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암 특성병원 간호사의 건강보험 급여기준에 대한 인지 및 적용

        김순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암 특성병원 종양병동 간호사들의 건강보험 급여기준에 대한 인지 및 적용 정도를 확인하고 인지와 적용 정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6년 7월 31일부터 2006년 8월 11일까지였으며, 전남지역에 위치한 암 특성 병원에서 근무하는 295명의 간호사 중 외래, 수술실 등을 제외한 병동 간호사 196명 중 현재 종양병동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관련문헌 고찰과 보건복지부 고시 등을 토대로 연구자가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건강보험 급여기준 인지 20항목, 건강보험 급여기준 적용 20항목, 총 40항목으로 구성된 4점 평정척도이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전산통계처리 하였으며, 일반적 특성과 관련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변수의 특성에 따른 인지와 적용 정도의 차이검증은 t-test 또는 ANOVA로, 사후검증은 Scheffe's test를 하였다. 인지와 적용 정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건강보험 급여기준에 대한 인지점수는 80점 만점에 평균 56.30 점, 적용점수는 57.62점으로 중상수준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보험 급여기준에 대한 인지도는 35세 이상 군(F= 26.02, p= .001)과 기혼 군(t= 32.00, p= .001), 수간호사 군(F= 24.94, p= .001), 근무경력 10년 이상인 군(F=34.99, p= .001)에서 높았으며, 적용정도도 35세 이상 군(F= 14.61, p= .001)과 기혼 군(t= 13.97, p= .001), 수간호사 군(F= 10.50, p= .001), 근무경력 10년 이상인 군(F= 15.04, p= .001)에서 높았다. 그 밖에 특수병동보다는 내·외과병동 간호사 군(F= 7.63, p= .001)에서 적용 정도가 높았다. 3. 건강보험 급여기준 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보험 급여기준에 대한 인지도는 현재 근무하고 있는 병원의 진료비 삭감률이 높을 것이라고 응답한 군(F= 11.59, p= .001)과 진료비 심사실로부터 기록 누락이나 입력착오로 확인 연락 받은 적이 있는 군(F= 8.04, p= .005), 급여기준에 대한 교육에 참석하겠다는 군(F= 6.21, p= .003)에서 높았으며, 적용 정도는 현재 근무하고 있는 병원의 진료비 삭감률이 낮을 것이라고 응답한 군(F= 8.50, p= .001) 과 진료비 심사실로부터 기록 누락이나 입력착오로 확인 연락을 받은 적이 있는 군(F= 8.15, p= .005)에서 높았다. 4. 건강보험 급여기준에 대한 인지와 적용 정도 간에는 보통의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r= .691, p= .001). 결론적으로, 대상자들의 건강보험 급여기준에 대한 인지 및 적용 정도는 중상수준의 점수를 보였으나 70% 이상의 간호사들이 진료비 심사실로부터 기록 누락이나 입력 착오로 확인 연락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급여기준 인지를 높이기 위한 실제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대체적으로 근무경력이 짧은 일반 간호사군에서 인지 및 적용 정도가 낮았으므로 신입 간호사 오리엔테이션 때에 건강보험 급여기준 교육을 실시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아동의 폐구균 예방접종 실태 및 부모의 인식정도

        김순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 폐구균 예방접종과 관련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예방접종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을 포함한 질적 간호 및 폐구균 접종률을 향상시킴으로써 영ㆍ유아 질병 예방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7년 10월 1일부터 10월 26일까지 서울시내 병원, 보건소, 유치원, 놀이방, 어린이집 등을 방문하여 2개월에서 60개월의 자녀를 둔 부모 325명을 대상으로 36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 version 15.0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처리는 Factor Analysis, Chi-squar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 1. 대상 아동은 남아가 53.2%, 형제가 2명 이상인 경우는 60.9%이였으며 평균연령은 32.8개월, 부모가 맞벌이인 경우는 38.2%이었다. 2. 영ㆍ유아의 예방접종 장소는 개인의원이 51.1%로 가장 많았고, 보건소가 26.8%이었다. 예방접종 수첩은 81.5%가 꼭 가지고 가고, 99.1%가 계속 보관하고 있었다. 반드시 접종을 받아야 하는 기본 예방접종에 대해 90% 이상이 ‘그렇다’고 응답한 반면에 폐구균은 43.1%가 접종 받아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폐구균 접종률은 44.3%이었고, 생후 23개월 이전에 접종한 경우가 44.6% 이었다. 23개월 이전에 접종을 못한 이유는 33.8%가 ‘몰라서’였으며, 접종을 하지 않은 이유에도 23.4%가 ‘몰라서’라고 응답하였다. 폐구균 예방접종에 대한 정보는 55.4%가 의료인으로부터, 18.5%가 육아수첩을 통해서 얻었다. 폐구균 예방접종률 증가를 위해서는 ‘백신의 유용성에 대한 정보를 얻으면’이 50.8%로 가장 높았다. 3. 폐구균 예방접종에 대한 부모의 인식정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46±0.86으로 나타났다. 요인별 부모의 인식정도는 ‘백신에 대한 필요성 요인’과 ‘질병 위험성 요인’ 이 높았다. 4. 부모의 특성에 따른 예방접종 실태와 폐구균 접종에 대한 부모의 인식정도에 차이는 소득수준과 부모의 학력에 따라 접종장소에 차이( P < .01 )가 있었다. 또한 자녀수, 소득수준, 부모학력, 부모의 맞벌이 유무와 폐구균 접종률 간에 관련성( P < .05 )이 있었다. 부모의 인식정도에서는 자녀수, 소득수준,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 P < .05 )가 있었다. 5. 폐구균 예방접종에 대한 부모의 인식정도와 접종률과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 결론 :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면 아동들의 예방접종에 대한 기본 접종률은 비교적 높았으나 선택 접종인 폐구균 접종률은 아직 낮고 정보도 미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들의 예방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들의 백신 접종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간호사는 영·유아 감염성 질병예방에 관심을 갖고 교육과 상담의 다양한 중재를 통해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disease prevention in young children by identifying problems related to pneumococcus vaccination, providing correct information on vaccination by nurses and enhancing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Method: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a questionnaire composed of 36 questions. Study participants were 325 parents with 2~60?month?old children. Data collections were conducted in hospitals, health centers,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during the period from the 1st to 26th of October, 2007.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actor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15.0. Results: 1. Of the subject children, 53.2% were boys and 60.9% had two or more siblings. Their mean age was 32.8 months, and 38.2% of the parents were double?income couples. 2. The most common place of vaccinations for the children was private clinic (51.1%) and, next, health care center (26.8%). In addition, 81.5% carried the inoculation card when they went to have vaccination, and 99.1% kept the card continuously. As to basic vaccination required for children, 90% replied ‘Yes’ but only 43.1% replied ‘Yes’ to the necessity of vaccination for pneumococcus.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was 44.3%, and 44.6% had the inoculation before 23 months from birth. The most common reason for being unable to have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before 23 months was ‘Because I did not know about it’ (33.8%), and the reason for not having the vaccination was also ‘Because I did not know about it’ (23.4%). Information on vaccination for pneumococcus was obtained from health care providers (55.4%) or from the handbook for child-care (18.5%). As to how to increase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50.8% mentioned ‘If information on the usefulness of the vaccination is provided.’ 3. The mean score of parents’ perception of vaccination for pneumococcus was 3.46±0.86 out of 5. By factor, the score of parents’ perception was high for ‘the necessity of the vaccination’ and ‘the risk of the disease.’ 4. As to differences in the current state of vaccination and parents’ perception of pneumococcus vaccination according to parents’ characteristics, the place of vaccination was different in terms of income level and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P<.01). In addition,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was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children, income level,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whether the couple worked together (P<.05). Parents’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ren, income level and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P<.05). 5.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arents’ perception of vaccination for pneumococcus and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P=.000).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basic vaccination rate for children was relatively high, but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which is optional, was still low and relevant information was also not suffici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parents’ perception of vaccination for pneumococcus to enhance the pneumococcus vaccination rate among children. In addition, nurses need to pay attention to infectious diseases among children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children’s healthy growth.

      • 여성 목회자의 가족 관계 갈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순란 평택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와 가정생활이라는 이중의 책임을 감당하고 있는 여성 목회자들이 가족 관계 안에서 경험하는 갈등의 양상과 그 의미를 드 러내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여성 목회자가 가족 관계에서 겪는 갈등은 무엇인가? 여성 목회자는 가족 관계 갈등을 어떻게 극복하는가? 여성 목회자의 가족 관계 갈등 경험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등 세 가지의 연구 주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클랜디닌과 코넬리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기혼 여성 목회자들로 한정하였고, 가족 관계의 범위는 핵가족 내로 제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결혼 기간이 25년 이상이고 목 회 경력이 14년~28년에 이르는 세 명의 여성 목사들로서, 각각 부교역자, 담임 목회자, 특수 목회자이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5월 까지 6개월 동안 면담과 현장방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여성 목회자들의 가족 관계 갈등 경험에 대하여 연구 주제 별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목회자가 가족 관계에서 겪는 갈등은 목회자이기에 앞서 아 내이기를 원함, 엄마와 주부의 역할에 소홀해서는 안 됨, 아내 목회에 대 한 방관과 협력의 경계선에서 부부 관계 갈등이 발생하였고, 자녀들의 모 성 상실감, 목회자 자녀로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압박감의 굴레, 경계선의 부재로 인한 자유 박탈감, 엄마로서 제대로 돌보지 못했다는 죄책감을 경 험하면서 모-자녀 관계 갈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목회자가 가족 관계 갈등을 극복할 수 있었던 요인은 부부 관계에서 가정에서의 남편 존중, 의사소통의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개선, 사역에 협력 강요 않기 등이었고, 모-자녀 관계에서는 자녀들을 평범한 가정의 자녀로 보기, 물리적 심리적 경계선을 세워주기, 목회자 가정이 가 질 수 있는 영적 성장과 훈련의 기회 극대화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 ii - 셋째, 여성 목회자의 가족 관계 갈등 경험은 개인적인 측면에서 소명의 재확인, 훈련과 성숙의 기회, 공감 능력의 증대라는 의미가 있었고, 가정적 인 측면에서 가족 간 동역자 의식의 증가, 자녀들을 깊이 이해하는 계기, 가족 유대감이 증가하는 의미가 있었으며, 사역적인 측면에서는 목회의 즐 거움 증가, 목회 자원의 풍부, 여성 목회자로서의 사명감이 확고해지는 의 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여성 목회자들은 가족 관계 갈등 과 정에서 일반적인 가정의 기능을 회복함으로 갈등을 극복해 감과 동시에 목회자 가정이 지닌 장점을 극대화함으로써 목회자 가정의 유대감과 동역 자 의식을 공유해가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여성 목회자들은 갈등을 극 복하는 경험을 통해 목회자로서의 소명을 재확인하고 성숙을 이루며, 더욱 풍부한 목회 자원을 소유한 목회자로 성장해 가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결혼만족도와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순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 결혼만족도, 행복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결혼만족도와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가 결혼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결혼만족도와 행복감 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21년 7월 5일부터 8월 6일까지 서울, 수원, 평택, 당진, 서산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의 아버지 518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 측정도구는 Block과 Kremen(1996)의 도구를 유성경과 심혜원(2002)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둘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측정도구는 Barnes와 Olson(1982)이 개발한 도구를 고희선(201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양육참여 측정도구는 최경순(1992)의 도구를 서수진(2017)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넷째, 결혼만족도 측정도구는 Olson 등(1982)이 개발한 도구를 한국 상황에 맞게 개발한 고정자·김갑숙(2000)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다섯째, 행복감 측정도구는 Ryff(1989)가 개발한 도구를 한국판으로 번안한 김명소·김혜원·차경호(200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여섯째, 양육효능감 측정도구는 Gibaud-Wallston과 Wandersman(1978)이 개발하고 신숙재(1997)가 번안한 후 오미연(2005)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 24.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신뢰도(Cronbach’s α) 검사를 실시하여 측정문항의 예측 가능성과 정확성 등을 확인하였다.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 결혼만족도, 행복감,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측정문항과 잠재변인 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모형적합도, 개념타당도,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결혼만족도와 행복감의 매개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양육참여는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이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는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는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으로 가는 경로에서 결혼만족도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아탄력성,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으로 가는 경로에서 행복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양육효능감으로 가는 경로에서 행복감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 양육효능감 변수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아버지의 행복감이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를 기초로 아버지의 건강한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효율적 의사소통, 적극적 양육참여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므로 아버지 자신의 지속적 성찰은 물론, 배우자의 배려와 유아교육기관의 교육적인 지원이 주어진다면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아버지의 행복감이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매개변인임을 밝혀냄으로써 개인적으로 행복하고 만족한 인생을 영위한다고 느끼는 아버지의 심리상태가 자녀양육에 있어서도 유능한 아버지라는 자신감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한 데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ing particip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on parenting effectiveness among father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 research questions are threefold.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on parenting effectiveness among fathers with young children?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among fathers with young children?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relation to the effects of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on parenting effectiveness among fa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study surveyed 518 fathers of infants who were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do (Suwon, Pyeongtaek) and Chungcheongnam-do (Dangjin, Seosan) from July 5 to August 6, 2021. The measurement tool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on parenting effectiveness are as follows. First, a measurement tool used for measuring self-elasticity was developed by Block and Kremen (1996), which was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Yoo and Shim (2002). Second, in order to measure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researcher used a tool developed by Barnes and Olson (1982), which was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o (2010). Third, to measure parenting participation, the researcher employed a tool created by Choi Kyung-soon (1992), which was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Seo 2017). Fourth, to measure marital satisfaction, the researcher employed a tool developed by Olson et al. (1982), which was later modified to fit Korean situations by Go et al. (2000). Fifth, to measure happiness, the researcher employed a tool developed by Ryff (1989), which was later converted into a Korean version by Kim Myung-so et al. (2001) to fit the Korean context. Lastly, a measurement tool used for measuring parenting effectiveness was developed by Gibaund-Wallston and Wandersman (1978), which was modified and adapted by Shin (1997) and further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Oh (200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 24.0 and AMOS 24.0.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 reliability (Cronbach's α)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predictability and accuracy of the measurement items. In order to analyze the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Model suitability, conceptual validity,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confirm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etween measurement questions and latent variables. In addition, AMO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on the relationship of the effects of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on parenting effectiveness among fathers with young children.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bootstrapping was used. The summary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silience and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renting effectiveness, but parent-child communic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arenting effectiveness. Second, self-elasticity among fathers with young childre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marital satisfaction, but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happiness. Third, marriage satisfaction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of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to parenting effectiveness, but happiness was partially mediated along the path of self-elasticity and parenting participation to parenting effectiveness, and happiness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is study,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of father's ego resilience,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were confirmed. It was found that father's happiness acts as an important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resilience,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Based on this, father's healthy ego resilience, effective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ctive parenting participation ar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fathers' parenting efficacy. Therefore, if the father's self-reflection as well as the consideration of the spouse and the educational suppor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re given, it will help to enhance the father's sense of parenting efficacy. Also, father's happiness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affecting parenting efficac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state of fathers who feel that they are personally leading a happy and satisfactory life affects their confidence as a competent father in raising young children.

      • 아동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중년남성의 자아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순란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중년남성의 자아인식에 대해 현상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중년남성은 가정폭력의 주 가해자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1997년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가정폭력법) 이전 아동기를 보낸 중년남성이 경험한 아동기 가정폭력 경험이 주 가해자로 나타난 현상에 대해 폭력을 바라보는 자아인식에서 오는 다른 이면을 갖고 있는 현상은 어떠한지 살펴봄으로써, 가정폭력법에서 추구하는 가정회복의 관점에 피해자를 지원하는 것은 주 가해자를 이해하고 함께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로는 40~60대를 중년으로 정의하고 가정폭력으로 법원 상담위탁 처분자 3인과 가정폭력 경험이 있고 가정 문제를 겪은 2인,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4인으로 중년남성 9명을 선정했다. 연구 방법은 Amedeo Giorgi의 ‘심리학적 현상학’이다. ‘심리학적 현상학’은 연구 참여자의 심리를 파악하기에 적합한 체험 본질구조에 중점을 둔 ‘반성과 자유 변경의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Giorgi의 심리학적 현상학은 연구 참여자의 체험을 중심으로 심리적인 부분을 잘 나타내고 현상과 이면을 함께 연구하기에 적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자료수집은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8월30일까지 약 8개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접자료, 상담일지, 메모 등 보조적 참여 관찰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가 제시한 4단계의 심리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질적 분석의 절차를 따랐다. 연구 결과로는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Giorgi가 제시한 4단계의 분석 절차 방법에 따라서, 5개의 범주에 13개의 의미구성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13개의 의미구성 요소에는 56개의 하위 의미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56개의 하위 의미구성 요소는 203개의 의미단위로 세분화하였다. 첫 번째의 범주로 중년남성이 갖는 폭력경험 인식으로 ‘폭력경험은 어떻게 인식되어 있는가?’에는 3개의 의미구성 요소와 15개의 하위 의미구성 요소이며, 아동기 폭력경험 인식은 중년남성에게 부정적 기억으로 인식되어 있다. 이로인해 자신이 생활하는 일상에 내재 된 두려움으로 나타나기도 하였고 어른인 척 행동해야 했다. 폭력경험의 대부분은 신체폭력 경험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가정 내에서 폭력이 일어날 때 도움받을 수 있거나 중단할 수 있는 법적인 제재가 없었다. 두 번째 범주는 중년남성이 갖는 폭력인식에서 습득된 폭력은 어떠한 현상을 갖는가로 ‘폭력의 습득이 주는 폭력 현상’이다. 여기에 포함된 현상으로 3개의 의미구성 요소와 10개의 하위 의미구성 요소이며, 자신 또한 일상적인 폭력을 하였고 강압적인 눈짓이나 자신보다 약자인 아내나 자녀에게 폭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범주로는 중년남성은 어떠한 눈으로 바라보는가의 과정으로 ‘폭력을 바라보는 시선’이며, 여기에는 3개의 의미구성 요소와 13개인 하위 의미구성 요소이다. 중년남성은 폭력에 대해 회피로 대응하는 모습과 술 탓이라 말하고, 자신 또한 피해자로 바라보았다. 가족에게는 친밀한 관계에서 아내와 자식을 가르치기 위한 훈계라고 생각하고 욱하는 성질과 남자는 원래 말보다는 행동하는 것이 남자다움이라고 표현하였다. 네 번째 범주는 중년이 되어 자신을 바라보는 ‘자신에 대한 애착’ 과정으로 2개의 의미구성 요소와 8개의 하위 의미구성 요소이다. 중년이 되니 자신에 대해 새롭게 인식되어지는 것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어릴 적 자신을 때리던 아버지도 이해가 되고 또한, 자신도 가족을 힘들게 한 것에 후회가 되었다. 좀 더 능력 있는 사람이 되고 싶었지만 자신 또한 어릴 적 폭력경험으로 자신감 없이 살아왔고 감정표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호소한다. 마지막 범주인 다섯 번째는 중년남성은 어떤 삶의 인식을 갖고 살아가는가로 ‘자신에 대한 성찰’이다. 여기에는 2개의 의미구성 요소와 10개 하위의미구성 요소로 중년이 되었지만 ‘아빠’라고 부를 수 있었던 사람이 있었고 자신을 ‘아빠’라고 불러주는 가족이 생겼다. 인정받고 싶었고 일에 몰두하다 보니 가족을 소홀하게 되어 가족과의 추억도 많지 않다. 혼자 남겨지게 되는 것은 아닌지 두렵고 외롭다. 관계 맺는 데에 어려움을 가지고 살아왔기에 이제는 혼자서 자유롭게 살고 싶은 욕구도 있다. 그렇지만 역시나 가족과 집밥 먹으면서 사는 소소한 일상을 살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중년남성이 갖는 자아인식을 심리적 현상학으로 분석함으로써 주 가해자인 중년남성의 관점을 공감적으로 기술하였다. 둘째, 가정폭력법이 제정되기 전 아동기를 보낸 중년남성의 아동기 가정폭력 경험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셋째, 가정폭력 주 가해자인 중년남성 또한 주 가해자이면서 보호받지 못한 아동기 폭력피해자임을 제시하였다. 넷째, 가정회복을 위한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 함께 주 가해자를 보다 공감적으로 이해하고 지원하는 것이 병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가해자인 중년남성의 심리와 가정폭력 본질의 구조를 탐색함으로써 자기이해를 통해 중년남성이 치유적 경험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밝혔다. 여섯째, 가정회복을 위한 가족구성원 모두의 치유는 불가분의 관계로 사회적 접근과 함께 종교적, 철학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가정이 폭력으로부터 회복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사회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 중학교 수학학습용 게임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김순란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의 학습 방법에서 학생들은 높은 수학불안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다양한 교수방법의 시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을 도입한 교수방법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게임은 교수학습에 도입하기에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준비학습의 부담이 적다. 둘째, 많은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있다. 셋째, 특별한 시설이 없어도 언제든지 학습자가 반복할 수 있다. 넷째, 기존의 관습이나 일반적인 지식과 관련되어 있어 학습자가 친숙함을 느낀다. 따라서 게임은 수학의 교수방법으로 기존의 지필 방식 보다 뛰어난 효과를 발휘 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중등학교의 경우 교과 내용과 관련하여 개발된 게임이 많지 않고, 지필수업에 대한 보상 측면에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연구는 중학교 수학 교과 내용과 관련하여 학습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게임을 개발하고, 수업에 도입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Students feel serious anxiety in math by the existing learning methods. Therefore, various teaching method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need to be attempted. This study is aimed at trying a new teaching method using games. For teaching and learning, games have advantages like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little burden in doing preparation. Second, many learners are interested in games. Third, learners can repeat at any time without special equipment. Fourth, learners feel comfortable with games because they are related to the existing customs or general knowledge.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games will have an excellent effect as a teaching method of math, compared with the existing paper study. However, regarding middle school education, only a few games have been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content, and games are mostly used by way of compensation for paper study.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games that improve learning efficiency in connection with middle school math content and introducing them into school lessons.

      • 동요를 활용한 협력적 신체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순란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동요를 활용한 협력적 신체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동요를 활용한 협력적 신체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동요를 활용한 협력적 신체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시흥시 J동에 소재한 S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20명(실험집단 20명)과 C어린이집 만 5세반 유아 20명(비교집단 20명)을 실험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동요를 활용한 협력적 신체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은 동일한 동요 부르기 활동만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2017년 10월 17일부터 2017년 12월 9일까지 8주 동안 주 2회 한 회기 당 각 40분씩 총 16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연구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을 바탕으로 총 20곡의 동요를 선정한 후, 유아교육 교수 1인과 7년 교사경력을 지닌 유아교육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1인 및 유아교사 경력 5년 이상의 현장교사 3인의 내용타당도 확인과정을 거쳐 최종 8곡의 동요곡을 선정하고 이를 활용한 협력적 신체활동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 음악적 표현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검사도구는 John W. Lorton, Bertha L.Waley(1979)가 『Recording Skil Development the Music』에서 제시한 총 89문항의 음악발달검사를 최영숙(1982)이 번안하고 김광자(2004)가 수정⋅보안한 음악적 표현능력 검사 도구이며, 유아 친사회적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검사도구는 김영옥(2003)이 개발하고 윤경선과 김경옥(2006)의 연구에서 사용한 교사용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이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6.0 Win Program을 사용하여 사전·사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대응표본 t 검증을 통해 실험처치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고 각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요를 활용한 협력적 신체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동요 부르기 활동만을 경험한 비교집단 보다 음악적 표현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음악적 표현능력의 하위영역인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하기, 신체표현 하기, 음악 만들기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요를 활용한 협력적 신체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동요 부르기 활동만을 경험한 비교집단 보다 친사회적 행동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영역인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 주도적 배려, 접근시도하기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동요를 활용한 협력적 신체활동은 실험집단 만 5세 유아들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요를 활용한 협력적 신체활동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적용된다면,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using children's songs on the musical expres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s of five-year-old young children.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nfluence do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that use children's songs exercise on the musical expressiveness of five- year-old preschoolers? 2. What influence do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that use children's songs exercise on the prosocial behaviors of five- year-old preschool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five-year-olds from a daycare center(an experimental group of 20) in the cityof Siheung and 20 young children of the same western age from another daycare center(a control group of 20) in the same city. The preschool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using children's songs, and those of the control group just engaged in activities of singing the same children's songs that were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 was implemented during an eight-week period of time from October 17 to December 9, 2017, 16 times, twice a week, 40 minutes per session. This study was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order: a pilot study, a pretest, the experiment and a posttest. After 20 children's songs were selected based on earlier studies and relevant literatures,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 a Ph.D. student in early childhood with seven years of teaching career and three teachers with five years or mo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ience checked content validity, and then eight children's songs were finally selected.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were organized by using the songs.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 musical expressiveness of the young children was Kim(2004)'s Musical Expressiveness Inventory, which revised Choi(1982)'s adapted version of the 89-item Music Development Test that was presented by John W. Lorton and Bertha L. Waley(1979) in Recording Skill Development in Music.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their prosocial behaviors was the PBSYC that was developed by Kim(2003) and used in Yoon & Kim(2006)'s study. The data that were gathered through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by SPSS 16.0 for Windows.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were obtained, and t-test was used to determine how the activities of the experiment affected the musical expres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s of the preschoolers.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perienced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using the children's songs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usical expressivenes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experienced only the activities of singing the children's songs. The former activities were found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all the subfactors of musical expressiveness that were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expressing through the body and making music.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perienced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using the children's songs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rosocial behavior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experienced only the activities of singing the children's songs. The former activities were found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all the subfactors of prosocial behaviors that were leadership, helping, communication, sharing, empathy/emotional regulation, active caring and approach attempting. Whe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were synthesized, it illustrated that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which used the children's songs had positive impacts on the musical expres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s of the five-year-old preschoolers. Accordingly, it will improve young children's musical expres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s in an effective way if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that use children's songs are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a continual basis.

      • 얼굴자극그림검사(FSA)의 평가기준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순란 영남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얼굴자극그림(FSA)의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두가지 구체적인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FSA의 평가기준을 개발한다. 둘째, FSA 평가기준을 타당화한다. FSA 평가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S군 소재 일반초등학생 총 92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FSA 평가기준을 타당화하기 위하여, 정신지체학생 144명, 청각장애학생 152명, 일반초등학생 921명 중 240명을 무선추출하여 총 53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FSA 평가기준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평가자간 신뢰도와 평가자내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FSA 평가기준의 타당도는 구인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FSA의 평가기준을 개발하기 위하여 일반초등학생 921명의 FSA 자료를 토대로 총 180개문항의 예비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3차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36개 문항을 평가기준으로 선정하였다. 36개 평가기준의 내적일치도에 의한 신뢰도 계수는 정신지체는 Cronbach alpha=.898, 청각장애는 Cronbach alpha=.882, 일반초등은 Cronbach alpha =.773으로 나타났다. 평가자간 신뢰도는 A-B는 91.6%, B-C는 92%, C-A는 89.9%로 나타났다. 평가자내 신뢰도는 일차 평가 후 2주일이 지난 후 재평가하여 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97.8%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FSA 평가기준은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FSA 평가기준을 타당화하기 위하여, 36개 문항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코’ 와 ‘목’을 제외한 전체하위 요인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기준의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정신지체·청각장애·일반초등학생의 FSA 반응특성을 살펴본 결과 그림1에서는 총 19개 전 하위요인에서 학생 유형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그림2에서는 총 17개 전 하위요인에서 학생 유형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요인들이 정신지체&#12539;청각장애&#12539;일반초등 집단을 잘 구분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그림1과 그림2 각각의 평가기준을 판별요인으로 하고, 학생 유형별 집단을 분류변인으로 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신지체·청각장애 집단의 전체 판별력은 그림1에서 80.1%, 그림2에서 78.0%이었으며, 정신지체·일반초등 집단의 전체 판별력은 그림1에서 87.5%, 그림2에서 89.1%였으며, 청각장애·일반초등 집단의 전체 판별력은 그림1에서 74.7%, 그림2에서 73.7%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FSA 평가기준은 비장애집단과 장애집단 간을 변별해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FSA 평가기준은 장애아동의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보조적 진단도구로써의 가치가 타당화 검증을 통해 확인되었다고 볼 수 있다. FSA는 아직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지 않은 시작단계에 있으며 자료의 부족으로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한계점이 있으나, 본 연구는 FSA라는 새로운 투사기법을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FSA 반응특성을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장애아동의 인지 능력을 진단하는 도구로써 FSA 평가기준의 타당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평가기준은 선행연구와는 달리 채점체계를 0점에서 최대 2점까지로 단순화하여 객관성을 높임으로써 일반인들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is to develop an evaluation standard of FSA(Face Stimulus Assessment), and to validate the evaluation standard. 921 norm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 Gun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order to develop the evaluation standard of FSA. And 144 mentally-retard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152 hearing-impair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40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mpled randomly among the 921 students were selected so as to validate the evaluation standard of FSA. The data materials were analyzed by SPSS(ver.12.0 for Windows). And the specific analysis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bove were as follows: calculation of Cronbach's α to find out the reliability of the FSA evaluation standard, calculation of inter-rater reliability and intra-rater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validity of FSA evaluation stand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180 preliminary evaluation questions were made out, based on the FSA materials of the 921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develop FSA evaluation standard. And then, the 36 questions were arranged finally as the evaluation standard by way of three times' confirmation of content validity. The reliability coefficient b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36 evaluation standards is as follows; mentally-retarded students(Cronbach alpha=.898), hearing-impaired students(Cronbach alpha=.882), normal students(Cronbach alpha =.773). In view of inter-rater reliability, A-B is 91.6%, B-C is 92%, C-A is 89.9%. Intra-rater validity, after the reevaluation in two weeks after the first evaluation, is shown highly(97.8%). It means that the reliability of FSA evaluation standards was secured. In order to validate the FSA evaluation standard,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by way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36 questions. As the resul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ship in the sub-factors excluding 'nose' and 'neck'. In order to confirm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FSA evaluation standard, the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mentally-retarded·hearing-impaired·normal elementary school student is examined out. As the result, Picture 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students in all the 19 sub-factors. And Picture 2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students in all the 17 sub-factors. The discriminan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whether these factors differenciate well between mentally-retarded·hearing-impaired·norm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making each evaluation standard of Picture 1 and Picture 2 as the discriminant factor, and by making the students' group by types as the grouping variab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overall discriminant power of mentally-retarded·hearing-impaired group was 80.1%(Picture 1), 78.0%(Picture 2). The overall discriminant power of mentally-retarded·normal elementary group was 87.5%(Picture 1), 78.0%(Picture 2). The overall discriminant power of hearing-impaired·normal students group was 74.7%(Picture 1), 73.7%(Picture 2). It means that the FSA evaluation standard developed in this study is able to discriminate between nonhandicapped group and handicapped group. In conclusion, it is certain that the FSA evaluation standard have a value of a supportive tool to evaluate the cognitive abilities of the handicapped children. FSA is in its beginning stages which need further confirmations, and it is not fully discussed due to the shortage of its relevant research materials. Howev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introduces FSA, the new projective drawing test, first in Korea, and in that it examines out the validity of FAS evaluation standard as a tool to diagnose the cognitive abilities of the handicapped students by presenting the FSA responsive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of nonhandicapped and handicapped students. The scoring system in this evaluation standard is simplified into the range of a minimum score of zero to a maximum score of 2, unlike the scoring systems of the preceeding studies. It enables to heighten the reliability and the objectivity of this evaluation standard. And thus, art therapists, even if they are not FSA professionals, who are interested in FSA also will able to use efficiently this scoring system or this evaluation standard.

      • 그룹게임을 통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 개념에 미치는 영향

        김순란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mathematical activities revolving around group games on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To this end, a mathematical activity program based on group game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four-year olds for 16 session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7 four-year olds, another set of 17 four-year olds was chosen to serve as the comparative group. Changes in terms of test score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is program were closely monitor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established. 1. Do mathematical activities based on group games influence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The results of tests which measured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numbers were analyzed and encoded using a SPSS 1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who participated in the mathematical activities revolving around group game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on their scores on tests which measured their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such activities. Second, these mathematical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reschoolers’ abilities with regards to such mathematical concepts as simple classification, multiple classification, object classification, serialization, notions of numbers, time flow and spatial notions. On the other hand, only slight differences were exhibited in terms of such concepts as patterns, measurements, and the notion of suspended time. 본 연구의 목적은 그룹게임을 통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그룹게임을 통한 수학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한 뒤 만 4세 유아에게 16회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실험집단 유아 17명과 통제집단 유아 17명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룹게임을 통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논문을 위해 유아들의 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수 개념 채점지로 채점한 결과를 SPSS 14.0에 코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그룹게임을 통한 수학 교육 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은 그렇지 않은 유아들보다 수학 개념 점수가 사전 검사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 개념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수학 관련 활동이 단순분류, 복합분류, 사물분류, 서열화, 수 개념, 흐르는 시간, 공간개념에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패턴, 측정, 정지된 시간 개념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