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족계획 생활을 하겠는고?" : 인구담론과 한국의 가족계획사업, 1953~1972

        황민영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1953~72년 사이 한국의 가족계획사업을 중심으로 인구 담론의 역사적 계보를 추적하고, 그 계보를 이어받은 한국에서의 인구 담론이 어떻게 가족 담론으로 변주되었는지를 분석한다. 인구라는 개념은 18세기 산업혁명이 초래한 도시 문제와 얽히며 등장했다. 인구라는 새로운 인식의 격자는 그물망(network)과 같은 구조로 국가의 상부 단위로써의 사회와 하부 단위로써의 가정을 변화시켰다. 영국, 프랑스, 독일은 인구 담론이 초래하는 변화상을 잘 드러냈다. 우생학, 통계학, 의학 등의 학문이 보편화되었고, 특히 우생학은 근현대사의 계보에서 열전과 냉전으로 이어지는 단초를 제공했다. 그 단초는 미국, 일본, 스웨덴 등의 국가에서 일국사적인 인구 담론의 지평을 세계 체제화하는 방식으로 확장되었다. 개념에 불과했던 인구는 18~20세기를 거치며 하나의 거대한 인구 지식 총체, 즉 인구 담론으로 성장했을 뿐만 아니라 인구 정책를 촉발했다. 한국은 세계 체제화된 인구 정책의 흐름 속에서 가족 담론으로의 전환을 맞이했다. 이 전환을 보여주는 단적인 표지가 바로 한국의 가족계획사업을 주도한 반관반민 기관인 대한가족계획협회의 등장이었다. 가족계획협회는 의료전문가, 행정관료, 사회공학자라는 세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조직체였다. 이 조직체는 발전주의를 바탕으로 한 국가 건설과 공공의료체계의 확립을 주요 기치로 삼고, 이 목표가 달성되기 위해 가족계획사업이 선결되어야 함을 인지했다. 이를 위해 조사연구, 정책자문, 교육홍보 세 영역에서의 활동이 전개되었다. 이 활동들은 혼재된 상으로 존재하던 가족의 상을 하나의 모형으로 조립해냈다. 현재 우리가 인식하는 보편적인 가족의 원형(남녀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은 바로 이것이다. 이 가족 모형은 사적 공동체처럼 보여지지만, 그 이면에는 국가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공적 공동체라는 속성이 부여되어 있었다. 공적 공동체로써의 가족 모형은 대한가족계획협회의 교육홍보 사업을 통해 대중화되었는데, 특히 기관지였던 『가정의 벗』에 그 구체적인 실상이 제시되어있다. 편집진-필진-표지-광고-내지 각각에는 당대의 가족 모형이 담겨있다. 동 기관지가 일반 시민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관에 배부되었다는 사실은 가족계획협회의 가족 모형 대중화 작업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현재 시점의 보편적인 가족의 상이 온존하게 남아있는 것으로 그 작업의 성공을 시사한다.

      • 콩고민주공화국 Kwango 지역 가임기 여성들의 가족계획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우경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 세계적으로(2015년) 5세 미만 아동 사망자 수는 590만명, 모성 사망자 수는 30만 명으로 추정되며, 이 중 대부분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며, 50%이상이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국가들과 국제기구들은 모성 및 영유아 건강증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가족계획은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한 전략으로 추진되어 왔다. 가족계획이란 부부 스스로가 피임 방법 또는 불임 시술을 통해 원하는 자녀의 수 및 출산의 시기를 계획하고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인 콩고민주공화국은 국제기구 및 공여기관으로부터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으로 인하여 가족계획 정책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 ODA사업에 의해 수행 중인 모자보건역량강화 사업지역인 콩고민주공화국 Kwango지역 가임기 여성들의 가족계획 실천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가족계획 실천율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4년 7월, 콩고민주공화국 Kwango 지역에 거주하는 15-49세의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일대일 직접 면접에 의한 간접기입 방식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Andersen의 의료이용 모형에 기반하여 소인성 요인, 가능 요인, 필요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 총 750명이 응답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통계 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 및 t검정, 그리고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종교, HIV/AIDS 모자수직감염지식 유무, 가구 월 소득, 산전관리 이용여부, 산후관리 이용여부, 가족의 핸드폰 소지여부, 라디오/TV 청취빈도가 가족계획 실천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향후 가족계획 실천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가족계획 실천율이 낮게 나타난 24세 이하 여성, 미혼인 여성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계획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홍보 시 다양한 피임방법에 대한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가족계획 정보에 대한 접근성 강화를 통해 여성으로 하여금 스스로 피임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서비스의 전달 측면에서는 보건소, 보건지소의 가족계획 서비스 이용 가능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건 의료 시설을 적극 활용하여 가족계획 서비스, 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콩고민주공화국의 지역사회보건요원(RECO)의 역량강화 교육을 통한 가족계획 인식 개선과 정보제공을 통해 의료기관과의 접근성이 떨어진 오지에서도 가족계획 및 피임관련 접근성 강화와 피임 방법을 보급하도록 독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가족계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건 인력 및 보건 시설의 역량 강화가 중요함을 강조한다. In 2015, child mortality reached 5.9 million and maternal mortality reached 300,000, most of which occurred in developing countries with South Saharan African Region constituting more than 50%. Consequently, family planning has been the main strategy for international communities and organizations' attempt to improve maternal and child health. Family planning means the practice of controlling the number of children in a family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ir births, particularly by means of artificial contraception or voluntary sterilization. In spite of the support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donors, DR Congo, the target area of this research, is struggling to establish effective family planning strategy due to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 Thus, this research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family planning policies by analyzing affecting factors on women of reproductive age in Kwango, DR Congo.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project is implemented in Kwango district, DR Congo supported by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KOICA). On July 2014, Interviews on women between the age of 15 and 49 were performed for this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Andersen model of health care utilization, which is consisted of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s. 750 women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data was analyzed with Chi-square test, t-tes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21.0. The result indicated that religion, knowledge on HIV/AIDS vertical infection, monthly household income, antenatal care, postnatal care, possession of mobile phone, and frequency of Radio/TV usage had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planning. Consequently, the research shows that policies on family planning should target unmarried women aged under 24, Also to maximize the effect of policies, sufficient knowledge on contraceptive method should be provided to beneficiaries for them to make a right choice for themselves. On delivery aspect of the service, availability of family planning service in local health center or health post is important. Consequently, it is imperative to use medical facilities to increase accessability on the service as well as relevant educational material. Also, promoting the service remote areas through DR Congo's community health worker (RECO)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capacity building of medical facilities and personnel is crucial for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development of family planning policies.

      • 중국 가족계획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옹호연합모형을 중심으로

        이, 성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2

        本論文對中國計劃生育政策的變動運用了薩巴蒂爾(Sabatier)的倡導聯盟框架(A CF)進行了分析。中國30年來實施的壹胎政策,因最近單獨二胎政策的引入(2013年)和全面二胎政策的實施(2015年)而出現了全面的政策變動。本研究以這壹時期為重點,針對倡導聯盟框架分析政策變動的原因和過程。倡導聯盟框架(ACF)強調政策的變動關註兩大聯盟的核心信念的變化,在外部因素的影響和政策變動過程中學習政策。研究結果的主要分析內容可概括為: 在本文的分析中,政策子系統的兩大聯盟分成了二胎政策的支持聯盟和反對聯盟(即壹胎政策的支持聯盟)。支持聯盟的成員主要包括政策研究機構、民間人(包括孕婦、育兒產業、建設行業)、學者、政府,反對聯盟包括政府、保守學者、資源環境保護主義者。 兩大政策擁護聯盟的核心信念體現出明顯的差異。深層的核心信念存在著對生育權的認識差異和把價值放在可持續的經濟發展或人口壓力和資源環境的制約上的差異。政策的核心信念從對發展的定義開始,就可以發現在老齡化社會等問題的解決上存在很大的分歧。次要的核心信念在計劃生育政策的重要性和包括計劃生育的可持續性對經濟發展產生的影響、勞動力和老齡化問題的認識、資源環境的局限性和對人口增加的預測等方面有著不同的差異。 另外,因外部因素,低生育、老齡化人口結構的變化、統治集團的變化、因外部因素引發的輿論變化等外部因素對政策下位體制的兩大聯盟的理念體系產生了重要影響。特別是,中國中央政府的權威機構作為兩大聯盟的政策中介者,對二胎政策的變動起到了主導作用,在政策變動過程中學習政策表現出了學界和政府機構引領的特征。 綜上所述,中國的計劃生育政策從嚴格執行30年的壹胎政策轉變為二胎政策,意味著支持聯盟的階段性勝利。支持聯盟的力量之所以會壯大,可能是因為人口壓力導致的經濟增長問題最重要。如果說過去的低生育計劃生育政策是因為有限的資源和人口過多而導致獨生子女政策,那麽最近放寬的生育政策被認為是老齡化的人口結構阻礙經濟增長的因素。我認為,這種認識在加強二胎政策倡導聯盟的新概念體系的同時,對改變反對聯盟的新概念體系產生了重要影響。 關鍵詞:中國計劃生育政策、二胎政策、倡導聯盟框架、政策變動 본 논문은 중국 가족계획 정책(計劃生育政策)의 변동을 사바티어(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ACF)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중국이 30년 동안 시행하였던 ‘한 자녀’ 정책의 가족계획은 최근 두 자녀 정책, 즉 단독이태 정책 도입(2013년)과 전면이태 정책의 시행(2015년)으로 전면적인 정책변동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이 시기에 중점을 두고 정책변동의 원인과 과정을 옹호연합모형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옹호연합모형(ACF)은 정책의 변동을 양대 연합이 지닌 핵심신념의 변화에 주목하며, 외부적 요인의 영향과 정책변동 과정에서의 정책학습을 강조한다. 연구결과의 주요 분석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논문의 분석에서 정책하위체제의 양대 연합은 두 자녀 정책의 지지연합과 반대연합(즉, ‘한 자녀’ 정책의 지지연합)으로 나누었다. 지지연합의 구성원은 주로 정책 연구기관, 민간인(임산부 육아산업, 건설업계 포함), 학자, 정부가 있고, 반대연합은 정부, 보수 학자, 자원환경 보호주의자를 포함한다. 양대 정책옹호 연합이 지닌 핵심신념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낸다. 심층적인 핵심신념은 특히 출산권에 대한 인식 차이와 지속가능한 경제발전 또는 인구압과 자원환경의 제약에 가치 우선성을 두는 차이가 있다. 정책 핵심신념은 발전에 대한 문제 정의부터 노령화 사회 등의 문제해결에 시각 차이가 큰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부차적인 핵심신념은 가족계획 정책의 중요성과 가족계획의 지속 가능성을 비롯하여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노동력과 노령화 문제에 대한 인식, 자원환경의 한계와 인구증가에 대한 예측 등에서 서로 다른 차이를 보인다. 한편 외부적 요인으로 저출산 고령화의 인구구조의 변화, 지배집단의 변화, 외부적 촉발사건에 따른 여론의 변화 등이 역동적인 외적요인으로 정책하위체제의 양대 연합의 신념체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중국은 중앙정부의 권위기관이 양대 연합의 정책중계자로서 두 자녀 정책으로의 변동에 주도적 역할을 한 것이 특징이며, 정책변동 과정에서 정책학습은 학계와 정부기관이 이끄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가족계획 정책이 30년 간 엄격히 시행하였던 ‘한 자녀’ 정책에서 두 자녀 정책으로 변동한 것은 지지연합의 단계적 승리를 의미한다. 지지연합의 힘이 커질 수 있었던 것은 인구 압력에 따른 경제성장의 문제가 가장 중요했던 것일 수 있다. 과거 저출산 가족계획 정책은 제한된 자원에 너무 많은 인구가 문제되어 ‘한 자녀’ 정책을 시행하였던 것이라면, 최근의 완화된 출산정책은 고령화된 인구구조가 경제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 인식이 두 자녀 정책 옹호연합의 신념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반대연합의 신념체계를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이라 생각된다. 키워드: 중국 가족계획 정책, 두 자녀 정책, 옹호연합모형, 정책변동 This thesis research al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abatier's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which analyzed for the changes in China's family planning policy. For the one-child Policy implemented in China over the past 30 years, the recent introduction of the selective two-child Policy (2013)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rehensive two-child Policy (2015) have resulted in comprehensive Policy changes. This study focuses on this period and analyzes the causes and process of policy changes according to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 emphasizes policy changes and focuses on changes in the core beliefs of the two coalitions. The main analysis contents of learning policy research result in the process of external factors and policy changes. The contents of learning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the two major alliances of the policy subsystem are divided into the support alliance of the two-child policy and the opposition alliance (the support alliance of the one-child policy). Members supporting the alliance mainly include policy research institutions, civil society (including pregnant women, child-care industry and construction industry), scholars and the government, while members opposing the alliance include the government, conservative scholars and resource environmentalists. There ar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core beliefs of the two policy advocacy coalitions. The deep core beliefs are different in understanding the reproductive right and putting value on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or population pressure and resource and environment constraints. The core beliefs of policy from the definition of development can be found to be very different in the resolution of problems such as aging societies. Secondary core beliefs vary in the importance of family planning policies and their impact on economic development, including the sustainability of family planning, awareness of labor and ageing issues, resource and environmental limitations and projections of population growth. In addition,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hange of low fertility, aging population structure, the change of ruling group, and the change of public opinion caused by external factors, the external factors have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ideological system of the two major alliances of the policy subsystem. In particular, the authority of China’s central government, as the power broker of the two alliance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hange of the two-child policy. In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learning polic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leading by the academia and government institutions. In general, China's family planning policy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strict implementation of the one-child policy for 30 years to the two-child policy, which means a staged victory for the alliance. The support for the alliance may have grown because the most important issue is economic growth caused by demographic pressures. If the past low-fertility family planning policy was caused by limited resources and overpopulation, the recently relaxed birth policy was considered to be an aging population structure that hindered economic growth. I believe that this understanding has had an important impact on changing the new concept system against the alliance while strengthening the new concept system of the Second Child Policy Advocacy Alliance. Key word: family planning policy, two-child policy,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policy changes

      • 국가사업 홍보의 효과적인 추진방안 연구 : 가족계획사업을 중심으로

        정재진 대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1

        Family Planning in Korea started as one of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s to control the population growth in 1961 and it has been recorded as a success worldwide. At the beginning of Family Planning, the population growth rate was up to 3% and 25 years after, it dropped down to less than 1 % in 1986. When Family Planning begun, this country was suffering from food shortage and massive unemployment rate, and it was hard to tell the result of this enterprise providing these fullblown socioeconomic unrest. However its goal was attained with the aid of effective promotion, and we could see the time of GNI $20,000 per capita(the national income $20.000 per head) earlier than expected. Comparing to some countries like India, and other countries in Southeast Asia, Central America, and Africa still struggling with overpopulation, Korea has completely overcome this problem and entered a new phase seeking for a qualitative development like other advanced countries. At present, Korea is facing some trends such as late marriages, celibacy and new concept of having small children. With these factors overflowing and the anticipation of absolute decrease of whole population, a question was raised about how to stop the current of decreased birth rate. The success of controlling population growth in Korea was, above all, achieved with properly given circumstances. On international side, the measures to check the increase in population were prepared, and on domestic side, the Korean military coup, coming into power by 5.16 Coup Detat, felt the necessity of controling over population growth as well. A strong will of the government and its strategic support made an important effect on Family Planning. People who practiced Family Planning could get some economic benefits, and with the revision of the laws on the inheritance of property, daughters could get the same benefits as sons. The socioeconomic changes followed by the economic development also made a big impact on the successful promotion of Family Planning. The increase of income,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level, the nosediving decrease of infant death rate, the delayed marrying age, and the changes of the view of lives and children directly affected the decrease of birth rate. The effective publicity activities and enlightenment campaigns led by PPFK(Planned Parenthood Federation of Korea)were main factors for its success. Considering it as a single national enterprise, the wide variety of strategies involved with publicizing Family Planning were outstanding. PR and enlightenment programs were proceeded with the help of people working with Family planning. And then with the extreme support by the press and the support by the government from a policy point of view, the effect was much more enhanced. The publicizing Family Planning was carried out step by step: firstly the plan of operation was made by time period, and public participation to make slogans about Family Planning was invited and then publicity activities were strengthened up through mass media. Along with these procedure, popular support and understanding were generated. Daily newspapers and magazines nationwide carried special reports and editorials on it in succession, and broadcasting companies televised many different programs like special talks, news, TV spots and so on. With the help of these multilateral and comprehensive PR system, good results could be produced. The enlightenment campaign especially for the housewives through the network of Mother's Association under Family Planning Headquarte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as well. The reserve forces, soldiers, and laborers were also the subjects of enlightenment. A Research Institution concerning population and Family Planning Clinics were established, international events and speech contests on it were held, and a Population Tower Clock was built. All these came up with a positive atmosphere all across the country. Family Planning could lead the whole participation of all the people throughout the country, which resulted in a successful enterprise with international recognition.

      • 에티오피아 가임기 여성의 임파워먼트가 가족계획 실천에 미치는 영향

        정예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87

        Safe and autonomous family planning is a human right and contributes to poverty reduction by strengthening the ideology of gender equality and women. Ethiopia provides family planning services through health facilities and has failed to meet various targets of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In addition, Ethiopian women's health levels and social participation remain low, and high sexual inequality within society is widespread. One in three Ethiopian women has experienced physical, emotional, or sexual violence. Especially in rural areas, women and children are considered the labor force, which reduces their education opportunities. The low level of education, limited social participation, and low level of health care of women are obstacles for women to exercise their rights and make decisions. In response,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women's empowerment on family planning practices among women of reproductive age in Ethiopia. The quantitative study was analyzed the Ethiopia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EDHS) of 2005, 2011, and 2016 from conducted by USAID, and the qualitative study was carried out on women and men of reproductive age living in Addis Ababa, as well as on health public officer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older a woman was, the more children she had, and the more often she practiced contraception. In addition, when women's education level was above primary school education and above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family planning would be further implemented. Women living in urban areas used more contraceptive practices than women who lived in rural areas, and women who were Orthodox used more contraception. Second, in terms of sex-related characteristics, the more contraceptive knowledge a woman had, the more contraception she used. The more women's sexual rights had, the more contraceptive methods were used. Third, rela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labor force in the past year were more likely to choose female contraceptive practices and were more willing to have children if they were economically stable. In addition, if women had the power to make economic decisions in the family, the more power they had over household assets, the more contraception they would use. In terms of gender-based violence experiences, the higher women's negative attitudes toward domestic violence, the fewer women used contraceptive methods for their partners. Fourth, in term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number of visits to medical facilities by women, the more contraceptives used by women. Therefore, the Ethiopia Government must focus on health policies that raise the educational level and improve the health literacy of wome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health education not only in medical facilities but also in communities and to create a social climate in which women have the right to make decision with religious or village leaders. In addition, the Ethiopian rural area has a low family planning practice rate so that the methods to provide services should be restructured by the regional context. 안전하고 자율적인 가족계획은 인간의 권리이자 성평등과 여성의 임파워먼트를 강화시키고 가난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한다. 아프리카 국가 중 가족계획을 국가 정책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에티오피아는 국가 의료시설을 중심으로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UN의 새천년개발목표(MDGs)의 여러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또한, 에티오피아 여성들의 건강 수준과 사회참여는 여전히 낮으며 사회 내 높은 성불평등이 사회에 만연해 있다. 에티오피아의 여성들은 가정 내 남성인 남편, 아버지 등으로부터 사회참여를 제한당한 경험이 있으며, 에티오피아 여성의 3명 중 1명이 신체적, 정서적 또는 성폭력을 경험하였다. 특히 농촌 지역에서 여성과 아이들은 노동력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들은 노동으로 인해 교육에 대한 기회가 줄어든다. 이러한 여성의 낮은 교육 수준, 제한된 사회참여, 낮은 보건 수준은 여성들이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걸림돌로 작용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 여성의 임파워먼트가 가족계획 실천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국국제개발처(USAID)에서 실시한 에티오피아 인구 및 보건 설문조사(Ethiopia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EDHS)로 수집된 2005년, 2011년, 2016년도의 2차 자료를 분석하고 아디스 아바바에 거주하는 가임기 여성과 가임기 남성 그리고 보건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여성의 나이가 많을수록, 자녀 수가 많을수록 피임 실천을 더 많이 하였다. 또한, 여성의 교육수준이 초등교육 이상, 중고등교육 이상인 경우 가족계획 실천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에 거주하는 여성이 농촌에 거주자보다 피임을 더 많이 하였으며, 종교가 정교인 여성이 여성용 피임을 더 많이 하였다. 둘째, 성관련 특성에서 여성의 피임 지식이 높을수록 피임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에는 여성이 성 결정권 유무가 여성용 피임 실천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관계적 특성에서 지난 1년간 노동 참여를 한 여성이 여성용 피임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경우, 아이를 더 원한다고 하였다. 또한, 여성이 가족 경제 결정권을 가질수록, 가계 물품에 대한 결정권을 더 가질수록 여성용 피임을 더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젠더 기반 폭력 경험에서 여성의 가정폭력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높을수록 커플용 피임법을 덜 실천하였다. 넷째, 환경적 특성에서 여성의 의료시설 접근성이 높을수록 여성용 피임을 더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에티오피아 가임기 여성의 가족계획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성관련 특성이 여성의 가족계획 실천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에티오피아 정부는 여성의 교육 수준을 높이고 보건 지식을 높이기 위한 보건 정책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겠다. 우선 의료시설에서 제공하는 보건 교육의 기회 이외에도 지역사회 내에서 종교 리더나 마을 리더를 활용하여 보건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성이 가족계획 실천의 결정권을 가질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야 겠다. 또한, 현재 에티오피아 정부는 보건시설을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는 가족계획 서비스를 의료시설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농촌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 환경에 맞춰 시설 및 제도를 재구성해야 하겠다.

      • Ethnical, religious and educational factors affecting family planning practices in rural areas : the case of Diender, Senegal

        Diene, Dame Graduate School of Government, Business, and Entre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6

        오늘날 가족 계획 실천은 개발 도상국의 인구를 통제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개입이며, 농촌 지역에서 성공적으로 이행된다면 더욱 감동적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골 사람들이 가족 계획 실천을 적용하는 것을 꺼려하는 주요 요인을 발견하는 것이다. 특히 가족 계획 서비스의 사용과 피임과 다른 출산 조절 방법에 대한 상담을 받을 가능성에 대한 종교 또는 민족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2002 년 전국 가족 성장 조사(NSFG)에서 수집 한 국가별 단면 데이터를 사용했다. 120 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16-45 세의 여성 커플이 포함되었다. 정보는 산아 제한 방법에 대한 조언, 지역의 교육 수준, 피임법에 대한 상담, 그들의 종교적 신념과 민족적 규범에 관한 가족 계획의 위치에 관해 수집되었다. 기술 통계학은 수량과 빈도를 확인하고 카이-제곱을 사용하여 유대관계의 중요성을 테스트했다. 종교와 민족은 가족 계획 서비스의 전반적인 사용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윤리 그룹의 경우 카이-제곱표(0.023*)와 종교(0.013*)로 표시된다. 교육은 또한 농촌 지역에서 가족 실천을 실천하기로 한 결정과도 중요한 관계가 있다(0.015*). 게다가, 조사는 여성의 연령이 그들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줬다(0.003*). 결과는 의료 서비스가 가능하고 효율적이며 가족 계획을 실천하지 않는 것에 의미가 없음을 보여준다. 소수의 교육 받은 여성은 살균 및 기타 피임 방법에 대한 상담을 받을 가능성이 더 컸다. 그러나 종교 민족별 가족 계획 서비스 이용에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시골 사람들이 받는 피임 상담의 질과 내용을 조사하고, 또한 오래된 신념에서 사람들을 일깨워주기 위하여 종교 지도자와 협력하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기 위해 미래의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Family planning practice is a very important intervention nowadays to control popul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it could be more touching if successfully implemented in the rural area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pot the core reasons that motivates the reluctance of rural people to apply family planning practices. It specifically sought to examine the effect of religion or ethnicity on the use of family planning services and on the likelihood of receiving counseling for sterilization and other birth control methods. This study used national, cross-sectional data collected by the 2002 National Survey of Family Growth (NSFG). A survey of 120 respondents was conducted and our analysis included women aged 16–45 years who are in a couple. Information was collected on provision of method of birth control, level of education of the community, counseling about contraceptive use, and the place of family planning in their religious beliefs and ethnical norms.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to see quantity and frequency and chi – square used to test significance of associations. It was observed that religion and ethnical belonging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verall use of family planning services, shown by our chi-square table (0.023*) for ethical group and (0.013*) for religion. Education also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decision to practice family planning in rural areas (0.015*). In addition to that, the findings show that age of women impacts on their income (0.003*). The results showed that medical service was available and efficien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ce in the non-practice of family planning. Minority educating women were more likely to receive counseling about sterilization and other birth control method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ccess to family planning services by religion and ethnicity.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o conduct future studies to examine the quality and content of contraceptive counseling received by the rural people and also what are the means to collaborate with the religious leaders in order to update the people from the old belie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