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저출력레이저조사가 Staphylococcus aureus에 감염된 창상에 미치는 영향

        이필연 檀國大學校 1996 국내박사

        RANK : 1855

        저수준레이저를 이용하여 창상이나 병소의 치유과정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위하여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에 의하면 갈륨비소 레이저광이 생체자극효과를 가진다고 하며, 저수준레이저를 조사하면 단백질과 핵산(DNA) 합성을 자극하여 치은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한다고 보고하였다. 외상병소나 근육병소의 치료에 사용된 레이저치료법에 관한 관심이 점증함에 따라 저수준레이저요법(LLLI)의 치유효과를 설명하기위하여 분자생물학적수준의 연구를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보고에 의하면 Mutans Streptococcide는 LLLI를 사용시 증식이 촉진되며, 다른 세균에서도 유사한 증식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LLLI가 피부감염을 야기하는 가장 흔한 원인인 Staphylococcus aureus도 마찬가지로 증식이 촉진되는지를 조사해볼 필요가 있으며, 또한 감염과 같이 특정 병적 상태에서의 저수준레이저광의 효과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에 대한 저수준레이저광의 효과를 조사하는 실험이며, 둘째 Staphylococcus aureus로 감염된 피부창상에 대한 저수준레이저광의 효과를 판정하는데 있다. 34개의 Staphylococcus aureus 배양표본을 사용하여 48시간의 세포주기동안 조사기간과 조사시간, 그리고 레이저 펄스(laser pulse)형에 따라 3가지 실험을 시행하여 증식에 가장 효과적인 상태와 가장 비효과적인 상태의 갈륨비소 반도체 레이저펄스를 결정하였다. 이후 지름 약 6mm의 개방창상을 44마리 백서의 양측 대퇴부에 형성하여 모든 창상에 S. aureus를 감염시켰다. 모든 표본은 펄스형과 조사방법(중앙조사법과 주변조사법)에 따르는 실험을 하기 위하여 4가지로 분류하였다. 각 백서의 양측 창상중 하나는 1, 3, 5, 7일 마다 각 실험의 방법에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고 실험동물의 다른 창상은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모든 창상의 면적은 실험 1, 3, 5, 7일째에 일정한 거리에서 사진촬영하여 면적계를 이용, 측정한 후 통계적인 의의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저수준레이저는 특정 조건하에서 S. aureus의 증식을 촉진하였다. 그러나 S. aureus에 감염된 창상을 저수준레이저로 조사시 치유가 촉진되었다. 중앙조사법과 주변조사법에 의한 창상치유효과는 통계적인 의의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S. aureus에 감염된 창상에 직접 또는 간접이든 pulse의 종류에 관계없이 조사하는 경우 치유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정상주위 조직의 LLLI 자극효과가 염증의 확산을 억제한다고 말할 수 있다. Many studies, using low level laser,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aser irradiation on the healing process of wounds or lesions. It is claimed the infrared GaAs laser has a biostimulative effect.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low reactive level laser irradiation(LLLI) may stimulate protein and DNA synthesis to accelerate the proliferation of gingival fibroblasts. The increasing interest in laser therapy applied in the healing of post-traumatic lesions and myopathies has recently stimulated several experiment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basis for explaining therapeutic effects of LLLI. It is suggested that Streptococcus mutans could be stimulated by LLLI, and similar modulation could potentially occur in the other bacteria exposed to LLLI. It is, therefore, necessary for us to study whether LLLI has also positive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known as a common cause of skin infections. In addition, some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LLI on the healing process of skin wounds infected with Staphylococcus aureus, because the effect of LLLI under pathologic abnormal conditions such as an infection is still unknown. This study includes two kinds of experiments: an experiment for the effect of LLLI on the prolifer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experiment for the influence of LLLI on the healing process of skin wounds infected with Staphylococcus aureus. Thirty four samples of Staphylococcus aureus for 48 hours of cell cycle were used and 3 experimen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irradiation time, the irradiation interval and the pulse type to investigate the most and least proliferative pulses of LLLI (GaAs semiconductor laser). Open wounds of about 6 mm in diameter are formed on both right and left gluteal regions of 50 rats and then Staphylococcus aureus were inoculated on all wounds. All animals divided into the 3 experimental groups to compare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test: the peripherally irradiated wound and non irradiated wound, the centrally irradiated wound and peripherally irradiated wound, and the centrally irradiated wound with the most proliferative pulse and peripherally irradiated wound with the least proliferative pulse. Irradiations were performed and all wound areas were measured by photographing the wounds from a constant distance on the 1st, 3rd, 5th,and 7th day. LLLI increased the growth of S. aureus under specific condition using P13(6,000 Hz, 14 mW average output power, 4 hour interval, 2 min irradiation: 29.62 mJ/cm^2). Nontheless, when LLLI was irradiated in the infected wound, the healing of wound was accelerated. Comparing the healing effects of central and peripheral irradia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two irradiations. It can be, therefore suggested that the biostimulation effect in the inferior tissue of wound should be more effective to control the wound than that in the lateral tissue of wound. It is beleived that central irradiation is more recommendable to treat the infected wound.

      • 유아특수교육기관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이필연 대구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childhood is a critical period with highest potential of development, during which learning and development can maximize a child's ability. So,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a channel through which users can collect an information of special education for infancy and its formation, and identify which variables influence on users'selecting a special education center. With 250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who go to special education centers in Seoul and Kyunggi-do as subjects, it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findings are as followsf; First, for an informative channel, it is found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tend to find information, depending on those close to them such as another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relatives, and neighbors. The information collected largely comprises where a special education center is located, how to get there, and what training the center provide with, and which method is applied to have children trained, in order. More than 65% of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responded the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special education centers, indicating that they have experienced a difficulty in choosing a special education center for children. Second, although 69.2% of parents investigated satisfies at the special education centers to which their children go at present, 54.8% of them experienced the transfer to another education center at least one time, while 29.6% of them experienced it two time. There is reasons: 37.0% said the educational expenses, 23.7% the difficulty of going to schools, following by the unsatisfaction at education and its guidance. Third, when parents visit a special education center for children, 64.4% fo them responded that they have full account of program with details for about 30minutes to one hour, make an on-side inspection, and have admission interview. Fourth, for elements that parents consider to be important in selecting a special education center, it is shown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ology, treating services, integrity of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the number of a class and a teacher, qualificaions and academic career for a teacher, in order. This implies that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then to select a special education center, emphasizing on elements directly related to children's learning activities.

      • 백서연조직의 감염창상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 조사시 치유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필연 檀國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nfirm the hypothesis that tissue repair due to the biostimulation effect of LLL in the lesion with infection predominates over the irritation due to the bacterial growth, by comparison the differences in the size of infected wound between irradiation group and non-irradiation group. Our investigation of biostimulation effects of infrared LLLT (GaAs) in the 7 samples of rats lea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rate of wound closu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Laser-irradiation group. (2)The incidence of swelling that indicates abscess due to bacterial infe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On the basis of above conclusions, it is confirmed that the acceleration of healing in the infected lesion following GaAs LLLT indicates that the cellular activity due to the biostimulation effect of LLLT in the surrounding normal tissue predominates over the tissue irritation due to the bacterial growth in the infected lesion,

      •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이필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학교폭력, 자살 등 최근의 청소년들에게서 나타나는 생명경시현상들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생명윤리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절감하게 한다. 그리고 생물공학과 유전학 등의 생명과학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현대인들은 그 기술의 사용에 있어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시점에 있는데 다양하고 새로운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서는 생명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한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는 가장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생명존중정신의 내면화를 통한 도덕적 정체성 형성에 있고, 도덕적 정체성 형성은 도덕 교과의 과제이기에 도덕 교과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책임성과 역할에 대한 논의가 제기된다. 즉 도덕교과에서는 통합적 인격교육이라는 교육적 이념을 바탕으로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향상, 생명존중 가치의 내면화 및 도덕적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능력 제고, 실천의지 강화 등의 도덕성의 요소들을 함양할 수 있도록 생명윤리교육의 체계화, 내실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명윤리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성 구상에 도움을 주고자 현대사회의 청소년에게 필요한 생명윤리교육은 무엇인지 고등학교 도덕 교과를 대상으로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생명윤리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였다. 먼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의 분석틀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과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새로운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즉 교과서에서 어떤 내용을 선정하고 그 내용을 어떻게 조직하고 있는지의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생명존중윤리’, ‘생명의료윤리’, ‘생명공학윤리’ 영역과 ‘자신(인간)의 생명 존중’, ‘다른 생물의 생명 존중’, ‘환경과 관련된 생명 존중’, ‘출생․죽음, 성결정과 관련된 생명 윤리’, ‘환자의 권리와 관련된 윤리 의식’, ‘첨단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인식’, ‘생명공학 연구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인식’ 범주로 내용을 구분한 뒤, 지식제공과 경험․활동제공의 제시목적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생명윤리교육의 내용과 교육방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고찰하여 현대 청소년들의 생명경시풍조를 해결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교육이 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며 마무리하였다. 문제점과 방향성을 요약하면, 첫째, 현실적․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적실성 있는 생명윤리의 내용들이 부족하기에 추가가 요구되고, 단편적인 소개에 그치고 있는 제재들의 관련내용은 보다 풍부하게 제시되어야 하며, 그러한 내용들을 연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재구조화를 통해 사고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리고 본문의 내용에 대한 민감성을 높여줄 수 있는 보충자료가 추가되어야 하는데, 특히 도덕적 동기와 흥미유발을 강화할 수 있는 주제와 직접적 연관성이 있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시각적 자료와 한국 사회에 적합한 사례들을 포함한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논술과 토론 등의 경험․활동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활동이 대학 입시준비를 위한 활동이 아닌 도덕 교과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활동의 교육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도덕적 감정과 민감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교수방법과 학습 자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도덕적 감정과 민감성은 우리로 하여금 도덕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해주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도록 동기를 유발시켜 주며, 도덕적 행동을 가능케 하는 정서적 추진력이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의 통합과 체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를 요청한다. 즉『윤리와 사상』교과와 『생활과 윤리』교과를 통합하여 『윤리와 사상』교과가 가진 현실 유리적인 이론교과로서의 단점과 『생활과 윤리』교과가 가지는 배경지식의 부족의 문제점을 서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도덕 교과의 정당성은 생명존중의 윤리적 자세와 태도를 지닌 바람직한 인격의 청소년들 육성에 있기에 그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생명윤리교육이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심층적인 논의와 방향성 모색이 요청된다.

      • 의상대사 관련 설화의 문화 콘텐츠 활용양상 연구 : 부석사 창사 설화를 중심으로

        필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의상대사 관련 설화의 문화콘텐츠 활용양상 연구 - 부석사 창사 설화를 중심으로- 허 필연 강원대학교 대학원 스토리텔링 학과 부석사는 화엄종을 근본으로 하는 도량으로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에 676년 창건했으며, 2018년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사찰이다. ‘뜬 돌’이란 뜻을 지닌 부석사(浮石寺)라는 이름은 ‘선묘 설화’와 관련이 있다. 설화에 남녀 서사가 많은 것처럼 불교 설화에도 남녀의 애증을 다룬 이야기가 꽤 많으며 신이성과 환상성, 숭고성 등의 특징을 불교 설화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불교 교리에 뿌리를 둔 설화들은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있다’라는 대승불교 교리의 기본 입장에 충실해 신분과 성별을 초월한 평등 지향성을 보이기도 한다. 선묘 설화는 이러한 불교 설화 중에서도 여성 캐릭터의 주체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선묘라는 여성 인물이 해룡·부석·석용으로 변신하여 시공을 넘나들며 이야기를 주도해 가는 등 여성주의적 해석 가능성을 보인다. 선묘 낭자는 의상 스님에 대한 사랑이 이루어질 수 없음을 알면서도 포기하지 않는다. 선묘가 불가피한 이별의 슬픔 앞에서도 끝내 사랑의 힘을 믿고 헌신했기에 변신의 기적이 창출되고 이로써 이승에서 불가능한 사랑은 시공을 초월하는 사랑으로 승화된다. 선묘 설화를 만남 ⸱ 사랑 ⸱ 이별이라는 보편적인 사랑의 이야기로 볼 수도 있지만, 개성이 넘치는 인물과 환상적 변신 이야기의 어우러짐은 대중의 상상력을 무한히 자극한다. 이러한 이야기의 원형적 매력이 부석사의 현존하는 부속물에 깃들어 천년의 시간에도 빛바래지 않는 사랑의 상징물로 작용하는 동시에 문학작품으로 끊임없이 재탄생하고 있다. 신경숙은 단편소설 「부석사」에서 선묘 설화의 주인공인 선묘 낭자처럼 대범함과 주체성 그리고 자비심을 지닌 주인공을 등장시켜 주인공인 그녀와 같은 심리적 갈등을 겪는 남자와 함께 뜬금없이 부석(浮石)을 찾아가게 한다. 그들이 이런저런 일들을 해결하며 부석을 향해 가다가 한밤중에 차가 벼랑길에 멈춰 섰을 때 그녀는 ‘부석(浮石)의 틈이 작은 간격일 뿐, 멀리서 보면 닿아 있는 것이다’라며 간격이 있을 수 있음을 인정함과 동시에 함께 있지 않아도 함께 하는 선묘의 초 우주적 사랑을 떠올린다. 이별인 듯 이별 아닌 듯, 틈이 있는 부석(浮石)이 주는 복선을 깔고 소설은 전개되는데,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 주인공의 여정은 선묘 낭자가 실천한 사랑의 행로와 닮아있다. 부석사를 소재로 한 현대시는 여러 편이다. 윤제림 시인은 「부석사에서」라는 시에서 우주로 엽서를 보내며 지구라는 한계를 넘어서는 선묘의 우주적 사랑을 말한다. 정호승 시인은 「그리운 부석사󰡕에서 ‘사랑하다가 죽어버려라’라는 명령형 어미를 통해 선묘의 보상 없는 사랑이 지닌 슬픔의 미학을 역설적으로 찬탄한다. 시적 화자가 부석사 당간지주 앞에 평생을 앉아 있었으면서도 부처님께 밥 한 그릇 올리지 못했다는 시구는 선묘가 살아서도 죽어서도 의상 곁에 머물러 있었지만, 의상으로부터 돌아오는 사랑은 없었다는 설화의 서사와 닮아있다. 생사의 경계를 초월하는 선묘의 지극한 사랑은 아무런 보답도 대가도 받지 못했지만, 그 사랑이야말로 ‘눈물 속에 절 하나 지었다 부수는’ 행위이자 ‘하늘 나는 돌 위에 절 하나 짓는’ 행위이며 필멸의 삶을 불멸의 시로 영원히 회귀시키는 행위임을 그려냈다. 정일근은 「부석사 무량수」에서 ‘사라지니 아름다운 거예요’라는 시구를 반복하며 사라지는 인간의 사랑을 두둔하면서도 천년 넘게 사랑의 화신으로 부석사를 지키는 선묘의 사랑을 은근히 부러워한다. 이외에도 부석사를 소재로 한 시들은 다수 있다. 선묘의 사랑을 긍정하든 부정하든 모두 선묘 설화에 기대어 시를 썼다. 천년도 더 지난 설화가 오늘날의 시인들에게도 시적 영감을 주는 것은 선묘의 사랑이 그만큼 드물고 순정적이며 이뤄진 듯 이뤄지지 않은 미완의 사랑이어서일 것이다. 현세를 사는 속인의 눈으로 보기에는 비이성적이고 불합리한 사랑인 것 같지만, 무량수전의 눈으로 볼 때 선묘의 사랑과 이별은 찰나로 인간이 가장 충만하게 제 삶을 한 편의 시로 승화시킨 경우일 수 있다. 부석사를 소재로 한 배단영의 수필 「부석사에서」는 한 여자의 기구한 삶을 통해 여인의 무모한 사랑과 선묘의 사랑을 비교했다. 주인공인 그녀는 무모한 사랑으로 갈등하다 부석사에 오르면서 선묘의 천년 사랑을 닮고자 한다. 영원한 사랑은 사랑을 하는 모든 이의 꿈이다. 선묘의 꿈은 부석사 소재 현대문학 작품에서 끝없이 실현되는 중이다. 선묘가 시공을 초월해 사랑한 의상대사는 숭불정책을 펼치던 신라 시대 화엄종을 체계화했고 원효와 쌍벽을 이루며 사찰 창건, 교화, 저술, 제자 양성에 힘쓴 우리나라 화엄학의 대가이다. 의상은 부석사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사찰 중 2,000여 개의 사찰을 창건하였고 사찰마다 창사 설화가 있지만 원효 설화에 비교해 오늘날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개발되고 있지 않다. 2008년 한국종교문화연구소에서 발표한 ‘종교문화원형발굴 및 활용방안’을 보면 불교 문화원형 가운데 가장 매력적인 원형은 인물이라고 했다. 고승은 불교적 정체성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사찰 창건과 창사 설화의 주인공이 다수이므로 적절한 스토리텔링을 가미할 경우, 지역사찰이 한 지역의 랜드마크로 활용될 수도 있다고 했다. 이러한 인물 문화원형에는 원효를 비롯하여 의상, 의천, 지눌, 삼대화상(지공⸱나옹⸱무학), 휴정, 유정, 진묵, 만해, 용성 등의 고승이 선정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가 발표된 지 13년이 지난 오늘날, 위의 인물 중 원효 외에는 특별히 새로운 콘텐츠가 다양하게 개발된 예를 찾아보기 힘들다. 최근 불교계에서도 연등축제, 산사음악회, 템플스테이 등 여러 측면으로 불교문화 알리기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문화 다양성 시대 요구에 발맞춰 불교문화 콘텐츠도 디지털화 멀티미디어화의 물결에 부응하여 각종 웹사이트나 유튜브를 통해서 사찰홍보용 동영상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사찰의 본래 목적을 잊은 상업용 홍보물은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문화콘텐츠란 창의력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문화 요소가 자양분이 되어 경제적 가치로 창출되는 문화상품이다. 그 어느 전달 매체이든 불교 문화콘텐츠는 불교의 가치가 지향하는 불교 철학을 담고 있어야 콘텐츠의 생명력이 강해질 것이다. 문화콘텐츠 창작을 위한 원천소스로 활발히 사용되는 원효대사 설화처럼 의상대사 설화는 눈 밝은 개발자들에게 선택되기를 기다리는, 아직은 다듬어지지 않은 원석이라 할 만하다. 이 논문이 의상대사 설화가 문학작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문화콘텐츠로 활용되는 데 한 편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 핵심 주제어 부석사, 부석사 창건 설화, 선묘 설화, 의상대사, 원효대사, 불교문화 콘텐츠, 불교문화 원형, 불교 설화, 설화, 정호승, 정일근, 윤제림, 신경숙 A Study on the Aspect of Multi - Use of Stories Related to Uisang the great Buddhist Priest as a Cultural Content - Focusing on the story of founding Buseoksa Temple Heo, Peel Yeon Master’s Degree Department of Storytell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Buseoksa temple was founded by Great Buddhist priest Uisang in 676 at Buseoksa-ro, Buseok-myeon, Yeongju-si, Gyeongsangbuk-do, in response to the king's command, and wa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2018 as a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 The name Buseoksa, which means ‘floating stone temple’, is related to ‘the legend of Seonmyo’. Just as there are many male and female narratives in folk tales, there are quite a few stories about the love and hate of men and women in Buddhist tales. Characteristics such as eccentricity, fantasy, and sublime can be found in Buddhist tales. In particular, tales rooted in Buddhist doctrines are faithful to the basic position of Daeseung Buddhism that "all beings can become Buddha." Therefore, Buddhist tales aim for equality beyond status and gender. Among these Buddhist tales, the subjectivity of female characters stands out in the Seonmyo story. A female figure named Seonmyo transformed into sea-dragon(Haeryong), floating stone(Buseok), and stone- dragon(Seokyong), leading the story across time and space, showing the possibility of feminist interpretation. Lady Seonmyo did not give up even though she knew that love for Monk Uisang will never come true. Even in the face of the sadness of inevitable separation, the miracle of transformation is created because Seonmyo believed in and devoted to the power of love, and thus love impossible in this world is sublimated into love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The legend of Seonmyo can be seen as a trans-universal love story of meeting, love, and separation, but the unique character and fantastic transformation story harmonizes and stimulates the public's imagination infinitely. The original charm of this story resides in the existing appendages of Buseoksa Temple, serving as a symbol of undying love even for a thousand years, and is constantly being reborn as a literary work. Novelist Shin Kyung-sook introduces the main character, who possesses boldness, subjectivity, and compassion just like lady Seonmyo in her short story “Buseoksa”. And the writer makes the protagonist go to Buseoksa out of the blue with a man who is experiencing the same psychological conflict as her. As they were heading to Buseoksa, their car stopped on a cliff in the middle of the night. He then said, "The gap between the Buseok is so narrow that it seems to have touched it from a distance." At the same time, he acknowledges the gap with Buseok and realizes the transcendent love of Seonmyo, that is, the state of being together even after breaking up. Like a gap in the Buseok, the novel unfolds under the double track of whether it is a breakup or not. As the title suggests, the protagonist's journey resembles the path of love practiced by lady Seonmyo. There are several modern poems based on Buseoksa Temple. In his poem Buseoksa, poet Yoon Je-rim sends a postcard to space and refers to the cosmic love of Seonmyo that goes beyond the limits of Earth. Poet Jeong Ho-seung paradoxically admires the aesthetics of sadness of the uncompensated love of Seonmyo through an imperative sentence, “Love and die” in his poem based on Buseoksa. The sentence that the poetic narrator could not offer a bowl of rice to the Buddha even after sitting all his life in front of the Buseoksa Dangganjiju(a flagpole support) is similar to the narrative of the folk tale that Seonmyo stayed with Master Uisang while she was alive and even after she died, but there was no return of love from Master Uisang. Seonmyo's unconditional love t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life and death was never rewarded. However, the love of Seonmyo is the act of building a temple with tears, tearing it down, and rebuilding it, and building a temple on a floating stone in the sky. It is an act of returning an mortal life to an immortal poem. Poet Jeong Il-geun repeats the sentence “It is beautiful when it disappears” in his poem Muryangsu of Buseoksa, and while he supports the idea of disappearance of human love, he subtly envys Seonmyo’s love, who protects Buseoksa Temple as the incarnation of love for over a thousand years. In addition, there are many poems about Buseoksa. Whether affirming or denying the love of Seonmyo, a lot of people wrote poetry based on the tale of Seonmyo. The reason why the story of more than a thousand years ago gives poetic inspiration to today's poets is probably because the love of Seonmyo is so rare, pure, and unfulfilled. From the eyes of an ordinary person living in the present, it may seem irrational and unreasonable love, but from the point of view of Muryangsujeon, Seonmyo's love and parting may be a case in which a human being most fully sublimated his or her life into a poem as human life is like a fleeting moment. Bae Dan-Young’s essay 'At Buseoksa' compares the reckless love of a woman with the love of Seonmyo through the tragic life of the woman. Conflicted by reckless love, she tries to emulate Seonmyo's thousand-year love as she ascends to Buseoksa Temple. Eternal love is everyone's dream. Seonmyo's dream is being realized endlessly in modern literary works based on Buseoksa Temple. Master Uisang, whom Seonmyo loved transcending time and space, systematized the Huayan Buddhism of the Silla Dynasty, when Buddhism was highly regarded. And as a master of Huayan school in Korea, he worked hard to build a temple, civilize, write, and nurture disciples, forming a rivalry with Master Wonhyo. Master Uisang built not only Buseoksa but also about 2,000 temples, and each temple has a story of its founding, but compared to the story of Master Wonhyo, it is not being developed as a variety of cultural contents today. According to the 'Discovery and Use of Religious and Cultural Archetypes' publish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Religion and Culture in 2008, the most attractive archetype among Buddhist cultural archetypes is priest of high virtue. Therefore, if appropriate storytelling is added, a local temple related to that kind of priest can be used as a landmark in an area. For this persona culture prototype, including Master Wonhyo, Master Uisang, Master Uicheon, Master Jinul, Three Great Monk(Jigong⸱Naong⸱Muhak), Hujeong, Yujeong, Jinmuk, Manhae, and Yongseong were selected. However, today, 13 years after this study was published, it is difficult to find any examples of specially developed new cultural contents other than related to Master Wonhyo among the above figures. Recently, the Buddhist community is also working on promoting Buddhist culture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lantern festival, temple in forest concert, and temple stay. Meanwhile, in line with the demands of the era of cultural diversity,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also appearing on various websites or YouTube in a wave of digitized multimedia. However, commercial promotional materials that forget the original purpose of the temple can have adverse effects. Cultural content is a cultural product created by economic value by nourishing various cultural elements based on creativity and imagination. In any delivery medium, Buddhist cultural content must contain the Buddhist philosophy aimed at the value of Buddhism to strengthen the vitality of the content. Like the folktale of Master Wonhyo, which is actively used as a source for creating cultural contents, the tale of the Master Uisang can be said to be an unfound gemstone waiting to be found by bright-eyed developers. It is hoped that this thesis will serve as a basis for the use of the tales of Uisang as not only literary works but also cultural contents of various genres. □ Key word. Buseoksa temple, founding story of Buseoksa temple, Seonmyo, Uisang, Wonhyo, Buddhist cultural content, Buddhist cultural prototype, Buddhist folktale, folktale, Jeong Ho-seung, Jeong Il-geun, Yoon Je-rim, Shin Kyung-sook

      • 저가화장품 브랜드의 선호도요인에 관한 연구 : 한·중소비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필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311

        국내 화장품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성장세는 점차 둔화하고 있다. 특히 저가화장품 같은 경우 국내 시장에서 수많은 신규 브랜드의 출시로 인한 화장품 업체 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점차 국내 저가화장품 시장이 포화상태가 되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 업체들은 국내시장에서의 성장 한계를 극복하고 동시에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려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저가화장품의 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인지도, 광고모델, 매장이미지와 지각된 품질 등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브랜드 선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한국과 중국소비자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동시에 한중 양국 소비자 간의 실질적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연구의 실증분석결과에서 화장품 브랜드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제반 선행변수들이 실제 어떤 영향력을 보이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첫째, 브랜드 인지도만 브랜드선호도에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브랜드이미지, 광고모델, 매장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아 기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이미지, 광고모델과 매장이미지는 지각된 품질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이며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인지도는 지각된 품질에 직접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인지도, 광고모델과 매장이미지는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인지도, 광고모델, 매장이미지는 브랜드선호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품질이 브랜드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한중 양국 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domestic cosmetics market enters into the mature stage, the growth for cosmetic also becomes slow. Especially for the low-price cosmetics, many new brands’ launching in the domestic market increases fierce competition among domestic cosmetics companies, which makes the market entering into a saturation stage. Therefore, positive effort to overcome limitations of growth in the domestic market and to develop the foreign markets in future is requir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five factors: brand image, brand awareness, advertising model, store image, perceived quality are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Target to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his research aims to dig out what kind of effect that the factors bring to the brand preference, meanwhile, to examine whether there being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from Korea and China.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current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actual influences of the well-known factors, verifi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cosmetics brand preference. First, brand awareness is the only factor that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brand preference. Brand image, advertising model, store image and perceived quality don't significantly affect on brand preference. Second, brand image, advertising model and stores image directly provide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quality. But brand awareness does not significantly or positively influence the perceived quality. Third,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owards the influence of brand image, brand awareness, advertising model and store image on perceived quality; towards the influence of brand image, brand awareness, advertising model and store image on brand preference; and towards brand preference on perceived quality.

      • 유아의 수줍음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관계

        필연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311

        This study aimed at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s shyness and a mother's nurturing attitude, and if there was a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and age. Children between ages 3~5 and 355 out of 400 moth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and ten children each from ages 3~5, hence, 30 in total were chosen for teachers to distribute the Child Shyness Rating Scale to the mothers and ru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fter recollecting them. After running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re wasn't any problems with the questions and they seemed to be understood well, hence, were used as tools for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Child Shyness Rating Scale⌟, which is a modified version of the CSPS(Child Social Preference Scale) from Coplan, Parkash, O'Neil, & Armcr(2004) study was used to measure a child's shyness. Hence, Joo-Hee Park(2000)'s questionnaire, which is a modified version of Schaefer(1959), Beaker(1964), Mussen, Conger and Kagan(1969)'s study result. The collected data calculated the technical statistic on each variable ,and ran an analysis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depending on the matter of the study. A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rom looking at a child's overall shyness and difference in the aspects under it depending on the age, a child's overall shyness and the aspects under it didn't show any differences in terms of gender and age. Second, from looking into the difference of aspects under a child's nurturing attitude depending on gender, it showed that boys had a higher level than girls in terms of the 'kind encouragement' aspect under a mother's nurturing attitude(F=4.63, p< .05). Third, from looking at the aspects under a child's nurturing attitude in terms of age, it was found that the aspect of 'setting limits' in a mother's nurturing attitude showed an increase in its level as age increased(F=8.27, p<.001). Fourth, from looking into the aspects under a child's shyness and a mother's nurturing attitude, as the aspect of kind encouragement and setting limits increased the level of conflict shyness decreased. Hence, as the nurturing attitude of refusal ignorance and over-protection increased the level of conflict shyness increase as well. Furthermore, as the level of kind encouragement and setting limits increased the level of social apathy decreased. Thus, a child's shyness and a mother's nurturing attitude could be seen as having some kind of a relation. In conclusion, in the field of a mother's nurturing attitude her kind encouragement and setting limits were positive prediction factors in terms of a child's shyness, hence, a mothers refusal ignorance and over-protection was found to be a negative prediction factors in terms of a child's shyness, which tells us that there is a relation between a child's shyness and a mother's nurturing attitude. Therefore, we were able to prove the relation between a child's shyness and a mother's nurturing attitude through this study, and think that further study needs to be done on the understanding of child shyness and mothers' nurturing attitude, which could have an influence on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Hence,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s of the present age need to be developed.

      •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수원시 중·고등학생봉사활동을 중심으로

        필연 평택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311

        우리사회는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해 인간성 상실, 인간 소외, 전통적인 윤리 규범의 약화등 심각한 사회문제를 나타내고 있으며 반윤리적이고 반사회적인 일들이 연계되어 발생하고 있어 청소년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저질외래문화와 쉽게 접촉하게 되어 정서를 황폐화 시켜가므로 점점 자신밖에 모르는 이기적인 성향을 띄기 때문에 진정으로 타인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상부상조하는 상생정신을 실천하는 자원봉사활동은 더욱 중요한 사회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청년기부터 자원봉사활동을 몸에 익히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단계가 필요하다. 자원봉사활동의 틀을 갖추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뒷받침과 지역사회의 호응과 협조가 필수요건이다. 여기에서는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소년 자원봉사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청소년 육성에 기여할 수 있는 청소년 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창출해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원시의 11개 중,고교를 중심으로 52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집단간 비율의 차이를 검증하는 x²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의 자원봉사동기, 참여기간, 자원봉사활동의 사전교육, 만족도등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자원봉사활동의 경험과 요구수준을 검증하고, 청소년 욕구에 부응하는 자원봉사활동은 어느 것인지 그 대책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에 관심을 가짐으로서 불건전한 일탈행위를 예방하고 공동체 의식 함양과 인간성 회복을 위한 봉사 활동이 되어야 한다. 과도한 입시위주의 교육과 인성교육의 부족, 공동체 약화 등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돌출되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문제점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이론의 정립과 강화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봉사기관과 학교의 연결로 적성을 고려한 봉사활동의 보람과 성취를 고조시키는 역할의 분배가 필요하다. 셋째, 자원봉사활동이 학교성적에 반영되는 것에 대해 자원봉사활동의 본래의 취지를 변질 왜곡시킬 수 있다. 넷째, 자원봉사활동시에 정보제공이나 교육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학교나 봉사기관의 전문지도와 관리감독도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섯째, 자원봉사활동의 시간을 평일에는 매일 할 수 없으므로 교과과정으로의 반영이 필요하다. 여섯째, 자원봉산교육은 대부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자원봉사교육의 내용은 실제 활동 터전에서의 필요한 지식기술과 자원봉사 기초교육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자원봉사활동의 정보 획득의 방법으로는 학교와 담임선생님으로부터 얻고 싶다고 나타났다. 아홉째, 자원봉사활동의 시간은 방학기간으로 가장 많이 몰려있으므로 평일에의 연계가 필요하다. 열째, 자원봉사활동의 시수에는 학생들의 응답이 10시간(46.8%), 20시간이상(43.2%)으로 갈등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내신점수 때문(47.2%)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비록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이 강제성이 없을 수 없다하더라도 자발적인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과정을 거쳐서 수행되어야하며 이타적이고 보람된 활동임을 교육을 통해서 인식시켜야 한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의 시급한 것은 보충수업 야간자습의 폐지(34.9%)가 높은 응답을 하였다. 학교수업의 교과과목으로의 활용으로와 특별활동시간으로의 활용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셋째, 자원봉사활동시간은 정규수업과 보충수업 야간자습과 학원수강 과외 등으로 인해 시간 활용이 몹시 어려움으로 평일에의 수업시간에 과목으로 연계해서 활용하면 부담스럽지 않을 것이다. 넷째, 기관 및 단체시설에 대한 건의사항으로 봉사자에 대한 이해와 친절을 원했으며 다양한 봉사활동분야와 내용의 소개가 그 뒤를 이었고 적절한 교육도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원봉사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노력에서는 봉사기관과 학교와의 연결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프로그램의 개발과 학생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향후에 참여하고 싶은 분야로는 불우한 어린이 돕기와 의료 기관 봉사, 공공기관 일손돕기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필요한 이유는 전인격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을 지각할 수 있기 때문에와 원만한 대인관계 개선과 사회성 함양을 위해서가 많이 응답되었다. 여덟째, 바람직한 참여형태로는 개인적으로와 학교 전체가 참여하는 것을 선호했다.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위하여는 학교와 학생들의 단위별로 계속 관리되어져 이끌어 주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홉째, 자원봉사활동의 경험의 범위에서 참여영역을 보면 일손돕기 활동인 복지시설, 병원, 관공서의 일손돕기에서 가장 많이 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이 다양하게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학교와 지역 사회와 청소년 자원봉사센터와 각 지역의 봉사기관이 연계하여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유용하게 활성화 되어야 한다. Korean society faces lots of youth problems, due to endless antiethical & antisocial accidents caused by loss of humanity, being neglected, weakening traditional ethical norms under rapid economic developments. Reality is that youth do not understand others, due to selfishness developed by devastated emotion under easy contacts with stimulating foreign cultures on the cyber space. Accordingly, volunteer services with the living together spirit of mutual aid & reciprocal help are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social activities. We need many preparatory steps to experience volunteer service & foster community spirit from the youth. In order to construct frame works for volunteering, it is essential to get institutional supports & favorable responses & cooperation from local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alyze current youth volunteer programs and find a proposal to activate youth volunteer services, desirable & contributable to rear the youth.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for 527 students for 11 middle & high schools in Suwon city. Frequency, percentage & χ^(2) to verify difference between groups were used to analyze the information collected. This study is to find the current motives, participation period, pre-service orientation, & extent of satisfaction for volunteer services & to verify experiences & needs. The solutions are suggested here to meet the desire of youth on volunteer services. The youth volunteer service should prevent undesirable deviation, foster community spirit, & recover humanity thru youth's concerns on their community. A lot of problems have been originated from education system emphasized on excessive entrance examination, and lacking concerns on humanity, & loosened community consciousness. The problems are analyzed herein as follows. First, formulating theories & reinforcing education for volunteering is required. Second, distribution of suitable roles thru close communication between schools & organization is required to increase the effects & achievementson volunteer activities. Third, to reflect volunteering into academic credit can change & pervert original purpose. Fourth, providing information & training on volunteer activities are not done sufficiently. Further, specialist guidance & supervision are not rendered properly. Fifth, volunteer programs should be included in regular class hours, as they are difficult to find the time during weekday. Sixth, usually, little training on volunteer services are given. Seventh, youth want training program providing know-hows required on the site & basic knowledge on volunteer service. Eighth, students want to secure information for volunteer programs thru schools & class teachers. Ninth, weekday service should be available, a s most volunteers crowd during summer vacation. Tenth, students favor the service hours for 10 hours(46.8%) & over 20 hours(43.2%). Solutions to overcome above problems & vitalize volunteer programs are analyzed a s follows. First, 47.2%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participated in volunteer programs. because of school report on a pupil's credit record. Volunteer programs should respect students voluntary decisions to the utmost & educate the students to aware that volunteering is a service to others & beneficial to himself as well. Second, supplementary class & night voluntary class should be discontinued immediately for active volunteer services, 34.9% responded. Applying volunteering to a regular class or a special class in school would be a good alternative. Third, it would not be hard to relate it with courses in regular classes in the weekday, a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ime for volunteer programs, due to regular classes, supplementary lessons, night voluntary class & private lessons at institutes & at home. Fourth, students desire organization & group facilities 1. to understand & be kind to the volunteers, 2. to introduce diverse programs, & 3. provide adequate in-service training. Fifth, to improve current volunteer programs, they prefer networking school & organization & want development of programs & change of consciousness on volunteer service. Sixth, the favorite areas they want to participate in are to help needy children, service in medical institution, assist in public organization. Seventh, as the reasons why volunteer service is needed, they responded largely 1. to help them develop a whole personality, 2. to perceive responsibility as a member of society and 3. improve human relations, & 4. promote sociality. Eighth, they preferred participation as an individual & as a whole school. It looks very desirable to manage & lead continuously the schools & students units to support volunteer services steadily. Ninth, volunteers experiences show the frequent participations in giving a help to welfare institutions, hospitals, & public offices. Youth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vitalized effectively to provide diverse programs thru efficient networking of schools, local communities & volunteer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