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보배의 졸업작품 「JOURNEY」 해설

        김보배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해 졸업 공연「JOURNEY」에서 발표된 자작곡 3곡의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각 곡의 창작배경, 형식을 설명하고 화성, 선율구조 및 편곡방법을 분석하여 작곡자의 작곡 의도와 음악적인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작품의 주제는 「JOURNEY」이다. 여행에서 얻은 경험과 단상을 소재로 곡을 창작하였다. 당시에 마주했던 바다, 거북이의 움직임과 모습 그리고 산 정상에 올라 바라본 구름의 모습을 음악으로 표현하고자 했으며 여행의 기억을 회상하는 수단으로 그것들을 활용하고자 한다. 졸업 연주를 위해 창작된 3곡의 악기 구성은 피아노, 드럼, 콘트라베이스, 색소폰 또는 보컬의 4중주(Quartet) 편성으로 연주하였다. 본론을 통하여 연주된 작품 3곡의 창작배경, 형식, 화성과 선율의 분석 및 음악적인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 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자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보배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자본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자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 자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자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자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를 위해 경상남도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0년 12월 22일부터 2021년 1월 22일까지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거한 최종 336부를 자료로 활용하였다. 교사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Block(1961, 1978)이 개발하고Klohen(1996)이 29개의 항목으로 재구성한 것을 박현진(1997)이 번안한 자아탄력성 척도(Ego-Rreilience Scale)를 사용하였다. 교사의 사회적 자본은 Hargreaves와 Fullan(2012)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선행연구(김동현, 2010; 김혜영, 2015; 송승숙, 2013; 장정윤, 2011; 허훈구, 2015)를 고찰하여 김지혜(2016)가 교사조직에 맞게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정척도(Bredekamp & Appie, 1986; Howers & Smith, 1995)에서 사용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관한 문항을 이정숙(2003)이 수정하고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검사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대한 차이 유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정, ANONA, 사후검정(Scheffe)을 진행하였으며, 요인 간의 상관관계 및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자본, 교사-영유아상호작용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아탄력성은 기관유형, 담당영유아연령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났고, 교사의 사회적 자본은 담당영유아연령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담당영유아연령, 최종학력, 전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교사의 담당영유아연령은 교사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자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3-5세를 담당하는 교사가 0-2세를 담당하는 교사에 비해 각 변인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자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는 모든 하위요인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자본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셋째,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자본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있어 많은 영향력을 미치며 사회적 자본보다 자아탄력성이 더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자본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며 교사가 가지고 있는 개인적이고 심리적인 특성인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서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자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서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자본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go-resilience, social capital,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explores the influence of the aforementioned factors on such interaction. This study se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does the general background of teachers affect their ego resilience, social capital,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go-resilience, social capital,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what relative influence do teachers' ego-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hav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December 22, 2020, to January 22, 2021 to 35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Gyeongsangnam-do, and a total of 336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as data. Ego-resilience was measured using the Ego 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Block (1961, 1978), reconstructed by Klohen(1996) with 29 items, and modified by Park(1997).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a scale for teachers adapted by Kim(2016) from previous research (Kim, 2010; Kim, 2015; Song, 2013; Jang, 2011; Heo, 2015) conducted based on Hargreaves and Fullan(2012).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measured by a scale developed by Lee(2003)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questionnaire on such interaction used as a rating scal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Bredekamp & Appie, 1986; Howers & Smith, 1995). SPSS 23.0 was used to process the collected data and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ool. The t-test, ANOVA, and post-test(Scheffe) were performed to verify whether the teachers' general background has an impac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xamined the correlation and relative influence between factor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based on the general background of teachers' ego resilience, social capital,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ego 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ypes of institution and the age of child that teachers are working with, and teacher’s social capita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 teacher's final education, and major. The age of chil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ego-resilience, social capital,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pecifically, teachers working with 3- to 5-year-old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each variable than those working with 0- to 2-year-old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ego-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factors,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ego-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the higher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teachers' ego-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greatly influence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ego-resilience had higher explanatory power than social capital. In summary, teachers' ego-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affect teacher-child interaction. This can be interpreted such that ego-resilience, one of the teachers’ pers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as high explanatory power i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eacher's ego-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affecte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discussed ways to increase their ego-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to enhance such interaction.

      • 신체 이미지에 따른 주얼리디자인 코디네이션 연구

        김보배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has been started due to the doubt jewelry design is being treated by personal standpoint without any materials which could be integrated criteria based on each charicteristic though it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fashion coordination in modern society. Coordination belongs to one of the fields that make the harmonious human appearance using various fashion elements and Jewelry is recognized the media having a peculiar visual factor among varied coordination elements. Peter Drucker said, "Future will become the era of Visual Society. Namely, Visual will stir up the future epoch." We know images received visually are more instantaneous and effective in reality than any other media. The real existence of fashion is expressed to the emotional image along visual body. As image is recognized with visual and cognizance, jewelry shows its owner's personality and preference because of its ornamental factor distinguished from apparel due to its specialty in material , design and variety of shape. As a result, Jewelry design influences to its wearer's overall image in coordination and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body image. Because of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know the wear's body shape and facial characteristic for the selection of jewelry design and coordination but the reseach of this field has been accomplished as a part in fashion and it is not enough the real studied materials related with jewelry design. There are some ways to establish the personal image in coordination styles but the distinction between body shape and face shape will help set up purchaser's own image in the selection of jewelry design. We can not deny jewelry is used for the visual media form of the riches but nowadays, consumers tend to cognize it as the item for their own personality and distinctive fashion look to purchase. The swift moving fashion period enforces more casual style that can coordinate with personal, peculiar item than stereotyped one to become main stream. It is a natural phenomenon for the consumer's fashion style to be concerned with jewelry. So, the reseacher would like to propose jewelry design introduced the coordinate concept through distinction body and face shape in jewelry design pursuant to body image as the following process. First, jewelry is a body ornamentation and an item could be expressed by fashion languages. I would like to arrange the analysis of body image for the recognition of coordination through the review of the correlation with fashion using various literature cited and statistics. Second, I had focused rather visual image of outside than anatomical or detailed analysis in body and face shape. To show the model used in fashion and beauty field, I had tried to connect jewelry field on the base of the related books with general coordination, periodical and the specialized publications of Oriental and Occidental. Third, to help comprehension, I had demonstrated similar facial type of famous movie stars as an example because jewelry influences fashion image with body ornamentation function. I had chosen some jewelry products at internal and external publications, jewelry catalogues and internet. Fourth, I had distinguished some shapes of jewelry coodination by way of example indigenous and exotic famous person's fashion style. I'd like to reconsider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jewelry and fashion by comparing the fashion image according to the life style. I believe the results from these studies will become a means to the jewelry manufactures to access to the direction that consumers expect by observing body image for the coordination at the moment that the concern for body is amplifying than any other time. In a same context fashion purchasing, to become the item which enhances consumer's fashion style and plays a key role for the expression of personal image, we could consider jewelry design study in the direction of coordination view. The concern for body image will be accepted in the emotional marketing and I consider it can be a main project to elicit a discussion for a new design. Furthermore, I had studied to devote to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the related learning and industrial development including the specialization of the domestic jewelry design and globalism of own brand. 이 논문은 현대사회에서 주얼리디자인(Jewelry Design)이 패션 코디네이션(Fashion Coordination)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특성에 따른 통합적 기준이 되는 형식 없이 개인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것에 대한 의구심에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패션 코디네이션은 다양한 패션요소들을 활용하여 인간의 외형을 조화롭게 구축하는 분야로, 주얼리는 다양한 코디네이션 요소 가운데 독특한 시각적 요소를 지닌 매개체로 인식되고 있다.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에 의하면 '미래는 비주얼사회(Visual Society) 즉, 영상이 힘을 발휘하는 시대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듯이 시각에 의해서 받아들여지는 이미지는 어떤 매개체보다 즉각적이며 효과적임을 현실로 접하고 있다. 패션의 실체는 시각적이며 신체를 빌어 감성적 이미지로 표현된다. 이미지는 시지각에 의해서 인지됨으로서 주얼리는 소재의 특별함과 디자인, 형태의 다양함으로 의복과는 구별되는 장식적 요소로 인해 착용자의 개성이나 취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코디네이션에 있어서 주얼리디자인은 착용자의 전반적인 이미지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신체이미지에 대한 인식은 중요하다.

      • 21세기 현대무용 작품에 나타난 록음악적 사회심리 성향 연구 : Hofesh Shechter의「Political Mother」과 Wim Vandekeybus의 「Blush」를 중심으로

        김보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사회화, 산업화, 정보화된 새로운 세계로 도약하고 있다. 특히 20세기에는 세계 1, 2차 대전과 급속한 산업화로 인간은 그들의 정체성을 학대당하고, 물질만능주의의 사회 체계 속에서 억압과 소외를 느끼며 개인화되어간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은 인간에게 사회저항과 자의식을 갖게 하고 사회, 문화, 예술 등의 모든 측면에서 반사회적인 성향과 인권에 대한 혁명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혁명은 사회적으로는 반전, 평과, 공민권 운동 등과 같은 사회운동으로 예술 작품에서는 사회적, 반미학적인 작품표현 형식으로 나타나게 되었는데, 특히 음악에서는 록음악의 반사회적 성향으로, 무용에서는 현대무용의 사회와 인간 본질에 관한 충격적 표현형식으로 발전 하게 된다. 현대무용과 록음악의 유사성은 이러한 자아와 사회에 관한 의식을 예술적으로 표현했다는 점이며, 21세기에는 위 두 장르의 결합체로서, 호페쉬 섹터의「폴리티컬 마덜(Political mother,2010)」과 빔 반데키부스의 「블러쉬(Blush, 2002)」가 탄생하게 된다. 위 작품들은 21세기 현대무용의 도약점에 선 작품이며, 21세기 현대무용작품의 주도자가 된 유명한 작품이기도 하다. 특히 현대무용에 직접적인 록음악을 처음으로 작곡, 공연하였으며, 작품 속에서 록 음악이 지니는 반사회적 성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호페쉬 섹터는「폴리티컬 마덜(Political mother)」에서 폭발적인 록음악과 함께 사회혼돈에 대한 주제를 ‘전쟁’ 등의 이미지로 나타냈고, 빔 반데키부스는 「블러쉬 (Blush)」에서 록음악과 함께 ‘인간의 본능적 육체’를 통해 사회혼돈을 표현했다. 특히 위 두 작품에서는 록음악의 폭발성과 함께 폭력, 파괴, 충격, 자해 등의 반사회적 심리 성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이상심리에서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성향과 일치됨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록커와, 록음악을 사용한 현대무용작품, 반사회적 심리는 서로 상호 연관성이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위와 같은 반사회적인 심리는 사회와 가정환경의 영향이 가장 큰 원인임이 밝혀졌으며, 예술가의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두 안무가는 작품에 반전과 평화, 인간의 본능을 그대로 표현하며 인본주의적 성향을 드려냈는데, 반사회적이라 함은 ‘너무도 인간적인’ 이란 말의 역설로서, 그들은 사회의 혼돈을 진실을 통해 이야기 하고, 세상을 바꾸어가는 진정한 혁명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페쉬 섹터의「폴리티컬 마덜(Political mother)」과 빔 반데키부스의「블러쉬 (Blush)」에 나타난 록음악적 사회심리를 연구하여, 후대 예술인들에게 자신의 환경과 경험에서 산출되는 작품표현의 의미를 되새기며, 다양한 장르와 혁신적인 작품 탄생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예술가란 진실을 이야기함으로써 세상을 바꿔 나가는 창조자라는 점을 각성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노동시장정책의 성과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김보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to come up with a solution to utilize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and analyze the influence that it has on labor market delivery system in labor market policy. The labor market policy of Korea expanded and executed active labor market policy to resolve high unemployment rate after the currency crisis in 1997 and budget input is being increased. However the problems with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policy progression process and the lack of system to measure policy performance have been raised. After carrying out pre-study research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in labor market policy could measure whether the labor market policy is well being progressed as initially intended and it could also promote the efficiency of its delivery system for the policy to be well conveyed to the beneficiaries of the policies. In this study performance goal, performance indicator,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s that are the components to consider when designing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were analyzed. And by applying it to the cases of actual labor market policy operation, the matters to enhance to utilize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were sought out. In conclusion to effectively operate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in labor market, performance goal, performance indicator,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s considering policy progression phases such as input, process, production, result should be prepared when designing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In addition for the system too accurately measure policy performance, labor market information integrating system that can produce credible labor market information should be established.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무의미단어 철자 검사도구 개발

        김보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기 철자발달인 음운적 발달에 대한 아동의 철자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철자 학습장애를 진단할 수 있는 무의미단어 철자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분석을 통해 7개의 철자유형을 선정하여 철자유형이 포함된 단어들로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세 차례에 걸쳐 초등학교 1, 2, 3학년 학생 211명, 전문가 2명, 대학생 및 대학원생 6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최종 검사 문항을 선별하였다. 최종 개발된 KDSA-NW는 기본초성, 거센소리초성, 된소리초성, 기본모음, w계열모음, y계열모음, 기본종성의 7개 철자유형에 대한 철자능력을 측정하도록 설계되었다. 검사 문항은 7개의 철자유형이 포함된 2음절 CVC-CVC 단어로 구성되었으며 단어의 수는 총 30개였다. KDSA-NW는 초등학교 1, 2, 3학년 77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되었으며 검사 신뢰도 추정을 위해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 반분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 계수인 크론바흐 알파 값과 반분신뢰도 계수가 모두 높게 나타나 KDSA-NW는 신뢰도가 높은 검사임이 검증되었다. 내용타당도 결과는 최종 검사도구에 포함된 단어들이 목표한 철자유형들을 측정하기에 적절함을 보여주었다. 구성타당도는 절대 적합도 지수(normed chi-square, RMSEA, SRMR)들이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증분 적합도 지수(CFI)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와 일부 문항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KDSA 음운유형 검사 점수와 KDSA-NW 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KDSA-NW의 높은 공인타당도가 증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KDSA-NW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검사도구임이 밝혀졌다. 앞으로 본 검사를 통해 한글 학습자의 파닉스 교수에 대한 요구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diagnostic instrument that assesses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of phonological spelling abilities, which can be used to identify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three pilot studies, the Korean developmental spelling assessment-Nonword (KDSA-NW) was developed. KDSA-NW is composed of seven features: initial consonants, aspirated consonants, tense consonants, principal vowels, w glides, y glides, and final consonants. The final selected 30 items were two syllables words of CVC-CVC. KDSA-NW was standardized with 779 students in grades one to three.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data were obtained. The data obtained from the standardization test was used to estim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DSA-NW. The results of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split-half correlation revealed that KDSA was a highly reliable measure. The content validity scores were satisfactory, proving the words were appropriate to test spelling features. The normed chi-square, RMSEA, and SRMR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the construction of KDSA-NW was solid. The high correlation of the KDSA-NW score with the KDSA phonological spelling feature test revealed that the concurrent validity of KDSA-NW is appropriate.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KDSA-NW is a reliable and valid assessment to test grade one to three students’ spelling abilities.

      • 난독증 하위유형 탐색 및 단기 종단적 안정성 분석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김보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dyslexia can be classified into subtypes and how they are related to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as this can be used to explain what variables are involved in the difficulties that children with dyslexia have. Also, this can be useful information for coming up with an intervention to overcome dyslexia if intervention variables are considered in interpret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that a child with dyslexia shows. Hence, based on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related to word reading, which is key defect in dyslexia,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dyslexia can be classified into subtypes. We also tested how stable those subtypes remain even after the intervention to examine the stability of those subtyp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ren with dyslexia in grades 1–3 of an elementary school. Dyslexia is a word-level reading disorder, thus children with a non-verbal intelligence of 70 or more and are below 16th percentile in word reading performance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y were the children who asked for a diagnostic test for dyslexia at the reading and writing clinic of a college located in Seoul. To identify latent profile groups before undergoing phonics intervention, a total of 206 children with dyslexia participated in the first test. Out of the 206 children, 97 participated in the second test that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the latent profile group remained stable even after the Hangeul phonics intervention.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measured to classify dyslexia into subtypes: phonological awareness, letter knowledge, rapid naming, phonological memory, sentence memory, receptive vocabular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That's because these variable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regarding word reading in previous studie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wice by measuring selected variables to identify latent profile group, and the groups were additionally compared in three reading achievement variables, word rea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o find th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latent profile groups. The children who wanted an intervention were provided with Hangeul phonics intervention after the first test, which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for children with dyslexia. Clinicians conducted one-on-one intervention, and the programs tailored to fit individual go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intervention and progress review were provided. The program was offered for an average of 6 months,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same test as the first test was given. Latent profile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how dyslexia is classified into subtypes and what their characteristics are. Latent profile analysis is known to be a more appropriate method for exploring subtypes by using a person-centered approach that focuses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existing variable-centered approach to identify the phenomenon through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Also, a model is created, and then the data is fitted to the model to predict a specific latent group in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his method can be said to be a more objective and reasonable in this proces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cluster analysis method because groups are determined through statistical estimation.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ased on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In addition, the Kruskal–Wallis test was conducted twic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the variables were included word rea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o determine how the members of the latent profile groups change and whether the changes vary by grade, Fisher's exact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twic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showed that there were six groups for subtypes of dyslexia. They included “overall defect group” with overall difficulty in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phonological memory dominant group” showing strength in phonological awareness, and “processing speed dominant group” showing strength in letter knowledge and rapid naming. Also, “working memory dominant group,” which showed strength in phonological and sentence memory abilities, and “receptive language dominant group” with receptive vocabular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were identified. Lastly, the “overall strength group,” which shows strength in all areas of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was included in the dyslexia subtypes. Of these, the “overall defect group” and the “processing speed dominant group” were observed both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dicating that the groups were highly stable regardless of the intervention. When reading performances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heterogeneity between groups, there was a consiste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firming that the groups are highly stable. On the other hand, the remaining four group which included "working memory dominant group", " receptive language dominant group", "phonological awareness dominant group", and "overall strength group", had the low stability at the group level. There were two types that were identified as subtypes before intervention but were not observed after intervention among the four groups: “working memory dominant group” and “receptive language dominant group.” These two groups seem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intervention, and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groups were positively affected by the intervention. The majority of the children included in the two groups were distributed in the overall strength group. In particular, more than 90% of the children who showed strength in the receptive language had strength in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in all areas after intervention. This suggests that if individual and intensive interventions are provided even in the short term, children with dyslexia, who have strengths in working memory or receptive language, are more likely to quickly recover from skills defects. Other types affected by the intervention are the “phonological awareness dominant group” and “the overall strength group.” These two groups were not identified before intervention but were newly identified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as no group that showed strength in phonological awareness before the intervention because the most critical defect in dyslexia is phonological awareness. About 50% of the children in the "phonological awareness dominant group" identifie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found to have overall difficulties in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before the intervention. Phonological awareness, known as the most critical defect, has been improved when an intervention was provided with a focus 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ics principles. Moreover, the “overall strength group” showed above-average scores in all areas of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and also higher achievement in word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han the other group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comprehension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observed after the intervention. A remarkable result in the change patterns in the group members is that many of the children who had overall difficulties in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before the intervention were changed to overall strength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This change was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e first-grade children. As the grade advanced,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children stuck to the overall defect group, the lower the proportion of children changing to overall strength. It seems that the importance of early diagnosis and early intervention should be emphasized. This is the first study in Korea in which an empirical and exploratory attempt has been made to classify dyslexia into subtypes beyond the limits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provides empirical implications for the intervention direction in children with dyslexia by investigating the stability of the subtyp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typ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types and the intervention. In particular,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in a person-centered approach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rather than in a variable-centered approach. Moreover, based on statistical estimation, objectivity and validity were secured through judgment.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Firstly, it is based on a short-term longitudinal design, and secondly, the design did not allow intervention to be controlled as an experimental variable. According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upplement these aspect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 be considered as a variable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dyslexia subtype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help the children with dyslexia deal with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disorder if the information on strengths and weaknesses is used and the grade variable is also considered in planning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dyslexia. 난독증의 하위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지, 그리고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과의 연결성이 어떠한지에 대한 정보는 난독증의 어려움이 어떤 변인의 결함에 기인하는지 밝히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난독증을 극복하기 위한 중재 방향을 정확히 설정하기 위해서도 프로파일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난독증의 핵심 결함 영역인 단어읽기와 관련된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을 기반으로 난독증 하위유형이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글 파닉스 중재 전과 후에 하위유형이 일관적인지 탐색하여 하위유형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3학년의 난독증 아동들이었으며, 난독증 아동의 기준은 비언어성지능이 70 이상이면서 단어읽기 능력에서 16%ile 이하로 설정하였다.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한 대학의 읽기쓰기클리닉센터에 난독증 진단검사를 의뢰한 아동들 중 선정 기준에 부합 아동이 본 연구의 연구대상이 되었다. 파닉스 중재를 받기 전 잠재 프로파일 집단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첫 번째 검사에 참여한 난독증 아동은 총 206명이었다. 한글 파닉스 중재 후에도 잠재 프로파일 집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두 번째 검사에는 첫 번째 검사에 참여하였던 206명 중 97명의 아동이 참여하였다. 난독증 하위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측정된 변인들은 단어읽기와 관련 있는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이었다. 이전 연구들에서 단어읽기와 관련된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로 확인된 음운인식, 자모지식, 명명속도, 음운기억, 문장기억, 수용어휘, 듣기이해 능력을 측정하여 두 차례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분류된 잠재 프로파일 집단의 이질적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집단 비교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단어읽기, 읽기유창성, 읽기이해의 세 가지 읽기성취 변인을 측정하였다. 첫 번째 검사를 실시한 후에 중재를 희망하였던 아동에게는 난독증 아동에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밝혀진 한글 파닉스 중재를 제공하였다. 클리니션이 일대일로 중재를 제공하였으며, 중재 전 검사와 진전도 검사 결과에 따라 개별 목표를 설정하여 맞춤 학습이 이루어졌다. 평균 6개월 동안 중재가 제공되었으며, 중재가 끝난 후에는 첫 번째 검사와 동일한 검사가 수행되었다. 난독증 하위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며 그 특징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LPA는 변수들의 관계를 통해서 현상을 파악하는 기존의 변수 중심적 접근이 아닌 개인의 특성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사람 중심적 접근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개인을 기준으로 변수들이 어떻게 개인별로 상이하게 조합되어 있는 지를 규명하기 때문에 하위유형을 탐색하는 데 보다 적합한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LPA는 모형을 상정한 후에 데이터를 해당 모형에 맞추어 특정 잠재 프로파일 집단을 예측한다. 이 과정에서 통계적 추정에 의해 집단의 구성이 판단되기 때문에 전통적인 군집분석방법에 비하여 좀 더 객관적이고 타당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을 기반으로 중재 전과 후 두 번의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Kruskal-Wallis 검정을 두 차례 실시하였으며, 이때 포함된 변인은 단어읽기,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능력이었다. 잠재 프로파일 집단의 구성원은 어떻게 변화하는 지, 그리고 그 변화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Fisher의 정확검정을 실시하였다. 한글 파닉스 중재 전과 후 두 차례에 걸쳐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난독증 하위유형으로 여섯 개의 집단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해당하는 집단은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에 전반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전반적인 결함 집단’과 음운인식에 강점을 보이는 ‘음운인식 우세 집단’과 자모지식과 명명속도에 상대적 강점을 보이는 ‘처리속도 우세 집단’이었다. 그리고 음운기억과 문장기억 능력에서 강점을 보인 ‘작업기억 우세 집단’과 수용언어로 볼 수 있는 수용어휘와 듣기이해 능력이 높은 ‘수용언어 우세 집단’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 전 영역에서 강점을 보이는 ‘전반적인 강점 집단’이 난독증 하위유형에 포함되었다. 이 중 ‘전반적인 결함 집단’과 ‘처리속도 우세 집단’은 중재 전과 후에 모두 관찰되어 중재의 유무와 관계없이 안정성이 높은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이질성을 확인하기 위한 읽기성취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두 집단의 차이는 일관적으로 관찰되어, 두 집단 모두 집단 수준에서 안정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중재 전과 후에 두 집단에 속하는 구성원의 비율을 확인한 결과, 개인 수준에서 집단 구성원의 안정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안정성에 대한 해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해 나머지 네 개의 집단인 ‘작업기억 우세 집단’과 ‘수용언어 우세 집단’, 그리고 ‘음운인식 우세 집단’과 ‘전반적인 강점 집단’은 집단 안정성이 낮은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네 개의 집단 중에서 중재 전 하위유형으로 확인되었지만 중재 후에는 관찰되지 않은 유형으로는 ‘작업기억 우세 집단’, ‘수용언어 우세 집단’ 유형이 있었다. 이 두 집단은 중재에 영향을 받는 집단이라고 볼 수 있으며, 중재 전과 후에 구성원의 변화 양상에서도 중재의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집단에 포함된 아동 중 과반수가 전반적인 강점 집단에 분포되었으며, 특히 수용언어에 강점을 보이는 아동의 90% 이상이 중재 후에 전 영역의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에서 강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난독증 아동 중 작업기억 혹은 수용언어에 강점을 보이는 아동은 단기적으로라도 개별적이고 집중적인 중재가 제공된다면 결함을 보이는 기술을 빠르게 회복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중재의 유무에 영향을 받는 또 다른 유형으로는 ‘음운인식 우세 집단’과 ‘전반적인 강점 집단’이 있다. 이 두 집단은 중재 전에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중재 후에 새롭게 확인된 집단이었다. 난독증의 가장 핵심적인 결함은 음운인식 능력이라고 일컬어지는 만큼 중재를 받기 전에 음운인식 능력에 강점을 보이는 집단은 확인되지 않았다. 중재 후에 음운인식 강점 집단에 속한 아동의 50% 정도는 중재를 받기 전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에서 전반적인 어려움이 있는 아동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음운인식과 파닉스 원리에 집중하여 중재를 제공한 결과 가장 핵심적인 결함이라고 알려진 음운인식이 향상되었다는 것은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반적인 강점 집단’은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의 전 영역에서 평균 이상의 능력을 보인 집단으로, 단어읽기와 읽기이해 능력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성취를 보였다. 특히 읽기이해 능력에서 중재 후 확인된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성원의 변화 양상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는 중재 전에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에서 전반적으로 어려움이 있던 아동의 상당수가 중재 후에 전반적인 강점 집단으로 변화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1학년 아동에게 드러난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전반적인 결함 집단에 고착되는 아동의 비율은 높았던 반면, 전반적인 강점으로 변화하는 아동의 비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기 진단과 조기 중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틀의 제한에서 벗어나 난독증의 하위유형에 대해 실증적이면서도 탐색적인 분류를 시도한 국내의 첫 번째 연구였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중재 전과 후에 하위유형의 안정성을 확인함으로써 하위유형의 특징과 중재와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난독증 아동의 중재 방향에 대해 실제적인 시사점을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잠재프로파일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변인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의 접근 방법에서 분류가 수행되었으며, 통계적 추정에 의한 판단을 통해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아동이 경험한 중재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거나 중재 유무를 통제할 수 있는 연구 설계가 아니었으며, 단기 종단적 설계에 기반을 두었다는 점에서 제한점이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난독증 하위유형에 따른 강점과 약점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서는 중재 변인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난독증 아동을 위해 중재를 계획하는 데 있어서 강점과 약점의 정보를 활용하면서, 동시에 학년 변인도 함께 고려한다면 난독증으로 인한 어려움을 조기에 효과적으로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 무용전공 여대생의 정서지능과 무용표현력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매개효과

        김보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여대생의 정서지능과 무용표현력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충남 소재5개 대학교 1-4학년 무용전공 여대생 209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s)을 사용하였다. 회수된 226부의 설문지 중 자료가 누락되거나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하고 총 209가 채택되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 여대생의 정서지능과 동작표현기술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지능과 동작표현기술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여대생의 정서지능과 외적표출능력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지능과 외적표출능력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여대생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사고력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지능과 창의적사고표현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무용전공 여대생의 정서지능과 표현열정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가 정서지능과 표현열정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무용전공 여대생의 정서지능과 무용표현력의 관계에서 무용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무용몰입은 무용전공 학생의 정서지능과 무용표현력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무용전공 여대생들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무용몰입의 수준도 높아지고, 무용몰입의 수준이 높아지면 무용표현력의 수준도 향상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무용몰입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게 된다. 즉, 무용전공 여대생의 정서지능은 무용표현력에 직접적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무용몰입이라는 매개를 통했을 때 보다 높은 수준의 무용표현력을 이룰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dance expressiveness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For this study, 209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from 5 universities in Seoul and Chungnam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and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was used as the sampling method. Of the 226 collected questionnaires, a total of 209 were selected and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ose for which data was omitted or responses were judged to be insincere. Data processing is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18.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three-step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movement expression skills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Second, a three-step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xternal expression abi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s a result,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xternal expression ability. Third, a three-step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s a result,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thinking. Fourt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xpression pass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result of a three-step mediating effect analysis showed tha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xpression passion was found. Fifth,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dance expressiveness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It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 and dance expression. Summarizing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higher the level of dance immers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dance immersion, the higher the level of dance expression. In addition, dance immersion in this process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s a direct effect on dance expression, but can achieve a higher level of dance expression through the medium of dance immersion.

      •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보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성 증진 전략을 활용하여 유아들이 생성한 아이디어를 미술적으로 표현하고, 이를 감상, 소통함으로써 유아의 미술적 능력과 태도를 함양하고자 하는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미술성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으로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단계, 교사의 역할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평가 방법을 선정한 후,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에 대한 검토 및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성향과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에 위치한 D유치원 만 5세 2학급(실험집단: 23명, 비교집단: 23명) 유아 46명이다. 유아 미술성향 검사는 윤현숙(2005)이 제작한 ‘미술성향 검사’를 사용하였고, 유아 그림표현능력 검사는 장순미(2008)가 제작한 ‘그림표현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9년 6월 13일부터 8월 14일까지 9주 동안 총 21회로, 실험집단은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미술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성향 및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의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결과, 프로그램의 목적은 ‘자연과 주변 환경을 다양하게 탐색하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표현, 소통하는 미술교육을 통해 미술적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로 선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대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탐색하고 인식하는 능력을 기른다.’,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기른다.’, ‘예술작품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열린 마음으로 감상하는 능력을 기른다.’, ‘나와 다른 사람의 예술작품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기른다.’, ‘미술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기른다.’, ‘대상의 아름다움에 반응하며 풍부한 감성과 심미적 태도를 기른다.’로 설정하였다. 교육내용은 아름다움 탐색, 창의적 표현, 예술 감상으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단계, 교사의 역할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원리는 ‘다양성의 원리’, ‘창의적 사고의 원리’, ‘몰입의 원리’, ‘소통의 원리’, ‘개방성의 원리’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단계는 동기 유발 및 자료 탐색하기, 아이디어 생성하기, 아이디어 정교화하기, 미술표현하기, 미술작품 공유 및 재표현하기, 평가하기로 구성하였다. 교사의 역할은 ‘안내자’, ‘격려자’, ‘공유자’, ‘사고촉진자’의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평가는 유아 평가와 프로그램 평가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둘째, [연구문제 2]의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은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미술교육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미술성향과 그림표현능력을 검사하였다. 분석결과,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미술성향과 그림표현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가 적합하게 구성된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미술성향과 그림표현능력 증진에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미술적 능력과 태도를 증진시키는 교육활동으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and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is program is art education program in which children express their idea artistically with the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Also, through the program, children enjoy and communicate it, and can develop artistic ability and attitude. For such purpos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wo subjects - [Question 1] and [Question 2] - and the details are as follows. [Question 1] What is the composition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1-1. What are the purposes and objectives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1-2.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1-3. What a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1-4. What are the evaluations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2-1. What is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on art disposition? 2-2. What is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on drawing expression abil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In [Question 1], for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we have established the purposes and objectives of the art education program of early childhood and constructed the contents of education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works and precedent researches. Teaching-learning principles, teaching-learning stages, and teacher's role were constructed by teaching-learning methods. After selecting the evaluation methods of the program,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reviewing,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field suitability of the program. In [Question 2],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on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drawing expression ability was proved. The research subjects were 46 five-year-old children (2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in the comparative group) at D kindergarten in J province.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Art Disposition Test' developed by Yoon Hyun-sook(2005)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Test’ developed by Jang Soon-mee(2008).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21 times for 9 weeks from June 13, 2019 to August 14, 2019: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 group; conventional art education activities was conducted in the comparative group. For the data analysis, multi 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program to verify the effects on children's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veloping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the purpose of the program has been selected as developing children’s artistic ability and attitude by looking in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oming up with their thought and feeling through communication. The selected specific objectives to achieve these are to develop in children the followings through art education programs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Raising the ability to explore and recognize objects in various ways’, ‘improving the ability to think and express about one’s thought and feeling, ‘improving the ability to appreciate with open mind and respecting the variety of art’, ‘raising the ability to share and communicate the others’ arts which are different from mine’, ‘improving the attitude to participate in artistic activity with much interest’, ‘responding the beauty of objects and improving deep sensibility and esthetic attitude’. We have determined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throughout the experiment as the follow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ed of exploring the beauty, creative expression, appreciating the art.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consisted of teaching-learning principles, phas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eacher’s roles.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consisted of ‘the principle of variety’, ‘the principle of creative thought’, ‘the principle of immersion’, ‘the principle of communication’ and ‘the principle of openness’. The phase of teaching and learning consists of exploring the data and leading the motivation, coming up with idea, elaborating the idea, expressing the art, re-expressing and sharing the idea and evaluating. The teacher’s roles focus on the role of ‘guide’, ‘encourager’, ‘sharer’, ‘promoter of thought’. Evaluation of the program consisted of program evaluation and child evaluation; the child evaluation was carried out with being divided into the teacher evaluation and the child evaluation. Second,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has been verified by the fac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in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In the sub-categori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art component ability, art expression ability and artistic attitude. In young children’s drawing expression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categori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adequacy of content, detailed description, originality, adequacy of material and tool and the harmonious composition of a pictur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in this study was connectively composed of purposes and objective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lso,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art disposition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These results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and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as educational activities to support children's artistic ability and attitud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