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고등학교 영어 학습활동책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econdary school teachers’ use of English activity work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45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nglish activity workbook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7 middle- and 54 high-school teacher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teach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iddle school teachers utilized activity workbooks more often than the highschool teachers. Most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activity workbooks had too many activities to implement during regular class hours and that most activities were not feasible in the Korean classrooms. In addition, the teachers also repor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ctivity workbooks and their main textbooks. They also noted that there existed little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mplexities of activities across three proficiency level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nglish activity workbook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7 middle- and 54 high-school teacher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teachers. The resul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nglish activity workbook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7 middle- and 54 high-school teacher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teach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iddle school teachers utilized activity workbooks more often than the highschool teachers. Most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activity workbooks had too many activities to implement during regular class hours and that most activities were not feasible in the Korean classrooms. In addition, the teachers also repor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ctivity workbooks and their main textbooks. They also noted that there existed little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mplexities of activities across three proficiency leve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소영, "학습활동책에 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1 (21): 219-240, 2009

      2 김현옥, "초등학교 영어 교재 활용 실태 조사" 교과교육연구소 11 (11): 385-404, 2007

      3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V): 외국어(영어), 재량 활동, 한문, 정보, 환경, 생활 외국어" 교육과학기술부 2008

      4 정숙영, "중학교 1학년 영어 학습활동책의 수준별 자료와 활용 실태 분석" 연세대학교 2009

      5 지경현, "중학교 1학년 영어 학습활동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반응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2009

      6 김정렬, "중학교 1학년 영어 학습활동책 개발 연구" 글로벌영어교육학회 13 (13): 36-65, 2008

      7 배두본, "중등학교 교사 영어원격 연수 교육 과정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8 (8): 119-154, 2001

      8 이의갑, "중등 영어과 수준별 교과서에 관한 소고" 46 (46): 30-31, 2005

      9 안병규, "중등 영어과 교재모형 개발: 수준별 및 자기주도적 학습 중심" 한국영어교육학회 60 (60): 323-350, 2005

      10 이의갑,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등영어 교육내용 적정성에 관한 연구: 양과 수준의 측면에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2 (12): 247-272, 2005

      1 이소영, "학습활동책에 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1 (21): 219-240, 2009

      2 김현옥, "초등학교 영어 교재 활용 실태 조사" 교과교육연구소 11 (11): 385-404, 2007

      3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V): 외국어(영어), 재량 활동, 한문, 정보, 환경, 생활 외국어" 교육과학기술부 2008

      4 정숙영, "중학교 1학년 영어 학습활동책의 수준별 자료와 활용 실태 분석" 연세대학교 2009

      5 지경현, "중학교 1학년 영어 학습활동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반응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2009

      6 김정렬, "중학교 1학년 영어 학습활동책 개발 연구" 글로벌영어교육학회 13 (13): 36-65, 2008

      7 배두본, "중등학교 교사 영어원격 연수 교육 과정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8 (8): 119-154, 2001

      8 이의갑, "중등 영어과 수준별 교과서에 관한 소고" 46 (46): 30-31, 2005

      9 안병규, "중등 영어과 교재모형 개발: 수준별 및 자기주도적 학습 중심" 한국영어교육학회 60 (60): 323-350, 2005

      10 이의갑,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등영어 교육내용 적정성에 관한 연구: 양과 수준의 측면에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2 (12): 247-272, 2005

      11 교육인적자원부,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안 공청회" 교육인적자원부 2006

      12 권오량, "영어 교재론 in:현대 영어 교육의 이해와 전망" 서울대학교 출판부 57-97, 2000

      13 교육인적자원부, "수학․영어 교육과정 개정 고시에 따른 검정도서(수학,영어)편찬상의 유의점" 교육인적자원부 2006

      14 교육인적자원부, "수학-영어 교육과정 개정 고시에 따른 검정도서(수학,영어)검정기준" 교육인적자원부 2006

      15 김홍원, "수준별 이동수업 내실화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16 박선화, "수준별 수업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17 박선화, "수준별 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 105 : 20-26, 2008

      18 이병민, "교과서 개발과 교과서의 역할 in: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3-26,

      19 송연, "고등학교 1학년 영어 학습활동책의 수준별 쓰기 활동 분석" 건국대학교 2009

      20 윤선희, "고등학교 1학년 영어 학습활동책 어휘 활동 분석" 한양대학교 2009

      21 최정, "개정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수준별․자기 주도적 학습 중심의 중학교 영어과 워크북 모형 제작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8

      22 하주연, "개정 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영어학습활동책 구성 체계 및 난이도분석" 고려대학교 2009

      23 우상희, "개정 7차 교육과정 고등영어 교과서 학습활동책의 난이도 분석" 고려대학교 2009

      24 Masuhara, H., "What do teachers really want from coursebooks? in:Materials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9-260, 1998

      25 Corder, P., "The visual element in language teaching" Longman 1966

      26 Hill, D. A., "The visual element in EFL coursebooks in:Developing materials for language teaching" Continuum 174-182, 2003

      27 Hawkins, D., "The informed vision:Essays on learning and human nature" Agathon 1967

      28 Brown, J. D., "The elements of language curriculum: A systematic approach to program development" Heinle & Heinle 1995

      29 Kim, Hae-Dong, "Teachers' Opinions on Criteria for EFL Materials Evaluation and Development" 한국영어교육학회 61 (61): 139-164, 2006

      30 Rubdy, R., "Selection of materials in:Developing materials for language teaching" Continuum 37-57, 2003

      31 Tomlinson, B., "Materials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2 Nation, P.,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3 Mariani, L., "Evaluating coursebooks" 8 : 27-31, 1980

      34 Spratt, M., "English for the teach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35 Graves, K., "Designing language courses:A guide for teachers" Heinle & Heinle 2000

      36 Cunningsworth, A., "Choosing your coursebook" Heinemann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14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