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양강수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As a part of life's journey and the last developmental stage, death is a universal and inevitable event that everyone encounters without fail. Aspects of death and fear of death, however, vary a lot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death and understanding of death. Therefore, death preparatory education should be offered throughout various stages of the life cycle as a part of Continuing education.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rograms, which can satisfy different age group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ge group's attitude and understanding of death.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each age group's needs about death education programs in the first place, and it served as basis for the succeeding researches. The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rogram would promote right understanding of death, decrease irrational fear of death, and make the rest of one's life more meaningful and vigorous. Besid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a variety of programs in Institute of Continuing education.According to the above purpose, total of 500 adult learners were surveyed who have participated in programs of The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Continuing Education and its related facilities. The result of survey is analyzed by SPSS WIN 12.0 program.The interpretations of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commonly valued contents of death education for all age groups are philosophical cognition such as 'the meaning of death and the value of life,' 'preparation for one's meaningful remaining life,' and 'retrospect of past days, and medical knowledge such as 'prevention of sudden death.'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d,' and 'the hospice education' appeared to be important.Second, death education should be started earlier in diverse age group, and to maximize the effect of learning, death education needs to be operated according to different age groups and gender.Third, death education for the youth and the middle-aged should put emphasis on 'having a new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and the value of life' and 'leading a fruitful life.'Fourth, death education for the middle-aged need to cover both philosophical cognition about death and practical knowledge for unexpected death. That is, 'affirmative concept on death,' 'emphasis on preparation for death,' 'retrospect of past days,' and 'finding a meaning of life' all need to be included.Fifth, death education for the aged require practical knowledge about preparation for death, since they have the highest possibility of a sudden death. 'rediscovery of meaning of death,' and 'reflection of a past life' are most needed aspects of death education for this age group, however, the course should vary in specific goals, formats and duration, depending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uch as education level, economic condition, and family constitution etc.Sixth, considering the gend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d' should be emphasized for the male, while females require to have death education that helps decrease fear of death and lets them find meaning in their remaining lives.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bove, propositions concerning the succeeding study are as the following.First, awareness that death education is necessary should be raised. Thus, there should be more organizations in charge of developing and carrying out death education. Considering professionality of human resources and educational circumstances, Institute of Continuing education belonging to university should assume more active and leading roles.Second, death is a universal and inevitable event that everyone encounters without fail.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preparation of death be practiced as a Continuing education, not only concerning the aged, but for everyone, each in various stages of the life cycle. Hence, the succeeding study should put more effort on developing diverse standards of death education courses, considering the learner' various age groups and gender characteristics. Also,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etween participants having different religions, it is necessary for each religious organization to develop and offer their own death education program.Third, patients on the verge of death need to have special and prudent death education, since health condition is the most crucial factor that decides patients' attitude and behavior about death. Therefore, training experienced experts for this specific need is also necessary. 인간에게 죽음은 삶의 한 여정이자 인간의 마지막 성장단계로 누구나 맞이하게 되는 자연스럽고 필연적인 사건이다. 한 사람의 죽음과 죽음과정의 모습 그리고 슬픔 정도는 그 사람이 살아온 삶의 모습과 일치한다고 한다. 특히 죽음에 대한 이해와 죽음준비의 여부에 따라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죽음의 모습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결국 삶의 여정은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죽음준비교육은 곧 참된 삶을 위한 준비교육이므로 생애 전 과정을 통하여 실시될 필요가 있다.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생애발달에 따라 단계별 특성으로 나타나는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죽음준비 정도를 바탕으로, 연령층별 특성에 적합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를 연구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청장년층, 중년층, 노년층 등 각 연령층별 죽음준비교육의 욕구 및 필요성과 원하는 교육내용을 알아보고, 이에 적합한 죽음준비교육 실시를 통하여 죽음의 올바른 이해와 죽음의 두려움을 줄이고 편안한 죽음을 준비하며 남은 삶을 의미 있고 활기차게 영위하도록 하기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자료를 평생교육원 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서울 Y대학 사회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 수강생들 일부와 관학협동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서울시 구로구와 마포구 지역의 구민 수강생 등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분석 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첫째, 청장년층, 중년층, 노년층 등에 공통적으로 중요시되는 죽음준비교육 내용은 ‘죽음의 의미와 삶의 가치’, ‘의미 있는 여생의 준비’, ‘지나온 삶의 회고와 정리’ 등의 철학적·영성적 인식의 내용들과 ‘돌연사의 의학적 예방’등의 건강·의학적 내용과 ‘노년기의 특성’, ‘호스피스 교육’ 등의 심리적·실질적인 내용들이 우선시 되고 있다.둘째, 죽음준비교육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보다 빠른 시기부터 시작을 하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연령층별 및 성별로 대상을 달리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셋째, 청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죽음준비교육은 죽음에 대한 실제적인 내용보다는 삶과 죽음의 의미에 대한 재인식을 강조하는 내용과 삶의 보람 및 활력을 갖게 하는 내용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넷째, 중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죽음준비교육은 철학적·영성적인 교육내용과 예기치 못한 죽음을 준비하는 실제적인 교육 등의 양면이 동시에 강조된다. 즉,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죽음준비 필요성의 강조, 지나온 삶의 회고와 정리, 남은 삶의 의미와 보람 탐구 등 죽음관련 전반적인 내용이 바람직하다.다섯째, 노년층 대상의 죽음준비교육은 갑작스런 죽음의 위험이 가장 높은 연령층이므로, 죽음의 과정을 잘 맞이하도록 하는 실제적인 내용이 우선 요구된다. 지나온 삶의 회고와 정리, 죽음의 의미의 재발견 등의 내용도 필요한 반면, 교육수준, 경제적 여건, 건강상태, 가족거주상태 등 제반 배경변인별 특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여섯째, 성별특성상 남성에게는 ‘노년기의 특성 이해’가 강조될 필요가 있었고, 여성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죽음은 영원한 삶의 시작’이라는 영성적 인식 경향이 높았으며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죽음준비교육에 참여 의사 및 교육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나, 두려움의 감소와 의미 있는 여생을 강조하는 내용이 요구된다.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첫째,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인식의 확산이 필요하며, 이에 부응하는 프로그램 연구 개발과 교육을 담당할 사회복지관, 종교단체 등 교육기관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학문의 수준, 인적자원의 전문성, 교육 역량의 우수성 등을 감안하여 대학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둘째, 죽음은 노인이나 특정인에게만 찾아오는 것이 아니기에 생애발달 주기에 따른 연령층별, 성별 특성을 고려하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필요하며, 종교적 특성과 차이에 따른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각 종교기관의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운영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셋째, 건강상태는 보다 직접적으로 죽음을 생각하게 하는 요인이어서 죽음을 앞둔 말기환자 등 건강이 나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환자의 여건을 고려한 세심한 교육이 필요하며 숙련된 담당강사의 확보가 필요하다.

      • 죽음準備敎育이 죽음에 대한 態度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방선자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수강생의 죽음준비교육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3개 죽음준비교육기관 수강생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실증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에서는 Likert 10점 척도에서 전체적으로 평균 8.27로 전반적으로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이해는 매우 높게 나타났고, 영역별로 죽음에 대한 준비,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 죽음 간접체험,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의 순으로 교육의 이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태도의 경우 Likert 5점 척도에서 전체적으로 평균 3.74로 ‘조금 그렇다’에 가까이 나타나 상대적으로 죽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두려움, 회피, 위기관리의 순으로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죽음준비교육과 죽음에 대한 태도 등 연구대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정(+)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죽음준비교육간, 또 죽음에 대한 태도 간, 또 죽음준비교육과 죽음에 대한 태도 간에서 한 변수가 긍정적이면 다른 변수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중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에서는 연령별, 종교별로, ‘죽음 간접체험’에서는 경제상태별, 건강상태별로, ‘죽음에 대한 준비’에서는 성별, 직업별로,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에서는 학력별, 직업유무별, 경제상태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넷째, 죽음에 대한 태도 중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서는 경제상태별로, ‘죽음에 대한 회피’에서는 성별, 학력별, 동거형태별로, ‘죽음에 대한 위기관리’에서는 직업유무별, 경제상태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는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가, ‘죽음에 대한 회피’에서는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이, 또 ‘죽음에 대한 위기관리’에서는 ‘죽음 간접체험’와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본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수준을 수강생의 수준과 환경, 배경에 따라 세분화하고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즉, 학교교육 대상인 아동청소년과 대학생 청년층이나, 또는 직장인까지 교육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목적에 맞게 차별화된 교육 내용의 개편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상관관계 분석에도 나타났지만 각 교육내용 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또 각각의 교육훈련 내용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회귀분석을 보면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교육내용이 많다. 이는 사전적인 교육내용 자체는 분별력이 있으나 실제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관계를 보면 각 교육내용의 차별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죽음준비교육의 전문화를 위한 교육내용의 효과성을 촉진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죽음준비교육 내용 중 죽음에 대한 준비는 죽음에 대한 태도에 전혀 영향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와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 간접체험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도 하나의 영역에만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넷째, 학술적인 토의와 수강생과의 피드백을 통하여 한국인의 성향에 맞는 죽음준비교육 내용이 하루빨리 정립되어야 한다. 죽음준비교육이 서구에서 먼저 시행되었기 때문에 교육내용이 그대로 도입된 부분이 많다. 서구의 이성적, 합리적 성향이 강하지만 동양은 종교적, 정서적 성향이 강하므로 이 같은 차이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다섯째, 공교육 안에서 죽음준비교육이 제도화되어야 한다. 미국, 독일과 일본에서는 이미 공교육으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어릴 때부터 죽음준비교육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의 소중함, 삶과 죽음에 대한 문제를 윤리적인 면, 가치관의 측면에서 다루어야 한다.

      •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죽음에 관한 내용분석

        한은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출판되어 통용되고 있는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에 나타난 죽음 대상과 원인, 비탄과정의 반응과 대처, 죽음교육 내용의 범주를 분석하여 죽음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와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국내․외 창작 그림책 중에서 한 사람의 일생을 다루고, ‘죽음’과 밀접한 주제를 가진 그림책 55권이었다. 연구방법은 내용분석으로 내용분석지를 사용하였다. 내용분석지의 내용은 그림책에서 죽음에 대한 비탄반응은 Elizabeth Kubler Ross(1969)와 Worden(1991)의 분류기준을 사용하였고, 죽음에 대한 대처방식은 민하영과 유안진(1998), Band와 Weisz(1988)의 아동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참고로 분류하였으며, 죽음교육 내용은 Barbara Ward(1948)의 「긍정적 비탄」비탄교육 안내서와 Kutner(1988)의 죽음교육 목적을 기준으로 수정・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모두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을 다루고 있는 그림책 속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주인공은 아동이었는데 이는 그림책의 독자인 아동이 보다 쉽게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그림책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대상으로 조부모가 가장 많이 등장하는데 이는 아동이 실제로 죽음을 경험했거나 앞으로 경험할 가능성이 제일 높은 친밀한 존재가 조부모이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그림책에 나타난 죽음의 가장 큰 원인은 자연사나 질병이었는데 아동들이 죽음이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두려운 사건이 아니라 인간이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필연적인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그림책에서 죽음문제에 대한 중심인물의 반응은 죽음에 대한 주인공의 반응은 죽음을 맞이하는 대상, 즉 부모님이나 형제자매, 조부모 등 자신과의 관계성과 상실 체험의 차이에 따라 실로 다양하며 슬픔에 대한 아이의 반응은 고인과의 관계, 발달 수준, 죽음에 대한 개념 등에 따라 제각기 다른 모습을 띠었다. 넷째, 그림책에서 직접적으로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경험하는 아동의 대처방식은 다양한 감정을 겪고 죽음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죽은 이를 완전히 잊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추억하며 이웃이나 친구와 그 슬픔을 나누는 것이라는 평범하지만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다섯째, 그림책에서는 죽음의 개념에 대하여 유아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 죽음에 대한 개념의 하위 요인인 죽음의 인과성, 비가역성, 종말성, 노화성, 필연성이 나타나고 있다.다. 여섯째, 그림책에서는 장례식에 관한 이야기와 그림이 많이 등장한다. 아동들은 장례식처럼 눈에 보이는 형태로, 마지막 이별을 현실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쪽이 깊은 슬픔에 빠져 있는 아동에게 자기 혼자만이 아니라 가족의 일원으로서 어른과 함께 고통을 같이 나누고 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본 연구 결과는 죽음을 주제로 다룬 그림책을 분석하여 그 속에 나타난 죽음개념, 비탄과정의 반응과 대처, 죽음교육의 내용을 보여줌으로서 그림책을 통한 아동의 죽음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또한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죽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감소시키고, 죽음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책임 있는 삶을 영위하도록 하기 위한 죽음 준비교육을 정규교과과정으로 실시하기를 기대한다.

      •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 노인집단을 중심으로

        임찬란 신라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Death is a matter in question that the aged who are nearest aging and death anxiety are facing. Having desirable attitudes about death and positive coping with it are developmental tasks in the later period of life. They are very critical to accomplishing the duty of the whole life and improving the life quality of the same period. In the aging society where more attention and services are given to the old generation, the education of death preparation is mo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hat help old people aged 65 or over have better understanding and attitudes about death and examine effects of the program.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et several research tasks such as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studies about death preparation education, developing a program of the education and determining effects of the program. The program developed here consisted of 6 sessions titled 'Courageous Exploration', 'Man before Death', 'The Contemplation of My Life', 'Blessed Death', 'Future with Hope' and 'Giving the Torch'. The program was applied to 16 old people aged 65 or over for 6 sessions with one session a week based.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 were allowing the aged to firmly establish the view of death and express death with confidence, helping those people reduce death anxiety and develop positive and sound behaviors and providing the old generation with coping skills for contemplating the past part of life and planning hopeful futur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cused on the maximization of death anxiety reduction and death acceptance and improvement in skills of coping with the rest of life. Considering this nation's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which talking about death is tabooed, the program stressed that old people should freely express their emotions about the matter. In addition, the program sought towards improving skills of coping with upcoming death by making better recognized developmental tasks to be accomplished in the later period of life. Second,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surveyed the aged's death anxiety and improving their life satisfaction. Results of pre- and post-tests showed that the mean of scores for death anxiety lowered after the program than before it,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mean of scores for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fter the program from before it, also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us the program had effects of reducing participants' death anxiety and improving their life satisfaction. Third, the program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surveyed old people's ability of better preparing for upcoming death. The participants' self-reports showed that old people surveyed here realized having a desirable view of death would be critical to reducing death anxiety and accepting death and that those people obtained substantial experiences and knowledge necessary for coping better with death. Out of the total the aged surveyed here, albeit aged, 97% favorab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roughout the period of 6 weeks. These educational effects resulted from the emphasis of a new recognition about death in every session of the program, application of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ctivities and feedbacks making possible the learners' expression of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he aged's obtaining experiences and knowledge about death preparation and improvement of their life quality through raising skills of reducing death anxiety and coping better with upcoming death. 죽음의 문제는 노화와 죽음불안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서 있는 노인들이 당면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노년기의 발달과업 중에서 죽음에 대한 올바른 태도와 적극적 대처는 생의 과업을 완성하고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에 대한 관심과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죽음준비교육의 필요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노인 문제에 보다 관심 있게 접근하여 노인기에 속하는 65세 이후 노인들이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연구 현황, 노인기를 대상으로 하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측정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용기 있는 탐험, 죽음 앞의 인간, 나의 인생 훑어보기, 축복의 죽음, 소망이 있는 내일, 횃불을 건네줄게!의 6회기로 구성되었으며, 65세 이상의 노인 16명을 대상으로 주 1회, 총 6회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첫째, 죽음관을 명확히 정립하여 죽음에 대해 자신 있게 표현하게 된다. 둘째, 죽음불안을 완화시켜 긍정적이고 건강한 행동을 발달시킨다. 셋째, 지난 삶을 정리하고 활기찬 미래를 계획할 수 있는 대처능력을 향상시킨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주요내용은 죽음불안 완화 및 죽음수용 극대화, 그리고 남은 노년에 대한 대처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었다. 특히 죽음에 대해 말하는 것을 금기시하는 사회문화적 특성을 지닌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하여 감정의 표현을 강조하였으며, 노년기 발달과제에 대한 인식을 높여 다가올 죽음에 대한 대처능력의 향상을 모색하였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노인의 죽음불안 완화와 생활만족도 향상에 기여하였다. 사전 -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면 죽음불안의 평균점수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모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생활만족도의 평균점수 또한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모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이 참가자들의 죽음불안 감소와 생활만족도 향상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노인들이 다가올 죽음을 적절히 준비할 수 있도록 대처능력 향상에 기여하였다. 참가자의 평가서에 의하면 참가자들은 본 교육을 통해서 올바른 죽음관의 형성이 죽음불안을 완화하고 죽음을 수용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는 것과 다가올 죽음을 대처할 수 있는 경험과 지식을 구체적으로 습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이 노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6주 동안 97%의 출석률과 호응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가 나타난 이유는 죽음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시각을 갖도록 매 회기마다 강조하였고, 다양한 교육방법과 활동, feedback으로 학습자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었기 때문이며, 죽음준비에 대한 간접경험과 지식을 습득하여 죽음불안을 완화하고 다가올 죽음을 대처할 수 있는 힘을 길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 기독교 죽음교육 모형을 위한 종교적 죽음이해 연구

        임준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오늘날 탈종교, 반종교, 무종교로 변해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종교교육의 필요성을 인간의 죽음이라는 공통적 사건을 통해 죽음교육과 접목하여 기독교 신앙적 죽음교육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인간의 죽음이해의 관점을 생물학, 사회학, 종교학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그 중 종교학의 관점으로 다양한 종교들의 죽음이해를 통해 각각의 이론의 근원적인 한계를 파악하고, 기독교만이 가지는 죽음이해의 특색을 살펴보았다. 이는 특정 종교의 우월성을 변증하기 위한 것이 아닌 흩어지는 다원주의의 관점으로 기독교 죽음교육을 제시함으로써 각 종교의 죽음교육의 필요성까지 요청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이 후, 종교의 죽음이해를 통한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우리에게 더욱 필요한 죽음교육의 모형을 위해 각 나라의 죽음교육의 사례들을 종합해 보았다. 이렇게 알아본 죽음교육이 기독교 교육과정 안에 있는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수학습과정, 교수자와 학습자의 구성,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지 그 접점을 찾아보고, 결론적으로 기독교 교육과정 안에서 실제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죽음교육의 모형을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의 5가지 교육목회 모델, 케리그마(Kerygma), 레이투르기아(Leiturgia), 디다케(Didache), 코이노니아(Koinonia), 디아코니아(Diakonia)를 근거로 하여 제안하였다. 기독교 죽음교육의 핵심은 ‘하나님 나라’이다. ‘하나님 나라’가 없는 기독교 신앙은 존재할 수 없다. 기독교 신앙 안에서 온 우주 만물은 하나님이 창조하시고 거하시는 그의 나라이며, 인간은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고, 인간이 현세에서 그 나라의 백성으로 합당한 삶을 살아가다가 생을 마감하면, 내세에 다시 하나님 나라에서의 영원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고 믿고 고백하기 때문에 그렇다. 그러므로 기독교에서 인간의 죽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사건에 동참하는 의미적 사건임을 인지하고, 현재의 삶 속에서 그리스도의 임재와 함께하심을 경험하며 고백함으로써, 어둠과 단절이 아닌 영원한 생명과 소망이 되고, 지금의 삶의 자리에서 감격적인 인생을 살아갈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타인과 소통하며, 서로 공감할 수 있는 개방적인 대화의 형태로 죽음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스도의 사랑과 헌신을 실천하는 마음으로 배제보다는 다양한 종교, 학문과 죽음을 연결하여, 보다 폭넓은 해석학적 토대를 바탕으로 죽음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사회적인 자살과 안락사 등의 현실적인 문제에까지 관심을 기울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는 오늘의 시대 속에서 종교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할 수 있고, 기독교만이 아닌 각 종교의 신념 안에서 죽음교육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어 현재 우리의 삶에서 생명존중 사상과 온전한 자아실현, 삶의 질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게 되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religious education, in particular Christian education, as a necessity through dealing with the condition of death which is common to all humanity. The study will prove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death in today's context of de-religious, anti-religious, and non-religious social changes. The first approach will be to observe death in a biological, social and religious perspectives. Afterwards, the study on death of different religious view points will be made.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t perspectives will enable the distinct perspective of Christianity on the topic of death. However, the objective is not to prove the superiority of the Christian perspective but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death as a whole and that responsibility lies in the arena of religion in general. Therefore the approach of the study is much more pluralistic than pro-Christian. The aim is to prove the necessity of such education in today's modern age. The study will continue to prove the necessity of education of death and the necessity of religion to take up the role of education. The study will observe different ways in which different countries and religion understand and treat the issue of death. The study will finally lead to the Christian perspective on death. The model for education of death will be introduced. The model for education will be borrowed from the 5 points that suggested by Maria Harris. These five points will cover the different aspects of Kerygma, Leiturgia, Didache, Koinonia, and Diakonia. Therefore, the objectives, the contents, preparations, education of teachers, education of students will find their structure from the basis of the model introduced Maria Harris. The Christian education of death will naturally be centered around the 'kingdom of God' because faith of Christianity cannot exist in the absence of 'kingdom of God.' Christian faith relies on the premise that God is the creator of the whole universe, which includes humanity as being made to become his people. Therefore, the life and death of all people is the objective of God's concern. The after life becomes as important as the life on earth. The Christians believe that there is eternal life that is promised to those who find their faith in God. The life that extends into death is what is also part of that kingdom of God. It is in this perspective that the conversation begins. Since all human beings are welcome to such kingdom, the differences and the commonalities of different faiths and understanding can be made and measured. It is through the love and sacrifice of Jesus Christ that Christians can begin to have an open conversation on the education of death. As Christ was inclusive of others, his teachings allow for open discussions with various other religions, scholarships, and wide interpretations on death. These conversations will ultimately lead to discussions on current social issues such as suicide and euthanasia. In conclusion, these discussions and dialogue will prove that there is a necessity of religious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to become a guide in today's modern society. It is the responsibility of all religion to take part in helping the people to understand and to cope with death which is humanities unavoidable issue. Such education will have its effects in the arenas of self-actualization, appreciation for life,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 초등학생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박은실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인간에게 죽음은 전 생애에 걸친 마지막 여정이며, 누구나 다가오는 자연스러운 필연적인 사건이다. 죽음에 대한 이해와 죽음준비의 여부에 따라 죽음의 막연한 두려움과 고통은 개인마다 다르게 다가올 것이다. 죽음준비교육이란 우리의 삶이 기적임을 깨닫고, 삶이 행복한 것이라면 죽음도 막연한 두려움과 고통에서 벗어나 행복하고 아름다운 것임을 시작하게 해주는 교육방식이다. 따라서 학령기단계부터 죽음준비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이란 무엇인가? 둘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개발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목적과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설계 모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의 절차에 따라서 초등학교 5-6학년군 학생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죽음준비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 하여 9단계의 절차적 모형으로 구안하였다. 죽음준비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절차는 ①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② 핵심 개념 및 일반화된 지식 개발, ③ 성취 기준 개발, ④ 6가지 이해의 측면 개발, ⑤ 본질적 질문 개발, ⑥ 핵심 지식 및 핵심 기능 개발, ⑦ 수행과제 및 루브릭 개발, ⑧ 기타 증거 자료 개발, ⑨ 단원 수업 계획의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구안한 모형에 기초하여,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단원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원은 초등학교 5-6학년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원명은 “세상에서의 마지막 순간”으로 설정하였다. 이 단원의 핵심개념은 ‘삶과 죽음’, 일반화된 지식은 ‘다양한 죽음의 의미를 통해 삶에서의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고, 살아가며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을 기른다.’로 설정하였다. 이 단원의 성취 기준은 ‘①가치 있는 삶과 죽음의 관계를 설명 할 수 있다’, ‘② 죽음의 의미를 파악하고 애도하는 마음을 표현 할 수 있다’로 개발하였다. 이 단원의 6가지 이해의 측면은 ‘① 가치 있는 삶과 죽음 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② 삶을 통해 생명의 변화과정과 소중한 이유와 의미를 안다.’, ‘③ 죽음의 성찰을 통해 의미 있는 삶을 실천한다.’, ‘④ 가치 있는 삶과 죽음을 알고 그렇지 않은 삶과 죽음의 다른 관점 이 무엇인지 설명한다.’, ⑤ ‘죽음의 아픔을 겪은 타인에 대한 연민의 마음을 가진다.’, ⑥ ‘애도에 중요성을 알고 타인의 마음을 공감하고 실천한다.’로 설정하였다. 이 단원의 본질적 질문은 ‘죽음이란 무엇인가?’, ‘가치 있는 삶의 의미는 어떤 것일까?’, ‘가치 있는 죽음의 의미는 어떤 것일까?’, ‘상실을 겪은 타인에게 애도는 왜 필요한가?’이다. 이 단원의 수행과제는 첫째, 삶과 죽음의 의미를 알기 위한 역할극, 둘째, 가치 있는 죽음을 알기 위한 신문 만들기, 셋째, 아픔을 겪은 사람들의 마음치유와 생명의 소중함을 느끼게 하는 광고표어 만들기 이다. 수행과제 채점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기타 증거 자료는 구술평가, 토론법, 자기평가를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매력적이고 효과적인 수업 설계 기법인 WHERETO 기법에 따라, 50개의 학습활동을 설정하였다. 이 단원의 분량은 총 15차시 분량으로 구성하였으며, ‘다양한 죽음’, ‘가치 있는 삶’, ‘아픔을 함께 나눠요’ 등으로 제재가 구분 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세상의 마지막 순간’의 단원에 대한 템플릿을 개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중심의 죽음준비교육에서 벗어나 학령기부터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인식을 제고 하고, 이에 대한 관심을 고취 시키고, 초등학교 학생들의 발달단계와 정규 교육과정과의 관련을 통하여 죽음준비교육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초등학생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학령기 단계에서부터 죽음준비교육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셋째, 죽음준비교육에 필요한 인식인 다양한 죽음의 의미와 생명존중, 타인에 대한 연민과 애도방법을 배우는 프로그램개발 연구를 제시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죽음준비교육 및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은 학령기뿐만 아니라 청소년기, 장년기, 노년기를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ea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ath to man is the last journey throughout his life and is a natural inevitable event that is approaching to everyone. Depending on the understanding of death and the preparedness of death, the vague fear and pain of death will be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death education from the "school age" stage.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First, what is death education? Second, how can we develop a death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problems, we developed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death education and program design model. An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the dea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6 was designed. The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as a 9 step procedural model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model. The procedure for the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was consist of ① analysis of curriculum and textbook, ② development of big ideas and enduring understanding, ③ development of standards of achievement, ④ development of six facets of understanding, ⑤ development of essential questions, ⑥ development of core knowledge and skills ⑦ development of performance tasks and rubrics, ⑧ development of other evidence materials, and ⑨ development of unit lesson pla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unit about death education based on the model that the researcher designed. The uni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6, and the unit name was set as "The Last Moment in The World". The big idea of this unit is life and death, and enduring understanding is to find out what is important in life through the meaning of various deaths, and to live their own lifes with cares for other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is unit are that, ① we can explain about the relation between worthwhile life and death, ②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and express mourning. The six facets understanding of this unit are: ① explain the reasons why worthwhile life and death are necessary. ② explain the process of life’s change and precious reasons and meaning through life. ③ practice the meaningful life through reflection about death. ④ analysis about worthwhile life and death, and explain what is different aspects of life and death are. ⑤ empathy for others who have suffered death. ⑥ reflect about importance to mourning, and sympathize and practice others' mind. The essential questions of this unit are "what is death?", "what is the meaning of worthwhile life?", "what is the meaning of worthwhile death?", "why mourning is important for others who have suffered loss? This study was to develop authentic assessment. Authentic assessment was playing role play, making newspaper, making advertising life. In order to obtain the reliability of the authentic assessment task, a rubric was developed. And this study was to develop oral assessment, discussion, and self assessment for the other evidence. This study was to develop 50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WHERETO technique, which is an attractive and effective teaching design technique. This unit consisted of a total of 15 units, and sanctions could be distinguished by various deaths, valuable lives, and sharing pain. Final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template for the Unit of the Last Moment of the World.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it would be fair to say tha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from the point that it raises recognition of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not only for old age, but for school age as well, increases interest about this issue,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death education through relations between a stage of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Secondl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ontributes to systematical death education from the very school age through developing dea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ly, it is meaningful for offering direction of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and death education program by presenting the research of program development, which includes teaching children awareness, such as various meanings of death, respect for life, compassion toward others, and ways how to mourn for the others, that is necessary for death education. Fourthly, the model of advancement of death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in these studies,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rogram not only for school age, but also for adolescent, middle age, and old age.

      • 죽음준비교육이 중장년층에게 미치는 심리적영향연구

        신금주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노인층을 대상으로 실시되어왔던 죽음준비교육을 중장년층에게 조기에 확대실시하고, 죽음준비교육이 중장년층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을 연구하였다. Ⅱ장에서 죽음의 여러 가지 의미를 살펴보고, 죽음과 불안, 주관적 안녕감, 영적 안녕감, 용서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논했으며,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중장년층을 연구대상으로 12회기의 죽음준비교육의 내용과 단계를 살펴보고,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죽음에 관한 불안척도, 주관적 안녕감척도, 영적안녕척도, 용서척도를 프로그램 전후에 실시한 연구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Ⅳ장에서는 죽음준비교육을 전후하여 죽음에 대한 불안, 주관적 안녕감, 영적 안녕감, 용서정도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죽음준비교육은 죽음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며 부적정서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영적 안녕감과 용서정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죽음준비교육의 실천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의 대상을 노년층뿐만 아니라 삶을 활발하게 살아가야하는 더 젊은 시기의 중장년층으로 확대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죽음준비교육의 범위는 죽음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신의 죽음준비뿐 아니라 그 죽음의 과정을 포함하고, 자신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 타인의 죽음 및 과정까지도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는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부적정서를 감소시키나, 정적정서를 높이는 과정을 보완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되어야할 것이다. 넷째, 죽음준비교육이 용서정도, 특히 정적용서인지를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용서와 관련된 프로그램 내용을 보완, 강화함으로써 부정적인 인간관계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대상이 비교적 학력수준이 높고 집단 상담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중장년층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전체 일반에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앞으로 충분한 크기의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연령, 학력, 성별, 지역, 종교 등 다양한 변인에 따른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중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죽음교육의 필요성 연구

        김성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죽음이란 삶과 분리시켜 생각할 수 없는 필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은 항상 죽음의 문제가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죽음에 대하여 거부하는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죽음이 가져오는 공포가 그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런 공포는 인생을 살면서 쉽게 해결할 수 없고, 어린 시절부터 조금씩 조금씩 공포를 이겨내는 방법을 익혀야 공포를 극복할 수 있다. 결국 죽음의 공포는 학습을 통해 극복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학습의 과정을 통하여 조금씩 죽음에 대하여 고민하고 생각을 하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죽음을 두려워하거나 무서워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자신이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된다. 바로 이것이 죽음교육이 필요한 이유인 것이다. 도덕교육의 가장 중요한 영역은 무엇이 도덕적으로 옳고 그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을 길러주는 부분이다. 죽음교육도 죽음에 대하여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인지적 영역이 중요한 영역이며, 이를 토대로 교육을 통해 죽음에 직면한 어떤 상황에서도 올바른 선택을 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죽음교육은 죽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안을 모색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것이 죽음교육의 목적이며, 또한 도덕교육의 목적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도덕과 죽음과의 기본 관계를 전제로 죽음교육에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 영역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개념 인지교육이다. 이는 먼저 죽음에 대한 이해를 해야 하는데, 청소년들은 자아를 찾고, 정서적이며 지적인 측면을 발달시켜야 한다. 이때 죽음교육을 통해 죽음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삶의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죽음개념에 대한 인지교육이며, 이를 통해 삶의 의미를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둘째, 슬픔 치유 교육이다. 사별의 이해를 통해 사별로 인한 슬픔과 비통에 대해 학습하며, 미해결된 비통의 위험성과 인간적 성장의 최후단계로서의 죽음을 이해한다. 또한 죽음을 앞에 둔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나도 언젠가는 죽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주변에서 누군가가 죽어가는 나를 위해 헌신하고 봉사하고 있다면 나는 행복한 죽음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는 마음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이 호스피스 활동인데, 죽어가는 사람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배려는 무엇인가를 고민해 보고, 행복한 죽음을 맞이하기 위한 기본 개념으로 호스피스 봉사의 참다운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셋째, 죽음가치 습득 교육이다. 학생들이 죽음에 대한 계획을 세워보고, 죽음에 대한 가치갈등 상황에 직면 하였을 때 부정, 불안, 분노와 같은 심리적 공황상태에 직면하지 않고, 삶의 가치에 대한 이해를 하여 삶을 더욱 바람직하게 살아가려는 행동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죽음의 가치 습득 교육이다. 넷째, 자살예방교육이다. 요즈음 학생들이 성적을 비관하여 자살을 하는 학생들이 해마다 일어나고 있으며, 유명 연예인의 자살이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충동적으로 자살을 모방하고 있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한 교육이 없다면 학생들은 현재의 어려운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자살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덕과에서 학생들에게 자살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라는 것을 이해시키고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죽음관련 영역을 기초로 죽음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도덕과에서 강화해야 할 죽음교육의 목표를 설정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으로 죽음과 관련하여 갈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치 판단 능력의 신장을 위해 필요한 죽음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인지와 상례예절을 익히고, 다른 나라의 죽음관련 문화도 접해봄으로써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인정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둘째, 일상생활에 부딪히는 많은 문제를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려는 능력과 판단력을 길러야 한다. 셋째, 올바른 죽음 가치 교육을 통해 인류가 진정 바라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이를 일상생활에서 실천함으로써 인류가 안고 있는 첨예한 문제를 극단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보다는 좀 더 유연하고 긍정적이며, 민주적 자세로 문제를 해결 하는 방식을 터득해야 한다. 넷째, 인류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인간만이 아니라 모든 자연물이 함께 공존해야 하므로 인간의 죽음, 뿐만 아니라 다른 자연의 모든 생물의 생명도 소중히 여기는 대승적인 세계관을 갖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인간으로서 바람직한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죽음의 의미를 배우고 익히며, 그에 대한 지식, 정서, 태도를 확립하는 것도 필요한 것이라 하겠다. 죽음 교육을 학교현장에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가르쳐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좀 더 개방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학생들을 지도해야 한다. 또한 죽음교육은 학생들이 죽음에 대한 탐구 활동 및 자율적인 죽음의 경험을 촉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그에 부합하는 적절한 지도 방법과 다양한 학습 자료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가 금기시해온 죽음과 관련된 교육을 도덕과에서 학습해야 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비록 본 연구가 도덕과 교과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을 세분화하여 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 수준에 불과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죽음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숨길 것이 아니라 외부로 표출하고 나타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많은 심리적 변화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죽음교육을 강화함으로써 청소년 스스로 죽음에 대하여 사고하고, 자신의 미래를 심각하게 고민해보며, 현재의 삶을 도덕적으로 살아가는데 조금이라고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Death is inevitable and cannot be separated by life. Every human being h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d life. However, I think the reason people refuse to accept death is the fear that death brings to us. For this reason, since people are unable to overcome the fear, they need to learn about the methods to overcome the fear step by step from the childhood. Eventually, the fear of death can be overcome through learning. When people begin to worry about death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they seriously think about how to spend the rest of their lives by accepting it, not being scared or feeling the fear of death. That is the reason we need death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part of moral education is to develop cognitive ability to make the judge of what is morally right and wrong. Cognitive aspect is also important part in death education to recognize death correctly and on the basis of that,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is to lead people to have a right decision when they face death. In addition, death education offers information about death, seeks alternative choices, and helps people have a happy life. Those are the purposes of death education and the object of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fundamental relations between morality and death, some issues that should be included in death education are as followings; First, it is cognitive education for death concept. As death should be understood, juveniles have to seek self-esteem and develop emotional and intellectual aspects. During the process, they are able to re-recognize the value of life through death education, establishing their values for death and their identities. It is cognitive education for death concept and it provides them with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life. Second, it is education for curing sadness. The purposes of the education are to make people learn about sadness and bitterness by understanding the separation by death, understand the risk of unsolved bitterness and consider death as the last stage of human growth, understand people's minds that are going to meet death, and reinforce hospice activities serving people who is dying since everyone dies sometime. Third, it is education for learning the value of death. When students set a plan and faced the values conflict situations on death, it motivates them to have attitudes for a desirable life, making them understand the value of life, not letting students to face psychological panic such as deny, anxiety and angry. Fourth, it is education for preventing suicide. The number of students who committed a suicide on the rise every year and famous stars' suicide has a negative influence on students that they imitate their suicide impulsively. Without appropriat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ose students, they are apt to choose suicide to escape current difficult situations. Therefore, the moral department should make them understand and educate that suicide is not a desirable behavior. In order to reinforce death education based on the realm of death, the goals of death education that the moral department should reinforce are shown below. First, in order to develop the ability to judge the values that can resolve conflicts related to individual death, students should have attitudes to respect and understand other cultures as learning a correct recognition of death concept and funeral rites and experiencing other cultures related to death. Second, they should build an ability and judgment to solve problems appropriately and reasonably, not attempting to suicide, an extreme way to escape problems that we face every day. Third, through the desirable death education, they should learn about the method to solve problems that human beings have more flexibly and democratically rather than to lead extreme directions by understanding what human beings really want and practicing it in daily life. Fourth, since human beings have to coexist with other natures in order to survive, they should have a broader viewpoint to respect other lives in nature as well as human lives. It is necessary to learn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to have a desirable life and to establish knowledge, emotion, and attitudes for i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by providing death education effectively at school, more open and various methods to teach students are required. Furthermore, death education needs to suggest a variety of situations and apply appropriate guiding methods and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in order to promote research activities for death and have voluntary experience in death.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oral department provide education related to death that modern society considered as taboo and offered plans. Although this study just subdivided the contents in moral text books and suggested plans, death should be expressed and described, not regarding as a negative thing and hiding it. Especially, as death education is reinforced for students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changes,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making them have a moral life, giving juvenile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death and worry about the future by themselves.

      • 통전적 신앙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연구 : 해피엔딩스쿨을 중심으로

        김영효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831

        통전적 신앙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연구 - 해피엔딩스쿨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류에게 찬란한 미래를 약속함과 더불어 자연의 파괴와 인간생명의 위협이라는 그림자를 함께 안겨주었다. 지금 인간의 세계는 ‘상태학적 위기’의 차원을 넘어 ‘총체적 죽음의 위기’에 처하였다. 죽음이 극히 개인의 문제로 사사화 되어 공적 의미를 상실해가고 있다. 그러나 교회의 전통은 죽음은 공적 사건으로 좋은 죽음은 공동체에 큰 가르침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편협하고 왜곡된 죽음 이해를 바로잡고 온전함에 이르는 통전적 죽음준비교육을 지향한다. 먼저 죽음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통해 죽음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고, 각 종교별로 죽음관을 비교연구한 후에 삶의 완성으로서 죽음, 자기 존재의 궁극적 완성으로서 죽음이해를 통해 통전적인 죽음이해를 제시했다. 이후에 죽음준비교육의 사례를 교회사의 전통에서 살펴보고 죽음준비교육의 실례들을 소개함을 통해 죽음에 대한 공적차원의 이해를 넓히는 제안을 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죽음준비교육의 이론적 기초로서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을 통해 죽음은 인간발달의 전 과정을 통해 배우고 가르쳐야 할 중요한 과제이며, 발달의 마지막 단계로 보았다. 그리고 제임스 로더를 통해서는 삶과 죽음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위해 성령의 개입을 통한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후에 죽음준비교육의 방법론적인 근거로 토마스 그룸의 ‘참여와 나눔의 방법’(Shared Praxis)을 제시했다. 토마스 그룸의 이론은 삶의 성찰과 나눔의 과정에의 참여를 통해 죽음의 문제에 대면하도록 안내한다. 이후에 아름다운 마무리와 행복한 죽음을 위한 해피엔딩스쿨을 제시했다. 이 모델은 필자의 교회에서 실시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으로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주일오후에 10주 과정으로 실시한 프로그램이다. 학습자가 삶에서 일어나는 죽음의 문제에 대해 스스로 성찰하고 하나님의 이야기를 통해 죽음에 대한 성서적인 비전을 가지고 다시 삶으로 나아가도록 다양한 활동과 체험, 나눔을 통해 깨달을 수 있도록 했다. 필자의 교회에서 이 프로그램을 실제 실행한 후에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평가를 했고, 죽음주니교육에 대한 제언을 통해 통전적인 신앙을 위한 죽음준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지향점은 죽음에 대한 배제와 회피의 사회현상을 기독교 신앙과 복음 안에서 인간 발달단계의 각 단계에 해결해야 할 발달과업으로 이해하고, 죽음을 통한 삶의 완성, 죽음교육을 통한 삶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해 현재의 삶을 긍정하도록 하는 전인적이고 통전적인 신앙형성을 돕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A Study of Prepare death education For Holistic Faith - With Emphasis on Happy Ending school - Kim Young Hyo Major of Ministry &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Ministry Presbyterian University & Theological Seminar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embraced the shadow of the threat of destruction of nature and human life with promises a glorious future for mankind. Now the human world was put to beyond the dimensions of the 'state chemical crisis' overall death risk'. Death is extremely angry judge to personal problems we are going to lose the public means. But the tradition of the Church is death, death is good at public events gave a great teaching community. this study aims intolerance as far as preparing a holistic education leading to death rectify the distorted understanding of death integrity. First, seek the understanding of death through the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death, and was given the death energized understanding through death understood as the ultimate perfection of death, exists as a complete self-study comparison of life after death pipes each religion . In the case of death after preparation training I saw a proposal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dimension of death through that introduces the example of a report prepared at death education in the tradition of church history. Followed by death through "faith development theory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death of James Fowler, ready to learn through education is an important task to teach the entire course of human development, seen as the final stage of development. And through the James Lauder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change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Holy Spirit to change the perception of life and death. Thomas Groom after the death of preparing a methodology based education presented a 'way of participation and sharing' (Shared Praxis). The theory of Thomas Groom is guided to face the problem of death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reflection and sharing of life. Since the school was given a happy ending for a happy death with a beautiful finish. This model is a 10-week program conducted by the deaths preparatory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to target a Sunday afternoon program conducted by the author of the Church. Learners were asked to help realize themselves reflect on the issue of life and death takes place in a variety of activities and experiences have a biblical vision for the death through the story of God to go back to life, through sharing. We made an assessment of the overall program after the actual execution of this program in my Church, gave the death proposes the possibility of death given for the energizing faith education through the proposals on education. Orientation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ocial phenomenon of exclusion and avoidance of death in the Christian faith and the developmental tasks that need to be addressed at each stage of human development in the gospel stage, completion of life through death to life through death education through a new awareness to help the holistic and energizing faith formation to affirm this life is the purpose of the study.

      • 죽음준비 교육을 통한 노인들의 목회적 돌봄에 관하여

        박돈희 계약신학대학원 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A. 요약 21세기 한국은 고령화 사회이다. 고령화 사회의 노인교육과 목회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고령화 사회 이전의 노인목회와는 다른 모습이어야 한다. 우리 사회도 이제 급속한 과정을 거쳐 후기 산업사회로 전환되고 있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복잡 다양하고 심각한 노인문제를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하여 노인들의 새로운 욕구를 충족하는 보다 신축성 있고 개혁적인 서비스 관계망을 구체적으로 수립해야 하는 이 때이다. 이런 시점에서 죽음 교육을 통한 목회적 돌봄에 관해 연구를 해 보았다. 죽음을 가까이 맞이하는 자들이 바로 노인들이기에 Ⅱ장에서 노인 그들은 누구인가, 노인의 정의와 개념, 성경 속에서의 노인에 대한 이해를 연구 하였으며, Ⅲ장에서는 죽음에 대한 이해와 교육의 필요성으로 죽음이 과연 무엇인가 어떠했을 때 우리는 사람이 죽었다고 할 수 있는가 또한 성경적인 죽음은 어떠한 것인가를 연구해 보았으며 Ⅳ장에서는 죽음과 임종의 심리적 단계 및 이해로 퀴블로 로스(E. Kubler-Ross)가 주장하는 임종 환자가 경험하는 다섯 단계를 고찰해 보았다. Ⅴ장에서는 임종 환자를 위한 목회적 돌봄에서 죽음은 생(生)의 한 가운데서 인간이 직면하는 가장 큰 위기이며 상실이다. 그리스도가 일생을 통해 병든자와 고통 받는 자의 벗이 되었음을 알고, 바울이 말한 “우는 자들과 함께 우시오”(롬 12:15)라는 마음으로 함께 서서 도와주는 지탱의 목회 사역을 감당해야 한다. 또한 죽는 자와 남는 자를 위한 목회적 돌봄에 대해 어떻게 죽어 가는 자와 남은 자들을 위한 사역을 감당해야 하는 가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돕기 위해 고난과 고통에 대하여 적극적인 이해와 함께 부활과 영원한 생명에 대한 확신으로 가득차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죽음은 우리 인간이 대면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모든 인간은 자신에게 부여된 삶을 사는 동안 앞으로 다가올 죽음이라는 사건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어 있고 또한 자신의 삶의 유한성을 인식하며 살아가게 되어 있다. 보베(Bovet)가 말했듯이, “죽음이란 그저 마지막이 아니라 언제나 또한 새로운 시작이다. 저편에 이미 잠들어 있는 자들에게 뿐만 아니라 여기 지상에 남아 있는 자들에게도 그렇다. 목회 현장에서 이러한 사실들을 신빙성 있게 증언하면서 우리는 삶과 죽음에 관하여 올바른 목회 사역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간사회 속에서 한 사람을 돕고 위로하는 도구는 다른 사람들의 따뜻한 관심과 지지 그리고 끝까지 함께 있어주는 관계이며 이것으로 충분하다. 그래서 세상에는 공동체가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 모두는 죽음에 대한 준비를 끊임없이 해야 하며 내 자신뿐 아니라 나의 가족과 친척, 그리고 타인들의 죽음에 대한 준비도 해야 할 것이다. 하나의 현상을 보면서도 어떤이는 부정적으로 보기도 하고 다른 이는 긍정적으로 보듯이 죽음 또한 긍정적인 면에서 용기를 가지고 준비하면 언젠가 자신의 삶을 또 다른 시작으로 인도해 줄 안내자로서 생각하고 유한한 삶 속에서 더욱 더 소중하고 보람되며 가치있게 느끼며 살 수 있을 것이다. B. 제언 죽음은 인생의 가장 충격적인 사건이다. 죽음이란 그것을 내다보고 대비하기를 피하기에는 너무나 중대한 하나의 사건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인과 오늘의 목회현장에서는 이 문제를 주의 깊게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 그저 장례식에 참석하여 예배를 드리는 것으로만 소임을 다 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또한 불교와 유교 사회에서 하나의 금기 사항으로 취급되어 온 성의 문제처럼 말하거나 듣기를 꺼려해 왔다. 이러한 상태는 마치 낙천주의자들이, “죽으면 내가 없고, 내가 있으면 죽음이 없다. 그래서 나와 죽음과는 관련이 없다.”는 식으로 죽음에 대하여 언급조차 하기 싫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오늘의 가정은 핵가족화로 가족의 임종을 알려주지 않고 죽음으로부터 도피하는 비인간화된 가정으로 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병원의 의료진들은 단순히 환자의 통증을 진정시키고 육체적 죽음의 순간을 될 수 있는 대로 지연시키려고 하고 있다. 그러므로 다른 어느 때보다도 고통과 죽음에 관한 교육이 죽는 이와 남는 이에게 행하여질 필요가 절실하다. 왜냐하면 죽음에 대해서 생각하고 이야기하는 것이 우리의 기분을 우울하게 한다고 생각할 이유가 없다. 오히려 죽음에 대한 무지와 공포가 우리의 생생한 삶을 그늘지게 할 수 있다. 우리가 죽음을 제대로 알고, 사실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죽음의 그림자를 지울 수 있으며 우리의 일생이 오히려 그와 같은 공포와 불안에서 해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병원의 병상에서나 목회 현장에서 죽는 이와 남는 이를 올바르게 돌보기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해 본다. 첫째로, 우리사회가 병자, 불구자, 실패자, 노인, 그리고 임종자에게 어떠한 자리를 부여하고 있는가를 관심 있게 보아야 한다. 둘째로, 대부분 임종을 맞이하는 층이 노년층이기에 자신들이 거동할 수 있는 날까지 자신이 스스로 일을 처리하기를 원할 때는 자신의 지혜와 경험을 나눠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며, 또한 죽음을 맞이할 때에도 가능한 품위 있게 죽기를 바라고 있는데 이러한 노인들에게 가족과 교회공동체의 돌봄과 지지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로, 노인들의 영적 감수성의 발달은 교회 내의 여러 치유적인 자원들을 통해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노인들의 톡특성과 은사들을 통해 심방이나 기도모임, 기타 교회내의 봉사활동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서 다른 이들에게 많은 돌봄을 제공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넷째로, 죽음준비 교육을 전문적으로 배운 사역자 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죽음 준비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곳은 삶과 죽음을 생각하는 모임과 기독교 정신을 가지고 있는 기독교 가정 사역 연구소가 있기는 하다. 다섯째로, 모든 세대에 걸쳐 죽음교육이 되어져야 할 것이다. 죽음을 터부시하는 사회적인 경향으로 인해 부모들은 아이들의 다양한 경험들을 통해 제기되어지는 죽음이라는 물음에 대한 적절한 대답을 주지 못하거나 무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이유로 해서 아이들은 죽음에 대해 막연한 공포와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이고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성장하도록 방치하는 셈이 되어 버린다. 이렇게 성장한 이들이 부모가 되어 똑같은 방식으로 자녀들을 죽음이라는 것을 어둡고 두려운 존재로 교육하는 셈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작 자신이 노인이 되어 죽음이 임박할 때 아무런 준비 없이 맞이할 수밖에 없으며 그런 이유로 두렵고 고통스러운 죽음을 맞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 시기에 따른 발달단계에 맞추어 적절한 죽음교육은 매우 필요하며 이러한 교육은 죽음을 맞이하는 그 순간 뿐 아니라 인간의 삶의 전 영역에 걸쳐 인생을 보람 있고 가치 있게 살아가게 하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제공할 것이다. C. 결언 현대의 고령화는 개인적으로는 노년기의 연장을 의미하므로 노년기를 효율적이고 유익하고 보낼 수 있도록 노인들의 사역은 그 중요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점점 고령사회로 변해가는 현실 속에서 적극적인 대응방안으로써 노인사역은 더 이상 한국교회가 간과 할 수 없는 중차대한 의 목회사역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노인 평생 교육을 통해 끊임없는 자기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며, 노인 자신의 전문 영역을 심화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전문가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발휘하게 하며, 차세대 노인들을 위한 교육 전문지도자의 자질과 지역사회 어른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회는 젊은 세대와의 교류증진 및 세대 간의 이해를 통해 세대 차이에서 오는 소외와 고립감을 극복하여 세대 공동체의 모델을 제시함으로 노인들이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균형 있게 가꿀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또한 노인사역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교회 안에 개설해야 하며, 노인교육에 필요한 전문 교역자 및 헌신된 평신도의 자원을 훈련시키고 동기유발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 교회는 노인들에게 기독교 신앙 교육에 중점을 둔 올바른 세계관과 인생관 및 구원의 확신을 갖게 하고 천국과 영생의 소망을 가지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교회는 노인의 영혼을 돌보고 전인적으로 양육하는 센터가 되어야 한다. 교육이란 전인적으로 돌보고 양육하는 것이다. 물론 정부에서도 다각적인 노인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정책도 펴고 예산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큰 틀에서는 항상 사각지대가 있게 마련이다. 이 사각지대를 교회에서 맡아 채워주는 것이다. 노인들을 위해 함께 기도하며, 노래하고, 울고, 웃고, 놀아주며, 나누고, 공부할 때 그리스도 안에서 성장하게 될 것이다. 교회는 노인들에게 영혼의 돌봄의 진정한 공동체를 경험 할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교회 안에서 노인들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고, 가치 있는 존재로서의 존경과 보살핌, 교회의 사역에 공헌한다는 의식과 정서적 지지와 돌봄의 내용들을 계속 인지하며 지속해 나갈 때 그들이 지금까지 살아온 인생 속에 가슴속 깊이 묻어 놓은 한(恨)이 풀어지며, 마지막에 그들의 인생이 꽃피우는 결실을 맺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