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서지도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성 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력 및 사회 기술에 미치는 사례연구

        김성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고기능 자폐성 장애 청소년에게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표현력과 사회 기술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부천시 B고등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고기능 자폐성 장애 청소년으로 낮은 자기표현과 사회 기술을 가지고 있다.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주 3회 각각 50분씩 실시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13년 3월 6일부터 2013년 4월 30일까지 총 20회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Rakos와 Schroeder(1979)에 의해 개발되어 변창진과 김성희(1980)이 우리의 문화적 배경에 맞게 재궁성한 자기표현 평정척도와, Gresharm과 Elliott(1990)이 개발하고, 김향지(1996)가 재구성한 사회성 기술 평정척도(SSRS)를 사전-사후에 나누어 실시하였고, 측정한 결과와 관찰지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독서지도 프로그램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첫째, 독서지도 프로그램 과정과 활동을 통해 자기표현력 점수가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둘째, 독서지도 프로그램 과정과 활동을 통해 감춰진 감정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고 자신의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생각, 느낌, 의견 등을 솔직하게 표현함으로, 자기표현력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셋째, 독서지도 프로그램 과정과 활동을 통해 자기표현력 하위영역인 내용적 자기표현력, 음성적 자기표현력, 체언적(비언어적) 자기표현력 점수가 향상되었다. 넷째, 독서지도 프로그램 과정과 활동을 통해 사회성 기술 점수가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다섯째, 독서지도 프로그램 과정과 활동을 통해 또래 관계 형성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여섯째, 독서지도 프로그램 과정과 활동을 통해 사회성 기술 하위영역인 자기주장, 협력, 자아통제의 사회성 기술 점수가 향상되었다. 이런 결과를 볼 때 독서지도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성 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력 및 사회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 reading guidanc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expressiveness and social skills of an adolescent with high-functional autistic disorder.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an adolescent with high-functional autistic disorder who received inclusive education at B high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Bucheon, Gyeonggi Province. He lagged behind in terms of self-expressiveness and social skills. A reading guidance program was provided for him three times a week, 50 minutes each.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20 times from March 6 to April 30, 2013.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Byeon Chang-jin and Kim Seong-hee(1980)'s Self-Expression Rating Scale was utilized, which rearranged Rakos and Schroeder(1979)'s Self-Expression Rating Scale to suit Korean culture. And Kim Hyang-ji(1996)'s Social Skills Rating Scale(SSRS) was employed, which was a rearranged version of Greharm and elliott(1990)'s SSRS. The instruments were utiliz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collected data that included an observational journal were analyzed. The following changes took place after the reading guidance program was provided: First, the boy showed a rise of scores in self-expressiveness after he participated in the reading guidance program. Second, the boy was able to unveil his hidden feelings and to express both of his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and opinions in a candid way after he participated in the reading guidance program. Thus, the program had good effects on his self-expressiveness. Third, the boy showed a rise of scores in the subfactors of self- expressiveness that were the content of self-expression, vocal self- expressiveness and nonlinguistic self-expressiveness after he participated in the reading guidance program. Fourth, the boy showed a rise of scores in social skills after he participated in the reading guidance program. Fifth, the reading guidanc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his peer relationship building. Sixth, he showed a rise of scores in the subfactors of social skills that were self-assertion, cooperation and self-control after h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reading guidance program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 expressiveness and social skills of the teen with high-functional autistic disorder.

      • 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결정요인 연구

        김성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age Determinants and Employment of the Disabled Kim, Seong H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ed group for the disabled and non-employed group to further study on what factors would classify these two groups, and find out what factors would determine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he wage of the hired disable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non-employed disabled. The existing advance studies had the analysis in the data form with the neglect in inter-relationship at the two stage in employment and wage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influenced on employment and wage determinants of the disabled, resulting in unable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non-employed disabled. In other words, by taking only the employed disabl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it had the analysis of the wage determinant factors without considering the error following the fact of employment to have the limitation of presenting only the fragmented result of two levels of employment and wage. Under the study, it applied and verified with the Heckman's 2-Stage Model to solve the heteroskedasticity phenomenon that may occur when applying the Regression Analysis(OLS) for the methodological problem and heighten the feasibility of the research model. For this purpose, the Probit Analysis was implemented on the issue of employment for the first stage, and the sample selection model was applied to implement the Regression Analysis(OLS) on the wage as the second stage. The characteristic variable of each disabled was structured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gender, age, marital status, receiving social welfare, head of household, and subjective class, and the personal capital characteristics was structured with education and occupational training while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was structured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disability type, degree of disability, chronic illness, help on ordinary living, and multiple disability. An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market, discrimination and residence area are included. The detailed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In order to find out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employment determination of the disabled as the first stage research issue, the Probit Analysis was implemented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disabl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tatistically noticeable showing was made for the employment determinants for gender, age, marital status, receiving social welfare, and head of household, and the human resource capital characteristics for education level while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degree of disability, chronic illness, and help on ordinary living. In other words, as for the male disabled (p<.001) to be younger (p<.001) and non-recipient disabled (p<.001), the head of household of the disabled (p<.001) has the higher possibility to land a job. And, the higher possibility was shown for the disabled with high education level (p<.05), the disabled with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o be better than average (p<.001), and the disabled with relatively minor level of disability (p<.001). Also, the higher possibility to land a job was shown for the disabled without chronic illness (p<.05) and the disabled not requiring help on ordinary living situation (p<.001). On the other hand, from the demographic factors, subjective class had no meaningful influence on the employment determinants of the disabled and, from the human resource capital factor, occupational training and disability type for disability factors, multiple-disability, and discrimination of characteristics in the labor market and residence area had no meaningful influence on the employment determinants of the disabled. In order to find out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wage determination of the disabled as the second stage research issue, the Regression Analysis (OLS) was implemented on the wage determinate with the subject of the disabled as classified as the employed disabled under the first stage(employ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variables that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the wage determinants were gender, age, marital status, receiving social welfare, head of household, and subjective class, and under the personnel capital characteristics, it was education level, and under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it was degree of disability, chronic illness, and help on ordinary living. In other words, the wage level was higher for the male disabled (p<.001) with younger age (p<.001), the married disabled (p<.001), and non-recipient disabled (p<.001). And, the wage level was higher for the head of household of the disabled (p<.001) and the middle to upper class disabled (p<.001) with the subjective class. For the case of the education level, the wage level was higher as the education level, tends to be higher (p<.001). And, the wage level for the disabled (p<.001) was higher for the disabled whose disability is relatively minor (p<.001), without chronic illness (p<.05) and not requiring any help on ordinary living. On the other hand, from the personnel capital factor, the occupational training did not have an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wage determinant, and from the disability factors, disability type and multiple disability did not have an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wage determinant, while, from the labor market factor, discrimination and residence area did not have an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wage determinant.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wage determinants under this research model with the Regression Analysis(OLS) result implemented only for the employed disabled, gender, marital status, 국문초록 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결정요인 연구 사회복지학과 김성희 지 도 교 수 정무성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취업집단과 비취업집단간의 특성을 파악하여 어떠한 요인이 이 두 집단을 구분짓게 하는지 파악하고,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장애인의 임금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어지는지를 비취업장애인의 특성까지 고려하여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장애인의 취업과 임금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이 취업과 임금이라는 두 단계에서 상호연계성이 무시된 채 각각 절단된 자료형태로 분석됨으로서 비취업장애인의 특성까지 고려되지 못하였다. 즉 취업장애인만을 분석대상으로 함으로서 취업여부에 따른 오차를 고려하지 않은 채 임금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취업과 임금 두 차원의 각각 분절된 결과만을 제시하였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법론적 문제점 즉 회귀분석(OLS) 적용시 발생할 수 있는 이분산성 현상을 해결하고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Heckman의 2단계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단계로 취업 여부에 대한 probit 분석을 실시하였고, 2단계로 표본선택모형(sample selection model)을 적용하여 임금에 대한 회귀분석(OLS)을 실시하였다. 장애인 개인의 특성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결혼상태, 기초수급 여부, 가구주 여부, 주관적 소속계층으로 구성되었고, 인적자본 특성은 학력, 직업훈련 여부로 구성되었으며, 장애특성은 주관적 건강상태, 장애유형, 장애정도, 만성질환 여부, 일상생활 도움정도, 중복장애 여부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노동시장 특성으로 차별여부, 주거지역이 포함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단계 연구문제인 장애인의 취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취업여부에 대한 probit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기초수급 여부, 가구주 여부가, 인적자본특성에서는 교육수준이, 장애특성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 장애정도, 만성질환 여부, 일상생활 도움정도가 취업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남성장애인이(p<.001), 연령이 적을수록(p<.001), 비수급장애인이 (p<.001), 가구주인 장애인이(p<.001) 취업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은 장애인이(p<.05),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장애인이(p<.001), 장애정도는 경증인 장애인이 취업할 가능성이 더 컸고(p<.001), 만성질환이 없는 장애인이(p<.05), 그리고 일상생활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애인이(p<.001) 취업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인구사회적 요인 중 주관적 소속계층, 인적자본 요인 중 직업훈련 여부, 장애요인 중 장애유형, 중복장애 여부 그리고 노동시장 요인의 차별여부와 주거지역은 장애인의 취업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단계 연구문제인 장애인의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1단계(취업 여부)에서 취업된 장애인으로 분류된 장애인을 대상으로 임금결정에 대한 회귀분석(OL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기초수급 여부, 가구주 여부, 주관적 소속계층이, 인적자본특성에서는 교육수준이, 장애특성에서는 장애정도, 만성질환 여부, 일상생활 도움정도가 임금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즉 남성장애인이(p<.001), 연령이 적을수록(p<.001), 기혼장애인이(p<.001), 비수급장애인(p<.001)이 임금수준이 더 높았고, 가구주인 장애인(p<.001), 주관적 소속계층이 중상층인 장애인(p<.001)의 임금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p<.001) 임금수준이 높았다. 그리고 장애정도가 경증이고(p<.001),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p<.05), 일상생활 도움이 필요하지 않은 장애인이(p<.001) 임금수준이 높았다. 반면 인적자본요인 중 직업훈련 여부, 장애요인 중 장애유형, 중복장애 여부, 노동시장요인 중 차별여부와 주거지역은 임금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모형에 의한 임금결정영향 요인 분석결과를 취업장애인만을 대상으로 실시한 OLS 분석결과와 비교해 보면, 성별, 결혼상태, 수급자 여부, 가구주 여부, 주관적 소속계층, 교육수준, 장애정도는 동일하게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나, 직업훈련 여부, 주거지역은 취업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한 OLS 분석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고,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여부, 일상생활 도움정도는 본 연구모형의 분석결과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나 두 분석결과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장애인이 취업되지 않은 이유를 고려하지 못한 채 취업장애인만을 대상으로 분석함으로써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의 취업정책 수립에 있어 취업장애인의 특성 이외에 취업하지 못한 장애인의 특성 즉,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못한 장애인의 특성까지 고려한 취업정책이 수립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주요어: 장애인, 취업, 임금, 프로빗 분석, 회귀분석(OLS), 헤크먼의 2단계

      •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와 가족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성희 서울시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우리사회는 산업화에 따른 결과로 인해 노동시장이 더욱 활성화되어짐에 따라서 자본주의의 발전과 여성 경제활동 인구의 증가 등 사회경제적 구조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특히 기혼여성의 사회적 지위 상승과 경제력향상에 따른 성별 갈등은 가족 내 부부권위와 의사결정, 가사노동의 역할분담에 대한 끊임없는 논란과 이혼율 증가 및 출산율 저하 등 사회변화의 결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가족유형이 형성하고 있다. 통계청의 2005년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여성의 51.1%가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이들 전체여성의 대부분이 결혼 후에도 계속해서 직업을 갖겠다는 의사표시를 하고 있는 반면, 같은 해에 우리 나라의 이혼 증가율이 국제적 평가에서 세계 1위, 조기이혼율의 증가 2005년 OECD 30개 국가 중 제2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여성의 경제활동에 대한 경제력과 가족의 변화가 상호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에 따른 가족의 변화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가족구조 및 관계에 관한 이론과 가족분야 연구 논문을 통해 가족의 의미를 재조명하여 현대 가족 내에서 가족의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다. 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가정 내 부부권위와 의사결정의 유형이 1970년에 부부공동형 47%, 자율형 25.3%, 남편우위형 24.6%, 부인우위형 3.1%로 아내의 의사결정율이 매우 낮았으나 1990년대는 부부공동형이 가장 많고, 부인우위형, 남편우위형, 자율형으로 가족 내 여성의 지위가 상당히 높아졌다. 그러나 주거문제 등 가정의 중요한 일을 결정할 때는 남편의 의견이 더 많이 반영되고 있다. 둘째, 자녀양육과 가사노동 역할분담에 관하여 우리나라 30-39세를 대상으로 설문 한 결과 11. 2%의 부부가 공평하게 가정 일을 분담하고 있다. 최근 국가공무원 중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이 2004년 71명에서 2008년 236명으로 3배 이상 증가하였다(인터넷 신문:파이낸셜뉴스). 셋째, 가족규모의 축소와 붕괴의 원인 중 하나가 이혼율 증가와 가족의 해체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조기 이혼율이 세계 2위이며 여성 취업의 증가에 따른 경제력 향상도 이혼의 주원인 중 하나이다. 2000년 외환위기 후 불황이 계속되자 경제문제로 인한 이혼상담이 급증했다. 아내의 학대로 인해 이혼을 호소하는 남편, 가족부양 등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가출한 남편을 상대로 이혼을 상담하는 아내도 많아졌다(인터넷:네이트지식). 넷째, 다양한 형태의 가족유형은 여성의 경제활동 및 이혼율 증가와 출산율의 저하와 같은 사회변화의 결과로 발생된다. 우리나라의 총 가구 중 1인 가구가 전체의 20.1%, 2인 가구 22.5%로 6년 전에 비해 1,2인 가구가 50%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최근 여성 경제활동의 증가는 전(前)산업사회에서 여성이 적극적으로 생산활동에 참여했던 것과는 그 특성이 다르다. 가족 생산적인 단위의 노동이었던 전(前)산업사회의 사회적분위기와 달리 여성이 남성과 동등하다고 보는 사회적 시각의 확산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조성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로 인해 비정형적인 가족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가족프로그램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선도하고 대응해 나가야 한다. 또한 정부가 최근 실제 주택보급률이 높은 이유로 통계에서 1인가구를 배제하기 때문이라며 보급률에 1인 가구도 포함 할 것을 공적으로 발표하였다. 가족의 이론적 관점에서 1인 가구, 비혈연가구를 가족으로 정의할 수 있을까? 핵가족의 범위를 명확히 구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Recently our society, according to activation of resultant labor market of industrialization, has caused social and economic change such as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and increase of feminine population in economic activities. Especially men and women conflicts followed in social position rise and economic power improvement of married women has caused a variety of family types due to social changes such as the change of authority and decision-making between husband and wife, endless debate of housework sharing and increasing divorce rate and low birth rate. According to the census of economic activities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51.1% of our country women are participating in the labor market. Most of these women continuously want to have a job even after getting married. But In the same year, the divorce increasing rate of our country is world’s No. 1. And increasing rate of early rising divorce shows world’s No.2 among OECD 30 countries in 2005. This shows a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power followed in economic activity of the woman and family type This research is to grasp the relationship change of the family type which follows in economic activity increase of the women. So through this research that is about existing family structure, family relationship theory and research thesis of family field, the meaning of family is re-examined , and the change of family type in modern family is deeply considered.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is research. First, among the decision-making style between husband and wife of our country in 1970, couple cooperation style occupied 47%, autonomous style 25.3%, husband predominant style 24.6%, wife predominant style 3.1%, it shows the decision-making ratio of the wife was lowest. But In the 1990s, couple cooperation style was most, the next is wife predominant style, husband predominant style and autonomous style respectively. It shows that the position of the woman within the family considerably came to be high. But when deciding important issues just like housing issues, the opinion of husband is mainly reflected. Second, a survey concerning the role sharing of childcare and housework about 30~39 year old people in our country shows that 11.2% of them has a fair share of housework. Recently the male suspended number for childcare increased from 71 in 2005 to 236 in 2008 more than 3 times.(Financial news on internet) Third, divorce ratio increase and dissolution of the family are also one of the reasons that cause the reduction of family size and family collapse. Recently the early rising divorce ratio in our country case is world’s no. 1, and one of the main reason of divorce is economic power followed in increase of feminine employment. According to continuous depression after foreign exchange crisis in 2000, the divorce consultation due to economic problem increased rapidly. And many husband appeals a divorce caused by cruelty of wife. Also the number of wife who consults a divorce against the husband leaving home to avoid oblige of family support came to be many.(Nate knowledge on internet) Fourth, variety of family types occurs with the result of social change, just like economic activity of woman, divorce ratio increase and delivery ratio decrease. In total household of our country, one person household occupied 20.1%, 2 person household 22.5%, 1~2 person household has increased 50% than 6 years ag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recently the increase of feminine economic activity has different attributes in comparison with the era of ante-industrial society when woman was actively involved in production activities. The diffusion of social viewpoint of man and woman equality is promoting the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the woman. This is different from social atmosphere of ante-industrial society of family unit labor. So it is necessary that a special family program to minimize non typical change of family which is caused by economic activity increase of woman must be preceded under national leading. Also the government is officially announcing that the house penetration will include one-person household. But because recently one person household is excluded from statistical data, the actual residential penetration ratio looks high. About whether one person household or non-kindred household can be defined as a family from theoretical viewpoint of family, the scope of nuclear family need to be clarified.

      • 미의 범주 확장과 아름다움의 발견 : <Desire for Beauty>연작을 중심으로

        김성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paper is a study on beauty which is most important in the work content of the researcher. The work, <Desire for Beauty> starts from discovery of beauty in the ugly objects. Ugly feelings are decided by personal experiences as well as shapes that objects have. Let's investigate this ugly things in detail. Then they have many cases which include beautiful elements. The researcher got to find these elements accidently and do the work to transform the elements. But the researcher had prejudice about beauty and ugly things and felt that there were insufficient things to explain the work while arranging the study on beauty. The researcher realized that there were logical errors which thought about the existing ugly things and beauty cannot sometimes explain in the process to give some validity to the beautiful elements which started from ugly things in the work. 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s, beauty was studied. Adding the contents which mentioned before, the reasons and questions that the researcher's standards about beauty were generated were concretely described. To study beauty more concretely, the beautifu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rough art history by age. First, it was divided into beauty of ancient times and the Middle Ages that the concept of beauty was appeared and established and the Renaissance, neoclassicism and today which reached the turning point to modern times. Exact proportion was the standard of beauty in ancient times. It was expressed through colors gotten by penetrating light stained glass in the Middle Ages. After that, it started to be searched by various styles and concepts. And the aesthetic category was extended today as it cannot be defined any more. The modern works which show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in my works were analyzed through the case studies. It investigated the works of fractal art which show the similar part sand whole parts or the same patterns and the ones of Fred Tomaselli. My works explained how the standard of beauty that I argue started and how the beauty is expressed in it. Also, the kaleidoscope and the principle that the researcher used to make the patterns and the process that image is made were minutely explained. And it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and materials in them and my works. Through the study on beauty like this, fragmentary thought which the researcher has had about beauty and ugly things can be extended and the method that can express the contents that the researcher will try to deliver by next works more effectively by solving the problems that the researcher has misunderstood. The developed art world will be expected by studying various materials and expression techniques. 본 논문은 연구자의 작품 내용에서 가장 중요한, 미에 대한 연구이다. 작품 <Desire for Beauty>는 추한 대상들 속에 있는 미의 발견에서 시작된다. 추하다는 감정은 대상들이 지닌 형태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경험으로 정해진 것이다. 그러나 추에도 미의 요소를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본인은 이러한 부분을 우연한 계기로 발견하게 되었고 그 요소를 변형시켜 작업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인은 미와 추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었으며, 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작품을 설명하기에 부족함을 느꼈다. 작품은 추로부터 시작된 미적 요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과정에서 기존의 추와 미에 대한 생각이 때로는 설명 할 수 없는 논리적 오류를 발생시키고 있음을 깨달았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를 연구하였다. 앞서 말한 내용에 덧붙여, 어린 시절에 경험한 내용으로 인한 본인의 미의 기준이 생겨난 이유와 의문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미술사를 통해 시대별로 미의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미의 개념이 등장하고 정립되었던 고대와 중세의 미, 그리고 근대로의 전환기에 있는 르네상스와 신고전주의, 현대를 구분하였다. 고대에는 정확한 비례가 미의 기준이었으며, 중세에는 종교적‧정신적 미의 범주가 확장되었다. 이후에는 다양한 형식과 개념으로 미를 탐구하기 시작하였고, 현대에 들어오면서 미의 범주는 더 이상 규정하기 어려울 만큼 확장되었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해 본인 작품에서 나타나는 패턴의 특징들을 보여주는 현대의 작품들은 분석하였다. 부분과 전체가 유사하거나 동일한 패턴을 보여주는 프랙탈 아트 작품들과 프레드 토마셀리의 작품을 살펴보았다. 본인의 작품에 대해서는 본인이 주장하는 미의 기준이 어떠한 계기로 시작되었으며, 작품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서술하였다. 또한 본인이 패턴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사용한 만화경과 원리,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과정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들과 본인 작품에서의 내용과 소재에 대해 비교분석함으로써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이렇게 미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그동안 미와 추에 관해 가지고 있었던 단편적인 생각을 확장시키고, 오해하고 있었던 문제들을 해결하여 향후 본인이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소재와 표현기법을 연구함으로써 발전된 예술세계를 기대한다.

      • 自然에 대한 感性적 色彩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성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硏究)는 주제로서의 자연을 영원한 정신적인 가치를 지닌 대상으로 보고 이를 단순화(單純化), 조형화(造型化) 시키기 위하여 공간 · 형 · 색 등의 조형언어로 표출시켜 채색화의 진채 작업을 통하여 현대적 조형작업을 이루고자 하였다. 자연의 질서와 본질을 본인만의 독창적인 색채언어(色彩言語)로 포착(捕捉)하여 근경 · 중경 · 원경의 자연의 정경을 변화 있는 구조공간으로 이루기 위해 색면(色而)으로 보아 채색하였고, 자연의 형태를 부분적으로 생략하거나 강조함으로써 새로운 자연적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또한 자연의 형상을 구체적이며 사실적, 혹은 심상적(心象的) 색채로 표현하며 긴장감과 현대적 조형감각(造型感覺)을 표출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작품을 제작하면서 재료와 운필(運筆)에 의해 변화되는 채색과의 우연성(偶然性)에 매료되어 집약적인 색채 표현을 하다보니 멀리 보이는 여유공간이 부족하여 아쉬움을 느끼기도 하였다. 색채의 변화를 통해 자연속에 내재되어 있는 본질적 이미지와 계절에 의해 변화되는 감성(感性)의 흐름을 통하여 자연을 자율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단순화와 변형에 국한 시키기 보다는 자연의 미를 고차원적인 심미안(審美眼)으로 바라보아 현대적인 형상성을 이루고 자연을 더욱 창조적인 효과를 표출시키기 위한 작품제작의 오랜 연구와 경험으로 앞으로 부단히 연구되어질 과제라 생각한다. This research is for the achievement of modem formative arts through the deep-color pigment that is represented by the formative languages such as space, shape, color to simplify and shape the theme of the nature that deserves eternal mind. The order and substance of the nature are colored on the side captured by the private and creative color-languages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 natural pathetic scene that is consisted of close-up, medium and perspective to variable structure-space And it was formed on the new natural image by emphasizing or omitting the structure of the nature. The configuration of the nature, therefore, could be represented by tension, modern sense of shape and concrete, virtual or imaginable colors. But making out this work, the lack of distant room has remained an issue from the deep-color pigment and fascinating fortuity in coloration changed by materials and brushing. To represent the nature more creatively and effectively the beauty of the nature, for modern configuration, shall be represented to high-dimensional aesthetic sense, defining the nature autonomously through the flow of sensibilities changed by the season and substantial image immanent in the nature by changeable colors, rather than to simplification and changeable image. Taking this work opportunity more attempts and researches could be accomp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