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식품안전정보포털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HP기법을 활용한 우선순위 분석을 중심으로-

        유영준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공기와 물처럼 식품은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인 물품이다. 생산자는 식품의 생산, 가공, 유통 등의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야 하며 안전하고 건전한 식품의 생산을 약속해야 하고 식품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정부의 체계적인 관리가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식품산업체의 불량한 식품제조시설, 업체 종사자들의 낙후된 위생의식 등이 소비자의 불감증을 증가시키고 있다. 그리고 식품안전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각 부처별로 분산되고 단절되어 있어 식품안전사고가 발생하면 관련 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이 식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행정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품안전정보포털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정보시스템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다양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도출된 요인은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방법을 활용하여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식품안전정보포털의 이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모두 5장의 체계로 구성되었다. 제1장은 식품안전정보포털의 문제제기와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연구의 대상이 되는 식품안전정책에 관한 전반적인 개념과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간의 쌍대비교를 통하여 평가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고자 하는 하나의 새로운 의사결정방법론인 AHP 분석기법을 소개하고 도출된 요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제4장에서는 식품안전정보포털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스템 운영 전문가 그룹과 일반 사용자 그룹 간에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시스템 이용자 만족도 요인에 관한 상위계층인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 지각된 유용성의 중요도 값 분석결과, 전문가집단의 경우에 시스템 품질 0.462, 서비스품질 0.289, 지각된 유용성 0.132, 정보 품질 0.116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집단의 경우에 서비스 품질 0.323, 시스템 품질 0.280, 지각된 유용성 0.224, 정보 품질 0.17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시스템 품질 0.400, 서비스품질 0.346, 지각된 유용성 0.160, 정보 품질 0.09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스템 이용자 만족도 요인의 하위계층인 시스템 품질의 요인별 중요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문가집단의 경우 응답시간 0.506, 유연성(연계성) 0.203, 시스템 성능 0.144, 사용용이성(편의성) 0.067, 안정성 0.033, 통제성(보안성) 0.027, 정확성 0.011, 신뢰성 0.010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집단의 경우에 응답시간 0.340, 유연성(연계성) 0.303, 안정성 0.105, 시스템성능 0.079, 사용용이성(편의성) 0.056, 신뢰성 0.047, 통제성(보안성) 0.042, 정확성 0.02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응답시간 0.407, 유연성(연계성) 0.283, 시스템 성능 0.109, 안정성 0.069, 사용용이성(편의성) 0.055, 통제성(보안성) 0.037, 신뢰성 0.023, 정확성 0.018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시스템 품질의 경우 전문가 집단과 일반집단 모두 응답시간을 가장 우선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안전정보포털의 이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연구결과 도출된 전문가집단 및 일반집단의 중요도 및 영향 값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우선순위 요인을 시스템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 결정이 필요하다. 시스템 개선을 위해서는 한정된 자원인 정부 예산을 투자하여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실제 자원 배분이 부족한 항목이 어떤 항목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추출된 요인들은 모두 식품안전정보포털을 활성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며 고려되어야 할 요인들이다. 향후 시스템 이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보화 사업 추진 시 예산상 제약 등으로 모든 요인들을 고려 할 수 없는 경우에 어떤 요인에 더 중요도를 두고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있는 기관의 경우에 본 연구는 정보화 사업에 최적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Like the air and the water, the food is the most basic material for keeping human's life and health. So raw food cultivators and processed food manufacturers should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a food production, process and distribution to the consumer, and should also promise to produce safe and sound food items. And the government should systematically manage the food management for preventing any food-safety accident, so that the safety of a food can be secured. However, a food manufacturer's poor production facility and the food manufacturing workers' out-of-dated hygiene sense increases the consumer's insensitivity against poor food. Moreover, various information needed for systematically managing the food safety is scattered into each governmental department and the information exchange is cut, so if a food-safety accident happens, there creates a problem not commonly utilizing food-safety relevant information by relevant departments. And there has been raised an argument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an administrative service for consumers to research various information about food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cerning a food safety information portal, and to draw various factors by researching previous studies about the user satisfaction on information systems. And then this study would identify the priority order of drawn factors in utilizing the hierarchical analytic decision method, and to seek a political way to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on food safety information portals. This study go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importance values of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utility belonged to the upper class in the system user satisfaction factors, it was appeared that for the expert group, the system quality had the highest value as 0.462 point and followed the service quality as 0.289, the perceived utility as 0.132, the information quality as 0.116 in order, but for the general people group, the service quality had the highest value as 0.323 and followed the system quality as 0.280, the perceived utility as 0.224, and the information quality as 0.173. Comprehensively, it was appeared that the system quality had the highest value as the 0.400 and followed the service quality of 0.46, the perceived utility as 0.160 and the information quality as 0.094 in order. Second, at looking into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importance by factor of system quality which was belonged to the lower class in the system user satisfaction factors, it was appeared that for the expert group, the response time had the highest value as 0.506 and followed the flexibility (connectivity) as 0.203, the system performance as 0.144, the use easiness(convenience ability) as 0.067, the stability as 0.033, the control ability (security) as 0.027, the accuracy as 0.011 and finally the reliability of 0.010 in order, but for the general people group, the response time also had the highest value as 0. 340 and followed the flexibility as 0.303, the stability as 0.105, the system performance as 0.079, the use easiness (convenience ability) as 0.056, the reliability as 0.047, the control ability security) as 0.042, and finally the accuracy as 0029 in order. Comprehensively, the response time had the highest value as 0.407 in the importance by factor of system quality, and followed the flexibility (connectivity) as 0.283, the system performance as 0.109, the stability as 0.069, the use easiness(convenience ability) as 0.055, the control ability (security) as 0.037, the reliability as 0.023 and finally the accuracy as 0.018 in order. That is, concerning the system quality, the both expert group and the general people group showed that the response time was considered as the top prior value. In order to improve the food safe information portal user's satisfaction level, it needs to apply the prior factors according to the priority order which were draw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ing each factor's importance value and influence value in the both expert group and the general people group to the process determining the policy direction for the system improvement.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 it needs to accurately judge what items need more real resource in order to draw out the optimal outcomes at investing the governmental budget as the limited resource. Therefore the all factors drawn out in this study ar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activating a food safety information portal and should be considered. There may be a case that all factors can't be considered due to several matters like budget constriction at pushing a IT project for improving the system user satisfaction. In such a case, when an institute has a question that what factor they should consider more importantly than other factors and how they set their project plan, this study will help them for providing a direction for setting optimal policy in their IT project.

      • 디지털 형태생성을 통한 블로비즘 공간의 비동질성 연구

        유영준 국민대학교 테크노전문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Digital paradigm requests new architectural type and spatial structure and the change by digital paradigm is concentrated to complicated and systematic type new shape formation. Among them, blobism gives new formativeness to the designer with its superior ability expressing seamless complicated shape to the object aside from angulated and standardized shape, so the study of Blob has been processed. Blob creates inhomogeneous space by different combination continuously changing as various shapes, having reasonable and also aesthetic shape. Blob becomes important tool generating the architecture and space today by creating new space sense showing continuous space sense and decentralized boundary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ed inhomogeneous space and the obser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inhomogeneous space of the blobism by finding new formative possibility and executing the analysis which Blob having by drawing the formativeness analyzing and revealing the theory, concept and the design principle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blobism. I Found the inhomogeneity of the space by investigating the concept of the Rhizome and Fold by Gilles Deleuze and Félix Guattari which is the concept of blobism and the background of inhomogeneity, and studying inhomogeneous digital shape transform and generation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lobism. Blob creates inhomogeneous space generating flexible shape by different combination. Rhizome has connection, disjonction and conjunction characteristic and generates new shape by different combination and do not have the center and possible to combine to anything and makes individual shape having essential shape. The liquidity and continuity characteristic of the Fold shows continuous motility by connecting endlessly for the properties which the object has and continuous internal order makes countless overlapping shape by the combination with other shape. Inhomogeneous space of blobism can draw ambiguous borderline without tension of sight and cen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server and space based on the result substitutes the shape generating inspection result of these drawing characteristic in the example using Grasshopper. Heterogeneous space is stopped actually, however, it makes feel the temporality which the object is flowing by showing flexible flowing motility in the space and the floating flowing shows the awareness of continuous changing by giving interactive sight changing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line of sight not the space moving by itself. Based on this study, the systematic shape of blobism shows new possibility in the recognition and perceptual thinking in the space by giving various sights to the user not shown as simply flexible and potential flowing space having perceptual moving of the user could show new formative thinking and sight and there should be more studied. 디지털 패러다임은 새로운 건축의 형태와 공간의 구조를 요구하게 되었고 디지털 패러다임에 따른 변화는 정형화된 대량생산의 중심적 디자인이 아닌 복잡하고 유기적인 형태의 새로운 조형생성에 집중이 되었다. 블로비즘(blobism)은 오브젝트에 각지고 표준화된 형태를 벗어나 이음새가 없는 복잡한 형태를 표현하는 탁월한 능력으로 디자이너에게 새로운 조형성을 주어 블롭의 관련 연구는 계속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블로비즘의 조형특성의 이론과 개념, 디자인 원리를 분석하고 발현되는 조형성을 도출하여 블롭이 가지고 있는 새로운 조형적 가능성을 찾고 분석을 통하여 블로비즘의 비동질적 공간에 의미와 가치를 찾고자 한다. 블로비즘의 개념과 비동질성의 배경인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리좀(Rhizome)과 폴드(Fold)의 개념을 알아보고 블롭이 갖는 조형성을 분석하여 블로비즘의 비동질적 디지털 형태변형 및 생성기법과 제작방법을 연구하고 앞선 개념들이 어떻게 적용이 되었는지 사례와 함께 알아보고 공간의 비동질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블롭은 이질적인 결합을 통해 유동적인 형태생성을 하며 비동질적인 공간을 창출한다. 이러한 블롭의 비동질적 공간은 리좀과 폴드의 개념을 통해 알아본 결과 리좀은 접속, 이접, 통접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질적인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형태를 생성하고 이러한 형태는 중심이 없고 어디든 결합이 가능하며 본질의 형태를 지닌채 독립적인 형태를 만들어낸다. 폴드의 유동성, 연속성 특성은 객체가 지닌 속성은 끊임없이 이어져 연속적인 운동성을 보여주며 연속적인 내적 질서는 다른 형태와의 결합으로인해 무수한 중첩적인 형태를 만들어낸다. 이렇게 도출된 특성을 그래스호퍼를 이용하여 형태생성 실험결과를 사례에 대입한 결과 블로비즘의 비동질적 공간은 관찰자와 공간의 관계 속에서 시야의 긴장감과 중심이 없는 모호한 경계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비동질적 공간은 실제로 멈추어 있지만, 공간 속에서 유연한 흐름의 운동성을 보여줌으로 물체가 흐르는 시간성을 느낄 수 있게 해주고 유동적인 흐름은 공간이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입장과 시선에 따라 방향성이 변화하는 인터렉티브한 시야를 주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닌 계속해서 변화하는 것 같은 인식을 공간 속에서 보여준다. 연구를 통해 블로비즘의 유기적인 형태는 단순히 유연해 보이는 것이 아닌 공간 속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각을 줌으로 인식과 지각적 사고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보였고 사용자의 지각적 움직임을 갖은 잠재적 유동 공간은 새로운 조형적 사고와 시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서해안지역 항만구조물기초에 적용된 심층혼합처리공법(DCM)에 대한 사례 연구

        유영준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ement mixing method has been used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soils since olden times. These processes were developed in 1970's simultaneously in Sweden and Japan. However, DCM for soft soils with lime or cement stabilized columns has been subjects of research in Sweden, Japan, and other countries for some time. Modern application of this method for deep mixing of in-situ soils started in the late 1970's in Japan(Terashi et al. 1979; Kawasaki et al.1981; Suzuki, 1982). Originally the DCM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soft ground for port and harbor structures. DCM is now applied widely even to foundations of structures built on land such as embankments, buildings, storage tanks and etc. Recently research and application on foundation of port structures in soft ground have been increased due to a various and a huge port structures, especially in the South Coast. In this study, we presented an illustration of domestic DCM Barge of specialist equipment, such as design, mixing design and in-situ strength of DCM foundation of the quay in OO Area New Port, so-called West Coast, then compared with South Coast. The results indicate that West Coast has more sand contents in ground than South Coast with higher unconfined strength, that is, needing less unit cement amount for design strength and due to higher sand contents, penetration rate is lower than South Coast, also contents of Cr^(6)+ are lower than South Coast. 국외의 심층혼합처리공법은 1967년경부터 일본 운수성 항만기술연구소에 의해 연구가 추진되었고 1971년 육상실험 및 1972년 해상실험을 통해 1974년에 실용화 시킨 석회계 심층혼합처리(DLM, Deep Lime Mixing Method)를 시작으로 시멘트계 고화재를 사용하는 DCM(Deep Cement Mixing Method)이 1975년부터 실용화되었다. 또한 이와 비슷한 시기에 북유럽에서도 심층혼합처리공법이 개발되었다. 국내에는 1985년 일본으로부터 DCM이 처음 도입되었으며 고화재의 발전과 더불어 개량장비의 급속한 발전으로 최근에는 대심도 및 다축장비를 개발하여 적용 중에 있으며 해상공사에는 효율적인 시공품질 관리를 위하여 전용선을 활용하는 추세이다. DCM은 육상에서의 흙막이벽 및 구조물 기초, 해상에서의 방파제, 호안 및 안벽기초에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해상의 경우 이전에는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적용되어 오다 최근에는 서해안 지역에도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지역에서의 해상 안벽 기초에 적용된 사례를 통해 그 특성을 고찰하고 남해안 지역과 비교하였다. 서해안 지역은 남해안에 비해 모래함량이 높아 원지반 강도가 높게 나타나며, 함수비가 낮아 적은 시멘트 량으로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모래함량이 높고 함수비가 낮은 서해안 지역의 토질특성은 DCM 관입속도를 감소시켜 시공성면은 남해안 지역보다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멘트 사용으로 인한 6가크롬 용출시험에서 6가크롬은 미검출 되어 토양환경보전법, 해양오염방지법, 폐기물 관리법을 모두 만족하였으며, 소량의 6가크롬이 검출된 남해안 지역에 비하여 더욱 환경친화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손상 감지와 자가치유가 가능한 발광성 이중 동적 초분자 네트워크

        유영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내부 또는 외부의 손상을 자율적으로 회복하는 자가치유 기술은 오랜 시간 연구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제품에 적용하기에는 아직 많은 한계가 있다. 특히 손상의 크기, 위치를 특정하고 치유 여부를 보다 비-파괴적이고 간단하게 탐지하는 기술은 자가치유 물질의 개발에 필수적이다. 손상을 진단하는 기술이 선행되어야 발생한 손상에 대해 부분적으로 자가치유를 유도하여 보다 효율적인 치유가 가능하고, 더불어 실시간으로 치유 과정을 확인하여 제품의 자가치유 특성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pyrene 측쇄와 ureidopyrimidinone (UPy) 말단 기능화 된 poly(ε-caprolactone) (Py-UPCL)을 합성하고 광발광, 기계적 및 유변학적 특성 및 자가치유 거동을 조사한다. 핵자기 공명 분광학 (NMR), 적외선 분광학 (FT-IR), 모세관 점도, 형광 분광학을 통해 Py-UPCL의 UPy 4중 수소 결합과 pyrene의 excimerization에 의해 이중 동적 초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y-UPCL의 네트워크 구조에 의해 발현되는 기계적 물성은 pyrene 측쇄 기능화되지 않은 ureidopyrimidinone(UPy) 말단 기능화만 된 poly(ε-caprolactone) (UPCL), 이와 pyrene 분자와 UPCL의 단순 혼합물인 Py/UPCL 대비 크게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Py-UPCL 필름은 100 °C, 20분 치유 조건하에서 약 98.7%의 치유효율을 보였으며 1 kg 중량 시험에서도 형태 변화 없이 잘 유지됨을 보였다. 무엇보다도 Py-UPCL의 광발광 특성을 통해 자외선 하에서 육안으로 감지하기 어려운 미세한 손상을 선명한 시각화를 가능케 한다. 추가적으로 레오미터와 고체 형광 분석을 통해 온도에 따른 유변학적 분자 거동 분석을 통해 열 자극을 통한 자가치유 과정에 대해 설명 가능하다. Self-healing technology that autonomously recovers internal or external damage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a long time.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limitations to apply to products. In particular, the technology to specify the size and location of damage and to more non-destructively and simply detect healing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self-healing materials. A technology for diagnosing damage must be preceded to induce partial self-healing to enable more efficient healing, and to have reliability in self-heal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by checking the healing process in real time. Herein, pyrene side chains and ureidopyrimidinone (UPy) terminal functionalized poly(ε-caprolactone) (Py-UPCL) are synthesized, and photoluminescence,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and self-healing flow behavior are investigated.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NMR), infrared spectroscopy (FT-IR), capillary viscosity, and fluorescence spectroscopy confirmed that the UPy quaternary hydrogen bond of Py-UPCL and the excimerization of pyrene form a dual dynamic hypermolecular network structur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expressed by the network structure of Py-UPCL were significantly enhanced compared to Py/UPCL, a simple mixture of pyrene molecules and UPCL, which was not pyrene side chain functionalized poly(ε-caprolactone) terminal functionalized. In addition, the Py-UPCL film showed a healing efficiency of about 98.7% under 100°C and 20 minute healing conditions, and was well maintained without shape change even in the 1 kg weight free-standing test. Above all, the photo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Py-UPCL enable clear visualization of fine damage that is difficult to detect with the naked eye under ultraviolet ray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self-healing process through thermal stimulation through rheological molecular behavior analysis according to temperature through rheometer and solid fluorescence analysis.

      • 통합 경영시스템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유영준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표준화 기구에서는 1987년 ISO 9000 시리즈(품질경영시스템) 규격을 제정하였고, 환경문제가 국제적으로 대두되면서 1996년도에는 ISO 14000 시리즈(환경경영시스템)규격을 제정, 보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을 통합하여 운영하는 기업의 모델을 사례로 제시하였고, ISO 9001:2000 규격과 ISO 14001:2004 규격의 통합요소를 연구하였다. 실태조사는 통합 경영시스템을 운영하는 58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통합 경영시스템 운영의 장애 요소를 파악하였고, 통합 경영시스템 운영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통합 경영시스템 운영의 장애요소로는 프로세스의 이해부족과 시스템 이행능력 부족, 시스템의 숙지 부족, 경영자의 의지 결여 등으로 파악하였다. 통합 경영시스템 운영의 장애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조직의 기능 단위업무에 대한 프로세스를 실제 운영 프로세스와 일치하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둘째, 부서장은 시스템 운영의 전문성을 갖출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또한 내부감사원으로 자격을 부여하여 전사적인 시스템 운영에 참여하게 하여야 하며, 전 사원에 대해서는 시스템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이 요구된다. 셋째, 경영자는 품질과 환경에 대한 방침과 목표를 수립하고, 그 목표의 달성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품질경영과 환경경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운영의 중요 요소들은, 주기적으로 경영검토를 통하여 제품 및 시스템이 개선될 수 있도록 점검할 책임을 갖는다. 그리고, 통합 경영시스템 운영의 효과로는 시간과 비용의 절약, 업무효율의 향상, 업무분장의 명확, 기업의 이미지 향상, 등으로 분석하였다. The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established ISO 9000 series standards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1987, and it established and supplied ISO 14000(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series standards in 1996 when environmental matter raised. This study presented a model of enterprise that operates an integrated system, and studied about an integrated element of ISO 9001:2000 and ISO 14001:2004 standard. In addition to this, it grasped what the obstacle elements are in use of an integrated system, and analyzed the effect in use of an integrated system through the survey on 58 enterprises that operate an integrated system,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 have known that the obstacle elements in operation of an integrated system are in lack of understanding of process, in lack of execution ability of system, in unfamiliarity of system and lack of willingness of the executives. It is proposed as an improvement idea to remove the obstacle element in operation of an integrated system. First, continuous improvement effort is required to make the functional unit work is in accord with actual operation process. Second, provide section managers educational opportunity to be equipped with professionalism, and make them to take part in the system operation of enterprise as an internal auditor. Third, the executives should formulate policy and goal for quality and environment, and should be able to evaluate and improve the outcomes from the achievement. Moreover, they are responsible for examining the major system operation factors that affect quali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by conducting a management review periodically. In addition to the study result above, it i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an integrated system is in time and expense saving, in improved working efficiency, in clear division of duties, and in improved enterprise image.

      • 게임 로컬라이제이션에 나타나는 유머의 번역 : 「리그 오브 레전드」를 중심으로

        유영준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or in Game Localization : A Case Study on League of Legends Video games have significantly developed in scale and quality for the last four decades and now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leisure activities and entertainment in our life, just like film, music and so on. And this development and success of the game industry is partly due to the globalization of games, which enables people around the world to play and enjoy games from other countries. In this process, game localization―the process of modifying an original game, translating it and adapting it to another locale in order to sell it in a different market―has played a key role (Mangiron 2010).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translation in game localization, studies on this field from translation studies perspective have not been sufficient, especially studies on the translation of humor in video ga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ypes of humor in video games and translation strategies applied when humor is translated into a localized version. The main focus is on Verbally Expressed Humor (VEH) which is spoken by characters in the game. The role of VEH in games is to give fun and pleasure to the players, which is the same as the main function of game itself. Furthermore, it helps ease players' tension felt often in gameplay due to too much concentration and thus helps the players keep playing the game. League of Legends (LoL), one of the most popular online games around the world, was chose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because it has plenty of VEH which is repeatedly playable whenever players wan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How can VEH in games be categorized and by what strategies be translated into the Korean version?' and second, 'Are there any constraints in translating VEH in games? If so, what kind of constraints exist?' To answer these questions, I look into VEH in LoL, categorize it according to techniques used to achieve humor effects, analyze translation strategies applied when the VEH is translated into Korean version, and discuss constraints present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is study intends to combine two elements: VEH and video game localization. In order to do so I reflect on what game localization and VEH are and how research about them has been conducted to date. I also describe what the game localization entails and the role of VEH in video games. Finally, I present a case study about the translation of VEH in LoL. It was found that VEH in LoL i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echniques: VEH based on cultural references (including films, songs, books, video games, celebrities), VEH based on wordplays and puns, VEH based on idioms and fixed expressions, and VEH based on characterization. And each type of VEH is translated through mainly three strategies: to leave VEH unchanged, to replace VEH, and to omit VEH. In this analyzing process, I found that there are several constraints in translating online games like LoL. For example, in the case of LoL there was a lag of about two years between the launch of the original game (in North America) and the localized version (in South Korea). But because many Korean players had already been playing LoL through the NA server before the official launch in Korea, it is possible that some of them are familiar with the original version of VEH. Also, owing to growing e-sports tournament, whichever country online games are exported and translated into, they need to be consistent in contents such as VEH based on background stories and relationship among characters of LoL. Research on translation of humor, especially on translation of humor in video games should not settle for text analysis. It is also important to examine how humor in ST is created or delivered to TT, that is empirical research on how translation affects audience reception of humor. Therefore,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work should be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or comparative questionnaire surveys of source- and target-culture game players on whether they understand the intended humorous elements in each version.

      • 생산성 향상 개선기법을 통한 제조혁신사례 연구

        유영준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본과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새로운 도약과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지속적인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부적합품 감소, 품질향상 등 효과적인 관리와 공정개선 등으로 생산 능률을 최상으로 유지하여 저비용 고효율 구조를 갖추어 기반을 만들어 가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제조업은 높은 임금과 원가상승으로 고비용 저효율의 생산 구조로 시장에서의 경쟁력 한계를 절감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생산혁신기법을 적용하여 생산 능률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생산혁신 기법 중 제조 현장에서는 QC기법을 적용한 공정개선으로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해 나가고 있으며 이러한 QC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주요원인의 데이터를 신뢰성 있는 객관적인 정보로 올바르게 분석하고 해석하여 개선활동에 적용하기 위해서이다. QC기법 중에서도 7가지 기법만 잘 활용해도 작업 중 발생하는 문제를 95%정도 해결이 가능하다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주화 금형 연삭공정 개선 방안을 위해 QC기법을 적용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공정 개선으로 생산 능률을 최상으로 유지하여 저비용 고효율 구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주화 금형 연삭공정 개선 방안을 위해 QC기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생산 능률을 저해 하는 주요 원인인 간접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중점적으로 개선을 하였다. 연삭 공정의 생산 능률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 5건을 도출하였으며 1차, 2차 분석 및 평가 과정을 거쳐 핵심 주요원인 3건을 채택 하였고, 개선 및 대책실시를 수립하고 실시하였다. 이러한 공정 개선을 통해 천제 간접시간은 개선 전 27.3분에서 개선 후 19분으로 8.3분을 감소하였으며 영구적인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개선항목에 대한 표준화를 실시하였고 지속적인 관리를 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한 공정 개선으로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부적합품 감소, 품질향상 등 많은 유형효과와 무형효과가 발생하였으며 체계화된 품질 시스템 구축, 과학적 품질관리 능력 배양, QC기법을 적용한 문제해결능력향상, 설비의 안정적 운영 및 기술력 확보, 글로벌 시장에서의 수출 경쟁력 확보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타 공정 및 각 본부에 공정 개선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전파함으로써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 역량을 한층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다.

      • 詠歌舞蹈에 관한 硏究

        유영준 圓光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e theoretical origin of Yeonggamudo(詠歌舞蹈)—chanting-dance meditation—and the method to practice with it, in addition to its modern development and prospects. Yeonggamudo is based on the meditation practiced by Hang Gim(金恒, 1826-1898) who is the author of The Right Change. The theory in The Right Change and Yeonggamudo are two wings to reach understanding the philosophy of Hang Gim. What is the principle of ‘Right Change’? The theory of ‘Right Change’ which is the culmination and reconstitution of The Book of Change, introduces the Change(易) of the future that is the Change(易) of the Later Heaven and it represents the third Change(易). Hang Gim cohered the principle of trigrams (伏羲卦 Fu Xi’s eight trigram, 文王卦 King Wen’s eight trigram, 正易卦 the eight trigram of Right Change) and the theory of the three Ultimates (無極Wu-chi: Non-Ultimate, 太極T'ai-chi: Great Ultimate, 皇極Huanhji: Imperial Ultimate) with the time theory (原曆: original calendar, 閏易 leap year, 正易: the Right change), then brought them to a conclusion of the eight trigrams of Right Change diagram (正易八卦圖). He demonstrated establishment of the world that will come forth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Right Change through the Exchange of Metal Energy and Fire Energy (金火交易) in Hado and Nakseo (Yello River and Luo River Diagram). Yeonggamudo is the way of meditation that one chants and dances in oneness with heaven and earth. Hang Gim's endeavor not only brought resurrection of the traditional Yeonggamudo but also reproduced it in a new dimension for spiritual improvement. If transformation of human's spiritual value is one of important purposes that the theory of Right Change intended, Yeonggamudo is the theory that insists on restoring human's true nature. Most religions emphasize meditation and prayers with complicated religious rituals and solemn formality. However, Yeonggamudo suggests a very simple and easy to follow meditation that allows one to chant "gung, sang, gak, chi, wu" with the distinctive vocalization and the mind set of becoming one with heaven and earth parents. Yeonggamudo meditation is basically chanting "gung, sang, gak, chi, wu" which represents five elements in nature and the five viscera in human body. The meditation starts with slow chanting and as it progresses one gradually moves his hands and feet rapidly and then eventually the natural motion follows later. Yeonggamudo is not an entertainment to pursue mere amusement but it is the training to cultivate one’s mind and body to become one with heaven. ‘Youngga’ is the paramount and universal song that harmonizes human mind and transcends all lyrics or languages. ‘Mudo’ is the dynamic dance that makes dispersed human body and mind become united. Primarily, dance originated from the culture of harmony which breaks down conventional duality that can be represented by the order of day and night, heaven and earth, man and woman. The purpose of Yeonggamudo is to bring harmony to all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heaven and earth that is also known as Yulleo. Yeonggamudo, the impartial and open-meditation for all, is the motion that harmonizes the human mind and the rhythmic movement of the universe. Yeonggamudo recreated by Hang Gim is the theory of meditation that was rooted in newly reinterpreted principle of yinyang & five elements and the theory of yulleo. The spirit of Yeonggamudo is to unite nature and human being based on yulleo, the motion of heaven, and is the open art that enhances the originality of traditional Korean dance. The theory in The Right Change holds the principle of mutual understanding that penetrates heaven, earth, humanity, history and society. The power of mutual understanding is boundless. Yeonggamudo is the solution that will bring the optimum alternative to humanity that is suffering in the sea of agony brought by extremely polarized society and the severance of mutual communication. People in modern society are exceedingly preoccupied with their own matters and have severely complicated life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Simplicity and tranquility have long been disappeared from their lives, resulting in worn out and confused mind by external conditions. Thus, human mind has become more devastated and the order of society has been destroyed for a long time. Wars never stop and natural disasters take away countless human lives at once. Illnesses put people in pain and hurt their souls. After all, incurable diseases will take people’s life. According to Hang Gim, the center of human spirit resides the core of one’s existence(虛心丹) and the center of universe resides in the core of universe(無中碧) and they carry the same principle. The Right Change proclaims that the immutable principle of heaven and earth should be combined with essential human endeavors to establish its ideal world, the paradise of sprendor and brilliannce(琉璃世界). In this dissertation, I sought the origin of Yeonggamudo from various Korean and Chinese documentary records and its structural principle with vocalism from case studies of preceding researchers. I tried to find the root of Yeonggamudo—in accordance with the philosophy of chang (易)—from the principle of Hado and Nakseo(Yello River and Luo River Diagram)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yulleo and Yeonggamudo. The study of relations between the pentatonic scale of Yeonggamudo & the principle of five elements, and between 12-tone scale & the principle of earthly stems fully revealed that Yeonggamudo was the meditation to realize the dao of heaven. The theory of Yeonggamudo was carefully studied with the principle of meditation whil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philosophy in The Right Change and it brought conclusions as following: 1. It’s been confirmed that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Right Change and The Book of Changes. 2. Yeonggamudo is rooted in yulleo, the image of heaven and earth’s rhythmic movement. 3. Pentatonic scale of Yeonggamudo was accurately defined in accordance with the diagram of Hado and Nakseo (Yello River and Luo River Diagram) and the principle of five elements. 4. Yeonggamudo is an advanced way of meditation that sublimated the dao of moderation(中正之道)—the core of The Right Change and The Book of Changes—into songs and dances. 5. The purpose of Yeonggamudo meditation is to enable a noble man to reach to the level equivalent to sages. 6. Yeonggamudo pursues mutual understanding with spirits. Hang Gim revealed the principle of inner structures of heavenly dao that is the order of yulleo, and regarded a noble man as the one who materializes it in reality. Yeonggamudo can be summarized as the way of existential human life that can be accomplished by resembling rhythmic movement of life. It cannot be said that this dissertation has unveiled the true nature of Yeonggamudo completely. I insist that analyzing and gathering the characteristics of Yeonggamudo sects and reproducing them is the most urgent task. Keeping pace with such tasks, since Yeonggamudo cannot be just understood as a theory but rather a practical chanting-dance meditation, it is even more essential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Yeonggamudo and preserve it. To give the entire picture of Yeonggamudo, it is required to put efforts on moder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ight Change, developing a Yeonggamudo program as a way of meditation and proving its effectiveness and achievements, seeking the potential of alternative medicine and its popularization followed by the endeavor to realize Hang Gim’s dream that is to establish the paradise of splendor and brilliance (琉璃世界)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in The Right Change which embraces the understanding of 360 days a year. 본 논문은 詠歌舞蹈의 사상적 연원과 수행방법, 그리고 현대적 전개와 전망을 조명한 글이다. 영가무도는 正易을 지은 金恒(1826-1898)이 직접 수련한 것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정역사상과 영가무도는 김항의 철학을 이해하는 두 가지의 핵심 축이다. 󰡔정역󰡕이란 어떤 易인가? 정역사상은 주역을 낱낱이 해체한 다음 재구성한 後天易이며, 未來易이며, 第三易이다. 김항은 괘의 원리(伏羲卦, 文王卦, 正易卦)와 3極論(無極, 太極, 皇極)과 時間論(原曆, 閏易, 正易)을 일관시켜 正易八卦圖로 결론지었다. 그는 정역팔괘의 세상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金火交易(河圖와 洛書)을 통해 논증했다. 영가무도는 天地와 더불어 혼연일체가 되어 노래부르고 춤추는 수련법이다. 김항은 전통의 영가무도를 부활시키는 단계에 머물지 않고, 정신계발을 위해 새로운 차원에서 재현하였다. 정역사상이 의도한 중요한 목적의 하나는 인간의 가치의식을 전환시키는 것이라면, 영가무도는 인간본성을 회복하는 수행론이다. 대부분의 종교들은 복잡한 종교적 의례와 엄숙한 형식을 갖춘 수행과 기도를 강조한다. 하지만 영가무도의 특징은 천지부모와 하나 되는 마음으로 宮商角徵羽의 發聲法으로 노래부르고 춤추는 매우 간단한 수행법으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영가무도는 기본적으로 五行과 五臟에 배당된 5음(궁․상․각․치․우)의 소리인 ‘吟․哦․唹․咿․吽’의 다섯 가지 소리를 돌아가면서 느린 속도로 소리를 내고 점차 빠르게 손과 발을 움직여 자연스러운 동작까지 이어지는 수련 방법이다. 그렇다고 해도 영가무도는 단순한 놀이의 유희가 아니라 일종의 天人合一을 위한 심신단련법이다. 특별한 가사나 언어가 필요 없는 ‘詠歌’는 사람의 마음을 조화롭게 하는 인류공통 음악이라 할 수 있다. ‘舞蹈’는 흩어지고 분열된 인간의 마음과 몸을 하나로 모으는 역동적인 춤이다. 춤은 애당초 음양의 질서인 낮과 밤, 하늘과 땅, 남자와 여자 등의 이원적 분리의 틀을 무너뜨리는 어울림의 문화에서 출발하였다. 영가무도는 하늘과 땅의 질서, 즉 율려의 리듬에 맞추어 조화를 이루는 것에 목적이 있다. 영가무도는 마음의 상태와 우주의 율동상을 조화시키는 동작으로서 모든 사람에게 개방된 평등의 수행인 것이다. 김항은 천도의 내부구조 즉 율려의 질서를 밝혔고, 군자는 이를 역사적으로 구현하는 존재라고 보았다. 영가무도는 생명의 율동상을 본받아 몸소 실천궁행하여 인간의 실존적 삶의 방식으로 삼는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김항에 의해 새롭게 창안된 영가무도는 새로운 음양오행론과 율려관에 근거한 수행론이다. 하늘의 몸짓인 율려를 바탕으로 자연과 사람이 한데 어울리는 영가무도의 기상은 한국춤의 독창성을 돋보이게 하는 개방형 예술이다. 정역사상은 천지와 인간과 역사와 사회를 꿰뚫는 소통의 원리이다. 소통의 힘은 무한하다. 극도로 양극화된 사회, 대화의 단절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인류가 원활한 소통으로 함께 같이 살아갈 수 있는 대안이 영가무도에 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몸과 마음은 너무나 분주하고 복잡하다. 단순하고 평화로운 삶은 자취를 감추고, 마음은 외적 조건과 환경에 끊임없이 마모되며 휘둘린다. 그리하여 심신은 황폐화되고, 사회 질서가 무너진 지 오래다. 전쟁은 계속되고, 자연 재해는 수많은 사람의 목숨을 한순간에 앗아 간다. 몸은 아프고 영혼은 병들고, 급기야는 치료마저 불가능한 병마에 목숨마저 잃는다. 김항에 의하면, 인간정신의 중심은 虛心丹이며 우주의 중심은 無中碧으로서 이 둘은 동일한 원리이다. 정역은 琉璃世界라는 이상세계를 건설하기 위하여 천지의 필연적 법칙과 인간의 당위적인 노력이 합치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본 논문은 영가무도의 연원을 중국과 한국의 문헌에서 조사하고, 영가무도의 구조원리를 선행연구자들의 연구사례와 함께 창법을 살펴보았다. 영가무도의 역학적인 연원을 하도낙서원리에서 찾고, 율려와 영가무도의 상관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영가무도의 오음과 오행원리의 관계, 12율과 지지원리의 연관성을 구명함으로써 영가무도는 천도를 구현하는 인간의 수행임을 상론하였다. 정역사상과의 관련성을 고려하면서 영가무도의 이론과 수행론을 살핀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영가무도의 사상적 근원은 󰡔주역󰡕과 󰡔정역󰡕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영가무도는 천지의 율동상인 율려에 근거하고 있다. 셋째, 영가무도의 오음은 하도낙서와 오행원리를 바탕으로 정립되었다. 넷째, 영가무도는 주역과 정역의 핵심인 中正之道를 노래와 춤사위로 승화시킨 고급 수행법이다. 다섯째, 영가무도는 성인의 경지에 도달하려는 군자의 수행방법으로 창안되었다. 여섯째, 영가무도는 神明과의 소통을 지향한다. 김항은 정역은 천도의 내부구조 즉 율려의 질서를 밝혔고, 군자는 이를 역사적으로 구현하는 존재라고 보았다. 영가무도는 생명의 율동상을 본받아 몸소 실천궁행하여 인간의 실존적 삶의 방식으로 삼는 것이다. 그렇다고 본 연구가 영가무도의 실체를 모두 드러냈다고 할 수 없다. 필자는 지금 전국에 흩어져 있는 영가무도들을 수집하고, 그 특성들을 분석 종합하여 재현하는 일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제안한다. 이러한 작업에 발맞추어 영가무도의 원형을 되살려 보존하는 일은 더욱 중요하다. 영가무도는 이론의 영역이 아니라, 노래부르고 춤추는 실제상황이기 때문이다. 영가무도의 전모를 밝히기 위해서는 정역의 현대적인 해석과 적용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수련법으로서의 영가무도의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 및 성과에 대한 연구, 대체의학의 가능성과 대중화 방안에 대한 모색, 마지막으로 김항의 꿈인 360일 정역세상에 의한 琉璃世界의 건설에 관한 연구 등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