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필라테스 재활프로그램이 호스피스 암환자들의 신체기능, 통증,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이은민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재활프로그램이 호스피스 암환자들의 신체 기능, 통증,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I시에 위치한 B요양병원의 호스피스 암환자들 10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12월까지 필라테스 재활프로그램 적용이 신체 기능, 통증, 살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필라테스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한 호스피스 암환자는 비참여자에 비해 복부 둘레는 차이가 없었다. 필라테스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한 호스피스 암환자는 비참여자에 비해 악력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필라테스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한 호스피스 암환자는 비참여자에 비해 통증이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1회의 재활운동 참여 후에는 통증이 줄어드는 효과를 보였다. 필라테스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한 호스피스 암환자는 비참여자에 비해 삶의 질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폭이 작았다. 전문가 인터뷰 결과 필라테스 재활프로그램이 호스피스 암환자들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필라테스 재활프로그램은 호스피스 암환자의 신체 조성, 신체 기능, 통증,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위의 지표들이 감소하는 폭을 줄이는 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재활운동 프로그램이 호스피스 환자들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의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암환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변인으로 다양한 재활 운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김화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343

        우리나라의 암 사망률은 1980년대 후반부터 전체 사망률 중 제 1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해마다 증가함에 따라 사회문제화 되고 있어서 말기 암 환자의 관리와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은 간단히 신체적인 면 하나만으로 논할 수 없으며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영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이에 대해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고통에 대한 삶의 질을 언급하고는 있으나, 의료사회복지 관점에서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해 실재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말기 암 환자가 경험하는 삶의 질을 이해하고, 말기 암 때문에 파생되는 주요문제와 그에 따른 반응 또는 행동패턴을 설명하는 개념을 추출하며, 실체이론(Substantive Theory)을 개발하여, 의료사회복지사가 현장에서 호스피스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연구는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방법은 말기 암 환자가 실제로 경험하는 삶의 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실재(real existences)를 기반으로 하여 귀납적으로 개념과 이론을 추출하고자하는 본 연구에 적합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말기 암 진단을 받은 성인환자들인 여자 6명, 남자 5명으로 총 11명이었고, 참여자 모두 자신이 말기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환자였다. 자료수집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론적 포화에 이를 때까지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하면서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하였다. 개방 코딩에서는 개념 명명 및 범주화, 축 코딩에서는 패러다임에 따른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을 하였다. 선택 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이야기 윤곽을 적었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의 관련성을 도출한 후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상황모형을 통해 연구와 관련된 광범위한 상황을 고려해 보고 자료를 통한 연구의 전 과정과 결과를 통합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코딩과정을 통해 도출된 개념 및 이론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방코딩 85개의 개념과 33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2. 축코딩 1)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 경험의 인과적 조건은 ‘말기 암 판정 받음’이었고, 중심현상은 ‘저하된 삶의 질’이었으며, 이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부정적 병 인식’과 ‘병의 진행’이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시키거나 억제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주는 중재적 조건은 ‘지지체계’, ‘호스피스 완화의료’, ‘종교성’이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회피’, ‘현상유지’, ‘현실인정’이었으며, 결과는 ‘죽음에 대한 거부’, ‘죽음에 대한 소극적 수용’, ‘죽음에 대한 순응’으로 나타났다. 2) 과정분석 말기 암환자는 ‘저하된 삶의 질’이라는 현상에 대해 ‘재정의 단계’, ‘억제 단계’, ‘정면대결 단계’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을 통해 ‘현실회피’, ‘현상유지’, ‘현실인정’이라는 작용/상호작용에 따른 행동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① 재정의 단계 재정의 단계는 참여자들이 말기 암 판정을 받은 후 현상에 대하여 상호작용하면서 경험하는 첫 번째 단계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말기 암으로 인한 총체적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이 처해있는 상황에 대해 ‘재정의 단계’의 과정을 경험한다. 이 단계에서는 살아야 하는 이유를 찾고, 치료의 가능성과 병 극복의 가능성을 믿고 싶어하며, 다른 치료방법 등을 찾으면서 때로는 생명단축을 시켜달라는 등 수동·공격적인 행동도 나타난다. 따라서 ‘재정의 단계’의 과정을 통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회피’로 나타났다. ② 억제 단계 ‘재정의 단계’를 거친 참여자들은 병의 진행으로 인하여 다가오는 죽음을 막아보기 위해 모든 자극을 피하고 감정을 억누르는 ‘억제 단계’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계에서는 죽음에 대한 생각을 가능한 한 피하고 신체적, 정서적 자극을 감소시키며, 걱정을 분담하기를 원하면서 현재의 상태를 유지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억제단계’의 과정을 통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상유지’로 나타났다. ③ 정면대결 단계 ‘재정의 단계’와 ‘억제 단계’를 거친 참여자들은 어찌할 수 없이 맞서야만 하는 죽음이라는 현실에 대해 ‘정면대결 단계’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정면대결 단계’에서는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고 직시하려고 하며, ‘저하된 삶의 질’ 현상에 대해 정면으로 대응하면서 죽음을 예기(anticipation)한다. 따라서 ‘정면대결 단계’의 과정을 통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인정’으로 나타났다. 3. 선택코딩 선택코딩에서의 핵심범주는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른 여명(餘命)기간의 삶의 질 변화’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유형을 분석한 결과 즉음에 대한 ‘거부형’, ‘소극적 수용형’, ‘순응형’이라는 3유형으로 나타났다. 1) 죽음에 대한 ‘거부형’은 말기 암 판정에 대해 강하게 부정하면서 힘들게 투병하며 여명기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유형은 ‘부정적 병 인식’이 강하고 ‘병의 진행’이 빠르며, ‘지지체계’가 좁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도 부정적인 성향을 보였다. 또한 ‘종교성’은 약하며, ‘현실회피’는 지속적으로 강하게 하고, ‘현상유지’는 일시적으로 하면서도 적극적으로 하고, ‘현실인정’은 끝까지 하지 않았다. ‘거부형’은 여명(餘命)기간 동안 절망감이 심화되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증대됨으로써 여명기간의 삶의 질은 더욱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죽음에 대한 ‘소극적 수용형’은 ‘말기 암 판정’에 대해 긍정은 하였으나 ‘현실회피’를 일시적으로 약하게 하고, ‘현상유지’는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하면서 '현실인정'은 소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유형은 '부정적 병 인식', '병의 진행 속도', '지지체계', ‘호스피스·완화의료’, ‘종교성’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소극적 수용형’은 끝까지 삶에 대한 미련이 강하여 여명기간동안 불안하고 우울한 나날을 지냈으며, 여명기간의 삶의 질이 더욱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죽음에 대한 ‘순응형’은 ‘말기 암 판정’에 대해 긍정을 하고, ‘부정적 병 인식’, ‘병 진행 속도’, ‘종교성’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지지체계’는 넓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는 긍정적이었다. 또한 ‘현실회피’는 일시적이면서 약하게 하였고, ‘현상유지’는 일시적이면서 소극적으로 하였으며, ‘현실인정’은 적극적으로 하였다. 순응형은 여명기간 동안 삶의 정리와 사별준비를 하면서 비교적 안정되고 평안한 마음으로 지냈다. 따라서 여명기간의 삶의 질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의 세 유형을 근거자료와 비교하여, 일치되는 관계진술을 확인한 결과, 결국 거기에서 3개의 가설이 도출되었다. 3개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지지체계가 넓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긍정적인 경우의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른 여명기간의 삶의 질 변화'는 ‘현실회피’, ‘현상유지’, ‘현실인정’의 상호작용을 통해, 죽음에 대한 순응으로 여명기간의 삶의 질이 향상된다.」 2) 「부정적 병 인식이 강하고, 지지체계가 넓고, 호스피스 완화의료에는 부정적인 경우이거나, 부정적 병 인식이 약하고, 병의 진행이 느리고, 지지체계가 좁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는 긍정적인 경우의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른 여명기간의 삶의 질 변화'는 ‘현실회피’, ‘현상유지’, ‘현실인정’의 상호작용을 통해, 죽음에 대한 소극적 수용으로 여명기간이 삶의 질이 더욱 저하된다.」 3) 「부정적 병 인식이 강하고, 병의 진행이 빠르고, 지지체계가 좁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부정적이고, 종교성이 약한 경우의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른 여명기간의 삶의 질 변화'는 ‘현실회피’, ‘현상유지’의 상호작용을 통해, 죽음에 대한 거부로 여명기간의 삶의 질이 더욱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와 같이 말기 암 환자가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른 여명(餘命)기간의 삶의 질 변화’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말기 암 환자가 경험하는 삶의 질 변화과정은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라 여명기간의 삶의 질이 더욱 저하되거나 향상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In South Korea, they tend to be more interested in the management of terminal cancer patients as well as their quality of life, because the mortality from cancers recorded the highest of total mortalities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980's to increase year by year and create so many social problems. The quality of lif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needs to consider not only physical aspects but also psychological, economic, social and spiritual aspects, etc. The studies on terminal cancer patients were concentrated on the quality of life concerning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ains so far, but were not made systematically based on real experi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medical social welfa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ed the quality of life that terminal cancer patients experience; to extract concepts that explain patterns of reaction or action aroused by problems related with terminal cancer; and to develope substantive theory. Thus, the ultimat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rm a medical social worker with an effective way to provide hospice service to terminal cancer patients in the field. The study adopted grounded theory method (Strauss & Corbin, 1998), which was suitable to the study extracting concepts and theories inductively that were based on deep understanding and real existence of the quality of life experienced by the patients.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eleven adult patients, i.e., six of women patients and five of men patients, who were already given terminal cancer diagnosis. Data were collected with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until they were saturate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and data were compared continuously. The open coding consisted of concept naming and category-making, while the axial coding did category analysis as well as process analysis depending upon paradigm. The selective coding consisted of the discovery of core category as well as story outline to classify types after finding category relationship based on core category. Also, I used conditional matrix to consider extensive circumstances related with this research and analysed the data to obtai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findings of the concepts and theories in the coding process are as follows: 1. The Open Coding 13 categories and 33 sub-categories, 85 concepts were generated. 2. The Axial Coding 1) The Category Analysis by Paradigm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experienced the quality of life as follows: The casual condition was ‘being given terminal cancer judgment’, and the central phenomenon was ‘deteriorated quality of life’,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having influence upon the central phenomenon was ‘the negative cognition of the disease’ as well as ‘the progress of the disease’.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the support system’, ‘the hospice·palliative medicine’ and ‘the religious soul’. The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were ‘the escape from reality’, ‘th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the admission of the realities’ and the outcome of the strategies was found to be in order of ‘rejection to death’, ‘passive reception of death’ and ‘adaptation to death’. 2) Analysis of process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three stages, that is, the redefinition stage, the repression stage and the confrontation stage, etc, and to show behavioral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action and interaction of ‘the escape from reality’, ‘th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the admission of the realities’. ① The Redefinition Stage The redefinition stage was the first stage that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i.e., the objects of the study, experienced during the interaction of present situation after being given the judgement of terminal cancer. The patients experienced ‘the redefinition stage’ on their situation to be free from overall pains caused by the cancer disease. They looked for the reasons why to live, and wanted to rely upon the possibilities of disease treatment and overcoming, and looked for other therapies, and sometimes asked for shortened life: In such a way, they showed passive and aggressive behaviour depending upon situation. Therefore, the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in ‘the redefinition stage’ were found to be ‘the escape from reality’. ② The Repression Stage After ‘the redefinition stage’, the patients experienced ‘the repression stage’ that escapes from stimulus and suppresses feeling to avoid approaching death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ancer disease. They made efforts to avoid the ideas on death and reduce physical and emotional stimulus and wanted to share anxiety and maintain a status quo. In this stage, the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be ‘th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③ The Confrontation Stage After ‘the redefinition stage’ and ‘the repression stage’,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the confrontation stage’ at the realities of death which they were forced to face. In this stage, the patients attempted to understand and look the reality in the face correctly, and anticipated death. Therefore, the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in this stage were found to be ‘the admission of the realities’. 3. The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of the selective coding was found to be ‘the changes of quality of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in accordance with the acceptance attitude on death’: The analysis of types focused on core category showed three types: ‘the rejection type’, ‘the passive acceptance type’ and ‘the adaptation type’. 1) ‘The rejection type’ of the patients strongly denied terminal cancer judgment and lived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at their struggle against the cancer disease. This type of patients had strong ‘negative disease cognition’, quick ‘progress of the disease’, narrow ‘support system’ and negative attitudes against even ‘the hospice·palliative medicine’. In addition, they had weak ‘religious soul’, continuously strong ‘escape from reality’ and temporary and ‘positiv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did not admit of the admission of the realities to the end. ‘The rejection type’ worsened hopelessness during the remainder of life, and increased death fear to deteriorate the quality of life during the same period. 2) ‘The passive acceptance type’ of the patients showed affirmative attitudes on ‘the terminal cancer judgment’, temporary and weak ‘escape from reality’, continuous and positiv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passive ‘admission of the realities’. This type of patients were not influenced by ‘the negative disease cognition’, ‘the progress of the disease’, ‘the support system’, ‘the hospice·palliative medicine’ and ‘the religious soul’. ‘The passive acceptance type’ of the patients lived uneasy and depressed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life, and their quality of life was worsened during the same period. 3) ‘The adaptation type’ of the patients showed affirmative attitudes on ‘terminal cancer judgment’ and were not influenced by ‘the negative disease cognition’, ‘the progress of the disease’, and ‘the religious soul’. 'The adaptation type' of the patients, however, had wide ‘support system’, and showed affirmative attitudes on ‘the hospice·palliative medicine’. In addition, this type of patients showed temporary and weak ‘escape from reality’, temporary and passiv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positive ‘admission of the realities’. The adaptation type of patients lived life with rather stable and quiet mind while preparing for death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fe. Therefore, their quality of life was improved during the same period. Also, I compared three types above with grounded data and confirmed the statements of relationship. As a result, three hypotheses were deduced as follows: 1. In case patients have the wide support system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hospice & palliative medicine, patient's quality of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is improv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escape from reality',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admission of the realities' as patients undergo adaptation to death. 2. In case patients have the negative disease cognition, wide support system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hospice & palliative medicine, patient's quality of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is deteriorat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escape from reality’,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admission of the realities’ as patients undergo passive acceptance to death. Also, patients who have weak negative disease cognition, slow progress of the disease, narrow support system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hospice & palliative medicine experience same results. 3. In case patients have strong negative disease cognition, rapid progress of the disease, narrow support system, negative attitudes toward hospice & palliative medicine and weak religious soul, patient's quality of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is deteriorat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escape from reality’,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s patients undergo denial of death. In this pape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the changes of quality of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in accordance with the acceptance attitude on death’: The changes of quality of life experienced by the patients is to deteriorate or improve the quality of life during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depending upon their attitudes of the acceptance of death.

      •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경험과 인식에 관한 사례연구 : 자문형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고주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334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regarding consultation-based hospice care and to understand their main concerns and wishes to provide a framework for future hospice care provision.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mong terminal patients enrolled in consultation-base hospice care of a tertiary hospital based in Seoul.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x men and four women, with an age range of 30-80. Qualitative case study analysis was the chosen method of analysis. Three main categories emerged from the analysis: (a) reaction to terminal diagnosis, (b) understanding of hospice, (c) experiences of hospice care and reflections. In the first category, (a) reaction to terminal diagnosis, three themes were extracted as follows: 'shock and denial', 'acceptance according to individual understanding of situation', 'unescapable longing for life'. The terminal diagnosis came as a shock to the participants with age and religion influencing their acceptance while some still showed a yearning to live or hope regarding recovery. The second category, (b) understanding of hospice, found two opposing themes of 'a place where the meaning of life is lost and death occurs' and 'a thankful place that helps you leave without pain'. To the participants, hospice was regarded as a location rather than a service or program. The third category, (c) experiences of hospice care and reflections, emerged in six themes as follows: 'inaccurate understanding of hospice', 'changes in perspective after entering hospice', 'helpful aspects of hospice care', 'inner resources for perseverance', 'difficulties while in hospice care', ‘hopes and expectations for hospice'. Participants didn't fully understand what hospice was or sometimes confused it with refus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Even participants with previous understanding of hospice expressed fear and depression when actually enrolled. On the other hand, being in a reliable hospital, the consideration and attention towards the patients and the care of various experts were found to be helpful to the participants. The main inner resources that enabled the participants to endure their conditions were self-compassion, faith in God,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limitations of doctors, which helped alleviate false expectations. The main difficulties were uncontrollable pain, fear of death and the feeling of helplessness. The hopes for hospice were for an easy transition to in-patient care with less wait time, having the opportunity to spend time meaningfully, and warm care and interactions from the hospital staff to ease patients' psychological pain.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enrolled in consultation-based hospice after the enactment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ct. Hearing from the participants,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first-hand the aspects of hospice care which proved helpful, and the areas most in need of improvement in order to best help those in their final days. Based on these results, one can obtain practical and applicable information to improve the care of patients in consultation-based hopsice care and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during their enrollment. 본 연구는 호스피스에 등록한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경험과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말기암환자가 호스피스를 이용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고 그 과정에서의 인식과 생각이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향후 호스피스 완화의료 실천과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자문형 호스피스를 실시하고 있는 서울 소재의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2022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호스피스에 등록한 말기암환자 10명을 면담하여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말기 진단에 대한 반응>,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이용경험과 나의 생각>의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말기 진단에 대한 반응> 범주에서는 ‘부정하고 싶은 충격과 상처’, ‘상황 해석을 통한 수용 노력’, ‘살아있는 한 계속되는 삶의 지향’의 주제가 드러났다. 연구참여자들에게 말기 고지는 여전히 생생한 충격이자 상처였으며, 일부는 나이와 신앙의 힘으로 상황을 수용하고자 했고 말기 진단에도 불구하고, 삶에 대한 강력한 의지와 치료에 대한 기대를 보이기도 했다. 두 번째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범주는 크게 ‘삶의 의미가 소멸되고 죽음을 양산하는 공간’과 ‘편안하게 떠날 수 있도록 해주는 고마운 곳’이라는 상반된 이해로 나누어졌다. 참여자들에게 호스피스는 거부와 체념의 대상이거나 삶을 마감할 수 있게 도와주는 공간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호스피스 이용경험과 나의 생각> 범주는 ‘호스피스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 ‘호스피스 당사자의 두렵고 우울한 세계’, ‘나에게 힘이 되는 호스피스’, ‘스스로 견뎌내게 한 내적 자원’, ‘호스피스 당사자로서 겪는 어려움’, ‘호스피스에 대한 바람과 기대’의 6가지 주제로 확인되었다. 참여자들은 호스피스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연명치료 거부와 혼동하기도 했고, 평소 호스피스에 대한 이해가 있어도 막상 호스피스 당사자가 되어서는 두렵고 우울한 마음을 표현하였다. 믿을 수 있는 병원에 있다는 안도감과 환자에 대한 배려와 관심, 그리고 여러 전문가의 돌봄은 참여자들에게 힘을 주는 긍정적 요인이었다.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버텨낼 수 있었던 내적 자원으로는 자기돌봄과 신앙의 힘 그리고 의사가 아닌 스스로 감당해야 됨에 대한 이해가 주되게 작용했다. 또한 호스피스 당사자로서 겪는 어려움에는, 조절되지 못한 통증때문에 괴로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었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호스피스에 대한 바람과 기대로는, 환자가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호스피스 연계와 의미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기회 그리고 환자의 심리적 고통을 경감해주는 따뜻한 돌봄에 대한 희망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이후, 해당 제도하에서 자문형 호스피스에 등록한 말기암환자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본 첫 연구로서, 말기암환자가 호스피스를 이용하면서 가졌던 긍정적인 경험과 어려움 그리고 개선점을 호스피스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하여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자문형 호스피스가 환자의 전원 또는 이용종료까지의 기간 동안 실제로 환자의 삶의 질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찾아가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호스피스 암환자를 위한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김수현 高麗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33343

        연구배경: 호스피스완화의료는 '총체적 돌봄'이라는 개념을 포괄하며 그 목표가 환자와 가족에게 최상의 삶의 질을 추구하게 함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삶의 질'은 호스피스 암환자에서 매우 중요한 관점이다. 하지만, 국내 호스피스 암환자를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삶의 질 측정도구가 없기에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에 맞는 '호스피스 암환자 삶의 질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0세 이상 성인으로 완치를 목적으로 하는 항암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호스피스 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삶의 질 측정도구는 "심층면담 및 기존 도구 고찰을 통한 문항추출", "델파이 설문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한 문항 줄이기" 그리고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의 과정을 거쳐 개발되었다.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를 위해서 2006년 7월부터 9월까지 전국 29개 호스피스 기관의 188명의 환자가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180명의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신뢰도를 위해서는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 및 내적 일치도를 보는 Cronbach's alpha 값을 측정하였다. 구성개념타당도 중 알려진 집단 간 타당도 측정을 위하여 환자의 수행능력(ECOG PS)에 따른 삶의 질 점수의 차이를 분산분석을 통해 조사하였고, 수렴 및 판별타당도 측정을 위해multi-trait scaling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기준타당도 측정을 위해 EORTC QLQ C-30 및 McMaster QLS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호스피스 암환자 삶의 질 측정도구는 13개의 영역을 가지는 40개의 문항으로 결정되었다. 신뢰도는 내적 일치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 값의 범위가 0.43~0.93로 대부분의 영역에서 0.7보다 높았고, 검사-재검사 상관계수의 범위는 0.29~0.83이었다. 또한, 삶의 질 점수는 ECOG 수행능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알려진 집단 간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또한, Multi-trait scaling analysis 결과 수렴 및 판별 성공률이 각각 9개 및 4개의 영역에서 100%로 나타나 구성개념타당도가 입증되었다. 개발된 삶의 질 측정도구(HQLS)의 삶의 질 총점 및 각 영역별 점수가 EORTC QLQ C-30 및 McMaster QLS의 해당 영역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어 기준타당도가 입증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호스피스 암환자를 위한 삶의 질 측정도구(HQLS) 는 한국인 호스피스 암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데 효율적인 도구이며, 그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앞으로 완화적 의료 중재 이후 그 결과를 평가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Quality of life (Qo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caring the hospice patients because the goal of the palliative care is the achievement of the best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QoL questionnaire in hospice patients in Korea. Methods: The hospice cancer patients who were over 20 years old and who had the advanced cancers, which were not responsive to curative treatments, were included. The QoL scale wa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1) item generation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and review of existing scales; 2) item reduction through the expert panel and the Delphi methods 3) the reliability & validity test. Reliability was measured by the test-retest reliability and by internal consistency. Also, the construct validitywas evaluated by multi-trait scaling analysis and the concurrent validitywas done using EORTC QLQ C-30 and McMaster QLS. Results: The final Hospice Quality of Life Scale (HQLS) consisted of 40 questions within 13 domains. Its internal consistency was 0.41~0.93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0.29~0.83. For construct validity, the QoL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ECOG performance status (known-group validity). Convergent success rate was optimal in 9 subscales and discriminant success rate was in 4 subscales. Total and related subscale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ubscales in EORTC QLQ C-30 and McMaster QLS, which supported the criterion validity. Conclusions: HQLS was approved as an efficient tool in assess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spice cancer patients in Korea. I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outcome of the palliative medical intervention.

      •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조사

        최광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343

        말기암환자가 지각한 호스피스자원봉사자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및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자원봉사자의 서비스수준을 높이는 간호중재에 반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말기암환자가 요구하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서비스 요구도와 자원봉사자들이 제공한 서비스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2002년 3월 8일부터 8월 31일까지 호스피스를 시행하고 있는 시 지역의 9개 병원에서 말기 암환자로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서비스를 받았으며, 호스피스를 시행하고 있는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 8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도구는 최상순. 허혜경과 박소미 (2000)가 개발한 자원봉사자의 호스피스활동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PC+ Win 8.0을 이용하여 Frequency, Percent,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는 35점∼261점 범위에 평균 182점, 평균평점 2.68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 평점은 정서적 돌봄 (3.12점), 영적 돌봄 (3.11점), 신체적 돌봄 (2.50점), 사회적 돌봄 (1.80점)의 순이었다. 2.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11점∼256점 범위에 평균 174점, 평점 2.56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 평점은 정서적 돌봄 (2.97점), 영적 돌봄 (2.92점), 신체적 돌봄 (2.53점), 사회적 돌봄 (1.50점)의 순이었다. 3. 말기암환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는 종교 (t=2.11, p=.045)와 학력 (F=6.46, p=. 021)에 따라서, 만족도에서는 종교 (t=2.23, p=.041)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말기암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자원봉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에서는 투병기간에 따라서 요구도 (F=6.75, p=.032)와 만족도 (F=5.48, p=.04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는 순상관 관계 (r=.623, p=.001)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말기암 환자의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는 인간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특히 말기암환자의 요구와 서비스 만족에 초점을 두고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이 구비되어야 하며, 환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descriptive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needs and satisfaction with hospice volunteers' care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hospice volunteers' service and then providing basic data in an effort to increase the level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hospice servic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rch 8, 2002 through August 31, 2002. The subjects consist of 82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ho were given care from hospice volunteers at nine hospice facilities. The research instrument was adapted from the measurement instrument developed by Choi et al, Data were analys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il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using SAS/ WIN 8.0 P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needs hospice volunteers' service: minimum score(35 points), maximum score(261 points), mean score(182 points). Subdivision scores were, in descending order, mental support(3.12 points), spiritual support(3.11 points), physical support(2.50 points), and social support(1.80 points). 2.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satisfaction with hospice volunteers' service: minimum score(11 points), maximum score(256 points), mean score(174 points). Subdivision scores were, in descending order, mental support(2.97 points), spiritual support(2.92 points), physical support(2.53 points), and social support(1.50 points). 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needs for hospice volunteers' service and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hospice service. 4. In view of the demographic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atients' level of needs for hospice service in terms of religion and education level and among the patients' level of satisfaction with hospice service in terms of religion. In view of the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ients' level of needs and their level of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period of struggle against disease. The study found that the highe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needs for hospice service, the higher the patients' level of satisfaction with hospice service. Therefore, research on standardized instrument to measure the level of needs should be done. Hospice volunteers should be educated to understand human beings from a holistic standpoint. In particular, hospice volunteer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provide hospice service while understanding patients' experience and educated to care for the sake of patients.

      • 중국 호스피스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길버트와 스펙트의 분석틀 적용

        이, 아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27

        지금 과학의 발달과 경제 수준의 향상에 따른 생활양식의 변화와 함께 의학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고 만성질환과 말기환자의수가 증가하게 되었다. 경제 수준의 향상 때문에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말기환자들의 고통을 제거하고 편안한 삶을 유지하고자 하는 요구가 팽배되는 시점에 이르렀다. 이러한 말기환자를 돌보기 위해 발달한 것이 호스피스라 하겠다. 국가의 의료와 복지의 목표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이며 복지사회가 추구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이다. 따라서 말기환자의 경우에도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케 하기 위해 사회에서 이용 가능한 인적, 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임종을 앞둔 말기환자들의 마지막 생을 보다 편안하게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인간적인 삶에 대한 배려이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의 개념을 분석하고 호스피스 도입을 위한 제반여건을 조정하여 중국 보건의료체계의 한 부분으로 정착될 수 있는 호스피스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 호스피스 발전을 위해서 무서보다도 먼저 호스피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괴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중국 호스피스 현황에서 문제점을 도출하고 다른 나라의 호스피스현황을 참고하며 중국의 상황에 적합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길버트와 스펙트의 분석들을 적용하여 중국 호스피스 제도를 분석하였다. 이 본석틀은 대상, 급여, 전달체계, 재원으로 나눠서 중국 호스피스의 문제점을 잘 알게 될 수 있다. 호스피스가 효율적인 운영으로 적합한 중국형 호스피스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각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민들이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호스피스 의 이용률을 높아지면 좋겠다. 주요어: 말기 암 환자, 호스피스, 중국 호스피스의 문제점, 길버트와 스펙트의 분석틀 The progress for science and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rapid changes in people's of way of lives. It has also prolonged people's span of lifes, and increased the number of chronological disease and the number of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The higher level of economic well-being has caused people to be concerned about the quality of lives of such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The hospice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take good care of them. The ultimate purpose of medical service and welfare is said to be the improvement of people's quality of lives and the respect of human dignity. Accordingly the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also have the right to be taken good care of. We should have much more consideration in order to make them spend their last lives more comfortably.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concept of hospice system, to describe the present situation of hospice and the medical care for the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in China,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f advanced countries, and to derive some policy implication and policy measures to cope with such problems.   We largely depend upon literature survey for carrying out this research. Most of them are religiously related organization, and are not formally institutionalized as a public health care system. Therefore, no standards have yet been established for the hospice activities and their and their organization. Furthermore, there has not special education program as well as information of the hospice system. Accordingly, there has been very few specialist on hospice and average citizens seldom have the knowledge of hospice.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concept of hospice system, to describe the present situation of hospice and the medical care for the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in China.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legal system as well as policy support should provided in order to activate hospice system. We also suggest that a speci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the education of doctor, nurses, social workers who can work at hospice. Finally, I'm suggest that a very positive public relations programs should be worked out in order to derive wide public support for the early introduc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hospice system.

      • 말기 암환자에서 한의학적 완화치료법 현황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윤해창 대전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26

        배경: 현대 완화의료는 시슬리 손더스 박사가 선도한 호스피스 운동과 함께 시작되었다. 한국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는 다른 국가들보다 일찍 시작되었지만 최근에서야 틀을 갖추고 있다. 이전에 한국 정부는 호스피스·완화의료에 있어서 한의학을 배제한 채 진행하였다. 그러다 2015년 제3차 한의약육성발전종합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여기에 암성 피로와 암성 식욕부진의 한의표준진료지침을 만드는 것이 포함되었다.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현 상태를 파악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의 관점에서 침, 뜸, 한약을 포함한 한의학적 완화치료법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암관리법에 의한 말기환자를 대상으로 영국, 미국, 대만, 일본, 중국과 비교분석하였다. 논문은 2017년 2월까지 출판된 체계적 문헌고찰 가운데, 국외 데이터베이스 중 Pubmed, MEDLINE, ScienceDirect, CINAHL에서 찾았고 국내 데이터베이스 중 한의학연구원에서 운영하는 OASIS에서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완화의료와 침, 뜸 또는 한약으로 영어와 한글로 하였다. 서적과 보고서도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고 각 국의 보건복지부 및 산하 기관, 암 등록통계사업, 호스피스·완화의료협회 및 유관 학회의 홈페이지를 추가로 이용하였다. 검색 결과를 토대로 제목, 초록을 통해 선별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리 및 분석하였다. 결과: 검색 결과 침, 뜸, 한약에 각각 19개, 3개, 15개의 논문이 선별되었으며 모든 부분에서 한국에서 발표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침은 181개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RCT), 10,682명의 환자, 뜸은 23개의 RCT, 1,861명의 환자, 한약은 27개의 RCT, 2,894명의 환자를 포함하였다. 먼저 침 치료는 구역구토와 불안을 감소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암성 피로와 백혈구감소증을 완화하는 데에도 좋았다. 둘째, 뜸 치료는 구역구토와 암성 피로, 백혈구감소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한약 투여는 삶의 질을 높이고 면역 체계의 수치를 향상시키는데 유익하였다. 그러나 이외 일부 증상에 대해서는 상충되는 결과가 있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의학적 완화치료법은 부작용이 없거나 미미하였으며 치료를 받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만족한 결과가 나타났다. 최근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원과 관련 의료진이 증가 추세에 있으나 아직 호스피스·완화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 수에 비하면 그 수가 부족하다. 한의학적 완화치료법을 이용하는 말기 암환자 수도 늘어나고 있으며 환자의 진단 분류도 다양해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의료보험이 충분히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결론: 연구의 결과, 말기 암환자의 증상에 있어서 한의학적 완화치료법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한의학은 완화의료에 있어서 적절한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가 임종을 앞둔 환자들을 위하여 한의학을 더욱 발전시키는데 노력해야 하는 이유이다.

      • 호스피스 환자를 위한 심리상담 모형개발 및 적용

        채유진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3311

        본 연구는 더 이상의 의료적 개입이 의미가 없기 때문에 의료진으로부터 호스피스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 존엄을 유지시키며 얼마 남지 않은 삶을 마무리할 수 있는 기회제공을 위한 심리상담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호스피스 · 완화의료 분야에서 심리상담사는 다학제 팀의 구성원으로써 호스피스 환자를 위한 개발모형의 적용을 통하여 호스피스 환자 개인의 심리(정서), 사회, 영적 완화를 위한 전문적인 심리상담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연구자는 개발모형을 통해 기본 구조의 구축과 적합한 단계 및 과정의 제시를 바탕으로 심리상담 진행과정에서 각 단계에 필요한 상담 내용 구성과 프로토콜 등을 개발하여 접근의 편이성과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김창대 외(2002)가 제시한 프로그램 및 모형 개발을 위한 종합적 모형의 단계(1단계 목표수립, 2단계 프로그램 구성, 3단계 예비연구 및 장기적 효과제고 노력, 4단계 프로그램 실시 및 개선)를 기반으로 연구를 착수하였다. 먼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1단계 목표수립에서 호스피스 기본 이론 및 문헌고찰을 진행하였고, 호스피스 · 완화의료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요구조사(설문지법, 심층 인터뷰법)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법 요구조사는 호스피스 · 완화의료 종사자의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심리상담에 대한 현장 실용 가능여부의 탐색과 기본적 모형에서 필요로 하는 요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심층 인터뷰법 요구조사는 호스피스 · 완화의료 기관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하여 개발모형을 위한 세부적 개입요소와 심층적 탐색을 파악하고 추출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수집된 요구조사 자료(설문지법, 심층 인터뷰법)는 정리, 분석, 추출 과정을 통하여 호스피스 환자를 위한 심리상담 개발모형에서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 및 요인을 바탕으로 기본 구조를 구축하고 단계를 도식화하여 예비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발 예비모형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위해 호스피스 · 완화의료 전문가 및 심리상담 전문가 9인에게 의뢰하여 검증과 평가를 통해 수정 및 보완과정을 거친 후, 1차 최종모형과 참고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1차 최종모형과 참고 매뉴얼은 예비모형과 같이 타당도와 신로도를 위해 위와 같은 관련 전문가 5인에게 의뢰하여 검증과 평가를 통해 수정 및 보완과정을 거친 후, 마지막 최종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발 최종모형은 4단계의 과정 구축되었는데, 1단계는 도입단계(준비단계, 시작단계), 2단계는 전개단계(인식단계, 탐색단계), 3단계는 심층단계(심화단계, 실행단계), 4단계는 종결단계(마무리단계) 추가단계(문서작성단계)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본 개발모형은 호스피스 환자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환자의 증상, 상태, 환경 등에 따라 심리상담자는 다학제 팀과의 협의를 통해 개발모형의 단계, 회기, 시간 등을 유연하고 유동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는 개발모형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호스피스 환자를 모집한 후, 개발모형을 적용하여 질적 연구인 사례연구를 통해 개발모형에 대한 과정, 영향, 효과, 변화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 참여를 희망한 호스피스 환자 4인(남 3인, 여 1인)을 대상으로 환자의 증상, 상태, 환경 등을 고려한 다학제 팀(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 의사/한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종교인, 다양한 분야의 요법 전문가: 재활/물리치료, 심리상담, 음악치료, 미술치료, 원예치료 등)과의 협의결과를 통해 개발모형을 바탕으로 각 연구 참여자에게 맞는 심리상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 개인에게 맞추어진 심리상담이기 때문에 각 사례는 주제에 따라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차이점이 있지만, 사례 간 유사점으로 병원생활을 통해 되찾아가는 안정감, 투병과정에 대한 이야기, 자녀들에 대한 마음, 죽음에 대한 마음과 준비라는 주제를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은 심리상담을 통해 자신의 미해결 문제 해결로 인해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고, 죽음을 앞둔 시점에서 긍정적 대화를 이끌어준 것에 대한 고마움을 느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회상을 통해 과거의 생각 및 정리의 시간을 가지며 삶에 대한 보람과 만족감을 느꼈고 삶에 대한 여한이 없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호스피스 환자를 위한 심리상담 모형은 삶의 마지막 시간을 보내고 있는 호스피스 환자가 존엄의 유지 및 삶의 마무리와 정리 등의 기회제공 받으며 평화로운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 필요한 상담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호스피스 환자를 위한 심리상담 모형과 적용사례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영역에서 심리상담을 진행하는 구성원들에게 활용도가 높은 도구로 작용할 것이고, 호스피스·완화의료 분야에서 심리상담 분야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자리 잡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핵심되는 말 : 호스피스 환자, 심리상담 개발모형

      • (The) Attitude of hospice cancer patients towards life-sustaining treatments mentioned in advance medical directives

        윤호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311

        연구배경: 호스피스는 무의미한 생명연장 보다는 생존기간 중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의 전제조건으로는 환자들의 자율성에 기초한 사전의료지시서의 윤리적, 사회적, 법적 인정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그러나 국내 현실은 아직 사전의료지시서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지 못하였으며, 더욱이 법적인 효력도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입원 당시 호스피스 암환자들이 작성한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연명치료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 및 호스피스 암환자들의 특성과 연명치료 항목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둘째, 호스피스병동 입원 시 작성한 사전의료지시서의 내용과 임종 48시간 이전에 시행되었던 의료중재간의 일치 여부를 평가하는 데 있다. 방법: 2008년 3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완화의료센터에 입원하여 사전의료지시서를 작성한 호스피스 암환자 102명의 전자의무기록을 검토하여, 그 중 사전의료지시서 작성 당시 의식이 명료했던(10≥GCS) 74명을 대상으로 선택항목에 대한 빈도와 환자의 어떤 특성이 항목선택 요인으로 작용하는 지 단변량 로지스틱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고, 그 중 사망한 42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선택과 의료중재의 일치 여부를 대상자 별로 나누어 빈도로 나타내었고, 항목별로는 맥네마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명치료 중에서 CPR 74명(100%), Intubations & Ventilator 74명(100%), Dialysis 71명(97.3%), ICU 71명(95.9%), Drug CPR 70명(94.6%), Defibrillation 73명(98.6%), Anti-arrhythmic Agent 66명(98.2%)로 받지 않겠다고 하였고, Antibiotics 73명(98.6%), TPN 73명(98.6%), Tube feeding 48명(64.9%), Transfusion 65명(91.5%), Lab & Image 69명(94.5%)가 받겠다고 하였다. 호스피스 암환자들의 특성과 연명치료 항목간의 관련성은 유의하지 않았다(p>0.05). 호스피스병동 입원 시,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환자가 선택한 연명치료와 임종 48시간 이전에 시행되었던 의료중재는 일치 여부는 데이터가 빠진 대상자를 제외하고 38명으로 분석하였으며 35명(92.1%)에서 일치하지 않았다. 그 중 환자가 원했던 연명치료가 시행되지 않은 경우가 32명(84.2%)이었다. 항목별로는 Antibiotics, Tube feeding, Transfusion이 유의하게(p<0.05) 일치하지 않았다. 결론: 환자들은 Antibiotics, TPN, Tube feeding, Transfusion, Lab & Image 항목을 연명치료로서 선호하였다. 호스피스 암환자가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선택한 연명치료항목과 임종 48시간 이전에 시행되었던 의료중재는 대부분이 일치하지 않았다. 중심 단어: 호스피스 암환자, 사전의료지시서, 일치, 불일치, 의사결정

      • 국내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호스피스 제도화 방안과 제도화 과정 고찰

        한옥선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311

        Abstract Consideration of the way to institutionalize hospice and the process of hospice institutionalization for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in domestic Han, ok su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Nowadays, med-tech gets developed steadily, and people's living standard gets improved, so many diseases which were incurable in the past are cured and the average span of a man's life is lengthened. Although med-tech made remarkable progress in modern society, many people who died of cancer are about 60,000 a year. Among them, people are spending painful time on dying of acute pain that modern medicine cannot solve in the process of ending their lives with terminal cancer. Therefore, social problem has been expressed about the quality of their life as a human who meets death for a long time. During the past time, hospice system relied heavily on dedicated service of volunteer work and religious groups. In this respect, the thesis has started to study with purpose that hospice system would be much more systematized and institutionalized in the social welfare.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ruth and problem survey of the existing hospice service or concentrating on a theoretical approach. After basically studying the problem and the operation status of hospice in domestic, we analyzed major issues about discussion of institutionalization for hospice and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ing hospice. In addition, we study the way to institutionalize hospice, and we trie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process of domestic hospice institutionalization which is being implemented on a trial basis in 2011. We also researched major issues such as enhancing human right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nd a standard of guidelines. As a result of the study, we knew which part we prosecute in the way of institutionalizing hospice, so hospice system has to be linked between a local community and house hospice. It also has to be a linked service between house hospice and domiciliary care.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raised issues to be reflected to rational and efficient hospice system for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