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북한 중등 도덕교육의 비교 연구 : 남북한 중등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손경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은 한 인간을 인간답게 형성하는 과정이며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특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 실제 교육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들과 교육방법의 측면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도덕교육은 가치를 다루는 교과이기 때문에 인성 형성과 사회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남북한의 교육과정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전반적인 교육이념과 도덕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그 속에서 남북한 도덕교육의 요소들을 추출해 봄으로써, 남북한 도덕교육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파악하여 이질성을 극복하고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한 도덕교육의 방향을 찾으려고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의 도덕교육이 가지고 있는 교과내용 외적인 측면과 교과내용 내적인 측면으로 구분해 고찰해 보았다. 실제 교육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측면이, 교과서에서 표현되고 있는 교과내용뿐만 아니라 교육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들을 함께 고찰해야 할 필요성에서 교육이념, 교육목표, 교육행정체계 및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등에서 나타나는 이질성과 동질성을 비교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교육이념의 실현과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과내용 내적인 측면을 도덕 교과서의 단원과 내용 구성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교과내용 외적인 측면에서는 본다면, 남북한은 광복 이후 상이한 이데올로기와 사회 체제를 선택함으로써 교육이념에 있어서도 이질화의 길을 걷게 된다. 남한의 기본 교육이념은 홍익인간인 반면 북한의 기본 교육이념은 주체사상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북한의 실제 교육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교육행정체계에서는 교육부문에 당의 개입이 제도화되어 있으나 남한은 중앙조직에 의해 기본 방침은 세워지지만 지방교육자치와 단위학교의 자율성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도덕교육의 목표에 있어서도, 남한은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키고 실천해야 할 보편적이며 이상적 가치와 바람직한 생활의 기준이 되는 규범과 가치들을 내면화시켜 올바른 행동 습관과 도덕 판단력을 기르는데 있다. 한편 북한의 도덕교육은 정치사상 교육이면서 공산주의적 도덕규범을 인식시키면서 공산주의 생활양식에 적합한 태도와 품성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교과내용 내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남북한 도덕 교과서는 단원과 내용 구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남한의 도덕 교과서는 인간의 생활 영역별로 구분하여 내용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 내용에서도 보편적인 규범을 가치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공산주의 도덕 교과서에서는 생활 영역의 구분 없이 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김일성 일가 우상화, 정치사상 교양도 있지만 민족의 전통적 도덕규범과 보편적인 생활규범 등의 내용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남북한의 도덕교육에 있어 이질적인 요소들이 존재하는 부분도 있지만 남북한의 미래의 통일된 사회에 희망을 줄 수 있는 도덕교육에 있어 동질적인 요소가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특히 오늘날 통일 환경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 냉전에 기초한 두 진영간 대결 구도의 와해와 북한체제의 위기로 통일논의의 구도는 크게 변화했다. 이러한 단계에서 필요한 것은 남북한 관계에서 기존의 적대적 성격을 해소하고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나가야 하는 일이다. 그리고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교육이기 때문에 통일을 대비하기 위한 도덕교육의 방향이라는 측면에서는 남북한이 가지고 있는 요소를 알고 그것을 함께 이해해 나갈 수 있는 방향으로 노력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서도 우리 민족이 가지고 있는 동질성의 측면이 분명히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그런 동질성의 측면을 확대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통일은 교육을 통해서 남북한간의 이질성을 최대한 극복해나가면서 점진적으로 성취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학교의 통일교육이 좀더 적극적이며 현실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져나가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유경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 사회는 빠른 속도로 다원화 되고 있으며, 인구학적인 특징으로 저출산 현상․고령화 이외에도 다문화 가족의 증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2007년 7월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CERD)에서는 ‘한국은 이미 단일민족이 아니므로, 이제 한국사회의 다민족적인 성격을 인정하고 다문화사회라는 점을 정부 차원에서 받아들이고 이에 맞추어 교육, 문화, 정보 등 여러 분야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다문화사회가 되어 감에 따라 학교에서 다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에 따라 각급 학교에서 다문화교육이 시행되었다. 초기의 다문화교육이 주로 다문화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이들의 한국 사회 적응 및 학습 부진 해소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면 최근에는 다문화교육의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다문화가정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들에게도 다문화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담긴 다문화교육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모색하기 위하여 다문화사회의 의미, 다문화교육의 개념,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파악한다. 둘째,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한다. 셋째, 초등 도덕과 교과서에서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한다. 넷째, 초등학교 도덕 교과에서의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탐색한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수행하기 위한 자료 수집 및 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단행본, 관련 논문, 기타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이 어떻게 서술되어 있는지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초등 도덕과 제7차, 2007개정, 2009개정 교육과정 및 2007개정, 2009개정 3, 4, 5, 6학년 도덕과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3, 4, 5, 6학년 도덕 교과서에 다문화교육 관련 내용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고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는 예화와 삽화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교과서의 구성 의미는 지도서를 통해 파악하였다.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내용 분석에 사용하게 될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 분석틀’은 문화다양성, 정체성, 평등/평화로 설정하였다. 2009 교육개정 도덕과 3, 4, 5, 6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은 몇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증가했다. 2009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문화인과 세계인을 제시하여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고자 하였다. 교과서 사례를 보면 다양한 피부색의 외국인 및 이주민 등이 나온다. 다문화 가정 자녀의 피부색을 다르게 표현하거나 가족 이야기에서 아버지나 어머니의 피부색을 다르게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다문화 가정 자녀 학생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다양한 개인과 집단, 문화의 존재를 인식하는 문화 다양성의 요소를 뜻한다. 둘째,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는 활동들을 많이 제시하였다. 교과서의 사례에서 보면 ‘다른 사람의 입장 되어 보기’ 역할놀이나 ‘뜨거운 의자’ 체험활동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게끔 하였다. 셋째, 다문화 가정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피부색이나 부모의 출신 나라가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편견을 가지거나 차별하지 않도록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토끼와 거북이’, ‘왼손잡이’, ‘타조와 얼룩말’ 등처럼 예화를 통해서 다름이 차별의 이유가 아니라 서로 다른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그것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다문화적 태도 형성에 도움을 주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도덕과 교과서에서는 사회의 변화와 흐름을 반영하여 다문화적 내용이 많이 있음을 분석 결과 확인되었다. 이후 도덕 교과서 안에 다문화교육 내용을 포함시킬 때 고려해 보아야 할 사항으로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과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 교과서에서 다문화교육은 사회 통합을 강조하기 보다는 문화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한국사회에 적응을 먼저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이주민을 받아들이는 우리들이 그들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갖고 있지 않았는지 생각해보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주민들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존중하는 태도를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이 단원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단원 중심적인 내용 구성은 일회적인 교육으로 끝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통합적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단원 중심 구성을 바꿔야 할 것이다. 여러 주제에 다문화적 내용이나 인물을 나오게 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도덕 교과서 전체에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배려하는 태도를 내용들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 가정에 대한 편견적 내용은 바뀌어야 한다. 삽화 내용 중 피부색이 다르고 우리말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고 차별받는 내용에서 자신의 얼굴을 하얗게 만들기 위해 씻었다는 내용이나, 친구들이 놀리거나 웃었다는 내용이 있는데 되도록 이런 표현은 삭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북한이탈주민과 조선족 동포에 대한 내용도 더 많이 다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상황과 실정을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적극 반영하여 다양성 속에서 통일성이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미래 지향적인 통일 한국을 위해 도덕 교과서에 한국적 다문화교육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외국인 위인의 피부색이 주로 북미나 유럽 출신의 피부색이 하얀 인물로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 좀 더 다양한 피부색의 위인들을 교과서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 시절은 아동의 정체성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시기이기도 하고,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은 좀 더 체계화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교육의 대상자는 전체 학생이며 다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학생들에 대한 다양한 자료나 교육환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내용을 분석하면서 앞으로 학생들에게 도덕 수업을 할 때 어떠한 다문화적 태도를 가지게 할 것인지에 대한 생각을 하는데 의의가 있었다. 여기서는 도덕 교과서만 분석하였지만 전 교과서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교과서에 대한 전반적인 다문화교육 내용이 제시된다면 초등교육의 다문화교육 발전에 큰 의미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주요어 : 도덕교과서, 2009개정, 다문화교육,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 현행 초등학교 5~6학년 도덕교과서 삽화 분석

        김병선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 5∼6학년 도덕교과서 삽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삽화제시의 특징과 문제점을 고찰해 보고 이에 의거하여 삽화의 바람직한 제시 방향을 모색하여 보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분석 기준은 삽화 수, 표현 유형, 표현 기법(외형적 측면) 등과 더불어 삽화와 교과서 내용과의 일치도, 삽화의 역할, 사회·문화적 요소(내용적 측면) 등의 6 가지이다. 이러한 기준에 의거하여 5∼6학년 도덕교과서 삽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6 학년 도덕교과서에 제시된 삽화 수는 페이지 당 평균 1.2개로 나타났다. 삽화 수는 단지 통계상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에서 고려된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이에 대한 논의는 생략되었다. 둘째, 삽화의 표현유형에서는 5학년의 경우에 만화적 표현이 32.4%로 가장 높았다. 6학년의 경우에는 사실적 표현이 57.7%로 전체의 절반이 넘는 수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5∼6학년 도덕교과서에서 사실적 표현, 사진, 만화적 표현 등을 모두 합치면 90%를 넘을 만큼 표현유형의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아동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참신하고 다양한 표현의 삽화가 제시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표현재료 및 기법에서는 5학년의 경우에 컴퓨터 그래픽 기법의 사용이 전체의 30.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6학년의 경우에는 물감이 전체의 71.8%를 차지할 정도로 많이 사용되었다. 컴퓨터 기법은 단지 1.4%정도를 사용하는데 불과하였다. 따라서 각종 다양한 시각매체들을 접하며 성장하고 있는 아동들에게 시대적 환경을 반영한 삽화가 제시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넷째, 삽화와 교과서 내용과의 일치도는 5학년의 경우에 89.8%로 나타났으며, 6학년의 경우에는 95.3%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5∼6학년의 경우에 삽화와 교과서 내용과의 일치도가 높게 나타나기는 하였지만, 일치도가 낮은 삽화는 재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섯째, 삽화의 역할 면에서 보았을 때, 5학년의 경우에는 상황을 제시하기 위한 삽화가 42.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6학년의 경우에는 동기유발을 위한 삽화가 전체의 37.1%로 상황제시를 위한 삽화 31.9%의 비율 보다 높게 나타났다. 5∼6학년 도덕교과서에서 삽화가 제시된 목적은 다양하겠지만 아동들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사고 기능이나 문제 제기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삽화 비율을 더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여섯째, 직업에 따른 성별을 분석하여 본 결과에 의하면, 5학년의 경우에 직업을 가진 남녀의 수는 같게 나타났으나, 6학년의 경우에는 남자와 여자의 비율이 6대 4 정도로 남자직업의 종류가 여자의 그것에 비하여 조금 더 많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5∼6학년 도덕교과서를 통해서 볼 때, 직업의 다양성면에서는 남자직업의 종류가 여자의 그것보다도 훨씬 더 많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남녀가 갖는 직업의 분야를 전통적인 직업관을 중심으로 하여 제시한 것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5∼6학년 도덕교과서 삽화의 제시방향을 제언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의 5∼6학년 도덕교과서가 지나치게 텍스트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화가 단순히 텍스트를 보조하는 역할에 머무르고 있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따라서 교과서 집필 단계에서부터 삽화전문가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텍스트와 삽화가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하고 독특한 삽화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폭넓은 시각적 경험과 사고를 맛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단순한 상황 제시나 전통적인 표현재료 및 기법으로는 더 이상 학습자의 관심을 유도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삽화는 학습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학습의 능률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illustrations inserted in the morals textbook of the 5∼6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examination of the features and problems of illustration insertion and, on the basis of such examination, seeking a desirable method for inserting illustrations. The analysis basis utilized in this study includes six bases: external aspects such as the number of illustrations, expression type, expression technique; and substantial aspects such as coincidence with contents of a textbook, a role of illustrations and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The result of analysis of 5∼6th grade morals textbook under such bases is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illustrations presented in the 5-6 grade morals textbook was revealed an average of 1.2. The number of illustrations was decided only for the purpose of statistical exactness and convenience, so in this study the discussion about that was omitted. Second, in the expression type of illustrations, in case of the fifth grade, comic expressions were most as 32.4%. In case of the sixth grade, realistic expressions accounted for 57.7% of the total. But the diversity of expression types was so insufficient that if all of realistic expressions, photographs and comic expression etc. are added up, it would be above 90%.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hat illustrations of new and various expressions should be proposed for increasing the creativity of children. Third, in expression materials and technique, in case of the fifth grade, the use of computer graphic accounted for 30.1% of the total, showing the most ratio. But in case of the sixth grade, colors were used so many that it accounted for 71.8% of the total. The ratio of using computer technique was not more than 1.4%. Accordingly, it will be necessary that illustrations reflecting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be inserted for the growing children seeing various visual media. Fourth, it was revealed that the relation between illustration and textbook contents was 89.8% in case of the fifth grade and 95.3% in case of the sixth grade. Though the relation between illustration and textbook contents was revealed high in case of 5∼6th grade, it will be necessary that the illustration whose ratio of the accord with the textbook contents is low be reconstructed. Fifth, from the viewpoint of the role of illustrations, in case of the fifth grade, the illustrations presenting a situation accounted for 42.6% showing the most ratio. And in case of the sixth grade, it was revealed that, in case of the sixth grade, the illustration for inducing a motive accounted for 37.1% of the total, the ratio higher than that of 31.9% of the illustration for situation presentation. It seems that the purpose of illustration being inserted in the 5∼6th morals textbook is various, but it is needed that the ratio of illustrations able to contribute to the thought function or ability to raise problems be increased taking account of the development stage of children.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gender according to occupation, it was revealed that in case of the fifth grade, the number of men and women taking up an occupation was same, but in case of the sixth grade, the ratio of men and women was 6:4, showing the types of a male occupation were more presented than those of female occupation. But, judging from the 5∼6th grade morals textbook, the types of a male occupation were much more presented than those of a female occupation in relation to diversity of occupation. But it should be improved that the types of occupation of men and women was presented centering around a traditional viewpoint of occupation. To propose the better method of inserting illustrations in the 5∼6th grade morals textbook based on this study result, it is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since the present 5-6th grade morals textbook is constructed centering around text, the illustration plays a role for only assisting text. Accordingly, it is required that a textbook be constructed in the way text and illustrations provide a mutually complementary function, by a illustration expert actively participating from the stage of writing a book.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and peculiar illustrations able to induce the interest of learners so that they can hav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widespread visual experiences and thought. Presenting a simple situation, or traditional expression materials or technique may not be effective in inducing the interest of learners. Therefore, it seems desirable to present illustrations so that they can induce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thus raise the efficiency of learning.

      •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효개념 분석 연구

        이광제 춘천교육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랜 전통을 가진 우리나라에서의 인간교육의 중점은 전통적으로 항상 효가 중심이 되어왔다. 사실 교육은 시대와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나 동양 사회에 있어서 교육의 중점은 한결같이 도덕교육에 있었기에 동양사회는 도덕위주의 사회였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효는 인류가 살아가는 근본요소로서 효를 윤리 행위의 기본적 실천으로 인식했기 때문이 다. 그러므로 효의 중핵은 경애정신과 인간존중의 정신이고 그것은 인간 형성의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건이다. 이런 인간 형성의 필수 요건인 효는 반드시 가르쳐야 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효가 저절로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라 윤리적 행위이기 때문이다. 반드시 가르쳐야할 효는 바로 도덕과의 교육과정의 일부이다. 교육과정은 학교 학습 활동의 총체이며, 교과서는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기에 교과서에 나타난 내용을 분석하고 검토하는 것은 교과 교육의 개선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효개념이 어떠한가를 조사 분석하고, 우리의 전통적인 효개념을 다시 검토함으로써, 개선할 점은 무엇이며, 계승하고 더욱 발전시킬 점은 무엇인지를 올바르게 검토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문제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였다. 먼저 효의 본질을 분석하기 위해 효의 윤리적 가치를 살펴보고, 효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봄과 동시에, 전통적 효개념에 대한 비판과 현대사회와 효교육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도덕과 교육과정상의 효개념 지도 목표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도덕과 교육 과정에서의 효개념의 변천과 주요 특징을 알아보고, 도덕과 교과용 도서의 효개념의 가치·덕목별, 제재별 분석, 교과서 시간 배당 및 쪽수 분석, 예시문에 나타난 내용별 분석, 교과서에 나와 있는 인물과 고전별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도덕과 교과서의 효개념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이 개편·적용되어 가는 시기임을 감안하여 3, 4학년의 도덕 교과서만을 중심으로 효개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과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리 모두가 살기 좋은 사회에서 행복하게 살려는 것은 모든 인간의 한결같은 염원을 이루기 위해서 이기도 하고, 도덕성의 충실을 요구하는 오늘날의 사회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그런 점들은 바로 전통 적인 효개념을 바르게 인식하고 효교육을 바람직하게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가 차세대 시민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기 그지없다. 덕성은 어릴 때부터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양성되며, 이미 정착된 습성은 자라나서도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에 실릴 내용은 차세대 시민들이 지녀야할 덕성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좀더 바람직한 도덕과 교과서는 교사의 부담을 덜어 주고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인 수업 전개가 충분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도덕과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자세한 안내가 제시되어야 될 것이다. 그리고 가장 핵심적인 가치·덕목을 한 주제로 정하여 그 덕목 가치를 중심적으로 학교의 행사와 시기별로 적절한 관련을 지어 직접 경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해야 한다. 따라서 교과서에 제시된 실천 내용을 가능한 한 직접 교실에서나 다른 장소에서 연습해 볼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내용이 삽입해야 함은 물론 실천 내용 점검하기를 삽입하여 교사와 학부모가 연대하여 함께 지도하고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도덕과 교과서가 이상과 같은 체제로 이루어진다면 보다 실천 중심의 도덕과 수업 진행이 교과서에 의해서 가능하게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제껏 도덕 교과서를 분석의 대상으로 다루어진 예가 부족한 편이다. 어느 교과든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것이 교과 교육 탐구의 요체일 것이다. 도덕과 교과서의 모형 개발과 교육과정을 개발 적용하기 위해 많은 학자들과 실험학교들이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고 검토하고 있기는 하나 현실적으로 이론에 그칠 뿐 아니라 현장 적용에 매우 어렵고 힘들기에 앞으로 도덕과 교과서 분석이 더욱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도덕과 교육이 제자리를 찾아가는데 일조를 하였으면 한다. The personality education of Korea with long tradition has always put much emphasis on Hyo(filial piety). As a matter of fact, education has been subjected to changes in society and environment, but the Oriental society has concentrated on moral education in a consistent fashion. Because the Oriental society has regarded Hyo, one of the most fundamental elements of humanity, as the basic practice of ethical behaviors. Therefore the core of Hyo relates to the spirit of reverent affection and ardent respect for human beings, which serve a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process of forming humanity. In this context, Hyo should be educated. Because Hyo doesn't come easy, but is based on ethical behaviors. Hyo is the very part of moral studies. The curriculum is the whole of learning activities at schools and textbooks are important materials designed to attain the objectives of educatio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make an analysis and inquire into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ith a view to improving the education of subjects. This study is dedicated to the analysis and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Hyo presented in the textbook of moral studies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to suggest measure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concept of Hyo and to shed light on the good points of Hyo to succeed to. With this in mind, I have come up with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To begin with, I explore the ethical value of Hyo with a view to making an analysis of the essence of Hyo, taking a look at what constitutes the concept of Hyo and at the same time inquiring into criticisms of the conventional concept of Hyo. And I examine what consists of the concept of Hyo presented in the textbook of moral studie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Hyo in the textbook of moral studies by value and virtue, the alloted pages within the assigned time, the contents of examples and the figures and contents of the textbook. This study focuses on the third graders' and fourth graders' moral studie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now is the time when the 7th curriculum is in the process of being reorganized and applied. I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along with the suggestion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process above. Our ardent desire to live a happy life in a welfare society is aimed at achieving the dreams of humanity and working out the tasks of the day.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having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nventional concept of Hyo and rendering the education of Hyo desirable. We canno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oral studies too much in view of their influence on the edu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Virtue is to be cultivated through life-long education and training, and an already-formed habit is not easy to discard. Therefore the textbook of moral studies for the next generation should involve the virtue of which the next generation is supposed to be possessed.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 above, instructions for the textbook of moral studies and for teachers should be presented so that the teachers may be relieved of the burden coming from the textbook of moral studies and that the students may engage in the unfoldment of self-directed classes. And the students should provided with chances to directly experience the most important virtue of all in connection with school events by period. The textbook of moral studies should include guidance for carrying out the contents outside or inside the classes, and teachers and parents should go hand in hand to check the materialized factors of virtue. If the textbook of moral studies is formed in this way, the classes of moral studies will concentrate on the practice of virtue.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of moral studies has something to be desired. The bottom-line of education is how and what to teach. There are a lot of scholars and experiment schools that make analysis of and inquire into the contents of education with a view to developing the models of the textbook, working out and applying a curriculum. But there is a lot of limitation in reality. I hope that further researches will come up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moral studies.

      • 다양성 관점에서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성, 장애, 인종 관련 내용 분석

        고주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다양성을 고려하는 사회에서 다양성을 추구하는 사회로 가고 있는 현재, 학교 속 교육의 모습은 얼마나 다양성을 담고 있을까. 초등 의무교육 기간은 아동 학습자의 초기 의식 구조를 형성하는데 매우 큰 영향을 끼치는 기간이다. 이때 아이들이 접하게 되는 학습 도구 중 하나인 국정 교과서는 그 사회의 모습과 지향하는 방향성이 담기게 된다. 그렇다면 과연 교과서 속에 담겨 있는 ‘선택된 지식’들은 얼마나 사회의 다양성을 담고 있을까. 초등 도덕 교과의 경우 다원적 가치의 함양을 추구하며 인성 교육 및 도덕적 가치 교육의 핵심 교과이다. 교과 목표가 시민 사회와 국가, 지구 공동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받아들일 것인지 자신의 삶과 연결 지어 찾아볼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간단히 줄여보자면, 도덕과의 목표는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누릴 수 있는 민주시민 양성이다. 학습자가 도덕 교과의 배움을 통해 사회 속 다양한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도덕 교과서 속 다양성은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 도덕 교과서 속 ‘성’과 ‘장애’, ‘인종’ 측면에서 다양성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도덕 교과서 속 ‘성’과 ‘장애’, ‘인종’ 관련 내용이 어떠한 방식으로 기술되고 있는지 내용분석의 연구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3명의 코더(coder)가 연구에 참여하여 도덕 교과서 속 텍스트와 그림, 삽화를 분석하였다. 다양성 포함 정도의 분석 기준으로는 ‘고정관념과 편견이 들어있는가.’, ‘중립적이며 다양한 묘사가 나타나는가.’, ‘고정관념과 편견을 탈피하려고 노력하는 집필자의 의도가 드러나는가.’의 3가지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 교과서상 ‘성’과 ‘장애’, ‘인종’ 요소를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한 결과 고정관념을 탈피하려는 집필자의 의도가 드러나고 있으며, 세 가지 요소 모두 성 평등 교육, 장애 이해 교육, 다문화 교육 내용이 아닌 단원 제재에도 교과서 전반에 걸쳐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학년보다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다양성이 더 많이 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학년(3~4학년)보다는 고학년(5~6학년)으로 올라가게 되면 직접적으로 차별을 경계하는 차시와 고정관념과 편견을 탈피하려는 집필자의 의도가 담긴 학습 제재들이 보다 많이 등장한다. 셋째, 초등 도덕 교과서 속 성 관련 내용 분석의 결과, 교과 활동 및 진로 내용에서는 성별 다양성이 드러나고 있으나 외형상 고정관념이 여전히 포함되고 있으며 성 소수자에 대한 언급이 없어 성 소수자는 도덕 교과서상 존재가 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초등 도덕 교과서 속 장애 관련 내용 분석의 결과, 장애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급 참여 모습 및 장애인들의 사회 구성원 참여 예시가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초등 도덕 교과서 속 인종 관련 내용 분석의 결과, 동등한 구성원으로서의 인종에 대한 묘사가 가장 많이 등장했으며 지구촌 사회에 걸맞게 다양한 인종이 협동하는 사례와 더불어 가정의 모습을 묘사할 때에도 다문화 가정을 빈번히 등장시킴을 알 수 있었다. 고학년으로 갈수록 직접적인 인종차별을 경계하는 학습 사례도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과서 내 다양성의 측면은 과거보다 개선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으나, 성 소수자에 대한 내용과 다양한 성의 롤모델 제시 및 지체 장애 외에 다양한 장애 유형의 묘사가 필요하다. 또한 성별에 따른 행동의 제약에 대한 묘사는 없으나 여전히 외형 성별 고정관념이 교과서에 드러나 있어, 성별의 한계를 뛰어넘은 다양한 외형의 모습을 보여주는 시도 또한 필요하다고 보인다. 다양한 삶의 모습이 담긴 교과서가 되기 위해, 사회의 흐름과 발맞추어 나아가는 교과서가 되기 위해, 사회 공동체가 어떠한 방향을 지향해나가야 하는지를 바르게 인식하고 추구하는 내용을 담은 교과서, 세상 사람들의 모든 빛깔을 담아낼 수 있는 교과서가 되기 위한 노력이 지속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분석

        임재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다문화적 가치와 속성 등의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 내용을 포함한 앞으로의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개선방향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교육과정 상에 여러 교과가 있지만 그 중 도덕과에서 다문화교육이 갖는 의미는 크다.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은 개인의 정체성 형성 및 바람직하고 합리성에 바탕을 둔 의사소통능력을 길러주는데 지대한 영향을 주며 자신과 다른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 및 관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수업의 주된 매개체인 도덕 교과서는 도덕과 교육과정이 학교 교육에 반영된 것이다. 초등학교 학생들은 도덕 교과서에 제시된 여러 소재의 글을 비롯하여 삽화, 사진 등의 정지 영상 자료를 통해 다양한 문화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고 일정한 태도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도덕과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실리는 글과 정지 영상 자료 등의 내용이 다양한 문화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작업은 중요하다. 다문화교육은 개인의 정체성 형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사람들과의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교육적 활동이다. 그리고 다문화교육의 목표는 자신의 정체성 형성을 바탕으로 하고 다양한 문화에 대해 이해하며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올바르게 살아갈 수 있는 지식, 가치, 태도의 함양을 통해 지구 공동체의 조화로운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분석을 위한 기준 설정을 위해 ‘정체성 형성’, ‘다양한 문화 이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조화로운 발전’의 네 가지 영역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13개의 하위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총 35개의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분석을 위해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경우 다문화 관련 내용이 직접적으로 언급되고 도입된 2007년 개정 교육과정만을 다루었다.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는 제7차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3, 4, 5, 6학년 교과서의 내용과 다문화적 내용이 확실하게 드러나는 ‘다양한 문화 이해’ 영역에 집중한 정지 영상 자료에 대한 빈도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다문화 내용 분석 기준을 통해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확산이다. 둘째,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증가이다. 셋째, 다문화 관련 내용이 교과서의 단원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구촌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한 정체성 형성, 다양한 문화의 이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많이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도 도출되었다. 첫째, 다문화 내용과 관련하여 분석 기준에 의해 분석한 결과 반영이 없거나 반영이 미흡한 부분이 나타났다. 둘째, 교과서의 이야기 등장인물이 학생 주변의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셋째, 교과서의 정지 영상 자료에 다양한 인종이 자연스럽게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 넷째, 새터민에 대한 용어 사용을 바꿀 필요가 있다. 다섯째, 부모의 국적만으로 한국인이냐 아니냐를 판별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면 재외 동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도덕과의 개선방향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릴수록 문화 상호적 학습의 효과가 높다는 점을 생각할 때 다문화교육이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안에 좀 더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도덕과 목표에 다문화 관련 내용을 보완하거나 추가하여야 한다. 셋째, 도덕과 내에서의 다문화 내용에 대한 교과서 보완 및 내용 체계를 정립하고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최근 다문화 사회로 급속하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수용의 태도를 길러 주는 것이 된다. 단일 민족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자민족 중심주의로 다른 문화에 대해 우리 사회로의 동화만을 강조한다면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현실 속에서 올바르게 살아갈 수 없음을 깨닫게 해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에서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교과는 도덕과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도덕과는 다문화 시대의 마중물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초등 도덕교과서의 인식론적 접근에 대한 치료적 재서술 : 로티의 신실용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태윤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초등학교 도덕교과서는 1973년에 처음 만들어졌다. 그동안 도덕교과서는 여러 방면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기위해 노력해왔다. 그러나 서술 방식에 있어서의 변화는 별로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교과서의 서술 방식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로티의 신실용주의를 통해 2009개정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의 인식론적 접근을 치료적으로 재서술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세 가지 단계로 전개된다. 첫째, 로티의 신실용주의를 고찰하여 치료적 접근의 원리로서 문학적 문화의 추구, 자유주의 아이러니스트의 추구, 반토대적 접근, 반표상적 접근을 도출하였다. 둘째, 현행 도덕교과서의 인지․정의․행동적 측면의 서술방식을 정리하고 도덕교과서 서술 방식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인지적인 측면에서는 추상적 개념형성과 결론이 정해진 탐구, 정의적인 측면에서는 지식화된 감정과 기계적 절차구성, 행동적 측면에서는 자아실현의 역설과 기계적 절차구성의 문제를 찾을 수 있었다. 인지적인 측면에서는 대화의 지속과 질문의 재서술로, 정의적인 측면에서는 타인의 고통에 대한 상상력과 전체론적 서사로, 행동적인 측면에서는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분리와 우연성의 수용과 반성으로 해소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덕교과서의 치료적 접근을 적용하기 위한 방향과 원리를 도출하였다. 셋째, 도덕교과서의 4개 영역에서 4개 단원을 추출하여 재서술하였다. The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 was first made in 1973. Meanwhile moral textbooks were trying to reflect the various voices in many ways. But the specific narrative has not changed much.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narrative of moral textb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escribe the epistemological approach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revised in 2009 to the therapeutic approach by the Neo-Pragmatism philosophy of Rorty. This study was developed through three stages. First, I considered the Neo-Pragmatism of Rorty through the principles of therapeutic approach. It is the pursuit of literary culture, the pursuit of liberal ironist, anti-foundational approach and anti-representational approach. Second, I summarized moral textbooks into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Then I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extbook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therapeutic approach. Problems of cognitive aspect are the “formation of abstract concepts” and “conclusion given quest.” Problems of affective aspect are “emotions have become knowledge” and “Incomplete narrative”. Problems of behavioral aspect are “the paradox of self-realization” and “mechanical process configuration.” I proposed a therapeutic approach to solve this problems. Resolutions of the cognitive aspect are “the continuation of conversation” and “redescription of the question.” Resolutions of the affective aspect are “imagination of someone else's pain” and a “totalitarian narrative”. Resolutions of the behavioral aspect are “separation of the private and the public” and “acceptance of contingency and reflective practice.” Through this process, I have derived the direction and the principles to apply the therapeutic approach to moral textbook. Third, I redescribed the four content areas of moral textbook therapeutically.

      • 초등 도덕 교과서의 인권교육 내용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심주용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2

        논문 요약 초등 도덕교과서의 인권교육 내용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심 주 용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윤리교육전공 (지도교수 유병열) 인권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 논문은 초등 도덕교과서의 인권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인권교육 실현을 위한 초등 도덕교과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점들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본 논문과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을 명확히 밝힌 후, 인권의 발달 과정 및 개념의 변화 양상 등을 다룬 문헌을 통하여 인권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적 탐구를 하고, 인권교육 및 도덕과 교육의 목표와 원리 및 내용과 방법 등을 다룬 문헌을 통하여 인권교육과 도덕과 교육의 밀접한 관련성을 제시함과 더불어 초등 도덕교과서를 매개로 한 인권교육의 목표와 내용 및 지도 원리와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초등 도덕교과서의 인권교육 내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분석 대상 및 분석 기준, 그리고 분석 방법에 대한 관련 문헌을 고찰한 후 분석 기준을 설정한다. 셋째, 이상에 더하여 구안한 인권교육 내용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현행 교육과정의 초등 도덕교과서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의 논의를 통하여 인권교육을 위한 초등 도덕교과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한다. 상기의 절차에 의거하여 리스터의 인권교육 기본 구조와 도덕과 학습 지도의 기본 원리를 접목하고, 유엔의 국제인권규약과 유병열 외가 제안한 ‘초등 도덕과에서의 인권교육에 관한 연구’를 차용 및 재구성하여 설정한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초등 3~6학년 도덕 교과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다 효과적인 인권교육을 위한 초등 도덕교과서의 개선 방향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에 대한 교육의 경우 다양한 분야의 영역을 균형 있게 구성하는 것과 더불어 권리적 측면이 강조된 서술 방식으로 전환 그리고 인권 용어의 정련 및 직접적인 제시가 필요하다. 도덕과 교육이 인권교육과 보다 밀접하고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기 위해서는 각 학년의 수준에 맞는 인권 용어를 개발하고 정련하여 해당 학년 도덕 교과서에 제시하고 서술방식 역시 권리적 측면이 강화되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인권의 역사와 인권 관련 문서’와 관련된 영역의 경우 인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권 친화적인 성향을 신장을 기대할 수 있는 영역인 만큼 초보적인 수준에서의 도입일지라도 충분히 초등학교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영역이라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권을 위한 교육의 경우 해당 범주와 연계된 도덕교과서 활동의 내실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도덕과 및 인권교육의 보다 실효성 있는 접근을 위해서 해당 활동의 할애 시간 확대 및 주요 활동으로의 전환 등이 필요하다고 보며, 이는 곧 인권 친화적인 학교 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의미한 동력이 되리라고 본다. 셋째, 인권을 통한 교육의 경우 해당 범주와 연계된 도덕교과서 활동의 학교 현장의 변화를 반영한 학교 밖 활동으로의 확대가 필요하다. 학교 밖 활동이 더해진다면 인권교육을 위한 물리적 공간의 확대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넷째, 인권교육 내용의 학년별 균형적 분배가 필요하다. 인권교육 내용의 연속성과 풍부성 등은 인권교육의 효과와도 직결된다는 점을 상기하여 볼 때, 인권교육과 관련된 도덕적 가치‧덕목 등을 3~6학년 도덕교과서에 균등 분배하여 각 학년 학생들의 인지발달 단계에 맞게 구성하여 제시한다면, 학년 별 인권교육 내용의 투입량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인권교육 내용의 양적 연속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단원의 통합적 접근의 가능성을 신장하고 인권교육 범주에 속한 인권교육 영역의 불균형 측면의 개선하기 위해 인권에 대한 교육의 구성 빈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각 학년의 해당 아동 수준에 맞는 인권 용어의 제시를 통해 인권에 대한 교육에 속한 인권교육 내용의 양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인권교육 범주의 균형적인 투입과 더불어 인권교육에 대한 통합적 접근의 가능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초등 도덕과 내용 영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인권교육 범주를 연계할 필요가 있다. 각 영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영역은 인간의 존엄성과 같은 기본적 권리와 더불어 1세대 인권인 시민·정치적 권리를, ‘우리·타인·사회와의 관계’영역은 2세대 인권인 사회적·경제적·문화적 권리를, ‘나라·민족·지구 공동체와의 관계’영역과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영역은 3세대 인권인 연대의 권리와 관련된 인권교육 내용을 체계적으로 연계시킨다면 초등 도덕과 내용 영역의 고유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인권교육 내용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학생들로 하여금 보다 풍부하고 지속적으로 인권교육 내용을 접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개선의 방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인권, 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