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설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40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 요인에 관한 주요 가설들을 검증함으로써 우리나라 여성들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임신·출산요인, 그리고, 가치관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0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실태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임신력 조사에서 1998년부터 조사시점까지의 총 임신회수 1,901회를 사용하였으며, 결정요인 분석을 위한 가설 검정에서는 임신중인 건수 289회(15.2%)를 제외한 1,612건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기술적인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여성의 각 요인별 임신, 출산 형태를 파악하였으며, 카이스퀘어 검정을 통하여 우리나라 여성의 인공임신중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로짓분석을 통하여 각 결정요인들의 유의성을 통한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으로 사회, 경제적 요인으로 부인의 교육수준이 전문대이상일 경우 인공임신중절의 확률이 낮아졌으며, 현재 취업여부도 인공임신중절의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여성의 종교는 유의한 결정요인이 아닌 것으로 파악되었다. 임신, 출산 요인의 경우, 1998년에서 2000년도까지의 임신종결 연도가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였다. 1998년도의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다른 연도에 비해 높았던 것을 확인하였다. 임신당시 자녀의 수가 2인 이상인 경우, 원하지 않은 임신일 경우 인공임신중절의 확률이 높아졌다. 임신당시 자녀의 수와 원하지 않은 임신의 여부는 인공임신중절을 결정하는데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들의 여부는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가치관 요인에서 성감별후 태아가 여아인 경우 인공임신중절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우리나라 여성의 인공임신중절 예방을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연구들이 임신, 출산요인과 가치관 요인만을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한 반면, 본 연구는 부인과 남편의 사회, 경제적 요인을 분석에 포함하여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향후 우리나라 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들을 측정하여 요인들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임신 중이었던 결과들을 분석에 포함하여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을분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eterminants of induced abortion among Korean women concerning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the women's fertility, and family values. Data from the 2000 Korea National Fertility Survey by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used for the research. In particular, the women's fertility history from 1998 to 2000 was served as the main data for this study. There were 1,901 pregnancies in total and 1,612 pregnant outcom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e 289(15.2%) cases of the pregnant status.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e results of pregnancies related to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t factors on determining induced abortion were found by Chi-square analysis. Finally, Logit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nd induced abor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men's high educational level was the significant factor reducing the probability of induced abortion. Women in the job market currently had the high probability to terminate their pregnancy by induced abortion. Relig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induced abortion in Korea. The year of pregnant outcomes from 1998 to 2000 showed the strong relation with induced abortions, which implied the social impact on women's fertility.Second, pregnancy with more than 2 children or unwanted pregnanc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induced abortion and, there was a strong interaction between number of children at the time of conception and intention of the conception. However, number of son did not affect the choice of induced abortion from this study. Third, women objecting to induced abortion as the method of selecting male child had the less probability of determining induced abortion comparing to the others. Based on these results, to develop the prevention strategies and the effective family planning policy for induced abortion in Korea this study could serve as a baseline information.

      •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피임실패임신과 임신 당시 사용한 피임유형 중심으로

        곽동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9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bability of induced abortions due pregnancies due to contraception failure among married women and how it affects their status in society, their fertility, and their family values.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Fertility Survey done in 2003 by Korean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was used for the research. Specially, female fertility history from 2001 to 2003 served as the primary source of data for this study.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1,653 pregnancies in all, from this 1,415 pregnanci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238(14.4%) of the total pregnanci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e results of pregnancies related to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induced abortion were found by chi-square analysis. Fi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factors and induced abortion.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female education of at least a middle school level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reducing the probability of induced abortion.Second, women living in urban areas had a significantly reduced probability of having induced abortions.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induced abortions for pregnancies in families with two or more children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se abortions if there was at least one son.Fourth, in pregnancies due to contraception failure there was a much lower likelihood of an induced abortion.Fifth, the type of contraceptive failure that led to the pregnanc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the probability that the pregnancy ended in an induced abortion.Sixth, In contraception failure pregnancies due to the use of permanents contraceptive methods, there was higher likelihood of an induced abortion than wanted pregnancies due to non-use of contraceptive methods.Seventh, when contraception failure pregnancies occurred by using female contraceptive methods, this was stronger indicator for induced abortions than in wanted pregnancies due to non-use of contraceptive methods.Last, women who wanted a son and determined through a physical examination that the sex of the unborn child was male, were less likely to have induced abortion.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uld serve as a baseline to develop strategies for effective family planning policies involving contraception failure pregnancy and induced abortion in South Korea.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을 임신·출산관련 요인을 통하여 임신 당시 피임여부와 사용한 피임유형을 중심으로 임신 당시 피임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피임실패로 인한 임신(피임실패임신)으로 이어진 경우, 임신 당시 사용한 피임방법(실패한 피임방법)별 인공임신중절에 미치는 영향, 임신 당시 사용된 피임방법 중 실패율이 가장 높은 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그 외에 인공임신중절에 미치는 다양한 관계를 인구·사회적 요인과 가치관 요인을 통하여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이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2003년 전국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를 이용하여 임신·출산력부분의 2001년부터 조사종결시점까지의 총 임신횟수 1,653회에서 임신상태인 경우 238회를 제외한 1,415회를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기술적 통계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각 요인별 임신·출산행태를 파악하였으며, 카이스퀘어 검정을 통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최종분석으로 로짓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로짓 분석을 통하여 각 결정요인의 유의성을 통한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분석결과,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으로 인구·사회적 요인 중에서는 거주지역이 중·소도시인 경우,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높다는 것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임신·출산관련 요인의 경우, 2001년에서 2003년까지의 임신년도가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2002년도의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다른 연도에 비해 높았던 것을 확인하였다. 임신 당시 자녀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임신 당시 아들 수 역시 1명 이상부터인 경우 인공임신중절로 이어질 비율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임신 당시 피임여부는 이 연구의 핵심변수로써 임신 당시 피임을 실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피임실패로 인한 임신(피임실패임신)으로 이어진 경우, 임신 당시 피임을 실천하지 않음으로써 희망한 임신으로 이어진 경우보다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높았으며,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매우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피임실패임신으로 이어진 경우의 임신 당시 사용한 피임방법 특성별로는 영구적/반영구적 피임방법, 콘돔, 일시적/기타 피임방법 등의 순으로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높았고, 성별에 따른 피임방법별로는 여성피임방법, 남성피임방법 순으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하였다. 가치관 요인의 경우, 아들의 필요성에 대해 꼭 있어야 한다고 응답한 경우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낮아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남아출산노력여부에 따라서 남아출산노력경험이 있는 경우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피임실패임신과 그로 인한 인공임신중절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기존연구들은 임신·출산관련 요인과 가치관 요인만을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으로 분석한 반면, 이 연구는 피임실패임신인 경우가 인공임신중절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임신 당시 사용한 피임방법별과 인공임신중절의 관계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 중 임신 당시 피임여부와 사용한 피임유형 중심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중국 연변 조선족 여성의 생식보건 실태 연구

        최정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841

        중국 연변 지역은 1960년대 중반의 문화혁명과, 1970년대 이후의 중국 중앙 정부 차원의 인구 억제 정책의 영향을 받아, 자체적인 가족계획사업을 수행하면서 인구자연증가율을 감소시키고, 가족계획실천율을 증가시키는 등, 인구 사업의 양적인 면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기록했다. 그러나 생식보건의 개념으로 대표되는 인구의 질적 수준, 즉, 출산력의 과소 수준, 젊은 연령층의 대도시 이주로 인한 지역적 인구 감소 추세 및 가족 형태의 급격한 변화를 비롯하여, 양질의 생식보건 서비스의 부족으로 인한 원하지 않은 임신 및 인공임신중절율의 증가, 청소년의 요구에 맞는 교육 기회의 부족 등인 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연변 조선족 여성의 생식보건 실태를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일차보건의료지원사업의 효율적인 접근을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연변 지역 조선족의 생식보건 수준 향상을 도모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12개월 간 중국계획생육협회에서 제작한 농촌부녀 생식보건수첩을 대상 지역의 시범 사업소에 배포하여 이 지역의 성인 여성 전수를 대상으로 검진을 실시하고 결과를 기록한 내용을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기록 내용을 항목별로 부호화한 후 SPSS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대상자의 생식 보건 상태는 결혼 상태와, 임신횟수 및 임신종결상태 등의 임신 및 출산 현황, 피임실천방법 및 중단 원인 등을 포함하는 피임 수용 실태, 산부인과 질환 상태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혼연령과 결혼기간, 배우자 유무 등으로 분류하여 조사한 결혼 상태는, 대상자의 98.4%가 유배우부인으로, 평균 22세에 초혼을 하였으며, 결혼 기간은 평균 17.7년으로 나타났다. 성 지식을 교사로부터 배운 경우가 41.8%로 나타났고, 어떠한 경로로도 지도를 받은 적 없는 경우가 51.1%로 조사되었다. 둘째, 임신 및 출산 현황은, 임신을 1회 내지 2회 경험한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비정상 출산으로 인한 임신소모를 경험한 수가 9.5%로 조사되었다. 임신종결상태는 임신 순위가 증가할수록 정상출산이 감소하고, 인공임신중절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세 번째 임신의 48.1%, 네 번째 임신의 70.0%를 차지했다. 분만 지점은 넷째아 이상 출산 시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가정에서 출산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셋째, 피임 수용 실태는 피임사용방법 중 자궁 내 장치가 88.3%로 가장 많이 이용되었으며, 피임 중단 원인은 ‘임신을 하기 위해서’가 73.5%로 나타났다. 피임 시술 사후 검진 결과, 부건염 및 골반염이 1, 2차 검사 각각 6.5%와 8.5%로 발견되었다. 넷째, 산부인과질환상태는 한 가지 이상의 질병 증상을 보인 비율이 41.7%로 나타났으며, 질환 종류는 질 부위 질환이 38.3%, 자궁 경부 및 자궁 질환이 24.6%로 나타났다. Under the influences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the mid 1960s and the central government's population control policy started in 1970s, Yan Bian in China has implemented its own family planning programs in the state level and achieved the quantitative success such as the decrease in the natural population growth rate and the increase in the contraceptive prevalence rate. On the side of qualitative level, however, which is implied by the concept of the 'Reproductive Health', various problems has been witnessed, such as low fertility level, the local population decline and the rapid change in family forms due to the young people's migration to urban areas, the increase of unwanted pregnancies and induced abortions resulted from the lack of reproductive health services of good quality, and the absence of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meeting adolescents' reproductive health needs. With the analysis of the reproductive health status of Korean Chinese women in Yan Bian, I have attempted this study to lead the efficient approaches to the future primary heath care programs in this area and to improve their reproductive health status in the long ru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from the 'Reproductive Health Notes' that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by China Family Planning Association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2 to examine the total number of adult women in the targeted area on their reproductive health status, and to fill out the results. The analysis of these data has been undertaken with using the SPSS program, the version of 11.0. The reproductive health status of the target group was analyzed with sub-categories of marital status, pregnancy and delivery patterns including the number and the types of pregnancy termination, contraceptive use patterns including the methods and the causes of discontinuance, and the state of obstetrics & gynecological illnesses. Described below are the findings of the study. First, the marriage patterns were researched based on the age of the first marriage, duration of marriage, and the presence of spouse, which showed that 98.4% of the total was married who has a spouse, the mean age of the first marriage was 22, and the mean duration of marriage was 17.7 years. 41.8% of the total got sex education from teachers, and 51.1% never had any related information from any sources. Secondly, regarding the pregnancy and delivery patterns, the most women had once or twice of pregnancies and 9.5% of them had experienced postpartum exhaustion. In the type of pregnancy termination, it appeared that as the number of pregnancies increased, the number of normal delivery declined, and the number of induced abortions increased, so 48.1% of their third pregnancy and 70.0% of their fourth pregnancy ended up with induced abortion. The place of delivery was mostly in their houses to deliver babies except for the fourth delivery or later. Thirdly, the contraception prevalence rate in the targeted area was 96.4% and the most widely used method was IUD that 88.3% had taken advantage of. The main reason of contraceptive discontinuance was ''to have a baby'', which was answered by 73.5%. In follow-up examination after the contraceptive operations, 6.5% of paratendinitis and 8.5%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 were found. Fourth, in the OB-GYN examination, 41.7% of the total showed one or more symptom of illnesses, 38.3% of vagina diseases and 24.6% of cervix and uterus diseases were found in specific.

      •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연구 : 사회적 논의 및 사회적 인프라 구축을 중심으로

        이유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87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인공임신중절과 관련된 사회적 논의를 살펴보고,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인공임신중절 감소를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우리나라의 인공임신중절 규정과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문제를 제시하고, 둘째, 인공임신중절 감소와 관련하여 사회에서 논의된 부분을 최근의 이슈를 중심으로 살펴본 뒤, 셋째, 비교제도론적 방법을 사용하여 인공임신중절 예방 대책 마련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형법에서 인공임신중절을 금지하고, 모자보건법에서는 그에 대한 위법성 조각사유로서 허용되는 인공임신중절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허용범위 및 해석에 있어서 여러 단체의 의견이 부분한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발생하는 범죄의 수와 이를 절차상으로 실현하여 형벌권을 집행한 범죄의 수가 현격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낙태 처벌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지켜지지 않고 상당수의 인공임신중절이 이루어지는 등 법과 현실 사이에 커다란 괴리가 있다. 정부가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불법 인공임신중절 문제를 거론하고, 때마침 일부 산부인과 의사들도 그간 불법 인공임신중절을 묵인해온 정부와 인공임신중절 시술의사를 고발하겠다고 나서 논란을 가열시켰고, 이에 대해 대한산부인과의사회, 종교계, 여성계, 법학계, 시민단체 등 각계의 여러 의견이 쏟아져 인공임신중절 문제에 대한 국민과 언론의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다. 인공임신중절과 관련된 사회적 논의 내용을 살펴보면, 인공임신중절을 남발해서는 안 되고 인공임신중절을 줄여야 한다는 점과 이를 위해 출산 및 육아에 대한 국가지원과 사회적 환경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하고 있으나, 인공임신중절 남발을 막을 수 있는 해법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사회내부에서 인공임신중절의 허용범위, 향후의 법률 개정, 처벌기준 등의 인공임신중절 문제를 접근하는 엇갈리는 시선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불법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처벌 강화에 관한 논란이 가열되는 상황에서 이참에 법을 엄격하게 적용해 불법 인공임신중절을 근절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다른 한편에서는 더 큰 부작용이 우려되기에 인공임신중절 문제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 저출산 극복수단으로 낙태에 대한 법적 제재를 강화한다면, 인공임신중절 시술 비용에 위험부담금이 추가될 수 있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군은 낙태가 합법화된 나라로 가서 시술을 받고 오는 해외원정낙태가 성행하며, 그렇지 못한 군은 무자격자가 엉터리 시술을 하는 뒷골목낙태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문제는 한 두 가지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단시일 내에 해결할 수 없는 문제로 이런 상황에서 인공임신중절 감소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를 확충하자는 의견이 가장 합당해 보인다. 우리나라는 인공임신중절 감소를 위한 사회제도는 사전 예방적 차원의 정책보다는 사후 문제해결방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데 문제가 있고, 선진국에 비해 사회적 인프라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출산지원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미혼모의 경제적 자립지원, 미혼모 양육환경 개선, 미혼부 책임 강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출산 친화적인 의료 환경의 구축을 위해 아동수당제도의 도입, 분만관련 수가 현실화, 산과의 접근성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인공임신중절 감소를 위해 학교보건을 통한 성교육이 내실화되어야 하고 대국민 캠페인을 통한 보건의사소통이 증진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