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품의 무형성이 소비자의 위험 지각 및 위험감소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조절초점의 조절적 영향

        주선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effect of product's intangibility on risk perception and risk reduction behaviors of consume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 <Abstract> Innovative products which didn't exist previously have been developed and introduced on the market as technological progress. Though products like tablet PCs and smart phones are becoming more common, the range of products is being expanded with appearance of innovative products which have greater difference from existing products. These products are tangible but they have more proportion of intangibility such as online contents and application so the products whose essential functions have perished are increasing when intangible functions aren't done. Therefore, the study on the intangibility of the product is needed.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angibility of the product which is embedded in the product but difficult to confirm as the sense, the intangibility of the product is classified into mental intangibility, general intangibility and physical intangibility.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product's intangibility on the risk perception and risk perception on risk reduction behavior was performed.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duct intangibility and risk percep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320 respondents through the surveys for an innovative product called a robot vacuum, housewives and working married women hold a majority in the respondents. Because most of the users of a robot vacuum are housew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ental intangi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formance risk and psychological risk. It was shown that consumers recognized the risk of product performance, psychological anxiety increased if they didn't do mental understanding about the product. Second, general intangi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formance risk and time risk but it did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financial risk and psychological risk. When consumers didn't understand detailed, accurate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on the product but they recognized what kind of products somewhat, it was shown that they recognized anxiety about the cost or performance but they didn't recognize financial risk and psychological risk. Third, physical intangi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financial risk and performance risk but it did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ime risk and psychological risk. If they didn't see or touch the product, consumers recognized the risk of product psychological anxiety increased and time risk. Fourth, risk reduction behaviors such as information search, brand loyalty, brand image, store imag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when consumers perceived performance risk. As consumers perceived performance risk. You can see that the trust in the brand with improved image affected a lot by established brands which consumers experienced or multiple routes. Fifth, a time when consumers perceived time risk had a negative effect on information search of risk reduction behaviors. And a time when they perceived psychological risk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isk reduction behaviors such as brand image, store image. A time when consumers perceived time loss had a negative effect due to no time to search information, when they perceived psychological anxiety, psychological risk can be reduced through brand image, store image. Six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focus,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focu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al intangibility and time risk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al intangibility and psychological risk. Individuals with a prevention focus strongly perceived time risk and psychological risk about robot vacuum than individauls with a promotion focus.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focus indicated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intangibility and financial ris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intangibility and performance risk. The present study results show that Individuals with a prevention focus strongly perceived financial risk than individuals with a promotion focus in general intangibility. And Individuals with a prevention focus strongly perceived performance risk than individuals with a promotion focus in physical intangibilit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hows how consumers perceived the intangibility of a robot vacuum, how much they perceived, risk reduction behaviors which consumers preferr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s intangibility and risk perception are significant in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regulatory focu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variou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posed.

      • 위험감소요인들과 브랜드신뢰성이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브랜드신뢰성의 개념정리를 중심으로

        최우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구매시에 겪게 되는 여러 유형의 손실위험들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감소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또한 브랜드네임의 능력인 브랜드신뢰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영향력 및 의미정립에 역점을 두고자 하는 것이었다. 최근들어 국내에서 브랜드에 대한 중요성을 많이 생각하여 브랜드자산을 측정하기 위한 모델형성에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아직은 생소한 개념인 브랜드신뢰성이 과연 소비자들의 구매위험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러한 소비자들의 구매위험에 영향을 주는 것에 관한 연구는 주로 위험감소방법 (Risk Reduction Method, Roselius, 1971) 을 통하여서만 진행되어왔는데, 위험감소제거방법으로 사용된 요인들 외에 브랜드신뢰성이라는 더 큰 개념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모형을 확장시켜봤다. 본 연구에 사용된 제품으로는 세계적인 휴대폰 브랜드인 애니콜과 노키아를 대상으로 설문문항을 설계하여 조사를 했다. 왜냐하면 애니콜과 노키아 둘다 세계적으로 판매율이 높지만 국내에서 그 입지는 애니콜이 선두이기 때문에 브랜드충성도와 브랜드이미지 그리고 브랜드신뢰성이 높은 제품과 낮은 제품을 선택하였다. 물론 국내에서의 판매율은 애니콜이 45%, 노키아가 5% 미만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과 설계에 따라 모형을 형성하여 분석한 결과, 가설 1, 2, 3 을 모두 충족시키지는 못하였다. Roselius 에 의해 고안된 위험감소방법 (Risk Reduction Method, 1971) 에서 위험감소요인이 높으면 소비자들의 구매 위험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는 것은 너무도 한정된 경우에만 해당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휴대폰과 같은 특정제품의 경우에는 위험감소요인들 중에서 몇 개만이 유효하기 때문이다. 또한 브랜드네임의 능력인 브랜드신뢰성은 소비자들의 구매위험을 감소시켜줌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가설 3과 브랜드 신뢰성의 개념 재정리에서 설명하였듯이 브랜드네임에 대한 신뢰성은 한 순간에 소비자들의 머리속에 인지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충성도, 브랜드이미지, 쇼핑등을 통해 브랜드에 대한 신뢰성이 쌓여갈때야 비로서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구매위험을 낮춰주는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브랜드신뢰성의 하위개념인 위험감소요인들이 선행되어 소비자들의 구매위험을 낮춰주는 영향을 높여갈수록 차후에 브랜드신뢰성이 중간자 역할을하여 구매위험을 더욱 낮춰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In the recent, Many researcher try to estimate Brand Asset due to the importance of Brand. In Such a study trend, this report is for studying whether brand reliability, that’s new concept, affects perceived-risk of consumer. And the study on that effect was Risk Reduction Method by Roselius in 1971. But this report extends Risk Reduction Method (1971) by adding the concept of Brand-Reliability. The product that collected for survey are world-brand, Anycall and Nokia cellular phone. Because the both of Anycall and Nokia have so high sale-rate in the world. But Anycall is leading product in Korea and Nokia is so so. Due to the reason like this market-share characteristics, I selected Anycall and Nokia that are high and low in Brand Loyalty and Brand Image and Brand Reliability. Absolutely the sale-rates in Korea are Anycall 45% and Nokia 5%. According to those subject and design, the result do not all support hypothesis 1 to 3. In the Risk Reduction Method by Roselius in 1971, Roselius said that the Risk Reduction Factors had negative relation to Perceived Risk of consumer. But such logic is so limited by special product. Because cellular phone product, special product used for this report, have only a few validity for Risk Reduction. But Brand Reliability that is ability of Brand Name reduced perceived risk of consumer so highly. And the Reliability of Brand Name is not perceived instantly in mind of consumer but affect perceived-risk of consumer by the long-term marketing strategies of Brand Loyalty, Brand Image and Shopping etc. In the result, I can say that Risk-Reduction Factors that is sub-concept of Brand Reliability have to reduce perceived-risk of consumer firstly and then Brand Reliability as a mediator will reduce perceived-risk of consumer more highly.

      • 첨단기술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위험지각 및 위험감소전략

        정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급속한 기술의 발달, 정보통신의 대중화와 더불어 시장에서는 하루가 다르게 다양한 첨단기술 제품 및 서비스를 접할 수 있다. 첨단기술 제품 및 서비스들은 기존의 제품과는 다른 새로운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편의와 안락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그 기술이 복잡하고 소비자들의 기존 행동패턴, 관행을 바꿀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첨단기술 제품 및 서비스의 구매시 위험지각 수준이 높고 그로 인해 지각하는 위험을 줄이고자 다양한 위험감소전략을 강구하게 된다. 한편 제품 및 서비스의 기술수준 차이나 소비자의 위험태도에 따라 지각하는 위험유형이나 그 정도가 다를 것으로 예상되며, 그러한 위험지각을 줄이기 위한 소비자의 위험감소행동도 달라 질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하이텍 제품 및 서비스를 구입할 때 소비자들의 위험지각유형과 위험감소전략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기술수준 차이와 위험태도의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보다 세분화된 접근을 시도하였다. 우선 이론적 연구에서 소비자의 위험지각, 위험감소행동, 두 요소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사전조사를 통해 위험지각 측정 항목과 위험감소행동 항목을 개발하였고 이를 토대로 실증적 연구에서는 20-50대 남녀 3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품의 경우 기술수준의 차이, 소비자의 위험태도의 차이에 따라 위험지각유형의 순위에 다소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네 집단 모두 진부화 위험을 가장 높게 지각하였다. 로텍 제품에 비해 하이텍 제품을 구입할 때 인지적, 운영적 위험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로텍 제품의 경우 소비자의 위험태도에 따라 위험지각유형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서비스의 경우 하이텍 서비스를 구입할 경우 인터넷이나 모바일 기기의 보안성, 안전성과 관련된 프라이버시노출 위험을 가장 크게 지각한 반면 로텍 서비스의 경우 진부화, 재정적 위험을 높게 지각하였다. 위험감소전략의 사용도 영향요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기술수준이 높을수록, 소비자가 위험회피자일수록 위험감소전략의 유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우선 제품의 경우 소비자의 위험태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하이텍 제품 구입시 호환성 확인과 광범위한 정보탐색, 비교쇼핑을 선호하였고, 로텍 제품 구입시 편리한 위치의 점포 이용이 유용한 방안으로 나타났다. 위험추구 집단의 경우 고가의 최신모델 구입과 비교쇼핑을, 위험회피 집단의 경우 브랜드 의존, 판매촉진의 활용과 같은 가격전략, 품질보증, 교환·환불, 영수증 보관을 더 선호하였다. 한편 서비스의 경우 위험태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하이텍 서비스 구입시 보안서비스 이용, 호환성 확인, 사용법 익힘 및 시용·테스트가 선호되었고, 로텍 서비스 구입시 편리한 위치의 점포 이용이 유용한 전략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으로 위험회피 집단이 위험추구 집단에 비해 브랜드, 주변인, 가격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각되는 위험유형은 특정 위험감소전략의 활용과 상관계수가 약하기는 하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조정변수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소비자가 지각하는 위험유형을 결정하고 위험지각을 줄일 수 있는 적절한 위험감소전략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기업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의 설정을 돕고, 이익의 극대화를 위한 효율적인 자원배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위험지각의 효과적 감소를 통해 소비자의 초기 구매 및 재구매를 효율적으로 유도하고자 한다. 셋째, 분석에 기술수준의 차이 및 소비자의 위험태도를 고려하여 향후 시장 세분화 연구 및 포지셔닝 전략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Owing to rapid development of recent technologies and popular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e can face lots of high-technology products and services. High-technology products and services offer convenience and comfort to consumers with new innovative technologies different form existing things. However, the technologies are complicated and create a high degree of change in the consumers' day-to-day existence and customs in addition the price is relatively high. Therefore when we consider purchasing the high-technology product and service, the level of perceived risk is high and we try to find various risk reduction behaviour to relieve the risk. While it is anticipated that consumes perceived differently risk types and degree of risk perception by the difference of level of technology and consumer's risk attitude and the same is risk reduction strategies.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rying to find utility of risk reduction strategies by perceived risk types and apply to more segmented approach considering technology level(i.e., high-technology vs. low-technology) and different attitude toward risk (i.e., risk takers vs. risk avoiders). At first, we reviewed the risk perception, risk reduction behaviour and the relationship of the two and then developed items to measure risk dimensions and risk relievers through qualitative study. A quantitative survey was conducted to 381 people aged 20-50 As a conclusion, in products, four groups perceived the highest obsolescence risk. When we purchased high-technology products, cognitive and operational risks were perceived higher than low-technology products.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of perceived risk types by risk attitude when we purchase the low-technology products. While when we purchased high-technology services, privacy exposure risk associated with security and credibility problems of internet and mobile machinery was perceived high on the other hand obsolescence and financial risk were perceived high in low-technology service. The utility of risk reduction strategies were different by influence factors. The higher the level of technology and risk aversion were, the more usage frequency of risk reduction strategies were. In products, confirming interchangeability, extended information search and shopping were preferred when we purchased the high-technology products and choosing a store conveniently located was preferred when we purchased the low tech products. Buying high price and cutting-edge model and shopping were useful to risk takers and major brand image, price, quality warranty, money-back guarantee and exchange, keeping receipt were preferred to risk avoiders. In service, in spite of difference according to risk attitude, using security service, confirming interchangeability, learning the way to use, free sample and test were preferred when we purchased the high-technology service and choosing a store conveniently located was preferred when we purchased the low-technology products. In addition risk avoiders depended on more brand image, price, friends and families than risk takers. Finally,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risk dimensions and risk relievers indicated a weak association and the relationship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technology and risk attitude. This study gives some strategic implications to marketers. At first,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kind of risk types perceived by one's customers and then creating a mix of risk relievers suited for his combination of buyer type and risk dimension, marketers can establish th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nd gain maximum return from the deployment of valuable resources to support their marketing strategies. Secondly, through relieving the perceived risk level, marketers can stimulate non-purchasers to purchase for the first time and existing purchasers to purchase more. Thirdly, this study offers the information for segmentation and positioning studies through analysi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goods and services and risk attitude

      • 의료관광의 위험지각과 위험감소, 참여의도와의 관계연구 : - 중국 잠재고객 중심으로 -

        이효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Medical tourism as a 21st century's leading industry is attracting the attention that it can bring high value-added tourism industries through the various fusion programme in terms of health care and tourism which is the major concern of the people around the world. Though Korea is currently promoting the vitalization of medical tourism, it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and only recently it developes into the form of new business and becomes the subject of academic study, therefore, detailed target research for the people seeking medical tourism is still lacking. Also, the issues on South Korea's relatively poor medical tourism can not only lead into the degradation of quality of the facilities but also to the decrease of the service level of medical tourism workers as well, then it can bring complaints and anxiety about the travel activity itself and, eventually, all these can act as an inhibitory factor to the development of Korea's medical tourism industry.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is going to provide the basic data as a means of driving force to the developments of the tourism products and Korea's medical tourism for the future target market of Chinese tourists by inquiring about the relations between Risk Perception, Risk Reduction Acts and Degree of Participation for the Chinese potential medical tourists, and also by analyzing the geographical experiences in the neighboring countries as well as the way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Korea's medical tourism. In order to achieve the main purpose of these studies, firstly analyzed the impact of the risk perception of medical tourism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secondly, analyzed how does the risk perception affects by the each factors of the risk reduction act of perceived risk. Thirdly, the impact of the risk perception of the medical tourism by each factor of the risk reduction acts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were also analyzed.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analyzing the hypothesis l, that the risk perception of medical tourism will also affect the participation, is tellig us that the risk perception of the potential customers of Korean medical tourism is significantly recognizing the functional and physical risk statistically.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hypothesis 2 that, risk perception of medical tourism will affects by each factor of the reduction acts of risk perceived, showed the fact that physical risk and time loss risk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ase the act of risk perception explored, and in case of reliability of the risk reduction act, financial risk, physical risk, time loss risk, social/psychological risks are relatively important statistically. Third,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the hypothesis 4 that the risk perception of medical tourism will affec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by each factor of reduction acts of risk perceived, it is seen that statistically the navigation of information and recommendation is the mediation, therefore, in case the tourist perceived the risk before participating in medical tourism, if they go through the process of information navigation of risk reduction acts and recommendation, it will affec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significantly. 의료관광은 21세기를 주도할 전략산업으로 전 세계인의 주요 관심사인 건강관리와 관광을 융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관광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산업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의료관광의 경우 의료관광의 활성화를 도모하고는 있지만 아직 초기 단계라 할 수 있고, 최근에 들어서야 의료관광이 새로운 사업형태로 발전되고 학문적으로 연구대상이 되어 의료관광을 찾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세부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열악한 한국 의료관광에 대한 문제점은 시설의 품질 저하뿐만 아니라 동시에 의료관광 종사자의 서비스 수준의 저하로 까지 이어질 수 있어 여행활동 자체에 대한 불안과 불평을 가져 올 수 있으며, 결국 한국형 의료관광산업의 발전에 대한 저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잠재된 의료관광객을 대상으로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위, 참여의도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인접국이라는 지리적 효용성뿐만 아니라 한국의 의료관광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중국인을 표적시장으로 하는 여행상품의 개발 및 한국 의료관광의 원동력으로 삼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주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의료관광의 위험지각이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의료관광의 위험지각이 위험지각 감소행위의 각 요인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셋째, 의료관광의 위험지각이 위험지각 감소행위의 각 요인에 의해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관광의 위험지각은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의 분석결과 한국의료관광의 잠재고객의 위험지각은 기능적 위험, 신체적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관광의 위험지각이 위험지각 감소행위의 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를 분석한 결과 위험감소행위의 정보탐색의 경우, 신체적 위험과 시간손실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감소행위의 신뢰도의 경우, 재무적 위험, 신체적 위험, 시간손실 위험, 사회/심리적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료관광의 위험감소행위가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정보탐색과 추천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료관광의 위험지각이 위험지각 감소행위의 각 요인에 의해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4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위험지각 감소행위의 정보탐색과 , 추천이 완전매개를 한다고 볼 수 있어 의료관광에 참여하기 전에 관광객은 위험을 지각하게 될 경우 위험지각 감소행위의 정보탐색과 추천의 과정을 거치면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용소비자의 헤어관여도가 위험지각 및 위험감소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민혜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1

        미용분야에 대한 관심의 확대와 다양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미용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수준은 높아지고 있고 그들의 다양한 요구가 모두 충족되기를 원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유행추세, 소비자들의 요구와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라 미용 산업은 다양한 소비자들의 만족을 이루어내기 위한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용소비자들의 헤어소비결정과정은 선택의 폭이 매우 넓어 어려움이 있으며 복잡한 과정을 거치고 있다. 소비자가 헤어샵이나 서비스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헤어관여도가 영향을 미치며, 헤어관여도에 따라 결과 또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소비자의 헤어관여도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위험지각이 위험감소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관여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소비자의 행동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며, 미용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이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군집분석, 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성별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20대, 50대, 10대, 30대, 60대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미혼이 기혼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력은 고졸이하, 전문대 또는 대학교졸, 대학원 재학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집분석결과는 고관여와 저관여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고관여가 저관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인분석결과로는 위험지각이 성능적 위험, 심리적 위험, 유행적 위험, 시간적 위험 총 5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위험감소행동의 하위요인으로 과거경험 활용, 정보탐색 활용, 상점이미지 활용, 브랜드이미지 활용의 4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헤어관여도에 따른 위험지각의 차이에 대해 살펴본 결과 성능적 위험, 유행적 위험에 대해 유의한 결과가 나왔으며, 이 두 요인 모두 고관여일수록 위험지각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헤어관여도에 따라 위험감소행동의 차이에 대해 살펴본 결과로 과거경험 활용, 정보탐색 활용, 상점이미지 활용, 브랜드이미지 활용의 4가지 요인 모두 관여도가 높을수록 위험감소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의 상관관계는 금전적 위험지각은 정보탐색 활용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능적 위험지각은 정보탐색 활용, 상점이미지 활용, 과거경험 활용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적 위험은 정보탐색 활용 ,브랜드이미지 활용, 상점이미지 활용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위험은 정보탐색 활용, 상점이미지 활용, 브랜드이미지 활용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행성 위험은 정보탐색활용, 과거경험 활용, 브랜드이미지 활용, 상점이미지 활용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적 위험은 위험감소행동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요즘 사람들은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에 따른 소비가 많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헤어관여도가 높을수록 실패에 대한 위험지각이 높아지고 그 위험을 줄이기 위한 방안인 위험감소행동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험지각이 높을수록 위험감소행동을 활발하게 하여 위험을 줄이고자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미용소비자의 헤어관여도의 세분화된 그룹에 따른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의 형태에 따른 미용현장의 대처방안 수립과 이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flood of various information and the interest in cosmetics, consumers' expectations for beauty are rising and they want their various needs to be met. The rapidly changing fashion trend, changes in consumers 'demands and consumption patterns have demanded a new management paradigm to satisfy various consumers' satisfaction. The process of determining hair consumer consumption by beauty consumers is very complex and difficult because of the wide choice. Hair involvement influences consumers' decision to make a hair shop or service, and results will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hair involv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hair involvement of beauty consumers and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perception on risk reduction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on consumer behaviors that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involve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inding competitive ways in the beauty market. Self - entr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analysis, cluster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s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sex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and the age was in the order of 20s, 50s, 10s, 30s, 60s. The marriage status was higher than that of married person, and the education level was in the order of lower than high school, college or college graduate, and graduate school. Second, cluster analysis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high involvement and low involvement groups, and high involvement was more than low involvement. Third,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risk perception was identified as five factors including performance risk, psychological risk, epidemic risk, and temporal risk, and sub - factors of risk reduction behavior were past experience utilization, information search utilization, And brand image utilization.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risk perception according to hair involv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about performance risk and epidemic risk, and the higher involvement of both factors showed the higher the risk perception.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risk reduction behavior according to hair involvement, all of the four factors of experience utilization, information search utilization, store image utilization, and brand image utilization showed higher risk reduction behavior as the involvement was higher. Sixth, the correlation between risk perception and risk reduction behavior showed that the financial risk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formation search utilization, and the perceived performance risk perception was related to information retrieval utilization, store image utilization, (+) Correlation, and temporal risk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ormation search utilization, brand image utilization, and store image utilization. Psychological risk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ormation retrieval utilization, store image utilization, and brand image utilization. Pandemic risk was related to information retrieval utilization, past experience utilization, brand image utiliz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factors. Pandemic risk is significant in all of the factors of risk reduction behavior, and nowadays people can be aware that they are sensitive to the fashion and consumption is high. In this study, the higher the involvement of the hair, the higher the perceived risk of failure and the risk reduction action, which is a measure to reduce the risk, increases. In addition, the higher the perceived risk, the more active the risk reduction action and the risk redu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to cope with beauty perception according to the risk perception and risk reduc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subdivided group of hair involvement of beauty consumer and to use marketing strategy.

      • 아동복 주부소비자의 위험지각, 위험감소행동, 구매 후 만족에 관한 연구

        최수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복 중 코트 구매시와 면티셔츠 구매시 주부소비자의 위험지각, 위험감소행동, 구매 후 만족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주부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자녀의 특성, 의복구매행동 수준에 따른 위험지각, 위험감소행동, 구매 후 만족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방법을 사용했으며, 피험자간 설계로 이루어졌다. 서울에 거주하며 초등학생을 자녀로 둔 주부를 대상으로 코트 216부와 면티셔츠 213부로 총 429부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Package Program을 사용하였고, 요인분석, 집단 분류분석, 평균값, 빈도분석, 표준편차, t-test, 백분율, ANOVA, Duncan's test, 피어슨 상관계수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아동복 주부소비자의 코트 구매시와 면티셔츠 구매시 위험지각, 위험감소행동, 구매 후 만족을 요인분석 한 결과 위험지각은 경제적 위험, 성능적 위험, 사회심리적 위험, 신체적합적 위험, 시간 및 편의성 손실위험의 5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위험감소행동은 방송매체 정보원, 대인적 정보원, 관찰 및 경험 의존 정보원, 확인구매, 상표애호 몇 업체 정보원의 5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구매 후 만족은 유용성 요인, 성능적 요인, 표현적 요인, 신체적합적 요인 5가지로 구성되었다. 둘째, 코트 구매시와 면티셔츠 구매 시 주부소비자의 위험지각, 위험감소행동, 구매 후 만족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상관분석한 결과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의 상관관계에서 코트 구매시와 면티셔츠 구매시 모두 사회심리적 위험을 높게 지각할수록 전반적인 위험감소행동을 많이 활용했다. 위험지각과 구매 후 만족의 상관관계에서 코트 구매시는 성능적 위험을 높게 지각할수록, 면티셔츠 구매시는 신체 적합적 위험을 높게 지각할수록 전반적인 구매 후 만족도가 높았다. 위험감소행동과 구매 후 만족의 상관관계에서 코트 구매시와 면티셔츠 구매시 모두 확인구매를 많이 할수록 전반적인 구매 후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코트 구매시와 면티셔츠 구매 시 주부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위험지각, 위험감소행동, 구매 후 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학력, 거주지, 가계월수입, 직업유무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위험지각의 차이는 코트 구매시 경제적 위험은 강북거주 집단이 강남거주 집단 보다 높게 지각했으며, 성능적 위험은 연령이 36세∼40세 이하 집단이 나머지 집단들 보다 낮게 지각했다. 반면 면티셔츠 구매시 시간 및 편의성 손실 위험은 직업이 있는 집단이 직업이 없는 집단 보다 높게 지각했다. 위험감소행동의 차이는 상표애호 및 업체 정보원은 코트 구매시 강남거주 집단이 강북거주 집단보다, 면티셔츠 구매시 강북거주 집단이 강남거주 집단보다 많이 활용하였다. 방송매체 정보원은 코트 구매시 직업이 있는 집단이 직업이 없는 집단이 많이 활용하였고, 면티셔츠 구매시 연령이 31세∼35세 이하 집단이 나머지 집단들 보다 많이 활용하였다. 구매 후 만족의 차이는 외재적 요인은 코트 구매시 강남거주 집단이 강북거주 집단보다, 면티셔츠 구매시 강북거주 집단이 강남거주 집단 보다 높았다. 성능적 요인은 코트 구매시에는 36세∼40세이하 집단이 나머지 집단들 보다 만족도가 낮았다. 면티셔츠 구매시에는 가계 월수입이 250만원이상 집단이 250만원미만 집단 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코트 구매시와 면티셔츠 구매시 주부소비자의 자녀의 특성에 따른 위험지각, 위험감소행동, 구매 후 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녀의 성별, 학년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위험지각의 차이는 코트 구매시에만 자녀의 학년이 저학년 집단이 고학년 집단보다 사회심리적 위험을 높게 지각하였다 위험감소행동의 차이는 면티셔츠 구매시 상표애호 및 업체 정보원과 확인구매는 자녀의 학년이 저학년 집단이 고학년 집단보다 많이 활용했다. 구매 후 만족의 차이는 코트 구매 후 만족은 성능적 요인에서 자녀의 학년이 저학년집단이 고학년집단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표현적 요인에서 면티셔츠 구매 후 만족은 여아집단이 남아집단보다, 코트 구매후 만족은 저학년집단이 고학년집단 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신체 적합적 요인에서 면티셔츠 구매 후 만족은 남아집단이 여아집단 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다섯째, 코트와 면티셔츠 구매시 주부소비자의 아동복 구매행동수준에 따른 위험지각, 위험감소행동, 구매 후 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구매 벌 수, 구매비용, 구매장소, 쇼핑시간, 동행인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위험지각의 차이는 경제적 위험은 코트 구매시 백화점을 제외한 모든 구매장소집단이, 면티셔츠 구매시 대형의류재래시장 집단이 높게 지각했다. 사회심리적위험은 코트 구매시 백화점 집단이, 면티셔츠 구매시 브랜드 대리점 집단과 대형할인점 집단이 가장 높게 지각했다. 신체적합적 위험은 코트 구매시 자녀와 동행하는 집단이 가장 높게 지각했다. 위험감소행동의 차이는 관찰 및 경험의존 정보원은 코트 구매시 백화점을 제외한 모든 구매장소집단이, 면티셔츠 구매시 대형의류재래시장 집단이 가장 많이 활용했다. 코트 구매시 자녀와 동행하는 집단이 전반적인 위험감소행동을 가장 많이 활용했다. 구매 후 만족의 차이는 유용성 요인에서 코트 구매 후 만족은 백화점을 제외한 모든 구매장소집단이, 면티셔츠 구매 후 만족은 대형의류재래시장 집단이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표현적 요인에서 코트 구매 후 만족은 대형할인점과 브랜드 상설할인매장 집단이, 면티셔츠 구매 후 만족은 대형의류재래 시장집단이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risk reduction behavior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 of housewife consumers of children's clothing at the time of purchasing coat and cotton shirts as children's clothing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ir perceived risk, risk reduction behavior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 accord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ildren's traits and the level of clothing purchase behavior. As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research. 429 questionnaires composed of 216 on coat and 213 on shirts were distributed to housewife consumers living in Seoul with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data analysis method was the SPSS package program.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group classification analysis, mean, frequency analysis, standard deviation, t-test, percentage, ANOVA, Duncan'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like.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an attempt was made to conduct factor analysis of perceived risk, risk reduction behavior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 at the time that housewife consumers purchase coat and shirts as children's cloth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risk was composed of such five risks as economic risk, performance risk, social psychological risk, body-fit risk, and time and convenience loss risk. The risk reduction behavior comprised such five factors as the information source of broadcasting media, personal information source, information source dependent on observation and experience, post-confirmation purchase, brand love and information source of firms. post-purchase satisfaction comprised such five factors as usefulness factor, performance factor, expressive factor and body-fit factor. Second, an attempt was made to conduct the correlational analys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risk, risk reduction behavior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 at the time that housewife consumers purchase coat and shirts as children's clothing.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risk and risk reduction behavior, the overall risk reduction behavior was much used as social psychological risk was highly perceived.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risk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consumers had the high level of overall satisfaction with coat as performance risk was highly perceived in case of coat and as body-fit risk was highly perceived in case of shirts.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isk reduction behavior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consumers had the high level of post-purchase satisfaction with both coat and shirts as post-confirmation purchase was much made. Third,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ived risk, risk reduction behavior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t the time that housewife consumers purchase coat and shirts as children's cloth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residence, risk reduction behavior and occupation. In the difference in the perceived risk, the economic risk was highly perceived in the group of Kangbuk consumers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The performance risk was highly perceived in the group of younger consumers. On the other hand, the time and convenience loss risk was more highly perceived in the group of consumer with occupations than the group without occupations at the time of cotton shirts purchase. In the difference in risk reduction behavior, brand loyalty and information source of firms was much used in the group of Kangnam consumers than it was in the group of Kangbuk consumer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and in the group of Kangbuk consumers than it was in the group of Kangnam consumers at the time of cotton shirts purchase. The information source of broadcasting media was more used by the group of consumers with occupation than the group without occupation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and by the group of younger consumers at the time of cotton shirts purchase. In the difference in post-purchase satisfaction, the external factor was higher in the group of Kangnam consumers than it was in the group of Kangbuk consumer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and in the group of Kangbuk consumers than it was in the group of Kangnam consumers at the time of cotton shirts purchase. In the performance factor,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1,500,000won to 2,500,000won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and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less than 1,500,000won at the time of cotton shirts purchase. At the time of cotton shirts purchase, the group of consumers with less than 1,500,000won showed the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expressive factor,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junior college and college graduation and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of 1,500,000-2,500,000won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and at the time of cotton shirts purchase,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graduation from graduate school in terms of educational level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and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less than 1,500,000won of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group of consumers with graduation from graduate school at the time of cotton shirts purchase. Fourth,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ived risk, risk reduction behavior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 according to children's traits at the time that housewife consumers purchase coat and shirts as children's cloth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nd school yea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ived risk between coat and cotton shirts. In the difference in risk reduction behavior, brand loyalty and information source of firms was more used at the time of coat and cotton shirts purchase and post-confirmation purchase more used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children in the lower school year than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children in the high school year. In the difference in post-purchase behavio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erformance factor was higher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children in the lower school year than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children in the high school yea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expressive factor was higher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female children than the counterpart with male children at the time of cotton shirts purchase and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children in the lower school year than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children in the high school year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Fifth,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ived risk, risk reduction behavior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 according to level of children's clothing consumer behavior at the time that housewife consumers purchase coat and shirts as children's cloth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irs, purchase cost, purchase place, shopping time, followers. In the difference in the perceived risk, the economic risk was highly perceived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all purchase place except department store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and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the large clothing market as the purchase place at the time of cotton shirts purchase. The social psychological risk was highly perceived by the group of consumers with brand agency and large discount stores as the purchase place. The body-fit risk was most highly perceived in the group of consumers followed by children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In the difference in risk reduction behavior, the information source dependent on observation and experience was more used by the group of consumers with the all purchase place except department store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and by the group of consumers using the large clothing market at the time of cotton shirts purchase. The group of consumers followed by children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made the most use of the overall risk reduction behavior. In the difference in post-purchase satisfac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usefulness factor was higher in the group of consumers using all purchase places except the department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and the group of consumers using the large clothing market ha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at the time of cotton shirts purchas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expressive factor was higher in the group of consumers using the standing discount store and the large discount store at the time of coat purchase and in the group of the large clothing market at the time of cotton shirts purchase.

      • COVID-19로 인한 관광객 위험지각이 위험감소행동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손채원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변화된 관광객의 관광형태를 분석하여 코로나19로 인한 관광객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 행동의도를 선행변수로 구성하여 가설설정과 연구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실증분석을 통해 관광업계에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관광업계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고찰하여 각 요인에 변수를 추출하였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관광객의 위험지각을 금전적, 사회·심리적, 신체적 위험 등 3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관광객이 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노력하는 행동을 파악하고자 정보탐색, 신뢰, 추천 3가지 요인을 설정하였다. 셋째, 관광 행동의도를 재방문의도, 구전의도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국내여행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 내국인을 대상으로 비확률표본추출방법으로 실시하였다. 2021년 10월 12일부터 10월 15일까지 약 4일간 진행되었으며, ‘사회적거리두기’ 단계가 수도권은 4단계, 비수도권은 3단계 조치 단계였다. 설문은 코로나19 상황에 국내여행 경험 유무에 대한 문항을 통해 본 연구에 적합하는 조사 대상자를 추출하여 총 264부의 유효한 설문 응답을 확보했다. SPSS 21버전을 통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코로나19 관광객 여행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관광객 위험지각, 위험감소행동, 행동의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또한 측정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관광산업에 있어 코로나19 상황에 관광객의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 행동의도에 대한 개념을 재설명하여 실증적 검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가 발생하는 현 상황에서 관광업계 종사자는 실질적인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참고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s of behavioral Intention and Risk reduction Behavior on Perceived Risk of COVID-19. The Perceived Risk of COVID-19 comprise Financial risk, Physical risk, Social and Psychological risk. Factors of Risk reduction Behavior are Information search, Confidence, Recommend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s consist Repurchase and Word-of mouth. This study was surveyed on tourist with domestic travel experience during COVID-19. First, Tourist Perceived Risk affects Risk reduction Behavior (H1-1,1-2,1-3). Second, The Risk reduction Behavior of tourist affects the Behavioral Intention(H2-1,2-2,2-3). And third, Tourist Perceived Risk affects Behavioral Intention(H3-1,3-2,3-3).

      • 코로나19에 따른 전시회 참관객의 위험지각이 위험감소전략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Li, Xue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6

        전시산업은 연관산업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큰 도움을 주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게 되면서 국내외로 전시산업의 성장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9년 12월에 신종 호흡기감염증인 코로나바이러스-19(COVID-19)가 발생하였고, 세계적으로 감염병이 빠르게 확산하며 사상 초유의 락다운 사태를 야기하였다. 이에 전시산업을 포함한 여러 서비스 산업이 불황위기에 직면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코로나19의 감염 위험을 다수의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시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잠재적 참관객들이 전시회 참가에 있어 감염병에 대해 인지한 위험 혹은 불안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왜냐하면, 전시산업은 고객지향 위주의 서비스산업으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코로나19 상황 속에 전시회의 소비자인 참관객의 행동의도를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잠재적 참관객들이 전시회 참가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코로나19에 대한 전시회 참관객의 위험 인식과 그것이 행동의도와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더불어 참관객이 지각한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시주최자 관점에서 적용할 만한 대응방안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타 분야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위험지각, 위험감소전략 및 행동의도를 전시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재정의 및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각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코로나19 상황 속에 대면 전시회를 참가하는 참관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4월부터 5월까지 코엑스(COEX)와 세텍(SETEC) 전시장에서 개최된 코베 베이비페어, 경향하우징페어 그리고 세텍메가쇼 2021 시즌1에 방문한 참관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확보된 표본은 450부였으나 총 427부가 유효한 것으로 나타나 유효표본만을 연구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서 SPSS 25.0과 Smart PLS 3.0이 활용되었으며, 해당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이 수행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코로나19에 따른 참관객의 위험지각은 총 네 가지(기능적 위험, 신체적 위험, 사회·심리적 위험 그리고 시간적 위험)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참관객이 선호하는 위험감소전략은 총 두 가지(정보탐색 지향 및 전시회 충성도 지향)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전시회 참가 전 전시회에 대한 참관객의 참가 및 긍정적인 행동을 종합하여 행동의도로 나타내었다. 이후 코로나19에 따른 참관객의 위험지각과 위험감소전략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능적 위험지각이 전시회 충성도 지향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신체적 위험지각이 정보탐색지향 및 전시회 충성도 지향에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심리적 위험지각은 정보탐색 지향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간적 위험지각은 정보탐색지향 및 전시회 충성도 지향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더불어 정보탐색 지향 및 전시회 충성도 지향 등 위험감소전략 요인은 모두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코로나19에 대한 전시회 참관객의 위험지각, 위험감소전략 및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전시산업에 있어서 코로나19에 대한 참관객의 위험지각과 위험감소전략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시주최자의 관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이에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다른 감염병으로 인하여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이 발생할 경우, 전시주최자는 실질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본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향후 본 연구의 한계를 해소하고 및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서 이론적 및 실증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exhibition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that gives much help to the related industries in the economic aspect. Its importance has been recognized, and the exhibition industry has grown actively at home and abroad. However, a new respiratory infection, coronavirus-19 (COVID-19), occurred in December 2019 and rapidly spread worldwide, leading to the first Lockdown in history. As a result, various service industries, including the exhibition industry, faced a recession crisis. In order to revitalize the exhibition industry when many people are aware of the risk of infection of COVID-19, It was determined that an understanding of perceived risk or anxiety about infectious diseases when potential visitors participating in the exhibition was needed. Because the exhibition industry is a customer-oriented service industry, and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to overcome the crisis is to understand the behavior intention of visitors who are consumers of the exhib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visitors' perceived risk of COVID-19 and how it affects the behavior intention when deciding to participate in the exhibition.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present countermeasures applicable from the organizer's perspective to reduce the visitors' perceived risk.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erceived risk, risk reduction strategy, and behavior intention were redefined. Those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n other fields and applied to the exhibition field. And then to tes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e exhibitions held in April and May 2021(COBE Baby Fair, SEOUL KYUNGHYANG HOUSING FAIR, mega show)at COEX and SETEC exhibition center were selected. The questionnaire was given to the visitors who visit the show.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427 valid samples of 450 copies of the total.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SPSS 25.0 and Smart PLS 3.0 were used to perfor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our attributes(performance risk, physical risk, social and psychological risk, time risk) of the perceived risk and two attributes of the risk reduction strategy(information search orientation, exhibition loyalty orientation) came out through the factor analysis. Finally, visitors' participation and positive behavior to the exhibition were combined to express behavior intention. As a resul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risk reduction strategy, performance risk perception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exhibition loyalty orientation. However, physical risk perception did not affect information search orientation and exhibition loyalty orientation. Social and psychological risk perception has been ident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ly on information search orientation. Moreover, time risk perception has a positive effect both on information search orientation and exhibition loyalty orientation. In addition, both risk reduction strategy factors, such as information search orientation and exhibition loyalty orientation, positively affect behavior intention. Thu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relationship among exhibition visitors' perceived risk and risk reduction strategy and behavior intention for COVID-19.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is worthwhile to conceptually explain and empirically verify visitors' perceived risk and risk reduction strategy for COVID-19 in the exhibition industry.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it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as an exhibition organizer. Therefore, not just COVID-19, when another pandemic such as COVID-19 occurs, it is believed tha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help exhibition organizers to seek practical solutions. However, to eliminat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rove the explanatory power in the futur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continuously.

      • 호텔의 자재구매 위험감소방안에 관한 연구

        백분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85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ovide to the suppliers who want to sell their products to the hotels th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hotel's purchasing decision mak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persons in charge of materials purchasing are afraid of disregard or blame made because of their wrong decision-making on new purchasing. Therefore, suppliers planning to sell their materials to hotels must supply to the hotels steady and credible information on their material and propagandize the merits of their materials in comparison with other materials secondly,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persons in charge of materials purchasing have enough talk with the practical users of materials in advance in order to reduce purchasing risk. In other words, the users of materials indirectly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on purchasing and therefore the suppliers must steadily propagandize to the users of materials the information on their materials and their merits. Thirdly,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materials purchasing is well systemized in the hotels of the highest level and accordingly, to reduce perceived risk is considered to be comparatively less important. Therefore, suppliers must establish long-term transaction relationship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materials purchasing in the hotels of the secondly-highest or high level on the base of cooperation and trust. Finally,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pattern of materials purchasing is changing in hotels endeavor to satisfy customers by using fresh food just purchasing in the market not stockpile in the stock room and by offering special menu. As a result of this, stockrooms have come to be able to be used for other purposes and the efficient use of room has become possible.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personnels has come to occur naturally. Therefore, suppliers must propagandize through Internet materials with competitive power and give, in many ways, the information on their materials to the workers in the department of the kitchen of hotels.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ived risk and the perceived risk reduction characteristics towards the hospitality purchasing staff according to the types of hospitality materials, purchasing situations and hotel’s grades. However, the followings are the limitation of my research,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afterward. It is necessary that these analyses should not narrowed just only the hotels but to widen up to food & drink industry. So, those staff who engaged in food industry should be asked to know the differences about their opinions towards their purchasing risk and perceived risk reduction traits according to classifying them among material styles of food industry, purchasing reputation and regions.

      • 전염병 위험지각이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70

        관광은 관광객에게 재화나 서비스의 제공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국가 및 지역의 경제·사회·문화·환경에 기여도가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글로벌 규모의 사업이다. 그러나 2019년 중국발 호흡기 전염병 ‘코로나19’의 전 세계 확산으로 인해 관광업계는 사상 초유의 위기상황을 격고 있다. World Tourism Organization(UNWTO)은 코로나19로 인해 줄어든 관광수요로 1억 개의 관광업 일자리가 사라지는 것으로 예상하였다. 전염병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국가 간 여행 제한과 같은 통제조치는 외래 관광객 감소로 이어져서 여행사, 항공업, 숙박업, 외식업계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게 된다. 한국관광공사는 2020년 3월 해외여행 목적의 출국자가 전년도 동월보다 93.9% 감소하였으며, 국내 입국자 역시 95%로 급감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한편 해외여행이 제한되어 외래 관광객 비율은 현저히 낮아졌지만, 대신 해외여행을 하지 못하는 내국인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전년도에 비해서는 전체 관광객의 수는 현저히 적은 수준이긴 하지만 2020년 10월 한 달 동안 방문한 내국인은 107만 1933명으로 지난해 보다 14.1% 감소하는 수준에 그쳤으며, 골프와 렌터카 예약은 ‘하늘의 별따기’ 수준으로 예약을 잡기 어려울 정도라고 하였다(세계일보, 202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 전염병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환경 속에서 잠재 관광객은 전염병을 어떻게 위험을 인지하고 있으며, 전염병 정보를 탐색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관광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개인적 특성에 따라 전염병 상황 속에서의 관광행동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변수를 추출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코로나19 전염병의 위험지각을 ‘전염병 심각성, 전염병 위험평가, 전염병 지각된 위험, 전염병 대응조치 부정적 반응’으로 구분하였다. 관광객이 전염병에 관한 정보를 인지하게 되는 과정을 파악하고자 ‘정보탐색’과 ‘정보처리’를 매개변수로 두었다. 그리고 관광행동의도를 3개의 종속변수 ‘관광의도, 관광지 전환의도, 위험감소행동’으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라 관광행동의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여, 조절변수는 성별, 연령, 소득수준, SNS 사용정도, 여행 동행자, 전염병 감염 경험 여부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독립변수 4개, 매개변수 2개, 종속변수 3개, 조절변수 6개를 기준으로 32개의 가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잠재 관광객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전염병 확진자 비율이 높은 4개의 지역, 성별, 연령대를 균등하게 하여 할당 표본 추출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설문 시기는 2020년 7월 30일부터 8월 5일까지 1주일간 진행되었으며, 설문 시기는 하계 휴가철이며,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중 ‘1단계 생활 속 거리두기’ 조치 단계였다. 본 설문은 리서치 기관의 자체 패널에게 “향후 6개월 내 여행계획이 있으신가요?”, “거주지역이 대구, 경북, 서울, 경기도인가요?”의 두 가지의 사전질문(screen question)을 통해 본 연구의 조사대상 여부를 가려 430명의 유효한 설문응답을 확보하였다. 따라서 430명의 유효표본이 본 연구에서 활용되었다. 실증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확보된 430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먼저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표본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를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검토하여 총 32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과정에 있어서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은 SPSS Ver. 2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 다중 집단분석은 AMOS Ver. 26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05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에 대한 실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염병에 대한 위험 지각은 관광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결과, 전염병에 대한 지각된 위험은 관광지 전환의도와 위험 감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전염병으로 인해 잠재 관광객이 인지하게 되는 경제적 불안감과 신체적 위험, 사회적 위험 때문에 관광지를 더 안전한 곳을 옮기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여행을 하는 동안 전염병에 대한 노출에 계속 신경 쓰면서 방역지침을 준수하게 된다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둘째, 전염병 유행 시기에 관광행동을 고려할 때, 선행변수로써 전염병에 대한 정보탐색 및 처리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보았다. 연구 결과, 전염병 정보 탐색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였으나 정보처리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염병에 대한 지각된 위험이 전염병에 대한 예방, 방역, 새로운 정보들을 계속 찾아보는 행동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전염병에 대한 위험을 지각하였을 때, 알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염병 상황 속에서도 안전한 여행을 위해서 더욱 신경 써서 여행을 준비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전염병 유행 시기에 전염병에 대한 위험이 관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성별에 따라 집단별 차이가 있는지를 보았다. 이 연구 결과, 여성과 남성 집단 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성의 경우, 지각된 위험이 관광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정보처리를 매개로하여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남성의 경우, 심각성, 위험 대응 조치 부정적 반응이 관광지 전환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여행을 고려하는 관광객에게 여자는 전염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이 중요하며, 남성에게는 안전한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해석하였다. 넷째, 전염병 유행 시기에 전염병에 대한 위험이 관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여행 동행자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보았다. 연구 결과, 가족 단위 집단에서는 전염병 위험이 관광행동의도에 적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비 가족단위인 친구나 회사 동료 혹은 혼자 여행을 할 때, 전염병에 대한 위기를 높게 느끼고, 전염병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관광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전염병 유행 시기에 전염병에 대한 위험이 관광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보았다. 연구 결과, 저소득층에서는 정보추구가 높아질수록 관광의도가 낮아지는 반면, 중고소득층에서는 정보추구가 높아질수록 관광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관광업계에서는 고소득층을 집중공략해서 안전 관리에 투자를 하고, 고가 전략을 실행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SNS 사용 정도에 따라 전염병 위험 지각과 관광행동에 간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보았다. 이는 저사용 집단의 경우, 전염병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고 체계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관광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고사용 집단의 경우, 전염병에 대한 정보를 찾아본다거나 체계적으로 생각해서 그 판단에 의해 관광행동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위험에 대한 지각이 직접적으로 관광을 하고자 하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전염병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는 SNS 저사용 집단을 위해서는 TV나 문자, 신문, 방송을 통해 전염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반면 SNS 고사용자를 위해서는 SNS를 통해서 전염병에 대한 최신 정보 및 정확한 정보를 SNS를 통해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