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적 기업 창업 의도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박경연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환경 오염, 저출산 및 고령화 지속과 함께 실업률 증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부족, 지역 사회 붕괴, 사회적 가치 창출 및 공유 미흡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는 사회적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서비스 확보 및 사회적 가치 창출 이슈에 대한 해결 수단들 가운데 하나로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중요성이 최근 들어 꾸준히 증가해오고 있다. ‘공익을 위한 민간 기업’, ‘영리 목적의 사회 사업’, ‘사회적 목적을 가진 기업’ 등 다양한 정의가 등장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회적 기업은 상업적 거래를 통해 안정적인 재원을 확보하는 독립된 조직을 의미한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사회적 취약 계층 지원, 고용 창출 등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적 기업을 ‘공공 자금에 기반하여 사회적 미션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면서 지역 사회 일자리 창출과 복지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는 기업’이라고 파악해오고 있다. 사회 전반에 걸쳐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과 창의적이며 도전적인 아이디어는 많다. 하지만, 이의 실현은 수월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 창업가인 대학생들의 사회적 기업 창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사회적 기업과 벤처 창업 의도에 관한 기존 문현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업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는 개인 성향 특성, 개인 경험 특성, 소속 대학 특성을 선정하였다. 이들 요인들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가설을 도출하고 연구 모형을 설계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인 성향 특성의 성취 욕구, 자기 효능감, 기업가적 지향성, 소속 대학 교육 특성 가운데 하나인 전반적인 대학 교육 특성, 그리고 개인 경험 특성인 개인 경력 특성과 네트워크 특성은 대학생들의 사회적 기업 창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가치 창출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던 개인 성향 특성 요소, 즉 공감성과 이타주의 그리고 소속 대학 교육 특성인 교양교육 특성은 대학생들의 사회적 기업 창업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를 고려하여 표본의 다양성 확보, 사회적 기업 논의와 기업가정신 관점의 통합 시도, 사회적 기업 창업의 의미 구체화, 그리고 사회적 기업 창업 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동인의 발견 등과 같은 연구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Various social problems like environmental pollution, low birth rate, an aging society, the unemployment rate, little regard of social minorities, the collapse of community, lack of social value and its sharing, create a new demand for social services. Recently, the role and importance of social enterprises have been increasing as one of the solutions for social service provision and social value creation. Examining various definitions such as 'private enterprise for public interests', 'businesses for profit purpose', ‘enterprise for social purpose', the social enterprise can be generally defined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that secure stable financial resources through commercial transactions. Especially social enterprise is considered as the enterprise that contributes to provide job creation for the community and welfare services, which focuses on the support for a vulnerable social group and job creation based on public fund. In our society there are lots of interests on social enterprise and creative and challenging ideas. However, its realization is not easy to achieve. Reflecting these realitie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factors on a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as a potential entrepreneur. Based on extant literatures on the intention of social enterprises and venture businesses, three major characteristics such as an individual disposition, an individual experience and university education are chosen as factors influencing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these theoretical review, several hypothesis are drawn and the research model is designed and finally empirical study is conducted with the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Some results from the empirical research are as follows. Need for achievement,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intention, general university education characteristic and individual career characteristic and network characteristic make an effect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However, empathy and altruism as individual disposition characteristics and college general education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Further research on the integrative approach of social enterprise and entrepreneurship, the specification of social enterprise meaning and new drivers that influence the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e empirical study with the larger and different sampling segments, might be done. Som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 미야자와 겐지(宮澤賢治)의 초기동화연구

        박경연 同德女子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일본의 대표적 동화 작가이며, 시인인 미야자와 겐지(宮沢賢治)의 초기동화에 나타난 <자연과 불교>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겐지는 다양한 작품을 통하여 종교의식과 자연에 대한 사상을 표현하였다. 그는 종교활동과 교사생활을 통해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에 도달할 수 있었다. 동경의 종교생활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가 농촌생활의 경험을 통해 그는 자연과 생명에 대한 외경심을 갖게 되었다. 그의 생은 짧았지만, 그가 도달한 삶의 깊이는 매우 심원하다. 1924년 겐지는 『주문이 많은 요리점(注文の多い料理店)』을 처음으로 세상에 내놓았다. 무명의 동화작가이자 시인이 발간한 이 동화집은 그 당시 문학계의 사람들을 놀라게 했지만, 거의 팔리지 않았다. 그 당시에 주목을 끌지 못했던 그의 독창적이고 환상적인 작품들은 겐지가 죽은 후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그의 작품이 독자에게 큰 감동을 주는 것은 바로 자연과 생명에 대한 존중과 종교성에서 기인할 터이다. 종교는 그의 삶에서 정신적인 지표였다. 겐지의 작품들에 대한 이해의 출발점은 바로 그의 종교적인 삶에서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그의 작품은 종교에서 출발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삶으로 귀결된다. 본 논문은 그의 동화에서 구현된 종교 세계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그것은 단순히 종교 세계를 확인함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종교적 세계에서 출발하여, 자연과 생명에 대한 사랑으로 나아가기까지 겐지의 의식 변화를 그의 초기 동화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의 첫 동화인 『거미와 민달팽이와 너구리(蜘蛛となめくぢと狸)』와 『쌍둥이 별((双子の星)』에는 종교 세계가 표출되었다. 인생에 전환점이 되었던 법화경과의 만남을 통해 그는 또 다른 종교 세계로 나아가게 된다. 그 시기에 창작된 동화가 『조개의 불(貝の火)』이다. 이어 그는 정토진종(浄土真宗)에서 법화경을 근본 경전으로 삼는 일련종(日蓮宗)으로 개종한다. 그는 이때 『쏙독새 별(よだかの星)』을 쓴다. 이후 겐지는 여동생 도시(トシ)의 병때문에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는데, 고향인 이와테현에서 『수선월의 나흘(水仙月の四日)』을 쓴다. 『거미와 민달팽이와 너구리』(이하『거미와』)는 겐지가 22살 되던 해인 1918년에, 이 작품의 개작(改作)인 『호라쿠마학교를 졸업한 세사람(洞熊学校を卒業した三人)』(이하 『호라쿠마』)은 원작보다 5년 후인 1923년에 창작된다. 원작과 개작 사이의 변화는 궁극적으로 그의 종교생활의 변화에 있었다. 그가 원작을 쓸 때에는 정토진종(浄土真宗)의 영향 하에 있었다. 그러나 그가 개작을 쓸 때에는 정토진종에서 일련종(日蓮宗)으로 개종하였다. 개종은 그에게 삶의 의미를 변화시킨 중요한 사건이었다. 정토진종에서는 깊은 신앙심을 갖고 아미타불의 이름을 부르기만 하면 서방정토에서 다시 태어나 괴로움과 궁핍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가르친다. 겐지는 정토진종의 가르침에 깊이 공감하였다. 『거미와』에서는 바로 인간성에 내재되어 있는 오만과 탐욕과 이기심을 풍자하였다. 인간이 본래 오만하고 탐욕스럽다면 이것을 깨닫지 못하는 한 현세계는 바로 지옥과 같은 것이다. 겐지가 추구한 것은 이 지옥과 같은 세계에서 벗어나 순수의 세계로 나아가고자 했다. 『거미와』의 개작인 『호라쿠마』에서는 인간의 오만, 탐욕, 이중성을 부추기는 당대 사회를 비판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호라쿠마』의 배경은 학교로 설정되어 있는데, 선생인 호라쿠마는 학생들에게 경쟁해서 이길 것, 큰 것이 제일 좋다는 것 등을 가르친다. 이것은 전형적인 제국주의 교육으로 겐지가 풍자를 통해 노리고 있었던 것은 당대 일본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이었다. 인간의 악은 인간성 속에 내재되어 있는 본래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이 만들어낸 사회 제도에 있다는 것을 겐지는 말하고 있다. 원작과 개작 사이의 이러한 차이는 위에서 지적했듯 일련종으로 개종이라는 사건이 있었다. 원작에서 개작으로 나아가기까지 그 사이에 창작된 작품들을 일별해 본다면, 그의 초기 동화 세계의 변화의 과정을 알 수 있다. 『거미와』에 이어 그가 추구한 순수의 세계는 바로 『쌍둥이 별』에서 나타난다. 『쌍둥이 별』에서는 현실 세계에서 순수의 세계로 나아간다. 『쌍둥이 별』이 보여주는 순수의 세계는 겐지에게는 이상 세계였다. 정토진종의 차원에서 보면 겐지의 이상 세계는 현세계에서는 이룰 수 없는 사후 세계에서 도달할 수 있는 것이었다. 『쌍둥이 별』은 「쌍둥이 별Ⅰ」(이하 <Ⅰ의 세계>)과 「쌍둥이 별Ⅱ」(이하 <Ⅱ의 세계>)로 이루어져 있다. <Ⅰ의 세계>와 <Ⅱ의 세계>에서는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겐지의 이상향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이 작품의 주인공 춘세와 포세(チュンせとポウセ)는 바로 순수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거미와』에 이어 『쌍둥이별』에 이르기까지 겐지는 집안 종교인 정토진종의 절대적인 영향 아래 있었다. 그런데 1920년 그는 정토진종에서 일련종으로 개종을 한다. 개종은 그에게 현실 세계에 대한 관심으로 나아가게 했다. 일련종은 법화경을 근본으로 삼는 불교 종파로 현실 세계에서 법화경의 가르침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를 강조하였다. 1920년에 창작된 『조개의 불』에서는 겐지가 법화경과의 만남으로 전환된 의식의 변화를 주인공을 통해 찾아볼 수 있다. 주인공 호모이가 ‘조개의 불’을 만난 인연은 작가 자신이 법화경을 만난 인연이다. 주인공 호모이는 ‘조개의 불’을 만나 마음 속의 교만함을 깨닫는다. 호모이는 교만함 때문에 실명하게 되지만, 그때야 비로소 마음의 눈을 뜬다. 마음의 눈을 뜨는 것, 그것이야말로 법화경의 가르침의 첫 출발점이다. 겐지는 대중들에게 마음의 눈을 뜨게 하는 방법으로 법화경의 가르침을 전달하는 일, 즉 포교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조개의 불』에서 나타나는 은방울꽃의 의미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고 그 실천과정인 포교활동에 대한 상징이다. 이런 점에서 은방울꽃의 의미는 이 작품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쏙독새 별』에서 쏙독새의 추한 모습은 바로 현실 세계를 은유한다. 개종한 이후 창작된 동화의 지향점은 현실 세계 안에서 이상 세계로 만들고자 하는데에 있었다. 이것은 법화경 사상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련종 포교활동을 하면서 얻을 수 있었던 것은 현실 세계의 추악한 면을 확인했을 뿐이다. 이것은 『쏙독새 별』에서 잘 나타난다. 작품 속에서 나타난 매가 쏙독새에게 개명을 종용하는 장면, 인간 사회를 나타내는 단어인 담배꽁초나 돈 그리고 쏙독새의 죽는 장면에서 겐지의 회의와 좌절을 읽을 수 있다. 이 작품을 통하여 겐지가 국주회 활동에서 보이는 현실 세계의 재인식과 법화경 사상의 정립 과정을 살펴본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겐지는 동경에서 '국주회 생활'(1921.1-1921.8)을 마치고 그의 고향인 이와테현 하나마키에 돌아와 동북지방의 겨울을 배경으로 종교와 자연과 인간에 관한 동화인 『수선월의 나흘』을 쓴다. 이 동화에는 겐지의 평생 화두인 자연과 종교, 인간이라는 테마가 잘 드러난다. 눈보라 속에서 생사의 갈림길에 놓인 어린이(赤毛布を着た子供)와 혹독하게 눈을 몰아치는 눈의 정령인 유키방고(雪婆んご)는 대조적으로 나타난다. 유키와라스(雪童子)는 유키방고의 명령대로 눈을 내리게 하지만, 유키와라스는 아이를 보호하여 구해주려고 한다. 여기에서 눈의 정령은 자연을, 어린이는 인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한 자연과 인간에 관한 이야기로 볼 수 있다. 유키와라스는 마지막까지 어린이를 살리기 위해 아이에게 붉은 모포를 덮어준다. 이 동화는 인간에게 있어 자연의 힘이 얼마나 위협적인지, 그리고 인간이 얼마나 연약한지를 잘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이 인간에게 가르쳐 주고자 하는 것은 꺼져가는 생명의 불을 살리고자 하는 유키와라스의 노력처럼 생명에 대한 사랑이다. 겐지가 동경에서 고향 하나마키로 돌아왔을 때 그는 그의 종교 활동에 회의와 좌절에 빠져 있었다. 그는 고향으로 돌아와 다시 인간과 종교와 자연에 대해 깊은 사색을 통해 그가 구현하고자 했던 법화경의 세계를 깨닫게 되었다. 겐지의 깨달음은 자연이 가르쳐 주는 생명에 대한 사랑이었고, 그것은 바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길이기도 하다. <이하토브 세계> 역시 이러한 세계이다. 이 논문에서 논하는 바와 같이 겐지의 동화속에 나타난 환상과 이상의 세계인 <이하토브 세계>는 그의 초기의 종교 정토진종, 일련종이 그 기반이 되었다. 사상의 근원이 되었던 법화경과 고향인 이와테현의 자연환경이 그의 감수성과 결합되면서 동화라는 산물을 만들어 냈다. 이와 같이 <자연과 불교>로 출발한 그의 동화 세계는 단순히 자연이나, 종교에 머물렀던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자연과 불교>라는 기반 위에서 현실에 충실하려고 한 그의 모습 속에 겐지 동화의 특징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겐지의 동화는 현실과 이상이 하나인 세계, <이하토브 세계>를 실현시키려는 끊임없는 노력의 산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the Buddhism reflected in the early fairy tales of Miyaza Kenzi, fairy tale writer and poet who represents Japan. Kenzi has explored the nature and the religion through his various works and has reached to deeper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rough his experiences of teaching and religion. He has become to possess deep apprehension about the nature and the life when he returned to his home town after his religious life in Tokyo. Despite his short life, the depth of the life he had reached was very profound. In 1942, Kenzi published A Restaurant with a Lot of Orders. This book, whose author is an unknown poet and fairy tale writer, shocked the people of the literature world, was rarely sold. Though unnoticed when they had been published, his original and fantastic works impressed a huge number of people posthumously. What impressed the readers most must have been the respect for the nature and the life as well as the religious elements in these works. The religion was his mental beacon in his life. As such, the first step in understanding his works must be his religious life. His works largely started from the religion, but eventually arrived at human liv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religious world presented in his works; however, this exploration will be more than just identifying this religious realm. The investigation examines the changes in his consciousness reflected from his early fairly tales about the religion to his love of the nature and the life. His first fairy tales, Spiders, Snails, and Racoons and Twin Stars, represent the religious world. His encounter with The Sutra of the Lotus, which defined a turning point in his life, guided him into another world of religion. The fairly tale published in this period is A Clam's Fire. He later on converted from Joodoshinsu to Nichirainsu where The Sutra of the Lotus is the fundamental scripture. At this stage, he wrote The Star of a Nightjar. Later, he returned to his hometown Iwate because of his younger sister's sickness and wrote Four Days of a Narcissus. Spiders, Snails, and Racoons (Spiders, henceforth) was written in 1918 when Kenzi was 22 years old and its adaption Three People Graduated from Horakuma School (Horakuma, henceforth) was written in 1923, five years after the creation of the origin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its adaption ultimately lies at the change in his religion. While he was under the influence of Joodoshinsu when he wrote the original, he converted to Nichirainsu at the time of writing the adaptation. The conversion was an important event in his life that changed his meaning of life. Joodoshinsu teaches that a person is reborn in the Land of Perfect Bliss and is free from sufferings and destitution if s/he calls Amitabha from the deep faith. Kenzi was in deep sympathy with this. Spiders was a satire of the arrogance, avarice, and selfishness inherent in the human nature. If human beings are inherently arrogant and avaricious, the world they are living in is a hell as long as they are not aware of this inherent fact. Kenzi seeked to escape from this hellish word into the world of innocence. Horakuma, an adaptation of Spiders, criticized the society of the day that instigated human arrogance, avarice, and dualism. Horakuma was set in a school where Horakuma taught students that they should win in the competition and the biggest is the best. This is the typical imperialistic education and Kenzi intended to severely criticize the Japanese society of the day through this satire. He told us that the human vices are not inherent in the human nature, but are the products of the society human beings had built. This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its adaption is, as mentioned above, mainly due to his conversion to Nichirainsu. By taking a looks at the series of works between the original and its adaptation we can see the glimpse of the changes taking place in his early fairy tales. The world of innocence Kenzi pursued is also presented in Twin Stars. This work presents progression from the real word to the word of innocence. The innocent world Twins Stars depicts is the ideal word for Kenzi. From the perspective of Joodoshinsu, Kenzi's ideal world is the world that a person can reach only after the death. Twin Stars consists of "Twin Star I" (World I, henceforth) and "Twin Star II" (World II, hereafter). The characters of World I and World II symbolically depicts Kenzi's utopia. The main characters, Chunse and Pose, are the symbols of the innocence. Kenzi was under the absolute influence of the family religion Joodoshinsu during the period of writing Spiders and Twin Stars. However, he converted to Nichirainsu in 1920. Nichirainsu is a denomination of Buddhism that takes The Sutra of the Lotus as the fundamental scripture and stresses how to materialize the teachings of The Sutra of the Lotus in the real world. Through the hero of A Clam's Fire, we can observe the changes in Kenzi's consciousness brought about by his encounter with The Sutra of the Lotus. The karma that the hero Homoi meets “a clam's fire" is the same karma that the author met The Sutra of the Lotus. Homoi realizes his arrogance in his mind when he meets "a clam's fire." Soon he is disappointed with his arrogance, but at this moment he finally opens his eyes of the mind. Opening the eyes of the mind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teachings of The Sutra of the Lotus. Kenzi realized the importance of the propagation, that is, transmission of the teachings of The Sutra of the Lotus. The lily of the valley of A Clam's Fire symbolizes the propagation of Buddha's teachings and the missionary work, the process of actually putting it into practice. In this regard, the lily of the valley occupies the central stage in this work. The disgrace of the nightjar in The Star of a Nightjar symbolizes the real world. What the fairy tales written after the conversion intend is the creation of the utopia in the real world, which coincides with the preachings of The Sutra of the Lotus. However, Kenzi only confirmed the ugliness of the real world through his missionary works. This is clearly revealed in The Star of a Nightjar. The scene where a hawk forces the nightjar to convert, the scene where the nightjar dies, and the words such as cigarette butts and money which stand for the human society reveal Kenzi's skepticism and frustration. The Star of a Nightjar is significant in that this work reveals Kenzi's new understanding of the real world through his activities of Kokuchukai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utra of the Lotus. Kenzi wrote Four Days of a Narcissus in his hometown Hanamaki, Iwate. This is a fairy tale about the human beings, the nature, and religion set in the winter of the north-eastern counties. This story well expresses Kenzi's life-time topics, then nature, religion, and human beings. A child wondering between life and death in a snow storm and the snow ghost Yukibanko harshly making it snow heavily are contrasted in this work. Though making it snow at the order of Yukibanko, Yukiwaras tries to protect and save the child. The snow ghost and the child here symbolize the nature and the child, respectively, and this story can be taken as a story about human beings and the nature. In the end Yukiwaras covers the child with a red blanket to save the child. This fairy tale clearly depicts how threatening the nature is to human beings and how weak human beings are against the nature. This story still tells us about the nature's love for the life well expressed in Yukiwaras' endeavors to keep the dying flames of the life. Kenzi was frustrated and doubtful about his religious activities when he returned to Hanamaki from Tokyo. In his hometown, Kenzi realized the world of The Sutra of the Lotus he wanted to materialize through the profound meditations on human beings, the nature, and religion. His awakening was about the love of life the nature taught him, and this is the way to coming into harmony with the nature. "The World of Ihatobu" also depicts this world. As discussed in this thesis, the fantasy depicted in Kenzi's fairy tales and the world of Ihatobu, the utopian world, are based on Joodoshinsu and Nichirainsu, Kenzi's early religion. The Sutra of the Lotus, his religious foundation, and the natural surroundings of his hometown Iwate produce his fairy tales when these are combined with his sensibilities. The world depicted in his fairy tales that had started from the nature and Buddhism goes beyond the nature and religion. Kenzi tried to reconcile with the real world on the basis of the nature and Buddhism,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enzi's fairy tales. In sum, Kenzi's fairy tales are the products of his endless efforts to materize the world of Ihatobu where the reality and the utopia merge into one.

      • 학습자의 참여특성에 따른 평생교육교수자 역량 인식에 관한 연구

        박경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습자의 참여특성에 따른 평생교육교수자 역량 인식에 관한 연구 (요 약) 오늘날 평생교육을 제공하는 시설의 범위는 광범위해지며, 늘어나는 평생교육기관의 수에 따라 평생교육 업무를 담당하는 평생교육담당자와 평생교육강사의 수요도 함께 확대되었다. 평생교육의 양적 확대를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평생교육교수자의 역량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평생교육교수자 역량과 평생교육 학습자의 참여특성에 따른 평생교육교수자 역량을 살펴봄으로써 평생교육교수자에 대한 전문성 강화와 학습자와 실질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대구·경북 소재의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평생교육학습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총 218부가 분석에 이용되었고,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2.0를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T-test,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교수자 역량 인식에 따른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교수자 역량 중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역량은 태도역량이었으며, 수업관리역량은, 교육계획수립역량, 이미지관리역량, 교수-학습역량, 학습상담역량, 교수준비역량, 학습자이해역량, 평가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평생교육교수자 역량 인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에 따른 9가지 평생교육교수자 역량은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학습자의 평가 역량만이,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학습자 이해역량, 교육계획 수립역량, 교수준비역량, 교수-학습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업에 따라서는 교육계획 수립역량 교수-학습역량이, 참여기간에 따라서는 교육계획수립 역량만이, 월평균 소득에 따라는 학습자 이해역량, 교육계획 수립역량, 교수준비역량, 교수-학습역량, 학습상담역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배경 전체 인식의 평균값을 비교했을 때, 평생교육교수자 역량 중 태도역량의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참여특성에 따른 평생교육교수자 역량 인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기관에 따른 평생교육교수자 역량 인식 중 교육계획수립역량, 교수준비역량, 교수-학습역량, 학습상담역량, 평가역량, 수업관리역량, 이미지관리역량, 태도역량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평생교육프로그램에 따라 학습자이해역량, 교육계획수립역량, 교수준비역량, 교수-학습역량, 평가역량, 이미지관리역량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동기에 따라서는 교수준비역량, 학습자평가역량, 이미지관리 역량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특성 전체 인식의 평균값을 비교했을 때, 평생교육교수자 역량 중 태도역량의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평생교육교수자의 역량은 태도역량의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배경과 참여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평생교육교수자는 인구사회학적배경, 참여특성에 따라 그에 맞는 다른 각각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학습자의 요구를 고려하여 강의를 준비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교육 만족도가 높아지고 평생교육의 질적 수준이 향상 될 것으로 예상한다. (Abstract) Today, the range of facilities that provide lifelong education is widening, and the demand for lifelong education staff and lifelong education lecturers, who are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work, has expanded along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e capacity of lifelong education teachers who can effectively support lifelong education through quantitative expansion is attracting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ways of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lifelong education teachers and real exchange with learners by examining lifelong education teachers 'competence based on lifelong education teachers' capacity and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learner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and a survey of lifelong education learners who are tak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t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Daegu and Gyeongbuk. A total of 218 items were us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2.0, and T-test and ANOVA analyz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was examined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e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ors was attitude ability. The teaching management competency was composed of education planning ability, image management ability, teaching - learning ability, learning counseling ability, teaching preparation ability, learner understanding ability, Respectively. Secon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background, th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faculty competence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9 lifelong education proficiency capacities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e of learners 'ability to evaluate and the final academic ability to learners' understanding ability, education planning ability, teaching preparation ability and teaching - learning ability.In addition,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whol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was compared, perception of attitude ability was the highest among lifelong education faculty competence. Third,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faculty competence according to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faculty competence according 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educational planning ability, teaching preparation ability, teaching - learning ability, learning counseling ability, evaluation ability, teaching management ability, image management ability and attitude ability. According to the education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 's understanding ability, education planning ability, teaching preparation ability, teaching - learning ability, evaluation ability and image management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preparation motivation, learner competency, and image management competence. When the average value of participation perception was compared, perception of attitude ability was the highest among lifelong education faculty compet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apacity of lifelong education teachers showed the highest perception of attitude competen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learner 's demographic background and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Therefore, lifelong education teachers need to systematically prepare different competencie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background and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and prepare lectures in consideration of the needs of learne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learner's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ill be higher and the quality level of lifelong education will be improved.

      • 중소 교육서비스 조직의 성과향상을 위한 수행공학(human performance technology)모형의 형성적 연구

        박경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An innovative approach must be introduced to organization for increasing substantiality in a rapidly changing knowledge-based society. Most organizations are currently demanded for a systemic change. In this regard, HPT(Human Performance Technology, HPT) approach can be used for a fundamental performance change. Yet a precise concept of HPT and specific model which is fitted in various organizational contexts has not been presented nationally. The ISPI model is the representative model of HPT. So, this study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typical ISPI model into suitable small-medium sized organization accounted for 99% of domestic business. In particular, this research aimed 1) to search out ISPI model improvements, 2)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of performance improvement model suggested by this research, 3) to provide applying principles and implications in a performance consulting. To reach the goal of study, the right case was selected by research and external experts. The case is organization A that supported to develop a career and seek a job for women of career discontinuance and vulnerable employment. This organization is a small-sized and comprised of 17 full-time members. To increase a suitability of ISPI model, it was used to formative research method with organization A. Formative research methodology(Reigeluth & Frick, 1999) can be used for improvement an existing theory, method or model. So, according to goal of this study, it was matched a research method and design. Therefore, this study performed a case study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activities: 1) review on literatures of ISPI model for searching modifications, 2) designing the research model that revised ISPI model to improve performance at small-medium sized organization, 3) the application of this research model to organization A and evaluate its usability, 4) the providing verified performance improvement model for organization A, 5) summary principles and methods that carry out performance consulting for cost-effective and mutual benefi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ISPI model is one of the most systematic models, but the research model is the revised systemic approach by the rapid prototyping method. This model has an advantage over the fast changing environment. Through the case study,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research model is verified. Second, A performance analysis frames the problem or opportunity. When organizations are viewed as complex systems with multiple interacting forces, performance consultants can be properly analyzed by performance issues. So, as the tool of performance analysis in this study, it used to Tosti's Organizational Scan model(O-SCAN). The O-SCAN model has the potential to advance organizational "chemistry". It provides a way to order the million or so things that can affect organizational results. The O-SCAN model was created by ordering organizational influences according to the underlying human performance system. In this study,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critical business issues was conducted by using Tosti's model. The O-SCAN framework had the potential to serve as a base that would be a comprehensive foundation for searching and managing all forms of performance issues. This study finished to analyze performance problems, opportunities and causes through one step. Third, as a result of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critical business issues, many of the performance issues were produced. These should be determined priorities. For this, the change of performance model that was suggested by Landon(1997) used to classify performance issues as establish, improve, maintain or extinguish performance. According to this research finding, Langdon's model was the best model to prioritize. Forth, organization A has accomplished the best business performance. So, the work of performance consulting in these situations approached to Appreciative Inquiry(AI) methodology instead of problem-solving. To establish new performance in organization A, there were used AI approach for setting a vision and mission. Next, to improve performance, existing group counseling program focused on employment preparation efficiently redesigned and develop activities using the rapid prototyping method. And to maintain the performance, it was necessary to have a systematic development system for employees at organization A. Based on Gilbert's BEM(Behavior Engineering Model), organization A was designed a competency centered development system. Fifth, most performance consultants recognize the value of effective partnership with clients. In reality, humans have worked out a means of cooperation with other groups to achieve mutual goals. To accomplish expected results of performance consulting, we must work with clients as a partner. Partnering helps being open and sharing work and responsibility to reach mutually beneficial outcomes. Effective partnering is characterized by three principles: Openness, Respect and Shared power(Tosti, 2007). This research is applied to performance consulting three principles for successful working. Three principles to contribute to a successful consulting and following strategies and action is needed: 1) openness: being a strategy of learning and performance, 2) respect: building a trust as a human and an performance consultant with care and social skills, 3) shared power: To have realistic expectation and identify precisely and shared on role and responsibility. But, a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results cannot be immediately generalized to other organization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inform the practice of research model. Next, if making fully preparation step with clients, performance consultants can be suggested by the performance improvement model better suited in their organization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as made as below: First, targeting for various organizations should be tested by a lot of prototypes of performance improvement models. Through those case studies, we'll have a lot of alternatives on performance improvement models for small business companies. Therefore, the majority of small business companies are possible to sustain the level of performance despite limited employees and insufficient budget. Second, performance consultants should be equipped with an expertise related to performance improvement in both theory and practice. The educational service organizations we serve can be transformed into high performance system networking consistently with external experts. Third, performance consultants need to learn with core members in the educational service organizations we serve for organiz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one technique is made up of community of practice(CoP). It is the requirement of successful performance consulting in order to customize models or methods for improving performance. 급변하는 지식사회에서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해온 접근법에 있어 근본적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제 조직은 부분적 변화가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 자체의 변화를 비롯한 체제적(systemic) 접근에 따른 총체적(holistic)변화를 통해서 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는 환경에 직면해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행공학(Human Performance Technology, HPT)접근법은 근본적 조직의 변화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 하나의 철학이며 방법론일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수행공학(HPT)의 정확한 개념을 비롯하여 국내조직 환경에 맞는 실행모형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수행공학 접근방법이 성공적으로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상 조직의 맥락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적합한 방법과 도구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런데, 아직까지 국내 조직을 대상으로 한 수행공학 모형의 타당성과 실효성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직의 99%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조직 중 연구자의 전문성 발휘가 가능한 교육서비스 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공학모형의 대표모형인 ISPI모형을 해당 조직맥락에서 좀 더 적합성과 효과성을 가질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SPI모형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 모형의 강점, 약점과 개선점을 도출하였고 실제 모형을 국내 중소 교육서비스 조직인 A기관에 적용하여 성과컨설팅을 해나가면서 그 과정에서 파악된 보완점을 파악하였다. 문헌연구와 실제 모형 적용과정에서 나온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연구결과로서 국내 중소 교육서비스 조직에 적합한 성과향상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대상인 A기관은 경력단절 여성 및 취업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취업지원 및 커리어지원 사업을 상근인력 17명이 수행하고 있는 중소 교육서비스 조직이다. 현재 A기관은 최우수기관으로서 2년 연속 선정되었고 사업규모에 있어 지속적 성장을 이루어왔다. 따라서 A기관은 ‘무엇이 문제인가?’ 가 아니라 ‘앞으로도 성과를 창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에 대한 성과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는 과거 문제 해결 중심의 성과향상보다는 기회 중심의 긍정적 접근을 통해 해당 조직의 강점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성과향상을 위한 변화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접근을 의미한다. 체제적이고 총체적으로 성과를 다루기 위해 수행공학 프로세스에 따라 성과분석을 실시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성과향상을 위한 성과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A기관은 재정안정성 확보가 조직을 지속가능하게 하며 모든 것의 기초가 되는 결과(result)로 나타났다. 재정안정성 확보는 A기관과 같은 여성인력개발센터의 주요 문제로서 계속해서 지적되어 왔으나 관련 이해관계자(예, 정부부처, 지방자치단체)와 자체 해결방안 마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재정안정성 확보는 A기관이 앞으로도 존속하느냐에 결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정안정성 확보라는 결과에 초점을 두고 전반적인 성과분석을 실시하였다. ISPI모형의 개선점으로 성과분석의 중복된 활동과 이에 따라 성과분석을 한 결과, 조직분석에서 비전이 새롭게 수립되어야 했고 이를 해당 조직의 과거 성공경험들에 있어 핵심성공요인과 모든 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의 강점들을 분석하여 5년 후 비전을 수립하고 재정안정성 확보를 위해 A기관이 관련 부처의 지원뿐 아니라 자체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한 교육프로그램을 유사 기관들과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이 모든 활동의 중심이고 대부분의 중소조직이 그러하듯 유일한 자원인 인적자원을 위한 성과중심의 체계적 직원육성 체계를 수립함으로써 이번에 실행한 변화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형성평가의 절차적 토대에 기초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제고하고 적용범위를 확대하면서 일반화를 추구하는 질적 연구방법으로(이영민, 남정권, 조형정, 이수영, 2011)서 형성적 연구방법(formative research)을 통해 국내 중소조직의 맥락에 적합한 수행공학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로 ISPI모형의 순차적 접근을 래피드 프로토타입핑(Rapid Prototyping, RP)접근으로 수정하였다. 수정모형은 성과분석, 성과시스템 설계 및 구축 그리고 실행 및 피드백 3단계로 성과향상을 위한 접근을 해나가는데 있어 동시에 여러 단계가 진행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성과분석 단계는 기존의 복잡하고 중복된 활동으로 인해 효율적이지 못하였던 성과분석을 통합된 Tosti의 Organizational SCAN 모형을 도구로 사용함으로써 성과를 해부하되 효율적이고 체제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A기관에 약1개월 동안 인터뷰와 관찰방법을 동원하여 Tosti 모형으로 성과 분석한 결과 ISPI모형의 성과분석에서 진행해야 할 조직, 환경 및 차이분석뿐 아니라 원인분석까지를 한 단계로 진행할 수 있었다. 셋째, 다양한 성과이슈 중 우선순위를 결정함에 있어 Langdon(1997)이 제시한 성과 상태 변화를 위한 성과분류 틀을 활용하여 기존의 성과 상태를 재확인하고 정확한 성과변화 방향을 결정할 수 있었다. 성과분석 결과를 성과분류 틀에 따라 분석한 결과, 성과 수립, 향상 그리고 유지해야 하는 각 1개씩의 성과이슈가 도출되었다. 성과를 새롭게 수립해야 하는 것으로, 시기가 지난 비전의 신규 수립이 선정되었다. 이는 조직의 현재 성과가 목표를 지속적으로 달성해왔다는 점에서 문제 해결이 아닌 긍정적 탐구(Appreciative Inquiry, AI)를 통한 비전 체계 개발이 적절하였다. 다음으로 향상시켜야 할 성과로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일반참가자 비율 향상을 위해 기존 프로그램 개선이 요구되어 신규 설계 및 개발을 래피드 프로토타입핑 접근을 통해 짧은 기간 내 개발을 완료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성과 유지 측면에서 필요한 해결책은 성과의 추축인 A기관 구성원들에 대한 체계적 육성계획 수립 및 실행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성과중심의 실질적 육성체계를 수립하고 육성이 필요한 역량 중 일부는 교육을 통해 역량강화를 시도하였다. 넷째, A기관을 대상으로 한 수행공학 접근방법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건이 갖추어져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성공적 파트너링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개방성이 실행되어야 한다. 해당 조직은 자료공개 및 오픈마인드가 필요하고 성과 컨설턴트는 조직의 지원군으로서 전문자료와 지식을 그 조직에 맞추어 제공해야 한다. 다음은 존중으로, 언행일치와 배려가 중요한 실천전략이 되었다. 즉, 해당 조직이 성과 컨설턴트를 인간으로서 그리고 전문가로서 신뢰할 수 있도록 정직함과 조직 구성원들에 대한 배려를 행동으로 보여주어야 한다. 마지막 권한공유는 현실적 기대를 고객이 갖도록 돕고 서로의 역할과 책임을 공감하고 함께 해나가야 한다. 또한 성과컨설턴트는 항상 해당 조직 구성원들 역할의 중요성을 잊지 말고 모든 해결책은 그들에게 있음을 되새겨야 한다. 한편,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지닌다. 첫째, ISPI모형을 본 연구에서는 한 기관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합성 향상을 위한 수정작업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이 수정 모형은 일반화 측면에서 해석해서는 안 된다. ISPI모형은 일반 모형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특정 조직맥락인 국내 교육서비스 조직이라는 하나의 기관을 대상으로 해당 기관맥락에 초점을 두고 모형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는 연구의 목적 자체가 연구결과로서 도출된 수정모형이 다양한 조직에서 일반화될 수 있도록 만드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다. 조직맥락의 특수성을 반영한 성과향상 모형을 구축해 나가는 것이 목적으로서, 본 연구를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유사한 조직 맥락에서 수정모형을 타당화해 나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비즈니스 성과 수준에 대한 고려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수행공학 접근에 있어 환경과의 상호작용 측면에서의 성과향상을 위한 변화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셋째, CBI(Critical Business Issue)기반 성과분석을 함으로써 고객 요구중심의 성과분석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결과중심이어야 하는 수행공학 접근이 고객의 요구를 해결해 나가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를 기울여서 사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위해 다음을 제언한다. 첫째, 다양한 장면에 있는 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그 맥락과 조건에 부합하는 성과향상 모형들에 대한 검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에 맞는 다양한 성과향상 모형들의 대안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국내 대다수의 중소기업이 제한된 인력과 적은 예산으로도 조직의 경쟁력 확보가 가능해질 것이다. 둘째, 성과컨설팅을 통해 기대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론 및 실제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성과향상 활동을 진행함에 있어 전문가 그룹과의 네트워크 구축 또는 전문가 패널을 통해 지속적 자문을 구하는 방식이 동원된다면 성과향상활동의 궁극적 목표인 해당 조직을 고성과 시스템(high performance system)으로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성과컨설팅을 진행할 대상 조직 내 핵심 인력들과의 사전 지식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형태로 필요한 학습과 적용을 위한 준비활동은 기대하는 결과 달성을 위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수행공학뿐 아니라 성과컨설팅에 사용될 수 있는 모형, 도구 등에 대해 사전 학습을 함으로써, 조직에 맞는 모형, 도구를 설계하는데 현장을 가장 잘 아는 내부인의 참여하여 이후 성과향상 모형의 실효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학제적 기반을 가진 수행공학 접근이 지닌 강점으로서 도구나 방법에 있어 개방적이고 절충적 특성이 실행에서 반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식기반과 경험을 갖춘 성과컨설턴트들로 팀을 구성하여 성과향상을 위한 컨설팅을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겠다.

      • 세로셈 알고리즘 표기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박경연 부산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담당 선생님을 대상으로 2009개정 교육과정 3학년 2학기 곱셈단원의 세로셈 알고리즘 표기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지를 통해 교사들의 생각을 알아보았고, 그 내용을 분석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곱셈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고, 곱셈의 성질과 가로셈, 세로셈에 대한 선행 연구를 고찰 하였다. 또 5차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 변화로 세로셈 지도 내용이 변화한 과정을 살펴보았고, 일본교과서와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을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과정으로 연구 대상을 정하고, 교과서에 나와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6개의 설문 문항을 구성해, 그 설문 내용을 분석해보았다. Ⅳ장에서는 설문 내용을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하고, 결과를 통해 교과서의 세로셈 학습에서 보완되어야 할 점들을 찾아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의 세로셈 알고리즘 이해에 도움이 될 다른 활동과 지도 내용이 추가 되어야 한다. 지도서에도 세로셈 알고리즘에 대한 정확한 설명과 학생들의 이해에 도움이 될 추가적인 활동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각 활동이 서로 연계성을 잃지 않도록 내용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이해하기 어려워 각 활동을 따로 학습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활동의 연계되는 부분이 좀 더 명확하게 표기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구성해야 한다. 셋째, 세로셈 알고리즘 학습 시 내용이 통일 될 수 있도록 지도서에 명확한 설명이 추가되어야 한다. 표준 알고리즘 제시 이유와 ‘0’이 생략되는 이유, 지도 방법 등을 교사들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그 지도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세로셈 알고리즘 학습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의 교과서는 학생들이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교사들이 지도하는데 설명이 부족해 학습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각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 노숙인의 노숙화 경로 연구 : 서울지역 노숙인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박경연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 개인을 노숙에 이르게 한 노숙화 경로 상의 사회적 배제의 요인과 그러한 사회적 배제의 환경에 대한 반배제적 실천방안을 찾아보고자 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 지역 노숙인 10명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10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왜 노숙에 이를 수밖에 없었는지 그들 자신의 생애사 속에서 노숙화 경로 상의 사회적 배제 요인을 탐구해 보았다. 이를 위해 실버(Silver, 1994)의 선행 연구에서 사람들이 배제당할 수 있다고 제시한 기준을 사용하여 생계로부터의 배제, 영구적인 고용으로부터의 배제, 주택으로부터의 배제, 소득으로부터의 배제, 교육으로부터의 배제, 복지국가가 제공하는 급여로부터의 배제, 시민권과 법 앞의 평등으로부터의 배제, 가족과 사교(sociability)로부터의 배제 등을 기준으로 연구참여자의 출생배경, 아동기, 청소년기, 장년기, 노년기의 생애사 단계별로 그들이 경험한 사회적 배제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노숙화 경로 분석에 따라서 본 연구자는 연구참여자의 노숙화 경로 원인을 주로 아동기의 불안정한 양육경험에서 찾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의 노숙화 경로 유형을 아동기의 방임 및 유기형과 아동학대형, 아동기의 정서적 침해형 그리고 단순빈곤유형으로 나누어 보았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1,2,3,7,8은 아동기의 방임 및 유기형으로, 연구참여자6,9는 아동학대형으로, 연구참여자4,5는 아동기의 정서적 침해형으로, 연구참여자10은 단순 빈곤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적 관점에서의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보호가 한 개인을 빈곤과 가족해체, 노숙이라는 극단의 결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방편이 될 수 있다는 중요성을 발견하였고 장년기의 노숙화 경로의 주된 원인인 실업의 예방을 위한 사회안전망의 강화가 매우 절실함을 확인하게 되었다. 한편 연구참여자들이 현재의 노숙상태에서 겪고 있는 가족관계에서의 사회적 배제, 노동시장에서의 사회적 배제, 사회복지적 차원의 사회적 배제, 경제적 차원의 사회적 배제, 정치적 차원의 사회적 배제는 한 차원의 배제가 또 다른 차원의 사회적 배제를 야기 시키며 서로 영향을 주며 얽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숙으로의 진입을 막기 위한 반배제적 실천 프로그램을 아동기의 보호, 청소년기의 보호, 장년기의 보호, 노년기의 보호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노숙 이후의 반배제적 실천 프로그램으로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 주거지원 사업, 재활프로그램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주요어: 노숙화 경로, 사회적 배제, 반배제적 실천 프로그램, 생애사 단계

      • Classical Guitar 音樂의 歷史的인 考察과 現代的 接近

        박경연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Guitar는 古代 그리스의 Kithara에서 出發하여 18世紀頃 오늘날의 6弦 Guitar가 完成되기에 이르렀는데 時代의 새로운 思潮에 밀려 衰退하는 危機를 맞이하기도 하였으나 Guitar音樂家들의 부단한 努力으로 現代에 이르러서는 獨奏樂器로써 뿐아니라 室內樂의 合奏 樂器로서 確固한 位置를 차지하면 藝術的 價値를 認定받기에 이르렀다. 한便 우리나라에서는 西洋의 기나긴 Guitar音樂 歷史에 比해 1940年代에 이르러서야 Guitar가 普及되기 始作하였는데 草創期에는 關聯資料의 不足과 認識 不足등을 包含한 諸般 事項의 問題點으로 因해 거의 白紙 狀態였으나 뜻있는 Guitar音樂家들의 끊임없는 硏究·努力에 의해 繼續的인 發展을 거듭하여 차즘 普及·擴大되기에 이르렀다. 그 後 80年代에 들어서며 스페인을 비롯한 外國에서 Guitar音樂을 專攻한 力量있는 Guitarist와 敎育家의 輩出은 Guitar音樂 發展에 좋은 契機를 마련하였다. 이와 함께 서울大學校, 서올市立大學校, 피어선大學, 牧園大學被.침례神學大學校와 서울藝術高等學校를 비롯하여 1993年 새로이 新設된 韓國藝術綜 合學校에서도 器樂科 內 Classic Guitar 專攻을 開設함으로써 Guitar에 對한 認識의 向上과 함께 質的인 水準을 높임으로써 專門化를 試圖하고 있다. 한便, 폭 넓은 演奏 活動과 더불어 定期 刊行物 및 樂譜 出版 寧業의 活性化로 Guitar에 對한 多樣한 情報를 接할 수 있는 契機를 마련하여 大衆들의 認識 變化를 가져오게 하였다. 뿐만아니라 各 大學 Cicle을 비롯한 여러 團體들에 依한 Ensemble의 擴大는 多樣한 種類의 Ensemble과 Cuitar Orchestra를 誕生시킴으로써 Guitar의 大衆化에 큰 役割을 擔當하였다. 더욱 發展的인 面으로 Guitar와 傳統 樂器인 國樂器와의 融合의 試圖를 들 수 있다. 이로써 Guitar 音樂은 西洋 樂器로써뿐 아니라 우리의 傳統 音樂에 그 脈絡을 같이하는 役割을 함으로써 우리의 情緖와 感情에 맞는 우리 나름대로의 Guitar 音樂으로 開發하여 나가게 되었다. 이로써 現在 우리나라에서는 그 어느때 보다도 Classic Guitar가 活性化 되어가고 있지만 本論에서 言及한 古代에서 現代에 이르기까지의 Classic Guitar音樂을 收用 發展시키기 爲한 우리의 課題로서 몇가지 提言을 할 수 있다. 첫째로, 作品的 側面에 있어 一般 音樂 作曲家들이 Guitar音樂에 보다 많은 關心을 가짐으로써 作品活動에 積極的으로 參與하여 作品의 多樣化를 가져와야 할 것이다. 둘째로, 樂器製作的 側面에 있어 製作家들의 革新的인 硏究와 開發이 隨行되어져야 할 것이다. 特히 器樂의 者樂的 價値는 樂器의 卓越한 音의 表現에 따른 것이라는 點을 勘案할 때 優秀한 性能과 音色을 지닌 樂器가 要望되어지는 것이다. 세째로, 敎育的 側面에 있어 旣存 音樂大學과 專門音樂學校에서 Guitar科를 폭넓게 開設함으로써 專門人을 育成시켜야 할 것이다. 네째로, 普及的 側面에 있어 빈번한 演奏 活動을 包含하여 T.V. Radio등 Masscom을 通한 普及과 함께 各種 Seminar의 活性化를 通해 多樣한 情報를 提供함으로써, 一般人의 興味와 關心을 高潮시키고 積極的인 參與를 誘導해 나가야 할 것이다. Guitar는 끊임없는 硏究를 거듭하여 現代에 이르렀지만 A.Segovia는 "아직도 우리들은 Guitar로 부터 Guitar가 갖고있는 모든것을 끌어낸 것은 아니다"라고 말함으로써 Guitar의 無限한 可能性을 提示하였는데, Guitar音樂은 創造的인며 革新的인 硏究를 通하여 21世紀에는 더욱 發展된 音樂世界의 接近을 期待할 수 있을 것이다.

      • 5~7세 아동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오감활용 미술활동 지도 방안 연구

        박경연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빠르게 변화하는 이 시대에는 더 이상 고정된 지식이 없다. 다양한 문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가치의 변화와 문화적 욕구를 수용하여 풍부한 지식과 정보의 경쟁력, 다양한 사고와 창의적 정서가 요구된다. 창의성 교육은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닌 유연한 사고로 다양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을 가르치는 것이다. 즉, 배우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아이들은 특정된 장소인 교실이 아닌 모든 장소나 공간에서도 스스로 탐색하며 배움을 터득하여야 한다.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은 표현, 다양한 체험, 감상 활동을 통하여 창의적으로 나타내며 미술 문화를 이해하고 발전시켜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교육과정에서도 어떻게 창의성을 향상할지 하는 창의적 미술교육에 비중이 크다. 그러나 현실적인 교육현장에서의 미술교육은 학교수업이나 성적을 위한 과목이라고 생각하거나 타고난 특정 사람들의 전공과목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의미와 창의적 미술 교육을 보다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오감 활동을 접목한 미술 활동을 통하여 아이들이 내포되어 있던 무한한 잠재력을 자연스럽게 표출하고 아이 스스로 감각을 자극하고 발달시키는 창의적인 미술지도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목표는 오감을 활용한 미술 활동을 통해 스스로 주체가 되어 흥미를 느끼며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탐색함으로써 감각 지각력과 상상력을 키워 창의적 표현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있다. 연구내용으로는 창의성 미술교육의 중요성과 오감을 통한 감각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5~7세 아이들에게 적합한 오감 미술 활동 지도안을 감각 별로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오감각의 자극을 통한 미술 활동 교육은 배움의 질과 가치를 향상하고 능동적인 활동교육의 접목으로 감성 지능을 향상해 앞으로의 교육을 더욱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발달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한국과 싱가포르의 수학교육 배경변인과 수학교과서 비교 : 분수와 수감각 영역을 중심으로

        박경연 建國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the result obtained from TIMSS and TIMSS-R that was sponsored by IEA, 8th grade students from Singapore and Korea have scored successively the first and the second place in Mathematics Achievement. However in comparison to Singapore, Korea appeared to be considerably weak in domains of 'Fractions and Number Sense'.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find out reasons for different achievement level between these two countr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below: 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system of Korea and Singapore? 2. How is it different for educational backgrounds in Singapore and Korea? 3.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content development of 'Fractions and Number Sense' in Mathematics textbooks between Korea and Singapore? In order to examine this matter closely, I studied educational system in these two countries, and educational background on the basis of data that I got from TIMSS. Moreover, I compared the contents of Mathematics textbooks. Lastly I also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 development of 'Fractions and Number Sense' that showed a wide difference in achievement level. A conclusion could be drawn as below: 1. Korea has simple educational system of 6-3-3, but on the other hand, Singapore educational system is 6-4(5)-2(3), rather complex and different from Korea. 2. There are differences in these areas: Index of Students Self-Concept in Mathematics(SCM), and attitude, Index of Teachers Confidence in Preparation to Teach Mathematics(CPTM) and prime office work and mathematics activities and methods. 3. In 'Fractions and Number Sense', there are differences in contents, period of introduction and method of content development in two countries mathematics textbooks. In addition, for Mathematics textbooks of Singapore, they have more diverse ways of attempting problems and these problems are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I hope that result obtained from this studies of educational system, education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extbooks, it could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