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과 태도

        윤기경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그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대구광역시 소재 간호학과를 개설중인 3개 대학교에서 실습경험이 1년 이상인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4월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88부를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92.7%가 말기환자에게 심폐소생술금지가 필요하다고 하였고,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에 대한 태도분석에서 간호대학생은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기환자에게 직접 심폐소생술금지를 설명여부는 헌혈경험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고, 심폐소생술금지 설명 후 심폐소생술금지 선택하는 사람증가에 대한 인식은 성별과 가계소득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자신의 부모인 경우 심폐소생술금지 선택 여부는 연령과 가계소득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시 부모이면 심폐소생술금지를 선택한다고 응답할수록, 출신지역이 광역시에 거주할수록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에 대한 태도가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62.2%가 심폐소생술금지 교육 경험이 없었으며, 이는 간호업무를 하게 될 간호대학생이 의료현장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혼란을 가져오고 윤리적 갈등이 발생 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윤리적인 판단기준에 대한 심폐소생술금지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wareness and attitude of nursing students towards the decision to do-not-resuscitate (DNR) and to analyze the associations.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survey on 4th grade nursing students with at least one year of practical experi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pril 2017 at three college in Daegu, Korea, which is currently establishing its own department of nursing. A total of 288 sets of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mong the participants, 92.7% responded that DNR was needed for terminal patients, while in the analysis of attitude towards the decision to DNR, the nursing stu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decision to DNR. Explaining about DNR to terminal patients in pers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lood donation experience, whil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choosing DNR after receiving explanations on DN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and household income. Moreover, when deciding on DNR for one’s own parents, choosing DN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and household income. With respect to the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s decision to DNR, such attitude tended to be higher when making the decision to DNR for one’s own parents and if residing in a major metropolitan city. Among the participants, 62.2% had no educational experience in DNR, and thus, it is believed that DNR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on ethical decision making criteria for resolving problems of difficulty in communication, confusion, and ethical conflict that nursing students, who will perform nursing work in the future, would face in clinical settings.

      • 사전의료의향서 작성과 관련된 간호사의 경험과 교육요구도

        엄가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which was conducted to explore nurses' experiences related with Advance Directives (AD) and Do-Not-Resuscitate (DNR) writing and identify their educational needs regarding AD writing.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s with nurses were executed two times in July 2014 to and a survey was performed from October 7 to October 14, 2014 . Participants were 155 nurses who were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s, emergency rooms, hemato-oncology wards, and general wards of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AD and DNR writing was measured using the instrument that was developed by Jezewski et al. (2005), revised by Kim (2010), and complemented by the autho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Nurse’s educational need about AD writing was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author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with nurses and literature reviews. The questionnaire was finalized to 15 questions under 4 categories after revi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ts' content validity tests: definition of AD (3 items), components and procedures of AD writing (7 items), legal significance of AD (2 items), and others (3 items).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8.0 using statistical methods of content validity index, Cronbach's ɑ,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and Scheff post-hoc analys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of total score in nurse's experience of AD writing was 2.95±1.18 and percentage of nurses who had cared for the patients that wrote AD was 46.5%. 2) The average of total score in nurse's experience of DNR writing was 4.01±1.20 and percentage of nurses who had cared for the patients that wrote DNR was 93.5%. 3) The scores of nurse’s experience of AD writing were significantly (p<.01) different according to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working department and position: nurses who work in emergency rooms (1.84±1.63) or hemato-oncology wards (1.86±1.32)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work in intensive care unit (.95±1.59) or general wards (.82±1.43) ; and chief nurses or head nurses (2.13±1.59) had higher scores than general nurses (1.21±1.56) (p<.05). Moreover, nurses who had experiences of AD writing for patients (2.90±1.57; p<.001) or their own family/friends (3.75±2.98; p<.0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xperience sco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90±1.32, 1.24±1.50, respectively). 4) The scores of nurse’s experience of DNR writing were significantly (p<.05) different according to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length of clinical experience: nurses with age 26-30 (3.09±1.57) or 31-35 (2.86±1.59)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ith age <25 (2.41±1.38) or >36 (2.14±1.27); and nurses with >1 year clinical experiences (1-3; 2.94±1.43, 3-7; 2.91±1.54, >7; 2.81±1.65)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with <1 year clinical experiences (1.78±.94). Moreover, nurses who had experiences of DNR writing for patients (3.55±1.50; p<.001) or their own family/friends (4.25±2.63; p<.05)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xperience sco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2.56±1.47, 2.72±1.48, respectively). 5) The average of total score in nurse’s educational needs about AD writing was 4.27±.63 for necessity and 4.29±.65 for importance. 6) The scores of nurse’s educational needs about AD writing, especially items in others category (i.e., ethical decision making, dignified death, and patient's autonom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nurse's working department: nurses in emergency rooms (4.59±.49) or hemato-oncology wards (4.59±.62) had higher necessity scores (p<.05) than those in other wards; and nurses in emergency rooms (4.65±.49) also had higher importance scores (p<.05) than those in other wards. Nurses who had experiences of AD writing for patients (4.69±.53) showed significantly (p<.001) higher educational needs sco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4.32±.68).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erms of identifying nurse's experiences about AD writing by comparing those about DNR writing in a university hospital where DNR writing frequently takes place. It is suggested that many nurses do not have clear understanding of AD, being confused with DNR, and thus need to be provided appropriate education regarding AD writing a long with related ethical and legal issues.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be able to provide foundation for developing such educational programs for nurses. ----------------------------------------------------------- Key words: Advance Directives (AD), Do-Not-Resuscitate (DNR), nurse, experiences, educational needs 본 연구는 사전의료의향서(AD) 작성 및 심폐소생술금지(DNR) 작성과 관련된 간호사의 경험을 파악하고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과 관련된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간호사 대상 심층면담을 2014년 7월에 2차례 걸쳐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기간은 2014년 10월 7일부터 10월 14일 까지 일 대학병원의 중환자실, 응급실, 혈액종양병동, 일반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및 심폐소생술금지 작성에 대한 경험 측정도구는 Jezewski et al.(2005) 중 경험 관련 부분을 발췌하여 김미영(2010)이 수정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추어 수정 보완하여 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 설문지는 본 연구에서 간호사 대상 심층 면담과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개발하였다. 설문지는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 4개영역으로 이루어진 총 15문항이며 사전의료의향서의 정의(3문항), 사전의료의향서의 작성(7문항), 사전의료의향서의 법적의의(2문항), 사전의료의향서와 관련된 기타(3문항) 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내용 타당도 지수, Cronbach's ɑ,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Scheff 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AD) 작성 경험 전체 점수는 2.95±1.18점이며 간호사가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한 환자를 간호한 경험은 46.5% 이었다. 2) 간호사의 심폐소생술금지(DNR) 작성 경험 전체 점수는 4.01±1.20점이며 간호사가 심폐소생술금지를 작성한 환자를 간호한 경험은 93.5% 이었다. 3)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AD) 작성에 대한 경험 점수는 근무부서에 따라서는 중환자실(.95±1.59), 일반병동(.82±1.43)근무자보다 응급실(1.84±1.63), 혈액종양병동(1.86±1.32)근무자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경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직위에 따라서는 일반간호사(1.21±1.56) 보다 책임/수간호사(2.13±1.59)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경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환자를 대상으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경험에 따라서는 경험이 없는 집단(.90±1.32) 보다 경험이 있는 집단(2.90±1.57)이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경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가족, 지인이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경험에 따라서는 경험이 없는 집단(1.24±1.50) 보다 경험이 있는 집단(3.75±2.98)이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경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4)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폐소생술금지(DNR) 작성에 대한 경험 결과는 연령에 따라서는 25세 이하(2.41±1.38), 36세 이상(2.14±1.27) 보다 26-30세(3.09±1.57), 31-35세(2.86±1.59)가 심폐소생술금지 작성 경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임상경력에 따라서는 임상경력이 1년 이하인 집단(1.78±.94) 보다 1년 이상인 집단(1-3; 2.94±1.43, 3-7; 2.91±1.54, >7; 2.81±1.65)이 심폐소생술금지 작성 경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환자를 대상으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경험에 따라서는 경험이 없는 집단(2.56±1.47) 보다 경험이 있는 집단(3.55±1.50)이 심폐소생술금지 작성 경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가족, 지인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경험에 따라서는 경험이 없는 집단2.72±1.48보다 경험이 있는 집단(4.25±2.63)이 심폐소생술금지 작성 경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5)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과 관련된 교육요구도의 전체 필요도 평균은 4.27±.63점, 중요도 평균은 4.29±.65점이다. 6)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AD)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 중 사전의료의향서 와 관련된 기타(윤리적 의사결정, 존엄한 죽음, 환자의 자율성) 영역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부서에 따라서는 응급실(4.59±.49), 혈액종양병동(4.59±.62)근무자의 필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5). 또한 응급실(4.65±.49)근무자의 중요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p<.05). 환자를 대상으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경험에 따라서는 경험이 없는 집단(4.32±.68) 보다 경험이 있는 집단(4.69±.53)이 필요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본 연구는 대부분 심폐소생술금지 작성이 이루어지는 임상에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과 심폐소생술금지 작성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을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겠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간호사들이 심폐소생술 금지와 사전의료의향서를 혼돈하고 있었으며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 함을 보여 주었다. 그래서 간호사들에게 윤리적이고 법적인 문제와 함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과 관련된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간호사들에게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핵심어: 사전의료의향서, 심폐소생술금지, 간호사, 경험, 교육요구도

      •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조충희 가톨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 및 보호자가 심폐소생술 금지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통해 향후 객관적인 심폐소생술 금지에 관한 지침서를 마련하고,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제도화로 환자의 권리와 존엄을 확대함으로써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 도출과 함께 관련 정책 및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연구모형은 독립변수인 의사요인, 보호자 요인, 법제도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들과 종속변수인 DNR 결정 인식도로 설계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네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대학교 부속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전공의, 임상 교수 및 동병원의 일반 병동 및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40부를 배포하여 전수인 140부(회수율 100%)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검증결과 법․ 제도적 요인만이 DNR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의사 요인, 환자 보호자의 인식, 사회·문화적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체 평균값 분석 결과 종속변수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응답자들의 DNR 결정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의사와 환자·보호자 집단 간 평균값 비교 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는 환자·보호자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법·제도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인식도는 의사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DNR 경험 여부에 따른 평균값 비교 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DNR 결정의 평균값 차이가 높게 나타났으며, DNR 경험이 있는 집단의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종속변수 DNR 결정 인식도에는 법·제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어, DNR 결정에 관한 명확한 법규와 제도적 절차의 마련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주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가 명확하고 표준화된 DNR 관련 교육이 의사의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실 상황에 적합한 DNR 관련 법·제도의 개정 및 수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법제도적 차원에서 환자·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DNR 관련 정보제공 및 교육의 시행과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DNR에 관한 객관적이면서도 윤리적인 지침이 필요하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의 대상의 표본수를 늘리고 보호자와 의사 뿐 아니라 환자 및 간호사 등 다양한 군들을 포함한 후속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더 DNR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affecting DNR decisions of doctors and family members and suggest major policy implications along with making the guidelines of DNR decision. Furthermore, this institutionalization of the DNR is to expand the patient's right and dignity, which willl result in providing the basic reference material for the social consensus and related-policy improvements on DNR. The study’s research model consists of four independent and one dependent variables as conceptual variables. The former includes doctor's factor, family member's factor, legal and institutional factor, and social/cultural factor, while the latter includes perception degree on DNR decision. Based on this model, fou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test the hypothes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edical residents, clinical faculty, and patients’ family members hospitalized in general ward and intensive care unit in C university hospital. 1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ll of them were responded (response rate 100%).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 legal and institutional factor has meaningfully affected the decision of DNR, whereas doctor, patient family member, and social/cultural factors have not affected it. Secondly, the overall mean value analysis result demonstrates that respondents have shown the high perception degree of DNR decision. Thirdly, the comparison of mean value analysis between doctor and patient family groups shows that the perception degree of both legal/institutional and social/cultural factors (independent variable) of doctor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patient family member group, while the perception degree of DNR decision factor (dependent variable) of patient family member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doctor group. Fourthly, the comparison of mean value analysis between the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groups of DNR implies that the disparity between the two is very big and the perception degree of DNR experienced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non-experienced group. Finally, the crucial impact of legal/institutional factor on the DNR decision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clear laws and institutional procedures for the DNR decision. Based on these empirical research results, the major policy implications have been recommend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tandardized DNR-related education program based on clear evidence should be included in the formal curriculum for doctor. Secondly, the DNR-related laws and systems for the suitability of reality should be improved and established Thirdly,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 it is required to provide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with the DNR-related information and education support. Fourthly, the objective and ethical guidelines on DNR decision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based on the this study, if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involve additionally various groups such as patients and nurses as research subjects,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identify crucial determinants of DNR decision.

      • DNR에 동의한 노인의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태도

        석현주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1

        DNR을 동의한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지역에 위치한 4개의 노인복지회관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하고 이해한 자로 선정하여 연구기간은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로 하였다. 연구 참여대상자 250명 중 DNR을 찬성한 노인 대상자 119명을 대상으로 DNR의 인식과 태도에 대해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CPR과 DNR에 대한 경험은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노인의 DNR에 대한 태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CPR과 DNR에 대한 경험에 따른 DNR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노인의 DNR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01점으로 나타났다.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을 의료진이 적극적으로 반영해 주기를 원한다”는 문항이 4.14점으로 가장 높았고, “심폐소생술금지는 가족의 경제적 부담감을 덜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문항도 14.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2) 대상노인이 CPR을 처음 알게 된 경로는 ‘TV드라마를 통해서’가 49.6%로 가장 많았으며, ‘병원 입원 시’에 7.6%, ‘신문이나 뉴스를 통 해서’가 7.6%, ‘교육을 통해서’가 5.9%, 기타가 29.4%로 DNR에 대한 공식적인 교육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적절한 DNR 결정 시기를 묻는 질문에 ‘평상시 건상해서 의식이 있을 때 하고 싶다’가 65.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에 입원해서’가 17.6%, ‘불치의 병을 진단받고서’가 7.6%, ‘중환자실로 옮기고 나서’가 5.9%로 조사되었다. 이는 자신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사전 설명의 필요성을 반영한다. 4) 입원 경험이 있는 노인이 없는 경우보다 DNR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였으며, 가족과 논의를 한 경험이 있는 경우도 DNR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사전에 CPR과 DNR을 알고 있는 노인들은 평상시 건강해서 의식이 있을 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입원을 경험한 노인들의 DNR에 대한 태도에는 의미가 있으며 노인들의 DNR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고 DNR에 대한 결정은 ‘평상시 건강해서 의식이 있을 때’ 표현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DNR에 대해 자율적 의사결정을 위한 대화의 기회를 마련하고 노인의 평소 생각을 표현 할 수 있도록 격려하며, 설명과 의사결정시엔 노인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심폐소생술을 경험하지 못하고 올바른 지식을 갖추지 못한 노인 대상자에게 심폐소생술금지는 쉽게 결정할 수 없는 과제 일 것이다. 그러므로 심폐소생술 및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바른 이해와 의사결정을 내린 노인환자의 지지적 역할을 하는 간호사의 적극적인 참여와 옹호자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말기암 환자의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전.후 연명치료 비교

        김현아 울산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09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전?후 암 환자에게 시행되고 있는 연명치료의 종류와 수행빈도의 변화를 조사하여 말기암 환자의 연명 치료 범위와 치료 방침을 확립하고, 간호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3차 의료기관 A종합병원의 종양내과 병동에 입원하여 심폐소생술금지를 결정한 20세 이상 성인 말기암 환자이며, 의무기록을 통하여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전?후의 말기암 환자에게 시행되는 연명치료의 변화를 확인한 후향적 조사 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for Windows (IBM SPSS Inc., Chicago,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실수 및 백분율, 중앙값과 범위로 기술하고, 연명치료의 변화는 유지, 추가, 중단으로 평가하여 실수, 백분율 및 95%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남자 124명(62%), 여자가 76명(38%)로 200명이었으며, 중앙 연령은 59(범위 22~85)세 이었다. 주 진단은 폐암이 31.5%로 가장 많았고 상부위장관계 암이 20.5%, 하부위장관계 암과 간.담도 암이 각각 12.5%로 순이었다. 대상자의 중앙 재원 일은 15일(범위 3~80)이며, 심폐소생술금지는 입원하여 중앙값 10일(범위 2~67)에 결정되었다.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후 사망까지 소요시간은 중앙값 4일(범위 1~49) 이었다. 2)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전 대상자가 시행한 치료는 진통제 192명(96%), 항균제 174명(87%), 영양요법 145명(72.5%), 산소공급 130명(65%), 수혈 86명(43%) 순으로 높았으며, 항암화학요법 8명(4%), 방사선요법이 5명(2.5%), 투석 4명(2%), 인공호흡기가 3명(1.5%) 이었다. 기본간호는 환자/보호자 교육. 상담. 지지가 136명(68%)로 가장 높게 제공되었고 구강간호, 세발간호, 부분목욕을 포함한 위생간호와 욕창간호가 각각 108명(54%)와 74명(36%) 순이었다. 3)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후 계속 유지된 비율이 높은 일반 연명치료는 정맥영양 88%, 마약 성 진통제 96%, 유치 도뇨관 94%, 비강 캐뉼라를 통한 산소공급 55%, 혈당검사 90%이었으며, 심전도 모니터 97%, 리저버 백 마스크를 통한 산소공급 92%, 정맥 지속주입 마약 성 진통제 96%가 높은 비율로 추가 되었다. 중단된 연명치료에는 경구용 비 마약 성 진통제 174명(84%)와 경장영양 196명(96.5%)의 비율이 높았다. 4)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후 계속 유지된 비율이 높은 특수 연명치료는 중심정맥관, 고 단위 항생제,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인공호흡기 치료이었으며, 추가된 치료는 수혈과 침습적 시술이 필요한 중심정맥관 삽입, 피그 테일, 흉관 배액관, 담도 배액관 삽입이었다. 낮은 비율이지만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인공호흡기치료가 각각 1명(0.5%)씩 추가되었다. 중단된 치료로는 항암화학요법이 1%, 혈액투석이 2%에서 시행되었다. 5)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후 안위간호의 변화는 욕창간호, 환자/보호자 교육. 상담. 지지, 구강간호가 97.4%, 86.7%, 85.2%로 높은 유지 율을 보였고, 각각 24.5%, 24%, 6.5%에서 추가되었다. 임상적 검사의 변화는 혈액검사에서 전 혈구 검사가 95.5%로 가장 많이 시행되었으며, 혈액 배양검사는 29%에서 수행되었다. 일반 촬영이 78%로 가장 많이 시행되었고, 전산화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이 각각 6.5%, 1%가 추가로 시행되었다.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환자 권리의 보장을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연명치료 중지와 관련된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연명치료 중단의 허용범위와 기준에 대한 법제화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각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는 사전지시의향서 작성이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심폐소생술금지(Do Not Resuscitate; DNR)에 대한 노인의 인식과 태도

        이병주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Despite the positive perception and active attitude of the old people toward DNR, education on DNR was low. So education on DNR for the old people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socially.

      • 연명의료중단 대리결정에 대한 요양병원 환자 가족의 유형

        조현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3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가족을 대상으로 연명의료중단 대리결정에 대한 요양병원 환자 가족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요양병원 환자 가족의 대리결정에 대한 유형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요양병원 연명의료중단결정에 대한 지침 마련과 제도 개선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J요양병원의 의료인과 보호자, 종교인, 법조인을 대상으로 2019년 1월부터 3월까지 개방형 질문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얻은 130개의 진술문을 Q-모집단으로 하여, 자문을 거친 후 34개의 Q-표본을 만들었다. P-표본은 B시에 소재한 D요양병원 환자의 가족들로 34명이었으며 34개의 Q-진술문을 각자의 동의수준에 따라 9단계로 강제 분포가 되도록 분류하였다. 자료 분석은 9단계로 분류된 각 Q-진술문의 표준점수(Z-score)로 계산하였고, PC-Quanl Program을 이용하여 요인 분석한 결과 연명의료중단 대리결정에 대한 3개의 요양병원 가족의 인식 유형을 추출하여 특성을 확인 하였다. Ⅰ유형은 ‘합리적 수용형’으로, 이 유형은 환자의 회복 가능성과 질병의 위중도에 따라 합리적으로 심폐소생술금지 대리 결정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가족 간의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의료진의 정보 제공이 심폐소생술 대리 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Ⅱ유형은 ‘상황적 부정형’이다. 이 유형은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정보 부족, 경제적 문제 등의 이유로 대리 결정 상황에 죄책감 느끼고 양가감정 등으로 인해 심폐소생술금지 대리 결정시 갈등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대리 결정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해 의료진의 선택을 따르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죄책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 유형은 ‘결정 신중형’이다. 이 유형은 심폐소생술금지 대리결정으로 인한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법적으로 보호 받기를 원하며 비난 받는 것을 두려워한다. 또한 환자의 사전의향에 따라 심폐소생술금지 대리 결정을 내리길 원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요양병원 가족의 심폐소생술금지 대리결정에 대한 인식의 유형별 특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다양한 인식의 유형을 통해 요양병원 가족이 대리결정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에 활용되어야 한다.

      •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김애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78

        우리 사회는 개인의 알권리를 존중하는 서구의 개인주의 문화와는 사뭇 다른 환경으로 말기 환자에게 질병에 대해 정확하게 고지하지 않는 경향이 형성되었 다. 또한 가족을 공동운명체로 여기는 유교주의 문화에서 환자의 생명에 관해 환자 본인보다는 보호자인 가족의 결정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동양의 전통 효 사상이 연명치료 거부에 대한 소극적 인식을 유발 시켰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최근 연명치료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가운데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관 심이 증대되었으나 우리나라 의료계에서는 사전의료의향서가 모든 병원에 적용 되고 있지 않으며 사전의료의향서는 법적 효력이 없고 연명치료 중단은 현행법 상 불법으로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고령화로 인해 연명치료와 관련된 결정을 하여야만 하는 경우는 늘어나고, 저출산 및 비혼자의 증가로 가족 관계의 단순 화가 나타나는 현실에서 연명치료 결정을 위한 제도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명치료 결정의 의미와 윤리적 근거를 살펴보고, 사전의료의향서 관련 법제화의 필요성과 도입 및 시행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연명치료 결정의 의미를 탐구하고, 국내 병원의 사전의 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의 현황을 분석하여 이것에 기반 하여 사전 의료의향서의 필요성을 고찰하며 사전의료의향서 도입 및 법제 관련 국내외 현 황 및 그것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한계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Since our Korean society has quite different environments from the western individualism that respects individuals’ right to know, Korean medical institutes has a tendency not to exactly inform terminal patients of their severity of diseases. Besides, in the Confucian culture where one regards his or her family members as a group bound together by a common destiny, Korean medical institutes value the decision of patients’ family members more than that of patients in regard to issues on patients’ lives. Some scholars interpret that such a tendency based on the Confucian thought of filial piety has caused people to perceive refusing life-sustaining treatments in a passive way. Recently, as life-sustaining treatments become one of the main social issues, people pay more attention to AD (Advance Directives). However, AD is not applied to all the hospitals in the Korean medical circles, and it has no legal force, and DNR (Do-Not-Resuscitation), which is to stop a life-sustaining treatment, is even regarded illegal according to the present medical laws. Due to the aging population, however, there are more cases that people have to make decisions related to life-sustaining treatments, and because of the low birthrate and increasing unmarried population, the family structure becomes simplified in reality, further requiring an establishment of proper institutions to make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s.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enacting AD-related laws and the introduction and enforcement of the related laws. Particularly, by exploring the meaning of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s and analyzing the present states of AD and DNR of domestic hospitals in Korea,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introduction of AD and the present states of the related law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people’s social perceptions of this system.

      • 심폐소생술금지(DNR) 환자를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돌봄 경험

        손은진 강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63

        심폐소생술금지(DNR) 환자를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돌봄 경험 손 은 진 강원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Background. 중환자실은 중증도가 가장 높은 환자를 24시간 집중간호 하는 특수 부서이므로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상태가 수시로 변하는 불안정한 환자를 간호하게 되면서 DNR 상태인 환자를 자주 경험한다. DNR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과 그 이후 환자를 간호하는 과정에서 간호사는 많은 윤리적 딜레마와 정서적으로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하게 된다. Aim. 본 연구의 목적은 DNR 환자를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DNR 결정과정과 그 이후 환자를 간호하는 과정에서 돌봄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탐색하여 기술하는 것이다. Method. 본 연구는 Heidegger의 현상학적 접근법을 철학적 배경으로 2015년 9월부터 2016년 4월까지 DNR 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고 중환자실에서 1년 이상 계속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3명을 목적표출법을 통하여 추출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든 면담자료를 녹음한 후 녹음자료에 있는 말 그대로 필사하고 Colaizzi 의 분석틀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Findings. 참여자들은 DNR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과 그 이후 간호역할에서 표준화된 규정이 없음으로 인한 윤리적 딜레마와 가족의 흔들림에 따른 정서적 혼란의 주 제를 포함하는 도덕적 고뇌를 보고하였다. 그들은 DNR 상태인 환자를 간호하는 과정에서 돌봄의 부담은 줄어들었으나 죽어가는 환자를 지켜보는 슬픔이 교차함을 보고하였다. 또한 적극적인 연명치료를 중단한 DNR 환자를 돌보면서 심리적 고통과 죽음에 동조한 것 같은 죄책감을 느끼는 가운데, 환자의 죽음을 객관화시키고 자신을 환자의 죽음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DNR 환자의 돌봄 스트레스에 적응하면서 마음을 추스르고 있었다. 그리고 고통스러워하는 가족들에게 진심어린 공감과 지지를 보내주고, 환자가 편안하고 깨끗한 모습으로 가족과 함께 임종을 맞이할 수 있도록 마음을 다해 보살핌으로서 환자의 마지막을 함께 하며 간호사로서 소임을 다하고 있었다. Conclusion. 본 연구는 DNR 환자를 돌보는 중환자실 간호사는 DNR 결정과정과 그 이후 환자의 죽음에 이르기까지 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 윤리적 딜레마와 정서적 고통을 포함하는 심각한 직업적 스트레스 상황에 반복적으로 노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DNR 환자를 돌보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느끼는 정서적인 갈등과 어려움을 지지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DNR 돌봄에 대한 구체적인 간호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DNR이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구축이 필요함과 동시에 DNR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요어: 중환자실 간호사, 심폐소생술금지(DNR) 환자, 돌봄 경험, 현상학 The Essential Structure of Caring for DNR Patients : The Experiences of Critical Care Nurses in Korea Soun Eun ji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Background. Despite of advanced technologies and intensive medical and nursing care, many patients do not survive their critical illness and are placed in the DNR state. The critical care nurses frequently experience caring for patients in DNR status and they are exposed to ethical dilemmas and emotionally painful situations in their everyday work. Ai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phenomenon of critical nurses' experiences of caring for DNR patients.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caring experiences were extracted by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This study adopted a Heideggerian phenomenological approach , interviewing thirteen critical care nurses working at ICU for at least 1 year in a university hospital.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mi structured interview from September 2015 to April 2016. Interviews were transcribed verbatim and themes generated through Colaizzi's framework. Findings. The participants reported the process of deciding on the DNR status, the ethical dilemma caused by which there is no standardized regulation in a nursing role following it, and the moral anguish of including the theme of emotional confusion according to a family member's shaking. They were reduced a caring burden in the process of nursing a patient in the DNR status, but reported that a sorrow of watching a dying patient is crossed. Also, the nurses were getting themselves together with being adapted to the stress of taking care of DNR patient through the process of objectifying a patient's death and separating themselves from a patient's death while feeling guilty as if sympathizing with the death along with psychological pain with attending on DNR patient who was stopped the positive life-prolonging treatment. And the nurses were fulfilling their duty wits a nurse with being together with a patient's last moment by sending sincere sympathy and support to family members in agony and by devotedly taking care so that a patient can confront death together with a family in the comfortable and clean image. Conclusion. This study is showing that the ICU nurses of attending on DNR patient are being repeatedly exposed to a seriously occupational stress situation of including ethical dilemma and emotional pain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DNR and the process of taking care of a patient up until reaching a patient's death following it. Through the above outcome,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rogram available for supporting emotional conflict and difficulty of being felt by ICU nurses who take care of DNR patient, and to arrange specific nursing education on DNR care. Also,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specific guideline for DNR to be made more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and simultaneously, and to make systematic guideline on DNR. Key Words: Critical Care Nurses, Do Not Resuscitate, Caring Experience, Phenomenology

      • 심폐소생술금지(DNR)에 대한 간호사와 의사의 인식과 경험

        강현임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consider the awareness and experiences of nurses and physicians on DNR (De-Not-Resuscitate Order), currently practiced in the Korean general hospitals. The purpose is to: prepare clear standards of DNR determinations that can be used commonly in the clinical setting; promote rational practice of DNR that sufficiently ensures the patient right for self-determination; activate education for medical professionals on DNR as well as medical ethics, and; make guidelines for DNR. This study also attempts to serve as a basis for making objective standards in terms of educational, ethical, and legal issues concerning DNR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The subject consists of a total of 297 persons. 62.6% of them were 20 to 29 years old. The number persons in this age group was higher than those at 30 years old or more (37.4%). In terms of sex, the subject consists of 25.9% of males and 74.1% of females. 52.2% of them have a religion. As for their work experiences, 46.1% have worked as a medical professional for less than three years; 36.7%, for five years or more, and; 17.2%, for three years or more, but less than five years. 67.0% of the subject were nurses, while 33.0% were physicians, among whom interns were 6.7%; residents, 18.9%, and; specialists, 7.4%. 2) Subject Awareness of DNR: 97.3% of them feel the necessity of DNR, because 'recovery may be impossible in spite of many efforts after all' (60.6%). Most of them ascribe the DNR determination to the 'will of the family and the physician' .While the nurses think the determination should be based on the 'will of the patient and the family' (46.4%). most physicians think it should be based on the 'will of the family and the physician' (52.1%). Majority of the subject respond that information about DNR should be given to intensive-care patients or terminal patients as well as their family (55.9%), right after hospitalization (32.0%). 59.6% of the subject answer that the demand for DNR rises when the relevant information is given to the patients or the family. They say they will practice the DNR education to the family (75.4%) and to the patients (86.9%). 85.2%respond that written guidelines for DNR should be prepared. 3) Subject Attitudes toward DNR: Majority of them have ever practiced DNR (78.8%), by the demand of ' the patient's family' (68.8%)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family and the physician' (72.2%). 91.8% of them made a medical record at the time they carried out DNR. The biggest problem after the DNR determination, in their opinions, was 'the negligence of treatment and nursing care' (38.2%). 117 respondents (50.0%) have ever conducted CPR in spite of the prior determination for DNR, because 'there was nobody in the family at the deathbed' (27.0%). Majority of the respondents (92.6%) have an experience that they were asked for a counseling at the time of DNR determinations. 4) Differences among Subjects in Their Awareness of DN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wareness concerning the following topics: perceived necessity of DNR, major factors requiring DNR, necessity of explaining about DNR, appropriate timing for DNR explanation, increase of patient demand for DNR after the explanation, and their own demand for DNR.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p<.0l) in the following issues: desirable determiners for DNR, necessity of DNR guidelines, and the family demand for DNR. 5) Differences among Subjects in Their DNR Experiences: They don't seem to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experiences in terms of the period and time they received DNR education, experience of conducting DNR, main determiner for DNR, CPR experience after DNR decision, and the demand for DNR counseling.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ir experience of getting DNR education, major requester for DNR, and medical record keeping at DNR implementation (p<.05). In addition,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experienced problems after DNR decision. 6) Differences among Subjects in Their Awareness of DNR Depending on Their DNR Experienc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s who experienced DNR and those who don't in their awareness of the following topics: major factors necessitating DNR, desirable determiner for DNR, necessity for DNR explanations, proper timing for DNR explanation, family demand for DNR, and the necessity of DNR guidelin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ived necessity of DNR (p<.01)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detected in the increase of patient demand for DNR after explanations, and their own demand for DNR (p<.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