICATE』(2013)에 따르면, 대규모 유전자 시퀀싱(Large-Scale Genetic Sequencing), 인체유래물 분석(Testing of Biological Specimens), 영상검사(Imaging)를 포함하는 임상연구 진행 시 IF를 확인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임상연구 진행 시 발생할 수 있는 IF를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에 대한 부분은 여전히 의견이 분분하다. 연구 수행 이후 우연히 발견되는 결과를 해당 대상자에게 알려주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지고 있는데, 아직 국내에서는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진이나 연구를 심의하는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 위원, 그리고 잠재적 연구 참여 대상자인 환자 및 가족/보호자에게 아직은 IF라는 용어조차 생소해 하고 있으며, 관련 가이드라인 등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임상연구에서 우연히 확인될 수 있는 IF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연구자, IRB 위원, 환자 및 가족/보호자로 구분하여 임상연구에서 우연히 발견될 수 있는 IF에 대한 인식도 조사와 함께 각 역할별로 어떠한 입장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여 현재의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해 볼 수 있을지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유전체 분석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발전을 이루고 있음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IF 중에서도 유전학적으로 부수적인 발견(Genetic and Genomic Incidental Finding, 이하 GIF라 한다)에 해당되는 GIF에 중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 소재 상급 종합병원인 S병원 소속 연구자와 IRB 위원, 그리고 S병원을 방문하는 환자 및 가족/보호자로 구분하여 총 8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총 79명(연구자 24명, IRB 위원 31명, 환자 및 가족/보호자 24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진과 연구가 적절한지 심의하는 IRB 위원, 그리고 실제 해당 연구에 참여하게 되는 환자 및 가족/보호자들이 연구 과정에서 연구 목적과 무관하게 우연히 발견되는 IF에 대하여 알고 있는지 인식 조사와 더불어 해당 부수적 발견 확인 시 어떻게 처리를 원하는지 등에 대한 각 역할별 입장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다.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연구자나 연구의 윤리적∙과학적 적절성을 심의하는 IRB 위원의 경우 임상연구 진행에 과정에서 우연히 확인될 수 있는 IF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었던 것에 반해, 환자 및 가족/보호자의 경우에는 IF라는 용어조차 생소해 하였고 거의 대부분의 경우 IF에 대해 들어본 적 없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연구자/IRB 위원/환자 및 가족의 역할과 무관하게 모든 입장에서 임상연구 진행 과정에서 발견되는 IF는 대상자에게 알려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다만 IF를 언제 알려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적어도 미국 대통령위원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3가지(대규모 유전자 시퀀싱, 인체유래물 분석, 영상검사)를 포함하는 연구에서는 대상자 설명문에 부수적 발견이 확인될 수 있음을 알리고, 연구 진행 과정에서 IF가 발견되는 경우 대상자가 통지 받기를 원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마련해 둘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는 연구 참여대상자 아웃리치(participant outreach) 일환으로 임상연구에 대한 정보나 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관이 그리 많지 않은데, 환자 및 가족/보호자는 추후 임상연구에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대상자에 해당되므로 각 기관에서는 충분한 임상연구 관련 교육을 통하여 대상자가 임상연구에 대한 지식이 고취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해당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IF 에 대한 환자 및 가족/보호자의 인식 역시 높아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Incidental findings(hereinafter referred to as IF) are previously undiagnosed medical or psychiatric conditions that are discovered unintentionally and are unrelated to the current medical or psychiatric condition which is being treated or for which tests are being performed. Particularly an incidental finding happens with frequency when analyzing medical images such as CT or MRI, etc.; however, IF is not considered in clinical research area yet. According to 『ANTICIPATE and COMMUNICATE』(2013), one of the report published by the Presidential Commission for the Study of Bioethical Issues, a research including large-scale genetic sequencing or testing of biological specimens or imaging has the possibility of giving rise IFs. It is still controversial whether IF should be informed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or not. Researchers, Institutional Review Bo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IRB) members and Patients (or their family/guardian), potential research participants, are not fully aware of IF in Korea, and there are no particular laws or guidelines for IF. That is why this paper deals with the followings: 1) the concept of IF in clinical research, 2) awareness investigation of IF and the stanc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Researchers/IRB members/Patients or their family∙guardian), 3) how to reflect their stance in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clinical research. Especially, as the genetic and genomic research is rapidly developing, this paper focuses more on genetic and genomic incidental findings (GIF).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survey to the researchers, IRB members, affiliated with S hospital, a general hospital in Seoul, Korea, and the patients (or their family/guardian), visiting S hospital. Total of 79 people (24 researchers, 31 IRB members, 24 patients or their family/guardian)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o some degree, researchers and IRB members are aware of what IF is; however, patients or their family/guardian are unfamiliar with IF and most of them have never heard of it. It is interesting that all of the study participants indicate agreement to inform clinical research participants IF, but there are some issues for timing when IF should be informed.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when conducting researches including large-scale genetic sequencing or testing of biological specimens or imaging, participants should be informed about that the research has the possibility of giving rise IF and the participants should make a choice voluntarily of one’s own free will. Furthermore, there is little institution that provides information or education about clinical research as part of participant outreach in Korea. However, since patients or their family/guardian are the potential clinical research participants, institutions should provide information or education about clinical research so as to inspire them to be accustomed to it. With the education program, it is expected that patients or their family/guardian could be more familiar with IF.

      • 몽골 일개 의과대학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 규정 개선방안 : 우리나라 일개 의과대학의 규정 비교를 중심으로

        공혜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87

        Clinical trials ultimately aim to develop medicine, treat diseases through it, and physical well-being of humans and clinical trials on humans should take ethical conditions into account. Since humans do experiments on humans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re is room for danger to occur to the subjects during its process. Hence starting with the enactment of the Nuremberg Code as a result of numerous tragic experiments in which human dignity has not been preserved, it has consistently emphasized the protection of subjects by enacting ethical guidelines for clinical trials. According to international ethical guidelines, research on human subjects must be reviewed in advance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has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the research carried out by each institution and recommends that researchers affiliated with the institution follow the ethical guidelines that must be followed. In this study, each research institutions that conducts research on humans in Korea and Mongolia was selected an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clinical trial were compared and reviewed. It also examined the main contents of international ethical guidelines and analyzed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to see how much the institution's regulations reflects ethical principles centering on clauses related to the study subjects, researchers and govern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ngolia has tried to establish proper research ethics in Mongolia since the concept of research ethics was first introduced in 1997, but the operation regulations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a medical school in Mongolia are mixed with guidelines for clinical experiments and rules for the role and rights of the Board, which required improve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to protect the research subjects,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the researchers, and present ethical guidelines. Second, it was deemed necessary to prepare institution-specific regulations for vulnerable subjects, including the consent of legal representatives, and to provide proper treatment and compensation methods if damaged by research. Third, it is expected to be needed to strengthen the qualification of curriculum as the responsible researcher of the trial by legislating education content and duration including Goo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it was hard to take an in-depth approach, such as identifying gaps between actual oper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based on data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However, there is significance in that the rules on the regulations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n Mongolia that has not been studied could be studied based on international ethical standards. 임상 시험은 궁극적으로 의학의 발전과 이를 통한 질병의 치료, 인간의 신체적 안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인간이 연구의 주체이자 대상이기에 임상 시험 과정에서 대상자에게 위험이 발생할 여지가 있어 윤리적 조건들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우리는 인간의 존엄성이 훼손되었던 여러 역사적 사건을 통해 <뉘른베르크 강령>의 제정을 시작으로 임상시험 윤리 규칙들을 제정하며 피험자 보호에 대해 계속해서 강조해오고 있다. 국제적인 윤리 지침에 따르면 인간 대상 연구를 위해서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사전심의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기관생명윤리위원회는 각 기관에서 수행되는 연구에 대해 가장 일차적인 책임을 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해당 기관에 소속된 연구자가 따라야 하는 윤리 지침을 마련하여 준수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몽골에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 중 기관윤리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는 기관 1개소를 각각 선정하여 임상시험 심의 규정을 비교 ․ 검토하였다. 또한 국제적인 윤리 지침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해당 기관의 심의 규정이 윤리원칙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를 연구대상자 관련 조항, 연구자 관련 조항과 운영 체계 및 거버넌스 관련 조항을 중심으로 심의 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 째, 몽골은 1997년 처음 연구 윤리의 개념이 도입된 이래로 시행 규칙 및 관련법을 개정해 나가며 몽골에 적절한 의료 윤리를 설정하고자 노력해왔으나 몽골 A 의과대학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운영규정은 임상시험을 위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과 위원회의 역할과 권리 규정이 혼재되어 있어 연구대상자를 보호하고 연구자의 책임을 강화하며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개선된 운영 규정 마련이 필요해보였다. 둘 째, 법적 대리인의 동의를 포함한 취약한 피험자에 대한 기관 규정 마련, 연구로 인해 해를 입었을 경우 적절한 치료와 배상 방법 마련 등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적극적인 대상자 보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셋째, GCP 교육을 포함한 최소한의 교육 내용과 기간 등을 법제화함으로써 연구의 진행에 대한 책임자로서의 자격을 강화할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자료 조사와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비교․분석하여 실제 운영과의 간극을 파악하는 등의 심층적인 접근을 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몽골의 기관윤리위원회 운영 규정을 국제적인 윤리기준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연구간호사의 직무만족도

        김 지숙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26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general characteristics, working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t in the research nurses. Centering on S region and K region, it selected randomly hospitals, which are concerned in clinical test,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professionally clinical-test institutions. Targeting 111 nurses who agreed to participating in a research among nurses of working now, the data collection was made through questionnaire from March, 3 to April 5, 2008. The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by the t-test and ANOVA and th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12.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ㆍ Job satisfaction in the subjects was 2.97 marks. Interaction was the highest with 3.58 marks. Professional position(3.31), autonomy(3.17), relationship between doctor and nurse(3.00), request for duties(2.69), wage, and administration were 2.39 marks, respectively,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o be the lowest sequence. ㆍ What showed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was indicated to be a work site, final academic background, and job title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job satisfaction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when working at the professionally clinical-test institution(3.27), having academic background for the college of nursing(3.06), and being a monitor staff(3.25). ㆍ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in the subject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depending on working belonging, employment type, annual salary, and research number. Especially, when the employment type is regular job, the job satisfaction was 3.26 marks in the total average. On the contrary, the number of researches in charge was 2.67 marks in more than 6 researches. Thus, the job satisfaction was surveyed to be the lowest in all the spheres, especially in wage(1.71) and administration(1.92) spheres. Sugges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made as follows; It is regarded as being able to be probably contribute to expanding the nursing sphere as well as securing the research nurses in good quality, with security of social standing that can be differentiated from general nurses, like arrangement for professional educational program, stable employment state, and professionalism, in order to secure the professional position in the research nurses. 본 연구는 연구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근무여건 그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S지역과 K지역을 중심으로 임상시험에 관여하는 병원, 제약회사 및 전문임상시험기관을 임의 선정하여, 현재 근무하는 간호사 중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111명을 대상으로 2008년 3월 3일부터 4월 5일까지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였고,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2.97점이였고, 상호작용 3.58점으로 가장 높았고, 전문적 지위(3.31), 자율성(3.17), 의사간호사관계(3.00), 업무요구(2.69) 그리고 봉급과 행정이 각각 2.39점으로 가장 낮은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만족도 차이를 보인 것으로 일반적 특성에서는 근무지, 최종학력 그리고 직명으로 나타났다. 즉, 전문임상시험기관(3.27)에서 근무하고, 간호대학(3.06)의 학력을 가지고 있으며, 모니터 요원(3.25)일 때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상이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특히, 행정(P<.01), 의사간호사관계(P<.05)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근무여건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근무소속, 고용형태, 연봉, 그리고 연구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특히 고용상태가 정규직일 때 직무만족도가 전체평균 3.26점으로 업무요구를 제외한 모든 영역 즉 봉급(3.02), 업무요구(2.70), 전문적지위(3.71), 행정(3.17), 의사간호사관계(3.19), 자율성(3.25), 상호작용(3.43)에서 고루 만족하는 것으로 이는 연봉 3000만원 이상을 받고 있는 대상자의 직무만족도(평균 3.39)를 제외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그에 반해 담당연구수가 6개 이상이 2.67점으로 모든 영역에서 특히 봉급(1.71), 행정(1.92) 영역에서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연구간호사의 근무여건이 많이 개선되고는 있지만 아직도 여러 영역에서 낮은 직무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행정과 봉급에 관한 낮은 직무만족도는 업무량에 따른 급여수준의 향상과 합리적이고 조직적인 행정체계의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어 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연구간호사의 전문적 지위를 보장하기 위한 전문교육프로그램의 마련과 안정적인 고용상태 그리고 전문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자격증과 같이 일반간호사와 차별화 할 수 있는 신분적 보장으로 양질의 연구간호사를 확보함과 동시에 간호영역의 확대에도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임상 연구 심의에서의 'minimal risk' 판단 기준

        임인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250

        본 연구는 임상 연구의 심의 과정에서 적용되는 개념인 최소한의 위험에 대한 선행 연구 및 규정을 검토하여 최소한의 위험 판단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적용 방향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최소한의 위험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러 관련 개념의 이해를 바탕으로 최소한의 위험과 관련된 논의 쟁점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내/외의 주요 규정 및 지침에 반영되어 있는 최소한의 위험과 관련된 사항들을 정리하여 국내 현 규정의 부족한 부분을 제안하였다.임상시험심사위원회가 최소한의 위험 여부를 판단할 때에 여러 가지 해석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우리들 모두가 경험하는 종류의 일상생활이나 일상 검사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절대적 해석에 따르는 것이 가장 일관된 위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일부 사람들이 부당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최소한의 위험을 약간 넘는 위험의 개념은 소아 대상 연구에서 적용되며,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정도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구의 실험적 특성으로 인하여 치료적 혹은 비치료적 연구로 이분하여 판단할 경우 피험자의 안전과 복지를 보호하는 데에 한계가 발생하므로, 각 연구가 포함하는 여러 중재 절차들 각각을 고려함으로써 위험과 잠재적 이익을 비교 판단하는 것이 합당하다.이와 같은 논의의 결과가 최소한의 위험에 대한 판단 기준을 세우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나, 대부분의 국내/외 규정과 지침들은 위험과 이익의 평가에 대한 원칙적 사항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 주요 기관들의 표준작업지침서 역시 이에 대한 고찰 및 적용이 미흡한 상태이다.최소한의 위험에 대한 판단이 사회에 따라, 또는 연구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최소한의 위험과 관련된 개념의 구체적 정의를 내리고 어떤 해석 방법에 따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지를 결정하여 실제 임상 연구의 심의 과정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이는 피험자의 안전과 복지를 보장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 단계인 위험/이익 평가가 합리적이고 일관적으로 수행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recognizing problems about judging minimal risk and of suggesting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by examining the preceding research and regulations on minimal risk, a concept applied in the process of considering clinical research. Based on understanding several relevant concep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minimal risk, the issues of discussion related to minimal risk were examined. Also, by arranging issues related to minimal risk, which are reflected in main regulations and guidelines at home and abroad, insufficient parts in the current domestic regulations were pointed out.When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s/Ethics Committees make judgments on the existence of minimal risk, several methods of analysis may be applied. However, following absolute interpretation, which judges based on the daily life or routine test in a manner we all experience, one is presented with the most consistent risk criteria, thereby being able to prevent some people from being exposed to unfair risk. The concept of 'Minor Increase over Minimal Risk' is applied to research targeting children, and is desirable to be decided upon according to a level that can be accepted socially. Given judging by dividing into therapeutic or non-therapeutic research due to the experiment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a limitation occurs in protecting the subjects' safety and welfare. Thus, it is reasonable to compare and judge the risk and potential benefit by considering each of several procedures that are included in each research.The results of this discussion will be a help in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judgment for minimal risk. However, most regulations and guidelines at home and abroad suggest only the principal issue on evaluation of risk and benefit. Also, even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for main domestic institutions are in an insufficient state for consideration and application on this.When considering the point that judgment on minimal risk can be applied mutually and differently depending on society or on research, the specific application to the review process of the actual clinical research is required by specifically defining the concept related to minimal risk and by deciding on which method of analysis will be the most reasonable to be conformed to. This will be a help in allowing the risk/benefit analysis to be performed reasonably and consistently, the evaluation being the most basic stage for securing the subjects' safety and welfare.

      • 골다공증 한약제제 임상시험 참여자의 골다공증 한의치료에 대한 인식 : 질적 연구

        안재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37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participant perception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osteoporosis in a clinical trial setting. Methods: 10 patients participating in clinical trial of herbal medicine drug for osteoporosis were included for the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and patient observation. Stud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ase study research” method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velop “within-case analysis” and “cross-case analysis”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Results: Analysis model of patients' osteoporosis management planning was derived from the study. By cross-case analysis, total of 84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were formed. Participant perceptions of osteoporosis were formed by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during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Perceptions of osteoporosis were divided into overlooking the importance or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osteoporosis. Before making treatment decisions for osteoporosis, they evaluated the treatments and weighed the pros and cons. When evaluating the treatment, patients combined their knowledge and existing experience about Korean and Western Medicine treatment. Also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clinical trial influenced the management planning of osteoporosis. Conclusion: Two big reasons for low compliance with osteoporosis treatment were ignorance of the disease and insufficient description by doctors. This qualitative study suggests four strategie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osteoporosis; sufficient descriptions for patients in the clinic and through mass media, promotions for Korean Medical treatments on osteoporosis, management of clinical trial participants and insurance service.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골다공증 한약제제 임상시험에 참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한의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 골다공증 한약제제 임상시험에 참여한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하였으며 심층면담과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례연구조사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사례 내 분석 (within-case analysis)’과 ‘사례 간 분석 (cross-cas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총 84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0개의 범주를 구성하였으며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계획 수립 분석 모형을 도출하였다. 참여자들은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과 골다공증 진단 및 양의치료의 경험을 통해 골다공증에 대한 인식이 형성하였다. 이에 기타 한의 또는 양의치료에 대한 기존 경험과 인식이 더하여 골다공증의 한의, 양의치료에 대한 평가를 하였으며 임상시험 참여 후에 골다공증의 향후 치료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결론 : 골다공증 치료의 순응도를 낮추는 가장 큰 요인은 질환에 대한 환자들의 중요성 간과였으며 이 외에 의사들의 설명 부재도 치료의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에 대한 한의치료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의료인의 적극적인 정보 제공, 골다공증의 한의치료에 대한 홍보, 임상시험 참여자들의 관리, 보험 도입의 네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 Impact of Genetics on Coronary Heart Diseas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and Control

        Hutten, Christina G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ProQuest Dissert 2023 해외박사(DDOD)

        RANK : 232218

        Hypercholesterolemia is a prevalent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CHD) which is a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Hispanics/Latinos. Rates of cholesterol awareness and treatment are low in this population. Genetic risk scores (GRS) have been used in populations of European ancestry to identify those at higher risk for CHD ev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wo previously constructed GRS, 1) to assess their association with prevalent and incident CHD, and low-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levels in a diverse cohort of Hispanics/Latinos 2)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the GRS with LDL control among statin users, and 3) to evaluate whether GRS improves prediction of CHD over traditional risk factors. We utilized baseline and longitudinal data from the Hispanic Community Health Study/Study of Latinos (HCHS/SOL), a prospective study that enrolled 16,415 Hispanic/Latino adults aged 18-74 years from four U.S. communities between 2008-2011. The two GR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prevalent and incident CHD, and LDL cholesterol levels, respectively; however, when stratified by genetic admixture, associations were more robust among participants with higher proportions of European ancestry. The predictive value of traditional risk factors was improved when combined with the GRS for CHD. The GRS associated with LD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DL levels. Among participants taking statins, those at highest genetic risk had the lowest odds of LDL control. Th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additional studies to evaluate and optimize risk prediction using cumulative genetic risk in a diverse Hispanic/Latino population. These findings support the development of Hispanic/Latino-specific GRS for early life risk prediction, mitigation of CHD events and LDL control. Importantly, this study is among the first to investigate GRS associated with CHD, LDL levels, and LDL control within a Hispanic/Latino population and helps to address the dearth of genetic data for an underrepresented population. As precision medicine enters clinical practice,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prevention of widening health disparities among Hispanics/Latinos living in the U.S and for advocating for population diversity in genetic research.

      • Engineering a Robust and Scalable Platforn for the Production of IEILC1-Like Nk Cells, a Novel Solid Tumor Immunothereapeutic Modality

        Horowitz, Nina Beryl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Stanford Universit 2022 해외박사(DDOD)

        RANK : 232201

        While surgery, radiation, and chemotherapy have been the gold standards of cancer treatment for decades, they are severely limited in certain aspects -- not all tumors are operable, and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can damage healthy tissues as well as the cancer cells. Targeted therapy and immunotherapy were hailed as solutions to this, but they also have drawbacks of their own. The first is that they can be extremely expensive, which leads to financial toxicity, and the second is that they can sometimes cause cytotoxicity to healthy tissues or even occasionally kill the patients they are meant to treat. Natural killer (NK) cell-based therapies solve both issues as they exhibit an optimal safety profile and can be given off-the-shelf to lower the cost of production, but their success has been mostly restricted to liquid tumors.Solid tumors account for 90% of all cancer diagnoses and are significantly more difficult to treat due to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tumor heterogeneity, the immunosuppressive tumor microenvironment (TME), and poor immune cell trafficking. Here, I present our work designing NK cells with optimized functionalities for solid tumor indications. We have previously identified a novel population of NK cells with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SCC) patients that maintain an activated and highly proliferative phenotype within the TME and resemble intraepithelial group 1 innate lymphoid cells (ieILC1s) due to their expression of CD49a and CD103. In earlier work, we were able to induce moderate levels of CD49a and CD103 expression on peripheral blood NK cells through injection of the NK cells into subcutaneous tumors or co-culture with live tumor cells -- but these cells were not thoroughly studied in vitro or in vitro, and this functional evaluation is critical for designing solid tumor therapeutics.We designed cell culture systems that can reliably differentiate peripheral blood NK cells into highly pure, clinically relevant doses of ieILC1-like NK cells. This platform design involved comparing media conditions, cytokine exposure, feeder cell ratios, seeding density, and many other variables. We then assessed the ability of these ieILC1-like NK cells to kill target cells, produce inflammatory cytokines, interact with tumor-targeting antibodies and chimeric antigen receptors, and infiltrate solid tumors. Our results show that ieILC1-like NK cells exhibit high cytotoxicity, high production of cytokines, and tumor infiltration rates up to ten times higher than other NK cell products that are currently being tested in the clinic. This cytotoxicity can be enhanced by using antibodies or chimeric antigen receptors in manners similar to conventional NK cells. Furthermore, we established the role of the surface integrin CD103 as a critical molecular regulator of tumor invasion by NK cells. This work represents an important step forward in the design of affordable and accessible cell therapeutics for solid tum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